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7954B1 -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7954B1
KR102717954B1 KR1020220027721A KR20220027721A KR102717954B1 KR 102717954 B1 KR102717954 B1 KR 102717954B1 KR 1020220027721 A KR1020220027721 A KR 1020220027721A KR 20220027721 A KR20220027721 A KR 20220027721A KR 102717954 B1 KR102717954 B1 KR 102717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eat
cam
striker
loc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0471A (ko
Inventor
문상인
강훈효
양윤식
차승민
이하늘
Original Assignee
(주)알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가 filed Critical (주)알가
Priority to KR102022002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7954B1/ko
Publication of KR20230130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79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2Attachment of seat frame to the slide, e.g. eye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를 시트레일의 스트라이커에 유격없이 탈거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를 장착시킬 때, 시트쿠션의 저부에 구비된 래치 장치가 시트레일의 스트라이커에 유격없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래치의 구성들 간에 서로 부딪침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라이커의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용 시트를 장착시킬 때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스트라이커가 래치에 한 번에 진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 장착을 위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LATCH DEVICE FO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시트를 시트레일의 스트라이커에 유격없이 탈거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용 시트에는 승객의 신체 체형 및 상황에 맞는 시트 포지션 변경이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시트 포지션 조절용 메커니즘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2열 및 3열 시트를 갖는 SUV 차량,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일종인 목적기반 모빌리티 차량(PBV: Purpose Built Vehicle) 등은 오토 캠핑 공간, 거주 및 휴식 공간, 이동형 창고, 물류 배송 공간, 이동형 병원, 푸드트럭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그 목적에 부합되도록 자유롭게 탈거시킬 수 있는 시트가 적용되고 있다.
물론, 상기 시트를 장착시킬 때에는 래치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플로어 패널 또는 시트레일 등에 형성된 스트라이커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여기서, 종래의 시트용 래치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래치 장치로서 시트의 탈거 상태에서 잠금 해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래치 장치로서 시트의 장착 상태에서 잠금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10)의 저부에는 서포트 브라켓(20)이 장착되고, 이 서포트 브라켓(20)의 앞쪽에는 후크(30)가 고정 장착되며, 서포트 브라켓(20)의 뒤쪽에는 래치(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래치(40)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그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록커(42)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그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커(42)는 하부에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잠금홈(42-1)이 형성되고, 상면부에는 잠금해제용 걸림면(42-2)이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ㄴ" 형상으로 단차진 잠금용 접촉면(42-3)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캠(44)은 상부에 서포트 브라켓(20)의 슬롯(2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44-1)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록커(42)의 잠금해제용 걸림면(42-2) 또는 잠금용 접촉면(42-3)에 접촉하는 돌출부(44-2)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록커(42)에는 하방향 회전(도 1 및 도 2 기준으로 시계방향인 잠금해제 방향)을 위한 리턴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고, 상기 캠(44)에는 록커(42)를 구속시키기 위한 방향으로의 회전(도 1 및 도 2 기준으로 시계반대 방향)을 위한 리턴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된다.
또한, 상기 캠(44)의 상부에는 잠금해제를 위한 케이블(44-3)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시트레일 중 슬라이딩 레일(50)의 앞쪽과 뒤쪽 위치에 각각 한 쌍의 스트라이커(61,62)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트가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록커(42)는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금홈(42-1)이 하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배열되고, 상기 캠(44)의 돌출부(44-2)가 록커(42)의 잠금해제용 걸림면(42-2)에 밀착되어 록커(42)의 상방향(잠금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가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를 플로어패널의 착좌자리 영역에 안착시킬 때,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의 앞쪽에 형성된 후크(30)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50)의 앞쪽에 장착된 스트라이커(61)를 걸어지게 삽입시킨다.
