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1703B1 - eartips - Google Patents
eartip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1703B1 KR102691703B1 KR1020230090989A KR20230090989A KR102691703B1 KR 102691703 B1 KR102691703 B1 KR 102691703B1 KR 1020230090989 A KR1020230090989 A KR 1020230090989A KR 20230090989 A KR20230090989 A KR 20230090989A KR 102691703 B1 KR102691703 B1 KR 1026917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earphone
- sound
- coupling
- pitch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은 이어폰(1)의 노즐(10)과 결합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귀의 이도와 접촉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귀 이도(耳道)에 삽입되어 차음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플랜지부(120)로 이루어진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artip that can be selected for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upling with the earphone. The eart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 coupled to the nozzle 10 of the earphone 1, and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ear canal of the ear, and is in contact with the ear canal of the ear. Ear tips that can be selected for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s are provid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earphone, which consists of a flange portion 120 that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to maintain sound insul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쪽면으로 결합되던 기존 이어팁과 달리 양방향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결합하는 방향에 따라 고음성향 또는 저음성향의 사용자가 원하는 음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명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rtips, and more specifically, unlike existing eartips that are coupled on one side, they can be coupled in both directions, an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upling, users with a high-pitched or low-pitched voice can select the desired sound quality and provide clear sound. This relates to eartips that can be selected for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earphones.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착용형 음향 출력 장치, 즉, 이어폰의 이용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In general, as the use of content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ncreases, the use of wearable sound output devices that output audio data related to the content, that is, earphones, is also increasing.
이어폰은 음향 기기 또는 전자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고막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Earphones can transmit vibration to the user's eardrums using a speaker that converts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from an audio device or electronic device into acoustic signals.
예를 들어, 음향 기기 또는 전자 장치는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의 귀 이도에 착용되면, 해당 사용자의 고막으로 진동을 직접 전달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n audio device or electronic device is worn in a user's ear canal through earphones, it can transmit vibration directly to the user's eardrum.
이때, 이어폰에는 사용자의 귀 이도(耳道)에 장착되는 착용감 및 탈거력과 차음성의 유지 내지 개선을 위한 이어팁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At this time, earphones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eartips to maintain or improve fit, removal force, and sound insulation that are mounted in the user's ear canal.
즉, 종래의 이어팁은 단순히 이어폰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 이도에 착용시 착용감 및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conventional eartips are simply coupled to an earphone and ar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with a certain amount of elasticity to improve fit and sound insulation when worn in the user's ear canal.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어팁은 음향 기기는 단순히 착용감 및 차음성 만을 향상시킨 것으로, 음향 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균일화된 음질만을 제공할 수 있는 등 고음 또는 저음에 따른 차별된 음질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eartips simply improve the fit and sound insulation of the audio device, and may affect th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and can only provide uniform sound quality, thus providing differentiated sound according to high or low sounds.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providing sound quality.
예컨데, 사람마다 고음성향의 사용자와 저음성향의 사용자가 존재하는데, 기존의 이어팁은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원하는 음질을 제공하지 못하고 균일한 음질만을 제공하여 다소 불편함을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에 이어팁을 결합함으로써, 반사음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선명한 음질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For example, there are users with a high-pitched voice propensity and users with a low-voice propensity for each person, but existing ear tips have the disadvantage of not providing the desired sound quality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providing only uniform sound quality, which can cause some discomfort. Additional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ombining eartips with earphones blocks the diffusion of reflected sounds and does not provide clear sound quality.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을 강구하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sought to develop an eartip capable of selecting a high-pitched or low-pitched ton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earphone, which would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방향으로의 결합이 가능하고, 고음성향의 사용자와 저음성향의 사용자가 결합하는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음 또는 저음으로 사운드(음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선명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ation in both directions is possible, and a user with a high-pitched voice and a user with a low-pitched voice can selectively select the sound (sound quality) as high-pitched or low-pitch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upling,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the user with We want to provide eartips that can be selected for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earphones to provide clear sound quality.
