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3657B1 - 애견 쿨 패드 - Google Patents

애견 쿨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3657B1
KR102693657B1 KR1020210138394A KR20210138394A KR102693657B1 KR 102693657 B1 KR102693657 B1 KR 102693657B1 KR 1020210138394 A KR1020210138394 A KR 1020210138394A KR 20210138394 A KR20210138394 A KR 20210138394A KR 102693657 B1 KR102693657 B1 KR 102693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axis direction
cold air
case
do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105A (ko
Inventor
조희웅
Original Assignee
조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웅 filed Critical 조희웅
Priority to KR102021013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36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36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01K1/0353Do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애견 쿨 패드가 제공된다. 애견 쿨 패드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소자와, 열교환소자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센서와, 열교환소자에서 발열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및 열교환소자에서 생성된 냉기를 케이스 외부로 방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애견 쿨 패드{Dog cool pad}
본 발명은 애견 쿨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 동물에게 계절에 따라 시원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애견 쿨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는 도시화로 인한 지역 공동체의 약화,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정신적 가치 추구 경향이 높아지면서 개나 고양이 같은 반려 동물을 기르는 수요가 지속으로 늘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반려 동물은 주로 집의 방이나 거실에서 생활하게 되므로 사람이 생활하는 주거공간에서는 반려 동물의 생활환경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람을 위주로 하는 아파트와 같은 주거공간은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이 반려 동물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건강관리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수명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주거공간의 온도가 낮을 경우, 반려 동물을 위해 바닥에 이불 등을 깔아주어 보온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나,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높은 경우는 반려 동물이 더위를 식힐만한 도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애견용 냉각 패드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애견용 냉각 패드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1666호에 애견용 냉각 패드가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상면 및 일 측면이 개방된 입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채워지는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의 상면에 안착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성분이 포함되는 석판 및 상기 보온재의 중앙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수납부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석판을 냉각시키도록 마련되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냉기가 떨어진 냉각수단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각수단에서 냉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없고, 냉각수단에서 제공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166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려 동물에게 계절에 따라 시원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애견 쿨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열교환소자에서 제공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애견 쿨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소자, 상기 열교환소자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열교환소자에서 발열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및 상기 열교환소자에서 생성된 냉기를 케이스 외부로 방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Z축 방향) 양측(X축 방향)에 Y축 방향으로 안착고정되는 수평재와 상기 수평재 타측 단부(Y축 방향)에서 수직(Z축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재를 포함하는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 상기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의 수직재 전면(Y축 반대반향)에 밀착고정되고, 상기 수평재 상면에 안착고정되는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타측 단부(Y축 방향) 상면에 X축 방향으로 안착고정되는 전면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타측 단부(Y축 방향) 상면에 X축 방향으로 안착고정되는 후면부재, 상기 제1 측면부재와 제2 측면부재의 일측 단부(Y축 반대방향)에서 수평재에 밀착고정되는 제1 덮개부재 및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상면(Z축 방향)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 덮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부재 내부에 Z축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수직 냉기배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재 내부에 Y축 방향으로 관통되고,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냉기배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부재 저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재 전면(Y축 반대방향)에 Y축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부송풍팬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재 후면(Y축 방향)과 후면부재의 전면(Y축 반대방향) 사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냉기이동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이동안내부재는 하부부재 상면(Z축 방향)에서 Y축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에 의하면, 반려 동물에게 계절에 따라 시원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램프를 통해 상부부재를 살균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소자에서 제공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애견 쿨 패드(100)는, 반려 동물이 앉거나 눕는 상부부재에 냉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케이스(110), 열교환소자(120), 온도센서(130), 냉각유닛(140), 송풍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반려 동물이 앉거나 눕는 패드일 수 있다. 