이어서, 시트쿠션(10)의 뒤쪽 부분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레일(50)의 뒤쪽에 장착된 스트라이커(62)가 상기 록커(42)의 잠금홈(42-1)으로 유입되면서 록커(42)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어, 록커(42)가 상방향(도 1 및 도 2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인 잠금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록커(42)가 상방향(잠금방향)으로 회전할 때, 록커(42)의 잠금해제용 걸림면(42-2)이 상기 캠(44)의 돌출부(44-2)를 밀어올려서 캠(44)이 후방향(도 1 및 도 2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캠(44)의 가이드핀(44-1)이 서포트 브라켓(20)의 슬롯(22)의 뒤쪽끝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캠(44)이 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44-2)가 상기 록커(42)의 상방향 회전 궤적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록커(42)의 상방향(잠금방향)회전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시트쿠션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는 힘에 의하여 상기 록커(42)의 잠금홈(42-1)으로 유입되는 상기 스트라이커(62)가 록커(42)를 더 위로 밀어올리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커(42)가 상방향(잠금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잠금 위치까지 완전하게 회전됨으로써, 스트라이커(62)가 잠금홈(42-1)에 완전히 삽입되어 구속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록커(42)의 잠금용 접촉면(42-3)에 상기 캠(44)의 돌출부(44-2)가 밀착됨으로써, 상기 록커(42)의 하방향(잠금해제 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래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시트 장착을 위하여 록커(42)가 잠금 위치로 완전히 회전된 후, 록커(42)의 잠금용 접촉면(42-3)과 캠(44)의 돌출부(44-2)가 밀착되는 바, 그 밀착 경계부에 유격이 발생됨으로써, 주행 진동 및 승객 하중 등에 의하여 록커(42)의 잠금용 접촉면(42-3)과 캠(44)의 돌출부(44-2)가 서로 부딪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록커(42)가 잠금 위치까지 완전하게 회전되어, 스트라이커(62)가 잠금홈(42-1)에 삽입 구속되더라도, 잠금홈(42-1)의 후부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스트라이커의 이탈 가능성이 있다.
셋째, 시트 장착시 록커(42)의 잠금홈(42-1)과 스트라이커(62)를 정확하게 상하로 일치시키지 않는 한, 도 1에 체결 불가능 범위로 지시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62)가 록커(42)의 잠금홈(42-1)으로 정확하게 진입되지 못할 수 있고, 결국 록커(42)의 잠금홈(42-1)에 대한 스트라이커(62)의 진입 범위가 협소하여 여러 번 시도를 통하여 록커(42)의 잠금홈(42-1)과 스트라이커(62)를 상하로 일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69937호(2011.09.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용 시트를 장착시킬 때, 시트쿠션의 저부에 구비된 래치 장치가 시트레일의 스트라이커에 유격없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래치의 구성들 간에 서로 부딪침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라이커의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를 장착시킬 때 래치와 스트라이커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스트라이커가 래치에 한 번에 진입되어 록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 장착을 위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 저부에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 시트레일 중 슬라이딩 레일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서 그 전면부에 소정 길이의 록킹단이 돌출 형성된 록커; 및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서 그 후면부에 상기 스트라이커 및 록킹단이 함께 구속되게 삽입되는 잠금홈이 형성된 잠금캠;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단의 저면은 위로 오목한 제1곡선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홈의 바닥면은 아래로 오목한 제2곡선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시트 장착을 위하여 시트쿠션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록커의 록킹단을 위로 밀어올리는 작동과, 상기 잠금캠이 록킹단에 의하여 위로 밀려올라가는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스트라이커와 록킹단이 함께 상기 잠금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록킹단의 저면과 상기 잠금홈의 바닥면 사이에 압착되며 구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록커와 잠금캠 사이 위치에는 록커와 잠금캠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T"자형 보상캠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보상캠에는 서포트 브라켓에 장착된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상하방향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 저부에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 시트레일 중 슬라이딩 레일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서 그 전면부에는 소정 길이의 록킹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록킹단의 바로 아래에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구속 삽입되도록 한 잠금홈이 형성된 록커;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우측단에는 잠금해제용 케이블이 연결되며, 좌측단 상하 위치에는 각각 안착홈과 가압턱이 형성된 작동캠;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록커의 저부를 받쳐주며 위치고정시키는 제1잠금턱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작동캠의 가압턱에 의하여 밀리거나 안착홈에 삽입되는 제2잠금턱이 형성된 잠금캠;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록커의 회전축에는 록커에 잠금해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이 체결되고, 상기 작동캠의 회전축에는 작동캠에 잠금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이 체결되며, 상기 잠금캠의 회전축에는 잠금캠에 잠금해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스프링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록커의 상단부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캠에 우측단부에는 상기 걸림단을 구속하여 록커가 잠금위치에서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구속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록커와 잠금캠에 의하여 스트라이커를 구속될 때, 스트라이커와 록커가 유격없이 밀착되고, 스트라이커와 잠금캠 간이 유격없이 밀착되며, 그리고 록커와 잠금캠 간이 유격없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각 부품 간의 유격을 없앨 수 있고, 종래에 각 부품들끼리 부딪치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시트 장착시 스트라이커가 록커와 잠금캠 사이에서 조여지며 구속되거나, 록커와 잠금캠 사이에 갖힌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라이커의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셋째, 시트 장착시 스트라이커가 록커와 잠금캠 사이의 잠금경로로 쉽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 래치 장치가 스트라이커에 한 번의 시도로 쉽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래치 장치로서 시트의 탈거 상태에서 잠금 해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래치 장치로서 시트의 장착 상태에서 잠금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로서, 도 3은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5는 잠금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로서, 도 6은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8은 잠금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로서, 도 3은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5는 잠금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10)의 저부에는 서포트 브라켓(20)이 장착되고, 이 서포트 브라켓(20)의 앞쪽에는 후크(30)가 고정 장착된다.
