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7001B1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Google Patents
Swash plate type compr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7001B1 KR102717001B1 KR1020190009853A KR20190009853A KR102717001B1 KR 102717001 B1 KR102717001 B1 KR 102717001B1 KR 1020190009853 A KR1020190009853 A KR 1020190009853A KR 20190009853 A KR20190009853 A KR 20190009853A KR 102717001 B1 KR102717001 B1 KR 102717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swash plate
- orifice hole
- path
- dischar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351 cyc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어, 흡입실, 토출실 및 크랭크실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 상기 사판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보어와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크랭크실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로 안내하는 제1 배출유로; 및 상기 제1 배출유로로부터 분기되거나 상기 제1 배출유로를 우회하여 상기 크랭크실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로 안내하는 제2 배출유로;를 포함함으로써, 초기 작동 시 액냉매에 의한 작동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ash plate compresso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bore, a suction chamber, a discharge chamber, and a crank chamber; a rotary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a swash plate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a piston that is coupled with the swash plate and reciprocates within the bore and forms a compression chamber together with the bore; a first discharge path that guides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nd a second discharge path that branches off from the first discharge path or bypasses the first discharge path and guides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thereby improving operation delay due to liquid refrigerant during initial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판이 구비되는 크랭크실의 압력을 조절하여 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ash plate compress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wash plate compressor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of a swash plat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pressure in a crank case in which a swash plate is provided.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각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 왕복 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 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In general, compressors that play a role in compressing refrigerant in vehicle cooling system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ese compressors include reciprocating compressors that compress the refrigerant while making reciprocating movements, and rotary compressors that compress the refrigerant while making rotary movements.
그리고,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And, in the reciprocating type, there are the crank type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multiple pistons using a crank, the swash plate type that transmits it to a rotating shaft with a swash plate installed, and the wobble plate type that uses a wobble plate, and in the rotary type, there are the vane rotary type that uses a rotating rotary shaft and vanes, and the scroll type that uses an orbiting scroll and a fixed scroll.
여기서, 사판식 압축기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으로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로서, 최근에는 압축기의 성능 및 효율 향상을 위해 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조절함으로써 냉매 토출량을 조절하는 소위 가변 용량 방식으로 형성되고 있다. Here, the swash plate compressor is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refrigerant by reciprocating a piston with a swash plate that rotates together with a rotating shaft.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it is being formed as a so-called variable capacity type that controls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by controlling the stroke of the piston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도 1은 가변 용량 방식의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compressor.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는, 보어(116), 흡입실(S1), 토출실(S3) 및 크랭크실(S4)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00), 상기 회전축(200)에 연동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사판(300), 상기 사판(300)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116)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보어(116)와 함께 압축실(S2)을 형성하는 피스톤(400), 상기 흡입실(S1)과 상기 토출실(S3)을 상기 압축실(S2)과 연통 및 차폐시키는 밸브기구(500) 및 상기 회전축(200)에 대한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사판(3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사판(300)의 회전축(200)과 사판(300)의 법선 사이 각도)을 조절하는 경사조절기구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attached
상기 경사조절기구는, 상기 토출실(S3)의 냉매를 상기 크랭크실(S4)로 안내하는 유입유로(미도시) 및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S1)로 안내하는 배출유로(800)를 포함한다. The above-mentioned slope control mechanism includes an inlet path (not shown) that guides the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chamber (S3) to the crank chamber (S4) and an exhaust path (800) that guides the refrigerant of the crank chamber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상기 유입유로(미도시)에는 상기 토출실(S3)로부터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미도시)가 형성된다. A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above inflow path (not shown) to regulate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above inflow path (not shown) from the above discharge chamber (S3).
상기 배출유로(800)에는 상기 배출유로(800)를 통과하는 유체를 감압시키는 오리피스 홀(810)이 형성된다. An orifice hole (810) is formed in the above discharge path (800) to depressuriz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above discharge path (800).
이러한 구성에 따른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는, 구동원(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미도시)으로부터 상기 회전축(200)에 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회전축(200)과 상기 사판(300)이 함께 회전된다. In a conventional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a driving source (e.g., a vehicle engine) (not shown) to the rotating shaft (200), the rotating shaft (200) and the swash plate (300) rotate together.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사판(30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보어(116)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된다. And, the piston (400)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late (300) into linear motion and reciprocates inside the bore (116).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이동 시, 상기 압축실(S2)은 상기 밸브기구(500)에 의해 상기 흡입실(S1)과는 연통되고 상기 토출실(S3)과는 차폐되어, 상기 흡입실(S1)의 냉매가 상기 압축실(S2)로 흡입된다. And, when the piston (400) moves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the compression chamber (S2) is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chamber (S1) by the valve mechanism (500) and is shielded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so that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S1) is sucked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S2).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으로 이동 시, 상기 압축실(S2)은 상기 밸브기구(500)에 의해 상기 흡입실(S1) 및 상기 토출실(S3)과 차폐되고, 상기 압축실(S2)의 냉매가 압축된다. And, when the piston (400) moves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o the top dead center, the compression chamber (S2) is shielded from the suction chamber (S1) and the discharge chamber (S3) by the valve mechanism (500), and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chamber (S2) is compressed.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이 상사점에 도달 시, 상기 압축실(S2)은 상기 밸브기구(500)에 의해 상기 흡입실(S1)과는 차폐되고 상기 토출실(S3)과는 연통되어, 상기 압축실(S2)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토출실(S3)로 토출된다. And, when the piston (400) reaches the top dead center, the compression chamber (S2) is sealed from the suction chamber (S1) by the valve mechanism (500) and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chamber (S3), so that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chamber (S2)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hamber (S3).
여기서,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는, 요구되는 냉매 토출량에 따라, 상기 토출실(S3)로부터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상기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조절되고, 상기 피스톤(400)에 인가되는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조절되어, 상기 피스톤(400)의 스트로크가 조절되고,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조절되며, 냉매 토출량이 조절된다. Here, in a conventional swash plate type compressor,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flow path (not shown)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according to the required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is controll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there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and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applied to the piston (400) is controlled, thereby controlling the stroke of the piston (400), controlling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wash plate (300), and controlling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즉, 냉매 토출량이 감소 필요한 경우, 상기 토출실(S3)로부터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상기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증가되고,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S4)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증가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증가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가 상기 배출유로(800)를 통해 상기 흡입실(S1)로 토출되지만, 상기 크랭크실(S4)에서 상기 배출유로(800)를 통해 상기 흡입실(S1)로 토출되는 냉매량보다 상기 토출실(S3)에서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흡입실(S1)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많아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400)에 인가되는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피스톤(400)의 스트로크가 감소되고,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감소되며, 냉매 토출량이 감소된다. That is, when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needs to be reduced,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flow path (not shown)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is increas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and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Here, the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S4) is discharged into the suction chamber (S1) through the discharge path (800), but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uction chamber (S1)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refrigerant discharged into the suction chamber (S1) from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discharge path (800), there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Accordingly,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S4) applied to the piston (400) increases, the stroke of the piston (400) decreas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decreases,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decreases.
