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8617B1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 - Google Patents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8617B1
KR102698617B1 KR1020240034574A KR20240034574A KR102698617B1 KR 102698617 B1 KR102698617 B1 KR 102698617B1 KR 1020240034574 A KR1020240034574 A KR 1020240034574A KR 20240034574 A KR20240034574 A KR 20240034574A KR 102698617 B1 KR102698617 B1 KR 10269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racket
elastic
seat belt
release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4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창규
Original Assignee
조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규 filed Critical 조창규
Priority to KR102024003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86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861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1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체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 리트렉터의 기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연결되는 웨빙에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웨빙에 의한 흉부 및 어깨에 가해질 수 있는 2차 충격을 완와시켜 안전벨트 착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는, 리트렉터(Retractor)에 웨빙(Webbing, 82)으로 연결된 텅(Tongue, 80)과 상기 텅(80)과 체결되는 버클(70)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에서, 상기 웨빙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로, 상기 버클(70)과 체결되기 위한 텅부(60)가 타측에 접합된 판상의 탄성부 브라켓(44)과, 상기 탄성부 브라켓(44)과 대응되는 판상으로 일측에 상기 텅(80)과 체결되기 위한 버클부(10)가 접합된 버클부 브라켓(2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은, 양단부에 장착되는 중공의 스프링홀더(42)와, 상기 스프링홀더(42)에 수용되어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4)과,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력을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전달하면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의 배치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which secures the function of a retractor when an impact occurs on a moving bod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elasticity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wearer to the webbing to which the seat belt is connected, thereby absorbing secondary impact that may be applied to the chest and shoulders by the webbing, thereby preventing injury to the wearer of the seat belt.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ngue (80) connected to a retractor by a webbing (82) and a buckle (70) fastened to the tongue (80), and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for absorbing shock applied to the webbing, comprising a plate-shaped elastic bracket (44) having a tongue (60) fastened to the buckle (70) fastened to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buckle bracket (20) having a buckle (10) fastened to the tongue (80) fastened to one side thereof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bracket (44), and the elastic bracket (44) comprises a hollow spring holder (42) mounted on both ends thereof, an elastic spring (54) accommodated in the spring holder (42)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buckle bracket (20), and a spring (54) formed by the elastic spring (54).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ity adjustment means for maintaining the arrangement with the buckle bracket (20) while transmitting elasticity to the buckle bracket (20) and adjusting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54).

Description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

본 발명은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체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 리트렉터의 기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연결되는 웨빙에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웨빙에 의한 흉부 및 어깨에 가해질 수 있는 2차 충격을 완와시켜 안전벨트 착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seat belt,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ock absorber for a seat belt which secures the function of a retractor when an impact occurs on a moving objec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elasticity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wearer to the webbing to which the seat belt is connected, thereby absorbing secondary impact that may be applied to the chest and shoulders by the webbing, thereby preventing injury to the seat belt wearer.

사람이 탑승하는 이동체에는 충돌사고 등 각종 외부 충격에 대비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Vehicles carrying people are equipped with seat belts to prevent injuries to drivers and passengers from various external impacts such as collision accidents.

특히, 자동차의 경우에는 충돌사고시 충격량의 크기에 따라 단독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에어백장치와 연동되어 더욱 안전하게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보조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utomobiles, it independently plays a role in protecting the driver and passenger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mpac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ut it also plays a secondary role in protecting the driver and passengers more safely when linked with the airbag device.

종래의 안전벨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플로워 패널의 일측에 케이블(74)로 고정되어 있는 버클(Buckle, 10)과, 센터필라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웨빙(Webbing, 82)이 권취되어 있는 리트렉터(Retractor)와, 리트렉터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풀려 있는 웨빙 상에 버클(10)과 체결되도록 구비된 텅(Tongue, 80)과, 웨빙이 풀리거나 권취되면서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더 및 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앵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eat belt device comprises a buckle (10) fixed to one side of a floor panel with a cable (74), a retractor on which webbing (82) fixed to the lower part of a center pillar is wound, a tongue (80)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buckle (10) on the webbing unwound from the retractor to a predetermined length, a guide that prevents the webbing from being unwound or twisted, and an anchor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belt.

