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0818B1 -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0818B1
KR102710818B1 KR1020220003481A KR20220003481A KR102710818B1 KR 102710818 B1 KR102710818 B1 KR 102710818B1 KR 1020220003481 A KR1020220003481 A KR 1020220003481A KR 20220003481 A KR20220003481 A KR 20220003481A KR 102710818 B1 KR102710818 B1 KR 102710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llia
leaves
whitening composition
flowers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311A (ko
Inventor
이형환
김상곤
고건희
이경환
안민주
김선정
김윤근
문영옥
이향래
박원표
이동열
정원민
정동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남항노화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남항노화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남항노화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10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08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백꽃과 동백잎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백용 조성물은 어린 동백잎만으로 제조된 조성물이 제공하는 항산화 효능 및 미백 효능에 근접한 효능을 제공하면서도 동백꽃이 가진 피부 수렴 효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어, 높은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재료 이용을 통해 피부 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kin whitening composition using Camellia flower and Camellia japonica leaf}
본 발명은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관리에 대한 청장년층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피부 관리와 관련한 화장품 원료 개발 및 효능 검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피부 관리와 관련된 기존 화장품들을 대부분 화학 원료를 기반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알러지와 같은 각종 부작용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부에 자극이 없는 천연 재료를 이용한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8055호
본 발명은 동백꽃과 동백잎 각각으로부터 추출물을 얻어 혼합한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미백용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여 항산화 효능에 따른 피부 노화 예방 및 미백 효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동백꽃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제 1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동백잎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제 2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 1 추출물 및 제 2 추출물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추출물 20 중량% ~ 40 중량% 와 상기 제 2 추출물 60 중량% ~ 80 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추출물을 얻는 단계는, 상기 동백꽃을 분말화한 제 1 분말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상기 제 1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2 추출물을 얻는 단계는, 상기 동백잎을 분말화한 제 2 분말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상기 제 2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동백잎은 어린잎이며, 상기 동백꽃 및 동백잎은 3월 ~ 5월 사이에 채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백꽃과 동백잎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백용 조성물은 어린 동백잎만으로 제조된 조성물이 제공하는 항산화 효능 및 미백 효능에 근접한 효능을 제공하면서도 동백꽃이 가진 피부 수렴 효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어, 높은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재료 이용을 통해 피부 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나무의 성체잎보다 수확량이 적은 동백나무의 어린 동백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과 동백꽃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여 어린 동백잎이 제공하는 효능에 근접한 효능을 가진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미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어린잎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동백꽃에 의해 미백용 조성물이 발색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인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총 페놀 함량 측정(Total polyphenol content)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DPPH radical scavening activity)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ABTs 라디칼 소거활성측정(ABTs radical scavening activity)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미백세포(B16F10) 생존율(MTS assay)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멜라닌 합성 저해 분석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동백나무의 동백꽃과 동백잎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 미백 효능을 제공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차나무과의 상록활엽수 교목으로, 흰 줄기에서 잔가지가 많이 나와 장 타원형 또는 반구형의 수형을 이루며, 수피는 회백색으로 평활하고,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잔 톱니가 있다. 길이 5~12cm, 넓이 3~7cm로 표면은 짙은 녹색이다. 꽃은 꽃잎 5매의 선홍색 또는 흰색, 일반적으로 홍자색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피고 종실은 10월 말경에 성숙된다.
이러한 동백나무의 꽃인 동백꽃(camellia flower)에는 탄닌(tannin), 카멜린(camelliin)과 류코시아니딘(leucocyanid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동백꽃은 미백 작용의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동백꽃은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사용해오던 재료로서 체내 섭취에서도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으며, 또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도 거의 없는 극히 안전한 천연 원료이다.
최근 화장품은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해 보습, 미백, 청정, 수렴 등 많은 기능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중 수렴작용은 피부 상태를 피아노 조율하듯 원래의 모습에 가깝게 조정하고 청량감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피부 단백질을 끌어당겨 과잉의 피지나 땀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을 말한다.
수렴 작용은 30대를 넘어서면서 얼굴 부위에 확대된 모공을 수축시켜 과도하게 열려진 모공이나 땀구멍을 수축시킴으로써 피부에 탄력감과 유연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상기 동백꽃은 탄닌과 카멜린 성분을 함유하여 이러한 피부의 수렴 작용을 도와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동백잎(Camellia japonica leaf)은 상기 동백나무의 잎 부위를 의미하며, 동백잎은 윤기나는 단단한 타원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작은 톱니가 나있다.