반면, 냉매 토출량이 증가 필요한 경우, 상기 토출실(S3)로부터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상기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S4)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감소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감소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실(S3)의 냉매가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S4)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토출실(S3)에서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S4)로 유입되는 냉매량보다 상기 크랭크실(S4)에서 상기 배출유로(800)를 통해 상기 흡입실(S1)로 토출되는 냉매량이 많아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400)에 인가되는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감소되어, 상기 피스톤(400)의 스트로크가 증가되고,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증가되며, 냉매 토출량이 증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needs to increase,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flow path (not shown)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is reduc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and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Here, even if the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chamber (S3) flows into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the amount of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discharge path (800) to the suction chamber (S1)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Accordingly,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S4) applied to the piston (400) is reduced, the stroke of the piston (400) is increas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is increased,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is increased.
여기서, 냉매 토출량의 조절 원리를 설명하면, 상기 피스톤(400)은 주로 상기 피스톤(400)에 작용되는 상기 압축실(S2)의 압력에서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을 차감한 차압에 의한 모멘트 차로 사판(300)의 경사각을 형성하는데,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작을수록,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증가되며, 상기 피스톤(400)의 스트로크가 증가되고, 냉매 토출량이 증가된다. 반면,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클수록,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감소되며, 상기 피스톤(400)의 스트로크가 감소되고, 냉매 토출량이 감소된다.Here,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will be explained. The piston (400) mainly form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by the moment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S4) from the pressure of the compression chamber (S2) applied to the piston (400). As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S4) decreas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increases, the stroke of the piston (400) increases,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increases. On the other hand, as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S4) increas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decreases, the stroke of the piston (400) decreases,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decreases.
한편,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가 상기 배출유로(800)를 통해 상기 흡입실(S1)로 유동될 때 상기 오리피스 홀(810)에 의해 흡입압 수준으로 감압되어, 상기 흡입실(S1)의 압력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Meanwhile, when the refrigerant in the crankcase (S4) flows into the suction chamber (S1) through the discharge path (800), it is reduced to the suction pressure level by the orifice hole (810), thereby preventing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S1) from increas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초기 작동 시 액냉매에 의해 작동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판식 압축기가 장기간 방치 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액냉매가 축적되는데, 액냉매는 비압축성이기 때문에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 생성을 저해하는 인자가 되며, 이는 초기 작동 시 작동지연을 초래한다. However, in these conventional swash plate type compressor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itial operation was delayed due to the liquid refrigerant. That is, when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s left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liquid refrigerant accumulates inside the housing (100), and since the liquid refrigerant is incompressible, it becomes a factor that inhibits the pressure generation in the crank chamber (S4), which causes the initial operation to be delayed.
따라서, 본 발명은, 초기 작동 시 액냉매에 의한 작동지연을 개선할 수 있는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ting delay caused by liquid refrigerant during initial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보어, 흡입실, 토출실 및 크랭크실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 상기 사판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보어와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크랭크실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로 안내하는 제1 배출유로; 및 상기 제1 배출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크랭크실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로 안내하는 제2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provides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bore, a suction chamber, a discharge chamber, and a crank chamber; a rotary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a swash plat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a piston reciprocating inside the bore while being linked to the swash plate and forming a compression chamber together with the bore; a first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branched from the first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상기 제1 배출유로는, 상기 크랭크실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상류부, 상기 흡입실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하류부 및 상기 제1 배출유로 상류부와 상기 제1 배출유로 하류부 사이에 위치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출유로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상류부 및 상기 흡입실과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하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xhaust path may include a first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crankcase, a first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and a chamb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and the first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and the second exhaust path may include a second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chamber, and a second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상기 제2 배출유로는 상기 제1 배출유로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있으며 상기 제1 배출유로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xhaust path may be formed radially outside the first exhaust path and on the gravity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exhaust path.
상기 제1 배출유로에는 상기 제1 배출유로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제1 오리피스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유로에는 상기 제2 배출유로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제2 오리피스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orifice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and a second orifice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ssage.
상기 제1 오리피스 홀은 상기 회전축과 동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리피스 홀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orifice hole may be formed coaxially with the rotational axis, and the second orifice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rifice ho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rotational axis.
상기 제2 오리피스 홀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orifice hole can be formed on the gravity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above first orifice hole.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어가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 상기 실린더 블록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실이 형성되는 프론트 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 블록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실과 상기 토출실이 형성되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에 상기 흡입실과 상기 토출실을 상기 압축실과 연통 및 차폐시키는 밸브기구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오리피스 홀과 상기 제2 오리피스 홀은 상기 밸브기구에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includes a cylinder block in which the bore is formed; a front hous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cylinder block and in which the crankcase is formed; and a rear housing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block and in which the suction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are formed; and a valve mechanism is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er block and the rear housing to communicate and shield the suction chamber and the discharge chamber with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first orifice hole and the second orifice hole can be formed in the valve mechanism.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기 리어 하우징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밸브기구를 지지하는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에는 상기 제2 오리피스 홀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rear housing includes a post that extends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housing and supports the valve mechanism, and a communication path that connects the second orifice hole and the suction chamber can be formed in the post.
상기 연통로는 상기 포스트의 선단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포스트의 선단면의 외주부까지 연장되는 슬롯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assage may be formed as a slot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os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ost.
상기 연통로는 상기 포스트의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까지 상기 포스트를 관통하는 경사진 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assage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hole penetrating the post from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os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상기 포스트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는 각 포스트마다 형성되며, 상기 제2 배출유로와 상기 제2 오리피스 홀은 각 연통로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post is formed at least once, the above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for each post, and the second discharge path and the above second orifice hole can be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communication path.
