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3108B1 -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3108B1
KR102713108B1 KR1020230033416A KR20230033416A KR102713108B1 KR 102713108 B1 KR102713108 B1 KR 102713108B1 KR 1020230033416 A KR1020230033416 A KR 1020230033416A KR 20230033416 A KR20230033416 A KR 20230033416A KR 102713108 B1 KR102713108 B1 KR 10271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kin
alcohol
m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39415A (ko
Inventor
문제봉
김석용
안연주
문수현
김연아
김청룡
Original Assignee
(주)엔비바이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비바이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엔비바이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3003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3108B1/ko
Publication of KR2024013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3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31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일 양상에 따른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넓은 파장의 자외선 흡수능, 항산화, 항염증, 자외선에 의한 보호효과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있어 피부상태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or UV protection containing extract of Lithospermum erythrohizon and Scutellaria baicalensis}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280~400 나노미터(nm) 파장 범위의 태양광선으로서, 과량의 자외선(UV)에 노출될 경우에는 피부 노화, 화상, 피부암 등의 피부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320~400 나노미터 파장 범위의 UVA는 표피의 피부 지질을 손상시키거나, 기저층의 멜라닌 색소를 유발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280~320 나노미터 파장 범위의 UVB는 피부 홍반, 피부 화상 등을 유발하여 피부를 직접적으로 손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UVA 및 UVB를 동시에 차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물질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자외선 방사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피부암이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과 피부 주름을 예방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의 필요성이 높다. 자주 사용되는 두 가지 무기물 자외선 차단제는 산화아연(ZnO)과 이산화티탄(TiO2)이지만 이러한 무기물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광활성이 있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선크림은 UV 스펙트럼 차단제지만 이 과정에서 수산화기(ㆍOH)와 과산화기(O2ㆍ-)를 생성한다. 이러한 고반응성 산소종(ROS)의 생성은 자외선 차단제의 유기성 첨가물을 분해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조직에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세포 수준에서 손상을 일으키고 DNA 변형과 염증 반응을 촉진할 수 있어 문제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면서 전체 UV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빛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면서도, 동시에 생체 적합성을 가져 피부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일 양상은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지치(Lithospermum erythrohizon)는 주로 한방에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 식물이며, 지치 뿌리는 자초, 지초, 자근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과거에는 주로 자색 빛의 염료를 내는데 많이 사용되었다. 지치 뿌리는 약용으로 화상, 동상, 피부궤양 등에 외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 식물인 속썩은풀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편금, 고금, 자금, 조금으로도 불린다. 봄 또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겉껍질과 썩은 속을 긁어버리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황금은 찬 성질이 있어 열에 의한 질병을 완화하며, 고혈압, 두통, 코피, 자궁출혈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혼합추출물은 이를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지치 또는 황금은 이들의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일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된 상기 지치 또는 황금은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분쇄 또는 세절하거나 적당하게 건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치 또는 황금은 건조에 의해 수분함량이 20% 미만, 15% 미만, 예를 들면 12% 미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친수성 용매 (hydrophilic solvent), 예를 들면, 알콜, 물,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탄소수 1 내지 10의 하나 이상의 -OH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콜, 3 내지 6의 다가 알콜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이소부탄올, tert-부탄올, n-펜탄올, n-헥산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다.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1 내지 100%(w/w), 예를 들면, 1 내지 99.5%(w/w), 10 내지 100%(w/w), 20 내지 100%(w/w), 30 내지 100%(w/w), 40 내지 100%(w/w), 50 내지 100%(w/w), 60 내지 100%(w/w), 70 내지 100%(w/w), 75 내지 100%(w/w), 60 내지 90%(w/w), 60 내지 80%(w/w), 65 내지 75%(w/w), 또는 70%(w/w)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물은 70% 에탄올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가온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열수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아임계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 등 당업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추출 용매 하에서 고주파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고주파처리로 추출하는 경우, 용매와 용질간에 활발한 접촉기회가 발생하여 추출효율이 증가하며, 추출용매순환으로 일정한 온도가 유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추출은 4℃ 내지 70℃, 예를 들면, 4℃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70℃, 15℃ 내지 70℃, 20℃ 내지 70℃, 4℃ 내지 50℃, 10℃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40℃, 10℃ 내지 35℃, 10℃ 내지 30℃ 또는 실온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지치 또는 황금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50 (w/w)배, 예를 들면, 3 내지 40 (w/w)배, 3 내지 30 (w/w)배, 5 내지 50 (w/w)배, 5 내지 40 (w/w)배, 5 내지 30 (w/w)배, 또는 4 내지 40(w/w)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치 또는 황금으로부터 유래된 재료 1kg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50 kg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 시간 내지 2개월, 예를 들면, 1 시간 내지 1개월, 1시간 내지 10일, 1 시간 내지 5일, 1 시간 내지 3일, 1 시간 내지 2일, 1 시간 내지 1일, 1 시간 내지 10 시간, 2 시간 내지 1개월, 2 시간 내지 15일, 2 시간 내지 10일, 2 시간 내지 5일, 2 시간 내지 3일, 2 시간 내지 2일, 2 시간 내지 1일 또는 2 시간 내지 10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지치 또는 황금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용해도, 분자량, 극성 등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이용한 방법으로 정제될 수 있다. 