[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9104B1 -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9104B1
KR102719104B1 KR1020190096485A KR20190096485A KR102719104B1 KR 102719104 B1 KR102719104 B1 KR 102719104B1 KR 1020190096485 A KR1020190096485 A KR 1020190096485A KR 20190096485 A KR20190096485 A KR 20190096485A KR 102719104 B1 KR102719104 B1 KR 10271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ift lever
shift
engaging
kno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359A (ko
Inventor
정원진
김진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9104B1/ko
Priority to JP2020004432A priority patent/JP7479155B2/ja
Priority to US16/745,009 priority patent/US11085526B2/en
Priority to CN202010077744.9A priority patent/CN112344011A/zh
Priority to DE102020103388.5A priority patent/DE102020103388A1/de
Publication of KR2021001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359A/ko
Priority to JP2024040348A priority patent/JP770734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91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8Dashboar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05G1/06Details of their grip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16H2059/0269Ball joints or spherical bearings for supporting the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변속노브의 회전중심점을 상향시켜 콘솔로 노출되는 변속노브의 높이와 변속노브의 작동 스트로크가 감소됨에 따라 콘솔 사이즈가 축소되고, 변속노브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의 작동방향이 일치됨에 따라 기존 변속기 연결구조가 유지 가능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변속노브의 높이 및 스트로크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콘솔 사이즈가 축소되고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통상 직선적으로 P, R, N, D 변속단들이 배치되고, 변속레버를 회동시켜서 변속단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변속레버의 회전시 케이블이 당겨져 그 조작력이 변속기로 전달된다.
즉, 변속레버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지점은 변속레버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곳이므로, 변속레버를 회동시키면, 그 회동 각도에 따라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풀어짐으로써 그 조작력이 변속기로 전달되고 이를 인식하여 변속단의 변속이 수행된다.
한편, 종래의 변속레버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고 하측 끝단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고, 변속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종래의 변속레버는 회전중심점이 하측 끝단에 위치됨에 따라 변속레버의 조작량이 커지게 되고, 변속레버의 회전량을 수용하기 위해 콘솔 커버의 오픈량이 증대되어 디자인 제약 요소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12-076601 A (2012.04.1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속노브의 회전중심점을 상향시켜 콘솔로 노출되는 변속노브의 높이와 변속노브의 작동 스트로크가 축소되도록 하고, 변속노브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의 작동방향이 일치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는 변속노브가 연결되고 레버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점이 상부에 위치한 시프트레버; 및 레버바디에서 시프트레버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변속케이블이 연결되며, 회전시 시프트레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의 작동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는 인게이징레버;를 포함한다.
시프트레버와 인게이징레버는 회전 운동과 슬라이딩 운동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는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슬릿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슬릿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가이드핀으로 구성되고, 가이드부와 가이드핀은 시프트레버와 인게이징레버에 각기 마련되어 시프트레버와 인게이징레버가 가이드부 및 가이드핀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핀은 시프트레버 또는 인게이징레버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슬릿홀에 삽입되는 볼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핀은 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슬릿홀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부와 함께 슬릿홀을 슬라이딩하는 캡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프트레버에는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중심점의 상측에 변속노브가 연결되고 회전중심점의 하측으로 인게이징레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게이징레버는 중단부가 레버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단부의 상측으로 연장된 일단부가 시프트레버에 연결되며 중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타단부에 변속케이블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속노브에는 시프트레버와 함께 회전되고 시프트레버의 회전반경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라운드커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운드커버는 시프트레버의 상단을 감싸는 덮개 형상이고 변속노브가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양사이드에는 굴곡진 부분을 따라 연장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버바디의 상부에는 라운드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베젤이 구비되고, 베젤에는 라운드커버의 돌기 내측으로 연장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절곡부는 라운드커버의 상면과 돌기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속노브는 시프트레버의 회전중심점을 직각으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는 변속노브의 회전중심점을 상향시켜 콘솔로 노출되는 변속노브의 높이와 변속노브의 작동 스트로크가 감소됨에 따라 콘솔 사이즈가 축소되고, 변속노브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의 작동방향이 일치됨에 따라 기존 변속기 연결구조가 유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조립도.
