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3301B1 -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 Google Patents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3301B1
KR102713301B1 KR1020237043879A KR20237043879A KR102713301B1 KR 102713301 B1 KR102713301 B1 KR 102713301B1 KR 1020237043879 A KR1020237043879 A KR 1020237043879A KR 20237043879 A KR20237043879 A KR 20237043879A KR 102713301 B1 KR102713301 B1 KR 102713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creatic cancer
podxl
scgb1d2
amino acid
th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5121A (ko
Inventor
케이스케 타니우치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고치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고치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고치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240005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33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38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iver, pancreas or kidne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07K16/303Liver or Panc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2Disease subtyping, staging or class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8Prognosis of disease develo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에 대해서 높은 감도와 특이성을 나타내는 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당해 마커를 검출하는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진단 키트, 및, 당해 마커를 이용해서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는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 및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진단 키트는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 및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MARKER FOR PANCREATIC CANCER AND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S}
본 발명은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에 대해서 높은 감도와 특이성을 나타내는 마커, 당해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진단 키트, 및, 당해 마커를 이용해서 췌장암 세포의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양」이란 이상으로 증식한 세포를 가리키고, 그 이상 증식의 원인이 소실 혹은 제거되어도 세포의 증식이 지속하는 상태를 말한다. 종양 중에서도 양성 종양은 종양의 증식이 늦고, 전이는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절제하면 문제가 없고, 가령 절제하지 않고 방치해 두어도 목숨에 별다른 이상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악성 종양, 즉 암은 양성 종양과는 달리 급속하게 증식하는 데다가,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해서 증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외과적 수술에 의해 제거해도, 조금이라도 잔류한 암세포나, 이미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하고 있었던 암세포가 다시 증식을 개시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암은 일단 치료가 종료한 뒤의 예후가 나쁘고, 각 암에서는 5년 후 생존율이 조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치료에 의해 암이 소실되었다고 여겨지고 나서 5년 경과 후까지 재발이 없을 경우가 겨우 치유되었다고 간주된다.
췌장암은 암 가운데서 가장 예후가 나쁘다고 한다. 그 원인으로서는 췌장이 후복막 장기이기 때문에 조기발견이 곤란하다는 점에 부가해서, 췌장암 세포의 운동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예를 들면 2cm 이하의 작은 암이더라도, 주위의 혈관, 소화관, 신경 등에 곧바로 침윤하고, 또, 근처의 림프절에 전이하거나, 간장 등에 원격 전이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췌장암의 진행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생체 검사가 정확하지만, 생체 검사는 환자에게 고통을 제공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예비적으로 암 마커를 사용한 검사가 수행된다. 암 마커란, 암에 의해 생체 내에서 특이적으로 생산되는 물질로, 그 체액 중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암의 진행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췌장암 마커로서는 약 30년 전부터 암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이상 당쇄인 CA19-9가 사용되고 있으며, 아직 CA19-9를 능가하는 췌장암 마커는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특히 조기 췌장암의 진단에서는 CA19-9는 감도가 낮고, 유용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더욱 우수한 암 마커의 탐색이 수행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특정한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췌장암 마커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27387호
상기한 바와 같이, 췌장암 마커로서는 CA19-9가 실제의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CA19-9는 특히 조기 췌장암에 대한 감도가 낮기 때문에, CA19-9를 대신하는 췌장암 마커가 요구되고 있다.
또,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IPMN)이라는 질환이 있다.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은 방치해 두면 악성 종양화하므로, 선종 단계에서 외과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지만,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에 대한 혈청 진단 마커는 없고, CA19-9의 혈청 농도도 상승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에 대한 혈청 진단 마커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에 대해서 높은 감도와 특이성을 나타내는 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당해 마커를 검출하는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진단 키트, 및, 당해 마커를 이용해서 췌장암의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그 결과, 췌장암 세포의 침윤에 필수적인 박판족에 집적하는 단백질로서 당 단백질인 세크레토글로빈(secretoglobin), 패밀리 1D, 멤버 2와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을 동정하고, 이들 당 단백질이 췌장암 세포로부터 세포 외로 방출된다는 점에서 췌장암의 마커로서 유용하며, 또,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로서도 유용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이하, 본 발명을 나타낸다.
[1]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 및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2] 상기 [1]에서, 상기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가, 하기의 (1)∼(3)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1)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2)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이상, 5 이하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3)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서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3] 상기 [1] 또는 [2]에서, 상기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이 하기의 (4)∼(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4)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5)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이상, 25 이하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6)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서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4] 상기 [1]∼ [3] 중 어느 하나에서, 추가로, CA19-9를 포함하는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5]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 및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진단 키트.
[6] 상기 [5]에서, 추가로, CA19-9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진단 키트.
[7] 췌장암 세포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세포의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 및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의 시료 중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췌장암 세포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세포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 및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의 시료 중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상기 [8]에서, 상기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가 하기의 (1)∼(3)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방법:
(1)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2)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이상, 5 이하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3)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서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10] 상기 [8] 또는 [9]에서, 상기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이 하기의 (4)∼(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방법:
(4)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5)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이상, 25 이하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6)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서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11] 상기 [8]∼ [10] 중 어느 하나에서, 추가로, CA19-9의 시료 중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12]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로서의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 및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의 사용.
[13] 상기 [12]에서, 상기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이, 하기의 (1)∼(3)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사용:
(1)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2)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이상, 5 이하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3)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서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14] 상기 [12] 또는 [13]에서, 상기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이 하기의 (4)∼(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사용:
(4)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5)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이상, 25 이하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를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6)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서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15] 상기 [12] ∼ [14] 중 어느 하나에서, 추가로, CA19-9를 병용하는 사용.
