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4467B1 -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4467B1
KR102714467B1 KR1020190088472A KR20190088472A KR102714467B1 KR 102714467 B1 KR102714467 B1 KR 102714467B1 KR 1020190088472 A KR1020190088472 A KR 1020190088472A KR 20190088472 A KR20190088472 A KR 20190088472A KR 102714467 B1 KR102714467 B1 KR 102714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ousing
female housing
mail
fema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257A (ko
Inventor
조정민
김인식
박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4467B1/ko
Priority to US16/904,961 priority patent/US11196208B2/en
Priority to CN202010611565.9A priority patent/CN112290274B/zh
Publication of KR2021001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44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단자를 보호하여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최소의 구성으로 종래의 무빙플레이트를 이용한 단자 보호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DEVICE FOR PROTECTING TERMINAL OF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단자를 보호하여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전장부품들의 와이어링을 위해 커넥터가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는 전기배선들 간에 상호 연결을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전기배선과 전장부품 간에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단자의 수에 따라 단극 커넥터와 다극 커넥터로 구분된다. 차량용 커넥터는 주로 다극 커넥터가 사용된다. 상기 다극 커넥터는 사이즈에 따라 소형 커넥터와 대형 커넥터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의 다극 커넥터는 복수의 메일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복수의 피메일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은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공간은 피메일하우징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다극 커넥터는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메일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증대되고 상기 내부공간이 증대됨에 따라 메일단자에 미치는 외력의 영향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대형 다극 커넥터의 경우 외력에 의해 메일단자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메일단자가 변형되는 경우,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결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 및 상기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 간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메일단자의 보호를 위한 무빙플레이트가 적용된바 있다. 상기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삽입되기 전까지, 상기 무빙플레이트는 메일하우징의 단자를 덮어서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삽입될 때에, 상기 무빙플레이트는 피메일하우징과 함께 이동하여 메일하우징의 바닥까지 진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메일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에, 상기 무빙플레이트는 피메일하우징과 함께 이동하여 메일하우징내 설정된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메일단자를 덮어서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무빙플레이트의 작동을 위해 상기 무빙플레이트뿐만 아니라 메일하우징 및 피메일하우징에도 상기와 같은 무빙플레이트의 작동을 서포트하기 위한 각각의 구조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은, 각각 무빙플레이트의 임의 하강을 방지하고 무빙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 메일하우징내 무빙플레이트의 추가 진입을 위한 구조, 무빙플레이트의 복귀를 위한 구조, 및 무빙플레이트의 추가 상승을 방지하고 무빙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가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에 구비됨에 따라 커넥터의 사이즈 증대가 초래된다. 따라서 소형 다극 커넥터의 경우 상기 무빙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단자를 보호하는 것이 곤란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최소의 구성으로 종래의 무빙플레이트를 이용한 단자 보호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는, 무빙커버락이 구비되며 메일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조립되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메일단자들을 지지하는 무빙커버; 상기 메일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피메일하우징이 미삽입될 때 상기 무빙커버락을 받쳐줌에 의해 상기 무빙커버가 상기 소정 위치에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일하우징락;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피메일하우징이 삽입될 때 상기 무빙커버락을 메일하우징락에서 이탈시킴에 의해, 상기 메일하우징락에 의해 무빙커버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해제시키는 피메일하우징락;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피메일하우징이 이탈될 때 상기 무빙커버락이 상기 피메일하우징락에 걸려 상기 피메일하우징락과 함께 이동됨에 의해 상기 무빙커버가 상기 소정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무빙커버는, 메일단자들이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된 무빙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소정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접촉하는 무빙커버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커버락은, 무빙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락부재와;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락부재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2 락부재;를 포함하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락부재와 