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6232B1 - System am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driving mode - Google Patents
System am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driving mo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6232B1 KR102706232B1 KR1020180121745A KR20180121745A KR102706232B1 KR 102706232 B1 KR102706232 B1 KR 102706232B1 KR 1020180121745 A KR1020180121745 A KR 1020180121745A KR 20180121745 A KR20180121745 A KR 20180121745A KR 102706232 B1 KR102706232 B1 KR 102706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ing
- vehicle
- mode
- feedback
- determi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8—Feedback, closed loop systems or details of feedback error sign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2—Suspens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05—Type of road, e.g. motorways, local streets, paved or unpaved r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는 주행 상황 판단부;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피드백 조건 확인부; 및 상기 피드백 조건 확인부에 의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운전자에게 상기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이 개시된다.A driving mode setting system for a vehicle is disclosed, comprising: a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driving situation of a vehicle while driving; a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a driving-related mode settin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and a feedback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feedback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to a driver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to provide feedback.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히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의 주행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운전 상황에 따라 차량의 주행 모드에 관한 피드백을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자신의 운전 성향에 적합한 주행 모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that provides feedback to the driver regarding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rather than simply setting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input,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set a driving mode suitable for his or her driving style.
최근 차량의 상품성 향상 및 운전자의 운전 성향에 부합하는 차량 성능 제공을 위해 다양한 주행 관련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차량에 제공되고 있다. Recently, vehicles have been provided with functions that allow the setting of various driving-related modes in order to improve the marketability of vehicles and provide vehicle performance that matches the driver's driving style.
이러한 주행 관련 모드는 차량의 스티어링, 서스펜션, 파워트레인 등과 같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성향을 반영할 수 있는 항복에 대해 미리 모드별로 특성을 설정해두고 이를 운전자가 선택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는 주행을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se driving modes are designed to reflect the driver's driving tendencies, such as the vehicle's steering, suspension, and powertrain, by s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 in advance, and allowing the driver to select these to enjoy driving that suits his or her own preferences.
또한, 사전에 미리 결정되어 저장된 모드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운전자 자신이 모드의 세부 항목을 개별적으로 자신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커스텀 모드나 차량 내 전자제어 유닛이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학습하여 이를 반영하는 스마트 모드를 적용한 차량도 알려져 있다.In addi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having to select a mode that has been pre-determined and saved in advance, vehicles are known to have a custom mode in which the driver can individually set the details of the mode to suit himself or herself, or a smart mode in whic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n the vehicle learns the driver's driving tendencies and reflects them.
그러나, 커스텀 모드의 경우 운전자의 세부 항목 설정이 반영되지만,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매번 운전자가 직접 재설정하여야 하며 주행 상황에 맞게 설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마트 모드의 경우 운전자의 주행 성향 등에 따라 세부 항목 설정을 변경하지만, 세부 항목 설정의 변경을 위해 운전자가 일정 시간 이상 운전을 한 경우 획득 가능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여 신속한 설정 변경이 어려우며, 전자제어 유닛이 운전자가 원하는 것과 다른 모드 설정을 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ustom mode, although the driver's detailed item settings are refl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 must reset them each time he or she wants to change the settings, and it is not possible to set them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mart mode, the detailed item setting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driving tendencies, but in order to change the detailed item settings, learning data that can be acquired when the driver has drive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required, making it difficult to change the settings quick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ay set a mode different from what the driver wants.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technology above are only intend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cknowledgment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에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의 주행 모드에 관한 피드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운전자가 선택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자신의 운전 성향에 적합한 주행 모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s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the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which provides feedback on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to the driver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allows the driver to select the driving mode,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set a driving mode suitable for his or her driving styl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는 주행 상황 판단부;A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that judges the driving situation of a vehicle while driving;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피드백 조건 확인부; 및A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driving-related mode settin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and
상기 피드백 조건 확인부에 의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운전자에게 상기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인터페이스부;A feedback interface section that provides feedback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to the driver when it is determined to provide feedback by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section;
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을 제공한다.A driving mode sett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중인 위치를 도출하는 내비게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는, 상기 속도 센서에 검출된 차량의 속도,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검출된 경사도 및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도출되는 차량이 주행한 도로의 종류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상기 주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 gradient sensor for detecting a gradient of a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d a navigation for deriving a driving position of the vehicle.