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8098B1 -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8098B1
KR102698098B1 KR1020240034846A KR20240034846A KR102698098B1 KR 102698098 B1 KR102698098 B1 KR 102698098B1 KR 1020240034846 A KR1020240034846 A KR 1020240034846A KR 20240034846 A KR20240034846 A KR 20240034846A KR 102698098 B1 KR102698098 B1 KR 10269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alkyd resin
modified alkyd
fatty acid
styr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영
Original Assignee
(주)부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영산업 filed Critical (주)부영산업
Priority to KR102024003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8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80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natural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46Polyesters chemically modified by esterification
    • C08G63/48Polyesters chemically modified by esterification by unsaturated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by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5Anti-sett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흄드실리카, 안료, 소포제, 분산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40~5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높은 고형분 함량을 가져 총 휘발성 유기 탄소 화합물의 함량이 적으므로 친환경적이고, 적은 양으로도 충분한 방청 성능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1회 코팅으로 하도 및 상도가 모두 코팅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Quic-drying one-coat type rust preventing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빠른 건조 특성을 갖고, 1회 도장만으로 상도 및 하도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부착성, 방청성 및 강도를 갖는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청용 도료 조성물은 건축물, 가구, 전선 등의 물체 표면에 칠해져 고체막을 형성함으로써 물체의 표면에 방오, 방청, 방염, 방수성 등의 기능과 광택 및 컬러로 인한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용매에 수지를 희석하여 제조되며, 여기에 사용되는 수지와 용매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 에틸렌 수지 및 폴리 아미드 이미드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 설폰 수지 및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되고, 용매로는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또는 케톤계 용매 등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톨루엔 및 자일렌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용매를 포함한 대부분의 용매는 휘발성으로, 휘발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방출하여 작업 환경의 악화 및 새집증후군과 같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포함하여,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 유해 물질 규제 강화에 따라 도료 산업에서도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도료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등록특허 제1736399호에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과 관련된 규제 면제 물질인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도료 조성물의 용제로 사용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나, 디메틸 카보네이트는 어는점이 높아서 겨울철 도료 조성물의 동결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저장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새로운 방청 도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1736399호(2017.05.10 등록)
본 발명에서는 빠른 건조 특성을 갖고, 1회 도장만으로 상도 및 하도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부착성, 방청성 및 강도를 갖는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흄드실리카, 안료, 소포제, 분산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40~5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는, 다가산 화합물, 다가알코올 화합물 및 지방산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 46~58 wt%;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2 용제 6~11 wt%; 및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3 용제 34~45 w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제1 단계(S10);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반응시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제2 단계(S20); 및 상기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 및 제1 용제를 혼합하는 제3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제는 자일렌을 포함하며, 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40~55 wt%인,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단계(S10)는, 다가산 화합물, 다가알코올 화합물 및 지방산 화합물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단계(S11); 및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단계를 거쳐 얻어진 혼합물을 제1 용제; 및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2 용제;로 희석하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희석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20)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개시제 하에 반응시켜 중합시킨 후, 제1 용제; 및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3 용제;로 희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는,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를 혼합한 뒤, 제1 용제로 희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흄드실리카, 안료, 소포제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은 속건 특성을 가져 작업성이 우수하며 1회 도장만으로 상도 및 하도의 기능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부착성, 방청성 및 강도를 가지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를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청 도료 조성물은 속건 특성을 가져 작업성이 우수하며, 고형분 함량이 높고, 도막의 부착성, 방청성 및 강도가 우수하여, 1회 도장만으로 상도 및 하도의 기능을 모두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이하 "도료 조성물"이라 함)은,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흄드실리카, 안료, 소포제, 분산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고형분 함량이 40~5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첨가제인 흄드실리카, 안료, 소포제 및 분산제는 총 함량이 6~12 wt%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고,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는 34~43 wt%로 포함될 수 있으며, 용제는 45~60 wt%로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료 조성물은, 고형분의 용해성이나 도장성 향상을 위해 고형분 함량 20~35 중량%로 제조되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45 wt% 이상의 높은 고형분 함량으로 제조되어, 일반적인 도료 조성물과 동일한 용해성 및 도장성을 확보하면서도, 불휘발분(고형분)의 함량이 높아, 도료 조성물 내 총탄화수소(total hydro carbons; THC) 함량이 낮다. 이로 인해 휘발되는 유기화합물의 총량을 저감시켜 환경 및 인체에 더욱 안전한 장점이 있다.