본 발명에 따른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는 췌장암 세포에 특징적인 박판족에 집적하는 특정한 당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당해 당 단백질이 췌장암 세포의 운동성이나 침윤에도 직접 관여하고 있는 것과, 세포 외로 분비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발견했다. 췌장암은 조기부터 침윤ㆍ전이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췌장암 세포의 운동성이나 침윤성에 관여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은 조기의 췌장암도 검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 본 발명자는 당해 당 단백질이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진단에도 유효한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는 높은 감도와 특이성으로 췌장암의 진행이나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유무를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CA19-9 등 종래의 종양 마커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S2-013 세포의 SCGB1D2, PODXL 및 액틴을 면역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S2-013 세포의 배양액과 용해물(lysate)에서의 SCGB1D2, PODXL, CD63 및 GAPDH를 웨스턴 블롯법으로 검출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3은 췌장암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의 혈청시료 중의 SCGB1D2 농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췌장암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의 혈청시료 중의 PODXL 농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IPMN) 환자 그룹 및 췌장암 스테이지별의 혈청시료 중의 SCGB1D2 농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IPMN 환자 그룹 및 췌장암 스테이지별의 혈청시료 중의 PODXL 농도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췌장암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 사이에서의 SCGB1D2 및 CA19-9의 측정값 감도-특이도 그래프이다.
도 8은 췌장암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 사이에서의 PODXL 및 CA19-9의 측정값 감도-특이도 그래프이다.
도 9는 췌장암 환자 그룹 + IPMN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 사이에서의 SCGB1D2 및 CA19-9의 측정값 감도-특이도 그래프이다.
도 10은 췌장암 환자 그룹 + IPMN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 사이에서의 PODXL 및 CA19-9의 측정값 감도-특이도 그래프이다.
도 11은 췌장암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 사이에서의 SCGB1D2 + PODXL 및 CA19-9 단독의 측정값 감도-특이도 그래프이다.
도 12는 췌장암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 사에서의 SCGB1D2 + PODXL + CA19-9 및 CA19-9 단독의 측정값 감도-특이도 그래프이다.
도 13은 췌장암 환자 그룹 + IPMN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 사이에서의 SCGB1D2 + PODXL 및 CA19-9 단독의 측정값 감도-특이도 그래프이다.
도 14는 췌장암 환자 그룹 + IPMN 환자 그룹과 컨트롤 그룹 사이에서의 SCGB1D2 + PODXL + CA19-9 및 CA19-9 단독의 측정값 감도-특이도 그래프이다.
1. 췌장암 및 IPMN의 마커
본 발명에 따른 췌장암 및 IPMN의 마커는 세크레토글로빈, 패밀리 1D, 멤버 2(secretoglobin, family 1D, member 2, 이하, 「SCGB1D2」라고 약기한다) 및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podocalyxin-like protein, 이하, 「PODXL」이라고 약기한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이다. 당해 단백질을 검출 대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높은 감도와 특이성으로 췌장암의 진행이나 IPMN의 유무를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도」란 췌장암 및 IPMN에 대한 감도로, 예를 들면, 상기 단백질을 검출 대상으로 했을 경우에 췌장암 환자 및 IPMN 환자가 음성으로 판단되는 확률이 낮은 것을 말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이성」이란 췌장암 및 IPMN에 대한 특이성으로, 상기 단백질의 양과 췌장암 및 IPMN의 유무와의 사이에 강한 상관성이 있는 한편으로, 상기 단백질의 양이 양성질환이나, 췌장암 및 IPMN 이외의 암과의 상관성이 없거나 또는 낮은 것을 말한다.
본 발명 마커는 췌장암을 대상으로 삼는다. 췌장암의 스테이지 분류에는 일본췌장학회의 췌장암 취급 규약과 국제적인 UICC 분류와 같은 2개의 분류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하의 췌장암취급 규약에 의한 분류법을 사용한다.
스테이지 0 암이 상피 내(점막 내)에 머물러 있다
스테이지 I 암의 직경이 2cm 이하이고, 췌장 내부에 머물러 있다
스테이지 II 암이 췌장의 내부에 머물러 있지만, 직경이 2cm를 넘고 있다.
또는 주위의 림프절에 전이되어 있다
스테이지 III 암이 췌장의 외측으로 조금 확산되어 있지만, 림프절에 전이되어 있지 않다, 또는 암이 췌장의 내측에 머물러 있지만 확산되어 있고, 임프절에 전이되어 있다
스테이지 IV IVA 암이 위ㆍ비장 등, 췌장 주변의 장기나 조직에까지 확산되어 있다
IVB 암이 폐ㆍ간장 등, 췌장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장기에까지 전이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IPMN)」도 검출 대상으로 한다. IPMN은 췌장관 내 유두 선종이라고 하고, 전암병변이며, IPMN이 암화한 종양은 췌장암과는 다른 암으로 정의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IPMN은 방치해 두면 암화하고, 췌장관 외로 침윤했을 경우에는 5년 후 생존율은 현저하게 저하되는 점에서 조기의 발견과 절제가 필요하다. 한편, IPMN의 검출은 종래의 췌장암 마커인 CA19-9에서는 매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IPMN, 및 IPMN으로부터 진행한 악성 종양인 췌장관 내 유두 선암도 췌장암의 정의에 포함시키고, 검출 대상으로 한다.
SCGB1D2는 유테로글로빈 슈퍼패밀리에 포함되는 리포필린 서브패밀리에 포함되는 것으로, 랫트 전립선 유래의 주요한 분비성 당 단백질인 프로스타테인의 상동 분자종이다. 인간 리포필린은 프로스타테인과 기능적으로 동등하다는 점에서 스테로이드호르몬에 의해 전사 제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PODXL은 CD34 관련 패밀리에 속하고, 혈액 세포의 발육이나 분화, 세포의 접착이나 형태 형성 이외에, 암화의 제어에 관여하는 당 단백질이다. 포도칼릭신은 유방암 세포나 전립선암 세포의 악성 표현형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고, 암의 진행성 마커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지만, 본 발명자가 파악하고 있는 한, 췌장암 및 IPMN의 마커로서 유용함이 실험에 의해 증명된 것은 없다.