제2 락부재 사이로 진입하는 피메일하우징락에 밀림에 의해 상기 제1 락부재와 제2 락부재가 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서 이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하측부와 접촉하면서 밀리게 되는 제1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하측부와 접촉하면서 밀리게 되는 제2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이 걸리는 제1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고,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이 걸리는 제2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고,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경사면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미삽입될 때 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걸리는 제1 하측 수평면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미삽입될 때 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걸리는 제2 하측 수평면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접촉하여 밀리게 되는 제1-2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2 경사면은 상기 제1 걸림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접촉하여 밀리게 되는 제2-2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2 경사면은 상기 제2 걸림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2 경사면은 상기 제1-2 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하측 수평면은, 제1 락부재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메일하우징의 내측면과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메일하우징락과는 접촉하게 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된 피메일하우징락과는 비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측 수평면은, 제2 락부재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메일하우징의 내측면과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메일하우징락과는 접촉하게 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된 피메일하우징락과는 비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면과 제1 걸림부 및 제1-2 경사면은, 제1 락부재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메일하우징의 내측면과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된 피메일하우징락과는 접촉하게 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메일하우징락과는 비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경사면과 제2 걸림부 및 제2-2 경사면은, 제2 락부재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메일하우징의 내측면과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된 피메일하우징락과는 접촉하게 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메일하우징락과는 비접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이탈방지턱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무빙커버가 소정 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이탈방지턱에 걸리게 되는 이탈방지바가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부에는 피메일하우징락의 하측부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확장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피메일하우징락의 하측부에 밀려서 휘어진 상기 제1 락부재와 제2 락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락부재와 제2 락부재 사이에 잡히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무빙플레이트를 이용한 단자 보호 구조를 최소한의 구성으로 구현하여 상기 단자 보호 구조에 의한 커넥터의 사이즈 증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대형 다극 커넥터는 물론이고 소형 다극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커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가 결합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무빙커버가 조립된 메일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B-B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결합되기 직전 상태를 도 7의 E-E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이 결합되기 직전 상태를 도 7의 D-D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피메일하우징이 메일하우징내에 삽입될 때 피메일하우징락과 무빙커버락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피메일하우징이 메일하우징내에 완전 삽입된 경우 피메일하우징락과 무빙커버락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피메일하우징이 메일하우징에서 이탈되기 시작할 때 피메일하우징락과 무빙커버락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a는 피메일하우징이 메일하우징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과 무빙커버락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b는 피메일하우징이 메일하우징에서 이탈될 때 메일하우징락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피메일하우징이 메일하우징에서 이탈될 때 무빙커버의 이탈방지를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피메일하우징이 메일하우징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이 무빙커버락에서 분리되고 무빙커버락이 복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울러, 상기 도 5 및 도 6을 제외한 도면들은 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가 생략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무빙커버(13)가 조립되는 메일하우징(11)과 상기 메일하우징(11)에 결합되는 피메일하우징(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과 도 2 및 도 5 내지 9 등을 참조하면, 상기 메일하우징(11)은 피메일하우징(12)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11s)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11s)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일단자(111)가 구비된다. 