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7064B1 -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 Google Patents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7064B1
KR102697064B1 KR1020190048503A KR20190048503A KR102697064B1 KR 102697064 B1 KR102697064 B1 KR 102697064B1 KR 1020190048503 A KR1020190048503 A KR 1020190048503A KR 20190048503 A KR20190048503 A KR 20190048503A KR 102697064 B1 KR102697064 B1 KR 102697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ring
link
coupled
main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964A (ko
Inventor
김동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48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706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70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 변환을 위하여 메인샤프트를 직선 구동하는 조작기와, 상기 조작기의 메인샤프트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의 구동 방향과는 직각 방향으로 구동 방향을 변환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일단이 결합되어, 변위에 의해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을 변환함과 아울러 접점이 접촉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압착시켜 접촉력을 유지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를 포함하는 접점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결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일단은 상기 진공 인터럽터와 인접한 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Device for transform contact and circuit break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점점용 스프링을 사용하는 접점 변환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기계적인 동작에 의하여 전기적인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기회로에서 발생 가능한 단락, 지락 사고 등에 의한 대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기 중 진공 차단기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회로차단기의 일종이다. 특히 진공상태에서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이용한 장치이다.
진공 차단기는 내에는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VI)에서 진공 소호방식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게 된다.
VI는 진공상태의 절연용기와, 절연용기 내에 위치하는 가동전극과 고정전극을 포함한다. 가동전극은 고정전극측을 향하여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평상시의 동작에서는 가동전극이 고정전극에 접촉되어 전류를 부하측에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단락 등의 이상 상황 발생시 가동전극은 고정전극에서 접촉 해제되고, 따라서 전원측과 부하측을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가동전극의 이동은 절연용기 외측에서 제공되는 접점 변환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접점 변환장치는 통상 가동전극측에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 장치부와, 스프링 장치부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부를 포함한다.
부하측에 전류를 공급하는 상태, 즉 가동전극과 고정전극이 접촉된 상태일 때에도 가동전극과 고정전극의 접촉 압력은 안정적인 전류 공급 및 안전의 보장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가동전극과 고정전극의 접촉력이 매우 약하면 접촉 저항의 증가에 의한 발열과 전류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접촉력이 과도한 경우 기계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종래 회로 차단기에 대해서 본 발명의 출원인의 등록특허 10-1522267호(2015년 5월 15일 등록, 발명의 명칭 회로 차단기)에 도시되어 있다.
위의 등록특허에도 VI와 접점용 스프링, 접점용 스프링을 변위시켜 가동전극을 변위시키는 링크부재 등이 기재되어 있다. 링크부재는 VI로부터 먼 방향의 접점용 스프링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링크부재가 VI로부터 먼 방향의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 일단에 결합되어 가동전극을 고정전극에 접촉시킬 때, 접점용 스프링을 VI측으로 밀고, 스프링의 압축 상태를 이용하여 접촉 압력을 유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이 전체 차단기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접점 변환장치를 이용한 차단기의 열린 상태(open)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 3은 종래 접점 변환장치를 이용한 차단기의 닫힌 상태(close)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각각 참조하면, 차단기의 함체(20)의 전면측에 마련된 패널(10)과, 함체(20) 내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켜 링크(32)를 통해 전달하는 조작기(30)와, 진공 인터럽터(VI, 60)의 가동접점에 연결되는 VI로드(50)와, 상기 조작기(30)의 구동력에 따라 변위됨과 아울러 스프링(41)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VI로드(50)를 구동하되, 상기 링크(32)가 VI로드(50)의 반대편 일측에 결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10)은 오픈 가능하며, 함체(20) 내의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들을 작업자가 점검할 수 있다.
상기 함체(20) 내에 위치하는 조작기(30)는 내부에 모터와 감속 기어 등을 포함하여 메인샤프트(31)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조작기(30) 내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과는 무관하며,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조작기를 사용 가능하다.