케이스(110)는 하부부재(111),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 상부부재(113), 전면부재(114), 후면부재(115), 제1 덮개부재(116) 및 제2 덮개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부재(111)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부재(111)는 Y축 방향의 길이가 X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부재(111)는 방진고무(111a)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진고무(111a)는 하부부재(111) 저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하부부재(111)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방진고무(111a)는 고무재로 형성되고, 하부부재(111)로부터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하부부재(111)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방진고무(111a)는 하부부재(111)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애견 쿨 패드(100)의 설치된 위치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는 하부부재(111)의 상면(Z축 방향) 양측(X축 반대방향과 X축 방향)에 각각 안착고정될 수 있다.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는 수평재(112a), 수직재(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재(112a)는 하부부재(1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부재(111)의 상면(Z축 방향)에 Y축 방향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수직재(112b)는 수평재(112a) 타측 단부(Y축 방향)에서 수직(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부부재(113)는 반려 동물이 앉거나 눕는 패드로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의 수평재(112a) 상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부재(113)의 Y축 방향 측면은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의 수직재(112b) 전면(Y축 반대방향)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부재(113)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부재(113)는 알루미늄 또는 스텐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부부재(113)는 열보존율이 높은 석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부재(113)는 대리석 또는 맥반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맥반석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상부부재(113)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숙면을 취하는 동안 생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부재(113)는 수직 냉기배출공(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냉기배출공(113a)은 상부부재(113) 내부에 Z축 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수직 냉기배출공(113a)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고, 송풍팬(150)의 회전으로 열교환소자(120)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부부재(113) 상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전면부재(114)는 상부부재(113)의 타측 단부(Y축 방향) 상면에 X축 방향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전면부재(114)는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의 수직재(112b) 전면(Y축 반대방향)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면부재(114)는 수평 냉기배출공(114a)이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냉기배출공(114a)은 전면부재(114) 내부에 Y축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송풍팬(150)의 회전으로 열교환소자(120)에서 생성된 냉기를 배출할 수 있다.
후면부재(115)는 하부부재(111)의 타측 단부(Y축 방향) 상면에 X축 방향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후면부재(115)는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의 수직재(112b) 후면(Y축 방향)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후면부재(115)는 통공(115a)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공(115a)은 후면부재(115) 내부에 Y축 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냉각유닛(140)에서 열교환된 뜨거운 공기를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덮개부재(116)는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의 일측 단부(Y축 반대방향) 단부에서 수평재(112a) 측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덮개부재(116) Y축 방향 내면에 끼움돌기가 더 돌출될 수 있다. 끼움돌기는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의 수평재(112a) 내면에 밀착되어 제1 덮개부재(116)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덮개부재(116')는 전면부재(114)와 후면부재(115)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덮개부재(116')는 저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끼움돌기(116a)가 더 돌출될 수 있다. 끼움돌기(116a)는 전면부재(114)와 후면부재(115) 사이에 결합되어 전면부재(114)의 후면(Y축 방향)과 후면부재(115)의 전면(Y축 반대방향)에 밀착되므로 제2 덮개부재(116')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케이스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끼움돌기(116a)는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의 수직재(112b) 내면에 밀착되어 제2 덮개부재(116')의 유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끼움돌기(116a)에 패킹이 결합되어 케이스 내부의 밀폐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케이스(110)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는 전면부재(114)에 X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부재(113)를 살균함으로써 좀더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열교환소자(120)는 후면부재(115) 내면(Y축 반대방향)에 부착될 수 있다. 열교환소자(120)는 전류가 P형 소자로부터 N형 소자로 흐를 때 발열하고, N형 소자로부터 P형 소자로 흐를 때 접합면이 흡열작용으로 온도를 내리는 통상의 펠티어 소자일 수 있다.
온도센서(130)는 열교환소자(120)의 온도를 설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온도센서(130)는 상부부재(113)의 희망 온도를 설정하면, 제어부는 온도센서(130)에서 설정된 상부부재(113)의 희망 온도를 유지하도록 열교환소자(120)를 작동시키고, 상부부재(113)는 설정된 희망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다.
냉각유닛(140)은 열교환소자(120)에서 발열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유닛(140)은 열교환소자(120)에 밀착되는 방열판과, 방열판을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냉각유닛(140)은 열교환소자(120)에 밀착되는 라디에이터와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팬의 회전으로 방열판을 냉각시킨 공기는 후면부재(115)의 통공(115a)을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후면부재(115)의 다른 통공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순환할 수 있다.