상기 리트렉터는 평상시에는 웨빙의 단부에 구비된 텅을 선택적으로 버클에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센터필라에 고정되어 웨빙을 인출하고, 충돌사고시에는 고정시키도록 플로워패널에 내장되어 설치된다.The above retractor is normally fixed to the center pillar so that the tongue provided at the end of the webbing can be selectively fastened and released from the buckle to withdraw the webbing, and is installed built into the floor panel so that it is fix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또한, 상기 안전벨트는 일정한 폭을 갖는 웨빙의 양단을 플로워페널 센터필러에 고정시키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착용자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충돌사고시 착용자의 신체가 전방 또는 사고방향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belt is designed to prevent the wearer's body from being thrown forward or in the direction of the acciden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y fixing both ends of a webbing having a certain width to the center pillar of the floor panel and positioning the wearer between them, as shown in Fig. 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벨트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몸을 시트에 밀착시켜 자동차의 충돌사고 발생시 전방으로 몸이 튕겨나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이나 대쉬보드면에 부딪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웨빙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아 웨빙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착용자의 흉부 및 어깨에 상당한 2차 충격이 가해져 늑골 또는 쇄골에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prevents the driver and passengers from being thrown forward and hitting the steering wheel or dashboard of the car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by pressing their bodies against the sea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since the tension of the webbing is not adjusted, a considerable secondary impact is applied to the wearer's chest and shoulders supported by the webbing, resulting in injuries to the ribs or collarbone.

이에 국내등록특허 제10-1288816호(등록일자, 2013년 7월 17일)는, 일면이 폐쇄되고, 내부에 팽창유체(dilatant fluid)가 채워진 함체; 상기 함체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팽창유체에 침지되고, 상기 팽창유체와 접촉하여 팽창유체에 응력이 발생될 때 상기 팽창유체에 의해 이동 제어되는 마찰부재; 상기 함체의 내측과 상기 마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부재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제한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팽창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는 패킹;을 포함하며, 상기 함체의 일면은, 안전벨트의 버클 및 브래킷 중 어느 하나와 연결고정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함체의 일면에 대한 대향면을 관통하여 브래킷, 안전벨트의 웨빙, 및 브래킷 또는 안전벨트의 웨빙에 연결되는 매개수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패킹은 상기 폐쇄된 함체의 일면에 대한 대향면에 마련되며,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을 통한 마찰부재의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마찰부재는 안전벨트에 가해지는 응력의 발생, 변화, 해제에 따라서 상기 팽창유체내에서 이동하여 안전벨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하중 조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No. 10-1288816 (registration date, July 17, 2013) comprises: a body having one side closed and an interior filled with a dilatant fluid; a friction member immersed in the dilatant fluid through an opening of the body and controlled to move by the dilatant fluid when stress is generated in the dilatant fluid by contact with the dilatant flui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e friction member to elastically limit the position of the friction member; And a packing that blocks the leakage of the expansion fluid; wherein one side of the body is connected and fixed to one of a buckle and a bracket of a seat belt, the friction member is connected to one of the bracket, the webbing of the seat belt, and an intermediary means connected to the bracket or the webbing of the seat belt by penetrating an opposite surface to the one side of the body, the packing is provided on an opposite surface to the one side of the closed body, a slit is formed, and the friction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enable linear movement through the slit, and the friction member moves in the expansion flui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change, and release of stress applied to the seat belt to adjust the tension applied to the seat bel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용 하중 조절장치는, 안전벨트용 웨빙에 의한 신체적 압박을 완화할 수는 있지만,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되도록 웨빙에 가해지는 하중을 조절할 수 없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oad adjusting device for seat belts as described above can relieve physical pressure caused by seat belt webbing, bu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cannot adjust the load applied to the webbing to correspond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wearer.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용 하중 조절장치는 마찰부재가 함체의 양단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작동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load adjusting device for seat belts, such as the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s operation is unreliable because it cannot absorb shock when the friction members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ody.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용 하중 조절장치는 완성차로 출고되는 신차의 안전벨트장치에 변형을 가하여 장착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과, 완성차에 변형을 수반하기 때문에 완성차업체의 사후서비스에 제한사항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seat belt load adjus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the problem of increased cost because it must be installed by modifying the seat belt device of a new car that is released as a finished vehicle, and there is the problem that it may limit the after-sales service of the finished vehicle manufacturer because it entails modification of the finished vehicle.

특히, 완성차 구매자는 차내 인테리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형에 대하여 거부감이 높은 경향이 있는 문제점과, 2차 충격에 대한 대안으로써 기능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안전벨트용 하중 조절장치에 관하여 장착 자체를 꺼려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buyers of complete vehicles tend to be highly averse to modifications that may affec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are reluctant to install conventional seat belt load adjusting devices even though they can function as an alternative to secondary impact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출고되는 자동차에 어떠한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안전벨트 착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2차 충격을 완와하여 안전벨트 착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that can prevent injury to a seat belt wearer by absorbing secondary impact that may be applied to the seat belt wearer without making any modification to the automobile being produced.