췌장암 세포는 운동성이 높고 전이되기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박판족(lamellipodia)이라는 세포의 운동성에 관여하는 돌기부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SCGB1D2와 PODXL은 췌장암 세포의 박판족에 집적하고 있는 단백질이다. 또, SCGB1D2와 PODXL은 췌장암 세포 외로 방출되는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췌장암 세포는 조기부터 운동성이나 침윤성을 나타내고, 박판족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췌장암 마커는 진행 췌장암 뿐만 아니라, 조기의 췌장암이나 전이 직후의 췌장암 등도 높은 감도와 특이성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CGB1D2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PODXL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상기 SCGB1D2와 PODXL은 인간에 따라서는 단일 염기 다형이라고 불리는 돌연변이를 가지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돌연변이 단백질도, 췌장암 및 IPMN의 마커로서 유용하다. 즉, 본 발명 범위에는 마커가 이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경우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아미노산 서열(1):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2):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이상, 5 이하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를 가지고, 또한, 췌장암 환자 및 IPMN 환자의 체액 중에 발견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3):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서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며, 또, 췌장암 환자 및 IPMN 환자의 체액 중에 발견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4):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5):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이상, 25 이하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를 가지고, 또한, 췌장암 환자 및 IPMN 환자의 체액 중에 발견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6):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서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고, 또한, 췌장암 환자 및 IPMN 환자의 체액 중에 발견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상기 아미노산 서열(2)에 있어서,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의 수로서는 4 이하 또는 3 이하가 바람직하고, 1 또는 2이 더 바람직하고, 1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 서열(5)에 있어서,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의 수로서는 20 이하, 15 이하 또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8 이하, 6 이하, 5 이하 또는 4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1 또는 2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 서열(3)에서의 서열 동일성으로서는 96% 이상 또는 97% 이상이 바람직하고, 98%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99%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 서열(6)에서의 서열 동일성으로서는, 96% 이상 또는 98% 이상이 바람직하고, 99.0% 이상, 99.2% 이상 또는 99.5%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99.6% 이상 또는 99.8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 서열(2), (3), (5) 및 (6)에 있어서,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의 유무나 위치, 및 서열 동일성은 서열의 직접적인 비교에 의해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서열 해석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해서 해석할 수 있다.
단, 췌장암 세포의 박판족에 집적하는 단백질에 관한 연구예는 적고,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SCGB1D2와 PODXL이 각각 서열번호 1과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 이외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는 보고는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SCGB1D2와 PODXL의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췌장암 및 IPMN의 마커로서는 SCGB1D2와 PODXL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 단백질을 마커로 하는 것에 의해, 각 단백질을 각각 단독으로 마커로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감도나 특이성이 더한층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췌장암 및 IPMN의 마커로서는 SCGB1D2 또는 PODXL과 CA19-9, 추가로, SCGB1D2, PODXL 및 CA19-9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병용에 의해, 감도나 특이성이 더한층 향상한다.
2. 췌장암 및 IPMN의 진단 방법
다음에, 상기 췌장암 및 IPMN의 마커를 검출 대상으로 하는 췌장암 및 IPMN의 진단 방법을 공정 별로 설명한다. 또, 췌장으로부터 전이된 췌장암 세포는 운동성이나 침윤성이 많고, 이러한 운동성이나 침윤성에 필수적인 박판족을 가지고, SCGB1D2와 PODXL을 분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췌장암의 진단 방법은 췌장암 세포의 전이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췌장암을 절제하는 외과적 수술 후, 이미 전이되어 있는 췌장암 세포를, 가령 그 조직이 종래의 췌장암 마커에서는 검출할 수 없을 만큼의 작은 것이더라도 본 발명 방법에 의해 검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1) 시료의 취득 공정
본 공정에서는 피험자로부터 시료를 취득한다. 여기에서의 시료란 혈액, 림프액, 요 등 피험자의 체액에 부가해서, 혈청이나 혈장 등, 채취한 체액을 처리한 말을 한다.
본 공정에서 사용하는 시료로서는 혈액 시료가 바람직하다. 혈액시료는 상기의 혈액 자체, 혈청 또는 혈장을 말한다.
(2) SCGB1D2 및/또는 PODXL의 측정 공정
본 공정에서는 SCGB1D2 및 PODXL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의 시료 중의 농도를 측정한다.
측정하는 양으로서는 소정량의 시료 중에서의 SCGB1D2 및/또는 PODXL의 절대량 뿐만아니라, 시료 중에서의 SCGB1D2 및/또는 PODXL의 농도일 수도 있다.
측정수단으로서는 시료 중의 SCGB1D2 및/또는 PODXL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법, Bradford법, Lowry법, BCA법과 같은 분광 광도 분석법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 분광 광도 분석법은 시료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SCGB1D2 및/또는 PODXL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한 ELISA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판단 공정
상기 공정에서 수득된 표적 단백질량으로부터 췌장암 및 IPMN의 유무를 평가한다. 실제로는 췌장암 환자, IPMN 환자 및 비췌장암 환자, 게다가 여러 가지 진행도의 췌장암 환자로부터 시료를 얻고, 동일조건으로 시료에 포함되는 SCGB1D2 및/또는 PODXL의 양을 측정해 두고, 데이터를 축적해 둔다. 이러한 축적 데이터와 측정결과를 대조하고, 피험자에서의 췌장암 및 IPMN의 유무, 진행도, 전이의 유무 등을 판단한다.