이러한 동백잎은 채취 시기에 따른 항산화 및 우수한 생리활성이 확인되며, 특히 성체잎 보다 어린잎에서 이러한 항산화 및 생리활성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효능을 가진 동백꽃과 동백잎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백꽃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제 1 추출물을 얻는다(S1).
이때, 상기 동백꽃을 분말화한 제 1 분말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제 1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분말의 중량 대비 60% ~ 80% 중량의 메탄올을 첨가한 후 미리 설정된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분말의 70% 중량의 메탄올을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백꽃은 3월 ~ 5월 사이에 채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월(3월 초)에 꽃이 피고나서 일주일 뒤에 채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동백잎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제 2 추출물을 얻는다(S2).
이때, 상기 동백잎을 분말화한 제 2 분말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제 2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말의 중량 대비 60% ~ 80% 중량의 메탄올을 첨가한 후 미리 설정된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분말의 70% 중량의 메탄올을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백잎은 3월 ~ 5월 사이에 채취되는 어린잎(어린 동백잎)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월에 새순이 올라온 후 3일 뒤에 채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추출물 및 제 2 추출물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한다(S3).
이때, 상기 미백용 조성물의 중량(중량%)(전체 중량) 대비 상기 제 1 추출물 20 중량% ~ 40 중량% 와 상기 제 2 추출물 60 중량% ~ 80 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미백용 조성물(또는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추출물 20 중량% 와 상기 제 2 추출물 80 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백용 조성물을 화장품 베이스 조성물과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품 베이스 조성물은 에센스(essence), 크림(cream), 로션(lotion), 토너(toner) 등과 같은 다양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백용 조성물은, 어린 동백잎(이하, 어린잎)에서 추출한 추출물과 동백꽃에서 추출한 추출물의 혼합 비율에 따라 생리활성 및 미백 효능이 확인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백용 조성물은 동백꽃에 의해 홍자색(또는 붉은색)이 발색되므로 사용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조성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동백나무에서, 동백꽃, 동백나무의 성체잎 및 동백나무의 어린잎을 채취하여 채취한 샘플을 각각 건조기로 건조한 다음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해당 시료를 이용하여 상온 메탄올 추출을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실험 대상물을 제조하여 이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실험 대상물로 구성된 실험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실험 대상물은 각각 동백꽃 100%로 제조된 제 1 실험 대상물, 어린잎 100%로 제조된 제 2 실험 대상물, 성체잎 100%로 제조된 제 3 실험 대상물, 동백꽃 20% 와 어린잎 80%로 제조된 제 4 실험 대상물(mix 1), 동백꽃 40% 와 어린잎 60%로 제조된 제 5 실험 대상물(mix 2), 동백꽃 60% 와 어린잎 40%로 제조된 제 6 실험 대상물(mix 3), 동백꽃 80% 와 어린잎 20%로 제조된 제 7 실험 대상물(mix 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실험 대상물 중 제 4 실험 대상물(mix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조성물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총 페놀 함량 측정(Total polyphenol content)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Total polyphenol 함량은 Folin-Denis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동백꽃 및 동백잎 추출물 10μL에 2% Na2CO3 용액 200μL 첨가하여 3분간 정치시켰다. 그 후 2 N Folin-Ciocalteu phenol 시약10 μL 첨가 및 혼합한 후 37℃ incubator에서 27분 동안 발색시켰다. 발색된 시료는 Multi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 검량곡선에 의해 값을 산출하였다.
