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1893B1 -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1893B1
KR102691893B1 KR1020230076616A KR20230076616A KR102691893B1 KR 102691893 B1 KR102691893 B1 KR 102691893B1 KR 1020230076616 A KR1020230076616 A KR 1020230076616A KR 20230076616 A KR20230076616 A KR 20230076616A KR 102691893 B1 KR102691893 B1 KR 102691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icatory movement
masticatory
detection counter
ear
movement det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최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훈 filed Critical 최지훈
Priority to KR102023007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1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1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18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귀 착용부; 및 상기 장치 본체 또는 상기 귀 착용부에 마련되며, 인체의 저작운동을 감지해서 카운팅(counting)하는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count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masticatory movement counter}
본 발명은,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씹어 섭취할 때의 저작운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내할 수 있어서 저작기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운동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작운동(masticatory movement)은 먹이를 씹어 부수는 일의 총칭이다. 음식물을 구강 내에서 잘게 씹어 소화액과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하고, 타액과 잘 섞이게 하여 소화관에서의 소화 흡수를 돕는다.
좀 더 부연하면, 저작운동은 음식물을 이빨로 씹어 잘게 부수는 기계적 소화의 일종이며, 소화 과정의 첫 단계에 해당한다. 저작운동의 결과, 음식물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침에 들어있는 소화효소가 음식물에 작용하는 효율이 높아진다. 입속에서의 소화가 진행된 후, 음식물은 식도를 통해 위에 도달하여 다음 단계의 소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한편, 저작운동은 잘 알려진 것처럼 치아 건강 및 턱 발달을 유도하는 한편, 뇌 혈류량 증가로 뇌 활성화에 이바지함으로써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높아질 수 있게 보조한다.
또한, 저작운동은 면역력이 증대되는데 기여한다. 이는 침샘이 자극되어 타액이 분비되는데, 타액에는 향균, 살균 기능이 있어서 충치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면역력 증대 및 노화 방지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저작운동은 단순하기는 하지만 인체의 건강에 매우 유익한 것이라서 올바른 식습관을 위해 또한 건강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지만, 패스트푸드가 증가함에 따라 식사 시간이 줄어드는 최근에는 음식을 제대로 씹지 않고, 즉 저작운동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음식을 그대로 삼키는 일이 많다는 점에서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2166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661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씹어 섭취할 때의 저작운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내할 수 있어서 저작기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운동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귀 착용부; 및 상기 장치 본체 또는 상기 귀 착용부에 마련되며, 인체의 저작운동을 감지해서 카운팅(counting)하는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coun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치 본체 또는 상기 귀 착용부에 마련되며,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에 의해 카운팅된 횟수가 기설정된 목표 횟수에 도달할 때, 알림을 발생시키는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에 의한 저작운동의 감지는 골전도 방식 또는 침샘 분비 방식에 의해 진행되며, 상기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는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는 스피커 또는 진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 및 상기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는 다기능 버튼; 및 상기 다기능 버튼에 의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버튼을 통해 장치의 온/오프(on/off)하는 모드,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의 목표 횟수를 설정하는 모드,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진동모듈를 선택하는 모드의 실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을 씹어 섭취할 때의 저작운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내할 수 있어서 저작기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운동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착용 상태도, 도 3은 도 1의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100)는 음식물을 씹어 섭취할 때의 저작운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내할 수 있어서 저작기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운동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100)는 장치 본체(110)와 귀 착용부(120)를 포함하며, 이들에 아래 구성, 구조들이 위치별로 탑재되는 형태를 취한다.
장치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100)의 외관 구조물로서, 귀 착용부(120)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 귀 착용부(12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장치 본체(110)에 탑재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음식물을 씹어 섭취할 때의 저작운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내하기 위한 구조, 구성의 일부는 장치 본체(110)에, 나머지는 귀 착용부(120)에 탑재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음식물을 씹어 섭취할 때의 저작운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내하기 위한 구조, 구성이 탑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치 본체(110)는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부피의 구조물로 마련된다.
도면에는 도시의 편의상 사각 블록 형태의 장치 본체(110)를 개시했지만, 장치 본체(110)의 구조가 반드시 도면과 같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 본체(110)에는 다기능 버튼(111)이 마련된다. 다기능 버튼(111)을 통해 장치의 온/오프(on/off)하는 모드,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의 목표 횟수를 설정하는 모드, 스피커(141) 또는 진동모듈(142)을 선택하는 모드의 실행이 가능하다.