상기 메일단자(111)의 접속부는 메일하우징(11)의 바닥면(11a)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11s)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일단자(111)의 접속부는 피메일단자(121)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메일단자(111)의 접속부를 제외한 부분은 메일하우징(11)내에 고정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1s)은 상기 메일하우징(11)의 바닥면(11a)과 내측면(11b)으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즉, 상기 수용공간(11s)은 피메일하우징(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쪽면이 개방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일하우징(11)의 상단면은 개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일하우징(11)의 상단면은 대략 직사각 모양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이 수용공간(11s)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일하우징(11)의 상단면과 바닥면(11a)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은 상기 수용공간(11s)에 삽입되어 메일하우징(11)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은 상기 수용공간(11s)에 삽입되어서 메일하우징(11)의 바닥면(11a)까지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은 다수의 단자홀(122)이 타공되어 있는 블록형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단자홀(122)마다 피메일단자(121)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은 다수의 피메일단자(121)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단자(121)의 접속부는 상기 단자홀(122)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피메일단자(121)의 접속부를 제외한 부분은 단자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피메일하우징(12)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하우징(12)과 메일하우징(11)이 결합될 때, 상기 메일단자(111)의 접속부가 피메일단자(121)의 접속부에 삽입되어 접촉되면서 메일단자(111)와 피메일단자(121)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피메일단자(121)의 접속부는 상기 메일단자(111)의 접속부가 삽입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일하우징(11)의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 결합되기 이전에, 메일단자(111)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
도 3 및 도 5 내지 9 등을 참조하면, 상기 무빙커버(13)는 메일하우징(11)에 조립되어 메일단자(111)의 접속부를 보호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메일하우징(12)이 수용공간(11s)에 미삽입되는 경우, 상기 무빙커버(13)는 메일단자(111)의 접속부 말단에 배치되어 메일단자(111)의 변형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빙커버(13)는 수용공간(11s)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판형의 무빙플레이트(13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플레이트(13a)는 메일단자(111)들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홀(13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빙플레이트(13a)는 복수의 관통홀(13b)에 끼워진 메일단자(111)들을 지지해주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무빙커버(13)가 메일하우징(11)에 조립될 때, 상기 무빙플레이트(13a)는 수용공간(11s)의 소정 위치(즉,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플레이트(13a)는 수용공간(11s)내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빙커버(13)는 한 쌍의 무빙커버락(13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무빙커버락(13c)은 무빙플레이트(13a)의 양쪽 가장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플레이트(13a)가 상기 정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무빙커버락(13c)은 무빙플레이트(13a)가 상기 정위치로부터 메일하우징(11)의 바닥면(11a)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커버락(13c)은 무빙커버(13)가 임의로 메일하우징(11)의 바닥면(11a)쪽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과 미결합될 때, 상기 무빙커버(13)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외력에 의해 메일하우징(11)의 바닥면쪽으로 하강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무빙커버락(13c)은 메일하우징락(112)에 지지되어 무빙커버(13)의 임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일하우징락(112)은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일하우징락(112)은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에서 일정 두께로 돌출되어 상기 무빙커버락(13c)의 하측 수평면(131h,132h)을 받쳐줄 수 있다. 즉, 상기 무빙커버락(13c)은 상기 메일하우징락(112)의 상측 수평면(112a)에 적층된 형태로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무빙커버락(13c)의 하측 수평면(131h,132h)과 상기 메일하우징락(112)의 상측 수평면(112a)은 피메일하우징(12)의 삽입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평면일 수 있다.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 삽입될 때, 상기 무빙커버락(13c)이 피메일하우징락(123)에 의해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쪽으로 벌어짐에 의해 무빙커버(13)의 하강을 차단하는 무빙커버락(13c) 및 메일하우징락(112)의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커버락(13c)은 피메일하우징락(123)에 의해 작동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무빙커버락(13c)이 작동 해제될 때, 상기 무빙커버락(13c)은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메일하우징락(112)의 상측 수평면(112a)에서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커버락(13c)이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쪽으로 벌어질 때, 상기 무빙커버(13)는 메일하우징(11)의 바닥면(11a)으로 하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무빙커버락(13c)이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쪽으로 벌어질 때, 상기 무빙커버(13)는 피메일하우징락(123)에 의해 피메일하우징(12)과 함께 하강될 수 있다.