상기 제1 오리피스 홀의 유동 단면적은 1.54㎟ 이상 4.52㎟ 이하의 범위 내에 포함되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리피스 홀의 유동 단면적의 합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의 유동 단면적의125%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may be formed to be within a range of 1.54㎟ or more and 4.52㎟ or less, and the sum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s of the at least one second orifice hole may be formed to be 125% or less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그리고, 본 발명은, 보어, 흡입실, 토출실 및 크랭크실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 상기 사판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보어와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크랭크실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로 안내하는 제1 배출유로; 및 상기 제1 배출유로를 우회하여 상기 크랭크실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로 안내하는 제2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bore, a suction chamber, a discharge chamber, and a crank chamber; a rotary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a swash plat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a piston reciprocating inside the bore while being linked to the swash plate and forming a compression chamber together with the bore; a first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for guiding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by bypassing the first discharge passage.
상기 제2 배출유로는 상기 제1 배출유로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있으며 상기 제1 배출유로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xhaust path may be formed radially outside the first exhaust path and on the gravity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exhaust path.
상기 제1 배출유로는, 상기 크랭크실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상류부, 상기 흡입실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하류부 및 상기 제1 배출유로 상류부와 상기 제1 배출유로 하류부 사이에 위치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출유로는 상기 크랭크실과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상류부 및 상기 흡입실과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하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xhaust path may include an upstream portion of the first exhaust path communicating with the crank chamber, a downstream portion of the first exhaust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and a chamber positioned between the upstream portion of the first exhaust path and the downstream portion of the first exhaust path, and the second exhaust path may include an upstream portion of the second exhaust path communicating with the crank chamber and a downstream portion of the second exhaust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는, 보어, 흡입실, 토출실 및 크랭크실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 상기 사판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보어와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크랭크실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로 안내하는 제1 배출유로; 및 상기 제1 배출유로로부터 분기되거나 상기 제1 배출유로를 우회하여 상기 크랭크실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로 안내하는 제2 배출유로;를 포함함으로써, 초기 작동 시 액냉매에 의한 작동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A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bore, a suction chamber, a discharge chamber, and a crank chamber; a rotary shaf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a swash plate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a piston that is linked to the swash plate and reciprocates within the bore and forms a compression chamber together with the bore; a first discharge path that guides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and a second discharge path that branches off from the first discharge path or bypasses the first discharge path and guides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to the suction chamber; thereby improving an operating delay due to liquid refrigerant during initial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통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사판식 압축기의 작동지연 특성을 도시한 도표,
도 7은 도 2의 사판식 압축기의 제어 특성을 도시한 도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9의 B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연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wash plate compresso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munication path of Fig.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delay characteristics of the swash plate compressor of Figure 2.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swash plate compressor of Fig. 2.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9.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mmunication path of Figure 10.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4의 연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사판식 압축기의 작동지연 특성을 도시한 도표이며, 도 7은 도 2의 사판식 압축기의 제어 특성을 도시한 도표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ssage of FIG. 4,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 delay characteristics of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of FIG. 2,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of FIG. 2.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ttached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압축기구가 수용되는 실린더 블록(110),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론트 하우징(120) 및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cylinder block (110) in which the compression mechanism is accommodated, a front housing (12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block (110), and a rear housing (130) coupled to the rear of the cylinder block (110).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중심 측에는 후술할 회전축(200)이 삽입되는 축수공(112) 및 상기 축수공(112)과 연통되는 챔버(114)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외주부 측에는 후술할 피스톤(400)이 삽입되고 후술할 피스톤(400)과 함께 압축실(S2)을 이루는 보어(116)가 형성되며, 상기 축수공(112)과 상기 보어(116) 사이에는 후술할 유입유로(미도시), 후술할 제1 배출유로(800) 및 후술할 제2 배출유로(900)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central side of the cylinder block (110), an axle hole (112) into which a rotating shaf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a chamber (114) communicating with the axle hole (112) are formed, an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ylinder block (110), a piston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a bore (116) forming a compression chamber (S2) together with the piston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nd between the axle hole (112) and the bore (116), an inlet passage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a first discharge passage (8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econd discharge passage (9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상기 축수공(112)과 상기 챔버(114)는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실린더 블록(110)을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shaft hole (112) and the chamber (114) can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penetrating the cylinder block (110)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block (110).
상기 보어(116)는 상기 축수공(112)으로부터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부위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실린더 블록(110)을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bore (116)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penetrating the cylinder block (110)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block (110) at a portion spaced radially outward from the shaft hole (112) of the cylinder block (110).
그리고, 상기 보어(116)는 상기 압축실(S2)이 n개가 되도록 n개로 형성되고, 상기 n개의 보어(116)는 상기 축수공(112)을 중심으로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And, the bores (116) are formed in n numbers so that the number of compression chambers (S2) is n, and the n bores (116) can b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block (110) with the shaft hole (112) as the center.
상기 프론트 하우징(120)은 전방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110)에 체결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110)과 함께 크랭크실(S4)을 형성할 수 있다.The above front housing (120) can be connected to the cylinder block (110) from the front to form a crankcase (S4) together with the cylinder block (110).
상기 크랭크실(S4)에는 후술할 사판(300)이 수용될 수 있다. The crankcase (S4) above can accommodate a swash plate (3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리어 하우징(130)은 상기 실린더 블록(110)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하우징(120)의 반대측에서 상기 실린더 블록(11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above rear housing (130) can be fastened to the cylinder block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housing (120)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block (110).
그리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은, 상기 압축실(S2)로 유입될 냉매가 수용되는 흡입실(S1) 및 상기 압축실(S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수용되는 토출실(S3)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housing (130) may include a suction chamber (S1) that receives refrigerant to be introduced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S2) and a discharge chamber (S3) that receive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S2).
상기 흡입실(S1)은 압축될 냉매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안내하는 냉매 흡입관(미도시)에 연통될 수 있다. The above suction chamber (S1) can be connected to a refrigerant suction pipe (not shown) that guides the refrigerant to be compress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상기 토출실(S3)은 압축된 냉매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안내하는 냉매 토출관(미도시)에 연통될 수 있다. The above discharge chamber (S3) can be connected to a refrigerant discharge pipe (not shown) that guid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그리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은,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후술할 밸브기구(500)를 지지하는 포스트(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housing (130) may further include a post (132) that extend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housing (130) and supports a valve mechanism (500)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rear housing (130).
상기 포스트(132)는 구조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을 위해 후술할 제2 오리피스 홀(910)과 상기 흡입실(S1)을 연통시키는 연통로(9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ost (13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ath (920) that connects the second orifice hole (910) described later and the suction chamber (S1)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reduce cost.