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driving situation based on at least some of the speed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the gradient detected by the gradient sensor, and the type of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derived from the navig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피드백 조건 확인부는,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서의 운전자 운전 성향과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를 서로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can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river's driving tendency i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with the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부는,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변경 가능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interface unit can display information on a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and provide the driver with an interface that allows selection of a changeable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부는,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서 파악된 운전자 운전 성향과 부합하는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를 추천하고 확인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interface unit can display information on a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and provide the driver with an interface for recommending and receiving confirmation of a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that matches the driver's driving tendencies identified in a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는 특정 주행 상황이 종료되었음을 판단하며, 상기 피드백 조건 확인부는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된 주행 상황을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has ended, and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can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setting of a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ended driving situation if the driving situation is determined to have end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주정차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피드백 조건 확인부 및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주정차 판단부에 의해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동작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rking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In this embodiment,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and the feedback interface unit may operate when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parked or stopped by the parking judgment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주행 관련 모드는, 차량의 스티어링 감도, 차량의 서스펜션의 단단함 정도, 차량의 파워트레인의 변속 성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설정되는 모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related mode may be a mode set for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sensitivity of the vehicle, the firmness of the suspension of the vehicle, and the shifting tendency of the powertrain of the vehicl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A step for judg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a vehicle while driving;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주행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driving-related mode settin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in the above-mentioned determining step; and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운전자에게 상기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A step of providing feedback to the driver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if it is decided to provide feedback in the above-mentioned determining step;
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includ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의 속도 센서에 검출된 차량의 속도, 차량의 기울기 센서에서 검출된 경사도 및 차량의 내비게이션에서 도출되는 차량이 주행한 도로의 종류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상기 주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udging step may judge the driving situation based on at least some of the speed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of the vehicle, the gradient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of the vehicle, and the type of road on which the vehicle drove derived from the naviga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주행 상황과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를 서로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ing step may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in the determining step with the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변경 가능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ing step may provide a driver with an interface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a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and allows selection of a changeable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서 파악된 운전자 운전 성향과 부합하는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를 추천하고 확인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ing step may provide the driver with an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and recommending and receiving confirmation of a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that matches the driver's driving tendencies identified in a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특정 주행 상황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된 주행 상황을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ing step may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ended driving situation if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ing step that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has end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주정차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주정차 판단 단계에서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rking judgment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In this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in the parking judgment step that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the determining step and the providing step may be executed.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여러 주행 상황 별로 운전자에게 적합한 차량 주행 관련 세부 사항에 대한 모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운전자의 의견을 직접 반영할 수 있으므로 운전 성향 파악을 통해 자동으로 주행 관련 모드 설정을 하는 기술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더 높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and method, it is possible to set a mode for vehicle driving-related details suitable for the driver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situations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driver's opinion can be directly reflected,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driver's driving tendency more accurately and quickly than the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sets the driving-related mode by understanding the driving tendency, and it can provide the driver with higher satisfactio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주행 모드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서 주행 상황 판단 및 피드백 조건 확인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서 제공되는 피드백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vehicle driving m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for judging a driving situation and confirming a feedback condition in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feedback interface provided in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은,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는 주행 상황 판단부(11)와, 주행 상황 판단부(11)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 기반하여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피드백 조건 확인부(13) 및 피드백 조건 확인부(13)에 의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운전자에게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인터페이스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1) that determines a driving situation of a vehicle while driving, a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that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a driving-related mode settin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1), and a feedback interface unit (13) that provides a driver with feedback related to the setting of a driving-related mod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to provide feedback.
전술한 주행 상황 판단부(11), 피드백 조건 확인부(13) 및 피드백 인터페이스부(13)는 하나의 컨트롤러(10) 내에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11), feedback condition confirmation unit (13), and feedback interface unit (13)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logic for performing each function within one controller (10).
주행 상황 판단부(11)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상황은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각종 차량 내 센서(21, 23)나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시스템(3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될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상황은, 차량의 경사로 주행 여부, 차량의 고속 주행 여부, 차량의 커브길 주행 여부, 차량의 포장/비포장 도로 주행 여부 등이 될 수 있다.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1) can determine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Here,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is information that can be determined using information provided by various in-vehicle sensors (21, 23) that generat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or a navigation system (30) equipp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can be whether the vehicle is driving on a slope, whether the vehicle is driving at a high speed, whether the vehicle is driving on a curved road, or whether the vehicle is driving on a paved/unpaved road.