아울러,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웨빙에 의한 2차 충격을 완와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capable of alleviating secondary impact caused by webbing by adjusting elasticity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weare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아래의 기재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는, 리트렉터(Retractor)에 웨빙(Webbing, 82)으로 연결된 텅(Tongue, 80)과 상기 텅(80)과 체결되는 버클(70)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에서, 상기 웨빙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로, 상기 버클(70)과 체결되기 위한 텅부(60)가 타측에 접합된 판상의 탄성부 브라켓(44)과, 상기 탄성부 브라켓(44)과 대응되는 판상으로 일측에 상기 텅(80)과 체결되기 위한 버클부(10)가 접합된 버클부 브라켓(2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은, 양단부에 장착되는 중공의 스프링홀더(42)와, 상기 스프링홀더(42)에 수용되어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4)과,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력을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전달하면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의 배치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ngue (80) connected to a retractor by a webbing (82) and a buckle (70) fastened to the tongue (80),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for absorbing shock applied to the webbing, comprising a plate-shaped elastic bracket (44) having a tongue (60) fastened to the buckle (70) fastened to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buckle bracket (20) having a buckle (10) fastened to the tongue (80) fastened to one side thereof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bracket (44), and the elastic bracket (44) comprises a hollow spring holder (42) mounted on both ends thereof, an elastic spring (54) accommodated in the spring holder (42) for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ity adjustment means for transmit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54) to the buckle bracket (20) while maintaining the arrangement with the buckle bracket (20) and adjusting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54).

일실시 예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 및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은, 양단부에 관통된 브라켓구멍(22, 48)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력을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탄성스프링(54)을 관통하고 나사부가 상기 브라켓구멍(22, 48)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탄성조절볼트(50) 및 탄성조절너트(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may have bracket holes (22, 48) formed through both ends, and the elasticity adjustment means may include an elasticity adjustment bolt (50) and an elasticity adjustment nut (58) that penetrate the elastic spring (54) and have a screw portion that penetrates the bracket holes (22, 48) to transmi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54) to the buckle bracket (20).

일실시 예로, 일정 폭을 갖는 판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버클부(10)의 해제버튼(12)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절곡된 전단해제부(32)와, 타측에는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의 텅부(60)에 체결되는 버클(70)의 해제버튼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후단해제부(34)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홀(36)이 중앙부에 형성된 이중해제버튼(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은, 상기 슬라이딩 홀(36)을 통해 상기 버클부(10)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장착볼트(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ront release portion (32)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one side to press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ortion (10), a rear release portion (34) formed on the other side to press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fastened to the tongue (60) of the elastic bracket (44), and a double release button (30) having a sliding hole (36) formed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unting bolt (38) inserted through the sliding hole (36) so as to be mounted and slidable on the buckle portion (10).

일실시 예로,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의 텅부(60)가 자동차의 버클(70)과 체결된 후 이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이 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자동차의 버클(70)의 해제버튼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에 장착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is operated to release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after the tongue (60) of the elastic bracket (44) is fastened to it,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late spring mounted on the elastic bracket (44)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일실시 예로,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은, 상기 버클부(10)의 해제버튼(12)이 먼저 동작된 후 상기 자동차의 버클(70) 해제버튼이 후에 동작되도록 하거나, 상기 자동차 버클(70)의 해제버튼이 먼저 동작된 후 상기 버클부(10) 해제버튼(12)이 후에 동작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to a length such that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art (10) is operated first and then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is operated later, or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is operated first and then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art (10) is operated lat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탄성력을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편리함과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asticity can be adjusted to fi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wearer, the product can be install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preference and encouraging the wearing of seat belts.

한편, 출고되는 완성차에 어떠한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리트렉터의 기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착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2차 충격을 완와하여 안전벨트 착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njuries to seat belt wearers by securing the function of a retractor without making any modifications to the finished vehicle being shipped, and at the same time absorbing secondary impacts that may be applied to the wearer.

