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9819B1 -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갖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갖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9819B1 KR102709819B1 KR1020230008938A KR20230008938A KR102709819B1 KR 102709819 B1 KR102709819 B1 KR 102709819B1 KR 1020230008938 A KR1020230008938 A KR 1020230008938A KR 20230008938 A KR20230008938 A KR 20230008938A KR 102709819 B1 KR102709819 B1 KR 102709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nt
- auxiliary device
- pusher catheter
- pigtail
- delivery sy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459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13 bile 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45 biliary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83 duode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77 pancreatic 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4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6 ure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1—Bile du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8—Ur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1 관로를 가지며 단부가 피그테일부(pig tail)로 형성된 스텐트;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2 관로를 가지며, 상기 스텐트의 후방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 및 일측으로 상기 스텐트가 상기 피그테일부가 펴진 상태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상기 푸셔 카테터가 삽입되는 제3 관로를 갖는 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 내에 상기 스텐트와 상기 푸셔 카테터가 근접 위치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스텐트의 제1 관로를 지나 상기 푸셔 카테터의 제2 관로로 바로 지나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도 조영술(ERCP) 시술에 사용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시 스텐트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갖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혈관, 소화관, 담관, 췌장관, 요관 등의 생체 내 관강에 형성된 협착부에 대하여, 이 협착부를 확장하고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의료용 스텐트의 삽입이 행해진다. 스텐트를 협착부에 전달하기 위해 당 업계에 공지된 가이드 카테터와 푸셔 카테터가 사용된다. 스텐트, 가이드 카테터, 및 푸셔 카테터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딜리버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20447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딜리버리 시스템은, 가이드 카테터, 가이드 카테터의 외주에 끼워지는 스텐트, 및 가이드 카테터의 외주에 끼워지고 스텐트에 대해 손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푸셔 카테터를 포함한다.
상기 딜리버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가이드 와이어를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담관 내에 도입하고, 그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가 협착부를 넘는 위치까지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의 기단측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가 구비된 딜리버리 시스템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손 측에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로 끼워 맞추며,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로 사용하여 스텐트를 담관 내부로 강제 전진시킨다.
이어서, 가이드 카테터와 푸셔 카테터의 기단측 소켓을 분리하고, 가이드 카테터와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푸셔 카테터에 의해 스텐트를 밀어낸다. 이때, 스텐트는 후단에 배치된 플랩이 십이지장 유두와 접촉할 때까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스텐트를 협착부에 위치시킨다. 스텐트의 길이는 의료진이 미리 환자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푸셔 카테터를 스텐트에 접촉시켜 스텐트를 지지하고, 스텐트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카테터만 손 측으로 다시 끌어당긴다. 그 결과, 스텐트는 협착의 적절한 위치에 남아서 그 안에 삽입된다.
그러나, 푸셔 카테터가 스텐트를 밀어줄 때, 기존의 푸셔 카테터는 밀어주는 힘이 약하고,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날 때 푸셔 카테터와의 접점이 없어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에 다이렉트로 삽입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에는,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 간의 접점이 없어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면서 푸셔 카테터를 따로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ERCP 시술시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를 통해 스텐트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보조장치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와 푸셔 카테터를 따로 연결하지 않아도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1 관로를 가지며 단부가 피그테일부(pig tail)로 형성된 스텐트;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2 관로를 가지며, 상기 스텐트의 후방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 및 일측으로 상기 스텐트가 상기 피그테일부가 펴진 상태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상기 푸셔 카테터가 삽입되는 제3 관로를 갖는 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 내에 상기 스텐트와 상기 푸셔 카테터가 근접 위치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스텐트의 제1 관로를 지나 상기 푸셔 카테터의 제2 관로로 바로 지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텐트와 근접 위치한 측의 상기 푸셔 카테터의 단부에는, 상기 스텐트을 밀어주는 힘을 강화시키기 위한 금속 소재의 메탈 팁이 장착되며, 상기 메탈 팁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텐트는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장치에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스텐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측벽에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와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텐트는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로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좌우로 이동하며 피그테일부를 펼쳐주는 피그테일 펼침부재가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장치의 선단에는, 상기 피그테일 펼침부재가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장치의 몸체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펼침부재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푸셔 카테터의 선단에 금속 팁을 장착하여 푸셔 카테터의 밀어주는 힘을 강화하고, 보조장치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에 다이렉트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한 번에 지나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이드 와이어를 스텐트에 삽입하고 난 후에 스텐트의 피그테일부(pig tail)를 펴서, 다시 가이드 와이어가 지나가면 그 뒤로 푸셔 카테터를 별도로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스텐트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스텐트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삽입홀을 통해 보조장치 내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스텐트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삽입홀을 통해 보조장치 내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스텐트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스텐트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은 스텐트(100), 푸셔 카테터(200), 및 보조장치(300)를 포함한다.