주행 상황 판단부(11)의 주행 상황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21)와,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23) 및 차량의 주행 중인 위치를 도출하는 내비게이션(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1) to determine the driving situation,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ed sensor (21) that detects the speed of the vehicle, a tilt sensor (23) that detects the gradient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d a navigation (23) that derives the driving position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주행 상황 판단부(11)는 차량의 기울기 센서(21)에서 제공되는 차량 기울기 정보와 내비게이션(23)의 차량 위치 정보 등을 기반으로 차량이 경사로를 주행하는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상황 판단부(11)는 속도 센서(23)의 속도 정보와 내비게이션(23)의 차량 위치 정보(예를 들어, 고속도로 등과 같은 차량이 주행한 도로의 종류)에 기반하여 고속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11) can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driving on a slope based on the vehicle inclin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ehicle inclination sensor (21) and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23). In addition,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11) can determine whether high-speed driving is occurring based on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speed sensor (23) and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23) (for example, the type of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such as a highway).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주행 상황 판단부(11)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 기반하여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can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vehicle's driving-related mode settings based o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1).
예를 들어,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주행 상황 판단부(11)에 의해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상 특정 주행 상황이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주행 상황 판단부(11)에 의해 특정 주행 상황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may determine to provide feedback when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11) determines that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continu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a certain distance. In another example,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may determine to provide feedback when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11) determines that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has ended.
또 다른 예로,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주행 상황 판단부(11)에 의해 특정 주행 상황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던 중 차량의 정차 또는 주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은 컨트롤러(10) 내에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주정차 판단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may determine to provide feedback when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11) determines that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is in progress and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stopped or parked. To this end, the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rking judgment unit (17) in the controller (10)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주정차 판단부(17) 역시 속도 센서(21)에서 제공되는 차량 속도 정보 및/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30)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주차장)를 기반으로 차량 주정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parking judgment unit (17) can als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based on vehicle spe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peed sensor (21) and/or location information (e.g., parking lot) of the navigation system (30).
더하여,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직전의 피드백 제공이 이루어진 이후 경과된 시간을 기반으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직전의 피드백 제공이 이루어진 이후 경과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can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feedback based on the time elapsed since the previous feedback was provided. For example,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can determine to provide feedback if the time elapsed since the previous feedback was provided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특히,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주행 상황 판단부(11)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서 이루어진 운전자에 의한 운전 성향(예를 들어, 차량 가속 성향 및/또는 차량 브레이크 사용 성향 등)과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를 서로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가 편안한 운전을 지향하는 컴포트 모드이고, 특정 차량 주행 상황에서 운전자가 급가속이나 급제동을 수행하는 공격적인 운행을 한 경우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와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비교한 결과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새로운 주행 관련 모드를 제안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관련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대상은, 상기 주행 관련 모드는, 차량의 스티어링 감도, 차량의 서스펜션의 단단함 정도, 차량의 파워트레인의 변속 성향 등이 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may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riving tendency (e.g., vehicle acceleration tendency and/or vehicle brake use tendency, etc.) of the driver i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11) with the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For example, if the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is a comfort mode that aims for comfortable driving, and the driver performs aggressive driving such as rapid acceleration or rapid braking in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may determine that the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tendency of the driver do not matc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m, and may determine to provide feedback suggesting a new driving-related mode. Here, the target for setting the driving-related mode may be, for example, the driving-related mode, the steering sensitivity of the vehicle, the degree of stiffness of the suspension of the vehicle, the shifting tendency of the powertrain of the vehicle, etc.
피드백 인터페이스부(15)는 피드백 조건 확인부(13)에 의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운전자에게 상기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인터페이스부(15)는 피드백 조건 확인부(13)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팝업창 등을 차량의 내비게이션(30) 시스템의 화면이나 차량 클러스터(4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운전자는 내비게이션(30) 시스템의 화면이나 차량 클러스터(40)에 표시된 팝업창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입력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을 피드백 인터페이스부(15)가 입력 제공받고 필요한 경우 차량의 주행 모드 결정부(19)에 기저장된 차량 주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The feedback interface unit (15) can provide the driver with feedback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if it is determined by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to provide feedback. For example, the feedback interface unit (15) can cause a pop-up window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for which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wishes to provide feedback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avigation system (30) or the vehicle cluster (40) of the vehicle. The driver can check the pop-up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avigation system (30) or the vehicle cluster (40) and make an input thereto, and the feedback interface unit (15) receives this input and, if necessary, changes the vehicle driving mode pre-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mode determination unit (19) of the vehicl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의 동작 및 작용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주행 모드 설정 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peration and operational effects of the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주행 모드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vehicle driving m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주행 모드 설정 방법은, 주행 상황 판단부(11)에 의해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고 해당 운전 상황에서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1)로 시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method for setting a vehicle driving m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gin with a step (S11) of determining a driving situation of a vehicle by a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1) and collecting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a driver's driving tendencies in the corresponding driving situation.
