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1868B1 - Outer lens of lamp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uter lens of lamp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1868B1 KR102691868B1 KR1020190120574A KR20190120574A KR102691868B1 KR 102691868 B1 KR102691868 B1 KR 102691868B1 KR 1020190120574 A KR1020190120574 A KR 1020190120574A KR 20190120574 A KR20190120574 A KR 20190120574A KR 102691868 B1 KR102691868 B1 KR 102691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unit
- lens
- light source
- ligh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에 관한 것으로, 제1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는 제1렌즈부와,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고, 제1렌즈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렌즈부와,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를 연결하고,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의 사이에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렌즈부와, 연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제1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공간부의 외부로 반사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comprising a first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from a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a second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from a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arranged to protrude beyond the first lens unit. A lens unit, a connection lens unit connecting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forming a concave space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a connection lens unit formed on the connection lens unit, the first lens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flector part that reflects light that passes through the space to the outside and forms an appear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차량용 램프의 구성품으로서 적용되는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and a vehicle lamp equipped therewith.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applied as a component of a vehicle lamp to inform the driving state of a vehicle and a vehicle lamp equipped therewith. .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시 차량 주변의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해 다양한 차량용 램프가 적용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vehicle lamps are used to easily check objects around the vehicle when driving or to inform other vehicles or other road users of the vehicle's driving status.
예컨대,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조명장치가 있으며, 이외에 보행자나 다른 차량 등이 해당 차량을 용이하게 인식가능하게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의 반사기 등이 적용되고 있다.For example, lighting devices that operate by directly emitting light using lamps, such as headlights that radiate light forward to ensure the driver's vision, brake lights that turn on when the brakes are applied, and turn signal lights that are used when turning right or left. In addition, reflectors that reflect light so that pedestrians or other vehicles can easily recognize the vehicle are being used.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시인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량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주요한 디자인적 요소로서, 다른 차종과의 디자인 차별성, 심미성 확보를 위해 보다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These vehicle lamps are a major design element that determines the design of a vehicle while ensuring visibility, and efforts are continuously being made to create more diverse images to ensure design differentiation and aesthetics from other vehicle type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00653호(2013.09.11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광발광 영역형 램프)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100653 (published on September 11, 2013, title of the invention: photoluminescent area type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용 램프와의 디자인 차별화를 구현가능하면서도, 디자인 자유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and a vehicle lamp having the same, which can realize design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vehicle lamps while further improving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는, 제1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는 제1렌즈부;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고, 상기 제1렌즈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사이에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렌즈부; 및 상기 연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반사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from a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 second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a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disposed to protrude beyond the first lens unit; a connecting lens unit connecting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forming a concave space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a reflector unit formed on the connection lens unit, reflec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unit to the outside of the space, and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제1렌즈부는, 상기 제1광원을 커버하는 제1렌즈본체부; 상기 제1렌즈본체부 중 상기 리플렉터부와 마주하는 일측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진행방향을 제1방향으로 유도하는 요철 형상을 가지는 투광옵틱부; 상기 제1렌즈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렌즈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단부; 및 상기 제1렌즈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램프하우징과 결합되는 제1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lens unit includes a first lens body unit covering the first light source; a light transmitting optic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lens body facing the reflector part and having a concavo-convex shape that guides the direction of travel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nnection end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lens body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ens section; and a first housing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lens body and coupled to the lamp housing.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제1렌즈부보다 더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광원을 커버하는 제2렌즈본체부; 상기 제2렌즈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제2방향으로 투광되는 투광부; 상기 제2렌즈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렌즈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단부; 및 상기 제2렌즈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램프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lens unit includes: a second lens body unit disposed to protrude more than the first lens unit and covering the second light source;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lens body and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n a second direction; a second connection end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lens body uni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ens unit; and a second housing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ens body and coupled to the lamp housing.