상기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으로, 도료 조성물 내에 34~43 wt%로 포함될 수 있다.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수지의 함량이 부족하여 도료의 점착성이 불량해지므로, 도장 후 도막이나 안료가 탈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용제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점도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두께의 도막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반면,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의 함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용제 함량이 부족하여 균일한 조성물 형성이 곤란하고, 도막 작업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적은 용제 함량을 유지하면서 도막 작업이 가능한 충분한 점도 확보를 위해서는 수지 성분의 분자량을 올리고머 수준으로 낮춰야하는데, 수지 성분의 분자량이 올리고머 수준으로 낮아지면 도막으로써의 기능 확보가 어려우므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는 지방산으로 변성된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와의 반응을 통해 얻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는, 다가알코올 화합물과 다가산 화합물의 축합 반응으로 형성되는 고분자 물질인 알키드 수지를 베이스로 하여, 이를 유지 또는 지방산으로 변성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알키드 수지의 원료인 다가산은 한 분자 내에 염기를 중화할 수 있는 수소 원자를 두 개 이상 함유하고 있는 산으로서, 예를 들어, 무수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헥사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무수이타콘산, 3-메틸-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4-메틸-헥사 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숙신산 및 무 말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다가산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지의 또 다른 원료인 다가알코올은 한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알코올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이소펜틸디올, 펜틸렌글리콜, 1,2-헥산디올, 헥실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는 하나 이상의 다가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알키드 수지의 변성을 유도하는 유지 또는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수베린지방산, 큐틴지방산, 대두지방산, 미강유지방산, 유채씨지방산, 해바라기유 지방산, 홍화유지방산, 마실유지방산, 면실유지방산, 톨유지방산, 올리브유지방산, 피마자유지방산, 탈수피마자유지방산, 린시드유지방산, 월넛유지방산, 아마인유지방산, 리놀레산 및 올레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는 다양한 원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들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조절함으로써 수지의 물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변성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알키드 수지를 단독 사용하거나 다른 수지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가산인 무수프탈산과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알코올의 반응으로 얻어진 알키드 수지를 지방산으로 변성시킨 변성 알키드 수지를 사용한다. 지방산으로는 대두지방산, 미강유지방산 또는 탈수피마자유지방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대두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는, 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수프탈산 4~71 중량부 및 다가알코올 15~50 중량부의 반응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조성비로 제조된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와의 반응을 통해 얻어진 스티렌 변성 알키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한다.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가 스티렌으로 변성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는 도료 조성물로서 요구되는 표면 경도, 방오성, 방염성, 방수성 및 광택성 등의 기능이 우수하고, 특히, 기존의 도료 조성물보다 뛰어난 방청 성능을 나타내 습하거나 염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피도포물의 녹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장기간 동안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 단량체 45~100 중량부를 반응시켜 얻어진 것일 수 있고, 변성에 사용되는 스티렌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막 물성 저하, 방청성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의 반응으로 제조되며, 반응시 개시제 및 첨가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의 합성 개시제로서,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즉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합성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부반응을 유도해 오히려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제로는 AIBN(Azo bis iso-butyro nitril),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터트부틸 퍼옥사이드 및 터트부틸 퍼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흄드실리카, 안료, 소포제 및 분산제는 첨가제로, 조성물의 물성을 변화시키거나 추가적인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이 외의 가소제나 환원제 등의 추가적인 첨가제가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첨가제는 도료 조성물 내에 6~12 wt%의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첨가제에 의한 물성 변화 효과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나 용제의 함량이 감소하므로, 도막으로써의 기능이나 작업성 확보가 곤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합성 완료 후에 첨가되는데, 흄드실리카는 점도 상승 문제, 안료는 침강 문제로 인해 균일한 조성물 형성이 곤란하다. 이에, 흄드실리카와 안료는 합성 완료 시점에서의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조성물에 직접 첨가되지 않고,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조성물 일부를 취하여 흄드실리카를 혼합한 침강 방지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조성물 일부를 취하여 안료를 혼합한 조색제의 형태로 먼저 제조된 후에 나머지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중 흄드실리카는 침강방지제로, 안료와 같은 입자성 물질의 침강을 방지하고 전체 도료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전체 도료 조성물에 0.1~1.1 wt%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도료의 색상 구현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전체 도료 조성물에 4.5~10.8 wt%로 포함될 수 있으며, 안료로는 이산화티타늄, 산화철, 시아닌블루, 시아닌 그린, 카본블랙, 탄산납, 황화아연, 산화아연, 옐로우 니켈티타늄, 옐로우 크롬 티타늄, 산화크롬, 울트라마린 블루, 퀴나크리돈, 아조 안료 등 도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안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소포제는 