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4720B1 - 차량용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4720B1
KR102714720B1 KR1020220084424A KR20220084424A KR102714720B1 KR 102714720 B1 KR102714720 B1 KR 102714720B1 KR 1020220084424 A KR1020220084424 A KR 1020220084424A KR 20220084424 A KR20220084424 A KR 20220084424A KR 102714720 B1 KR102714720 B1 KR 10271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ngpin
knuckle
tie rod
steering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7473A (ko
Inventor
신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4720B1/ko
Publication of KR2024000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47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62D7/16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e.g. between tie-rod and steering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차량용 조향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조향장치는: 하우징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킹핀어퍼부와, 하우징부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킹핀로어부와, 킹핀어퍼부에 결합되는 킹핀어퍼 베어링부와, 킹핀로어부에 결합되는 킹핀로어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향장치{STEER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수가 감소되어 조립공정이 간소화되고, 조립공정시 어퍼오일씰 및 로어오일씰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임의로 바꿀 때 조작되는 장치로, 하우징, 너클, 스티어링암 및 타이로드암을 포함한다. 하우징, 너클, 스티어링암 및 타이로드암은 스티어링암볼트, 타이로드암 볼트, 킹핀어퍼 및 킹핀로어에 의해 결합된다.
킹핀어퍼와 킹핀로어는 고정키 및 너트를 통해 하우징에 결합되며, 킹핀 베어링과 오일씰이 각각 체결된다. 이때, 고정키는 하우징의 고정키홈에 결합된다.
하우징에 킹핀어퍼와 킹핀로어를 결합하려면, 고정키 및 너트가 추가되어야 함은 물론, 하우징에 고정키가 결합되기 위해 고정키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부품이 많이들고,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조립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킹핀어퍼, 킹핀로어, 킹핀베어링 및 오일씰이 너클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며, 너클에 킹핀로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가 추가 결합된다. 이때, 오일씰이 조립과정에서 손상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너클에 커버가 추가로 결합되므로, 부품이 많이 들고,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조립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부품수가 많아 부품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2666호(발명의 명칭: 상용차에 적용되는 조향 구동차축 어셈블리, 등록일: 2013.12.1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부품수가 감소되어 조립공정이 간소화되고, 조립공정시 어퍼오일씰 및 로어오일씰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차량용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장치는: 하우징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킹핀어퍼부; 상기 하우징부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킹핀로어부; 상기 킹핀어퍼부에 결합되는 킹핀어퍼 베어링부; 및 상기 킹핀로어부에 결합되는 킹핀로어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 및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너클부;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스티어링암부; 및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타이로드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클부는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제1너클삽입홈부와,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제2너클삽입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암부는, 상기 너클부와 접촉되며,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스티어링삽입홈부가 구비되는 스티어링암; 및 상기 스티어링암 및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스티어링암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암은 상기 스티어링암결합부가 결합되는 스티어링결합홀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클부는 상기 스티어링결합홀부와 마주보며, 상기 스티어링암결합부가 결합되는 제1너클결합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로드암부는, 상기 너클부와 접촉되며,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타이로드암삽입홈부를 구비하는 타이로드암; 및 상기 타이로드암 및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타이로드암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로드암은 상기 타이로드암결합부가 결합되는 타이로드암결합홀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클부는 상기 타이로드암결합홀부와 마주보며, 타이로드암결합부가 결합되는 제2너클결합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킹핀어퍼부에 결합되며,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위치되는 어퍼오일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킹핀로어부에 결합되며,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위치되는 로어오일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는 킹핀어퍼부와 킹핀로어부가 하우징부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종래의 기술과 달리 킹핀어퍼부와 킹핀로어부를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품이 필요없어, 부품수가 줄여들고 조립과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너클부와 스티어링암부가 결합되면서 킹핀어퍼 베어링부 및 어퍼오일씰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너클부와 타이로드암부가 결합되면서 킹핀로어 베어링부 및 로어오일씰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조립과정에서 어퍼오일씰 및 로어오일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 등 별도의 보호부품을 추가할 필요 없어 부품수가 줄어들어 조립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를 또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리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타이로드암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를 또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리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타이로드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1)는 킹핀어퍼부(100), 킹핀로어부(200), 킹핀어퍼 베어링부(300) 및 킹핀로어 베어링부(400)를 포함한다. 킹핀어퍼부(100)는 하우징부(10)에서 일측으로 돌출된다. 킹핀어퍼부(100)는 하우징부(10)에서 상측으로(도 3 기준) 돌출된다.
