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215B1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Google Patents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2215B1 KR102112215B1 KR1020150134132A KR20150134132A KR102112215B1 KR 102112215 B1 KR102112215 B1 KR 102112215B1 KR 1020150134132 A KR1020150134132 A KR 1020150134132A KR 20150134132 A KR20150134132 A KR 20150134132A KR 102112215 B1 KR102112215 B1 KR 1021122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path
- swash plate
- diameter portion
- spool
- regulator val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를 상호 교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로의 내부에 토출실의 압력 정도에 따라 종속적인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레귤레이터 밸브를 설치하고, 이를 매개로 토출실의 내부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개방된 연통로를 통해 제어실의 내부로 충분한 냉매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토출실의 내부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연통로를 통해 제어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공급량을 줄여 제어실 내부의 압력이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에어컨의 오프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를 개시한다.
전술한 사판식 압축기는 토출실(51)과 제어실(41) 사이를 상호 교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통로(100), 및 상기 연통로(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실(51)의 압력에 따라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레귤레이터 밸브(200)를 구비하고,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는 상기 연통로(100)의 유동 단면적을 최소화하는 대경부(220), 및 상기 대경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통로(100)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하는 소경부(240)를 갖춘 스풀(210)을 구비하며, 상기 스풀(210)은 연통로(100)의 내부에서 냉매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00)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regulator valve that is dependent on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sure level of the discharge chamber in the interior of the communication path that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of the compressor,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is low through this While sufficient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control chamber through the open communication path,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is high, the supply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rol chamber through the partially closed communication path is reduced to reduce the inside of the control chamber. Disclosed is a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apable of minimizing noise generate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ff by preventing a sudden increase in pressure.
The above-described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path 100, and the communication path 100 for connecting the discharge chamber 51 and the control chamber 41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depending o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51 It is provided with a regulator valve 200 that is opened and closed adjustment, the regulator valve 200 is extended from the large diameter portion 220,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220 to minimiz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path 100, the communication A spool 210 having a small-diameter portion 240 for maximizing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urnace 100 is provided, and the spool 210 has a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inside the communication path 100. It is installed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return spring 300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를 상호 교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로에 토출실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는 레귤레이터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에어컨의 오프시 발생되는 소음을 개선할 수 있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nd 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a regulator valve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in a communication path that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of the compressor. It relates to a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that can improve the noise generated when off.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각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방식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In general, compressors that serve to compress refrigerant in a vehicle cooling system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e compressor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reciprocating type that performs compression while reciprocating and a revolving type that performs compression while rotating.
여기서 왕복식 압축기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Crank Type),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Swash Plate Type), 및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Wobble Plate Type)이 있고, 회전식에는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타리식(Vane Rotary Type),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Scroll Type)이 있다. Here, the reciprocating compressor includes a crank type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a driving source to a plurality of pistons using a crank, a swash plate type that delivers a swash plate to a rotating shaft, and a wobble plate using a wobble plate. There are Wobble Plate Type, and there are Vane Rotary Type using vanes, and Scroll Type using orbiting scroll and fixed scroll.
또한, 사판식 압축기로는 사판의 설치각도가 고정된 고정 용량형 타입과,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토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용량형 타입이 있다. In addition,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cludes a fixed-capacity type having a fixed install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and a variable-capacity type capable of changing the discharge capacity by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종래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경우, 에어컨을 오프(OFF)할 때 제어밸브(ECV)를 통해 토출실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제어실(또는 크랭크실)로 이동하게 되고, 제어실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다시 밸브 플레이트의 오리피스홀을 경유하여 흡입실로 이동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hen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f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chamber through the control valve (ECV) moves to the control room (or crankcase), and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ntrol room Is moved back to the suction chamber via the orifice hole of the valve plate.
이에 따라 토출실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제어실로 이동하면서 제어실의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 상승에 의해 구동부에 위치한 사판의 경사각을 최소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chamber moves to the control chamb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rises rapidly,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located in the driving unit can be minimized by the pressure increase.
그런데, 토출실로부터 제어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압의 냉매는 제어실의 내부 압력을 급격하게 상승시키게 되는 과정에서 이상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초래하게 되고, 이러한 이상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은 차량의 실내로 전달되어 정숙감을 저해시키는 문제로 귀결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By the way, the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rol chamber from the discharge chamber causes the occurrence of abnormal vibration and noise in the process of rapidly rais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and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 vibration and noise into the vehicle interior Since it is transmitted and it results in a problem that hinders quietness, an improvement plan is required.