정제과정은 충진재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HP-20, Silica gel, RP-18 silica, MCI gel, Sephadex LH-2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진재는 HP-20일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용매는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알코올 수용액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면서 농도 변화가 주어지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UV Spectrometer를 이용해 같은 UV 흡수파장을 갖는 분획물끼리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물은 UV 최대흡수파장이 320nm 내지 400nm인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지치추출물 또는 황금추출물은 총 중량 대비 0.0001 중량% 내지 99.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8 중량%, 6 내지 15 중량%, 8 내지 15중량% 또는 7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1 내지 10 : 1, 또는 1 : 1 내지 10의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지치 및 황금을 혼합한 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원물을 혼합한 뒤 추출하는 경우, 기존 효능이 저해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지치 및 황금을 혼합한 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추출물의 경우 원물의 단독 추출물 대비 피부 장벽 강화 효과, 항산화 효과, 피부 보습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추출물은 지치 또는 황금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각 원물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추출물들을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원물의 효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물을 혼합한 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 대비 효능의 우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상태 개선 또는 자외선 차단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상태 개선은 항염증, 항산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에 따른 자극 완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보호효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Bis-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및 산화아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가적인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0 중량 %, 5-45중량%, 5-40 중량 %, 10-30 중량 %, 또는 15-25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280 내지 400nm의 파장을 가지는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젤, 앰플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증제, 분산제,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기능성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제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 또는 젤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현탁액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으로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넓은 파장의 자외선 흡수능과 항산화 효능, 항염증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 보호효과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어 피부 트러블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는 일 양상에 따른 지치추출물 또는 황금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지치 및 황금 혼합추출물과 유기차단제 OMC(Octyl mehoxycinnamate)의 UV Spectrum 비교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혼합추출물의 자외선 A로 인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혼합추출물의 OMC (Octyl mehoxycinnamate)로 인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썬크림의 a-valu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1.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지치 뿌리 및 황금 뿌리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 원물을 70% 알코올 1L로 3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mesh filter (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00mesh)로 여과한 뒤 rotary evaporator (R-100, Buchi, 1L)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해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은 소량을 에탄올에 용해하여 HP-20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용매는 에탄올 10%에서 90%로 용출시켰으며, UV Spectrometer를 이용해 UV 최대흡수파장이 320~400nm인 분획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분획물은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각 지치추출물 분말과 황금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추출물은 멸균 처리 (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 하였으며, 지치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을 1: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도 1에 간략하게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혼합추출물의 자외선 흡광도 측정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추출물의 자외선 흡광도를 확인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차단제인 OMC과 UV spectrum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지치 및 황금 혼합추출물과 유기차단제 OMC(Octyl mehoxycinnamate)의 UV Spectrum 비교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은 자외선파장 280~400nm 사이에서 자외선 흡광도를 나타내어 유기차단제 OMC보다 넓은 spectrum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의 최대흡수 파장은 330nm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하였다. 10 ug/ml 농도의 혼합추출물에 50 mM의 DPPH 용액 50 ㎕을 첨가한 뒤, 상온에서 약 30 분 동안 반응시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PC, Positive control)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으며, 다음 식에 의해 DPPH의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Inhibition (%)={(ODcontrol - ODsample)/ODcontrol}× 100
실험결과, 혼합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59.1 %로 나타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NO 생성 억제 효능 확인
혼합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NO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우스 대식 세포인 RAW 264.7 세포를 2×106 cells/dish density로 60mm 플레이트(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염증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1㎍/㎖ 농도의 LPS(lipopolysaccharide)와 시험물질을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상등액과 griess A 시약(1% sulfanilamide) 및 griess B 시약(0.1% N-(1-napht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을 1:1 비율로 혼합한 griess reagent를 각각 50㎕씩 혼합하여 10분간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10분 후, 540nm에서 ELISA 측정을 통해 NO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다음 식에 의해 NO 생성 억제율 (%)을 계산하였다.
