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335B1 - Earphones for sound equipment - Google Patents
Earphones for sound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5335B1 KR100825335B1 KR1020070102877A KR20070102877A KR100825335B1 KR 100825335 B1 KR100825335 B1 KR 100825335B1 KR 1020070102877 A KR1020070102877 A KR 1020070102877A KR 20070102877 A KR20070102877 A KR 20070102877A KR 100825335 B1 KR100825335 B1 KR 100825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phone
- speaker
- sound
- cover
- e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0959 ear midd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10000003454 tympanic membran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0883 ear externa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스피커가 설치되는 이어폰의 몸체 바깥에 이어폰을 부드럽게 귀의 입구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보호 커버가 설치된 이어폰에서, 상기 이어폰의 몸체를 감싸 덮는 보호 커버의 하단에 착용자의 중이 통로(귀 구멍) 속으로 삽입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스피커의 발생음향을 배출하는 음향배출구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스피커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연장부에 오목홈을 형성시켜, 상기 몸체와 연장부에 커버를 씌웠을 때 음향이 통과하는 덕트를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의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이 상기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여 음향의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착용자의 중이 통로 속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어 중음은 물론 저음도 생동감 있고 정확하게 청취할 수가 있고, 커버의 몸체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중이의 통로속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귀 내측으로 전달되는 음향의 압력으로 인하여 고막에서 느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of an audio device, and in an earphone having a protective cover for allowing the earphone to be worn smoothly at the entrance of the ear, the earphone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over surrounding the body of the earphone. An extension part inserted into the middle ear passage (ear hole) of the wearer is formed, and a sound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sound of the speaker is formed at the tip of the extension part. In addition,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oncave groove in the body and the extension to which the speaker is installed, to form a duct through which the sound passes when the cover is covered with the body and the extension, in the speaker of the earphone The generated sou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uct to increase the effect of discharging the sound. Therefore,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transmi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into the middle ear passage of the wearer, so that the midtone as well as the bass can be heard lively and accurately, and the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of the cover of the middle ear By being inserted into the passage can feel a comfortable fi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essure felt in the eardrum due to the pressure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ear.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향기기용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중이 속으로 편안하게 삽입하여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음의 영역까지 정확하고 명료하며 생동감있게 청취할 수 있게 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for an acoust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that can not only be comfortably inserted into the middle of the wearer and can be worn, but also can listen accurately, clearly and vividly to the region of the bass.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헤드폰과 함께 음향기기에서 발생한 음악 등의 음향을 개별적으로 청취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데, 특히 mp3나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의 발달로 그 수요도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으며, 그 수요에 못지 않게 양질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하는 이어폰의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earphones are widely used to individually listen to music such as music generated from an acoustic device together with headphones, and in particular, the demand of the portable audio devices such as mp3 and mobile phones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quality is equal to that demand. There is also an increasing demand for earphones to enable the user to listen to the sound of the device.
이러한 이어폰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 몸체에 스피커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몸체가 사람의 외이(外耳) 크기에 맞는 사이즈로 되어 있다.Such earphones typicall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is built in a body made of plastic or metal, and the body is sized to fit the external size of a person.
따라서, 이어폰을 사용하여 음악 등의 음향을 들을 때는 이어폰의 몸체를 외이에 꽂아 사용하게 되는데, 이어폰의 몸체를 외이에 꽂을 때 쉽게 삽입되게 할 뿐 만 아니라, 긴 시간 동안 외이에 꽂고 있는 상태에서도 귀가 아프지 않게 하기 위해 몸체의 바깥에 실리콘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을 덧입히거나 고무 또는 스폰지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보호커버를 씌워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when listening to sound such as music using earphones, the body of the earphone is plugged into the outer ear, and the earphone is not only easily inserted when the body is plugged into the outer ear, but also in the state of being plugged into the outer ear for a long time. In order to avoid hurting, the outside of the body is coated with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a protective cover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ponge.