기포 생성을 억제하거나 생성된 기포를 제거하여 도료 조성물의 품질 및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소포 기능성이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Depol CFC-165A(청우씨에프씨)나 BYK-065(BYK) 등의 상용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산제는 도료 조성물 내 성분들을 분산시켜 균일한 조성물을 형성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분산제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며, CFC-633K(청우씨에프씨), BYK-174(BYK) 등의 상용 제품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수지의 합성 과정에서 첨가되어 원활한 합성을 유도하고, 희석제로써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낮춰 도막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용제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2 용제; 및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3 용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제는 전체 용제 100%를 기준으로, 제1 용제 46~58 wt%, 제2 용제 6~11 wt% 및 제3 용제 34~45 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제는 우수한 용해력을 바탕으로 수지를 균일하게 용해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제1 용제는 표면 건조 시간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급격한 표면 건조에 따른 도막 표면 평활성 부족, 광택 부족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용제가 상기 중량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용해력 부족에 의한 수지의 균일한 용해 및 분산 불량, 도료 저장 안정성 저하, 과도하게 급격한 표면 건조에 따른 평활성 및 광택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제1 용제의 함량이 과도할 경우에는 표면 건조 시간이 과도하게 늦어져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자일렌 과다에 따른 환경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용해력, 바람직한 건조 시간, 우수한 도막 표면의 품질 확보를 위해 제1 용제가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용제는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용제로, 1,2,4-트리메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혼합자일렌, 1,2,3-트리메틸벤젠, 1-에틸-2-메틸벤젠, 프로필벤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제2 용제는 벤젠고리를 포함하여,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에 대한 용해력이 높고,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을 반응시키는 변성 반응시 온도 및 용해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스티렌 변성 반응시 환류가 진행되는 경우에 일반적인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온도 및 용해력의 급격한 변화로 안정적인 반응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나, 제2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온도와 용해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고품질의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 용제의 함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합성 과정에서 온도 변화에 의해 일정한 용해력이 유지되지 못하므로 합성 수율 저하, 수지의 물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제2 용제의 함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전체적인 용해력 저하나 안정적인 건조시간 확보가 곤란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용제는 경질 수소화 나프타(hydrotreated kerosene)와 경질 직류 나프타(virgin light naphtha, light straight-run naphtha)를 포함하는 혼합 용제로,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가 1 : 3~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용제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용제는 표면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제1 용제와 함께 사용되어 표면 건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3 용제의 함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느린 휘발 속도로 인해 표면 건조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도막 표면의 끈적함(tacky)과 같은 불량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고, 과도한 경우에는 급격한 건조로 인한 표면 평활성, 광택 저하 등의 불량이 발생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은, 빠른 건조속도로 인한 작업성을 확보하면서도 표면의 평활성 및 광택이 우수하고, 부착력, 방청성,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1회 도장만으로도 하도 및 상도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일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제1 단계(S10);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반응시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제2 단계(S20); 및 상기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 및 제1 용제를 혼합하는 제3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40~55 wt%로, 일반적인 도료 조성물보다 고형분 함량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휘발되는 용제의 양이 감소되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회 도장만으로도 하도 및 상도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부착성, 방청성, 강도 및 내구성 등의 특징을 가지므로, 방청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10)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제1 단계(S10)는, 다가산 화합물, 다가알코올 화합물 및 지방산 화합물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단계(S11); 및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단계를 거쳐 얻어진 혼합물에 용제를 혼합하여 희석하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희석 단계(S12);를 포함한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제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 및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2 용제;를 포함하므로, 제1 단계(S10)에서의 "용제"는 제1 용제 및 제2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10)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 단계는 먼저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합성한 후 희석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다가산 화합물, 다가알코올 화합물 및 지방산 화합물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단계(S11); 및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단계(S11)를 거쳐 얻어진 혼합물에 용제를 혼합하여 희석하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희석 단계(S12);를 포함한다.