송풍팬(150)은 열교환소자(120)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케이스(110)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송풍팬(150)은 측부송풍팬(151), 하부송풍팬(15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부송풍팬(151)은 후면부재(115) 전면(Y축 반대방향)에 Y축 반대방향으로 설치되고, 열교환소자(12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전면부재(114)의 수평 냉기배출공(114a)을 통해 상부부재(113) 상면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하부송풍팬(152)은 전면부재(114)의 후면(Y축 방향)와 후면부재(115)의 전면(Y축 반대방향) 사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설치되고, 열교환소자(120)에서 생성된 냉기를 Y축 반대방향 즉, 하부부재(111)와 상부부재(113) 그리고 제1 측면부재(112) 및 제2 측면부재(112') 사이로 이동시킨 후, 상부부재(113)의 수직 냉기배출공(113a) 하부에서 수직 냉기배출공(113a) 상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냉기배출공(114a)과 수직 냉기배출공(113a)으로 배출되는 냉기는 의해 상부부재(113)에 눕거나 앉은 반려 동물의 체온과 열교환되어 반려 동물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열교환소자(120)와 온도센서(130), 냉각유닛(140) 및 송풍팬(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전면부재(114)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의 버튼을 통해 상부부재(113)의 희망 온도를 설정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열교환소자(120)와 온도센서(130), 냉각유닛(140) 및 송풍팬(150)은 설정된 희망온도로 냉기를 공급하여 상부부재(113)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케이스(110)는 냉기이동안내부재(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기이동안내부재(117)는 하부부재(111)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하부송풍팬(152)의 회전으로 이동되는 냉기를 수직 냉기배출공(113a)으로 안내함으로써 수직 냉기배출공(113a)으로 냉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냉기이동안내부재(117)는 하부부재(111) 상면에서 Y축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하부송풍팬(152)의 회전력이 하부부재(111)의 일측 단부(Y축 반대방향)까지 미치도록 함으로써 상부부재(113) 상부로 냉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110) 내부에 물 또는 냉매가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배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관(170)은 녹이 슬지 않은 금속으로 수직 냉기배출공(113a)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배관(170)으로 이동되는 낮은 온도의 물 또는 냉매는 케이스(110) 내부의 물 또는 냉매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의 온도는 더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10) 내부의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하부송풍팬(152)의 회전에 의해 상부부재(113) 상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또는 냉매는 별도의 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되어 냉각유닛에 포함된 펌프에 의해 순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애견 쿨 패드
110: 케이스
111: 하부부재
111a: 방진고무
112,112':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
112a: 수평재
112b: 수직재
113: 상부부재
113a: 수직 냉기배출공
114: 전면부재
114a: 수평 냉기배출공
115: 후면부재
115a: 통공
116: 덮개부재
116a: 끼움돌기
117: 냉기이동안내부재
120: 열교환소자
130: 온도센서
140: 냉각유닛
150: 송풍팬
151: 측부송풍팬
152: 하부송풍팬
160: 디스플레이부
170: 배관

Claims (8)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소자;
    상기 열교환소자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열교환소자에서 발열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및
    상기 열교환소자에서 생성된 냉기를 케이스 외부로 방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모서리에 방진고무가 배치된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양측(X축 반대방향과 X축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
    상기 제1 측면부재 및 제2 측면부재 상면에 안착고정되고, 내부에 Z축 방향으로 수직 냉기배출공이 관통형성된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타측 단부(Y축 방향) 상면에 안착고정되는 전면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타측 단부(Y축 방향) 상면에 안착고정되는 후면부재;
    상기 제1 측면부재와 제2 측면부재의 일측 단부(Y축 반대방향) 측면에 밀착고정되는 제1 덮개부재; 및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상면(Z축 방향)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 덮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덮개부재 저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패킹이 결합된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부재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냉기이동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기이동안내부재는 하부부재 상면(Z축 방향)에서 Y축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애견 쿨 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 내부에 Y축 방향으로 