아울러,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안전벨트 착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eat belt wearing rate because it can produce a product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low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의 절단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B-B선의 절단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자동차 안전벨트가 장착된 자동차용 시트.
도 7은 종래의 자동차용 안전벨트.
Figure 1 is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 sectio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usage status of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 section of line BB of Figure 4.
Fig. 6 is a seat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automobile seat belt.
Fig. 7 shows a conventional seat belt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의 개념 및 그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해당 용어의 사전적 또는 어구적 의미만으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어느 구성,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를 의미하며,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른 구성, 단계, 동작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Hereinafter,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used to describe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thereof,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ictionary or phraseological meaning of the terms. For example, a singular expression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e presence of a certain configuration, step, oper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do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configurations, steps, or oper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접속되는" 또는 "연결되는" 은 하나의 엘리먼트/특징이 다른 엘리먼트/특징과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 또는 타 엘리먼트/특징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기계적으로 바로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모식도들은 엘리먼트들과 컴포넌트들의 예시적인 배열들을 도시하지만, 추가의 중재 엘리먼트들, 디바이스들, 특징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도시된 엘리먼트들의 기능이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실제 실시형태에서 존재할 수도 있다.Unless stated otherwise herein, “connected” or “coupled” may include one element/feature being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feature, or in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via another element/feature,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directly mechanically connected or coupled. Thus, while the various schematic diagrams depicted in the drawings illustrate exemplary arrangements of elements and components, additional intervening elements, devices,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an actual embodiment (assum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picted elements is not adversely affected).

한편,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when adding quotation marks to components of the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n addition, directional terms such as 'upper', 'lower', 'front', 'rear', 'leading', 'front', 'rear', etc. are used in relation to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s). Sinc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directional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not limitation.

본 발명은 이동체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에 리트렉터의 기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전벨트가 연결되는 웨빙에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웨빙에 의한 흉부 및 어깨에 가해질 수 있는 2차 충격을 완와시켜기 위한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secures the function of a retractor when an impact occurs on a moving bod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elasticity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a wearer to a webbing to which a seat belt is connected, thereby alleviating secondary impact that may be applied to the chest and shoulders by the webbing.

본 발명은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벨트가 장착된 이동체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자동차의 안전벨트에 적용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moving objects equipped with a seat belt to protect the wearer,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describe an example in which it is applied to a seat belt of an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의 절단부 단면도이다.FIG. 1 is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부(10), 버클부 브라켓(20), 탄성제공부(40), 텅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uckle portion (10), a buckle bracket (20), an elastic providing portion (40), and a tongue portion (60), as shown in FIGS. 1 to 3.

일실시 예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은 판상으로 일측에 상기 버클부(10)가 접합된다. 또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은 양단부에 브라켓구멍(2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As an example, the buckle bracket (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the buckle (10) attached to one side. In addition, the buckle bracket (20) is formed with bracket holes (22) penetrating through both ends.

상기 버클부(10)는, 일측에 해제버튼(12)과 텅 삽입구(14)가 구성되고, 타측은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접합되도록 구성되며, 내측에는 이젝터, 락플레이트, 버튼후크 등이 구성되나(도 3 및 도 5참조),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bove buckle part (10) is configured with a release button (12) and a tongue insertion hole (14)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be joined to the buckle part bracket (20), and an ejector, a lock plate, a button hook, etc. are configured on the inside (see FIGS. 3 and 5). However, since this is a known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탄성제공부(40)은,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 대응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 브라켓(44)과,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의 양단부에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홀더(42)가 장착되며, 중앙부에는 텅부(60)가 돌출되도록 접합되어 구성된다.The above elasticity providing unit (40) is configured by having an elasticity bracket (44) formed in a plate shape to correspond to the buckle bracket (20), a spring holder (42) for providing elasticity to the buckle bracket (20) i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elasticity bracket (44), and a tongue (60) is joined to protrude in the center.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은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형성된 브라켓구멍(22)과 연통되는 브라켓구멍(48)이 형성된다.The above elastic bracket (44) is formed with a bracket hole (48) that communicates with the bracket hole (22) formed in the above buckle bracket (20).

상기 스프링홀더(42)는, 내측에 수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4)과, 상기 탄성스프링(54)을 관통하고 상기 브라켓구멍(22, 48)을 관통하여 나사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탄성조절볼트(50)와, 상기 탄성조절볼트(50)와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탄성조절너트(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bove spring holder (42)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spring (54) accommodated on the inside to provide elasticity, an elastic adjustment bolt (50) that penetrates the elastic spring (54) and the bracket hole (22, 48) to expose the screw portion and is coupled, and an elastic adjustment nut (58) that is coupled to the elastic adjustment bolt (50) on the outside of the buckle bracket (20).