상기 압축기구는 상기 흡입실(S1)으로부터 상기 압축실(S2)로 냉매를 흡입하고, 흡입한 냉매를 상기 압축실(S2)에서 압축하며, 압축한 냉매를 상기 압축실(S2)로부터 상기 토출실(S3)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mpression mechanism can be formed to suck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chamber (S1)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S2), compress the sucked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chamber (S2), and discharge the compressed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S2) into the discharge chamber (S3).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기구는,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원(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미도시)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200), 상기 회전축(200)에 연동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사판(300), 상기 사판(300)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116)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피스톤(400)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mpression mechanism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200)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100) and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a driving source (e.g., an engine of a vehicle) (not shown), a swash plate (300) that is linked to the rotating shaft (200) and rotates inside the crank chamber (S4), and a piston (400) that is linked to the swash plate (300) and reciprocates inside the bore (116).
상기 회전축(2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rotation axis (200) can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그리고, 상기 회전축(200)은 일단부가 상기 축수공(11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론트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And, the rotation shaft (200)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112) and is rotatably supported,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front housing (120)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not shown).
상기 사판(30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실(S4)에서 상기 회전축(200)에 경사지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판(300)은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가변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200)과 체결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above-mentioned swash plate (30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can be attached to the rotation shaft (200) at an angle in the crank chamber (S4). Here, the swash plate (300) is attached to the rotation shaft (200)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can be chang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보어(116)에 삽입되는 일단부 및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보어(116)의 반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크랭크실(S4)에서 상기 사판(300)에 연결되는 타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iston (400) may include one end inserted into the bore (116) and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the one en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ore (116) and connected to the swash plate (300) in the crankcase (S4).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보어(116)에 대응되게 n개로 구비될 수 있다. And, the piston (400) may be provided in n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bore (116).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상기 흡입실(S1) 및 상기 토출실(S3)을 상기 압축실(S2)과 연통 및 차폐시키는 밸브기구(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기구(500)에는 후술할 제1 오리피스 홀(810) 및 후술할 제2 오리피스 홀(910)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valve mechanism (500) that communicates and shields the suction chamber (S1) and the discharge chamber (S3) with the compression chamber (S2), and a first orifice hole (81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econd orifice hole (91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in the valve mechanism (500).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상기 회전축(200)에 대한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조절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200).
상기 경사조절기구는, 상기 사판(300)이 상기 회전축(200)에 체결되되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가변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회전축(200)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200)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600) 및 상기 사판(300)과 상기 로터(600)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핀(7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may include a rotor (600) tha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xis (20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al axis (200) so that the swash plate (30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xis (200) in a variable inclination angle, and a sliding pin (700) that connects the swash plate (300) and the rotor (600).
그리고, 상기 경사조절기구는,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토출실(S3)의 냉매를 상기 크랭크실(S4)로 안내하는 유입유로(미도시),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S1)로 안내하는 제1 배출유로(800) 및 상기 제1 배출유로(800)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S1)로 안내하는 제2 배출유로(900)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may include an inlet path (not shown) that guides the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chamber (S3) to the crank chamber (S4)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a first discharge path (800) that guides the refrigerant of the crank chamber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and a second discharge path (900) that branches off from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and guides the refrigerant of the crank chamber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는 상기 밸브기구(500) 및 상기 실린더 블록(110)을 관통하여 상기 토출실(S3)로부터 상기 크랭크실(S4)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inflow path (not shown)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to the crank chamber (S4) by penetrating the valve mechanism (500) and the cylinder block (110).
그리고, 상기 유입유로(미도시)에는 상기 유입유로(미도시)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inflow path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inflow path (not shown).
상기 압력조절밸브(미도시)는 소위 기계식 밸브(MCV) 또는 전자식 밸브(ECV)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can be formed as a so-called mechanical valve (MCV) or electronic valve (ECV).
상기 제1 배출유로(800)는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챔버(114)를 경유하며 상기 밸브기구(50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크랭크실(S4)로부터 상기 흡입실(S1)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배출유로(800)는, 상기 크랭크실(S4)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상류부(800a), 상기 흡입실(S1)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하류부(800b) 및 상기 제1 배출유로 상류부(800a)와 상기 제1 배출유로 하류부(800b) 사이에 위치되는 챔버(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xhaust path (80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rankcase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by penetrating one side of the cylinder block (110), passing through the chamber (114), and penetrating one side of the valve mechanism (500). That is, the first exhaust path (800) may include a first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800a) communicating with the crankcase (S4), a first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800b)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S1), and a chamber (114)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800a) and the first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800b).
그리고, 상기 제1 배출유로(800)에는 상기 흡입실(S1)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배출유로(800)를 통과하는 냉매를 감압시키는 제1 오리피스 홀(810)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orifice hole (8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discharge passage (800)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ssage (800) to prevent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S1) from increasing.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은 상기 제1 배출유로 하류부(800b)에 형성되고, 특히 제조가 용이하도록 상기 밸브기구(50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orifice hole (810) is formed in the downstream portion (800b) of the first discharge path, and may be formed in the valve mechanism (500) particularly for ease of manufacturing.
그리고,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로부터 상기 흡입실(S1)로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n개의 압축실(S2)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상기 회전축(200)과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은 상기 밸브기구(500)의 중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first orifice hole (810) may be formed coaxially with the rotation shaft (200) so that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orifice hole (810) to the suction chamber (S1)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n compression chambers (S2). That is, the first orifice hole (810) may be formed on the center side of the valve mechanism (500).
상기 제2 배출유로(900)는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타측과 상기 밸브기구(500)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챔버(114)로부터 상기 흡입실(S1)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배출유로(900)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상류부(900a) 및 상기 흡입실(S1)과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하류부(90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exhaust path (90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hamber (114) to the suction chamber (S1) by penetrating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block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valve mechanism (500). That is, the second exhaust path (900) may include a second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900a) that communicates with the chamber and a second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900b) tha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S1).
그리고, 상기 제2 배출유로(900)에는 상기 흡입실(S1)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배출유로(900)를 통과하는 냉매를 감압시키는 제2 오리피스 홀(910)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orifice hole (91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to prevent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S1) from increasing.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은 상기 제2 배출유로 하류부(900b)에 형성되고, 특히 제조가 용이하도록 상기 밸브기구(50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orifice hole (910) is formed in the downstream portion (900b) of the second discharge path, and may be formed in the valve mechanism (500) particularly for ease of manufacturing.
