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5829B1 -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5829B1 KR102715829B1 KR1020190168935A KR20190168935A KR102715829B1 KR 102715829 B1 KR102715829 B1 KR 102715829B1 KR 1020190168935 A KR1020190168935 A KR 1020190168935A KR 20190168935 A KR20190168935 A KR 20190168935A KR 102715829 B1 KR102715829 B1 KR 1027158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emical formula
- organic light
- layer
- emitting diode
-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정공 수송층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 수송층은 폴리이미드와 광분해물을 포함하며, 상기 광분해물은 디아민 잔기와 디안하이드라이드 잔기를 포함하는 비스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인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정공수송층 | HOMO 에너지 준위(eV) | LUMO 에너지 준위(eV) | HOMO-LUMO 차이(eV) |
폴리이미드 | -5.67 | -4.28 | 1.39 |
폴리이미드 + 제1광분해물 |
-6.13 | -3.29 | 2.84 |
폴리이미드 + 제2광분해물 |
-6.07 | -2.91 | 3.16 |
폴리이미드 + 제3광분해물 |
-5.72 | -3.54 | 2.18 |
폴리이미드 + 제4광분해물 |
-6.60 | -3.38 | 3.22 |
E20 : 제 2 전극 E30 : 유기 발광층
HIL : 정공 주입층 HTL : 정공 수송층
EML : 발광 물질층 ETL : 전자 수송층
EIL : 전자 주입층
Claims (10)
- 서로 마주보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정공 수송층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정공 수송층은 폴리이미드와 광분해물을 포함하며,
상기 광분해물은 디아민 잔기와 디안하이드라이드 잔기를 포함하는 비스말레이미드계 화합물로서, 다음 화학식1로 표시되는 제 1 내지 제 3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폴리이미드는 다음 화학식4로 표시되는 제 11 내지 제 13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발광 다이오드.
화학식1
(상기 화학식1에서, A1은 탄소 수가 6 개 내지 20 개인 방향족 고리이고, A2와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타-페닐렌, 파라-페닐렌, 나프탈렌 중 어느 하나이며, m은 0 내지 2 인 정수임)
화학식4
(상기 화학식4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로퍼옥시기, 메톡시기, 아민기, 설프하이드릴기, C1~C2 알킬기, C1~C2 알콕시기 중에서 어느 하나임, m은 0 내지 2 인 정수임, A1은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인 방향족 고리임, A2와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아래 화학식3으로 표시된 제 9 내지 제 10 화합물 중 어느 하나임.)
화학식 3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2와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된 제 9 내지 제 10 화합물인 유기발광 다이오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1은 다음 화학식2로 표시되는 제 4 내지 제 8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발광 다이오드.
화학식2
(상기 화학식2 에서 치환기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물질 중 어느 하나임.)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4의 A1은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제 4 내지 제 8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발광 다이오드.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물질층과,
상기 발광 물질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정공 수송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전자 수송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 제 1 전극 또는 정공 주입층의 상부에 광반응기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를 인쇄하여 폴리이미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적어도 일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분해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이미드층을 가열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발광 물질층과 전자 수송층, 제 2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분해물은 디아민 잔기와 디안하이드라이드 잔기를 포함하는 비스말레이미드계 화합물로서, 다음 화학식1로 표시되는 제 1 내지 제 3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폴리이미드는 다음 화학식4로 표시되는 제 11 내지 제 13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화학식1
(상기 화학식1에서, A1은 탄소 수가 6 개 내지 20 개인 방향족 고리이고, A2와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타-페닐렌, 파라-페닐렌, 나프탈렌 중 어느 하나이며, m은 0 내지 2 인 정수임)
화학식4
(상기 화학식4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하이드로퍼옥시기, 메톡시기, 아민기, 설프하이드릴기, C1~C2 알킬기, C1~C2 알콕시기 중에서 어느 하나임, m은 0 내지 2 인 정수임, A1은 탄소 수가 6개 내지 20개인 방향족 고리임, A2와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아래 화학식3으로 표시된 제 9 내지 제 10 화합물 중 어느 하나임.)
화학식 3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2와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화학식3으로 표시된 제 9 내지 제 10 화합물인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1은 다음 화학식2로 표시되는 제 4 내지 제 8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화학식2
(상기 화학식2 에서 치환기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물질 중 어느 하나임.)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4의 A1은 상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제 4 내지 제 8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935A KR102715829B1 (ko) | 2019-12-17 | 2019-12-17 |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935A KR102715829B1 (ko) | 2019-12-17 | 2019-12-17 |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7366A KR20210077366A (ko) | 2021-06-25 |
KR102715829B1 true KR102715829B1 (ko) | 2024-10-10 |
Family
ID=7662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8935A Active KR102715829B1 (ko) | 2019-12-17 | 2019-12-17 |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582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16666A (en) | 1992-05-28 | 1997-04-01 |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 Bismaleimide compounds |
KR100299732B1 (ko) | 1997-10-10 | 2001-09-06 | 김덕중 | 열안정성이 우수한 유기전기발광소자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0727B1 (ko) * | 2001-01-11 | 2003-07-10 | (주)네스디스플레이 | 가교된 폴리이미드층을 유기중간층으로 포함하는유기전기발광소자 |
KR101443216B1 (ko) * | 2007-09-05 | 2014-09-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 반응성 재료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KR102467769B1 (ko) * | 2015-12-15 | 2022-11-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장치 |
-
2019
- 2019-12-17 KR KR1020190168935A patent/KR10271582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16666A (en) | 1992-05-28 | 1997-04-01 |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 Bismaleimide compounds |
KR100299732B1 (ko) | 1997-10-10 | 2001-09-06 | 김덕중 | 열안정성이 우수한 유기전기발광소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7366A (ko) | 2021-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2759B1 (ko) | 유기 발광 소자 | |
KR100922760B1 (ko) | 유기 발광 소자 | |
JP4903190B2 (ja) | 有機発光素子 | |
KR102117611B1 (ko) | 유기 발광 소자 | |
KR101908384B1 (ko) |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 |
CN101752510B (zh) | 发光元件、发光装置、电子设备和照明装置 | |
KR100922755B1 (ko) | 유기 발광 소자 | |
CN104900816B (zh) | 发光元件、发光装置、电子设备以及照明装置 | |
KR101688317B1 (ko) | 저전압 구동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973287B1 (ko) | 복합체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층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소자 | |
KR20090050369A (ko) | 유기 발광 소자 | |
WO2012073888A1 (ja) | ヘテロアセン型化合物、有機半導体材料、及び有機電子デバイス | |
KR20100011290A (ko) |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유기 발광 소자 | |
KR20190072820A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 발광장치 | |
KR20150076029A (ko) |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102079255B1 (ko) |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 |
KR102006879B1 (ko) |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 |
CN114512619A (zh) | 有机发光二极管和包括其的有机发光装置 | |
KR102529716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2715829B1 (ko) |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KR20090131550A (ko) | 유기 발광 소자 | |
KR102653731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0804533B1 (ko) | 유기 발광 소자 | |
US20240218003A1 (en) | Organometallic compou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compound | |
KR20240094363A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