일례로, 종래 일본공개특허 특개2011-185138호에 개시된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용량 제어기구는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의 냉매 유동경로 상에 체크밸브를 구성함으로써 유로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냉매의 유동에 불연속적인 단절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더욱 잦은 소음의 발생을 초래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For example, the capacity control mechanism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185138 reduces noise through on / off control of the flow path by configuring a check valve on the refrigerant flow path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However, in this case, a discontinuous disconnection phenomenon occurs i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which causes a problem that causes more frequent nois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축기의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를 상호 교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로의 내부에 토출실의 압력 정도에 따라 종속적인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레귤레이터 밸브를 설치하고, 이를 매개로 토출실의 내부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개방된 연통로를 통해 제어실의 내부로 충분한 냉매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토출실의 내부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연통로를 통해 제어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공급량을 줄여 제어실 내부의 압력이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에어컨의 오프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issues, and a regulator valve that is dependent on opening and closing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is installed inside a communication path that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of the compressor.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is low through this, sufficient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control chamber through the open communication path, whereas when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discharge chamber is high, through the partially closed communication pat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that minimizes noise generate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ff by reducing a supply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ntrol room to prevent a sudden increase in the pressure inside the control roo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를 상호 교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통로, 및 상기 연통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실의 압력에 따라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레귤레이터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는 상기 연통로의 유동 단면적을 최소화하는 대경부, 및 상기 대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통로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하는 소경부를 갖춘 스풀을 구비하며, 상기 스풀은 연통로의 내부에서 냉매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and a regulator valve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path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the The regulator valve has a spool having a large diameter portion that minimizes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path, and a small diame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maximizing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path, wherein the spool flows refrigerant within the communication pa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supported by a return spring providing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to maximize the cross-sectional area.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연통로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의 대경부와 대응하는 소통로부, 및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의 소경부와 대응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을 설치하는 대통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로의 소통로부 직경은 상기 스풀의 대경부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ath includes a communication pat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regulator valve, and a communication pat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regulator valve and installing the return spring, and the communication path of the communication path The minor diame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larger than the large diameter of the spool.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연통로는 상기 소통로부와 상기 대통로부 사이에 상기 리턴 스프링의 일단부를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단차면 형태의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로는 입구에 상기 스풀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내부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돌출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ath forms a locking jaw in the form of a stepped surface for seating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between the communication path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path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path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of the spoo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rotruding jaw protruding toward the inner center to suppress the departur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의 스풀은 표면에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안내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 돌기부는 냉매의 유동장에 와류의 형성을 돕기 위해 나선형 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ol of the regulator valve forms a guide projection for guiding the flow of refrigerant on the surface, and the guide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piral projection to help the formation of a vortex in the flow field of the refrigeran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의 스풀은 상기 리턴 스프링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소경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스풀의 축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면서 소경부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ol of the regulator valve has a w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mall diameter portion for contact with the return spring, and the wing portion protrudes out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while the center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를 상호 교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로의 내부에 토출실의 압력과 연동하여 종속적인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레귤레이터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토출실의 내부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밸브의 개방에 따른 연통로의 전 영역을 이용하여 제어실의 내부로 충분한 냉매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사판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토출실의 내부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밸브의 부분 