그리고,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로부터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실(S4)의 하부에 축적된 액냉매가 상기 흡입실(S1)로 신속히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orifice hole (910)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rifice hole (810)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rotational shaft (200), and as described later, it may be preferable to form it on the gravity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orifice hole (810) so that the liquid refrigerant accumul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rank chamber (S4)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suction chamber (S1).
여기서, 상기 제2 배출유로(900)도 상기 크랭크실(S4)의 액냉매가 상기 흡입실(S1)로 신속히 배출되도록 상기 제1 배출유로(80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Here, it may be desirable for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to be formed on the gravity direc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so that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crankcase (S4)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suction chamber (S1).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즉, 상기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회전축(200)에 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회전축(200)과 상기 사판(30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at is,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source (not shown) to the rotation shaft (200), the rotation shaft (200) and the swash plate (300) can rotate together.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사판(30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보어(116)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될 수 있다.And, the piston (400) can reciprocate inside the bore (116)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late (300) into linear motion.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이동 시, 상기 압축실(S2)은 상기 밸브기구(500)에 의해 상기 흡입실(S1)과는 연통되고 상기 토출실(S3)과는 차폐되어, 상기 흡입실(S1)의 냉매가 상기 압축실(S2)로 흡입될 수 있다. And, when the piston (400) moves from the top dead center to the bottom dead center, the compression chamber (S2) is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chamber (S1) by the valve mechanism (500) and is shielded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so that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S1) can be sucked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S2).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으로 이동 시, 상기 압축실(S2)은 상기 밸브기구(500)에 의해 상기 흡입실(S1) 및 상기 토출실(S3)과 차폐되고, 상기 압축실(S2)의 냉매가 압축될 수 있다. And, when the piston (400) moves from the bottom dead center to the top dead center, the compression chamber (S2) is shielded from the suction chamber (S1) and the discharge chamber (S3) by the valve mechanism (500), and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chamber (S2) can be compressed.
그리고, 상기 피스톤(400)이 상사점에 도달 시, 상기 압축실(S2)은 상기 밸브기구(500)에 의해 상기 흡입실(S1)과는 차폐되고 상기 토출실(S3)과는 연통되어, 상기 압축실(S2)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토출실(S3)로 토출될 수 있다. And, when the piston (400) reaches the top dead center, the compression chamber (S2) is shielded from the suction chamber (S1) by the valve mechanism (500) and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chamber (S3), so that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chamber (S2)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hamber (S3).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요구되는 냉매 토출량에 따라, 상기 토출실(S3)로부터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상기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조절되고, 상기 피스톤(400)에 인가되는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조절되어, 상기 피스톤(400)의 스트로크가 조절되고,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조절되며, 냉매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Here, in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flow path (not shown)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according to the required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is controll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so that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is controlled, and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applied to the piston (400) is controlled, so that the stroke of the piston (400) is controll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is controlled,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can be controlled.
즉, 냉매 토출량이 감소 필요한 경우, 상기 토출실(S3)로부터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상기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증가되고,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S4)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증가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가 상기 제1 배출유로(800)와 상기 제2 배출유로(900)를 통해 상기 흡입실(S1)로 토출되지만, 상기 크랭크실(S4)에서 상기 제1 배출유로(800)와 상기 제2 배출유로(900)를 통해 상기 흡입실(S1)로 토출되는 냉매량보다 상기 토출실(S3)에서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흡입실(S1)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많아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400)에 인가되는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피스톤(400)의 스트로크가 감소되고,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감소되며, 냉매 토출량이 감소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needs to be reduced,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flow path (not shown)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is increas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and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is increase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can increase. Here, the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S4) is discharged into the suction chamber (S1)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and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but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uction chamber (S1)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refrigerant discharged into the suction chamber (S1) from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and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so that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can increase. Accordingly,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S4) applied to the piston (400) increases, so that the stroke of the piston (400) is reduc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is reduced,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can be reduced.
반면, 냉매 토출량이 증가 필요한 경우, 상기 토출실(S3)로부터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상기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S4)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감소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실(S3)의 냉매가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S4)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토출실(S3)에서 상기 유입유로(미도시)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S4)로 유입되는 냉매량보다 상기 크랭크실(S4)에서 상기 제1 배출유로(800)와 상기 제2 배출유로(900)를 통해 상기 흡입실(S1)로 토출되는 냉매량이 많아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400)에 인가되는 상기 크랭크실(S4)의 압력이 감소되어, 상기 피스톤(400)의 스트로크가 증가되고, 상기 사판(300)의 경사각이 증가되며, 냉매 토출량이 증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needs to increase,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flow path (not shown)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is reduc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and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is reduce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can be reduced. Here, even if the refrigerant of the discharge chamber (S3) flows into the crank chamber (S4)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the amount of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rank chamber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and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rank chamber (S4) from the discharge chamber (S3) through the inflow path (not shown), so that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S4)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pressure of the crankcase (S4) applied to the piston (400) is reduced, so that the stroke of the piston (400) increas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300) increases,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can increase.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을 갖는 상기 제1 배출유로(800)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을 갖는 상기 제2 배출유로(900)를 포함함에 따라, 사판식 압축기에 연결되는 증발기의 결빙을 방지하면서 초기 작동 시 작동지연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not only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having the first orifice hole (810) but also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having the second orifice hole (910), thereby preventing freezing of an evaporator connected to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nd eliminating an operating delay during initial operation.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과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을 포함함에 따라, 전체 오리피스 홀의 유동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초기 작동 시, 상기 크랭크실(S4)의 액냉매가 상기 흡입실(S1)로 원활하고 신속히 배출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지연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제1 샘플은 유동 단면적이 2.01㎟인 하나의 오리피스 홀을 갖는 사판식 압축기로서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에 해당되는 것이고, 제2 샘플 내지 제5 샘플은 유동 단면적이 2.01㎟인 제1 오리피스 홀(810) 및 유동 단면적이 0.54㎟, 1.14㎟, 1.8㎟, 2.52㎟인 제2 오리피스 홀(910)을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에 해당되는 것인데, 제1 샘플의 작동지연 시간이 대략 43초 정도 소요되는 반면, 제2 샘플 내지 제5 샘플의 작동지연 시간이 대략 20초 내지 39초 정도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orifice hole (810) and the second orifice hole (910),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tire orifice hole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during initial operation,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crank chamber (S4) can be smoothly and quickly discharged into the suction chamber (S1), so that the operating delay can be improved as shown in FIG. 6. That is, in FIG. 6, the first sample is a swash plate compressor having one orifice hole with a flow cross-sectional area of 2.01㎟, which corresponds to a conventional swash plate compressor, and the second to fifth samples are swash plate compressors including a first orifice hole (810) with a flow cross-sectional area of 2.01㎟ and second orifice holes (910) with flow cross-sectional areas of 0.54㎟, 1.14㎟, 1.8㎟, and 2.52㎟, which correspond to the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delay time of the first sample takes about 43 seconds, while the operation delay times of the second to fifth samples take about 20 to 39 seconds.