먼저, 다가산 화합물, 다가알코올 화합물 및 지방산 화합물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단계(S11)는, 원료를 혼합하고 승온하여 반응시킨 뒤, 반응이 종료되면 냉각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원료로는 다가산, 다가알코올 및 지방산이 투입된다. 다가산으로는 무수프탈산이, 다가알코올로는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지방산으로는 대두지방산, 미강유지방산 및 탈수피마자유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원료로 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수프탈산 4~71 중량부 및 다가알코올 15~50 중량부가 투입될 수 있고, 승온시 균일한 온도 유지 및 혼합을 위해 질소 블로잉을 통한 교반이 함께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온은 200~245℃의 온도로 승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승온된 후 충분한 반응을 위해 일정 시간동안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의 원활한 반응 및 반응 생성물인 물(응축수)을 원활히 제거하기 위해 자일렌 환류하에서 온도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 유지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반응 종료 시점인 산가 6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온 및 온도 유지 후 산가가 6 이하로 떨어지면 반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냉각은 120℃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를 완료한 뒤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희석하는 단계(S12)가 수행될 수 있으며, 희석은 희석 후 조성물 내 고형분의 함량이 60~90 중량%가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희석을 위한 용제로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 및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2 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용제와 제2 용제는 수지에 대한 용해력이 우수하여 수지를 효과적으로 용해하면서, 제2 용제에 의해 합성 과정 중 환류에 의한 온도 변화에도 용해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합성 과정에서의 합성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 단계(S20)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반응시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제2 단계(S20)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개시제 하에 반응시켜 중합시킨 후 용제로 희석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제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 및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3 용제;를 포함하며,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2 단계(S20)를 설명할 때 언급되는 "용제"는 제1 용제 및 제3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계(S20)는 승온 단계(S21), 반응 단계(S22) 및 희석 단계(S23)를 포함한다.
상기 승온 단계(S21)는 제1 단계(S10)에서 얻어진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승온시키는 단계이다. 승온은 120~150℃의 온도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 단계(S22)는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에 스티렌 단량체를 혼합하여 스티렌으로 개질된 변성 알키드 수지, 즉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반응 단계(S22)가 수행되는 동안 온도는 120~15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에서 스티렌 단량체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5~10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이때, 반응 개시제가 함께 혼합되어 반응될 수 있으며, 개시제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의 반응은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에 스티렌 단량체 및 개시제를 적하하여 반응시키는 제1 적하 단계(S22a); 개시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제2 적하 단계(S22b); 및 반응 종료 후 냉각하는 냉각 단계(S22c);를 포함한다.
제1 적하 단계(S22a)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에 스티렌 단량체 및 개시제를 적하하는 단계로, 스티렌 단량체와 개시제가 각각 투입될 수도 있고, 스티렌 단량체와 개시제가 혼합된 혼합물 형태로 투입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적하는 1~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적하 후 10분 내지 2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적하 단계(S22b)는 제1 적하 단계(S22a)를 거친 혼합물에 개시제를 더 투입하고 반응시키는 단계로, 개시제 투입 후 1~5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다.
냉각 단계(S22c)는 제2 적하 단계(S22b)를 거쳐 얻어진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로, 혼합물의 온도가 130℃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희석 단계(S23)는, 반응 단계(S22)를 거쳐 얻어진 혼합물에 용제를 더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용제로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 및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3 용제;가 사용될 수 있다. 희석시 용제는, 제1 용제를 투입하고 제3 용제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투입될 수 있고, 또는 제1 용제와 제3 용제가 혼합된 혼합 용제를 투입하여 희석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는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 및 용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제3 단계(S30)는,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를 혼합한 뒤 용제로 희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는,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S31); 및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 혼합물을 희석하는 희석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희석에 사용되는 용제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를 포함하므로, 제3 단계(S30)를 설명할 때 언급되는 "용제"는 제1 용제일 수 있다.