상기 무빙커버락(13c)은 무빙플레이트(13a)의 가장자리부에 구비된 한 쌍의 락부재(131,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락부재(131,132)는 무빙플레이트(13a)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락부재(132)는 제1 락부재(131)와 마주하여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일하우징(11)내 무빙플레이트(13a)의 슬라이딩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는 무빙플레이트(13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부재(131) 및 제2 락부재(132)를 포함하는 무빙커버(13)는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빙커버(13)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9 내지 13을 참조하면,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내에 삽입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은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는 피메일하우징락(123)에 의해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휘어지게 된다.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가 피메일하우징락(123)에 밀려서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쪽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는 메일하우징락(112)의 상측 수평면(112a)에서 이탈하여 분리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무빙커버락(13c)의 상측부에는 피메일하우징락(123)의 하측부(123d)가 진입가능한 진입공간(13s)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입공간(13s)은 제1 락부재(131)의 상측부와 제2 락부재(132)의 상측부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진입공간(13s)은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가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쪽으로 벌어지기 이전부터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의 하측부(123d)가 진입가능한 공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입공간(13s)은 피메일하우징(12)의 삽입방향으로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입공간(13s)은 대략 V 모양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는 각각 상기 진입공간(13s)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131c)과 제2 경사면(132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은 상기 제1 경사면(131c)과 제2 경사면(132c)을 타고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를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쪽으로 휘어지게 한다. 즉,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이 상기 진입공간(13s)을 관통할 때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가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는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탄성복원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은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에 진입할 때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복원력이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를 벌리는 힘보다 커지게 되면, 피메일하우징락(123)은 무빙커버락(13c)과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부에는 확장부(12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23b)는 피메일하우징락(123)의 하측부(123d)보다 큰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장부(123b)는 피메일하우징(12)의 이탈방향으로 그 너비가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부(123b)의 너비는 피메일하우징락(123)의 하측부(123d)에서부터 피메일하우징(12)의 이탈방향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23b)의 최소 너비 값은 피메일하우징락(123)의 하측부(123d)의 최대 너비 값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23b)의 최대 너비는 상기 진입공간(13s)의 최대 너비보다 일정치만큼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장부(123b)가 구비됨에 의해,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은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에 슬라이딩되지 않고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에 끼인 상태로 잡히게 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은 피메일하우징(12)의 외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피메일하우징락(123)이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에 끼여서 고정됨에 의해, 무빙커버(13)는 피메일하우징(12)과 함께 메일하우징(11)의 바닥면(11a)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확장부(123b)가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를 통과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이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를 가압하는 힘보다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의 탄성복원력이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피메일하우징락(123)이 무빙커버락(13c)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장부(123b)가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에 고정됨에 의해,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은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부(123b)는 제1 수직면(131d)과 제2 수직면(132d) 사이에 접촉한 상태로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직면(131d)과 제2 수직면(132d)은 확장부(123b)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확장부(123b)를 가압하여 붙잡을 수 있다. 