단계(S11)에서는 주행 상황 판단부(11)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21)와,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23) 및 차량의 주행 중인 도로의 종류 등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내비게이션(23)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 상황(경사로 주행, 고속 주행, 커브길 주행, 비포장 도로 주행 등)을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11),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11) can check the vehicle driving situation (driving on a slope, driving at high speed, driving on a curved road, driving on an unpaved road, etc.) by using information provided by a speed sensor (21) that detects the speed of the vehicle, a tilt sensor (23) that detects the gradient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d a navigation system (23) that derive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이어, 피드백 조건 확인부(13)가 단계(S11)에서 판단된 주행 상황에 기반하여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3).Next,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can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vehicle's driving-related mode settings based o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in step (S11) (S13).
단계(S13) 이전에,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거리 이상 특정 주행 상황이 지속된 후 이 특정 주행 상황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거나 주정차 판단부(17)에 의해 특정 주행 상황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던 중 차량의 정차 또는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Before step (S13),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may further include a step (S12) in which the specific driving situation is determined to have ended after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has continu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a certain distance, or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have stopped or parked while the specific driving situation is determined to be in progress by the parking judgment unit (17).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서 주행 상황 판단 및 피드백 조건 확인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예는, 차량의 운행 상황이 경사로 오르막 운행 상황의 예이다.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a driving situation and confirming a feedback condition in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3 is an example of a driving situation of a vehicle uphill driving situation.
차량이 도 3의 'P1'과 같이 운행 중인 경우 단계(S11)에서는 주행 상황 판단부(11)가 차량이 차량의 기울기 센서(23)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기울기 정보와 내비게이션 시스템(30)에서 제공되는 차량 주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경사로 오르막 운행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When a vehicle is driving as in 'P1' of Fig. 3, at step (S11),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1) can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driving up a slope by using the vehicle inclin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ehicle inclination sensor (23) and the vehicle driving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vigation system (30).
이어, 차량이 도 3의 'P2'와 같이 오르막 경사로 운행을 마치고 다시 평지 운행을 하게 되는 경우, 단계(S12)에서, 차량 주행 상황 판단부(11)는 차량이 차량의 기울기 센서(23)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기울기 정보와 내비게이션 시스템(30)에서 제공되는 차량 주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 상황이 평지 주행으로 바뀌었음을 확인하고, 후속의 단계(S13)을 진행하게 할 수 있다.Next, when the vehicle finishes driving on an uphill slope like 'P2' of Fig. 3 and then returns to driving on flat ground, at step (S12), the vehicl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1) uses the vehicle inclin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ehicle inclination sensor (23) and the vehicle driving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navigation system (30) to confirm that the vehicle driving situation has changed to driving on flat ground, and can proceed to the subsequent step (S13).
다른 예로, 도 3의 'P2'가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한 것이라면, 단계(S12)에서, 주정차 판단부(17)가 차량의 속도 센서(21)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속도 정보와 내비게이션 시스템(30)에서 제공되는 차량 주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정차 한 상태임을 판단하고, 후속의 단계(S13)을 진행하게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P2' in Fig. 3 indicates that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in step (S12), the parking judgment unit (17) can use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21) and the vehicle driving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vigation system (30) to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parked, and proceed to the subsequent step (S13).
또 다른 예로, 단계(S12)는 직전의 피드백 제공이 이루어진 이후 경과된 시간을 기반으로 후속하는 단계(S13)의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단계(S12)에서, 차량이 계속 평지 운행을 지속하는 경우 직전의 피드백 제공이 이루어진 이후 경과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step (S12) may determine whether to proceed to the subsequent step (S13) based on the time elapsed since the previous feedback was provided. For example, in step (S12),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may determine to provide feedback if the time elapsed since the previous feedback was provid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when the vehicle continues to drive on level ground.