킹핀어퍼부(100)는 제1킹핀어퍼(110)와 제2킹핀어퍼(120)를 포함한다. 제1킹핀어퍼(110)는 하우징부(1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후술된 어퍼오일씰(800)이 결합된다. 제1킹핀어퍼(110)는 하우징부(10)에서 상측으로(도 3 기준) 돌출된다.
제2킹핀어퍼(120)는 제1킹핀어퍼(11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후술된 킹핀어퍼 베어링부(300)가 결합된다. 제2킹핀어퍼(120)는 제1킹핀어퍼(110)에서 상측으로(도 3 기준) 돌출된다.
킹핀로어부(200)는 하우징부(10)에서 타측으로 돌출된다. 킹핀로어부(200)는 하우징부(10)에서 하측으로(도 3 기준) 돌출된다. 킹핀로어부(200)는 제1킹핀로어(210)와 제2킹핀로어(220)를 포함한다. 제1킹핀로어(210)는 하우징부(10)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후술된 로어오일씰(900)이 결합된다. 제1킹핀로어(210)는 하우징부(10)에서 하측으로(도 3 기준) 돌출된다.
제2킹핀로어(220)는 제1킹핀로어(210)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고, 후술된 킹핀로어 베어링부(400)가 결합된다. 제2킹핀로어(220)는 제1킹핀로어(210)에서 하측으로(도 3 기준) 돌출된다.
킹핀어퍼 베어링부(300)는 킹핀어퍼부(100)에 결합된다. 킹핀어퍼 베어링부(300)는 킹핀어퍼부(100)의 제2킹핀어퍼(120)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킹핀로어 베어링부(400)는 킹핀로어부(200)에 결합된다. 킹핀로어 베어링부(400)는 킹핀로어부(200)의 제2킹핀로어(220)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1)에서는 킹핀어퍼부(100)와 킹핀로어부(200)가 하우징부(10)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종래의 기술과 달리 킹핀어퍼부(100)와 킹핀로어부(200)를 하우징부(10)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키, 너트 등 별도의 결합부품이 필요없어, 부품수가 줄여들고 조립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차량용 조향장치(1)는 너클부(500), 스티어링암부(600), 타이로드암부(700), 어퍼오일씰(800) 및 로어오일씰(900)을 포함한다. 너클부(500)는 킹핀어퍼 베어링부(300) 및 킹핀로어 베어링부(400)가 내부에 삽입된다. 너클부(500)는 킹핀어퍼 베어링부(300)가 삽입되는 제1너클삽입홈부(521)와, 킹핀로어 베어링부(400)가 삽입되는 제2너클삽입홈부(531)를 구비한다.
너클부(500)는 스티어링결합홀부(612a)와 마주보며, 스티어링암결합부(620)가 결합되는 제1너클결합홈부(522)를 구비한다. 제1너클결합홈부(522)는 한 쌍으로 후술된 스티어링암(610)의 스티어링결합홀부(612a) 각각 마주보게 배치된다.
너클부(500)는 타이로드결합홀부(712a)와 마주보며, 타이로드암결합부(720)가 결합되는 제2너클결합홈부(532)를 구비한다. 제2너클결합홈부(532)는 한 쌍으로 후술된 타이로드암부(700)의 타이로드결합홀부(712a) 각각 마주보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너클부(500)는 너클본체(510), 제1너클블록(520) 및 제2너클블록(530)을 포함한다. 너클본체(510)는 판 형상으로 하우징부(10)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1너클블록(520)은 너클본체(510)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킹핀어퍼 베어링부(300)가 삽입되는 제1너클삽입홈부(521)를 구비한다. 제1너클블록(520)은 너클본체(510)에서 하우징부(10)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킹핀어퍼 베어링부(300)의 일측 부분이 삽입되는 제1너클삽입홈부(521)를 구비한다.
제1너클블록(520)은 스티어링암부(600)의 스티어링암결합부(620)가 결합되는 제1너클결합홈부(522)를 구비한다. 제1너클결합홈부(522)는 한 쌍으로 제1너클삽입홈부(5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2너클블록(530)은 너클본체(510)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킹핀로어 베어링부(400)가 삽입되는 제2너클삽입홈부(531)를 구비한다. 제2너클블록(530)은 너클본체(510)에서 하우징부(10)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킹핀로어 베어링부(400)의 일측 부분이 삽입되는 제2너클삽입홈부(531)를 구비한다.