상기 연결렌즈부는, 상기 제1렌즈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의 외부를 향해 경사지거나 만곡되게 연장되는 경사연장부; 및 상기 경사연장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보다 더 돌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제2렌즈부와 연결되는 외향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lens unit includes: an inclined extension part disposed to face the first lens part, connected to the first lens part, and extending inclined or cur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pace part; and an outward extension portion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incline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first lens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lens portion.
상기 리플렉터부는, 상기 경사연장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반사하는 메인반사부; 및 상기 외향연장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가니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lector unit includes a main reflection unit formed on the inclined extension unit and reflec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unit to the outside of the space unit; and a garnish part formed on the outward extension par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pace part.
상기 리플렉터부는, 차량의 외관을 장식가능하면서 빛을 반사가능한 소재를 상기 연결렌즈부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lector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coating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lens part with a material that can reflect light while decoratin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베젤; 제1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베젤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1광원조립체; 제2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베젤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2광원조립체; 및 상기 제1광원조립체와 상기 제2광원조립체를 커버하며 상기 램프하우징과 결합되고, 제1차체부와 제2차체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아우터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렌즈는, 상기 제1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사이에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렌즈부; 및 상기 연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p housing; a bezel disposed inside the lamp housing; a first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zel;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a second light source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ezel; and an outer lens that covers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s coupled to the lamp housing,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vehicl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vehicle body portion, wherein the outer lens includes the first vehicle body portion. A first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 second lens unit disposed to protrude beyond the first lens unit and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 connecting lens unit connecting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forming a concave space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a reflector unit formed on the connection lens unit and reflec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unit to the outside of the space.
상기 제1광원은, 브레이크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빛을 조사하는 스탑광원과, 테일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빛을 조사하는 테일광원 중 일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스탑광원과 상기 테일광원 중 타측; 및 턴시그널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빛을 조사하는 방향지시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light source includes one of a stop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implement a brake lamp function and a tail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implement a tail lamp functi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includes the stop light source and The other side of the tail light source; and a direction indicator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implement a turn signal lamp function.
상기 제2광원조립체는, 투광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연결렌즈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는 제2설치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설정 방향으로 안내하는 라이트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is installed in a second installation space hollowly formed between the second lens unit and the connection lens unit, and emits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light bar that guides in the setting direction.
상기 제1렌즈부는, 상기 제1광원조립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lens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that can accommodate part or all of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연결렌즈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2광원을 포함하는 제2광원조립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lens unit may accommodate part or all of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the second light source between the connection lens unit and the connection lens unit.
상기 리플렉터부는,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차체부, 상기 제2차체부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lector part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space to the outside and forms an exterior together with the first car body part and the second car body par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는,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의 사이에 차량의 내측으로 오목한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차량용 램프로서 적용됨에 있어서 음각 형태의 램프 디자인을, 예를 들어 차체 상 노치 형태의 음각부를 형성한 것과 같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The outer lens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hicle lamp equipped therewith have a concave space formed inwar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so when applied as a vehicle lamp, an engraved lamp design is used. , for example, a design such as forming a notch-shaped concave part on the car body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은, 차체의 외부로 리플렉터부만이 노출되므로, 차체와 리플렉터부간의 색상, 질감의 조화에 따른 우수한 미감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광원과 제2광원의 비점등시에는 차량용 램프가 설치되지 않은 것과 같은 새로운 디자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reflector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not only can an excellent aesthetic sense be realized through harmony of color and texture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reflector portion, but also when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re not turned on, New design effects can be achieved, such as without vehicle lamp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제1렌즈부 중 리플렉터부와 마주하지 않는 일부를 차체가 가리도록 설치 시, 아우터렌즈가 아닌 차체가 실질적으로 차량용 램프의 가장자리부 형상을 결정할 수 있어,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ar body, not the outer lens, to substantially determine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vehicle lamp when installing the part of the first lens part that does not face the reflector part so that the car body covers it, thereby increasing the design freedom of the car lamp.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아우터렌즈가, 기존의 아우터렌즈와 반사면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기존의 차량용 램프와 비교해 부품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용 램프 구성품의 제작, 관리,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len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xisting outer lens and the reflective surface are formed integrally, the number of parts can be further reduced compared to the existing vehicle lamp, and the manufacturing, management, and Ease of assembl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적용함에 따른 광경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된 차량의 후방부를 촬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점등 상태를 촬상한 사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when apply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hotograph taken of the rear part of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photograph of the lighting stat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of a vehicle lamp equipped with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적용함에 따른 광경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according to applic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램프하우징(10), 베젤(20), 제1광원조립체(30), 제2광원조립체(40), 아우터렌즈(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1) 중 차량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후미등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를 설명함에 있어서, 차량의 후미등으로서 적용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상에서 좌측이 차량의 후방이다.A vehicle lamp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a tail light placed at the rear of a vehicle among vehicle lamps (1) equipped in a vehicle. Hereinafter, in explaining the vehicle lam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it is applied as a tail light of a vehicle will be explained. In FIGS. 1 and 2, the left side is the rear of the vehicle.