또한,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시트레일 중 슬라이딩 레일(50)의 앞쪽과 뒤쪽 위치에 각각 한 쌍의 스트라이커(61,62)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래치(100)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의 뒤쪽에 장착된다.
상기 래치(100)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록커(110) 및 잠금캠(120), 그리고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는 보상캠(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커(110)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서 그 전면부에 소정 길이의 록킹단(112)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잠금캠(120)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서 그 후면부에 상기 스트라이커(62) 및 록킹단(112)이 함께 구속되게 삽입되는 잠금홈(12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록킹단(112)의 저면에는 위로 오목한 제1곡선면(113)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홈(122)의 바닥면에는 아래로 오목한 제2곡선면(123)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캠(120)의 전면부에서 그 하단 위치에는 잠금해제용 케이블이 당김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상캠(120)은 록커(110)와 잠금캠(120)의 상단부에 거치되며 밀착되도록 "T"자형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록커(110)와 잠금캠(120) 사이 위치에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보상캠(13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다한 슬롯(132)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는 슬롯(132)에 삽입되는 가이드핀(24)이 장착되어, 보상캠(130)이 슬롯(132) 궤적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보상캠(130)의 최대 상승시 가이드핀(24)이 슬롯(132)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반면 상기 보상캠(130)의 최대 하강시 가이드핀(24)이 슬롯(132)의 가장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래치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시트가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록커(110)는 리턴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록킹단(112)이 하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배열되고, 상기 잠금캠(120)도 리턴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금홈(122)이 하향 경사지게 배열되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보상캠(130)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최대 이동되어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의 가이드핀(24)이 보상캠(130)의 슬롯(132)의 가장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시트를 플로어패널의 착좌자리 영역에 안착시킬 때, 즉 슬라이딩 레일(50)의 스트라이커(61,62)에 장착시킬 때, 먼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의 앞쪽에 형성된 후크(30)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50)의 앞쪽에 장착된 스트라이커(61)를 걸어지게 삽입시킨다.