관통되고,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냉기배출공을 더 포함하는 애견 쿨 패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재 전면(Y축 반대방향)에 Y축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부송풍팬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재 후면(Y축 방향)과 후면부재의 전면(Y축 반대방향) 사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송풍팬을 포함하는 애견 쿨 패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38394A 2021-10-18 2021-10-18 애견 쿨 패드 Active KR102693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394A KR102693657B1 (ko) 2021-10-18 2021-10-18 애견 쿨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394A KR102693657B1 (ko) 2021-10-18 2021-10-18 애견 쿨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105A KR20230055105A (ko) 2023-04-25
KR102693657B1 true KR102693657B1 (ko) 2024-08-09

Family

ID=8610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394A Active KR102693657B1 (ko) 2021-10-18 2021-10-18 애견 쿨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36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263A (ja) * 1998-10-15 2000-04-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小動物用冷暖房装置
KR200311632Y1 (ko) 2003-02-10 2003-05-01 주식회사 유평테크나러지 애완동물용 냉·온 매트
KR100437936B1 (ko) 2003-05-27 2004-07-02 씨씨모아 주식회사 냉난방 기능의 애완동물 침대
JP2016093137A (ja) * 2014-11-14 2016-05-26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ペット用マット
KR102057974B1 (ko) 2019-01-25 2019-12-20 정윤진 반려동물용 냉난방 매트
JP2020080665A (ja) * 2018-11-16 2020-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ペット用温度調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785A (ja) * 1994-04-08 1995-12-12 Katetsuku:Kk 温度調節ができる動物用マット
JPH104813A (ja) * 1996-06-24 1998-01-13 Sugahara Kiko:Kk ペット用冷暖房マット
JP3188136U (ja) * 2013-10-19 2014-01-09 Marno株式会社 ペット用冷温兼用ボード
KR101568777B1 (ko) * 2014-01-08 2015-11-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석
KR101671666B1 (ko) 2016-03-17 2016-11-01 김해성 애견용 냉각패드
KR101875274B1 (ko) * 2016-07-18 2018-07-05 심은화 애완동물용 냉난방 조절 구조물
KR102028110B1 (ko) * 2017-12-27 2019-10-02 김승연 애완동물용 온돌매트
KR102068266B1 (ko) * 2018-02-12 2020-01-21 주식회사 유로 반려동물 냉온매트
KR102350537B1 (ko) * 2019-02-13 2022-01-12 서민철 애완동물용 온도 조절 매트
TWM589434U (zh) * 2019-09-17 2020-01-21 瑞智精密股份有限公司 寵物空調床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263A (ja) * 1998-10-15 2000-04-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小動物用冷暖房装置
KR200311632Y1 (ko) 2003-02-10 2003-05-01 주식회사 유평테크나러지 애완동물용 냉·온 매트
KR100437936B1 (ko) 2003-05-27 2004-07-02 씨씨모아 주식회사 냉난방 기능의 애완동물 침대
JP2016093137A (ja) * 2014-11-14 2016-05-26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ペット用マット
JP2020080665A (ja) * 2018-11-16 2020-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ペット用温度調節装置
KR102057974B1 (ko) 2019-01-25 2019-12-20 정윤진 반려동물용 냉난방 매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2959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105A (ko)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990B1 (ko) 반려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냉온매트장치
US20070011813A1 (en) Self-ventilating and self-cooling variable geometry pillow
US4218791A (en) Device for use as a bed or bedstead
KR101671666B1 (ko) 애견용 냉각패드
KR101903546B1 (ko) 냉난방 기능을 갖는 에어 매트
KR101851621B1 (ko) 냉온풍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KR20180079538A (ko) 반려동물 냉난방 방석
KR101839096B1 (ko) 반려동물용 냉온 조절 디바이스
KR102693657B1 (ko) 애견 쿨 패드
KR200314080Y1 (ko) 냉난방 장치가 채용된 애완견용 하우스
KR102693655B1 (ko) 애견 쿨 패드
JPH104813A (ja) ペット用冷暖房マット
KR102476054B1 (ko) 실내용 애견 하우스
US7331184B2 (en) Hot-cold cushion
TWM589434U (zh) 寵物空調床
KR20170027964A (ko) 냉온열 송풍베개
KR10237724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방 장치
KR101644803B1 (ko) 펠티어 카트리지를 이용한 냉온수 순환침대
KR102054205B1 (ko) 방열판을 갖는 의자
KR102186987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에어매트
KR101483034B1 (ko) 분리가 가능한 쿨침대매트리스
KR102628644B1 (ko) 애완동물용 쿨링패드
KR102572145B1 (ko) 다단식 황토 흙침대
KR102811573B1 (ko) 반려동물용 냉난방 장치
TWI303561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