램프하우징(10)은 베젤(20), 제1광원조립체(30), 제2광원조립체(40)를 포함한 광학구성품을 내부에 수용, 설치가능한 케이스 구조를 가진다. 램프하우징(10)의 후단부는 개방되게 형성되고, 아우터렌즈(50)는 램프하우징(10)의 개방부를 커버하며 램프하우징(10)의 후단부에 결합된다.The
베젤(20)은 램프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광원조립체(30), 제2광원조립체(40)를 설정위치에 고정, 지지한다. 베젤(20)의 상부는 제1광원조립체(30)를 수용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베젤(20)의 하부는 제2광원조립체(40)의 일부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광원(41)을 수용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전방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The
제1광원조립체(30)는 제1광원(31)을 구비하여 베젤(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1광원(31)은 브레이크 램프 기능을 구현하거나 테일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1색상(예를 들어, 빨간색)의 빛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브레이크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광원을 '스탑광원', 테일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광원을 '테일광원'이라 한다. 제1광원(31)으로는 LED를 적용할 수 있다.The first
제2광원조립체(40)는 제2광원(41)을 구비하여 베젤(20)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조립체(40)는 제2광원(41)과 라이트바(light bar)(4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41)은 제2-1광원(42)과 제2-2광원(43)을 포함한다. The second
제2-1광원(42)은 브레이크 램프 기능을 구현하거나 테일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1색상(예를 들어, 적색 등)의 빛을 조사한다. 제1광원(31)으로 스탑광원을 적용하는 경우, 제2-1광원(42)으로 테일광원을 적용할 수 있다. 제2-2광원(43)은 턴시그널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2색상(예를 들어, 황색 등)의 빛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턴시그널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광원을 '방향지시광원'이라 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41)으로는 2칩 LED를 적용할 수 있다.The 2-1
라이트바(44)는 제2광원(41)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가능한 투명 소재를 포함하여 제2광원(41)의 후방에 배치된다. 라이트바(44)의 전방부는 베젤(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후방부는 제2렌즈부(52)와 연결렌즈부(53)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는 제2설치공간부(55)에 후방부가 삽입된다. 라이트바(44)는 제2광원(41)에서 조사된 빛을 후방으로 안내한다.The
제2광원(41)에서 조사되어 후방으로 진행되는 빛은 라이트바(44)로 입사되고, 라이트바(44)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라이트바(44)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 확산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라이트바(44)의 연장 형상에 대응되는 광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라이트바(44)는 차량, 설계 이미지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아우터렌즈(50)는 제1광원조립체(30)와 제2광원조립체(40)를 커버하며 램프하우징(10)에 결합된다. 아우터렌즈(50)는 제1차체부(2)와 제2차체부(3)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차체부(2)와 제2차체부(3)와 함께 차량의 외관을 연속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렌즈(50)는 제1렌즈부(51), 제2렌즈부(52), 연결렌즈부(53), 리플렉터부(54)를 포함한다.The
제1렌즈부(51)는 제1광원(31)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는 장치부이다. 제1광원(31)이 설치되는 베젤(20)의 상부는 하부가 하향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제1광원(31)에서 발산된 빛은 이러한 베젤(20)의 구조에 의해 베젤(20)의 외부로 하향 조사된다. 이와 같이 하향 조사되는 제1광원(31)의 빛은 제1렌즈부(51)를 투광하여 제1렌즈부(51) 하측의 리플렉터부(54)에 도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렌즈부(51)는 제1렌즈본체부(511), 투광옵틱부(512), 제1연결단부(513), 제1하우징결합부(514)를 포함한다.The
제1렌즈본체부(511)는 제1광원(31)을 커버하는 장치부로, 제1광원조립체(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렌즈본체부(511)는 제1광원(31)이 설치되는 베젤(20)의 상부 후방부 전체를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The first lens body part (511) is a device part that covers the first light source (31) and has a shape that can accommodate part or all of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3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lens body part (511) has a shape that surrounds the entire upper rear part of the bezel (20) where the first light source (31) is installed.