폐쇄에 따른 연통로의 전 영역 중 일부 영역의 개방된 부위를 이용하여 제어실의 내부로 제한된 냉매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제어실 내부의 압력이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에어컨의 오프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regulator valve that is dependent on opening / closing control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in the interior of a communication path that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and the control chamber, thereby provid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When this is low, sufficient refrigerant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room by using the entire area of the communication path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valve,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can be freely adjusted. The supply of limited refrigerant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rol room can be made by using the open part of some areas of the entire communication path according to the partial closing of the valve, thereby preventing the pressure inside the control room from rising rapidly. It provides an effect to minimize noise generate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f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를 교통하기 위해 실린더 블록에 형성되는 연통로 내부에 레귤레이터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귤레이터 밸브의 스풀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귤레이터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gulator valve is installed inside a communication path formed in a cylinder block to communicate between a discharge chamber and a control chamber a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pool of the regulator valve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gulator valve shown in FIG. 2.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exemplary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대한 주요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hen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로 하면,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는 압축기의 외관과 내부 압축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블록(20), 상기 실린더 블록(20)의 축 중심부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0), 상기 실린더 블록(20)의 전방부위를 마감하도록 실린더 블록(20)에 결합되는 전방 하우징(40), 상기 실린더 블록(20)의 후방부위를 마감하도록 실린더 블록(20)에 결합되는 후방 하우징(50), 및 상기 실린더 블록(20)과 후방 하우징(50)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의 흡입과 토출을 조절하는 밸브 조립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상기 실린더 블록(20)은 중앙부위에 부재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센터 보어(21)를 형성하고, 상기 센터 보어(21)를 중심으로 다수의 실린더 보어(22)가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즉, 각각의 상기 실린더 보어(22)는 실린더 블록(20)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린더 보어(22)의 내부에는 피스톤(23)이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냉매는 상기 실린더 보어(22)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피스톤(23)의 왕복운동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 회전축(30)은 실린더 블록(20)의 중앙부위에서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센터 보어(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rotating
상기 전방 하우징(40)은 실린더 블록(20)의 전방부위에 결합되어 내부에 제어실(41, 크랭크실로도 지칭됨)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전방 하우징(40)에는 엔진 등 외부 동력원(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풀리(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0)은 실린더 블록(20)의 내부에서 상기 풀리(42)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다.The
상기 후방 하우징(50)은 실린더 블록(20)의 후방부위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후방 하우징(50)의 내부에는 실린더 보어(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토출실(51)과 흡입실(52)이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바, 상기 토출실(51)은 후방 하우징(50)의 외주측 가장자리부위에 인접한 위치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실(52)은 토출실(51)의 반경방향 내측, 대략 후방 하우징(50)의 중앙부위에 형성된다.The
상기 밸브 조립체(60)는 상기 실린더 블록(20)과 후방 하우징(5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위치한 밸브 플레이트(61)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결합되는 흡입용 리드밸브(64)와 토출용 리드밸브(6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밸브 조립체(60)는 토출용 리드밸브(66)의 후방에 설치되는 가스켓(6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밸브 플레이트(61)는 흡입용 리드밸브(64)를 통해 실린더 보어(22)와 연통되는 흡입구(63)와, 토출용 리드밸브(66)를 통해 실린더 보어(22)와 연통되는 토출구(62)를 각각 별도로 구비한다. The
한편, 상기 회전축(30)의 일측에는 로터(70)가 설치되는 바, 상기 로터(70)는 회전축(30)의 회전시 회전축(3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30)은 제어실(41) 내에서 상기 로터(70)의 중앙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터(70)의 일측에는 힌지 수용부(71)가 돌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사판(80)은 상기 회전축(30) 상에서 로터(70)와 이격된 위치로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사판(80)에는 로터(70)의 힌지 수용부(71)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결합부(8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로터(70)의 힌지 수용부(71)와 상기 사판(80)의 힌지 결합부(81)는 힌지핀(72)에 의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로터(70) 회전시 사판(80)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사판(80)은 슈(82)를 매개로 각각의 피스톤(23)과 연결되며, 상기 사판(80)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23)은 실린더 보어(22)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할 수 있게 된다. And the
또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에서는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30)에 대해 사판(80)의 경사각도가 가변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토출실(51)과 제어실(41) 사이를 연통하는 형태의 냉매의 유동경로(가; 제어실 흡입경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 1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와, 제어실(41)과 흡입실(52) 사이를 연통하는 형태의 냉매의 유동경로(나; 제어실 토출경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 1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실 흡입경로(가) 중에는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용 제어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In addition, in the variable capacity type swash
이 결과, 압력조절용 제어밸브의 개폐 작용에 의해 수반되는 제어실(41)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사판(80)의 경사각이 종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실(41)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회전축(30)에 대한 사판(80)의 경사각이 최소각도에서 최대각도에 이르기까지 변화될 수 있고, 이러한 사판(80)의 경사각도에 따라 실린더 보어(22) 내에서 피스톤(23)의 스트로크가 종속적으로 조절되므로 냉매의 압축 정도가 결정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토출실과 제어실 사이를 교통하기 위해 실린더 블록에 형성되는 연통로 내부에 레귤레이터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귤레이터 밸브의 스풀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gulator valve is installed inside a communication path formed in a cylinder block to communicate between a discharge chamber and a control chamber a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egulator illustrated in FIG. 2 This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spool.