또, 상기 측정 공정(2)에 있어서 CA19-9의 시료 중의 양이나 농도도 맞추어서 측정하고, 그 측정값도 맞추어서 고려하는 것에 의해, 췌장암 및 IPMN의 진단 등의 감도나 특이성을 더한층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3. 췌장암 및 IPMN의 진단 키트
본 발명에 따른 췌장암 및 IPMN의 진단 키트는 SCGB1D2 및 PODXL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포함한다. 당해 키트는 ELISA법을 사용한 상기 본 발명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항SCGB1D2 항체 및/또는 항PODXL 항체를 결합시킨 플레이트에 피험자로부터 얻은 시료를 첨가하고, 세정하는 것에 의해, 시료 중에 포함되는 SCGB1D2 및/또는 PODXL을 특이적으로 결합시킨다. 이어서, 플레이트에 결합시킨 SCGB1D2 및/또는 PODXL을 표지기를 결합시킨 2차 항체 등으로 검출하고, 당해 표지기에 대응한 발색의 강도 등으로 SCGB1D2 및/또는 PODXL의 시료 중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췌장암 및 IPMN의 키트는 추가로, CA19-9에 대한 항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키트는 SCGB1D2 및/또는 PODXL에 첨가해서 CA19-9의 측정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 고감도이며, 또, 특이성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본원은 2015년 12월 11일에 출원된 일본국특허출원 제2015-242679호에 의거하는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2015년 12월 11일에 출원된 일본국특허출원 제2015-242679호의 명세서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를 위해서 원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참조해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원래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라, 전ㆍ후기하는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을 첨가해서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해서,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췌장암 마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췌장암 세포 단백질의 동정
본 발명자는 췌장암 세포의 침윤ㆍ전이 기구의 해명을 목적으로 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2MRNA 결합 단백질 3(IGF2BP3)이 특정한 mRNA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세포막 돌기인 박판족(lamellipodia)에서의 그것들 mRNA의 국소번역에 관여하고 있는 것을 밝혔다(Oncotarget, 5, pp. 6832-45(2014)에서 보고완료). 이것들의 mRNA 중에, SCGB1D2 및 PODXL의 mRNA도 포함되어 있었다(미발표). 그래서, SCGB1D2와 PODXL의 기능 해석을 실시했다.
우선, 국소번역되어 단백질이 된 SCGB1D2와 PODXL이 췌장암 세포의 박판족에 일부 존재하고 있는 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인간 췌장암 세포주 S2-013을 사용해서 면역세포 염색을 실시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CGB1D2와 PODXL은 내부에 액틴이 중합하고 있는 박판족에 강하게 발현하고 있었다.
이것들 2개의 단백질은 당 단백질이며, 당 단백질은 분비 단백질이거나, 혹은 세포막에 일부 존재하는 경우가 많은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들 단백질이 췌장암 세포주 S2-013로부터 배양액 중에 분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웨스턴 블롯법에 의해 시험했다. 구체적으로는, S2-013 세포의 배양 상청을 회수 후,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 성분을 제거하고, 농축한 샘플로부터 항SCGB1D2 항체 및 항PODXL 항체를 사용한 웨스턴 블롯법에 의해 해석했다. S2-013 세포 용해물(lysate)도 동일하게 해석했다. 또, 분비 단백질인 CD63 및 분비되지 않은 세포 내 단백질인 GAPDH에 대한 항체를 사용한 웨스턴 블롯도 실시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CGB1D2와 PODXL은 분비 단백질인 CD63과 동일하게 세포 외로 분비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GAPDH의 밴드를 배양 상청 중에 인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S2-013 세포의 배양 상청은 정확하게 회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들의 결과로, 박판족에 모인 SCGB1D2와 PODXL은 췌장암 세포로부터 분비되고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는 인간 췌장암 조직 내의 박판족을 가지는 췌장암 세포로부터 SCGB1D2와 PODXL이 종양 조직의 기질로 방출되고, 종양 내 혈관에 침입하고 있는 가설을 세웠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서, 췌장암 증례의 혈청을 사용해서 SCGB1D2와 PODXL의 정량 측정을 실시하는 임상시험을 실시했다.
실시예 2: 진단 시험
(1) 피험자의 선정
Kochi대 의학부 부속병원 소화기내과에서 진단된 췌장암 23증례(스테이지I 췌장암 1예, 스테이지 III 췌장암 5예, 스테이지 IV 진행 췌장암 17예)와, 양성 종양인 IPMN(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 증례 11예를 대상으로 해서 실시했다. IPMN증례는 암의 기왕이 없고, 수술이 없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컨트롤로서는 Kochi대 의학부 부속병원 소화기내과에 통원 중인 췌장질환이 없는 만성간염, 대장 폴립, 위 폴립의 계 51증례로 했다. Kochi대 의학부 치료의 효력 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설명 문서를 사용해서, 본 발명자와 함께 췌장병진료를 하고 있는 일본 소화기병 학회 지도의사 2명이 설명을 실시하고, 환자 본인부터 문서에 의한 동의를 얻고 나서 증례 등록을 실시했다. 각 피험자로부터 채혈 후, 신속하게 혈청을 분리하고, 0.2㎖씩 1.5㎖ 용기에 분주하고, 전용의 냉동고에 -20℃에서 보존하고, 측정까지 엄중하게 관리했다.