베젤(20)의 상부는 중간부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1렌즈본체부(511)는 상기와 같이 중간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베젤(2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젤(20)의 상부를 후방, 상방, 하방에서 연속하여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The upper part of the
투광옵틱부(512)는 제1렌즈본체부(511)를 통과하는 빛의 경로를 목적한 방향(제1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요철된 표면 형상을 가지고, 제1렌즈본체부(511) 중 제1광원(31)의 투광 경로 상에 형성된다. 일례로, 투광옵틱부(512)는 복수개의 쐐기형 홈부 또는 돌출부가 연속하여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light
투광옵틱부(51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렌즈본체부(511)의 하부에 형성되고, 리플렉터부(54)의 상측에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광원(31)에서 하향 조사된 빛은 제1렌즈본체부(511)의 하부에, 즉 제1광원(31)의 하측에 배치된 투광옵틱부(512)를 통과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방향으로 광경로가 전환되어 리플렉터부(54)에 도달된다.The light transmitting
제1연결단부(513)는 연결렌즈부(53)와 연결되는 장치부로, 제1렌즈본체부(511)의 하단부에 연결렌즈부(53)의 상부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1하우징결합부(514)는 램프하우징(10)과 결합되는 장치부로, 제1렌즈본체부(511)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제1차체부(2)와 제2차체부(3)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렌즈본체부(511)의 후방부와 상부는 제1차체부(2)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된다. 제1하우징결합부(514)는 램프하우징(10)과 함께 제1차체부(2)의 내측에 가려지게 위치된다.The
제2렌즈부(52)는 제2광원(41)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는 장치부로, 제1렌즈부(51)의 하측에 제1렌즈부(51)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광원(41)이 설치되는 베젤(20)의 하부는 후방부가 후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제2광원(41)에서 발산된 빛은 이러한 베젤(20)의 구조에 의해 베젤(20)의 후방으로 조사된다.The
이와 같이 베젤(20)의 외부로 후방 조사되는 제2광원(41)의 빛은 라이트바(44)와 제2렌즈부(52)를 순차적으로 투광하여 목적한 방향(제2방향)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렌즈부(52)는 제2렌즈본체부(521), 투광부(522), 제2연결단부(523), 제2하우징결합부(524)를 포함한다.In this way, the light from the second
제2렌즈본체부(521)는 제2광원(41)을 커버하는 장치부로, 연결렌즈부(53)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연결렌즈부(53)와 함께 제2광원조립체(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렌즈본체부(521)는 연결렌즈부(53)와 함께, 제2광원(41)과 라이트바(44)가 설치되는 베젤(20)의 하부 후방부 전체를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The second
베젤(20)의 중간부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베젤(20)의 하부는 베젤(20)의 중간부의 상부보다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라이트바(44)는 베젤(20)의 하부에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된다. 제2렌즈본체부(521)는 제1렌즈부(51)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베젤(20)의 하부와 라이트바(44)를 후방과 하방에서 연속하여 감싼다.The middle part of the bezel (20) has a shape that protrudes more rearwardly as it goes toward the lower side. Accordingly, the lower part of the bezel (20) has a shape that protrudes more rearwardly than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part of the bezel (20). In addition, the light bar (44) is installed to protrude more rearwardly on the lower part of the bezel (20). The second lens body part (521) has a shape that protrudes more rearwardly than the first lens part (51), and continuously wraps the lower part of the bezel (20) and the light bar (44) that protrudes rearwardly as described above from the rear and downward.