상기 혼합 단계(S31)은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는 앞서 제2 단계(S20)를 거쳐 얻어진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첨가제로는 흄드실리카, 안료, 소포제 및 분산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첨가제가 상기 수지 조성물에 직접 투입되는 경우에는
이때, 상기 수지 조성물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하는 경우에는, 흄드실리카에 의한 급격한 점도 상승 및 안료의 침강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균일한 조성물 형성이 곤란하므로, 흄드실리카와 안료는 각각 미리 소량의 수지 조성물과 미리 혼합하여, 흄드실리카가 포함된 침강 방지제와 안료가 포함된 조색제를 미리 제조한 뒤, 상기 수지 조성물에 침강 방지제와 조색제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에 흄드실리카가 포함된 침강 방지제와 안료가 포함된 조색제 및 나머지 첨가제가 동시에 투입되어 혼합될 수 있으나, 보다 균일하고 안정적인 분산을 위해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에 침강 방지제와 조색제를 먼저 투입하고 교반하여 균일한 조성물을 형성한 뒤 여기에 나머지 첨가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희석 단계(S32)는 첨가제가 혼합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에 용제를 첨가하여 추가적으로 희석하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제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고형분 함량이 40~55 wt%인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고형분은 도료 조성물 100 wt% 내에 첨가제 6~12 wt%,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34~43 wt%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2 용제; 및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3 용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체 용제에서 제1 용제 46~58 wt%, 제2 용제 6~11 wt% 및 제3 용제 34~45 wt%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은 제조 과정에서 용해 특성을 극대화하여 고형분 함량을 높이면서도, 수지 합 성 효율을 최대화하고, 합성 과정에서의 겔화와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빠른 건조 특성과 높은 방청성, 부착성, 강도 및 내구성 특성으로 인해 1회 도장만으로 하도 및 상도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방청 작업 공정 단축 및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높은 고형분 함량을 가지면서도 도장 작업시 바로 도장 가능한 수준의 점도를 가지므로, 추가적으로 희석제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작업 가능하며, 총 탄화수소 발생량이 적고, 동일 도막 두께를 유지할 경우에 도포 면적이 넓어 작업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1 단계(S10):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반응기에 대두지방산 595.4g, 무수프탈산 179.6g, 펜타에리트리톨 182.1g을 투입하고 질소 블로잉 하에서 237±2℃에서 교반한 뒤, 자일렌을 투입하여 자일렌 환류 하에서 반응시켰다. 혼합물의 산가가 6 이하로 떨어졌을 때 반응을 종료하고 자일렌을 진공으로 회수한 후 냉각시켰으며, 온도가 120℃ 이하로 내려갔을 때 제1 용제(자일렌) 188.0g 및 제2 용제(경질 방향족 나프타) 188.0g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희석하였다.
제2 단계(S20):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제1 단계(S10)를 거쳐 얻어진 혼합물 1333.1g을 140±2℃로 승온하여 온도를 유지하면서 스티렌 단량체 770.0g 및 개시제인 디-터트-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22.5g이 혼합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적하하여 반응시키고 적하 후 1시간 동안 더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개시제인 터트-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2.3g을 추가로 더 혼합하고 온도를 유지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냉각하였다.
온도가 130℃ 이하로 내려갔을 때 제1 용제 175.0g와 제3 용제(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가 1:4의 중량비로 포함된 혼합 용제) 875.0g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희석하였다.