식물계에 널리 분포된 페놀화합물은 한 분자 내 2개 이상의 phenolic hydroxyl(-OH) 기를 가지고 있는 방향족 화합물들을 총칭하고 있으며, 종류가 매우 많고 각각의 화학적 구조에 따른 용해성이 매우 다양하다. 또한, 페놀화합물은 항산화, 항암, 항에이즈, 고혈압 억제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동백꽃, 어린잎 및 성체잎중 어린잎이 53946.7±113.1 mg GAE/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성체잎 15603.2±1783 mg GAE/100g, 동백꽃 10041.6±212.4 mg GAE/100g 순으로 나타났다. 혼합물에서는 mix 1이 51080.5±882.5 mg GAE/100g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mix 2가 42411.7±201.4 mg GAE/100g, mix 3이 37561.6±24.9 mg GAE/100g, mix 4가 31921.1±1219.6 mg GAE/100g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백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또는 중량%) 대비 동백잎이 80 중량% 이상이면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동백잎이 어린잎일때 미백용 조성물은 어린 동백잎의 총 페놀 함량에 근접한 총 페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DPPH radical scavening activity)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Blois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각 시료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분액별 동백꽃은 96-well plate에 10μL 와 사용 직전 만든 0.2mM DPPH용액 190μL를 섞은 다음, 실온의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1-(시료첨가구의 흡광도 / 음성대조구의 흡광도)]×100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짙은 자색을 띠고 있는 비교적 안전한 free radical인 DPPH가 방향족 아민류나 항산화제 등에 의해 환원되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하여 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동백꽃, 어린잎 및 성체잎 중 어린잎이 67.9±3.73~91.51±1.6%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성체잎 15.42±1.4~29.52±0.87%, 동백꽃 7.85±1.84~21.25±0.54% 순으로 나타났다. 혼합물에서는 mix 1이 56.8±3.49~89.36±2.34%로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mix 2가 47.25±3.25~69.29±3.37%, mix 3이 35.73±1.34~58.65±3.18%, mix 4가 14.07±0.7~37.13±3.8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mix 1의 경우 어린잎에 근접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ABTs 라디칼 소거활성측정(ABTs radical scavening activity)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7 mM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용액에 2.45 mM의 potassium persulfate를 1:1로 혼합한 다음 실온의 암실에서 24시간 방치시킨 후 ABTs radical (ABTS+·)을 만들고 732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2가 되도록 PBS(phosphate buffer saline, pH 7.4) buffer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ABTs radical 용액 190 μL와 백련 복합추출물 10 μL를 첨가하여 1분동안 정치시킨 다음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시료첨가구의 흡광도 / 음성대조구의 흡광도)]×100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시료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소거되어 청록색에서 연한 녹색으로 탈색되는 점을 이용한 측정 방법으로 lipophilic 및 hydrophilic 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백꽃, 어린잎 및 성체잎중 어린잎이 68.46±2.44~97.16±0.94%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성체잎 16.46±3.22~31.26±1.06%, 동백꽃 11.50±1.54~21.15±4.11% 순으로 나타났다. 혼합물에서는 mix 1이 62.38±4.56~97.42±1.83%로 라디칼 소거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mix 2가 39.16±3.94~96.28±1.04%, mix 3이 37.94±0.67~82.08±1.4%, mix 4가 20.27±1.92~57.61±3.62% 순으로 나타났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티로시나제(tyrosinase) 효소 저해 활성 측정은 티로시나제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도파크롬(DOPA 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야기(Yagi)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 내 0.1M 인산완충(phosphate buffer(pH6.5)) 120 ul에 시료 용액 20uL와 머쉬룸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 1000unit/mL 용액 20uL를 첨가한 다음 10mM L-DOPA(L-3,4-dihydroxyphenylalanine)용액(in 0.1M 인산완충액(pH 6.5)) 40uL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도파크롬을 490nm에서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 억제효능은 샘플을 2,000 ug/mL 처리하였을 때 동백꽃, 어린잎 및 성체잎 단일 샘플에서 어린잎의 억제능이 74.1±1.2%로 가장 우수 하였으며 다음으로 성체잎 7.7±1.9%, 동백꽃 4.8±0.8% 순으로 나타났다. 2000 ug/mL로 처리한 동백꽃과 어린잎의 비율에 따른 결과는 mix 1이 가장 억제능이 65.1±1.3%로 가장 좋았으며, 다음으로 mix 2가 63.9±1.7%, mix 3이 53.3±1.2%, mix 4가 49.0±1.3% 순으로 나타났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미백세포(B16F10) 생존율(MTS assay)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의 흑색종 B16F10 세포는 세포배양을 위해 10% FBS (fetal bovine serum)와 1% P/S (penicilin-streptomycin)가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된 B16F10 세포가 80% confluent 되었을 때 PBS로 세척한 후 0.25 tripsin EDTA를 이용해 세포를 탈착시켜 7,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동백꽃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은 5-(3-carboxymethoxyphenyl)-2H-tetraza lium inner salt(MTS)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B16F10 세포를 1×104 cells/well가 되도록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CO2 incubator(37℃, 5% CO2)에서 예비 배양한 후, 각 시료의 최종 농도가 125, 250, 500 ㎍/mL로 세포에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well당 MTS solution 20㎕씩 가하고 CO2 incubator에서 4시간 반응시킨 뒤 microplate reade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미백세포에(B16F10) 동백꽃, 어린잎, 성체잎 및 배합비율에(mix 1~4) 따른 추출물의 최종농도가 125, 250, 500 ug/ml을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한 다음 MTS assay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참고하면, 동백꽃, 어린잎, 성체잎 및 혼합 추출물은 500 ppm에서 독성을 나타내었고, 250, 125 ppm에서 약 80∼120%로 범위에서 나타났으며 미백세포(B16F10)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멜라닌 합성 저해 분석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백꽃 추출물에 24 well-plate에 2×104 cells/well을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한다. 