스텐트(100)는 가이드 와이어(10)가 통과 가능한 제1 관로(110)를 가지며 단부가 피그테일부(pig tail)로 형성된다. 스텐트(1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원통형 모양의 관형으로 연장된다. 도 1, 2에서는 보조장치(300) 내로 삽입된 스텐트(100)의 단부에 형성된 피그테일부(130a)가 펴진 상태로 도시된다.
스텐트(100)는, 도 1과 같이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130a)로 형성된 싱글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single pig tail plastic stent)(100a), 또는 도 2와 같이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130a, 130b)로 형성된 더블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double pig tail plastic stent)(100b)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텐트(100a)의 외주면 선단부에는 플랩(120)이 형성된다. 플랩(120)은 기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스텐트(100b)의 외주면에는, 스텐트(100b)의 길이방향 좌우로 이동하여 피그테일부(130a, 130b)를 펼쳐주는 피그테일 펼침부재(400)가 끼워진다. 도 2와 같이 스텐트(100b)가 더블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인 경우, 스텐트(100b)의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130a, 130b)로 형성되어 있다. 피그테일 펼침부재(400)는, 스텐트(100b)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양측의 피그테일부(130a, 130b)를 각각 펼쳐주는 역할을 한다.
푸셔 카테터(200)는 가이드 와이어(10)가 통과 가능한 제2 관로(210)를 가지며, 스텐트(100)의 후방에 배치된다. 푸셔 카테터(2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원통형 모양의 관형으로 연장된다. 푸셔 카테터(200)는 보조장치(300)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스텐트(100)를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 내에 스텐트(100)와 푸셔 카테터(200)가 근접 위치하게 끼워진다.
상기 스텐트(100)와 근접 위치한 측의 푸셔 카테터(200)의 단부에는, 스텐트(100)를 밀어주는 힘을 강화시키기 위한 금속 소재의 메탈 팁(220)이 장착된다. 메탈 팁(220)은 푸셔 카테터(20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며, 메탈 팁(220)에는 가이드 와이어(10)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금속 소재의 메탈 팁(220)은, 기존 플라스틱 푸셔 카테터(200)보다 스텐트(100)를 밀어주는 힘을 훨씬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인체에 스텐트(1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보조장치(300)는, 일측으로 스텐트(100)가 피그테일부(130a) 펴진 상태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푸셔 카테터(200)가 삽입되는 제3 관로(310)를 갖는다.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 내에는, 스텐트(100)와 푸셔 카테터(200)가 서로 인접하도록 끼워진다. 스텐트(100)의 일 단부는 피그테일 형태로 말아져 있는데, 보조장치(300) 내로 스텐트(100)의 피그테일부(130a) 측을 수납하여 피그테일부(130a)를 최대한 일자로 펼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10)가 스텐트(100)의 제1 관로(110)를 지나 인접한 푸셔 카테터(200)의 제2 관로(210)로 바로 지나갈 수 있다.
보조장치(300)에는, 외측으로부터 스텐트(100a)가 삽입 가능하도록 측벽에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와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홀(320)이 형성된다. 스텐트(100a)는 삽입홀(320)을 통해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 내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텐트(100a)를 보조장치(300) 내로 용이하게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장치(300)의 선단에는, 피그테일 펼침부재(400)가 장착 가능하도록 보조장치(300)의 몸체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펼침부재 장착부(330)가 형성된다. 펼침부재 장착부(330)와 보조장치(300)의 몸체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피그테일 펼침부재(400)는 상기 단턱에 의해 펼침부재 장착부(330) 내에 고정된다.
도 3은 도 1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삽입홀을 통해 보조장치 내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싱글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100a)를 사용하는 도 1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텐트(100a)는 플랩(120)이 형성된 선단부와 후단 피그테일부(130a)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텐트(100a)의 선단부를 보조장치(300)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홀(320) 내로 밀어넣어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 내로 삽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텐트(100a)는 보조장치(300) 내로 삽입되어 선단이 보조장치(30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텐트(100a)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200)가 보조장치(300) 내로 삽입된다. 푸셔 카테터(200)의 전단에는 메탈 팁(220)이 장착되어 스텐트(100a)를 강화된 힘으로 밀게 된다.
도 7은 도 2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블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100b)를 사용하는 도 2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텐트(100b)는 전단 피그테일부(130b)와 후단 피그테일부를 갖는다. 스텐트(100b)의 몸체에는 피그테일부를 펴기 위한 피그테일 펼침부재(400)가 끼워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그테일 펼침부재(400)로 스텐트(100b)의 전방 피그테일부(130b)로 이동시켜 말린 형태의 피그테일부를 편다. 이 상태에서 스텐트(100b)를 보조장치(300)의 일측으로 삽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텐트(100b)은 전방부가 보조장치(300) 내로 삽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텐트(100b)와 반대편에서 보조장치(300)에 푸셔 카테터(200)가 삽입된다. 푸셔 카테터(200)의 전단에는 메탈 팁(220)이 장착되어 스텐트(100b)를 강화된 힘으로 밀게 된다.