도 1에서 조작기(30)는 메인샤프트(31)를 하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며, 도 3에서는 메인샤프트(31)를 상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링크(32)는 메인샤프트(31)의 수직 방향 직선 운동을 지면에 대한 수평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상기 링크(32)의 일단은 메인샤프트(31)의 끝단에 연결되고, 중앙은 함체(20)에서 제공되는 고정부(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의 일단에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는 중심로드(44)와, 중심로드(44)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VI로드(50)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블록(45)과, 상기 링크(32)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중심로드(44)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록(42)과, 상기 이동블록(42)과 고정블록(45)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41)과, 상기 이동블록(42)의 후단 중심로드(44)에 결합되어 이동블록(42)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스프링(41)의 압착력을 조절 가능한 조절너트(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는 VI로드(50) 및 VI(60)의 위치와는 반대편인 이동블록(42)에 링크(32)가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연결특징에 따라 함체(20) 내에서 조작기(30)와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의 배치 관계가 결정된다.
즉, 함체(20) 내에서 조작기(30)가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에 비하여 패널(10)에 더 가깝게 위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조작기를 지지하는 지지대(33)가 필요하며, 함체(20)의 내부 공간의 사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가 패널(10)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를 점검하거나, 조절너트(43)를 이용하여 스프링(41)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등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에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 조작기(30)는 메인샤프트(31)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링크(32)는 이동블록(42)에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힘의 방향을 변환하여 전달한다.
이와 같은 링크(32)의 작용에 의해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는 VI(60)측으로 변위가 발생함과 아울러 스프링(41)이 압착된다.
즉, 도 2의 스프링(41) 길이(X1)에 비하여 도 4의 스프링(41) 길이(X2)가 더 짧은 상태가 되며, 이는 조절너트(43)와 이동블록(42) 사이의 간격인 압착길이(W)로 나타나게 된다. 압착길이(W)는 스프링(41)의 압착력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작업자는 압착길이(W)를 측정하여 압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VI(60) 내의 접점의 소모에 따라 초기 세팅과는 다른 압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작업자는 압착력의 변화를 측정하고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의 변위는 VI로드(50)를 통해 VI(60)의 가동접점을 변위시켜 고정접점에 접촉시키며, 스프링(41)의 압착력에 의해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10)로부터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가 상대적으로 더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압착력을 나타내는 압착길이(W)의 측정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점검용 패널에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는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점검과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접점 변환장치는,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 변환을 위하여 메인샤프트를 직선 구동하는 조작기와, 상기 조작기의 메인샤프트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의 구동 방향을 변환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일단이 결합되어, 변위에 의해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을 변환함과 아울러 접점이 접촉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압착시켜 접촉력을 유지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를 포함하는 접점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결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일단은 상기 진공 인터럽터와 인접한 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는, 중심로드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중심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며 고정핀을 통해 상기 링크가 결합되는 가동부과, 상기 가동부를 수용하고 직선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 및 중심로드의 변위시 상기 스프링이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접하도록 상기 중심로드에 결합되며, 스프링의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핀을 노출시키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핀의 변위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구동방향과는 직각 방향이 되도록, 구동방향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단기는, 전면에 개방 가능한 패널이 설치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에 수용되며,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 변환을 위하여 메인샤프트를 직선 구동하는 조작기와, 상기 조작기의 메인샤프트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의 구동 방향과는 직각 방향으로 구동 방향을 변환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일단이 결합되어, 변위에 의해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을 변환함과 아울러 접점이 접촉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압착시켜 접촉력을 유지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 결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일단은 상기 진공 인터럽터와 인접한 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링크와의 결합 위치를 진공 인터럽터 측으로 변경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위치를 패널과 가깝게 할 수 있어,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설계의 변경에 따라 작동부의 위치를 패널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먼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차단기 함체의 내부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접점 변환장치를 이용한 차단기의 열린 상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 접점 변환장치를 이용한 차단기의 닫힌 상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접점 변환장치를 이용한 차단기의 열린 상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접점 변환장치를 이용한 차단기의 닫힌 상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차단기의 기밀 유지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접점 변환장치에 적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는, 중심로드(420)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410)과, 상기 중심로드(420)의 일단이 결합되며 고정핀(441)을 통해 링크가 결합되어 가동 힘이 전달되는 가동부(440), 상기 가동부(440)를 수용하여 가동부(44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410)의 일단이 접촉되어 가동부(440) 및 중심로드(420)의 변위시 스프링(410)이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430)와, 상기 스프링(410)의 타단에 접하도록 상기 중심로드(420)에 결합되며, 스프링(410)의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너트(450)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가이드부(430)는 일면이 막힌 원통형 구조일 수 있으며, 이때 막힌 일면의 중앙에는 상기 중심로드(4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부(430)에는 상기 중심로드(42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장공인 가이드홈(431)이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부(430)의 내측에 수용되며 중심로드(420)의 일단에 결합되는 가동부(440)의 측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가동부(440)에는 링크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44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431)을 통해 노출된다.