한편, 초기 작동 시 작동지연 개선만 고려했을 경우에는, 굳이 상기 제2 배출유로(900)와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1 배출유로(800)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만 형성하되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즉,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에서 오리피스 홀의 유동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작동지연 시간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제6 샘플은 제4 샘플의 전체 오리피스 홀의 유동 단면적과 동등 수준(3.81㎟)인 하나의 오리피스 홀을 갖는 사판식 압축기로서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에서 오리피스 홀의 유동 단면적을 증가시킨 것에 해당되는 것이고, 제6 샘플의 작동지연 시간이 대략 24초 정도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if only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delay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is considered, a method may be considered in which only the first exhaust path (800) and the first orifice hole (810) are formed without forming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and the second orifice hole (910), bu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is increased. That is, a method may be considered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orifice hole in the conventional swash plate compressor is increased. In this case, the operating delay time can also be improved. That is, in FIG. 6, the sixth sample is a swash plate compressor having one orifice hole that is equivalent to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tire orifice hole of the fourth sample (3.81㎟), and corresponds to the conventional swash plate compressor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orifice hole is increase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perating delay time of the sixth sample is approximately 24 seconds.
하지만, 이 경우(제6 샘플의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식 압축기의 제어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어, 냉매 토출량이 사전에 의도된 값과 상당히 상이해짐으로써, 증발기에 결빙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압축기 최대 용량 작동 영역이 증대되어, 압축기 사이클링 발생이 증가될 수 있다. However, in this case (sample 6), as shown in Fig. 7,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swash plate compressor are significantly changed, so that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intended value, which may cause freezing in the evaporator. That is, the compressor maximum capacity operating area is increased, so that the occurrence of compressor cycling may increase.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배출유로(900)와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경우(제2 샘플 내지 제5 샘플의 경우)에는, 상기 제2 배출유로(900)와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의 유동 저항으로 인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특성 변화가 적고, 냉매 토출량이 사전에 의도된 값과 차이가 적으며, 증발기에 결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압축기 최대 용량 작동 영역의 증대가 억제되어, 압축기 사이클링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and the second orifice hole (910) are additionally provid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second to fifth samples), due to the flow resistance of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and the second orifice hole (910), the change in the control characteristics is small, as shown in FIG. 7, the difference in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from the intended value is small, and freezing in the evaporator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increase in the maximum capacity operating area of the compressor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occurrence of compressor cycling can be reduced.
따라서, 초기 작동 시 작동지연 개선뿐만 아니라 증발기 결빙 방지까지 고려했을 때, 제6 샘플과 같이 단순히 오리피스 홀의 유동 단면적을 증가시키지 말고, 본 실시예(제2 샘플 내지 제5 샘플)와 같이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을 갖는 상기 제1 배출유로(800)와 별개로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을 갖는 상기 제2 배출유로(9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considering not only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delay during initial operation but also prevention of evaporator freezing, it may be desirable to form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having the second orifice hole (910) separately from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having the first orifice hole (810) as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o fifth samples), rather than simply increasing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orifice hole as in the sixth sample.
그리고, 증발기 결빙을 방지하는 범위 내에서 초기 작동 시 작동지연을 최대한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과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의 유동 단면적은 사전에 결정된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은 1.54㎟ 이상 4.52㎟ 이하의 범위 내에 포함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의125%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nd,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tional delay during initial operation as much as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preventing evaporator freezing,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and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orifice hole (910) are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at is,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is formed to be included within a range of 1.54㎟ or more and 4.52㎟ or less, and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orifice hole (910) is formed to be 125% or less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여기서,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이 1.54㎟ 미만일 경우에는 액냉매 배출이 지연되어 작동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이 4.52㎟ 초과이거나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의 유동 단면적이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의 125% 초과일 경우에는 압축기 최대용량 작동 영역이 증대되어 압축기 사이클링 발생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ere, i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is less than 1.54㎟,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refrigerant discharge is delayed and the operation is delayed, and i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exceeds 4.52㎟ or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orifice hole (910) exceeds 125%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ressor maximum capacity operating area increases and the occurrence of compressor cycling increases.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배출유로(900),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 및 상기 연통로(920)는 각각 하나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포스트(132)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920)는 각 포스트(132)마다 형성되며, 상기 제2 배출유로(900)와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은 각 연통로(92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증발기의 결빙을 방지하면서 초기 작동 시 작동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은 1.54㎟ 이상 4.52㎟ 이하의 범위 내에 포함되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리피스 홀(910)의 유동 단면적의 합이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의125% 이하의 범위 내에 포함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xhaust path (900), the second orifice hole (910), and the communication path (920) are each formed as on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for example, the post (132) may be formed as at least one, the communication path (920) may be formed for each post (132), and the second exhaust path (900) and the second orifice hole (9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communication path (92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freezing of the evaporator while improving the operation delay during initial operation. Her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is formed to be included in a range of 1.54㎟ or more and 4.52㎟ or less, and that the sum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s of the at least one second orifice hole (910) is formed to be included in a range of 125% or less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배출유로(900)가 상기 제1 배출유로(800)로부터 분기되나,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유로(900)가 제1 배출유로(800)와 별도로 제1 배출유로(800)를 우회하여 크랭크실(S4)의 냉매를 흡입실(S1)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배출유로(900)는, 상기 크랭크실(S4)과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상류부(900a) 및 상기 흡입실(S1)과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하류부(900b)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xhaust path (900) branches off from the first exhaust path (800), but as illustrated in FIGS. 8 to 11, the second exhaust path (90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exhaust path (800) to bypass the first exhaust path (800) and guide the refrigerant in the crankcase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That is, the second exhaust path (900) may include a second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900a) that communicates with the crankcase (S4) and a second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900b) tha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S1).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통로(920)는 제조가 용이하도록 상기 포스트(132)의 선단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포스트(132)의 선단면의 외주부까지 연장되는 슬롯으로 형성되나,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로(920)가 상기 포스트(132)의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포스트(132)의 외주면까지 상기 포스트(132)를 관통하는 경사진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passage (920) is formed as a slot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ost (132)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ost (132) for ease of manufacturing, but as shown in FIGS. 8 to 11, the communication passage (920) may also be formed as an inclined hole penetrating the post (132) from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ost (132)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132).