그런데, 종래의 이어폰 보호 커버는 이어폰의 몸체에 설치된 스피커를 단순히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arphone protective cover has a problem in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is prevented from propagating to the outside because the earphone simply covers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earphon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이어폰 커버를 기공이 많이 뚫린 스폰지 재질로 만들어서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이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외부로 전달되게 하거나 커버에 구멍을 뚫어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이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외부로 전달되게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스폰지를 사용하거나 고무 커버에 구멍을 뚫은 구조의 커버를 사용하여도, 기본적으로 스피커가 중이의 통로를 따라 정확하게 배치되어 못하기 때문에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을 정확하고 명료하게 전달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earphone cover is made of sponge material with a lot of pores so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can b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disturbed, or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is not disturbed by drilling holes in the cover. However, even if you use a sponge or a cover with a hole in the rubber cover in this way, the speaker does not accurately place along the passage of the middle ear, so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is correc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clearly delivered.
특히, 저음의 경우에는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이어폰을 사용하여서는 섬세한 음향을 듣기가 곤란하다는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In particular, the bass has a fundamental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hear the delicate sound using the earphone because it is not delivered accurately.
한편, 기존의 이어폰을 사용하여 저음을 정확하게 듣기 위해 볼륨을 높이면, 스피커의 음압이 커져서 사용자의 고막에 전달되는 압력 역시 증가하게 되므로 불편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conventional earphone to increase the volume to accurately hear the bass, the sound pressure of the speaker is increased,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user's eardrum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you feel uncomfortable.
또한, 기존의 이어폰은 착용자의 외이에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안전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earphone is installed in a form that spans the wearer's outer ea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wearing comfort is not saf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어폰의 스피커에서 발생 된 음향이 사용자의 귀속으로 정확하게 전달되게 하여 저음도 명료하게 들을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착용감이 좋고, 저음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귀에 편안한 느낌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한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various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earphones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of the earphone is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so that the low sound can be clearly heard and the comfort is go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earphones that can be worn comfortably in the user's ears while being able to hear the bass accurately.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어폰은 스피커가 설치되는 이어폰의 몸체 바깥에 이어폰을 부드럽게 귀의 입구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보호 커버가 설치된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몸체를 감싸 덮는 커버의 하단에 착용자의 중이 통로(귀 구멍) 속으로 삽입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스피커의 발생음향을 배출하는 음향배출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Earph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above bar in the earphone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ver that allows the earphone to be worn at the entrance of the ear gently outside the body of the earphone is installed, the cover covering the body of the earphone At the bottom of the wearer is formed an exten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middle passage (ear hole) of the wearer,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n acoustic outlet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sound of the speak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스피커가 설치된 이어폰 몸체에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가 설치된 중앙부분을 제외한 몸체의 가장자리와 상기 돌출대의 가장자리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가 설치된 이어폰 몸체에 커버가 씌워졌을 때, 몸체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돌출대를 통하여 커버의 음향배출구로 배출되게 하는 덕트를 형성시키도록 이루어져, 이어폰의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이 상기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음향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in the earphone body in which the speaker is installed, and a protruding jaw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ody and the edge of the protrusion except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speaker is installed, the speaker is installed When the earphone body is covered with a cover,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of the body is formed through the protrusions to form a duct through which the sound outlet of the cover, so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of the earphone is discharged through the duct The sound can be emitted accurately and precisely.
또,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어폰 몸체에 스피커를 삽입 설치하게 이루어진 스피커홀과 이어폰 몸체의 뒷벽사이에 보조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홀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발생한 음향이 이어폰 몸체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이어폰의 뒤쪽으로 일부 인출되게 함으로써, 음의 전달효과를 더 높게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speaker hole to insert the speaker into the earphone body and the rear wall of the earphone body,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speaker hole is the earphone body The sound transmission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by allowing some of the lead to be drawn out to the back of the earphone through the through hole.