상기 확장부(123b)의 외측면은 피메일하우징(12)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수직면(131d)은 제1 경사면(131c)에 이웃하여 제1 경사면(131c)의 하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수직면(132d)은 제2 경사면(132c)에 이웃하여 제1 경사면(131c)의 하측단에 배치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빙커버(13)가 피메일하우징(12)과 함께 이동될 때 무빙플레이트(13a)가 메일하우징(11)의 바닥면(11a)에 닿게 되면, 피메일하우징(12)은 무빙플레이트(13a)에 닿을 때까지 단독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은 무빙커버락(13c)에서 이탈되면서 제1 락부재(131)의 하측부(즉, 제1 바디부)와 제2 락부재(132)의 하측부(즉, 제2 바디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는 피메일하우징락(123)에 의해 휘어지기 이전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14 내지 15b를 참조하면,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이 이탈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승하게 될 때,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는 피메일하우징락(123)에 의해 메일하우징락(112)의 양쪽으로 벌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이 상승하게 될 때,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는 피메일하우징락(123)에 의해 서로 반대편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무빙커버(13)의 상승이 메일하우징락(112)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상기 제1 락부재(131)는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과 접촉하게 되는 제1-2 경사면(131f)이 구비될 수 있다.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2 경사면(131f)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2 경사면(131f)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 경사면(131f)은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에 밀려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락부재(132)는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과 접촉하게 되는 제2-2 경사면(132f)이 구비될 수 있다.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될 때, 상기 메일하우징락(112)의 상측 수평면(112a)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2-2 경사면(132f)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2 경사면(132f)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에 밀려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은 상기 제1-2 경사면(131f)과 제2-2 경사면(132f)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2 경사면(131f)과 제2-2 경사면(132f)을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양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2 경사면(131f)은 제1 경사면(131c) 및 제1 수직면(131d)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2 경사면(132f)은 제2 경사면(132c) 및 제2 수직면(132d)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2 경사면(131f)과 제2-2 경사면(132f)이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양쪽으로 밀리게 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이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는 무빙커버(13)가 피메일하우징(12)과 함께 상승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무빙커버(13)가 피메일하우징(12)과 함께 상승하도록 하기 위해, 피메일하우징락(123)은 무빙플레이트(13a)가 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1 락부재(131) 및 제2 락부재(132)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락부재(131)는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의 수용공간(11s)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에 걸리는 제1 걸림부(131e)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131e)는 피메일하우징(12)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제1 경사면(131c) 및 제1 수직면(131d)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림부(131e)는 제1 수직면(131d)과 제1-2 경사면(131f)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락부재(132)는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에 걸리는 제2 걸림부(132e)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132e)는 피메일하우징(12)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제2 경사면(132c) 및 제2 수직면(132d)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132e)는 제2 수직면(132d)과 제2-2 경사면(132f)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이 제1 걸림부(131e) 및 제2 걸림부(132e)에 걸림에 의해, 피메일하우징락(123)이 무빙커버락(13c)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메일하우징(12)을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무빙커버(13)는 피메일하우징(12)과 함께 메일하우징(11)의 상측면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될 때 무빙커버락(13c)이 메일하우징락(112)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일하우징락(112)은 대략 삼각 모양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일하우징락(112)의 하측부에는 제1 하측 경사면(112b)과 제2 하측 경사면(112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 경사면(112b)과 제2 하측 경사면(112c)은 메일하우징락(112)의 상측 수평면(112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무빙커버(13)가 피메일하우징(12)과 함께 상승되어 메일하우징(11)내 소정 위치에 복귀하게 될 때, 상기 무빙커버(13)의 이탈방지부(133)는 메일하우징(11)의 이탈방지턱(113)에 걸리게된다. 상기 이탈방지부(133)는 무빙플레이트(13a)의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무빙커버락(13c)이 미배치된 무빙플레이트(13a)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턱(113)은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33)가 이탈방지턱(113)에 걸림에 의해 무빙커버(13)의 상승이 중단되고 피메일하우징(12)만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은 무빙커버락(13c)의 제1 걸림부(131e)와 제2 걸림부(132e)에서 이탈되게 된다(도 17 참조).