투광부(522)는 제2렌즈본체부(521) 중 제2광원(41)의 투광 경로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렌즈본체부(521)의 후방부 상에 형성된다. 제2광원(41)에서 발산되어 베젤(20)의 외부로 후방 조사된 빛은 라이트바(44)와 투광부(522)를 순차적으로 투광하여 제2방향으로 진행된다.The
제2연결단부(523)는 연결렌즈부(53)와 연결되는 장치부로, 제2렌즈본체부(521)의 상단부에 연결렌즈부(53)의 하부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2하우징결합부(524)는 램프하우징(10)과 결합되는 장치부로, 제2렌즈본체부(521)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제1차체부(2)와 제2차체부(3)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렌즈본체부(521)의 하부는 제2차체부(3)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제2하우징결합부(524)는 램프하우징(10)과 함께 리플렉터부(54)와 제2차체부(3)에 의해 가려지게 위치된다.The
연결렌즈부(53)는 제1렌즈부(51)와 제2렌즈부(52)를 연결함과 동시에, 제1렌즈부(51)를 투광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54)를 형성가능한 골조를 제공하는 장치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렌즈부(53)는 제1렌즈부(51)와 제2렌즈부(5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55)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하측으로 경사지는 곡면을 형성하는 미끄럼틀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렌즈부(53)는 경사연장부(531)와 외향연장부(532)를 포함한다.The
경사연장부(531)는 연결렌즈부(53)의 상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제1렌즈부(51)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된다. 경사연장부(531)는 제1렌즈부(51)의 하부 전단부에서 하향 연장되되 하부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점차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경사연장부(531)는 후방으로 경사지거나 만곡되게 하향 연장된다. 이러한 경사연장부(531)의 형상에 의해 경사연장부(531)는 제1렌즈부(51)의 하측에서 제1렌즈부(51)와,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광옵틱부(512)와 상하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된다.The
외향연장부(532)는 경사연장부(531)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제1렌즈부(51)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연장되며, 그 하부가 제2렌즈부(52)의 상부와 일체로 연결된다. 외향연장부(532)는 경사연장부(531)보다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2렌즈부(52)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된다.The
상기와 같은 경사연장부(531)와 외향연장부(532)의 형상에 의해 제1렌즈부(51)와 제2렌즈부(52)의 사이에는, 다른 표현으로는 제1차체부(2)와 제2차체부(3)의 사이에는 전방으로 오목한 공간부(5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렌즈(50)가 적용된 차량의 후미등은 음각 형태의 외관을 가지게 된다.Due to the shape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된 차량의 후방부를 촬상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점등 상태를 촬상한 사진이다.Figure 3 is a photograph taken of the rear part of a vehicle to which a vehicle lamp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hotograph taken of the lighting state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리플렉터부(54)는 제1렌즈부(51)를 통과한 빛을 공간부(55)의 외부로 반사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부로, 연결렌즈부(53)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된다. 리플렉터부(54)는 차량의 외관을 장식가능하면서 빛을 반사가능한 소재를 연결렌즈부(53)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리플렉터부(54)로서 크롬 가니쉬(chrome garnish)를 적용할 수 있다.The reflector portion (54) is a device portion that reflects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portion (51) to the outside of the space portion (55) and at the same time forms the exterior of the vehicle lam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ormed by coating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lens portion (53). The reflector portion (54) can be formed by coating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while decoratin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lens portion (53). For example, a chrome garnish can be applied as the reflector portion (54).