100: 하우징 110: 실린더 블록
116: 보어 120: 프론트 하우징
130: 리어 하우징 132: 포스트
200: 회전축 300: 사판
400: 피스톤 500: 밸브기구
800: 제1 배출유로 800a: 제1 배출유로 상류부
800b: 제1 배출유로 하류부 810: 제1 오리피스 홀
900: 제2 배출유로 900a: 제2 배출유로 상류부
900b: 제2 배출유로 하류부 910: 제2 오리피스 홀
920: 연통로 S1: 흡입실
S2: 압축실 S3: 토출실
S4: 크랭크실100: Housing 110: Cylinder block
116: Bore 120: Front Housing
130: Rear housing 132: Post
200: Rotation axis 300: Swash plate
400: Piston 500: Valve mechanism
800:
800b: Downstream of the first discharge path 810: First orifice hole
900:
900b: Downstream of the second discharge path 910: Second orifice hole
920: Flue gas S1: Suction chamber
S2: Compression chamber S3: Discharge chamber
S4: Crankcase
Claims (15)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200);
상기 회전축(200)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300);
상기 사판(300)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116)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보어(116)와 함께 압축실(S2)을 형성하는 피스톤(400);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S1)로 안내하는 제1 배출유로(800); 및
상기 제1 배출유로(800)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S1)로 안내하는 제2 배출유로(9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유로(800)에는 상기 제1 배출유로(8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제1 오리피스 홀(8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유로(900)에는 상기 제2 배출유로(9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제2 오리피스 홀(91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보어(116)가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110);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실(S4)이 형성되는 프론트 하우징(120); 및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실(S1)과 상기 토출실(S3)이 형성되는 리어 하우징(130);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110)과 상기 리어 하우징(130) 사이에 상기 흡입실(S1)과 상기 토출실(S3)을 상기 압축실(S2)과 연통 및 차폐시키는 밸브기구(500)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과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은 상기 밸브기구(500)에 형성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은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밸브기구(500)를 지지하는 포스트(132)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132)에는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과 상기 흡입실(S1)을 연통시키는 연통로(920)가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A housing (100) having a bore (116), an intake chamber (S1), an exhaust chamber (S3) and a crank chamber (S4);
A rotary shaft (200) rotatably mounted on the above housing (100);
A swash plate (300)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above rotation axis (200);
A piston (400) that is linked to the above-mentioned plate (300) and reciprocates inside the above-mentioned bore (116) and forms a compression chamber (S2)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bore (116);
A first discharge path (800) that guides the refrigerant of the crankcase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and
It includes a second discharge path (900) branched from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and guiding the refrigerant of the crankcase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In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a first orifice hole (810) is formed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In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a second orifice hole (910) is formed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The housing (100) includes a cylinder block (110) in which the bore (116) is formed; a front housing (1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cylinder block (110) and in which the crank chamber (S4) is formed; and a rear housing (13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block (110) and in which the suction chamber (S1) and the discharge chamber (S3) are formed.
A valve mechanism (500) is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er block (110) and the rear housing (130) to communicate and shield the suction chamber (S1) and the discharge chamber (S3) with the compression chamber (S2).
The first orifice hole (810) and the second orifice hole (910) are formed in the valve mechanism (500),
The above rear housing (130) includes a post (132) that extend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housing (130) and supports the valve mechanism (500).
A plate-type compressor in which a communication path (920) connecting the second orifice hole (910) and the suction chamber (S1) is formed in the above post (132).
상기 제2 배출유로(900)는 상기 제1 배출유로(80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있으며 상기 제1 배출유로(80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In the first paragraph,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 which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is located radially outside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and is formed on the gravity direction side based on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상기 제1 배출유로(800)는, 상기 크랭크실(S4)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상류부(800a), 상기 흡입실(S1)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하류부(800b) 및 상기 제1 배출유로 상류부(800a)와 상기 제1 배출유로 하류부(800b) 사이에 위치되는 챔버(1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출유로(900)는, 상기 챔버(114)와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상류부(900a) 및 상기 흡입실(S1)과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하류부(900b)를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exhaust path (800) includes a first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800a) communicating with the crank chamber (S4), a first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800b)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S1), and a chamber (114) located between the first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800a) and the first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800b).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is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cluding a second discharge path upstream portion (900a) communicating with the chamber (114) and a second discharge path downstream portion (900b)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S1).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은 상기 회전축(200)과 동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로부터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orifice hole (810) is formed coaxially with the rotation axis (200),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 which the second orifice hole (910)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rifice hole (810)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rotational shaft (200).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In paragraph 5,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 which the second orifice hole (910) is formed on the gravity direction side based on the first orifice hole (810).
상기 연통로(920)는 상기 포스트(132)의 선단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포스트(132)의 선단면의 외주부까지 연장되는 슬롯으로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assage (920) is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formed as a slot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ost (132)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ost (132).
상기 연통로(920)는 상기 포스트(132)의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포스트(132)의 외주면까지 상기 포스트(132)를 관통하는 경사진 홀로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mentioned passage (920) is a sloping plate type compressor formed as an inclined hole penetrating the post (132) from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ost (132)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132).