도 8 내지 12 및 도 15a 내지 15b를 참조하면, 상기 메일하우징락(112)과 피메일하우징락(123)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는 각각 그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메일하우징락(112)과 접촉하는 제1 구간과 피메일하우징락(123)과 접촉하는 제2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두께방향은 메일하우징락(112)이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방향 및 피메일하우징락(123)이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제1 락부재(131)의 제1-1 경사면(131g)과 제1 하측 수평면(131h)은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과 피메일하우징(12)의 외측면 중 상기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된다. 이에 상기 제1-1 경사면(131g)과 제1 하측 수평면(131h)은 메일하우징락(112)과는 접촉하게 되고 피메일하우징락(123)과는 비접촉하게 된다. 제2 락부재(132)의 제2-1 경사면과 제2 하측 수평면(132h)은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11b)과 피메일하우징(12)의 외측면 중 상기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11b)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구간에 포함된다. 이에 상기 제2-1 경사면(132g)과 제2 하측 수평면(132h)은 메일하우징락(112)과는 접촉하게 되고 피메일하우징락(123)과는 비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락부재(131)의 제1 경사면(131c)과 제1 수직면(131d)과 제1 걸림부(131e) 및 제1-2 경사면(131f)은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11b)과 피메일하우징(12)의 외측면 중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 구간에 포함된다. 이에 상기 제1 경사면(131c)과 제1 수직면(131d)과 제1 걸림부(131e) 및 제1-2 경사면(131f)은 피메일하우징락(123)과는 접촉하게 되고 메일하우징락(112)과는 비접촉하게 된다. 제2 락부재(132)의 제2 경사면(132c)과 제2 수직면(132d)과 제2 걸림부(132e) 및 제2-2 경사면(132f)은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11b)과 피메일하우징(12)의 외측면 중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 구간에 포함된다. 이에 상기 제2 경사면(132c)과 제2 수직면(132d)과 제2 걸림부(132e) 및 제2-2 경사면(132f)은 피메일하우징락(123)과는 접촉하게 되고 메일하우징락(112)과는 비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락부재(131)는 무빙플레이트(13a)의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모양의 제1 바디부(131a)와 상기 제1 바디부(131a)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1 헤드부(131b)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락부재(132)는 무빙플레이트(13a)의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모양의 제2 바디부(132a)와 상기 제2 바디부(132a)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헤드부(132b)로 구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제1 구간과 제2 구간은 상기 제1 헤드부(131b) 및 제2 헤드부(132b)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부재(131)의 제1 구간에는 제1-1 경사면(131g)과 제1 하측 수평면(131h)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 경사면(131g)은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될 때 메일하우징락(112)의 제1 하측 경사면(112b)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 수평면(131h)은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과 미결합될 때 메일하우징락(112)의 상측 수평면(112a)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 제1 락부재(131)의 제2 구간에는 제1 경사면(131c)과 제1 수직면(131d)과 제1 걸림부(131e) 및 제1-2 경사면(131f)이 구비될 수 있다.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 결합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하측부(123d)가 상기 제1 경사면(131c)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이 상기 제1 걸림부(131e)에 접촉하여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빠져나올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이 상기 제1-2 경사면(131f)에 접촉하게 됨에 의해 제1 락부재(131)가 피메일하우징락(123)에 밀려 제2 락부재(132)의 반대편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락부재(132)의 제1 구간에는 제2-1 경사면(132g)과 제2 하측 수평면(132h)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1 경사면(132g)은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이탈될 때 메일하우징락(112)의 제2 하측 경사면(112c)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측 수평면(132h)은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과 미결합될 때 메일하우징락(112)의 상측 수평면(112a)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 제2 락부재(132)의 제2 구간에는 제2 경사면(132c)과 제2 수직면(132d)과 제2 걸림부(132e) 및 제2-2 경사면(132f)이 구비될 수 있다.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내에 삽입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하측부(123d)가 상기 제2 경사면(132c)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분리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이 상기 제2 걸림부(132e)에 접촉하여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빠져나올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이 상기 제2-2 경사면(132f)에 접촉하게 됨에 의해 제2 락부재(132)가 피메일하우징락(123)에 밀려 제1 락부재(131)의 반대편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내에서 상승될 때,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상측 수평면(123a)은 상기 제1-2 경사면(131f)과 제2-2 경사면(132f)에 접촉한 이후부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를 피메일하우징락(123)의 양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메일하우징락(112)은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의 제1 구간에만 접촉되고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의 제2 구간에는 비접촉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락(123)은 상기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의 제2 구간에만 접촉되고 제1 락부재(131)와 제2 락부재(132)의 제1 구간에는 비접촉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일하우징락(112)과 피메일하우징락(123)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 결합되거나 피메일하우징(12)이 메일하우징(11)에서 분리될 때, 상기 메일하우징락(112)과 피메일하우징락(123)은 서로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메일하우징(11)에는 무빙커버(13)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114)이 구비될 수 있다. 