일실시 예로, 상기 탄성스프링(54)과 상기 탄성조절볼트(50)는 이탈방지와셔(52)를 통해 상기 탄성조절볼트(50)가 상기 스프링홀더(42)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spring (54) and the elastic adjustment bolt (50) are configured so that the elastic adjustment bolt (50) does not come off to the outside of the spring holder (42) through a separation prevention washer (52).

한편, 상기 탄성조절볼트(50)는 탄성고정너트(56)와 상기 탄성조절너트(58)로 이중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adjustment bolt (50) be double-fastened with an elastic fixing nut (56) and the elastic adjustment nut (58).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부 브라켓(20)과 탄성부 브라켓(44)이 맞닿은 형태로 배치되며, 이러한 배치상태는 상기 탄성조절볼트(50)와 탄성조절너트(58)의 체결로 배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rranged in a form in which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to 3, and this arrangement state is maintained by fastening the elastic adjustment bolt (50) and the elastic adjustment nut (58).

또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 탄성부 브라켓(44)은 상기 탄성조절볼트(50) 및 탄성조절너트(58)에 의해 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 탄성부 브라켓(44)의 결합력은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된다.In addition,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can maintain the arrangement state by the elastic adjustment bolt (50) and the elastic adjustment nut (58), and the bonding force of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is adjus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54).

따라서,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하도록 상기 탄성조절너트(58)를 조절하여 상기 탄성스프링(54)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충격사고 발생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 탄성부 브라켓(44)이 이격될 수 있는 외력의 역치를 조절하여 이미 장착된 자동차의 리트렉터의 기능에 장애를 주지 않고 본래의 기능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lastic force provided from the elastic spring (54)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lastic adjustment nut (58) to correspond to the wearer's physical condition. That is, by adjusting the threshold of external force that can cause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to separate when an impact accident occurs, the function of the retractor of an already installed automobile can be secured without causing any problems.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버클부(10)에 장착되는 이중해제버튼(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uble release button (30) mounted on the buckle portion (10).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은, 일정 폭을 갖는 판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버클부(10)의 해제버튼(12)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절곡된 전단해제부(32)와, 타측에는 상기 탄성제공부(40)에 구성된 텅부(60)에 체결되는 버클(70)의 해제버튼을 가압할 수 있도록 후단해제부(34)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홀(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홀(36)에는 상기 버클부(10)에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이 장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장착볼트(38)가 삽입되어 체결된다.The above double release button (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having a certain width, and has a front release portion (32) bent on one side to press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ortion (10), and a rear release portion (34) formed on the other side to press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fastened to the tongue portion (60) formed in the elastic providing portion (40), and a sliding hole (36)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mounting bolt (38) is inserted and fastened in the sliding hole (36) so that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can be mounted and slid on the buckle portion (10).

따라서,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은 상기 버클부(10)의 해제버튼과, 상기 텅부(60)에 체결되는 자동차 버클(70)의 해제버튼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버클부(10)의 해제버튼(12)이 먼저 동작된 후 상기 자동차의 버클(70) 해제버튼이 후에 동작되도록 하거나, 상기 자동차 버클(70)의 해제버튼이 먼저 동작된 후 상기 버클부(10) 해제버튼(12)이 후에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can release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part (10) and the release button of the car buckle (70) fastened to the tongue part (60)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at is,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art (10) can be operated first and then the release button of the car buckle (70) can be operated later, or the release button of the car buckle (70) can be operated first and then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art (10) can be operated later.

일실시 예로,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의 타측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탄스프링을 더 구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a rubber spring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further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racket (44).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의 텅부(60)가 자동차의 버클(70)과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자동차의 버클(70)의 해제버튼과 대향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plate spring be moun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when the tongue (60) of the elastic bracket (44) is fastened to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따라서,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을 작동시켜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의 텅부(60)로부터 상기 자동차의 버클(70)을 해제할 경우에 상기 자동차의 버클(70)에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더욱 원활한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is operated to release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from the tongue (60) of the elastic bracket (44), the elastic force of the plate spring is provided to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so that a smoother release can be achieved.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의 절단부 단면도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usage status of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의 동작을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본 발명은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버클(70)에 체결된다. 즉, 자동차의 버클(70)에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에 구성된 텅부(60)를 체결시켜 결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buckle (70) of a vehicle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Figures 4 and 5. That is, it is coupled by fastening the tongue (60) formed in the elastic bracket (44) to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자동차의 버클(70)은 자동차의 시트 플로워패널에 와이어 고정고리(74)를 통해 고정된다.Here, the buckle (70) of the above-mentioned vehicle is fixed to the seat floor panel of the vehicle through a wire fixing ring (74).