위에서는 고정핀(441)으로 한정하였으나, 고정홀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중심로드(420)가 중앙에 삽입되도록 스프링(410)이 중심로드(42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며, 이때 스프링(410)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430)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중심로드(420)의 타단에 조절너트(450)를 결합하며, 조절너트(450)에 스프링(410)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조절너트(450)와 중심로드(420)간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스프링(410)의 압착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는 이후에 설명될 링크와의 결합 위치가 VI측에 가까운 위치로 변경된 것이며, 이와 같은 설계의 변경에 따라 차단기에 적용할 때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점 변환장치를 이용한 차단기의 열린 상태(open)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접점 변환장치를 이용한 차단기의 닫힌 상태(close)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각각 참조하면, 차단기의 함체(200)의 전면측에 마련된 패널(100)과, 함체(200) 내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켜 링크(320)를 통해 전달하는 조작기(300)와, 진공 인터럽터(VI, 600)의 가동접점에 연결되는 VI로드(500)와, 상기 조작기(300)의 구동력에 따라 변위됨과 아울러 스프링(410)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VI로드(500)를 구동하되, 상기 링크(320)가 VI로드(500)와 인접한 일단 측에 결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100)은 오픈 가능하며, 함체(200) 내의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들을 작업자가 점검할 수 있다.
상기 함체(200) 내에 위치하는 조작기(300)는 내부에 모터와 감속 기어 등을 포함하여 메인샤프트(310)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조작기(300) 내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조작기를 사용 가능하다.
도 6에서 조작기(300)는 메인샤프트(310)를 하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며, 도 8에서는 메인샤프트(310)를 상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링크(320)는 메인샤프트(310)의 수직 방향 직선 운동을 지면에 대한 수평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상기 링크(320)의 일단은 메인샤프트(310)의 끝단에 연결되고, 중앙은 함체(200)에서 제공되는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의 가동부(440)에 결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르게 링크(320)가 결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의 위치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링크가 접점용 스프링 장치의 양단 중 VI로드의 반대편에 결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VI로드(500)와 인접한 위치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연결특징에 따라 함체(200) 내에서 조작기(300)와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의 배치 관계가 결정된다.
즉,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함체(200) 내에서 조작기(300)가 패널(100)에서 더 먼 위치로 이동해야 하며, 역시 상대적으로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는 좀 더 패널(100)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기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함체(200)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가 패널(100)과 더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를 점검하거나, 조절너트(450)를 이용하여 스프링(410)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등의 작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그 다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에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 조작기(300)는 메인샤프트(310)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링크(320)는 가동부(440)에 힘을 전달하여 상기 가동부(440)가 가이드부(430)에 가이드되어 VI(600)를 향해 변위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동부(440)에 결합된 중심로드(420)와 중심로드(420)의 타단에 결합된 조절너트(450)도 동일방향 동일 정도로 변위된다.
스프링(410)은 일단이 가이드부(430)에 접한 상태에서, 타단에 접한 조절너트(450)가 변위됨에 따라, 그 변위만큼 압착된다.
이때 압착된 정도는 고정핀(441)의 변위로 측정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다른 측정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측정 가능하도록 측정부(432)를 상기 가이드홈(431)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432)는 소정 간격의 눈금인 것으로 한다.