상기 포스트(132)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920)는 각 포스트(132)마다 형성되며,
상기 제2 배출유로(900)와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은 각 연통로(92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ost (132) is formed by at least one,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path (920) is formed at each post (132).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 which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and the second orifice hole (910) are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communication path (920).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은 1.54㎟ 이상 4.52㎟ 이하의 범위 내에 포함되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리피스 홀(910)의 유동 단면적의 합은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의 유동 단면적의 125% 이하로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In Article 11,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is formed to be within a range of 1.54㎟ or more and 4.52㎟ or less,
A swash plate compressor in which the sum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s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orifice holes (910) is formed to be 125% or less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rifice hole (810).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200);
상기 회전축(200)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300);
상기 사판(300)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116)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보어(116)와 함께 압축실(S2)을 형성하는 피스톤(400);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S1)로 안내하는 제1 배출유로(800); 및
상기 제1 배출유로(800)를 우회하여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S1)로 안내하는 제2 배출유로(9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유로(800)에는 상기 제1 배출유로(8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제1 오리피스 홀(8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유로(900)에는 상기 제2 배출유로(9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제2 오리피스 홀(91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보어(116)가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110);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실(S4)이 형성되는 프론트 하우징(120); 및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실(S1)과 상기 토출실(S3)이 형성되는 리어 하우징(130);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110)과 상기 리어 하우징(130) 사이에 상기 흡입실(S1)과 상기 토출실(S3)을 상기 압축실(S2)과 연통 및 차폐시키는 밸브기구(500)가 개재되고,
상기 제1 오리피스 홀(810)과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은 상기 밸브기구(500)에 형성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은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밸브기구(500)를 지지하는 포스트(132)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132)에는 상기 제2 오리피스 홀(910)과 상기 흡입실(S1)을 연통시키는 연통로(920)가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A housing (100) having a bore (116), an intake chamber (S1), an exhaust chamber (S3) and a crank chamber (S4);
A rotary shaft (200) rotatably mounted on the above housing (100);
A swash plate (300)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above rotation axis (200);
A piston (400) that is linked to the above-mentioned plate (300) and reciprocates inside the above-mentioned bore (116) and forms a compression chamber (S2)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bore (116);
A first discharge path (800) that guides the refrigerant of the crankcase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and
It includes a second exhaust path (900) that guides the refrigerant of the crankcase (S4) to the suction chamber (S1) by bypassing the first exhaust path (800);
In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a first orifice hole (810) is formed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In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a second orifice hole (910) is formed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The housing (100) includes a cylinder block (110) in which the bore (116) is formed; a front housing (1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cylinder block (110) and in which the crank chamber (S4) is formed; and a rear housing (13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block (110) and in which the suction chamber (S1) and the discharge chamber (S3) are formed.
A valve mechanism (500) is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er block (110) and the rear housing (130) to communicate and shield the suction chamber (S1) and the discharge chamber (S3) with the compression chamber (S2).
The first orifice hole (810) and the second orifice hole (910) are formed in the valve mechanism (500),
The above rear housing (130) includes a post (132) that extend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housing (130) and supports the valve mechanism (500).
A plate-type compressor in which a communication path (920) connecting the second orifice hole (910) and the suction chamber (S1) is formed in the above post (132).
상기 제2 배출유로(900)는 상기 제1 배출유로(80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에 있으며 상기 제1 배출유로(80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In Article 13,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 which the second discharge path (900) is located radially outside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and is formed on the gravity direction side based on the first discharge path (800).
상기 제1 배출유로(800)는, 상기 크랭크실(S4)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상류부(800a), 상기 흡입실(S1)과 연통되는 제1 배출유로 하류부(800b) 및 상기 제1 배출유로 상류부(800a)와 상기 제1 배출유로 하류부(800b) 사이에 위치되는 챔버(1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출유로(900)는, 상기 크랭크실(S4)과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상류부(900a) 및 상기 흡입실(S1)과 연통되는 제2 배출유로 하류부(900b)를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In Article 13,
The first exhaust path (800) includes a first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800a) communicating with the crank chamber (S4), a first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800b)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S1), and a chamber (114) located between the first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800a) and the first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800b).
The second exhaust path (900) is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cluding a second exhaust path upstream portion (900a) communicating with the crank chamber (S4) and a second exhaust path downstream portion (900b)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S1).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9853A KR102717001B1 (en) | 2019-01-25 | 2019-01-25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PCT/KR2020/001001 WO2020153705A1 (en) | 2019-01-25 | 2020-01-21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CN202080006269.4A CN113056608B (en) | 2019-01-25 | 2020-01-21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9853A KR102717001B1 (en) | 2019-01-25 | 2019-01-25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2667A KR20200092667A (en) | 2020-08-04 |
KR102717001B1 true KR102717001B1 (en) | 2024-10-15 |
Family
ID=7173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9853A Active KR102717001B1 (en) | 2019-01-25 | 2019-01-25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7001B1 (en) |
CN (1) | CN113056608B (en) |
WO (1) | WO2020153705A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98822A1 (en) * | 2014-12-18 | 2016-06-23 |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WO2017002784A1 (en) * | 2015-06-30 | 2017-01-05 |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09910A (en) * | 2008-03-06 | 2009-09-17 | Toyota Industries Corp | Swash plate compressor |
JP2010048096A (en) * | 2008-08-19 | 2010-03-04 | Toyota Industries Corp |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
KR101790777B1 (en) | 2011-03-03 | 2017-10-27 | 학교법인 두원학원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JP2012207567A (en) * | 2011-03-29 | 2012-10-25 | Toyota Industries Corp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KR102016962B1 (en) * | 2014-03-07 | 2019-09-02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of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
US10309382B2 (en) * | 2014-06-27 | 2019-06-04 | Valeo Japan Co., Ltd.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
KR102226546B1 (en) * | 2017-03-02 | 2021-03-12 | 학교법인 두원학원 | Capacity-variable swash type compressor |
-
2019
- 2019-01-25 KR KR1020190009853A patent/KR102717001B1/en active Active
-
2020
- 2020-01-21 WO PCT/KR2020/001001 patent/WO202015370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1-21 CN CN202080006269.4A patent/CN113056608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98822A1 (en) * | 2014-12-18 | 2016-06-23 |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WO2017002784A1 (en) * | 2015-06-30 | 2017-01-05 |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056608A (en) | 2021-06-29 |
KR20200092667A (en) | 2020-08-04 |
WO2020153705A1 (en) | 2020-07-30 |
CN113056608B (en) | 2023-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54548B1 (en) | Variable displacement type reciprocating compressor | |
KR102717001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099100B1 (en) |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2547594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547593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452888B1 (en) | Valve plate asembly of compressor | |
KR20210117569A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759395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769420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oil separator | |
KR20110035597A (en) |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 |
KR102712301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103440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EP0844393B1 (en) | Variable-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 |
KR101866731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50060199A (en) | Reciprocating compressor | |
KR102759394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058652B1 (en) | compressor | |
KR101541917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818391B1 (en) | Compressor rear housing | |
KR20110098215A (en) | Check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102760181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452513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 |
KR101601966B1 (en)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20210105247A (en) | Compressor | |
KR102112215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