췌장암 증례 피험자의 평균 연령은 71.70세, 표준편차는 8.91이고, 컨트롤 피험자의 평균 연령은 65.66세, 표준편차는 13.35이었다. 췌장암은 고령자에게 많은 암으로, 이번의 임상시험에서도 췌장암 증례의 평균 연령은 높은 경향은 있었지만, 스튜던트(student)의 t검정에서 P=0.052로 양 그룹에 유의차는 없었다. 또, 췌장암 증례 피험자 가운데 여성은 12명, 남성은 11명이고, 컨트롤 피험자 가운데 여성은 31명, 남성은 20명이었다. 성별에 대해서 χ2 검정을 실시한 바, P=0.24로 양 그룹에 유의차는 없었다. IPMN 증례 피험자의 평균 연령은 65.85세, 표준편차는 7.88이고, 컨트롤 피험자와 비교했을 경우, 스튜던트(student)의 t검정에서 P=0.055로 양 그룹에 유의차는 없었다. 또, IPMN 증례 피험자 가운데 여성은 4명, 남성은 7명이고, 컨트롤 피험자와 비교했을 경우, χ2 검정에서 P=0.158로 양 그룹에 유의차는 없었다.
(2) 혈청 중의 SCGB1D2와 PODXL의 농도의 측정
시판되고 있는 샌드위치 ELISA 키트(CUSABIO사 「SCGB1D2 ELISA kit, CSB-ELO20814HU」 및 CLOUD-CLONE사 「ELISA kit for PODXL, SEA768Hu」)을 사용하고, 피험자 혈청에서의 SCGB1D2와 PODXL의 농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SCGB1D2의 경우, 키트의 미정량판(microtiter plate)의 각 웰에 피험자의 혈청을 100㎕ 씩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각 웰에 비오틴 부가 항체를 100㎕씩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각 웰을 PBS로 3회 세정했다. 또, 표지효소로서 HRP-아비딘을 각 웰에 100㎕ 씩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PBS로 5회 세정했다. 각 웰에 발색제로서 TMB 용액을 90㎕ 씩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정지 용액을 50㎕ 씩 첨가해서 반응을 정지시킨 후, 45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과 대조하는 것에 의해 혈청 중의 SCGB1D2의 농도를 산출했다.
PODXL의 경우, 키트의 미정량판의 각 웰에 피험자의 혈청을 100㎕씩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각 웰에 검출 시약 A를 100㎕ 씩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각 웰을 PBS로 3회 세정했다. 또, 표지효소로서 검출 시약 B를 각 웰에 100㎕ 씩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PBS로 5회 세정했다. 각 웰에 발색제로서 기질 용액을 90㎕ 씩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정지 용액을 50㎕ 씩 첨가해서 반응을 정지시킨 후, 45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과 대조하는 것에 의해 혈청 중의 PODXL의 농도를 요구했다.
또, 비교를 위해서, 종래의 췌장암 마커인 CA19-9의 혈청 중의 농도도 시판하고 있는 ELISA 키트(DRG International사 「TM-CA 19-9 ELISA KIT, EIA5069」)을 사용해서 동일하게 측정했다.
(3) 측정결과의 고찰
SCGB1D2의 결과를 도 3에, PODXL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췌장암 피험자 그룹 혈청에서의 SCGB1D2 농도의 중앙값는 238.872ng/㎖(사분범위 599.602), 컨트롤 피험자 그룹혈청의 같은 가격은 71.091ng/㎖(사분범위 91.434)이며, 또, 췌장암 피험자 그룹 혈청에 있어서의 PODXL농도의 중앙치는 8.738ng/㎖(사분범위 6.284), 컨트롤 피험자 그룹 혈청의 중앙값은 0.093ng/㎖(사분범위 0.705)이었다. SCGB1D2와 PODXL 각각의 농도에 대해서, 췌장암 피험자 그룹과 컨트롤 피험자 그룹 사이에서 Mann-Whitney U검정을 실시한 바, 모두 P<0.001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췌장암 스테이지별 및 IPMN(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 그룹의 측정결과에 대해서는 SCGB1D2의 결과를 도 5에, PODXL의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SCGB1D2와 PODXL은 췌장암 스테이지I, III, IV 중 어디에 있어서도, 컨트롤 증례에 비교해서 상승 경향이 인정되었다. 또, IPMN 그룹 혈청에서의 SCGB1D2 농도의 중앙값은 132.554ng/㎖(사분범위 199.544), PODXL농도의 중앙치는 9.199ng/㎖(사분범위 4.872)이고, IPMN 그룹 혈청에서의 SCGB1D2 및 PODXL은 컨트롤 피험자 그룹 혈청의 중앙값에 비교해서 상승 경향이 인정되었다.
SCGB1D2 및 PODXL의 측정값의 감도-특이도 그래프를, 각각 도 7과 도 8에 나타낸다. 감도-특이도 그래프에서는 그래프의 좌측 위에 위치할 수록 즉 그래프의 곡선하면적(AUC)이 클 수록, 감도와 특이도의 양쪽이 뛰어나고, 췌장암 마커로서 우수한 것을 나타난다. 그래서, 각 그래프의 췌장암 증례와 컨트롤 그룹의 AUC를 산출한 바, SCGB1D2의 AUC값은 0.76(95%CI 0.609-0.91), PODXL은 0.973(95%CI 0.943-1), CA19-9는 0.802(95%CI 0.693-0.912)와, SCGB1D2의 AUC값은 CA19-9와 동등해서, PODXL은 CA19-9에 P=0.00405로 유의하게 우수했다. 따라서 PODXL의 췌장암 진단 능력은 CA19-9에 대해서 감도ㆍ특이도 모두에 유의하게 높고, SCGB1D2는 CA19-9과 동등한 진단 능을 가지는 것임이 나타났다.