또한, 상기 자동차의 버클(70)은 센터필러의 내측에 장착된 리트렉터(Retractor)에 권취된 웨빙(Webbing, 82)에 걸쳐져 있는 텅(Tongue, 80)과 체결된다.In addition, the buckle (70) of the above-mentioned vehicle is fastened with a tongue (80) that is stretched over a webbing (82) wound on a retracto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enter pillar.

상기 웨빙(8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를 감싸는 섬유 부분으로 흔히 벨트라고 칭하며, 나일론이나 폴리 에스테르 등의 합성 섬유를 그 재질로 한다. 이러한 웨빙은 안전벨트가 3점식일 경우, 착용자의 어깨와 흉부를 지지하여, 신체를 안정적으로 구속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above webbing (82) is a fiber portion that wraps around the body as shown in Fig. 6, and is commonly called a belt, and is made of synthetic fibers such as nylon or polyester. When the seat belt is a three-point type, this webbing supports the wearer's shoulders and chest, stably restraining the body, thereby protecting the wearer's body.

상기 리트렉터는 웨빙을 당겨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착용자의 체형에 맞는 웨빙의 길이를 제공함과 동시에 차량의 급제동, 충격 등에 의해 웨빙에 응력이 걸리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웨빙의 풀림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The above retractor serves to pull and fix the webbing, and provides a length of webbing that fits the wearer's body shape. At the same time, when stress is applied to the webbing due to sudden braking or impact of the vehicle, it detects this and limits the loosening of the webb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버클(70)에 탄성부 브라켓(44)에 구성된 텅부(60)를 체결하여 사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fastening a tongue (60) formed on an elastic bracket (44) to a buckle (70) of an automobile.

여기서, 상기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 탄성부 브라켓(44)은 상기 탄성조절볼트(50)와 상기 탄성조절너트(58)가 체결되어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력으로 일정한 배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 탄성부 브라켓(44)의 배치상태는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일정량의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상기 배치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탄성스프링(54)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 탄성부 브라켓(44)이 이격되게 된다.Here, the abov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are fastened by the elastic adjustment bolt (50) and the elastic adjustment nut (58)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arrangement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54). This arrangement state of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is maintained until a certain amount of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are separated only when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spring (54) is applied.

안전벨트 착용자는 상기 버클부(10)에 자동차의 텅(80)을 체결하여 기존과 동일하게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된다.The person wearing the seat belt fastens the car's tongue (80) to the buckle (10) in the same way as before.

여기서, 상기 탄성부 브라켓(44)과 버클부 브라켓(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조절볼트(50)와 탄성조절너트(58)의 체결로 배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Here, the elastic bracket (44) and the buckle bracket (20) are maintained in a position by fastening the elastic adjustment bolt (50) and the elastic adjustment nut (58)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자동차에 충격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리트렉터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가 전방 또는 사고방향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이미 장착되어 있는 상기 리트렉터의 기능을 확보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event of an impact accident in a car, the wearer's body is prevented from being thrown forward or in the direction of the accident by the car's retractor. In other words, the function of the retractor that is already installed is secured.

한편, 상기 충격사고 발생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 탄성부 브라켓(44)은 상기 탄성스프링(54)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의 역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웨빙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 탄성부 브라켓(44)이 이격되면서 이러한 역치를 초과하는 외력을 흡수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above impact accident occurs, if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threshold of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spring (54) acts on the webbing,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separate from each other and absorb the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threshold.

따라서,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흉부나 어깨 부위의 충격을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이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흡수하여 착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injuries that may occur to the wearer by absorbing shock to the chest or shoulder area of the wearer as the buckle bracket (20) separates from the elastic bracket (44).