다기능 버튼(111)의 주변에는 다기능 버튼(111)에 의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12)이 마련된다. 물론, 도면과 달리, 버튼이 여러 개일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112)는 없을 수도 있다.
귀 착용부(120)는 장치 본체(110)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부분이다. 사용자의 귀를 감싸면서 착용할 수 있도록 귀 착용부(120)는 탄성 재질의 고리 형태를 취한다. 귀 착용부(120)의 라운딩 단부(120a)는 둥근 볼(ball) 형태를 취함으로써 귀에 압박을 가하지 않게끔 하면서 귀 착용부(120)가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유도한다. 물론, 귀 착용부(120)의 라운딩 단부(120a)가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장치 본체(110)에는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 counter)가 마련된다.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는 인체의 저작운동을 감지해서 카운팅(counting)하는 수단이다.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에 의한 저작운동의 감지는 골전도 방식 또는 침샘 분비 방식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가 장치 본체(110)에 마련될 수 있지만,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는 귀 착용부(1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의 설치 위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 본체(110)에는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가 더 탑재된다.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는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에 의해 카운팅된 횟수가 기설정된 목표 횟수에 도달할 때, 알림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가 장치 본체(110)에 마련되지만,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 역시 귀 착용부(1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의 설치 위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는 장치 본체(110)에 마련되는 스피커(141) 또는 진동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에 의해 카운팅된 횟수가 기설정된 목표 횟수에 도달하면 스피커(141)를 통해 정해진 소리가 발생할 수도 있고, 진동모듈(142)을 통해 진동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 신호를 감지한 후, 음식물을 삼키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100)에는 장치의 컨트롤을 위한 수단으로서 컨트롤러(150)가 더 마련된다.
컨트롤러(150)는 장치 본체(110)에 마련되고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 및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와 연결되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의 정보에 기초하여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한다.
예컨대, 다기능 버튼(111)을 통해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의 목표 횟수를 20번으로 설정한 후,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가 이를 감지해서 정보를 컨트롤러(150)로 전송하면 컨트롤러(150)에 의해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가 동작한다. 다시 말해,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에 의해 카운팅된 횟수가 기설정된 목표 횟수에 도달하면 스피커(141)를 통해 정해진 소리가 발생할 수도 있고, 진동모듈(142)을 통해 진동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 신호를 감지한 후, 음식물을 삼키면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50)는 중앙처리장치(151, CPU), 메모리(15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51)는 본 실시예에서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의 정보에 기초하여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5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51)와 연결된다. 메모리(15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5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5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50)는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130)의 정보에 기초하여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1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을 씹어 섭취할 때의 저작운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내할 수 있어서 저작기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운동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200) 역시, 장치 본체(110)와 귀 착용부(12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귀 착용부(120)를 장치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장치 본체(110)에는 착탈식 커넥터(215)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장치 본체(110)에 착탈식 커넥터(215)가 마련되고, 이곳에 귀 착용부(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경우, 귀의 사이즈에 맞게 귀 착용부(120)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색상별 여러 개의 귀 착용부(120)를 보유한 후, 필요에 따라 귀 착용부(120)의 색상 등을 변경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음식물을 씹어 섭취할 때의 저작운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내할 수 있어서 저작기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운동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300) 역시, 장치 본체(310)와 귀 착용부(12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의 기능과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장치 본체(310)의 일측 내부에는 카운터 수납부(361)가 마련된다. 카운터 수납부(361)의 개구에 도어(362)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카운터 수납부(361) 내에는 권취 드럼(363)이 마련되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330)와 탄성줄(331)로 연결한다.