NO 생성 억제율 (%) = {(ODcontrol - ODsample)/ODcontrol}× 100
실험 결과, 혼합추출물의 NO 생성 억제율은 51.1%를 나타내어,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4. UVA에 의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능 평가
UVA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혼합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평가하였다. 사람 피부각질세포인 HaCaT 세포를 2×104 cells/well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5% CO2 조건으로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이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에 혼합추출물 10, 20, 40 ng/ml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 제거 후, PBS 100 μl로 2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여 UV A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혼합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3는 혼합추출물의 자외선 A로 인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추출물은 UVA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5. OMC (Octyl mehoxycinnamate)에 의한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능 평가
유기차단제인 OMC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혼합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를 추가적으로 평가하였다. HaCaT 세포를 2×104 cells/well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이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에 혼합추출물과 OMC 1 ug/ml 을 함께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 제거 후, PBS 100 μl로 2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MTT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여 OMC 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혼합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4는 혼합추출물의 OMC (Octyl mehoxycinnamate)로 인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추출물은 OMC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피부자극 완화 효과
상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품(제조예 1)의 자극 완화 효과를 인체 첩포 시험으로 평가하였다.
20-60세의 성인 여성 20명의 시험 대상자를 대상으로(-1일, 시험 시작일), 시험 부위를 세정한 뒤 30분 간 피부안정을 취한 다음 색차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기 평가 후 자외선 30.0 mJ/cm2을 조사하여 자외선이 조사된 부위(홍반 유도 부위)의 상태를 확인하였다(제품 사용 전, 0일). 측정을 끝낸 시험 대상자들에게 혼합추출물을 적용한 썬크림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고 시험 제품을 도포하였으며, 제품 사용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피부자극 완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썬크림의 a-valu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차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a value를 측정한 결과, 제품 사용 24시간 후부터 시험제품 사용 부위의 붉은 기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품 사용전은 10.68 A.U., 24시간 후는 9.81 A.U., 48시간 후에는 8.72 A.U., 72시간 후에는 8.13 A.U.로 나타났으며, 시험 대상자 전원 피부 이상반응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썬크림의 뛰어난 피부자극 완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하,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조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조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조예 1.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썬크림의 제조
일 양상에 따른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를 포함하는 썬크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혼합추출물 0.02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2.0
폴리실리콘-15 2.0
옥토크릴렌 2.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3.0
글리세릴미리스테이트 4.0
세틸알코올 2.0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6.0
다이부틸아디페이트 5.0
글리세린 3.0
잔탄검 0.3
정제수 To 100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1 내지 10 : 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알코올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초음파로 추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피부상태 개선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 개선은 항염증, 항산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에 따른 자극 완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보호효과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Bis-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및 산화아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은 280 내지 400nm의 파장을 가지는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파우더, 파운데이션, 팩, 패치, 마스크 시트, 젤 연고, 분무제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33416A 2023-03-14 2023-03-14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713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416A KR102713108B1 (ko) 2023-03-14 2023-03-14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416A KR102713108B1 (ko) 2023-03-14 2023-03-14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9415A KR20240139415A (ko) 2024-09-23
KR102713108B1 true KR102713108B1 (ko) 2024-10-07

Family

ID=9292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416A Active KR102713108B1 (ko) 2023-03-14 2023-03-14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31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863B1 (ko) * 2006-04-11 2007-11-06 변영훈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409B1 (ko) * 2016-01-29 2017-12-19 동아 인코팜 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보라, "[깐깐한 파우치] 얼굴에 쓱쓱‘선스틱’인기... 성분 알고 바르자", 뉴데일리 경제, 2019.05.08., 페이지 1-9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9415A (ko) 202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9463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5955A (ko) 증숙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광손상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13108B1 (ko) 지치추출물 및 황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9B1 (ko)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442714B1 (ko) 중/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에키네시아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757157B2 (ja) 皮膚外用剤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50106111A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9858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107859A (ja) コンナルス抽出物を配合した皮膚外用化粧料
KR100858630B1 (ko)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및 광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3029B1 (ko) 쌀 유래 배아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흡수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50386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혼합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2556457B1 (ko) 리포익산이 다량 함유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조성물
JP6253702B2 (ja) コンナルス ルーバー抽出物を配合した皮膚外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8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