제2너클블록(530)은 타이로드암부(700)의 타이로드암결합부(720)가 결합되는 제2너클결합홈부(532)를 구비한다. 제2너클결합홈부(532)는 한 쌍으로 제2너클삽입홈부(53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스티어링암부(600)는 킹핀어퍼 베어링부(300)가 내부에 삽입되고, 너클부(500)와 결합된다. 스티어링암부(600)는 스티어링암(610)과 스티어링암결합부(620)를 포함한다. 스티어링암(610)은 너클부(500)와 접촉되며, 킹핀어퍼 베어링부(300)가 삽입되는 스티어링삽입홈부(611a)를 구비한다. 스티어링암(610)은 스티어링암결합부(620)가 결합되는 스티어링결합홀부(612a)를 구비한다.
스티어링암(610)은 스티어링암본체(611)와 한 쌍의 스티어링암연장부(612)를 포함한다(도 7 참조). 스티어링암본체(611)에는 스티어링삽입홈부(611a)가 형성된다. 스티어링삽입홈부(611a)는 반원형 형상으로 킹핀어퍼 베어링부(300)가 타측 부분이 삽입된다.
한 쌍의 스티어링암연장부(612)에는 스티어링암본체(611)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스티어링결합홀부(612a)가 형성된다. 스티어링결합홀부(612a)는 한 쌍으로 제1너클결합홈부(522)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스티어링암결합부(620)는 스티어링암(610) 및 너클부(500)와 결합된다. 스티어링암결합부(620)는 스티어링암(610)의 스티어링결합홀부(612a)와, 너클부(500)의 제1너클결합홈부(522)에 결합된다. 이때, 스티어링암결합부(620)는 볼트 형상으로 스티어링암(610)의 스티어링결합홀부(612a)와, 너클부(500)의 제1너클결합홈부(52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타이로드암부(700)는 킹핀로어 베어링부(400)가 내부에 삽입되고, 너클부(500)와 결합된다. 타이로드암부(700)는 타이로드암(710)과 타이로드암결합부(720)를 포함한다(도 8 참조). 타이로드암(710)은 너클부(500)와 접촉되며, 킹핀로어 베어링부(400)가 삽입되는 타이로드암삽입홈부(711a)가 구비된다. 타이로드암(710)은 타이로드암결합부(720)가 결합되는 타이로드암결합홀부(712a)를 구비한다.
타이로드암(710)은 타이로드암본체(711), 한 쌍의 타이로드암연장부(712) 및 타이로드암연결부(713)를 포함한다. 타이로드암본체(711)에는 타이로드암삽입홈부(711a)가 형성된다. 타이로드암삽입홈부(711a)는 반원형 형상으로 킹핀로어 베어링부(400)의 타측 부분이 삽입된다.
한 쌍의 타이로드암연장부(712)에는 타이로드암본체(711)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타이로드암결합홀부(712a)가 형성된다. 타이로드암결합홀부(712a)는 한 쌍으로 제1너클결합홈부(522)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타이로드암연결부(713)는 한 쌍의 타이로드암연장부(712) 어느 하나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다.
타이로드암결합부(720)는 타이로드암(710) 및 너클부(500)와 결합된다. 타이로드암결합부(720)는 타이로드암(710)의 타이로드암결합홀부(712a)와, 너클부(500)의 제2너클결합홈부(532)에 결합된다. 이때, 타이로드암결합부(720)는 볼트 형상으로 타이로드암(710)의 타이로드암결합홀부(712a)와, 너클부(500)의 제2너클결합홈부(53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어퍼오일씰(800)은 킹핀어퍼부(100)에 결합되며, 킹핀어퍼 베어링부(300)와 하우징부(10) 사이에 위치된다. 어퍼오일씰(800)은 킹핀어퍼 베어링부(300)와 하우징부(10)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로어오일씰(900)은 킹핀로어부(200)에 결합되며, 킹핀로어 베어링부(400)와 하우징부(10) 사이에 위치된다. 로어오일씰(900)은 킹핀로어 베어링부(400)와 하우징부(10)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이와 같이, 너클부(500)와 스티어링암부(600)가 결합되면서 킹핀어퍼 베어링부(300) 및 어퍼오일씰(80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어퍼오일씰(800)의 조립과정에서 어퍼오일씰(8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너클부(500)와 타이로드암부(700)가 결합되면서 킹핀로어 베어링부(400) 및 로어오일씰(90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로어오일씰(900)의 조립과정에서 로어오일씰(9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커버 등 별도의 보호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조립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조향장치 10 : 하우징부
100 : 킹핀어퍼부 110 : 제1킹핀어퍼
120 : 제2킹핀어퍼 200 : 킹핀로어부
210 : 제1킹핀로어 220 : 제2킹핀로어
300 : 킹핀어퍼 베어링부 400 : 킹핀로어 베어링부
500 : 너클부 510 : 너클본체
520 : 제1너클블록 521 : 제1너클삽입홈부
522 : 제1너클결합홈부 530 : 제2너클블록
531 : 제2너클삽입홈부 532 : 제2너클결합홈부
600 : 스티어링암부 610 : 스티어링암
611 : 스티어링암본체 611a : 스티어링삽입홈부
612 : 스티어링암연장부 612a : 스티어링결합홀부
620 : 스티어링암결합부 700 : 타이로드암부
710 : 타이로드암 711 : 타이로드암본체
711a : 타이로드암삽입홈부 712 : 타이로드암연장부
712a : 타이로드암결합홀부 713 : 타이로드암연결부
720 : 타이로드암결합부 800 : 어퍼오일씰
900 : 로어오일씰

Claims (9)

  1. 하우징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킹핀어퍼부;
    상기 하우징부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킹핀로어부;
    상기 킹핀어퍼부에 결합되는 킹핀어퍼 베어링부; 및
    상기 킹핀로어부에 결합되는 킹핀로어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 및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너클부;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스티어링암부; 및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타이로드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암부는,
    상기 너클부와 접촉되며,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스티어링삽입홈부가 구비되는 스티어링암; 및