이에, 도 5에서 도 6처럼 도어(362)를 열고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330)를 당기면 권취 드럼(363)에서 탄성줄(331)이 풀리면서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330)가 장치 본체(310)의 바깥으로 나올 수 있는데, 이러한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330)의 일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한 후, 저작운동이 잘 감지될 수 있는 얼굴의 일부에 부착한다. 그러면, 더욱 정확한 저작운동을 감지할 수 있고, 그 카운팅 횟수를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음식물을 씹어 섭취할 때의 저작운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안내할 수 있어서 저작기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작운동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110 : 장치 본체
111 : 다기능 버튼 112 : 디스플레이
120 : 귀 착용부 130 :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
140 :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 141 : 스피커
142 : 진동모듈 150 : 컨트롤러

Claims (5)

  1.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귀 착용부;
    인체의 저작운동을 감지해서 카운팅(counting)하는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counter); 및
    상기 장치 본체 또는 상기 귀 착용부에 마련되며,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에 의해 카운팅된 횟수가 기설정된 목표 횟수에 도달할 때, 알림을 발생시키는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 본체에는 카운터 수납부 및 상기 카운터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는 상기 카운터 수납부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운터 수납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권취 드럼으로부터 권취 가능한 탄성줄에 연결되어 상기 카운터 수납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는 얼굴에 부착 가능한 것인,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 및 상기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저작운동 감지 카운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운동 카운팅 횟수 알림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5. 삭제
KR1020230076616A 2023-06-15 2023-06-15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Active KR102691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616A KR102691893B1 (ko) 2023-06-15 2023-06-15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616A KR102691893B1 (ko) 2023-06-15 2023-06-15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1893B1 true KR102691893B1 (ko) 2024-08-05

Family

ID=9237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616A Active KR102691893B1 (ko) 2023-06-15 2023-06-15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189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9120A (ko) * 2011-03-28 2012-10-0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인 이어 타입의 저작 횟수 검출장치 및 음식물 저작 습관 교정 시스템
US20140251023A1 (en) * 2011-03-24 2014-09-11 Magomed Habibovich Magomedov Chewing monitoring device
KR101566146B1 (ko) 2015-03-17 2015-11-06 이성완 저작근 운동 기구
KR20170116746A (ko) * 2016-04-12 2017-10-20 이준욱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JP2018033568A (ja) * 2016-08-30 2018-03-08 株式会社吉田製作所 食生活管理装置
KR20180092558A (ko) * 2017-02-10 2018-08-20 기분좋은세상 주식회사 저작근운동기구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진단 시스템
KR101921661B1 (ko) 2015-08-31 2018-11-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13512A1 (en) * 2018-10-10 2020-04-16 Sharp Kabushiki Kaisha Eating monitoring method, program, and eating monitoring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1023A1 (en) * 2011-03-24 2014-09-11 Magomed Habibovich Magomedov Chewing monitoring device
KR20120109120A (ko) * 2011-03-28 2012-10-0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인 이어 타입의 저작 횟수 검출장치 및 음식물 저작 습관 교정 시스템
KR101566146B1 (ko) 2015-03-17 2015-11-06 이성완 저작근 운동 기구
KR101921661B1 (ko) 2015-08-31 2018-11-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습관 개선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6746A (ko) * 2016-04-12 2017-10-20 이준욱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JP2018033568A (ja) * 2016-08-30 2018-03-08 株式会社吉田製作所 食生活管理装置
KR20180092558A (ko) * 2017-02-10 2018-08-20 기분좋은세상 주식회사 저작근운동기구를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진단 시스템
US20200113512A1 (en) * 2018-10-10 2020-04-16 Sharp Kabushiki Kaisha Eating monitoring method, program, and eating monito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35564B (zh) 摄食吞咽功能评价方法、记录介质、评价装置以及评价系统
US20190343452A1 (en) Bruxism monitoring and prevention system
US10470979B2 (en) Intelligent pacifier
PT1773184E (pt) Sistema e método para detectar actividade de deglutição
JP2007317144A (ja) 咀嚼カウンタ
US11317826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respiratory state
CN113571151A (zh) 用于监控口面肌训练的装置及方法
KR102691893B1 (ko) 저작운동 카운팅 장치
KR20180095208A (ko) 약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스마트 약상자
CN105615285B (zh) 一种口腔状况监测方法、装置及牙刷
CN111182879B (zh) 婴儿启动的音频播放器的使用
CN113951877B (zh) 一种用于摄食行为检测和分析装置
JP6576045B2 (ja) 生体装着型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JP3195320U (ja) イヤホン型外耳道センサーおよびチューイング検出装置
WO2016063844A1 (ja) チューイング検出装置
CN106420084A (zh) 一种电子假牙设备
JPH11123185A (ja) 咀嚼回数検出装置
KR20120139479A (ko) 위절제 환자를 위한 식이교육 바이오피드백 방법
JP2021520273A (ja) 対象の嚥下のモニタリング
CN119403484A (zh) 用于检测磨牙症或颞下颌关节紊乱病的系统
JPH1011560A (ja) 咀嚼増進器
JP2005349167A (ja) 無呼吸時覚醒装置
CN205194014U (zh) 一种婴儿吐奶的检测装置
CN201005682Y (zh) 用于监测人体体脂的游戏外设
Moon et al. A Wi-Fi–Based Mask-Type Laryngoscope for Telediagnosi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strument Validation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