한편,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와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을 이격시키기 위한 탄성력은 상기 탄성조절볼트(50)에서 상기 탄성조절너트(58)를 조이거나 풀어주어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elastic force for separating the buckle bracket (20) and the elastic bracket (44)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earer's physical condition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elastic adjustment nut (58) in the elastic adjustment bolt (50).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의 해제는 상기 버클부(10)의 해제버튼을 가압하여 자동차의 텅(80)을 이탈시킬 수 있고, 상기 자동차의 버클(70)의 해제버튼을 가압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를 이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클부(10)의 해제버튼과 자동차의 버클(70)의 해제버튼은 작동은 순서에 관계없이 진행되어도 무방하다.The shock absorbe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leased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part (10) to detach the tongue (80) of the vehicle, and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to detach the shock absorbe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part (10) and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may be operated regardless of the order.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에서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은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버클(70)에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가 체결된 경우에 상기 이중헤제버튼(30)의 일측에 형성된 전단해제부(32)는 버클부(10)의 해제버튼(12)에 인접되게 위치되며, 타측에 형성된 후단해제부(34)는 자동차 버클(70)의 해제버튼에 인접하게 위치된다.Meanwhile, in the case where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when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buckle (70) of a vehicl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ront release portion (32) formed on one side of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ortion (10), and the rear release portion (34) formed on the other side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따라서,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을 버클부(10)에 체결된 장착볼트(38)와 슬라이딩 홀(36)을 통해 슬라이딩 누르게 되면, 버클부(10)에 체결된 자동차의 텅(80)과 탄성부 브라켓(44)의 텅부(60)에 체결된 자동차의 버클(70)이 동시에 해제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bove double release button (30) is slid and pressed through the mounting bolt (38) and sliding hole (36) attached to the buckle part (10), the tongue (80) of the car attached to the buckle part (10) and the buckle (70) of the car attached to the tongue part (60) of the elastic bracket (44) are simultaneously released.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자동차의 버클(70)에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를 기존 자동차에 어떠한 변형을 가하지 않고서도 쉽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install and use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without making any modifications to the existing vehicl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are obvious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10: 버클부(Buckle) 12: 해제버튼
14: 텅 삽입구 20: 버클부 브라켓
22, 48: 브라켓구멍 30: 이중해제버튼
32: 전단해제부 34: 후단해제부
36: 슬라이딩 홀 38: 장착볼트
40: 탄성제공부 42: 스프링홀더
44: 탄성부 브라켓 50: 탄성조절볼트
52: 이탈방지와셔 54: 탄성스프링
56: 탄성고정너트 58: 탄성조절너트
60: 텅부 70: 버클
80: 텅(Tongue) 82: 웨빙(Webbing)
10: Buckle 12: Release button
14: Tongue insert 20: Buckle bracket
22, 48: Bracket hole 30: Double release button
32: Front release part 34: Rear release part
36: Sliding hole 38: Mounting bolt
40: Elasticity providing part 42: Spring holder
44: Elastic bracket 50: Elastic adjustment bolt
52: Anti-separation washer 54: Elastic spring
56: Elastic fixing nut 58: Elastic adjusting nut
60: hollow 70: buckle
80: Tongue 82: Webbing

Claims (5)

리트렉터(Retractor)에 웨빙(Webbing, 82)으로 연결된 텅(Tongue, 80)과 상기 텅(80)과 체결되는 버클(70)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에서, 상기 웨빙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로,
상기 버클(70)과 체결되기 위한 텅부(60)가 타측에 접합된 판상의 탄성부 브라켓(44)과,
상기 탄성부 브라켓(44)과 대응되는 판상으로 일측에 상기 텅(80)과 체결되기 위한 버클부(10)가 접합된 버클부 브라켓(2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은, 양단부에 장착되는 중공의 스프링홀더(42)와, 상기 스프링홀더(42)에 수용되어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스프링(54)과,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력을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전달하면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과의 배치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
In a seat belt device including a tongue (80) connected to a retractor by a webbing (82) and a buckle (70) fastened to the tongue (80),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for absorbing shock applied to the webbing,
A plate-shaped elastic bracket (44) having a tongue (60) attached to the other side to be fastened with the above buckle (70),
It includes a buckle bracket (20) having a buckle portion (10) joined to one side to be fastened with the tongue (80)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bracket (44).
The elastic bracket (44) is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comprising: a hollow spring holder (42) mounted on both ends; an elastic spring (54) accommodated in the spring holder (42)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buckle bracket (20); and an elasticity adjus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54) to the buckle bracket (20) while maintaining the arrangement with the buckle bracket (20) and adjusting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5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클부 브라켓(20) 및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은, 양단부에 관통된 브라켓구멍(22, 48)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탄성스프링(54)의 탄성력을 상기 버클부 브라켓(2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탄성스프링(54)을 관통하고 나사부가 상기 브라켓구멍(22, 48)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탄성조절볼트(50) 및 탄성조절너트(58)를 포함하는,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
In claim 1,
The above buckle bracket (20) and the above elastic bracket (44) have bracket holes (22, 48) formed through both ends,
The above elasticity adjustment means is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which includes an elasticity adjustment bolt (50) and an elasticity adjustment nut (58) that penetrate the elastic spring (54) and have a screw portion that penetrates the bracket hole (22, 48) to transmi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54) to the buckle bracket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정 폭을 갖는 판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버클부(10)의 해제버튼(12)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절곡된 전단해제부(32)와, 타측에는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의 텅부(60)에 체결되는 버클(70)의 해제버튼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후단해제부(34)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홀(36)이 중앙부에 형성된 이중해제버튼(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은, 상기 슬라이딩 홀(36)을 통해 상기 버클부(10)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장착볼트(38)를 포함하는,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
In claim 1 or claim 2,
It further includes a front release part (32) that is bent on one side to be able to press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art (10)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certain width, a rear release part (34)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be able to press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that is fastened to the tongue part (60) of the elastic part bracket (44), and a double release button (30) that has a sliding hole (36) formed in the central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bove double release button (30) is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which includes a mounting bolt (38) that is inserted so as to be mounted and slidable in the buckle portion (10) through the sliding hole (3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의 텅부(60)가 자동차의 버클(70)과 체결된 후 이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이 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자동차의 버클(70)의 해제버튼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탄성부 브라켓(44)에 장착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
In claim 3,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further comprising a plate spring mounted on the elastic bracket (44)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when the double release button (30) is operated to release the buckle (70) of the elastic bracket (44) after the tongue (60) of the elastic bracket (44) is fastened to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중해제버튼(30)은, 상기 버클부(10)의 해제버튼(12)이 먼저 동작된 후 상기 자동차의 버클(70) 해제버튼이 후에 동작되도록 하거나, 상기 자동차 버클(70)의 해제버튼이 먼저 동작된 후 상기 버클부(10) 해제버튼(12)이 후에 동작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안전벨트용 충격흡수장치.
In claim 3,
The above double release button (30) is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eat belt, which is formed to a length such that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art (10) is operated first and then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is operated later, or the release button of the buckle (70) of the vehicle is operated first and then the release button (12) of the buckle part (10) is operated later.
KR1020240034574A 2024-03-12 2024-03-12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 Active KR102698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4574A KR102698617B1 (en) 2024-03-12 2024-03-12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4574A KR102698617B1 (en) 2024-03-12 2024-03-12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8617B1 true KR102698617B1 (en) 2024-08-26