이 분야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스텐트
100a: 싱글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
100b: 더블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
110: 제1 관로 120: 플랩
130a, 130b: 피그테일부
200: 푸셔 카테터 210: 제2 관로
220: 메탈 팁 221: 관통홀
300: 보조장치 310: 제3 관로
320: 삽입홈 330: 펼침부재 장착부
400: 피그테일 펼침부재
100a: 싱글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
100b: 더블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
110: 제1 관로 120: 플랩
130a, 130b: 피그테일부
200: 푸셔 카테터 210: 제2 관로
220: 메탈 팁 221: 관통홀
300: 보조장치 310: 제3 관로
320: 삽입홈 330: 펼침부재 장착부
400: 피그테일 펼침부재
Claims (6)
-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1 관로를 가지며 단부가 피그테일부(pig tail)로 형성된 스텐트;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2 관로를 가지며, 상기 스텐트의 후방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 및
일측으로 상기 스텐트가 상기 피그테일부가 펴진 상태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상기 푸셔 카테터가 삽입되는 제3 관로를 갖는 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 내에 상기 스텐트와 상기 푸셔 카테터가 근접 위치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스텐트의 제1 관로를 지나 상기 푸셔 카테터의 제2 관로로 바로 지나갈 수 있으며,
상기 스텐트는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로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좌우로 이동하며 피그테일부를 펼쳐주는 피그테일 펼침부재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와 근접 위치한 측의 상기 푸셔 카테터의 단부에는, 상기 스텐트을 밀어주는 힘을 강화시키기 위한 금속 소재의 메탈 팁이 장착되며, 상기 메탈 팁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에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스텐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측벽에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와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의 선단에는, 상기 피그테일 펼침부재가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장치의 몸체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펼침부재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8938A KR102709819B1 (ko) | 2023-01-20 | 2023-01-20 |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갖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8938A KR102709819B1 (ko) | 2023-01-20 | 2023-01-20 |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갖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16247A KR20240116247A (ko) | 2024-07-29 |
KR102709819B1 true KR102709819B1 (ko) | 2024-09-25 |
Family
ID=9217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8938A Active KR102709819B1 (ko) | 2023-01-20 | 2023-01-20 |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갖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981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50006A1 (en) * | 2005-08-31 | 2007-03-01 | Cook Ireland Limited | Coaxial dilatation method for stent implanta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04476A (ja) | 2005-01-27 | 2006-08-10 | Olympus Corp | 内視鏡用処置具 |
KR101298669B1 (ko) * | 2011-01-04 | 2013-08-21 | 신경민 | 가이드와이어를 짧게 사용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의 구조 |
KR20210001149A (ko) * | 2019-06-27 | 2021-01-06 | (주)세종헬스케어 | 배액용 카테터 |
KR102249950B1 (ko) * | 2019-09-27 | 2021-05-11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
-
2023
- 2023-01-20 KR KR1020230008938A patent/KR1027098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50006A1 (en) * | 2005-08-31 | 2007-03-01 | Cook Ireland Limited | Coaxial dilatation method for stent implan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16247A (ko) | 2024-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03698A (en) | Prosthesis delivery system | |
US6143002A (en) | System for delivering stents to bifurcation lesions | |
JP3777469B2 (ja) | 液圧を用いたステント挿入器具 | |
US7651520B2 (en) | Means and method for the accurate placement of a stent at the ostium of an artery | |
EP0702535B1 (en) | Prosthesis delivery system with dilating tip | |
US7691139B2 (en) | Unidirectional delivery system | |
CA2121773A1 (en) | Peel-Awa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Catheter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 |
EP1031329A3 (en) | Bifurcated axially flexible stent | |
EP1031330A3 (en) | Bifurcated axially flexible stent | |
US20020055732A1 (en) | Catheter assembly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e same at a bifurcated vessel | |
ATE466612T1 (de) | Katheter zum einsetzen eines stents | |
US2006024775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bifurcated stent | |
JP2011528572A (ja) | 脈管内移植片のための導入器 | |
CA2518890A1 (en) | Branch stent graft deployment and method | |
US20120089220A1 (en) | Microcatheter | |
DE60014068D1 (de) | Stenteinbringungssystem zum verhindern des abknickens sowie verfahren zum laden desselben | |
KR102709819B1 (ko) |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갖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 |
WO2003075976A3 (en) | Iliac bifurcation balloon catheter | |
US20170246431A1 (en) | Medical instrument | |
US20070225790A1 (en) | Introducer sheath for the placement of a stent at the ostium of an artery | |
KR102136930B1 (ko) | 이중 내강 시스 구조를 갖는 스텐트 로딩 장치 및 이의 스텐트 로딩 방법 | |
KR101960294B1 (ko) | 스텐트 삽입장치 | |
JPH10234860A (ja) | ステントデリバリー用カテーテルおよび血管拡張器具 | |
KR102669543B1 (ko) |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용 로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로딩 방법 | |
KR20160097768A (ko) | 카테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