도 3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시프트레버 및 인게이징레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1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라운드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시프트레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조립도이며, 도 3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시프트레버 및 인게이징레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1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라운드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의 시프트레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노브(20)가 연결되고 레버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점이 상부에 위치한 시프트레버(30); 및 레버바디(10)에서 시프트레버(30)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변속케이블(C)이 연결되며, 회전시 시프트레버(3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시프트레버(30)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의 작동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는 인게이징레버(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레버바디(10)에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시프트레버(30)에는 변속노브(20)가 연결되고 인게이징레버(40)에는 변속케이블(C)이 연결됨으로써, 변속노브(20)의 조작에 의해 시프트레버(30)의 회전시 시프트레버(30)에 연결된 인게이징레버(40)가 회전되면서 변속케이블(C)에 당김력이 작용된다.
여기서, 레버바디(10)는 두 개의 파트로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시프트레버(30)에는 디텐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시프트레버(30)는 상부에 회전중심점을 가지도록 레버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시프트레버(30)에 연결된 변속노브(20)는 레버바디(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높이가 감소되고 변속노브(20)의 변속 스트로크도 감소된다. 이로 인해, 레버바디(10)에서 변속노브(20)가 통과되는 개구부의 사이즈가 축소되고, 그에 따라 콘솔의 사이즈가 축소되어 실내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된다.
즉, 종래에는 시프트레버(30)의 회전중심점이 변속레버의 직선방향에서 최하단에 위치됨에 따라 변속레버의 변속 스트로크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시프트레버(30)의 회전중심점이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변속노브(20)의 길이 및 변속 스트로크가 축소되어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게이징레버(40)는 시프트레버(30)의 회전시 시프트레버(3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시프트레버(30)와 조작방향과 인게이징레버(40)의 작동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시프트레버(30)는 회전중심점이 상부에 위치됨에 따라 변속케이블(C)이 하부에 연결되면 변속노브(20)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C)의 작동방향이 반대됨에 따라, 시프트레버(30)의 하부에 인게이징레버(40)가 연결되도록 하고 변속케이블(C)은 인게이징레버(4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노브(20)의 조작에 의해 시프트레버(30)의 회전시 인게이징레버(40)는 시프트레버(3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변속케이블(C)은 변속노브(20)의 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기존 변속기 연결구조를 유지하여 본 발명의 따른 변속레버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는 회전 운동과 슬라이딩 운동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구성된 연결부(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바,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의 회전 간에 발생되는 회전 유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연결부(50)를 매개로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의 회전시 연결부(50)가 회전 운동과 동시에 슬라이딩 운동이 수행되어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부(50)는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슬릿홀(52)이 형성된 가이드부(51)와 슬릿홀(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가이드핀(53)으로 구성되고, 가이드부(51)와 가이드핀(53)은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에 각기 마련되어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가 가이드부(51) 및 가이드핀(53)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부(50)는 가이드부(51)와 가이드핀(53)으로 구성되며, 가이드부(51)와 가이드핀(53)은 각각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에 나뉘어 설치된다.
일례로, 시프트레버(30)에 가이드부(51)가 결합되고 인게이징레버(40)에 가이드핀(53)이 결합될 경우, 변속노브(20)의 조작에 의해 시프트레버(30)의 회전시 인게이징레버(40)는 가이드부(51)의 슬릿홀(52)에 삽입된 가이드핀(53)을 매개로 함께 회전되며, 가이드핀(53)은 가이드부(51)의 슬릿홀(52)에서 슬라이딩되어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른 유격이 흡수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부(51)와 가이드핀(53)이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 중 어디에 마련되는지 여부에 따라 변속노브(20)의 레버비가 조절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슬릿홀(52)의 연장방향 및 연장길이에 의해서도 변속노브(20)의 레버비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비는 변속노브(20)의 변속 스트로크에 대한 것으로, 각 변속단으로 변속시 요구되는 변속노브(20)의 회전각도가 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핀(53)은 시프트레버(30) 또는 인게이징레버(40)에 고정되는 몸체부(53a)와 몸체부(53a)에서 연장되어 슬릿홀(52)에 삽입되는 볼부(53b)가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핀(53)은 몸체부(53a)와 볼부(53b)로 구성되며, 몸체부(53a)의 경우 시프트레버(30) 또는 