단계(S13)에서,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주행 상황 판단부(11)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서 이루어진 운전자에 의한 운전 성향(예를 들어, 차량 가속 성향 및/또는 차량 브레이크 사용 성향 등)과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를 서로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주행 상황이 판단되는 동안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서 기대되는 운전 성향과 실제 운전자에 의해 파악된 운전 성향이 서로 부합되지 않는 경우, 피드백 조건 확인부(13)는 피드백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13),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may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riving tendency (e.g., vehicle acceleration tendency and/or vehicle brake use tendency, etc.) of the driver i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1) with the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if the driving tendency expected in the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tendency actually identified by the driver do not match each other while the driving situation is determined,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may determine to provide feedback.
단계(S13)에서, 피드백 조건 확인부(13)가 피드백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피드백 인터페이스부(15)는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팝업창 등을 차량의 내비게이션(30) 시스템의 화면이나 차량 클러스터(4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S14). In step (S13), if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13) determines that feedback will be provided, the feedback interface unit (15) can cause a pop-up window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for which feedback is to be provid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vehicle's navigation system (30) or the vehicle cluster (40) (S14).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서 제공되는 피드백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feedback interface provided in a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4)에서, 피드백 인터페이스부(15)는,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도 4의 예에서, '컴포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변경 가능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도 4의 예에서, '더 컴포트' 및 '더 스포티')에 대한 선택이 가능한 팝업창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in step (S14), the feedback interface unit (15)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 pop-up window-type interface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a preset vehicle driving-related mode ('Comfort' in the example of FIG. 4) and allows selection of changeable vehicle driving-related modes ('More Comfort' and 'More Sporty' in the example of FIG. 4).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4)에서, 피드백 인터페이스부(15)는,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정보(도 5의 예에서 '컴포트')를 표시하고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서의 운전자 운전 성향에 부합하는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도 5의 예에서 '스포티')를 추천하고 확인 받기 위한 팝업창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5, in step (S14), the feedback interface unit (15) may display information on a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Comfort' in the example of FIG. 5) and provide the driver with an interface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for recommending and confirming a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Sporty' in the example of FIG. 5) that matches the driver's driving tendency i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이어, 운전자는 내비게이션(30) 시스템의 화면이나 차량 클러스터(40)에 표시된 팝업창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입력을 할 수 있으며(S15), 이러한 입력을 피드백 인터페이스부(15)가 입력 제공받고 필요한 경우 차량의 주행 모드 결정부(19)에 기저장된 차량 주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S16).Next, the driver can check the pop-up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navigation system (30) or the vehicle cluster (40) and make an input thereon (S15), and the feedback interface unit (15) receives this input and, if necessary, changes the vehicle driving mode stored in the vehicle driving mode determination unit (19) (S16).
단계(S12)에서 피드백 제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거나, 단계(S13)에서 피드백 제공 여부를 확인한 결과 피드백 제공이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단계(S15)에서 피드백 인터페이스로서 팝업창 등이 제공된 이후 일정 시간동안 운전자 입력이 없거나 운전자가 기설정된 차량 주행 관련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지 않는 경우, 이전에 기설정된 주행 관련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S17).If the condition for checking whether feedback is provided in step (S12) is not satisfied, or if it is determined that feedback is not necessary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feedback is provided in step (S13), or if there is no driver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a pop-up window or the like is provided as a feedback interface in step (S15) or if the driver does not wish to change preset vehicle driving-related settings, the previously preset driving-related mode can be maintained as is (S1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주행 중에 여러 주행 상황에 따라 운전자에게 차량의 스티어링 감도, 차량의 서스펜션의 단단함 정도, 차량의 파워트레인의 변속 성향 등의 세부 사항에 주행 관련 모드를 운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하여 변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feedback to the driver so that the driver can directly select a driving-related mode, such as the steering sensitivity of the vehicle, the degree of firmness of the suspension of the vehicle, and the shifting tendency of the powertrain of the vehicle, depending on various driving situations while the vehicle is being drive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여러 주행 상황 별로 운전자에게 적합한 차량 주행 관련 세부 사항에 대한 모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운전자의 의견을 직접 반영할 수 있으므로 운전 성향 파악을 통해 자동으로 주행 관련 모드 설정을 하는 기술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더 높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vehicle driving mod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a mode for vehicle driving-related details suitable for the driver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situations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driver's opinion can be directly reflected, it can satisfy the driver's driving tendency more accurately and quickly than the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sets the driving-related mode by understanding the driving tendency, and can provide the driver with higher satisfa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improv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컨트롤러 11: 주행 상황 판단부
13: 피드백 조건 확인부 15: 피드백 인터페이스부
17: 주정차 확인부 19: 주행 모드 결정부
21: 속도 센서 23: 기울기 센서
30: 내비게이션 40: 클러스터10: Controller 11: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13: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section 15: Feedback interface section
17: Parking check unit 19: Driving mode determination unit
21: Speed sensor 23: Tilt sensor
30: Navigation 40: Cluster
Claims (16)
상기 컨트롤러는,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는 주행 상황 판단부;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피드백 조건 확인부; 및
상기 피드백 조건 확인부에 의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운전자에게 상기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조건 확인부는 상기 주행 상황 또는 주정차 여부가 특정 상황을 만족하면, 상기 주행 상황이 판단되는 동안 기 설정된 차량 주행 모드에서 기대되는 운전 성향과,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주행 상황에서의 운전자 운전 성향이 부합하지 않는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Including a controller equipped in the vehicle,
The above controller,
A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that judges the driving situation of a vehicle while driving;
A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driving-related mode settin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and