본 발명은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은 이어폰의 노즐과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귀의 이도와 접촉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귀 이도(耳道)에 삽입되어 차음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artip that can be selected for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upling with the earphone. The eart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part coupled to the nozzle of the earphone,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main body part, and is in contact with the ear canal,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wearer's ear canal to maintain sound insulation. Ear tips that can be selected for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s are provid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earphones, which are made up of flange parts.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은 양측면에 이어폰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부를 형성하여 양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용성을 향상시키고, 고음성향 또는 저음성향의 사용자가 결합하는 방향에 따라 원하는 성향의 음질을 선택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사용자에게 선명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ar ti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selected as either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earphones, form coupling parts on both sides to allow the earphones to be coupled, thereby improving practicality by allowing them to be coupled in both directions, and have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sound quality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mbination, and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clear sound quality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에 이어폰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ar t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art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arphone being coupled to an ear t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y can be repla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은 사용자의 음향 성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으로 음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반사음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명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어팁(100)에 관한 것이다.The eartip, which can be selected as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upling with th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 the sound as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 according to the user's acoustic tendency, and allows the reflected sound to diffuse, providing clear sound. It relates to a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착용자의 귀 이도(耳道)에 삽입되어 차음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어폰(1)의 노즐(10)과 결합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귀의 이도와 접촉되는 플랜지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상기 본체부(110)와 플랜지부(120)로 이루어진 이어팁(100)은 이중사출에 위해 이종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귀 이도와 접촉되어 형상이 가변되면서 장시간 착용하여도 귀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착용감 및 편안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부드러운 재질의 실리콘 폼팁으로 플랜지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120)에 감싸지게 위치되는 본체부(110)는 상기 이어폰(1)과의 결합력 및 일정 형상을 유지하면서 이어폰(1)에서 제공되는 음향 즉, 반사음을 확산시킬 수 있게 상기 플랜지부(120)에 비해 경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는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외부 직경 및 내부 직경이 넓게 형성되는 것으로, 개방된 상부 또는 하부로 이어폰(1)의 노즐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본체부(110)는 이어폰(1)의 노즐(10)과 결합될 수 있게 내측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단차를 갖는 결합홈(111,112)이 형성되어 이어폰(1)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2)가 상기 결합홈(111,112)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즉,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과 연통되게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개방된 상부와 하부에는 결합홈(111,112)을 구비하여 이어폰(1)의 노즐(10)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11)과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12) 사이에는 이어폰(1)의 노즐(10)을 통해 방출되는 음향을 반사시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벽(113)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between the
상기 진동벽(116)은 상기 중공의 내측벽으로 함몰되게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외경 및 내경과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측의 내부 직경(D1)보다, 하측의 내부 직경(D2)가 넓게 형성된다. The vibrating wall 116 is formed to be stepped into the hollow inner wall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formed to have a wider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similar to the outer and inner diameters of the
따라서, 이어폰을 통해 음향의 방출시 좁은 지름으로 이루어진 상부에서 지름(직경)이 넓은 하방향으로 소리가 이동하면서 저음이 증폭되며, 반대로 지름이 넓은 방향에서 지름이 좁은 방향으로 소리가 이동할 때는 중음과 고음이 증폭되어 소리가 보다 선명하게 들리게 되는 등 소리가 달라지게 된다.Therefore, when sound is emitted through earphones, the low sound is amplified as the sound moves from the narrow upper part to the wide downward direction. Conversely, when the sound moves from the wide diameter direction to the narrow diameter direction, the mid sound and The sound changes, with high notes amplified and sounds clearer.
또한, 상기 진동벽(113)에는 복수개의 반사홈(114)이 형성되어 이어폰(1)에서 방출되는 음향이 상기 반사홈(114)을 거치면서 반사 및 확산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즉, 상기 본체부(110)의 중공에 형성된 결합홈(111)과 결합홈(112) 사이에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진동벽(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벽(113)에는 음향을 반사시켜 확산할 수 있게 복수개의 반사홈(114)이 등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That is, a vibrating
또한, 상기 진동벽(113)이 형성된 중공은 상기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111)과 진동벽(113) 사이에 형성되는 제1방출홈(115)과,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112)과 진공벽(113) 사이에 형성되는 제2방출홈(1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방출홈(117)의 내부 직경이 상기 제1방출홈(115)의 내부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llow in which the vibrating
한편, 플랜지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비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귀 이도와의 접촉시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부(120)는 상부와 하부만 개방된 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부 또는 하부가 귀의 이도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게 측면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이때, 상기 플랜지부(120)는 귀 이도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가변될 수 있게, 상기 본체부(1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며 재질에 있어서도 상기 본체부(110)에 비해 연질의 재질,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폼팁으로 구성되어 귀 이도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소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이어폰(1)에 방출되는 음향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차음성을 확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성향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이어팁은 음악의 성향에 따라 이어폰(1)의 노즐(10)에 이어팁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결합하여 음악에 맞는 음향을 선택할 수 있어 최적으로 사운드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eartip that can be selected for high-pitched or low-pitched sound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upling with the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또한, 이어폰의 구매 또는 새로운 이어팁의 추가 구매없이 하나의 이어팁으로 다양한 음향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이어팁이 구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내이도 내로 삽입될 때 플랜지부(120)와 밀착되면서 차음성이 향상되게 된다.In addition, you can experience a variety of sounds with a single eartip without purchasing earphones or additional new eartips. The eartip is in a spherical shape and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ar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이어팁
110 : 본체부
111 : 결합홈
112 : 결합홈
113 : 진동벽
114 : 반사홈
115 : 제1방출홈
117 : 제2방출홈
120 : 플랜지부100: ear tips
110: main body
111: Combining groove
112: Combining groove
113: Vibrating wall
114: Reflection groove
115: first discharge groove
117: Second discharge groove
120: Flange part
Claims (7)
상기 본체부(11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착용자의 귀 이도(耳道)에 삽입되어 차음성을 유지하는 플랜지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외부 직경 및 내부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노즐(10)과 결합될 수 있게 내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홈(111, 112)이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1)의 결합돌기(12)가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111) 또는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112)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이어폰(1)과의 결합방향에 따라 고음 또는 저음을 상대적으로 증폭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111)과 상기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112) 사이에는, 상기 노즐(10)을 통해 방출되는 음향을 반사시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벽(113)이 형성된 이어팁.A main body portion 110 coupled to the nozzle 10 of the earphone 1; and
A flange portion 120 is formed to surround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is inserted into the wearer's ear canal to maintain sound insulation,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and th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become wid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main body 110 has coupling grooves 111 and 112 formed on the inner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nozzle 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earphone 1 is formed on the upper part. It is selectively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1 or the coupling groove 112 formed at the bottom, so as to relatively amplify high or low sound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oupling with the earphone 1,
An eartip in which a vibration wall 113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groove 11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coupling groove 11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reflect and diffuse the sound emitted through the nozzle 10.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이어폰(1)과의 결합을 유지하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상기 이어폰(1)에서 제공되는 음향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120)에 비해 경질의 재료로 형성된 이어팁.In claim 1,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harder than the flange portion 120 to maintain coupling with the earphone 1 and to diffuse the sound provided by the earphone 1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hape. Ear tips formed from material.