도 2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상기 토출실(51)과 상기 제어실(41) 상호 교통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제어실 흡입경로(가)에 해당하는 연통로(100)를 형성한다. 상기 연통로(100)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실(51)의 압력에 따라 개폐 조절이 종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레귤레이터 밸브(200)가 설치된다.2 and 3, the variable-capacity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control room suction path (a) so as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여기서, 상기 연통로(100)는 상기 실린더 블록(20)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냉매의 유동 단면적을 축소하는 소통로부(120)와, 상기 소통로부(120) 보다 유동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는 대통로부(140)를 갖춘 적어도 2단의 다단 구조로 이루어진 유동경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소통로부(120)는 상기 제어실(41)과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대통로부(140)는 상기 토출실(51)과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연통로(100)는 상기 소통로부(120)와 상기 대통로부(140) 사이에 단차면 형태의 걸림턱(160)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로(100)의 입구에는 내부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돌출턱(18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돌출턱(180)은 상기 연통로(100)의 입구 내주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스냅링(미도시)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는 플런져에 해당하는 스풀(210)로서, 상기 연통로(100)의 유동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토출실(51)로부터 상기 제어실(41)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줄이는 대경부(220), 및 상기 대경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통로(100)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하여 상기 토출실(51)로부터 상기 제어실(41)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소경부(240)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스풀(210)은 상기 연통로(100)의 내부에서 냉매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00)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연통로(100)의 소통로부(120)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대경부(220)와 대응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연통로(100)의 대통로부(140)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소경부(240)와 대응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30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연통로(100)의 소통로부(120) 직경은 상기 스풀(210)의 대경부(220) 보다 크게 설정되어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한 최소한의 냉매 유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상기 연통로(100)의 걸림턱(160)은 상기 리턴 스프링(300)의 일단부를 안착시켜 지지하게 되고, 상기 연통로(100)는 입구에 위치한 상기 돌출턱(180)은 상기 스풀(210)의 일단부를 안착시켜 지지함으로써 상기 연통로(100)의 내부로부터 상기 연통로(100)로부터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ocking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스풀(210)은 표면의 전 영역에 상기 토출실(51)로부터 상기 제어실(41)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을 원활하게 가이드 할 수 있게 하는 안내 돌기부(212)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안내 돌기부(212)는 나선형 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토출실(51)로부터 상기 제어실(41)의 내부를 향한 냉매의 유동장에 대해 와류의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스풀(210)은 상기 리턴 스프링(300)과의 접촉을 통한 지지를 위해 상기 소경부(24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날개부(242)를 구비하는 바, 상기 날개부(242)는 상기 스풀(210)의 축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소경부(240)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에어컨의 오프시 제어밸브(미도시)를 통해 상기 토출실(51)로부터 상기 제어실(41)을 향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연통로(100)의 내부에 설치된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개폐 작용에 의해 상기 제어실(41)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므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 the interior of the
즉, 상기 토출실(51)의 내부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턴 스프링(300)이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스풀(210)을 토출실(51)을 향해 가압하게 되어 대경부(220)가 연통로(100)의 소통로부(120)로부터 벗어난 부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연통로(100)의 내부 유동 단면적은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토출실(51)로부터 상기 제어실(41)에 이르는 냉매의 유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이에 반해, 상기 토출실(51)의 내부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스풀(210)이 상기 리턴 스프링(300)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어실(41)을 향해 이동하게 되어 대경부(220)가 연통로(100)의 소경부(240) 내부로 진입하는 부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연통로(100)의 내부 유동 단면적은 최소의 상태로 전환되고, 이를 통해 상기 토출실(51)로부터 상기 제어실(41)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최소가 되어 상기 제어실(41)의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에어컨의 오프시 상기 제어실(41)의 내부 압력이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contras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forms of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압축기 20-실린더블럭
22-실린더보어 23-피스톤
30-회전축 40-전방하우징
50-후방하우징 51-토출실
52-흡입실 60-밸브조립체
61-밸브플레이트 62-토출구
63-흡입구 64-흡입용 리드밸브
66-토출용 리드밸브 65-가스켓
66-토출용 리드밸브 80-사판
100-연통로 120-소통로부
140-대통로부 160-걸림턱
180-돌출턱 200-레귤레이터 밸브
210-스풀 220-대경부
240-소경부 300-리턴 스프링10-compressor 20-cylinder block
22-cylinder bore 23-piston
30-rotation axis 40-front housing
50-rear housing 51-discharge room
52-suction chamber 60-valve assembly
61-valve plate 62-discharge outlet
63- Suction port 64- Suction reed valve
66-Discharge reed valve 65-Gasket
66- Discharge reed valve 80- Swash plate
100- communication path 120- communication path
140-The passage 160-Jungchin
180-protrusion jaw 200-regulator valve
210-Spool 220-Daekyung
240-small diameter 300-return spring
Claims (9)
상기 연통로(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실(51)의 압력에 따라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레귤레이터 밸브(200)를 구비하고,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는,
상기 연통로(100)의 유동 단면적을 최소화하는 대경부(220); 및
상기 대경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통로(100)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하는 소경부(240)를 갖춘 스풀(210)을 구비하며,
상기 스풀(210)은 연통로(100)의 내부에서 냉매의 유동 단면적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00)에 의해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통로(100)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대경부(220)와 대응하는 소통로부(120), 및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소경부(240)와 대응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300)을 설치하는 대통로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로(100)의 소통로부(120) 직경은 상기 스풀(210)의 대경부(220)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A communication path (100) connecting the discharge chamber (51) and the control chamber (41)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And
It i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path 100 is provided with a regulator valve 200 that is opened and closed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chamber 51,
The regulator valve 200,
Large diameter portion 220 to minimiz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path 100; And
It is provided with a spool 210 having a small diameter portion 240 extending from the large diameter portion 220 to maximiz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path 100,
The spool 21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return spring 30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in the communication path 100,
The communication path 100 cor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path portion 120 corresponding to the large-diameter portion 220 of the regulator valve 200, and the small-diameter portion 240 of the regulator valve 200, and the return spring 300 ) Is provided with a passage (140) for installing,
A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portion (120) of the communication path (100) is set larger than the large diameter portion (220) of the spool (210).