무빙커버(13)에는 상기 제1 가이드홈(1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가이드바(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홈(114)과 제1 가이드바(134)에 의해 상기 무빙커버(13)는 메일하우징(11)내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홈은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11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바(134)는 무빙커버(13)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하우징(11)에는 피메일하우징(1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1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메일하우징(12)에는 상기 제2 가이드홈(1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가이드바(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홈(115)과 제2 가이드바(124)에 의해 상기 피메일하우징(12)은 메일하우징(11)내에서 흔들림없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홈(115)은 메일하우징(11)의 내측면(11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바(124)는 피메일하우징(12)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커넥터 11 : 메일하우징
11a : 메일하우징의 바닥면 11b : 메일하우징의 내측면
11s : 수용공간 111 : 메일단자
112 : 메일하우징락 112a : 상측 수평면
112b : 제1 하측 경사면 112c : 제2 하측 경사면
113 : 이탈방지턱 114 : 제1 가이드홈
115 : 제2 가이드홈
12 : 피메일하우징 121 : 피메일단자
122 : 단자홀 123 : 피메일하우징락
123a : 상측 수평면 123b : 확장부
123d : 피메일하우징의 하측부 124 : 제2 가이드바
13 : 무빙커버 13a : 무빙플레이트
13b : 관통홀 13c : 무빙커버락
13s : 진입공간
131 : 제1 락부재 131a : 제1 바디부
131b : 제1 헤드부 131c : 제1 경사면
131d : 제1 수직면 131e : 제1 걸림부
131f : 제1-2 경사면 131g : 제1-1 경사면
131h : 제1 하측 수평면
132 : 제2 락부재 132a : 제2 바디부
132b : 제2 헤드부 132c : 제2 경사면
132d : 제2 수직면 132e : 제2 걸림부
132f : 제2-2 경사면 132g : 제2-1 경사면
132h : 제2 하측 수평면 133 : 이탈방지부
134 : 제1 가이드바

Claims (13)

  1. 무빙커버락이 구비되며, 메일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조립되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된 메일단자들을 지지하는 무빙커버;
    상기 메일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피메일하우징이 미삽입될 때 상기 무빙커버락을 받쳐줌에 의해 상기 무빙커버가 상기 소정 위치에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일하우징락;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피메일하우징이 삽입될 때 상기 무빙커버락을 메일하우징락에서 이탈시킴에 의해, 상기 메일하우징락에 의해 무빙커버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해제시키는 피메일하우징락;
    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피메일하우징이 이탈될 때 상기 무빙커버락이 상기 피메일하우징락에 걸려 상기 피메일하우징락과 함께 이동됨에 의해 상기 무빙커버가 상기 소정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무빙커버는:
    메일단자들이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된 무빙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소정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접촉하는 무빙커버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빙커버락은:
    무빙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락부재와;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락부재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2 락부재;를 포함하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락부재와 제2 락부재 사이로 진입하는 피메일하우징락에 밀림에 의해 상기 제1 락부재와 제2 락부재가 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서 이탈되고,
    상기 제1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하측부와 접촉하면서 밀리게 되는 제1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하측부와 접촉하면서 밀리게 되는 제2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이 걸리는 제1 걸림부가 구비되고,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이 걸리는 제2 걸림부가 구비되고, 피메일하우징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경사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미삽입될 때 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걸리는 제1 하측 수평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미삽입될 때 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걸리는 제2 하측 수평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접촉하여 밀리게 되는 제1-2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2 경사면은 상기 제1 걸림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락부재는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탈될 때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 수평면에 접촉하여 밀리게 되는 제2-2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2 경사면은 상기 제2 걸림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2 경사면은 상기 제1-2 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측 수평면은, 메일하우징의 내측면과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메일하우징락과는 접촉하게 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된 피메일하우징락과는 비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측 수평면은, 메일하우징의 내측면과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메일하우징락과는 접촉하게 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된 피메일하우징락과는 비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제1 걸림부 및 제1-2 경사면은, 메일하우징의 내측면과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된 피메일하우징락과는 접촉하게 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메일하우징락과는 비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과 제2 걸림부 및 제2-2 경사면은, 메일하우징의 내측면과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 중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된 피메일하우징락과는 접촉하게 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된 메일하우징락과는 비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이탈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무빙커버가 소정 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이탈방지턱에 걸리게 되는 이탈방지바가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락의 상측부에는 피메일하우징락의 하측부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확장부가 구비되며,