    상기 스티어링암 및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스티어링암결합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클부는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제1너클삽입홈부와,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제2너클삽입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암은 상기 스티어링암결합부가 결합되는 스티어링결합홀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클부는 상기 스티어링결합홀부와 마주보며, 상기 스티어링암결합부가 결합되는 제1너클결합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6. 하우징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킹핀어퍼부;
    상기 하우징부에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킹핀로어부;
    상기 킹핀어퍼부에 결합되는 킹핀어퍼 베어링부;
    상기 킹핀로어부에 결합되는 킹핀로어 베어링부;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 및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너클부;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스티어링암부; 및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타이로드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너클부는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제1너클삽입홈부와,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제2너클삽입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로드암부는,
    상기 너클부와 접촉되며,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타이로드암삽입홈부를 구비하는 타이로드암; 및
    상기 타이로드암 및 상기 너클부와 결합되는 타이로드암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로드암은 상기 타이로드암결합부가 결합되는 타이로드암결합홀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클부는 상기 타이로드암결합홀부와 마주보며, 타이로드암결합부가 결합되는 제2너클결합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킹핀어퍼부에 결합되며, 상기 킹핀어퍼 베어링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위치되는 어퍼오일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킹핀로어부에 결합되며, 상기 킹핀로어 베어링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위치되는 로어오일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KR1020220084424A 2022-07-08 2022-07-08 차량용 조향장치 Active KR10271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24A KR102714720B1 (ko) 2022-07-08 2022-07-08 차량용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24A KR102714720B1 (ko) 2022-07-08 2022-07-08 차량용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473A KR20240007473A (ko) 2024-01-16
KR102714720B1 true KR102714720B1 (ko) 2024-10-11

Family

ID=8971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424A Active KR102714720B1 (ko) 2022-07-08 2022-07-08 차량용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47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0228C5 (de) * 2001-10-11 2008-09-18 Daimler Ag Vorderachse eines Kraftfahrzeugs mit lenkbaren, angetriebenen oder nicht angetriebenen Rädern
KR102041918B1 (ko) * 2014-11-10 2019-11-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지오메트리 독립 가변형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473A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7276A1 (ja) 作業車輌
KR102714720B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H11115769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6149197A (en) Structure of front body of automobiles
JP3199759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車体前部構造
CN218577831U (zh) 转向管柱的密封结构及车辆
JPH0453343Y2 (ko)
KR100953384B1 (ko) 지게차용 카울 커버
JP3806587B2 (ja) 舵取装置の取付構造
JPH08301139A (ja) 車両用アクスル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の配設構造
KR100371037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엔드용 더스트씰이탈방지구조
JP6811159B2 (ja) 鞍乗型車両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KR19980037122U (ko) 일체형 프론트 패널 조립체
JPH0214499Y2 (ko)
JP414200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182569B2 (ja) 車両用ブレーキの液圧制御バルブ
JPH10205389A (ja) エンジンのミッションケース取付側構造
KR100380369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장착구조
JPH035173Y2 (ko)
JPH0246429B2 (ko)
JPS6342684Y2 (ko)
JP2002046629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の取付構造
JP2546397Y2 (ja) トラクターのアクスルケース取付構造
JPS6210531Y2 (ko)
KR200193850Y1 (ko) 4륜구동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