상기 결과에 의해, SCGB1D2 및 PODXL이 췌장암과 IPMN의 양쪽의 진단 마커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났으므로, 췌장암 증례와 컨트롤 그룹 사이의 비교에 부가해서, 췌장암 증례 + IPMN 증례와 컨트롤 사이의 비교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췌장암 증례 + IPMN 증례와 컨트롤 사이의 비교를 실시했을 경우의 감도-특이도 그래프를, 각각 도 9과 도 10에 나타낸다. 각 그래프의 췌장암 증례 + IPMN 증례와 컨트롤 사이의 AUC를 산출한 바, SCGB1D2의 AUC값은 0.748(95%CI 0.599-0.896), PODXL은 0.889(95%CI 0.823-0.956), CA19-9는 0.799(95%CI 0.689-0.909)와, SCGB1D2의 AUC값은 CA19-9와 동등해서, PODXL은 CA19-9에 P=0.178로 통계상 유의차는 없었지만, 진단능이 CA19-9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수득되었다. SCGB1D2와 PODXL의 cut off 값을 각각 185.58, 2.68로 설정했을 경우, SCGB1D2의 췌장암 + IPMN의 진단 감도는 65.2%, 특이도는 90.3%이고, PODXL의 췌장암 + IPMN의 진단 감도는 100%, 특이도는 72.6%이었다. 따라서 PODXL의 췌장암 + IPMN에 대한 진단 능력은 CA19-9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고, SCGB1D2는 CA19-9과 동등한 진단능을 가지는 것임이 나타났다.
또, SCGB1D2와 CA19-9의 조합, PODXL과 CA19-9 조합에 대해서, Spearman 순위 상관계수 검정에 의해 해석하고, 각 조합에서의 관련성을 검정했다. 그 결과, SCGB1D2와 CA19-9 조합에서는 r=0.212, P=0.319, PODXL과 CA19-9 조합에서는 r=0.144, P=0.498과, SCGB1D2 및 PODXL의 혈청 중 농도는 CA19-9의 혈청 중 농도와의 사이에 관련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이렇게 SCGB1D2와 PODXL은 CA19-9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CA19-9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CA19-9 단독의 췌장암 진단의 감도ㆍ특이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 췌장암 진단에 대한 SCGB1D2와 PODXL의 병용 효과를, 감도-특이도 그래프의 AUC값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검토했다. SCGB1D2와 PODXL을 조합시킨 AUC는 0.982(95%CI 0.845-0.963)이고, CA19-9 단독에 비교해서 유의하게 감도ㆍ특이도 모두 우수했다(P=0.0017, 도 11). PODXL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췌장암의 진단능이 매우 높다는 것은 전술한 바 있지만, SCGB1D2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추가로 AUC는 증가했다. 또, SCGB1D2와 PODXL에 CA19-9를 조합시킨 AUC는 0.983(95%CI 0.962-1)이고, CA19-9 단독에 비교해서 유의하게 감도ㆍ특이도 모두 우수했다(P=0.0013, 도 12). 그러나 SCGB1D2와 PODXL의 조합과 비교하면, 진단능의 향상은 거의 없었기 때문에, PODXL 단독 혹은 PODXL과 SCGB1D2의 조합이 췌장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유용하다.
다음에, 췌장암 + IPMN 진단에 대한 SCGB1D2와 PODXL의 병용 효과를, 감도-특이도 그래프의 AUC값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검토했다. SCGB1D2와 PODXL을 조합시킨 AUC는 0.910(95%CI 0.851-0.969)이고, CA19-9 단독에 비교해서 감도ㆍ특이도 모두 우수한 경향이 있었다(P=0.073, 도 13). PODXL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췌장암 + IPMN의 진단능이 높다는 것은 전술한 바 있지만, SCGB1D2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추가로 AUC는 증가했다. 또, SCGB1D2와 PODXL에 CA19-9를 조합시킨 AUC는 0.922(95%CI 0.868-0.976)이고, CA19-9 단독에 비교해서 유의하게 감도ㆍ특이도 함께 우수했다(P=0.029, 도 14). 따라서 PODXL 및 SCGB1D2는 CA19-9와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췌장암 + IPMN을 높은 감도ㆍ특이도로 진단할 수 있는 혈청 마커이다.
SEQUENCE LISTING <110>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ochi University <120> MARKER FOR PANCREAS CANCER AND IPMN <130> F16-089PCT <150> JP2015-242679 <151> 2015-12-11 <160> 2 <210> 1 <211> 9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Lys Leu Ser Val Cys Leu Leu Leu Val Thr Leu Ala Leu Cys Cys 5 10 15 Tyr Gln Ala Asn Ala Glu Phe Cys Pro Ala Leu Val Ser Glu Leu Leu 20 25 30 Asp Phe Phe Phe Ile Ser Glu Pro Leu Phe Lys Leu Ser Leu Ala Lys 35 40 45 Phe Asp Ala Pro Pro Glu Ala Val Ala Ala Lys Leu Gly Val Lys Arg 50 55 60 Cys Thr Asp Gln Met Ser Leu Gln Lys Arg Ser Leu Ile Ala Glu Val 65 70 75 80 Leu Val Lys Ile Leu Lys Lys Cys Ser Val 85 90 <210> 2 <211> 558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Met Arg Cys Ala Leu Ala Leu Ser Ala Leu Leu Leu Leu Leu Ser Thr 5 10 15 Pro Pro Leu Leu Pro Ser Ser Pro Ser Pro Ser Pro Ser Pro Ser Gln 20 25 30 Asn Ala Thr Gln Thr Thr Thr Asp Ser Ser Asn Lys Thr Ala Pro Thr 35 40 45 Pro Ala Ser Ser Val Thr Ile Met Ala Thr Asp Thr Ala Gln Gln Ser 50 55 60 Thr Val Pro Thr Ser Lys Ala Asn Glu Ile Leu Ala Ser Val Lys Ala 65 70 75 80 Thr Thr Leu Gly Val Ser Ser Asp Ser Pro Gly Thr Thr Thr Leu Ala 85 90 95 Gln Gln Val Ser Gly Pro Val Asn Thr Thr Val Ala Arg Gly Gly Gly 100 105 110 Ser Gly Asn Pro Thr Thr Thr Ile Glu Ser Pro Lys Ser Thr Lys Ser 115 120 125 Ala Asp Thr Thr Thr Val Ala Thr Ser Thr Ala Thr Ala Lys Pro Asn 130 135 140 Thr Thr Ser Ser Gln Asn Gly Ala Glu Asp Thr Thr Asn Ser Gly Gly 145 150 155 160 Lys Ser Ser His Ser Val Thr Thr Asp Leu Thr Ser Thr Lys Ala Glu 165 170 175 His Leu Thr Thr Pro His Pro Thr Ser Pro Leu Ser Pro Arg Gln Pro 180 185 190 Thr Ser Thr His Pro Val Ala Thr Pro Thr Ser Ser Gly His Asp His 195 200 205 Leu Met Lys Ile Ser Ser Ser Ser Ser Thr Val Ala Ile Pro Gly Tyr 210 215 220 Thr Phe Thr Ser Pro Gly Met Thr Thr Thr Leu Leu Glu Thr Val Phe 225 230 235 240 