제3 단계(S30):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희석
제2 단계(S20)를 거쳐 얻어진 혼합물 2510.5g에 조색제 828.5g, 침강 방지제 204.2g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 소포제(Depol CFC-165A(청우씨에프씨)) 20.0g, 분산제(CFC-633K(청우씨에프씨)) 7.7g 및 제1 용제 120.0g을 투입하고 교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여기에 제1 용제 480.3g을 추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총 고형분 함량이 48.7 wt%인 실시예 1의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색제로는 제2 단계를 거쳐 제조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조성물 500.5g, 이산화티타늄 300.1g, 시아닌 블루 30.3g, 바이올렛 11.0g, 산화철 20.8g, 벤토나이트 10.2g, 흄드실리카 10.0g 및 자일렌 121.1g을 혼합하여 제조된 조색제를 사용하였고, 침강 방지제로는 제2 단계를 거쳐 제조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조성물 1251.0g, 흄드 실리카 248.8g 및 자일렌 1000.0g을 혼합하여 제조된 침강 방지제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의 도료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항목 측정값 시험방법
불휘발분 50±2 KS M 5000 : 2014
점도 35~45초 ASTM D1200-10
비중 1.00~1.05 KS M ISO 2811-1 : 2012
지촉 건조 10분 이내 KS M 5000 : 2014
건조 도막 두께 40~50㎛ -
내충격성 크랙없음 KS D 3520 : 2008
굴곡성 크랙없음 KS M ISO 1519 : 2021
부착성 100/100 ASTM D3359
내염수분무성 손상없음 KS D 9502 / 50㎛ / 360 시간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도료 조성물은 고형분(불휘발분)의 함량이 높으면서, 작업성이 우수한 점도, 지촉 건조 시간 및 도막 두께를 갖고, 우수한 내충격성, 굴곡성 및 부착성을 가지며 특히 내염수 분무성이 매우 우수하여, 1회 도장만으로 우수한 방청 성능을 발휘하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1 용제(자일렌), 제2 용제(경질 방향족 나프타) 및 제3 용제(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가 1:4의 중량비로 포함된 혼합 용제)의 함량을 다양하게 변화시켜가며 제조하고, 각 도료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2에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광택성 및 평활성 실험은, 에어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도막의 두께가 45±1㎛가 되도록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5분간 건조시킨 후 도막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광택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우수(광택있음) 또는 불량(광택없음)으로 판단하고, 표면이 평평하고 평활한지 여부에 따라 평활성을 우수(평탄함) 또는 불량(요철, 핀홀, 흘러내린 자국 등)으로 판단하였다.
표면 상태는, 완전 건조 후 도막 표면을 손가락으로 만져봤을 때, 손에 묻어나는 것이 없고 매트한 촉감이 있는 경우에는 우수한 것으로, 손에 묻어나는게 있거나, 끈적임이 있는 경우에는 불량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내식성은 KS D 9502에 의거하여 평가하였으며, 내염수 분무 시간을 360시간으로 고정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녹이나 기포(blister)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고, 아닌 경우에는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용제 함량(wt%) 실험결과
제1 용제 제2 용제 제3 용제 광택성 평활성 표면상태 내식성
비교예 1 34 12 54 불량 불량 우수 우수
비교예 2 40 11 49 불량 불량 우수 우수
실시예 2 46 9 45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3 53 8 39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4 58 7 35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비교예 3 65 6 29 우수 우수 불량 우수
비교예 4 70 5 25 불량 불량 불량 불량
실험 결과, 비교예 1, 2의 경우에는 제1 용제 함량이 부족하여 도료 조성물이 급격하게 건조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표면 광택성 및 평활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3, 4의 경우에는 제1 용제의 함량이 과도하여 건조 시간이 지연에 따른 표면 끈적임 문제가 발생했다.반면, 실시예 2~4는 광택성이나 평활성과 같은 표면 특성이 우수했고, 지촉 건조 시간도 양호했으며, 내식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 용제 중의 제1 용제의 함량은 46~58 wt%인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1 용제(자일렌)에 대한 제3 용제(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가 1:4의 중량비로 포함된 혼합 용제)의 비율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제2 용제(경질 방향족 나프타)의 함량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 도료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3에 기재하였다.