인게이징레버(40)에 결합시 이탈되지 않도록 다수의 결합부(53a-1)가 돌출될 수 있고, 볼부(53b)는 슬릿홀(5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될 수 있도록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핀(53)은 가이드부(51)의 슬릿홀(5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과 동시에 슬라이딩 운동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핀(53)은 볼부(53b)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슬릿홀(52)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부(53b)와 함께 슬릿홀(52)을 슬라이딩하는 캡부(54)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캡부(54)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부(53b)와 슬릿홀(52) 사이에 개재되어 볼부(53b)와 슬릿홀(52)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캡부(54)는 내측으로 볼부(53b)를 감싸되 볼부(53b)가 자유 회전되고, 외측이 슬릿홀(52)에 밀착되되 미끄럼이 발생되도록 윤활될 수 있다. 이렇게, 볼부(53b)와 슬릿홀(52) 사이에는 캡부(54)가 마련됨으로써, 볼부(53b)와 슬릿홀(52) 사이의 유격에 의한 충돌음 발생이 방지되고, 윤활된 상태로 볼부(53b)와 슬릿홀(52)에 연결됨에 따라 가이드핀(53)이 가이드부(51)에서 부드럽게 회전 운동 및 슬라이딩 운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시프트레버(30)에는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중심점의 상측에 변속노브(20)가 연결되고 회전중심점의 하측으로 인게이징레버(4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게이징레버(40)는 중단부(40a)가 레버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단부(40a)의 상측으로 연장된 일단부(40b)가 시프트레버(30)에 연결되며 중단부(40a)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타단부(40c)에 변속케이블(C)이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변속노브(20)가 조작되면 변속노브(20)와 함께 시프트레버(30)가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도면의 우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인게이징레버(40)는 일단부(40b)가 연결부(50)를 매개로 시프트레버(30)에 연결됨에 따라 반대방향인 시계방향(도면의 좌측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인게이징레버(40)의 타단부(40c)에 변속케이블(C)이 연결됨으로써 변속케이블(C)은 변속노브(20)의 조작방향과 동일한 시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시프트레버(30)는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상측에 변속노브(20)가 연결되고 하측에 인게이징레버(40)의 일단부(40b)가 연결되며, 인게이징레버(40)의 타단부(40c)에 변속케이블(C)이 연결되는 구조를 통해, 변속노브(20)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C)의 작동방향이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변속노브(20)에는 시프트레버(30)와 함께 회전되고 시프트레버(30)의 회전반경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라운드커버(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라운드커버(60)는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변속노브(20)의 조작시 레버바디(1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커버(60)는 시프트레버(30)의 상단을 감싸는 덮개 형상이고 변속노브(20)가 결합되는 체결부(61)가 형성되며 양사이드에는 굴곡진 부분을 따라 연장된 돌기(6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30)의 체결부(61)을 통해 변속노브(20)가 관통되어 시프트레버(30)와 연결될 수 있고, 라운드커버(60)가 시프트레버(30)를 덮음에 따라 외부의 오염물질이 시프트레버(30)측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라운드커버(60)의 양사이드에는 돌기(62)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라운드커버(60)의 돌기(62)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시프트레버(30)를 회피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시프트레버(30)는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유지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바디(10)의 상부에는 라운드커버(60)의 상측에 배치되는 베젤(70)이 구비되고, 베젤(70)에는 라운드커버(60)의 돌기(62) 내측으로 연장된 절곡부(71)가 형성되며, 절곡부(71)는 라운드커버(60)의 상면과 돌기(6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레버바디(10)의 상부측에 베젤(70)이 마련됨에 따라 라운드커버(60)가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아 디자인이 저해되지 않고, 배젤(70)이 일차적으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베젤(70)에는 라운드커버(60)의 돌기(62) 내측으로 연장된 절곡부(71)가 형성됨으로써, 베젤(70)을 타고 유입되는 이물질이 라운드커버(60)의 돌기(62) 내측으로 유입된 후 시프트레버(30)를 회피하여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71)의 경우 라운드커버(60)의 상면과 돌기(62)로부터 이격되어 라운드커버(60)의 회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노브(20)는 시프트레버(30)의 회전중심점을 직각으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도록 연결되어 변속노브(20)의 조작에 따른 회전궤적이 시프트레버(30)의 회전궤적에 그대로 반영되어 동일한 회전궤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5는 변속노브(20)가 P단을 선택할 경우,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의 회전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변속노브(20)가 P단을 선택한 상태에서 가이드부(51)의 슬릿홀(52)에 가이드핀(53)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변속노브(20)를 R단으로 전환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부(50)가 상향 이동되고,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0)를 이루는 가이드핀(53)이 가이드부(51)의 슬릿홀(52)에서 회전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다. 이로 인해,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가 서로 연동되어 회전되고 유격이 흡수되어 원활한 동작 관계가 성립된다.