    피메일하우징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피메일하우징락의 하측부에 밀려서 휘어진 상기 제1 락부재와 제2 락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락부재와 제2 락부재 사이에 잡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KR1020190088472A 2019-07-22 2019-07-22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Active KR102714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472A KR102714467B1 (ko) 2019-07-22 2019-07-22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US16/904,961 US11196208B2 (en) 2019-07-22 2020-06-18 Terminal protection device of connector
CN202010611565.9A CN112290274B (zh) 2019-07-22 2020-06-29 连接器的端子保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472A KR102714467B1 (ko) 2019-07-22 2019-07-22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257A KR20210011257A (ko) 2021-02-01
KR102714467B1 true KR102714467B1 (ko) 2024-10-07

Family

ID=7418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472A Active KR102714467B1 (ko) 2019-07-22 2019-07-22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96208B2 (ko)
KR (1) KR102714467B1 (ko)
CN (1) CN1122902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3218B1 (ko) * 2022-06-03 2024-08-08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이동 부재와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764798B1 (ko) * 2023-12-14 2025-02-11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4981A (ja) * 2016-01-27 2017-08-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8022629A (ja) 2016-08-04 2018-02-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及びコネクタ
JP2018092780A (ja) * 2016-12-02 2018-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2019046636A (ja) 2017-08-31 2019-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111Y2 (ja) * 1993-05-10 1998-12-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413718B2 (ja) * 2004-09-01 2010-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5012086B2 (ja) * 2007-02-26 2012-08-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7044661B3 (de) * 2007-09-18 2008-11-1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adapter
JP5476999B2 (ja) * 2010-01-08 2014-04-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656049U (zh) * 2010-04-20 2010-11-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6138428B2 (ja) * 2012-05-29 2017-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455521B2 (en) * 2014-12-03 2016-09-27 Hyundai Motor Company Lever type connector
KR20180028693A (ko) * 2016-09-09 201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그 커넥터조립체
KR102648813B1 (ko) * 2016-12-20 2024-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4981A (ja) * 2016-01-27 2017-08-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8022629A (ja) 2016-08-04 2018-02-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及びコネクタ
JP2018092780A (ja) * 2016-12-02 2018-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2019046636A (ja) 2017-08-31 2019-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8573A1 (en) 2021-01-28
CN112290274A (zh) 2021-01-29
CN112290274B (zh) 2024-06-07
KR20210011257A (ko) 2021-02-01
US11196208B2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576B1 (ko) 전기 커넥터
US891575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530082B2 (en)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a pair of locking arms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CN107069265A (zh) 带引导零件的电连接器
US8986020B2 (en) Inter-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CN104466533A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装置
KR102714467B1 (ko) 커넥터의 단자 보호 장치
CN103811929B (zh) 电连接器
KR100753925B1 (ko) 커넥터
KR20200000709U (ko) 플러그인 커넥터 장치
CN112490774B (zh) 线端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10263907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50001574A (ko) 커넥터
US9537240B2 (en) Electric connector
JP6041949B2 (ja) 金具付電気コネクタ
US20190020143A1 (en) Poke-in connector
EP2154756B1 (en) Electronic device and receptable connector thereof
KR101290675B1 (ko) 커넥터 장치
CN105098434B (zh) 电连接器
KR102628604B1 (ko)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2125583B1 (ko)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 및 베이스 커넥터의 베이스 하우징
KR100729563B1 (ko) 초소형 정밀 커넥터
CN218569303U (zh) 连接器
KR102539251B1 (ko) 디렉트 플러그-인 커넥터를 위한 컨택트, 및 디렉트 플러그-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