리플렉터부(54)를 연결렌즈부(53)의 표면 전반에 걸쳐 형성하면, 리플렉터부(54)는 공간부(55)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며 제1차체부(2), 제2차체부(3)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부(54)는 메인반사부(541)와 가니쉬부(542)를 포함한다.When the
메인반사부(541)는 경사연장부(531) 상에 코팅, 도포되어 형성된다. 제1광원(31)에서 조사되어 제1렌즈부(51)를 제1방향으로 통과한 빛은 메인반사부(541)에 도달되어 공간부(55)의 외부로 반사된다. 이때, 메인반사부(541)에서 반사된 빛은 메인반사부(541)의 경사 각도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고, 제2방향과 다른 제3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The
가니쉬부(542)는 외향연장부(532) 상에 코팅, 도포되어 형성된다. 가니쉬부(542)는 제1차체부(2)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공간부(55)의 외부에 노출된다. 가니쉬부(5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차체부(3)와 제2렌즈부(52)를 상측에서 커버링하면서, 제1차체부(2)와 함께 차량의 외관을 주요하게 형성하게 된다. 메인반사부(541)에서 반사된 빛은 가니쉬부(542)와 제1차체부(2)의 사이를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으로 배광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아우터렌즈(50)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제1렌즈부(51)와 제2렌즈부(52)의 사이에 차량의 내측으로 오목한 공간부(55)가 형성되므로, 차량용 램프로서 적용됨에 있어서 음각 형태의 램프 디자인을, 예를 들어 차체 상 노치 형태의 음각부를 형성한 것과 같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외부로 리플렉터부(54)만이 노출되므로, 차체와 리플렉터부(54)간의 색상, 질감의 조화에 따른 우수한 미감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광원(31)과 제2광원(41)의 비점등시에는 차량용 램프가 설치되지 않은 것과 같은 새로운 디자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렌즈부(51) 중 리플렉터부(54)와 마주하지 않는 일부를 차체가 가리도록 설치 시, 아우터렌즈(50)가 아닌 차체가 실질적으로 차량용 램프의 가장자리부 형상을 결정할 수 있어,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rt of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우터렌즈(50)가, 기존의 아우터렌즈와 반사면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기존의 차량용 램프와 비교해 부품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용 램프 구성품의 제작, 관리,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 : 차량용 램프 2 : 제1차체부
3 : 제2차체부 10 : 램프하우징
20 : 베젤 30 : 제1광원조립체
31 : 제1광원 40 : 제2광원조립체
41 : 제2광원 42 : 제2-1광원
43 : 제2-2광원 44 : 라이트바
50 : 아우터렌즈 51 : 제1렌즈부
52 : 제2렌즈부 53 : 연결렌즈부
54 : 리플렉터부 55 : 공간부
511 : 제1렌즈본체부 512 : 투광옵틱부
513 : 제1연결단부 514 : 제1하우징결합부
521 : 제2렌즈본체부 522 : 투광부
523 : 제2연결단부 524 : 제2하우징결합부
531 : 경사연장부 532 : 외향연장부
541 : 메인반사부 542 : 가니쉬부1: Vehicle lamp 2: First vehicle body part
3: Second body part 10: Lamp housing
20: Bezel 30: First light source assembly
31: first light source 40: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41: 2nd light source 42: 2-1 light source
43: 2-2 light source 44: light bar
50: Outer lens 51: First lens unit
52: second lens unit 53: connection lens unit
54: reflector part 55: space part
511: first lens body 512: light transmitting optic section
513: first connection end 514: first housing coupling part
521: second lens body 522: light transmitting portion
523: second connection end 524: second housing coupling part
531: inclined extension part 532: outward extension part
541: main reflection part 542: garnish part
Claims (12)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고, 상기 제1렌즈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사이에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렌즈부; 및
상기 연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반사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부는,
상기 제1광원을 커버하는 제1렌즈본체부;
상기 제1렌즈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제1방향으로 투광되는 투광옵틱부;
상기 제1렌즈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렌즈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단부; 및
상기 제1렌즈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램프하우징과 결합되는 제1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A first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 second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a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disposed to protrude beyond the first lens unit;
a connecting lens unit connecting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forming a concave space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A reflector unit formed on the connection lens unit, reflects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unit to the outside of the space, and forms an appearance,
The first lens unit,
a first lens body covering the first light source;
a light transmitting optical unit formed on the first lens body and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nnection end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lens body uni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ens unit; and
An outer lens for a vehicle lamp, comprising: a first housing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ens body and coupled to the lamp housing.