이를 통해, 변속노브(20)를 N단으로 전환할 경우,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노브(20)의 조작에 연동되어 시프트레버(30) 및 인게이징레버(40)의 회전과 동시에 연결부(50)의 슬라이딩 동작과 회전 동작이 수행되고, 변속노브(20)를 D단으로 전환할 경우, 도 11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30)와 인게이징레버(40) 및 연결부(50)의 슬라이딩 동작 및 회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는 변속노브(20)의 회전중심점을 상향시켜 콘솔로 노출되는 변속노브(20)의 높이와 변속노브(20)의 작동 스트로크가 감소됨에 따라 콘솔 사이즈가 축소되고, 변속노브(20)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의 작동방향이 일치됨에 따라 기존 변속기 연결구조가 유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레버바디 20:변속노브
30:시프트레버 40:인게이징레버
50:연결부 51:가이드부
52:슬릿홀 53:가이드핀
54:캡부 60:라운드커버
61:체결부 62:돌기
70:베젤 71:절곡부

Claims (11)

  1. 변속노브가 연결되고 레버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점이 상부에 위치한 시프트레버; 및
    레버바디에서 시프트레버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변속케이블이 연결되며, 회전시 시프트레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의 작동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는 인게이징레버;를 포함하며,
    시프트레버와 인게이징레버는 회전 운동과 슬라이딩 운동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연결부는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슬릿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슬릿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가이드핀으로 구성되며, 가이드부와 가이드핀은 시프트레버와 인게이징레버에 각기 마련되어 시프트레버와 인게이징레버가 가이드부 및 가이드핀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변속노브는 시프트레버의 회전중심점을 직각으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핀은 시프트레버 또는 인게이징레버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슬릿홀에 삽입되는 볼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이드핀은 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슬릿홀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부와 함께 슬릿홀을 슬라이딩하는 캡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프트레버에는 회전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중심점의 상측에 변속노브가 연결되고 회전중심점의 하측으로 인게이징레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인게이징레버는 중단부가 레버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단부의 상측으로 연장된 일단부가 시프트레버에 연결되며 중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타단부에 변속케이블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8. 변속노브가 연결되고 레버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점이 상부에 위치한 시프트레버; 및
    레버바디에서 시프트레버와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변속케이블이 연결되며, 회전시 시프트레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시프트레버의 조작방향과 변속케이블의 작동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는 인게이징레버;를 포함하며,
    변속노브에는 시프트레버와 함께 회전되고 시프트레버의 회전반경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라운드커버가 마련되고,
    라운드커버는 시프트레버의 상단을 감싸는 덮개 형상이고 변속노브가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양사이드에는 굴곡진 부분을 따라 연장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레버바디의 상부에는 라운드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베젤이 구비되고, 베젤에는 라운드커버의 돌기 내측으로 연장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절곡부는 라운드커버의 상면과 돌기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11. 삭제
KR1020190096485A 2019-08-08 2019-08-08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Active KR102719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85A KR102719104B1 (ko) 2019-08-08 2019-08-08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JP2020004432A JP7479155B2 (ja) 2019-08-08 2020-01-15 車両用変速レバー装置
US16/745,009 US11085526B2 (en) 2019-08-08 2020-01-16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CN202010077744.9A CN112344011A (zh) 2019-08-08 2020-01-31 用于车辆的换档杆设备
DE102020103388.5A DE102020103388A1 (de) 2019-08-08 2020-02-11 Schalthebe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2024040348A JP7707348B2 (ja) 2019-08-08 2024-03-14 車両用変速レバー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85A KR102719104B1 (ko) 2019-08-08 2019-08-08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359A KR20210017359A (ko) 2021-02-17
KR102719104B1 true KR102719104B1 (ko) 2024-10-16

Family

ID=7418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485A Active KR102719104B1 (ko) 2019-08-08 2019-08-08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85526B2 (ko)
JP (2) JP7479155B2 (ko)
KR (1) KR102719104B1 (ko)