A feedback interface section that provides feedback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to the driver when it is determined to provide feedback by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section;
Including,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determines to provide feedback when the driving situation or whether the driving situation is stopped satisfies a specific condition, and when the driving tendency expected from the preset vehicle driving mode while the driving situation is being determined does not match the driver's driving tendency i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상기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중인 위치를 도출하는 내비게이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는, 상기 속도 센서에 검출된 차량의 속도,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검출된 경사도 및 상기 내비게이션에서 도출되는 차량이 주행한 도로의 종류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상기 주행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In claim 1,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 tilt sensor that detects the gradient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d
Further comprising a navigation system for deriving the driving location of the vehicle;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judges the driving situation based on at least some of the vehicle speed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the gradient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and the type of road on which the vehicle drove derived from the navigation.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변경 가능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In claim 1, the feedback interface unit,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driver with an interface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preset vehicle driving modes and allows selection of changeable vehicle driving modes.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주행 상황에서 파악된 운전자 운전 성향과 부합하는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를 추천하고 확인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In claim 1, the feedback interface unit,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driver with an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reset vehicle driving mode and recommending and receiving confirmation of a vehicle driving mode that matches the driver's driving tendencies determined by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는 특정 주행 상황이 종료되었음을 판단하며,
상기 피드백 조건 확인부는 상기 주행 상황 판단부에 의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된 주행 상황을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In claim 1,
The abov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determines that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has ended.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setting of the vehicle's driving-related mode based on the terminated driving situation when the driving situation is determined to have been terminated by the driving situation judgment unit.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주정차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조건 확인부 및 상기 피드백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주정차 판단부에 의해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In claim 1,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parking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and the feedback condition verification unit and the feedback interface unit operate when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parked or stopped by the parking judgment unit.
상기 주행 관련 모드는, 차량의 스티어링 감도, 차량의 서스펜션의 단단함 정도, 차량의 파워트레인의 변속 성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설정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시스템.In any one of claims 1, 2, 4 to 7,
A vehicle driving mode set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driving-related mode is a mode set for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sensitivity of the vehicle, the firmness of the suspension of the vehicle, and the shifting tendency of the powertrain of the vehicle.
주행 중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주행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운전자에게 상기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상황 또는 주정차 여부가 특정 상황을 만족하면, 상기 주행 상황이 판단되는 동안 기 설정된 차량 주행 모드에서 기대되는 운전 성향과,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주행 상황에서의 운전자 운전 성향이 부합하지 않는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방법.A driving mode setting method performed by a controller equipped in a vehicle,
A step for judging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driving-related mode settin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in the above-mentioned determining step; and
A step of providing feedback to the driver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driving-related mode, if it is decided to provide feedback in the above-mentioned determining step;
Including,
A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comprises determining that, if the driving situation or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satisfies a specific condition, feedback is provided if the driving tendency expected from a preset vehicle driving mode while the driving situation is determined does not match the driver's driving tendency in the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차량의 속도 센서에 검출된 차량의 속도, 차량의 기울기 센서에서 검출된 경사도 및 차량의 내비게이션에서 도출되는 차량이 주행한 도로의 종류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상기 주행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방법.In claim 9, the judging step comprises:
A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situation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some of the speed of the vehicle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of the vehicle, the gradient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of the vehicle, and the type of road on which the vehicle drove derived from the navigation of the vehicle.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변경 가능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방법.In claim 9,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A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driver with an interface that displays information about a preset driving-related mode of a vehicle and allows selection of a changeable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기설정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주행 상황에서 파악된 운전자 운전 성향과 부합하는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를 추천하고 확인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방법.In claim 9, the providing step comprises:
A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driver with an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reset driving mode of a vehicle and recommending and receiving confirmation of a driving mode of the vehicle that matches the driver's driving tendencies determined in a driving situation determined in the above-determined step.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특정 주행 상황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된 주행 상황을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 관련 모드의 설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방법.In claim 9,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A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above judgment step that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has ende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provide feedback on the setting of a driving-related mod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ended driving situation.