이어서, 시트쿠션(10)의 뒤쪽 부분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레일(50)의 뒤쪽에 장착된 스트라이커(62)가 상기 록커(110)의 록킹단(112)을 위로 밀어올리는 작동과, 상기 잠금캠(120)이 록킹단(112)에 의하여 위로 밀려올라가는 동작이 이루어질 때,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스트라이커(62)와 록킹단(112)이 함께 상기 잠금홈(122) 내에 삽입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50)의 뒤쪽에 장착된 스트라이커(62)가 상기 록커(110)의 록킹단(112)을 위로 밀어올릴 때 상기 록커(110)가 도 3 내지 도 5의 방위 기준으로 후방(잠금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잠금캠(120)이 록킹단(112)에 의하여 위로 밀려올라가는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잠금캠(120)이 도 3 내지 도 5의 방위 기준으로 전방(잠금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트라이커(62)와 록킹단(112)이 함께 상기 잠금홈(12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계속해서, 시트쿠션(10)의 뒤쪽 부분을 하방향으로 가압시켜 최대 이동시키면, 상기 스트라이커(62)가 상기 록킹단(112)의 제1곡선면(113)과 상기 잠금홈(122)의 제2곡선면(123) 사이에 압착되며 구속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록커(110)와 잠금캠(120)이 각각 잠금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보상캠(130)을 위로 밀어올리게 되는 바, 보상캠(130)의 최대 상승시 서포트 브라켓(20)의 가이드핀(24)이 보상캠(130)의 슬롯(132)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록커(110)와 잠금캠(120)이 각각 잠금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스트라이커(62)와 록킹단(112)이 함께 상기 잠금홈(122) 내에 삽입된 후, 상기 스트라이커(62)가 상기 록킹단(112)의 제1곡선면(113)과 상기 잠금홈(122)의 제2곡선면(123) 사이에서 조여지며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래치의 잠금 작동이 완료되어 시트가 견고하게 고정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록커(110)와 잠금캠(120)에 의하여 스트라이커(62)가 구속될 때, 록킹단(112)의 제1곡선면(113)과 잠금홈(122)의 제2곡선면(123) 사이에서 조여지며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스트라이커(62)와 록커(110)가 유격없이 밀착되고, 스트라이커(62)와 잠금캠(120) 간이 유격없이 밀착되며, 그리고 록커(110)와 잠금캠(120) 간이 유격없이 밀착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각 부품들끼리 유격으로 인하여 부딪치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장착시 스트라이커(62)가 록커(110)와 잠금캠(120) 사이에서 조여지며 구속됨으로써, 스트라이커의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고, 스트라이커(62)가 록커(110)와 잠금캠(120) 사이의 잠금경로로 쉽게 진입될 수 있으므로 시트 래치 장치가 스트라이커에 한 번의 시도로 쉽게 체결될 수 있다.
첨부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로서, 도 6은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8은 잠금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10)의 저부에는 서포트 브라켓(20)이 장착되고, 이 서포트 브라켓(20)의 앞쪽에는 후크(30)가 고정 장착된다.
또한,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시트레일 중 슬라이딩 레일(50)의 앞쪽과 뒤쪽 위치에 각각 한 쌍의 스트라이커(61,62)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래치(200)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의 뒤쪽에 장착된다.
상기 래치(200)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록커(210), 잠금캠(220) 및 작동캠(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커(210)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서 그 전면부에는 소정 길이의 록킹단(21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록킹단(212)의 바로 아래에는 상기 스트라이커(62)가 구속 삽입되도록 한 잠금홈(21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잠금캠(220)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록커(210)의 저부를 받쳐주며 위치고정시키는 제1잠금턱(222)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작동캠(230)의 가압턱에 의하여 밀리거나 안착홈(232)에 삽입되는 제2잠금턱(22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작동캠(230)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우측단에는 잠금해제용 케이블(239)이 연결되며, 좌측단 상하 위치에는 각각 안착홈(232)과 가압턱(23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록커(210)의 상단부에는 걸림단(218)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캠(230)에 우측단부에는 상기 걸림단(218)을 구속하여 록커(210)가 잠금위치에서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구속단(23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록커(210)의 회전축에는 록커(210)에 잠금해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216)이 체결되고, 상기 작동캠(230)의 회전축에는 작동캠(230)에 잠금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236)이 체결되며, 상기 잠금캠(220)의 회전축에는 잠금캠(220)에 잠금해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스프링(226)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래치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트가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록커(210)는 제1스프링(2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하방향(도 6 방위 기준으로 잠금해제방향인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록킹단(212)이 하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배열되고, 잠금홈(214)도 하향 경사지게 배열되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잠금캠(220)은 제3스프링(2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하방향(도 6 방위 기준으로 잠금해제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작동캠(230)이 잠금해제용 케이블(239)에 의하여 당겨짐에 따라 작동캠(23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잠금캠(22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동캠(230)의 안착홈(232)에 상기 잠금캠(220)의 제2잠금턱(224)이 삽입 고정된 상태가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시트를 플로어패널의 착좌자리 영역에 안착시킬 때, 즉 슬라이딩 레일(50)의 스트라이커(61,62)에 장착시킬 때, 먼저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의 앞쪽에 형성된 후크(30)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50)의 앞쪽에 장착된 스트라이커(61)를 걸어지게 삽입시킨다.