CN (1) CN112344011A (ko)
DE (1) DE102020103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2481B (zh) * 2019-05-15 2022-10-28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的下部车体构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3674A1 (en) * 2012-08-22 2014-02-27 Fico Triad, S.A. Shift-by-wire gearshift device for an automatic vehicle transmission
US20170146115A1 (en) * 2014-07-10 2017-05-25 Marquardt Gmbh Control elemen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60254A (en) * 1935-03-22 1937-01-25 Ford Motor Co Improvements in ball and socket joints and devices embodying the same
JPH0629086Y2 (ja) * 1988-09-06 1994-08-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のブラインド
US5398565A (en) * 1993-02-04 1995-03-2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A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hift lever assembly
FR2734214B1 (fr) * 1995-05-17 1997-07-04 Renault Dispositif de commande d'une boite de vitesses muni d'un bati deporte
JPH09220944A (ja) * 1996-02-16 1997-08-26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US20030213326A1 (en) * 2002-05-14 2003-11-20 Fett Brian W. Cable-operated transmission shifters
FR2856960B1 (fr) * 2003-07-04 2005-11-18 Renault Sa Dispositif de commande externe de boite de vitesses pour planche de bord
JP2005112059A (ja) * 2003-10-06 2005-04-28 Honda Motor Co Ltd レバー装置
JP2005273818A (ja) 2004-03-25 2005-10-06 Atsumi Tec:Kk 車両用自動変速操作装置
JP5086130B2 (ja) * 2008-02-28 2012-11-28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5142285B2 (ja) * 2008-03-27 2013-02-13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付き車両の変速レバーロック装置
JP5385866B2 (ja) * 2010-06-30 2014-01-08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ノブ装着構造
JP5641855B2 (ja) 2010-10-01 2014-12-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5806126B2 (ja) * 2012-01-12 2015-11-10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ニオン軸の回転位置検出機構
SE538515C2 (sv) * 2012-05-29 2016-08-30 Scania Cv Ab Kompakt Växelspakssystem för vajerväxling av ett fordon
KR101393985B1 (ko) * 2012-12-06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조작력 전달장치
KR101459957B1 (ko) * 2013-10-11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체
KR101509940B1 (ko) * 2013-10-17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3674A1 (en) * 2012-08-22 2014-02-27 Fico Triad, S.A. Shift-by-wire gearshift device for an automatic vehicle transmission
US20170146115A1 (en) * 2014-07-10 2017-05-25 Marquardt Gmbh Control elemen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44011A (zh) 2021-02-09
JP7707348B2 (ja) 2025-07-14
US20210041020A1 (en) 2021-02-11
JP2024063257A (ja) 2024-05-10
DE102020103388A1 (de) 2021-02-11
KR20210017359A (ko) 2021-02-17
JP7479155B2 (ja) 2024-05-08
US11085526B2 (en) 2021-08-10
JP2021024552A (ja)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8753B2 (en)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US5979262A (en) Gearshift device for a motor vehicle manual transmission
JP7707348B2 (ja) 車両用変速レバー装置
US20240011557A1 (en) Vehicle gear knob
US6666107B2 (en) Slide cover unit for a shift lever assembly
US7360469B2 (en) Shift lever
JPS62110532A (ja) 変速機のシフト機構
JPS59717A (ja) 変速機用手動式遠隔操作装置
US9441730B2 (en) Shift lever assembly for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EP1241381A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a transmission mechanism
KR100306253B1 (ko) 자동트랜스미션용작동장치
JP7023567B2 (ja) シャフトアッセンブリ
KR101673781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KR102115743B1 (ko) 차량의 연료 뚜껑 개폐장치
KR100514894B1 (ko) 자동변속차량의 변속레버 장치
JP4563379B2 (ja) 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ギヤ比変更自動操作装置
JP2010174519A (ja) オープナー構造
JP3892999B2 (ja) 変速機の操作装置
JP6893744B2 (ja) シャフトアッセンブリ
US20060053916A1 (e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JP4047696B2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960001132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루우프용 로타리 드라이브 축의 회전수 제한 기구
KR101499219B1 (ko) 수동변속기용 기어레버의 구조
KR0120418B1 (ko) 접이식 변속레버
JP201019519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