  용제 함량(wt%) 실험결과
제1 용제 제2 용제 제3 용제 광택성 평활성 표면상태 내식성
비교예 5 52 4 44 우수 우수 우수 불량
실시예 5 51 6 43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6 50 9 41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7 49 11 40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비교예 6 48 13 39 불량 불량 불량 우수
비교예 7 47 15 38 불량 불량 불량 우수
실험 결과, 실시예 5~7은 전체 항목에서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비교예 5는 내식성이, 비교예 6, 7은 외관(광택성, 평활성, 표면상태)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제2 용제 함량 부족에 따라, 수지 합성 과정에서 반응물이 환류에 따른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합성된 수지의 성능 저하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비교예 6, 7은 제2 용제의 함량이 과도하여 건조 시간 지연 및 이에 따른 표면 상태 불량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따라서, 본 실험 결과, 용제 중의 제2 용제의 함량은 6~11 wt%인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 흄드실리카, 안료, 소포제, 분산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40~55 wt%이며,
    상기 용제는,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 46~58 wt%;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2 용제 6~11 wt%; 및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3 용제 34~45 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반응시켜 얻어지고,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는, 다가산 화합물, 다가알코올 화합물 및 지방산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3. 삭제
  4.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제1 단계(S10);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반응시켜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는 제2 단계(S20); 및
    상기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 및 제1 용제를 혼합하는 제3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S10)는, 다가산 화합물, 다가알코올 화합물 및 지방산 화합물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단계(S11); 및 상기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제조 단계를 거쳐 얻어진 혼합물을 제1 용제; 및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2 용제;로 희석하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 희석 단계(S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S20)는,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와 스티렌 단량체를 개시제 하에 반응시켜 중합시킨 후, 제1 용제; 및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3 용제;로 희석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3 단계(S30)는, 스티렌 변성 알키드 수지와 첨가제를 혼합한 뒤, 제1 용제로 희석하는 단계이며,
    자일렌을 포함하는 제1 용제 46~58 wt%; 경질 방향족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2 용제 6~11 wt%; 및 경질 수소화 나프타와 경질 직류 나프타를 포함하는 제3 용제 34~45 wt%;를 포함하고,
    도료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40~55 wt%인,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흄드실리카, 안료, 소포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40034846A 2024-03-13 2024-03-13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69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4846A KR102698098B1 (ko) 2024-03-13 2024-03-13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4846A KR102698098B1 (ko) 2024-03-13 2024-03-13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8098B1 true KR102698098B1 (ko) 2024-08-26

Family

ID=9259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4846A Active KR102698098B1 (ko) 2024-03-13 2024-03-13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80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399B1 (ko) 2016-09-28 2017-05-16 (주)부영산업 친환경 바니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2451B1 (ko) * 2018-02-09 2018-07-27 (주)부영산업 친환경 락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74198A (ko) * 2017-10-31 2020-06-24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방청도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273368B1 (ko) * 2021-04-22 2021-07-06 (주)부영산업 친환경 그린 락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399B1 (ko) 2016-09-28 2017-05-16 (주)부영산업 친환경 바니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4198A (ko) * 2017-10-31 2020-06-24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방청도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882451B1 (ko) * 2018-02-09 2018-07-27 (주)부영산업 친환경 락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3368B1 (ko) * 2021-04-22 2021-07-06 (주)부영산업 친환경 그린 락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7489B2 (en) Drier for auto-oxidisable coating compositions
US9587085B2 (en) Drier for auto-oxidisable coating compositions
EP2935435B1 (en) Drier for auto-oxidisable coating compositions
US8053519B2 (en)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vinyl modified alkyd resin
JP6014903B2 (ja) 2液型水系1コート塗料組成物
US11814477B2 (en) Alkyd polymer compositions and product formulations formed therefrom
KR102698098B1 (ko) 속건 원코트 방청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502741A (ja) 溶剤不含の、低放出性で硬化可能な塗料
CN101370881B (zh) 低挥发性有机化合物溶剂型涂料的多用途添加剂
KR102755575B1 (ko)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484493B2 (ja) 顔料分散液、並びに該顔料分散液を用いた調色方法及び艶調整方法
US20070098903A1 (en) Non-aqueous coating formulation of low volatility
EP4179034A1 (en) Coating compositions including waterborne alkyd resins and metal catalysts
KR101208665B1 (ko) 피씨엠 이면용 하이브리드 타입 도료 조성물
WO2009062996A1 (en) Autoxidisable coating composition
CN114466907A (zh) 涂料组合物
KR20240135159A (ko) 고형분 함량이 높은 락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10086969A1 (en) Fast dry polyester latex for coatings
AU2012357980B2 (en) Drier for auto-oxidisable coating compositions
CN107207673A (zh) 有色涂覆剂和由其制备的涂层
CS236416B1 (cs) Nátěrové hmoty na vzduchu zasychající i vypalovací a způsob jejich příprav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