상기 투광옵틱부는,
상기 제1렌즈본체부 중 상기 리플렉터부와 마주하는 일측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진행방향을 상기 제1방향으로 유도하는 요철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ght transmitting optic part,
A vehicle lamp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lens body facing the reflector and having a convex-convex shape that guides the direction of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n the first direction. Outer lens.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고, 상기 제1렌즈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사이에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렌즈부; 및
상기 연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반사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제1렌즈부보다 더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광원을 커버하는 제2렌즈본체부;
상기 제2렌즈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제2방향으로 투광되는 투광부;
상기 제2렌즈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렌즈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단부; 및
상기 제2렌즈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램프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A first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 second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a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disposed to protrude beyond the first lens unit;
a connecting lens unit connecting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forming a concave space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A reflector unit formed on the connection lens unit, reflects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unit to the outside of the space, and forms an appearance,
The second lens unit,
a second lens body portion disposed to protrude more than the first lens portion and covering the second light source;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lens body and trans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n a second direction;
a second connection end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lens body uni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ens unit; and
An outer lens for a vehicle lamp, comprising: a second housing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ens body and coupled to the lamp housing.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고, 상기 제1렌즈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사이에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렌즈부; 및
상기 연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반사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렌즈부는,
상기 제1렌즈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의 외부를 향해 경사지거나 만곡되게 연장되는 경사연장부; 및
상기 경사연장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보다 더 돌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제2렌즈부와 연결되는 외향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A first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 second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a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nd disposed to protrude beyond the first lens unit;
a connecting lens unit connecting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forming a concave space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A reflector unit formed on the connection lens unit, reflects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unit to the outside of the space, and forms an appearance,
The connection lens part,
an inclined extension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first lens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ens portion, and extending inclined or cur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pace portion; and
An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comprising: an outward extension part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oblique extension part, extending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first lens pa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lens part.
상기 리플렉터부는,
상기 경사연장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반사하는 메인반사부; 및
상기 외향연장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가니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According to clause 4,
The reflector part,
a main reflection unit formed on the inclined extension unit and reflec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unit to the outside of the space unit; and
An outer lens of a vehicle lamp, comprising a garnish portion formed on the outward extension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pace portion.
상기 리플렉터부는,
차량의 외관을 장식가능하면서 빛을 반사가능한 소재를 상기 연결렌즈부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아우터렌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flector part,
An outer lens for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coating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lens unit with a material that can reflect light while decoratin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베젤;
제1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베젤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1광원조립체;
제2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베젤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2광원조립체; 및
상기 제1광원조립체와 상기 제2광원조립체를 커버하며 상기 램프하우징과 결합되고, 제1차체부와 제2차체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아우터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렌즈는,
상기 제1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보다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투광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의 사이에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렌즈부; 및
상기 연결렌즈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빛을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lamp housing;
a bezel disposed inside the lamp housing;
a first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zel;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a second light source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ezel; and
An outer lens covers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s coupled to the lamp housing,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vehicle body and the second vehicle body,
The outer lens is,
a first lens unit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 second lens unit disposed to protrude beyond the first lens unit and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 connecting lens unit connecting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forming a concave space between the first lens unit and the second lens unit; and
A reflector unit formed on the connection lens unit and reflec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unit to the outside of the space.