His His Val Ser Gln Ala Gly Leu Glu Leu Leu Thr Ser Gly Asp Leu 245 250 255 Pro Thr Leu Ala Ser Gln Ser Ala Gly Ile Thr Ala Ser Ser Val Ile 260 265 270 Ser Gln Arg Thr Gln Gln Thr Ser Ser Gln Met Pro Ala Ser Ser Thr 275 280 285 Ala Pro Ser Ser Gln Glu Thr Val Gln Pro Thr Ser Pro Ala Thr Ala 290 295 300 Leu Arg Thr Pro Thr Leu Pro Glu Thr Met Ser Ser Ser Pro Thr Ala 305 310 315 320 Ala Ser Thr Thr His Arg Tyr Pro Lys Thr Pro Ser Pro Thr Val Ala 325 330 335 His Glu Ser Asn Trp Ala Lys Cys Glu Asp Leu Glu Thr Gln Thr Gln 340 345 350 Ser Glu Lys Gln Leu Val Leu Asn Leu Thr Gly Asn Thr Leu Cys Ala 355 360 365 Gly Gly Ala Ser Asp Glu Lys Leu Ile Ser Leu Ile Cys Arg Ala Val 370 375 380 Lys Ala Thr Phe Asn Pro Ala Gln Asp Lys Cys Gly Ile Arg Leu Ala 385 390 395 400 Ser Val Pro Gly Ser Gln Thr Val Val Val Lys Glu Ile Thr Ile His 405 410 415 Thr Lys Leu Pro Ala Lys Asp Val Tyr Glu Arg Leu Lys Asp Lys Trp 420 425 430 Asp Glu Leu Lys Glu Ala Gly Val Ser Asp Met Lys Leu Gly Asp Gln 435 440 445 Gly Pro Pro Glu Glu Ala Glu Asp Arg Phe Ser Met Pro Leu Ile Ile 450 455 460 Thr Ile Val Cys Met Ala Ser Phe Leu Leu Leu Val Ala Ala Leu Tyr 465 470 475 480 Gly Cys Cys His Gln Arg Leu Ser Gln Arg Lys Asp Gln Gln Arg Leu 485 490 495 Thr Glu Glu Leu Gln Thr Val Glu Asn Gly Tyr His Asp Asn Pro Thr 500 505 510 Leu Glu Val Met Glu Thr Ser Ser Glu Met Gln Glu Lys Lys Val Val 515 520 525 Ser Leu Asn Gly Glu Leu Gly Asp Ser Trp Ile Val Pro Leu Asp Asn 530 535 540 Leu Thr Lys Asp Asp Leu Asp Glu Glu Glu Asp Thr His Leu 545 550 555

Claims (6)

  1.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혈액 샘플을 이용하여 췌장암 또는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을 진단하기 위한 키트로서,
    여기서 상기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이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인,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CA19-9에 대한 항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혈액 샘플이 혈장 샘플인 것인, 키트.
  4. 췌장암 세포의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관 내 (in vitro) 방법으로써,
    혈액 샘플에서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상기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이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여기서 측정된 포도칼릭신 유사 단백질의 농도가, 비췌장암 환자로부터의 혈액 샘플에서의 농도에 비교하였을 때, 더 높은 농도는 췌장암 세포의 전이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인, 시험관 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혈액 샘플에서 CA19-9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측정된 CA19-9의 농도가, 비췌장암 환자로부터의 혈액 샘플에서의 농도에 비교하였을 때, 더 높은 농도는 췌장암 세포의 전이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인,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혈액 샘플이 혈장 샘플인 것인, 방법.
KR1020237043879A 2015-12-11 2016-11-22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Active KR102713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2679 2015-12-11
JPJP-P-2015-242679 2015-12-11
PCT/JP2016/084537 WO2017098915A1 (ja) 2015-12-11 2016-11-22 膵がん及び膵管内乳頭粘液性腫瘍のマーカー
KR1020187019475A KR102617206B1 (ko) 2015-12-11 2016-11-22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475A Division KR102617206B1 (ko) 2015-12-11 2016-11-22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121A KR20240005121A (ko) 2024-01-11
KR102713301B1 true KR102713301B1 (ko) 2024-10-02

Family

ID=590130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475A Active KR102617206B1 (ko) 2015-12-11 2016-11-22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KR1020237043879A Active KR102713301B1 (ko) 2015-12-11 2016-11-22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475A Active KR102617206B1 (ko) 2015-12-11 2016-11-22 췌장암 및 췌장관 내 유두상 점액성 종양의 마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427872B2 (ko)
EP (2) EP3388448B1 (ko)
JP (2) JP6917628B2 (ko)
KR (2) KR102617206B1 (ko)
CN (2) CN115925864A (ko)
AU (3) AU2016367349B2 (ko)
WO (1) WO2017098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6731B2 (ja) * 2017-07-27 2023-03-28 国立大学法人高知大学 膵癌の予後マーカー、膵癌の予後診断キット及び膵癌の予後を予測するための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94607A1 (en) 2006-03-29 2006-12-28 Applera Corporation Human podocalyxin alternative-spliced form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2207B1 (en) * 1996-08-19 2007-10-16 Abbott Laboratories Reagents and methods useful for detecting diseases of the reproductive tissues
ES2272061T5 (es) * 1998-04-15 2012-02-24 Merck Serono Biodevelopment Secuencia genómica de la proteína activadora de 5-lipoxigenasa (flap), marcadores polimórficos de la misma y métodos para la detección de asma.