Family

ID=9259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4574A Active KR102698617B1 (en) 2024-03-12 2024-03-12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86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9012B1 (en) * 2024-11-19 2025-02-19 조창규 Assembly apparatus for safety belt with shock absorp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975A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Anchor structures for seat belts
JP2012126254A (en) * 2010-12-15 2012-07-05 Takata Corp Buckle and seat belt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88816B1 (en) * 2012-06-05 2013-07-26 이강현 Device for load control adapted to safety bel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975A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Anchor structures for seat belts
JP2012126254A (en) * 2010-12-15 2012-07-05 Takata Corp Buckle and seat belt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88816B1 (en) * 2012-06-05 2013-07-26 이강현 Device for load control adapted to safety bel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9012B1 (en) * 2024-11-19 2025-02-19 조창규 Assembly apparatus for safety belt with shock absorp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6141B2 (en) Seatbelt and airbag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KR101398172B1 (en) Car Seat Belts
KR102698617B1 (en)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
KR102769013B1 (en) Shock absorption apparatus with multi-states for safety belt
KR102823510B1 (en)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safety belt
GB2277494A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KR100187861B1 (en) Impact absorbing device composed in buckle for vehicle seat belt
KR0150904B1 (en) Shock Absorber of Automobile Seat Belt
KR100326372B1 (en) A seat belt assembly for automobile
KR0150893B1 (en) Shock Absorber of Automobile Seat Belt
KR200156282Y1 (en) Tongue Structure of Car Seat Belt
KR0136711Y1 (en) Structure of road limiter for seat belt of automobile
KR0166178B1 (en) Load limiter mounted in tongue for a vehicle seat belt
KR0120815Y1 (en) Structure of road limiter for seat belt of automobile
KR100353063B1 (en) Load limter structure for seat belt of automobile using shear plastic strain
KR200154957Y1 (en) Seat belt guider composed in piller trim
KR100288304B1 (en) Load control device of car seat belt
KR0120814Y1 (en) A structure of load limiter for seat belt
KR100747247B1 (en) Seat belt assist device
KR960007729Y1 (en) Safety belt anchor
KR0177255B1 (en) Shock Absorber of Automobile Seat Belt
KR100337812B1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seat belt of vehicle
KR0177423B1 (en) Seat belt shock absorber of vehicle
KR100461251B1 (en) Apparatus for fixing safety seat belt for vehicles
KR20050040340A (en) Load limite device of seat belt high adju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