상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주정차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정차 판단 단계에서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방법.In claim 9,
It further includes a parking judgment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bov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A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rmining step and the providing step are executed when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parked or stopped in the above-mentioned parking judgment step.
상기 주행 관련 모드는, 차량의 스티어링 감도, 차량의 서스펜션의 단단함 정도, 차량의 파워트레인의 변속 성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설정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모드 설정 방법.In any one of claims 9, 10, 12 to 15,
A method for setting a driving mod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related mode is a mode set for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sensitivity of the vehicle, the firmness of the suspension of the vehicle, and the shifting tendency of the powertrain of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1745A KR102706232B1 (en) | 2018-10-12 | 2018-10-12 | System am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driving mo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1745A KR102706232B1 (en) | 2018-10-12 | 2018-10-12 | System am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driving mod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5032A KR20200045032A (en) | 2020-05-04 |
KR102706232B1 true KR102706232B1 (en) | 2024-09-12 |
Family
ID=7073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1745A Active KR102706232B1 (en) | 2018-10-12 | 2018-10-12 | System am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driving mod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623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120B1 (en) | 2013-02-01 | 2014-12-05 |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 Method for maching driver's propensity to drive |
KR101484249B1 (en) | 2014-09-22 | 2015-01-1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of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5520A (en) | 1996-05-15 | 1997-12-10 | 김영귀 | Automatic mode switching device of a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970075519A (en) | 1996-05-15 | 1997-12-10 | 김영귀 | Automatic switching method of driving mode of automobile automatic transmission |
KR101459451B1 (en) * | 2012-12-27 | 2014-11-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Active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vehicle through learning drive pattern |
KR101500364B1 (en) * | 2013-06-24 | 2015-03-18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ing environment of vehicle |
KR102310417B1 (en) * | 2017-01-05 | 2021-10-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Driving mode recommandation server and driving mode recommandation method for vehicle |
-
2018
- 2018-10-12 KR KR1020180121745A patent/KR1027062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120B1 (en) | 2013-02-01 | 2014-12-05 |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 Method for maching driver's propensity to drive |
KR101484249B1 (en) | 2014-09-22 | 2015-01-1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of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5032A (en) | 2020-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0061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 of vehicle control systems | |
US8204665B2 (en) | Vehicle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US20080231469A1 (en) | Method for Determining a Parking Spot | |
US9248819B1 (en) | Method of customizing vehicle control system | |
US9062762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shift of automatic transmission in vehicle | |
US9132839B1 (en) | Method and system of adjust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 of vehicle control system | |
WO2018163288A1 (en) | Travel assistance method and driving control device | |
US10293823B2 (en) | Method for selecting an evaluation object for a function in a motor vehicle | |
KR101704244B1 (en) | Remote Parking Method and Apparatus | |
US20110254863A1 (en) | In-vehicle display device | |
WO2009101514A1 (en) | Parking lot guidance system | |
KR20150034899A (en) | Method of determinig short term driving tendency and system of controlling shift using the same | |
EP312926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scenario configuration | |
JP2013189109A (en) | Vehicular suspension control system | |
CN104210498B (en) | The short-term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endency for determining driver | |
JP674024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hanges in the mode of operation of a motor vehicle | |
KR102706232B1 (en) | System amd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driving mode | |
US11427214B2 (en) | Method of synchronizing driving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ehicles | |
JP2005067408A (en) | Customized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display | |
JP2005067406A (en) | Customized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display | |
JPH06328987A (en) | Device for changing control gain of vehicle | |
KR20210015216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parking and method thereof | |
JPH06321026A (en) | Vehicular controller, vehicular control gain changing device and control gain changing method | |
JPH06328984A (en) | Device for changing control gain of vehicle | |
JPH0558198A (en) | Learning control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0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