상기 진동벽(113)은, 상기 중공을 둘러싼 내측벽에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음향이 반사되어 확산될 수 있게 복수의 반사홈(114)이 형성된 이어팁.In claim 1,
The vibrating wall 113 is an eartip that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ner wall surrounding the hollow, has a trapezoidal cross-s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reflection grooves 114 so that sound can be reflected and diffused.
상기 플랜지부(120)는, 귀 이도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가변될 수 있게, 상기 본체부(1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에 비해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는 이어팁.In claim 1,
The flange portion 120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its shap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ar canal, and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main body 110. Ear tip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0989A KR102691703B1 (en) | 2023-07-13 | 2023-07-13 | eartip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0989A KR102691703B1 (en) | 2023-07-13 | 2023-07-13 | eartip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1703B1 true KR102691703B1 (en) | 2024-08-05 |
Family
ID=9237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0989A Active KR102691703B1 (en) | 2023-07-13 | 2023-07-13 | eartip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1703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90007760A1 (en) * | 2017-06-28 | 2019-01-03 | Ruben Scheimberg | Ambidextrous earpiece mold |
KR102248583B1 (en) | 2021-02-16 | 2021-05-06 | 주식회사 아즈라 | Eartip Having Bulkhead Structure |
KR102292926B1 (en) | 2020-08-27 | 2021-08-25 | 주식회사 알머스 |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
KR102440468B1 (en) * | 2021-06-17 | 2022-09-06 | 부전전자 주식회사 | Eartips with flanges made of silicone foam |
KR102545214B1 (en) * | 2022-09-02 | 2023-06-20 |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 Ear tip for ear phone and ear phone having the same |
-
2023
- 2023-07-13 KR KR1020230090989A patent/KR10269170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90007760A1 (en) * | 2017-06-28 | 2019-01-03 | Ruben Scheimberg | Ambidextrous earpiece mold |
KR102292926B1 (en) | 2020-08-27 | 2021-08-25 | 주식회사 알머스 |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
KR102248583B1 (en) | 2021-02-16 | 2021-05-06 | 주식회사 아즈라 | Eartip Having Bulkhead Structure |
KR102440468B1 (en) * | 2021-06-17 | 2022-09-06 | 부전전자 주식회사 | Eartips with flanges made of silicone foam |
KR102545214B1 (en) * | 2022-09-02 | 2023-06-20 |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 Ear tip for ear phone and ear phone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87292B (en) | An earpiece device with an ergonomic cushion | |
EP3522560B1 (en) | Earphone | |
EP3429223B1 (en) |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output method | |
JP4839016B2 (en) | Flexible ear pad for hearing aid | |
KR102292926B1 (en) |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 |
CN220254654U (en) | an open headphone | |
CN108462913A (en) | Flexible earphone cover for earphones with sensors | |
JP2012244350A (en) | Canal-type earphone | |
JP2008011488A (en) | In-ear type earphone and earplug type earphone with adjustable volume of front chamber between speaker and housing | |
KR102545214B1 (en) | Ear tip for ear phone and ear phone having the same | |
KR102691703B1 (en) | eartips | |
US20060147079A1 (en) | Earphone | |
KR100825335B1 (en) | Earphones for sound equipment | |
JP2009027675A (en) | Earphone attachment | |
KR101123864B1 (en) | Piezoelectric element type bone conduction earphone supported by bobbin | |
GB2068681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arphones | |
JP7427171B1 (en) | open earphones | |
KR101123867B1 (en) | Piezoelectric element type bone conduction earphone supported by surround | |
KR200178234Y1 (en) | Tube type head phone | |
CN117714950B (en) | Electroacoustic conversion device | |
US12047725B2 (en) | Adaptive eartip for true wireless stereo headsets | |
CN218387836U (en) | Shallow in-ear structure and earphone | |
CN221633928U (en) | An open-ear headphone that is comfortable to wear | |
JP2008060943A (en) | Earphone attachment | |
KR200253166Y1 (en) | Ear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3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