JP4677602B2 (ja) * 2004-11-02 2011-04-27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染色体の微小領域を回収する方法
CN102317783A (zh) * 2008-09-15 2012-01-11 海莱乌医院 作为胃肠癌的标记的ykl-40
IL200202A0 (en) 2009-08-02 2010-05-31 Orly Devary Novel proteins
US9296786B2 (en) 2009-08-02 2016-03-29 Two To Biotech Ltd. Shortened secreted polypeptides
EP2315028A1 (en) * 2009-10-26 2011-04-27 Atlas Antibodies AB PODXL protein in colorectal cancer
JP2013027387A (ja) 2011-06-21 2013-02-07 Tohoku Univ 膵臓癌バイオマーカー
CN102435665A (zh) * 2011-09-23 2012-05-02 浙江省新华医院 胰腺癌早期诊断的血清肿瘤标志物、检测方法和诊断模型
US20150111758A1 (en) * 2012-03-06 2015-04-23 Oslo Universitetssykehus Hf Gene signatures associated with efficacy of postmastectomy radiotherapy in breast cancer
US9452228B2 (en) * 2013-04-01 2016-09-27 Immunomedics, Inc. Antibodies reactive with an epitope located in the N-terminal region of MUC5AC comprising cysteine-rich subdomain 2 (Cys2)
AU2014339719B2 (en) * 2013-10-21 2020-05-07 The Centre For Drug Research And Development Anti-podocalyxin antibod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94607A1 (en) 2006-03-29 2006-12-28 Applera Corporation Human podocalyxin alternative-spliced forms and 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llas et al, Am J Physiol Cell Physiol (2012), vol 303, pp C616-624.
S Fritz et al,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11.), vol 98, pp 104-110.
Takehiro Okabayashi et al, Oncology Letters (2013.), vol 5, pp 1819-1825.
Teresa J et al, Hum Pathol (2007), vol 38, pp 359-36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3201289B2 (en) 2024-05-02
JP7325845B2 (ja) 2023-08-15
KR102617206B1 (ko) 2023-12-21
CN115925864A (zh) 2023-04-07
EP3388448A1 (en) 2018-10-17
AU2021202237A1 (en) 2021-05-13
JPWO2017098915A1 (ja) 2018-11-29
CN108431029B (zh) 2022-08-12
KR20180088465A (ko) 2018-08-03
AU2016367349A1 (en) 2018-07-12
US20230055395A1 (en) 2023-02-23
EP3388448A4 (en) 2019-09-18
EP3388448B1 (en) 2022-05-04
JP6917628B2 (ja) 2021-08-11
EP4092416A1 (en) 2022-11-23
JP2021175978A (ja) 2021-11-04
WO2017098915A1 (ja) 2017-06-15
US20180355440A1 (en) 2018-12-13
US11427872B2 (en) 2022-08-30
AU2023201289A1 (en) 2023-04-06
CN108431029A (zh) 2018-08-21
AU2016367349B2 (en) 2021-01-14
KR20240005121A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Discovery of Apo-A1 as a potential bladder cancer biomarker by urine proteomics and analysis
CN103547923B (zh) 乳腺癌的生物标记
Benati et al.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DJ‐1 and HE 4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Xu et al. Study of circulating IgG antibodies to peptide antigens derived from BIRC5 and MYC in cervical cancer
Wojcik et al. Human epididymis protein 4 (HE4) in patients with small-cell lung cancer
EP3217175B1 (en) Arteriosclerosis detection method using deoxyhypusine synthase gene as indicator
JP6361943B2 (ja) 補体因子bタンパク質に特異的に結合する抗体及び糖鎖抗原19−9タンパク質に特異的に結合する抗体を含む膵臓癌診断用キット
AU2023201289B2 (en) Marker for pancreatic cancer and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WO2021045180A1 (ja) 胃がんマーカー、及びこれを用いた検査方法
JP4668180B2 (ja) 癌疾患の再発を予測する方法
US8252542B2 (en) Serpin B 13 as a marker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US20170029898A1 (en) Novel method for screening for prostate cancer
HK40083898A (en) Marker for pancreatic cancer and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WO2025041833A1 (ja) がんの検査支援方法、及び検査キット
WO2022013762A1 (en) Methods and kits for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CN119688988A (zh) Timp1和foxp3作为诊断结直肠癌的生物标志物组合及其应用
US20090325214A1 (en) Nuclear matrix protein alterations associated with colon cancer and their use as markers for colorectal cancer
WO2019021654A1 (ja) 膵癌の予後マーカー、膵癌の予後診断キット及び膵癌の予後を予測するための方法
Niimi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p53 Antibodies as a Tumor Screening Marker
HK1142130A (en) Use of timp-1 as a marker for colorectal cancer
HK1166853A (en) Serpin b 13 as a marker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3121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7019475

Filing date: 2018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7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