상기 제1광원은,
브레이크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빛을 조사하는 스탑광원과, 테일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빛을 조사하는 테일광원 중 일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스탑광원과 상기 테일광원 중 타측; 및
턴시그널 램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빛을 조사하는 방향지시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first light source is,
It includes a stop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implement a brake lamp function, and one side of a tail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implement a tail lamp function,
The second light source is,
The other of the stop light source and the tail light source; and
A vehicle lamp comprising a direction indicator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implement a turn signal lamp function.
상기 제2광원조립체는,
투광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연결렌즈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는 제2설치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설정 방향으로 안내하는 라이트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According to paragraph 7 or 8,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 light bar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installed in a second installation space formed hollow between the second lens part and the connection lens part, and guid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n a set direction. A vehicle lamp further comprising ;.
상기 제1렌즈부는,
상기 제1광원조립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first lens unit,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that can accommodate part or all of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연결렌즈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2광원을 포함하는 제2광원조립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In clause 7,
The second lens unit,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part or all of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ing the second light source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onnection lens unit.
상기 리플렉터부는,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차체부, 상기 제2차체부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In clause 7,
The reflector part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space to the outside and forms an exterior together with the first car body part and the second car body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0574A KR102691868B1 (en) | 2019-09-30 | 2019-09-30 | Outer lens of lamp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0574A KR102691868B1 (en) | 2019-09-30 | 2019-09-30 | Outer lens of lamp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7993A KR20210037993A (en) | 2021-04-07 |
KR102691868B1 true KR102691868B1 (en) | 2024-08-06 |
Family
ID=7546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0574A Active KR102691868B1 (en) | 2019-09-30 | 2019-09-30 | Outer lens of lamp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18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0428B1 (en) * | 2024-01-02 | 2024-07-02 |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 Automotive lighting devic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76982A (en) * | 2009-01-28 | 2010-08-12 | Stanley Electric Co Ltd | Vehicular signal lighting fixture |
JP2018006059A (en) * | 2016-06-29 | 2018-01-11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Vehicular lighting fixtur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1127B1 (en) * | 2015-11-24 | 2017-10-30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
2019
- 2019-09-30 KR KR1020190120574A patent/KR1026918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76982A (en) * | 2009-01-28 | 2010-08-12 | Stanley Electric Co Ltd | Vehicular signal lighting fixture |
JP2018006059A (en) * | 2016-06-29 | 2018-01-11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Vehicular lighting fix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7993A (en) | 2021-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44010B2 (en) | Vehicle lighting | |
KR101181012B1 (en) | Light guide for rear lamp | |
JP4735852B2 (en) | Vehicle headlamp | |
JP2012064533A (en) | Lamp fitting for vehicle | |
JP2012064535A (en) | Lamp fitting for vehicle | |
US7572041B2 (en) | Vehicle lamp | |
JP2015153577A (en) | Vehicle lighting | |
KR102691868B1 (en) | Outer lens of lamp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
JP2003203508A (en) | Vehicular headlamp | |
KR102651885B1 (en) | Backup lamp assembly for vehicle | |
JP2015008111A (en) | Composite lamp unit using linear light guide body, and vehicular lighting device | |
JP7139200B2 (en) | vehicle lamp | |
JP6918653B2 (en) | Vehicle lighting | |
WO2023106254A1 (en) | Vehicle lamp | |
KR20200143832A (en) | Lamp unit for vehicle | |
JP2016157543A (en) | Vehicle lighting | |
KR102665539B1 (en) | Lighting device for vehicle | |
KR20180100758A (en) | Lamp for vehicle | |
KR20220120287A (en) | Automotive lamp | |
KR102720067B1 (en) | Inner lens of lamp for vehicle | |
CN110023674B (en) | Lighting device for vehicle | |
KR102546800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1735637B1 (en) | Lamp for vehicle | |
JP7439535B2 (en) | vehicle lamp | |
KR101791127B1 (en) | Lamp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