이어서, 시트쿠션(10)의 뒤쪽 부분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레일(50)의 뒤쪽에 장착된 스트라이커(62)가 상기 록커(210)의 록킹단(212)을 위로 밀어올리는 작동이 이루지게 되어, 록커(210)의 잠금방향(도 7 및 도 8의 방위 기준으로 시계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록커(210)의 잠금방향 회전시 스트라이커(62)가 록커(210)의 잠금홈(214)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용 케이블(239)을 당기는 당김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작동캠(230)이 제2스프링(2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잠금방향(도 7 및 도 8의 방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잠금캠(220)이 작동캠(230)의 가압턱(234)에 의하여 밀리면서 잠금방향(도 7 및 도 8의 방위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잠금캠(220)의 제1잠금턱(222)이 상기 록커(210)의 록킹단(212) 저면을 받쳐주며 락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록커(2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단(218)이 상기 작동캠(230)의 회전구속단(238)에 걸려서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록커(210)와 잠금캠(220)이 모두 잠금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스트라이커(62)가 록커(210)의 잠금홈(214)에 갇히는 상태가 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래치의 잠금 작동이 완료되어 시트가 견고하게 고정 장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록커(210)와 잠금캠(220)에 의하여 스트라이커(62)가 구속될 때, 록커(210)의 잠금홈(214) 내에 삽입되어 록커(210)과 잠금캠(22) 사이에 갇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스트라이커(62)와 록커(210)가 유격없이 밀착되고, 스트라이커(62)와 잠금캠(220) 간의 접촉이 방지되며, 록커(210)의 저부가 잠금캠(220)에 의하여 락킹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각 부품들끼리 유격으로 인하여 부딪치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장착시 스트라이커(62)가 록커(210)의 잠금홈(214) 내에 삽입되어 록커(210)과 잠금캠(22) 사이에 갇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스트라이커의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고, 스트라이커(62)가 록커(110)와 잠금캠(120) 사이의 잠금경로로 쉽게 진입될 수 있으므로 시트 래치 장치가 스트라이커에 한 번의 시도로 쉽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서포트 브라켓(20)에는 금속표면의 내마모성, 내오염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포층의 도포재료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다이옥사이드 20중량%, 모노에탄올아민 17중량%, 하프늄 13중량%, 유기산마그네슘 15중량%, 산화티타늄(TiO2) 8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9중량%, 논플루오로케미칼액티브 18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디시클로펜타디엔 다이옥사이드, 모노에탄올아민은 부식 방지 및 내오염성,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하고, 하프늄은 내마모성,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기산마그네슘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내알칼리성과 습동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논플루오로케미칼액티브는 계면활성 역할을 하며,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내마모성, 내오염성 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스트라이커(62)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4A제올라이트 및 에틸셀루솔브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4A제올라이트 및 에틸셀루솔브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4A제올라이트 및 에틸셀루솔브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스트라이커(62)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4A제올라이트 및 에틸셀루솔브는 전체 조성물 수용액 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스트라이커(62)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방지도포용 조성물을 스트라이커(62)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트라이커(62)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800 ~ 24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8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4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4A제올라이트 0.1 몰 및 에틸셀루솔브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도포막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오염방지 도포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트쿠션(10)에는 살균기능 및 작업자의 스트레스 완화 등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환경용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방향제 물질과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금목서오일(Osmanthus oil) 50중량%, 갈랑갈오일(Galangal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금목서오일(Osmanthus oil) 은 심리적으로 마음을 정화하고 두통, 우울증 등에 작용효과가 있으며, 갈랑갈오일(Galangal oil)은 살균, 방충, 스트레스 완화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시트쿠션(10)에 코팅됨에 따라, 시트쿠션(10)을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 등을 경감시키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환경용 방향제 물질 및 기능성 오일에 대해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10 : 시트쿠션 20 : 서포트 브라켓
22 : 슬롯 24 : 가이드핀
30 : 후크 40 : 래치
42 : 록커 42-1 : 잠금홈
42-2 : 걸림면 42-3 : 접촉면
44 : 캠 44-1 : 가이드 핀
44-2 : 돌출부 44-3 : 케이블
50 : 슬라이딩 레일 61,62 : 스트라이커
100 : 래치 110 : 록커
112 : 록킹단 113 : 제1곡선면
120 : 잠금캠 122 : 잠금홈
123 : 제2곡선면 130 : 보상캠
132 : 슬롯
200 : 래치 210 : 록커
212 : 록킹단 214 : 잠금홈
216 : 제1스프링 218 : 걸림단
220 : 잠금캠 222 : 제1잠금턱
224 : 제2잠금턱 226 : 제3스프링
230 : 작동캠 232 : 안착홈
234 : 가압턱 236 : 제2스프링
238 : 회전구속단 239 : 케이블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10) 저부에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20);