즉, 스프링(410)은 VI(600)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1길이(X1)를 가지며, 상기 조작기(300)의 메인샤프트(310)의 상향 이동에 따라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를 변위시켜 VI(600)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접촉시키면서, 해당 변위에 따라 스프링(410)을 제2길이(X2)가 되도록 압착시킨다.
이때 제1길이(X1)와 제2길이(X2)의 차는 압착길이(W)로 나타나며, 압착길이(W)는 측정부(432)를 통해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안정적인 작용을 하면서도, 링크(320)와 결합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40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함체(200)의 공간 활용성을 높임과 아울러 스프링(410) 압착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초기 세팅 상태와의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패널 200:함체
300:조작기 310:메인샤프트
320:링크 400:접점용 스프링 장치부
410:스프링 420:중심로드
430:가이드부 431:가이드홈
432:측정부 440:가동부
441:고정핀 450:조절너트
500:VI로드 600:VI

Claims (5)

  1.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 변환을 위하여 메인샤프트를 직선 구동하는 조작기와,
    상기 조작기의 메인샤프트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의 구동방향을 직각 방향으로 변환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에 일단이 결합되어, 변위에 의해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을 변환함과 아울러 접점이 접촉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압착시켜 접촉력을 유지하는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점용 스프링 장치부는,
    중심로드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중심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며, 고정핀을 통해 상기 링크가 결합되며, 상기 링크의 작용에 의해 진공 인터럽터 측으로 변위되는 가동부;
    상기 가동부를 수용하고, 장공인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가동부에 상기 링크가 결합되어 직선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 및 중심로드의 변위시 상기 스프링이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접하도록 상기 중심로드에 결합되며, 스프링의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접점 변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48503A 2019-04-25 2019-04-25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Active KR102697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03A KR102697064B1 (ko) 2019-04-25 2019-04-25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03A KR102697064B1 (ko) 2019-04-25 2019-04-25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64A KR20200124964A (ko) 2020-11-04
KR102697064B1 true KR102697064B1 (ko) 2024-08-20

Family

ID=7357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503A Active KR102697064B1 (ko) 2019-04-25 2019-04-25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70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36B1 (ko) * 2013-04-04 2014-10-07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용 구동장치
KR101522267B1 (ko) * 2013-11-06 2015-05-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821B1 (ko) * 2005-02-28 2007-01-24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캠 디스크를 이용한 접점 가압방식 진공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36B1 (ko) * 2013-04-04 2014-10-07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용 구동장치
KR101522267B1 (ko) * 2013-11-06 2015-05-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64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3161B2 (en) Control device for actuating at least two items of switchgear in co-ordinated manner, one of which items performs interruption in a vacuum
JP5123372B2 (ja) 真空遮断器
EP2149947B1 (en) Secondary disconnect for circuit breaker drawout system
KR101969168B1 (ko) 고전압 스위칭 장치
KR102683642B1 (ko) 진공차단기용 접점 감시 모듈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CN101359548B (zh) 真空绝缘开关及真空绝缘开关装置
KR20160081570A (ko) 차단기용 전자반발 조작기
CN102903567A (zh) 真空断续器的动力传动装置及具有该装置的真空断路器
KR101703760B1 (ko)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KR102697064B1 (ko) 접점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KR101939828B1 (ko) 진공 인터럽터 타입 기체절연 개폐장치
KR20120079146A (ko) 전자조작방식 개폐장치
US3794799A (en) Gas insulated switch with adjustable overcenter toggle actuator therefore
US7297890B2 (en) Earthing switch
KR20070008041A (ko) 가스절연 차단기
GB2030777A (en) Vacuum-type switching apparatus
US11688570B2 (en) Switching device
KR20170002691U (ko) 진공 차단기
KR100893766B1 (ko) 개폐기의 스위치 접점 마모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친환경가스절연 수배전반
CN113936956A (zh) 基于10kV以下配电网络真空断路装置及控制方法
KR101706091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869720B1 (ko) 가스절연차단기
KR102505794B1 (ko) 아크해소 수배전반
KR101044639B1 (ko) 철도차량용 주회로 차단기
EP4535388A1 (en) Medium volage switch movable contac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4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