최종 농도가 125, 250, 500 μ/ml 시료를 첨가하고 1시간 후 α-MSH(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200 nM을 처리한 다음 37 °C, 5%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배양한다. 배지를 제거하고 DPBS로 2∼3번 세척한 다음 1N NaOH용액 400 μl 를첨가한 후 60 ℃에서 1시간 용해하여 405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00 nM α-MSH를 처리한 결과 250 ug/mL에서 동백꽃, 어린잎, 성체잎중 멜라닌 생성저해율이 높은 것은 어린잎이 122.1±2.6%로 멜라닌 생성저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성체잎 190.2±3.2%, 동백꽃 189.1±5.2%로 나타났다. 복합추출물의 경우 mix 1이 128.4±8.2%로 멜라닌 생성저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mix 2가 145.5±6.7%, mix 3이 148.9±6.9%, mix 4가 163.6±8.9% 순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험 결과를 종합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백꽃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한 제 1 추출물과 동백잎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한 제 2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조성물은 어린 동백잎이 제공하는 효능에 근접한 효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백꽃과 동백잎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백용 조성물은 어린 동백잎만으로 제조된 조성물이 제공하는 항산화 효능 및 미백 효능에 근접한 효능을 제공하면서도 동백꽃이 가진 피부 수렴 효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어, 높은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재료 이용을 통해 피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백나무의 성체잎보다 수확량이 적은 동백나무의 어린 동백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과 동백꽃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여 어린 동백잎이 제공하는 효능에 근접한 효능을 가진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미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어린잎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동백꽃에 의해 미백용 조성물이 발색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인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동백꽃을 분말화한 제 1 분말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제 1 추출물을 얻는 단계;
    동백잎을 분말화한 제 2 분말을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제 2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 1 추출물 20 중량% 및 상기 제 2 추출물 80 중량%를 혼합하여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동백잎은 어린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백꽃 및 동백잎은 3월 ~ 5월 사이에 채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003481A 2021-01-28 2022-01-10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710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2448 2021-01-28
KR1020210012448 2021-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311A KR20220109311A (ko) 2022-08-04
KR102710818B1 true KR102710818B1 (ko) 2024-09-27

Family

ID=8283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481A Active KR102710818B1 (ko) 2021-01-28 2022-01-10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0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9001A (zh) * 2023-03-30 2023-05-26 吉安市中香天然植物有限公司 一种用于养肤的复合精油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854B1 (ko) * 2003-03-25 2006-01-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피토라이트 및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8055A (ko) 2014-07-11 2016-0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38354B1 (ko) * 2015-09-18 2018-03-15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동백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311A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359B1 (ko)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US20130101537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KR10279176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작약꽃, 회화나무꽃, 푸른연꽃, 샤프란꽃, 수레국화꽃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에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710818B1 (ko) 동백꽃 및 동백잎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6413687B (zh) 含有红景天提取物和银杏提取物的产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ES2960038T3 (es) Extracto de semillas de moringa peregrina rico en 2,5-diformilfuran, procedimiento para su obtención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KR20150037115A (ko)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7289B1 (ko)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1550684B1 (ko) 고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27655B1 (ko) 바나나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1904800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165A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040087777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화장료
KR101648477B1 (ko) 다크서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0148A (ko) 싸리나무 및/또는 까마중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831553B1 (ko) 피토라이트, 락테이트 및 레드호그위드뿌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밝기 개선용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9037A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746298B1 (ko) 루시놀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9512B1 (ko) 싸이클로덱스트린글루카노트란스퍼라제를 이용한 능이, 국화, 목련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35329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