상기 연통로(100)는 상기 소통로부(120)와 상기 대통로부(140) 사이에 상기 리턴 스프링(300)의 일단부를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단차면 형태의 걸림턱(160)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로(100)는 입구에 상기 스풀(210)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내부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돌출턱(18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path 100 forms a stepped surface-shaped locking jaw 160 for seating and supporting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300 between the communication path 120 and the large passage 140. , The communication path 100 is a variable-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rotruding jaw (180) protruding toward the inner center to suppress the departure of the spool (210) at the entrance.
상기 돌출턱(180)은 상기 연통로(100)의 입구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스냅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protruding jaw 180 is a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nap ring detachably assemb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trance of the communication path (100).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스풀(210)은 표면에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안내 돌기부(2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ool 210 of the regulator valve 200 is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guide projection (212) for guid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on the surface.
상기 안내 돌기부(212)는 냉매의 유동장에 와류의 형성을 돕기 위해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uide projection 212 is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piral to help the formation of a vortex in the flow field of the refrigerant.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스풀(210)은 상기 리턴 스프링(300)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소경부(24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날개부(2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ool 210 of the regulator valve 200 is provided with a variable-capacity swash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ing portion 24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mall diameter portion 240 for contact with the return spring 300 Type compressor.
상기 날개부(242)는 상기 스풀(210)의 축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소경부(240)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wing portion 242 is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radi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240 while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2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4132A KR102112215B1 (en) | 2015-09-22 | 2015-09-22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4132A KR102112215B1 (en) | 2015-09-22 | 2015-09-22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5255A KR20170035255A (en) | 2017-03-30 |
KR102112215B1 true KR102112215B1 (en) | 2020-05-19 |
Family
ID=5850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4132A Active KR102112215B1 (en) | 2015-09-22 | 2015-09-22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221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79503A (en) * | 2007-09-25 | 2009-04-16 | Calsonic Kansei Corp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JP2015068304A (en) * | 2013-09-30 | 2015-04-13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Compress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58965B2 (en) | 2010-03-08 | 2014-04-02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Capacity control mechanism in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KR20150082767A (en) * | 2014-01-08 | 2015-07-16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Compressor having check valve |
-
2015
- 2015-09-22 KR KR1020150134132A patent/KR1021122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79503A (en) * | 2007-09-25 | 2009-04-16 | Calsonic Kansei Corp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JP2015068304A (en) * | 2013-09-30 | 2015-04-13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Compr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5255A (en) | 2017-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7711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US20140127041A1 (en) |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EP1959137B1 (en) | Suction throttle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 |
KR102082010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JP6714781B2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112215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130408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753403B1 (en) | Compressor | |
KR102103440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793600B1 (en) | Compressor | |
KR20110035597A (en) |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 |
KR102051661B1 (en) | Control valve and variable capacity type compressure | |
KR102759395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877258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JP7511702B2 (en) | Swash plate compressor | |
KR102712301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759394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793597B1 (en) | Pressure Relief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 |
JP2024046961A (en)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20130126818A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40021180A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40014852A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10072487A (en) | Capacity variable compressor | |
KR20110072490A (en) | Capacity variable compressor | |
KR20140015184A (en) | Swash plate compr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