    시트레일 중 슬라이딩 레일(50)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62);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서 그 전면부에는 소정 길이의 록킹단(21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록킹단(212)의 바로 아래에는 상기 스트라이커(62)가 구속 삽입되도록 한 잠금홈(214)이 형성된 록커(210);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중간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우측단에는 잠금해제용 케이블(239)이 연결되며, 좌측단 상하 위치에는 각각 안착홈(232)과 가압턱(234)이 형성된 작동캠(230); 및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에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록커(210)의 저부를 받쳐주며 위치고정시키는 제1잠금턱(222)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작동캠(230)의 가압턱에 의하여 밀리거나 안착홈(232)에 삽입되는 제2잠금턱(224)이 형성된 잠금캠(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커(210)의 회전축에는 록커(210)에 잠금해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216)이 체결되고, 상기 작동캠(230)의 회전축에는 작동캠(230)에 잠금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236)이 체결되며, 상기 잠금캠(220)의 회전축에는 잠금캠(220)에 잠금해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스프링(226)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록커(210)의 상단부에는 걸림단(218)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캠(230)에 우측단부에는 상기 걸림단(218)을 구속하여 록커(210)가 잠금위치에서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구속단(2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
KR1020220027721A 2022-03-03 2022-03-03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 Active KR102717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721A KR102717954B1 (ko) 2022-03-03 2022-03-03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721A KR102717954B1 (ko) 2022-03-03 2022-03-03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471A KR20230130471A (ko) 2023-09-12
KR102717954B1 true KR102717954B1 (ko) 2024-10-16

Family

ID=8801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721A Active KR102717954B1 (ko) 2022-03-03 2022-03-03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79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8465A (ja) 1999-12-06 2003-06-10 フィッシャー ダイナミ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ガタのないラッチアッセンブリ
JP2005096530A (ja) 2003-09-22 2005-04-14 Toyota Boshoku Corp 車両シート用ロック装置
JP2010065476A (ja) 2008-09-11 2010-03-2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ラ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702Y2 (ja) * 1992-04-17 1997-12-0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KR100450297B1 (ko) * 2002-04-16 2004-09-30 동양기전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쿠션래치
KR101069937B1 (ko) 2008-07-30 2011-10-05 대일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접철식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8465A (ja) 1999-12-06 2003-06-10 フィッシャー ダイナミ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ガタのないラッチアッセンブリ
JP2005096530A (ja) 2003-09-22 2005-04-14 Toyota Boshoku Corp 車両シート用ロック装置
JP2010065476A (ja) 2008-09-11 2010-03-2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車両用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471A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552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JP3256677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ド機構
US6695362B2 (en) Rotary-latch lock
KR100899073B1 (ko) 시트 벨트 높이 조절기
JP4947123B2 (ja) 車両用スライド装置
EP1086285B1 (en) Locking device and bonnet lock for a vehicle comprising such a locking device
US20170114574A1 (en) Activ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KR20140007383A (ko) 차량 도어 록킹 장치
KR102717954B1 (ko) 자동차용 시트 래치 장치
KR20140007905A (ko) 안전 벨트 시스템의 고정 피팅을 위한 높이 조절기
CN109070771B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KR100320837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US7195311B2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seats
JP2005016299A (ja) 第1の要素を第2の要素にロッ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シート
US11130425B2 (en) Actuation mechanism for a longitudinal adjuster, longitudinal adjuster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20030001062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a seat surface part of a vehicle seat
KR101283388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트랙 로크구조
KR102430415B1 (ko) 자동차용 로크
JPH1029501A (ja) 自動車安全ベルト装置用ベルト高さ調節器
US20200291691A1 (en) Motor vehicle lock
KR100405466B1 (ko) 차량용 폴딩시트의 록킹장치
KR100462484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김 방지장치
US20250196729A1 (en) Longitudinal seat-adjustment device and vehicle seat
US20250196728A1 (en) Longitudinal seat-adjustment device and vehicle seat
JP2589783Y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S20-X000 Security interest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20-lic-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