이러한 본 발명의 이어폰은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을 착용자의 중이 통로 속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어 고음과 중음은 물론 저음도 생동감 있게 정확하게 청취할 수가 있고, 커버의 몸체부에서 아래쪽에서 연장된 연장부가 중이의 통로속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귀 내측의 압력을 조절하여 고막에서 느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the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transmi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into the middle passage of the wearer can vividly and accurately listen to the high and mid-range as well as the low, the body of the cover The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of the middle ear to feel a comfortable fit, and the pressure inside the ear can be adjusted to minimize the pressure felt at the eardrum.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결합 사시도,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에서 스피커가 설치되는 몸체의 사시도이며,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몸체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 의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in which the speaker is installed in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with the cover on the body of the earphone.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스피커(1)가 설치된 이어폰 몸체(2)와 상기 이어폰 몸체(2)를 감싸 덮는 커버(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그리고, 상기 커버(3)의 하단에 착용자의 중이 통로(귀 구멍) 속으로 삽입되는 연장부(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의 선단에 스피커(1)의 발생 음향을 배출하는 음향배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An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 몸체(2)의 바깥에 씌워져 있는 커버(3)의 연장부(4)가 이어폰 몸체(2)의 아래쪽으로 뻗어 내려와 있기 때문에, 이어폰을 사용자의 귀에 착용할 때 상기 연장부(4)가 중이의 통로 속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기 때문에 편안한 착용감을 느끼게 한다.In the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sinc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상기 스피커(1)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상기 이어폰 몸체(2)의 바깥에 씌워져 있는 커버(3)의 연장부(4)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서, 상기 연장부(4)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음향 배출구(5)를 통하여 배출되게 착용자의 중이 속으로 직접 전달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몸체(2)의 스피커(1)에서 발생한 음향이 커버(3)의 연장부(4)를 따라 중이 속으로 직접 전달되게 되므로 스피커(1)의 음향이 정확하고 명료하게 귀속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에서 상기 스피커(1)는 몸체(2)에 형성된 스피커홀(1a)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1)의 발생음을 연장부(4)의 음향 배출구(5)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해 주기 위해 이어폰 몸체(2)의 구조를 다르게 변형시킬 수가 있다.Meanwhile, in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컨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몸체(2)의 하단에 돌출대(6)를 형성시키고, 상기 스피커(1)가 설치된 몸체(2)의 중앙부분을 제외한 가장자리에 돌출턱(2a)을 형성시키며, 상기 돌출대(6)의 양쪽 가장자리에도 돌출턱(6a)을 형성시킨 구조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a
이와 같이 상기 몸체(2)의 아래쪽에 돌출대(6)를 형성시킴과 더불어, 상기 몸체(2)와 돌출대(6)의 가장자리에 돌출턱(2a,6a)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몸체(2)의 바깥에 커버(3)를 씌웠을 때, 커버(3)와 몸체(2)의 돌출턱(2a) 및 돌출대(6)의 돌출턱(6a) 사이에 빈공간 형태의 덕트(7)가 형성되게 한 구조로 만들 수가 있다.In this way, by forming the
상기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이어폰 몸체(2)에 씌워지는 커버(3)에 연장부(4)와 음향 배출구(5)를 형성시킴과 더불어, 이어폰 몸체(2)에 스피커(1)의 음향을 전달하기 위한 빈공간의 덕트(7)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몸체(2)에 형성된 덕트(7)를 통하여 몸체(2)의 스피커(1)에서 발생된 음향이 돌출대(6)의 아래로 내려와 커버(3)의 연장부(4)에 형성된 음향 배출구(5)를 통하여 집중적으로 배출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As 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3 and 4, along with the
따라서,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이어폰에서는 몸체(2)의 덕트(7)와 커버(3)의 연장부(4)가 함께 작용하여 중고음은 물론 저음의 음향도 정확하고 명료하게 음향 배출구(5)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earphone of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의 연장부(4)를 통하여 착용 자의 귀속에 편안하게 삽입 설치되어지므로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comfortable to be inserted into the wearer's ear through the
한편, 도면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어폰 몸체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면 6은 도면 5에 도시한 실시예의 이어폰 몸체의 우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2)를 다른 구조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covered with the earphone body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earphone body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5,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즉, 이어폰 몸체(2)에 스피커(1)를 삽입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 스피커홀(1 a)과 이어폰 몸체(2)의 뒷벽(2b)사이에 다수개의 보조 관통구멍(8)을 형성시켜, 상기 스피커(1)에서 발생된 음향의 일부가 스피커홀(1a)과 보조 관통구멍(8)을 거쳐 이어폰의 뒤쪽으로 인출되게 함으로써, 음의 전달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청취자가 느끼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auxiliary through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어폰 몸체(2)의 뒷벽에 스피커홀(1a)과 관통하는 다수개의 보조 관통구멍(8)을 형성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였을 때, 스피커(1)에서 발생된 음향이 이어폰 커버(3)의 음향 배출구(5)를 통하여 착용자의 귀속으로 직접 전달되게 함과 더불어, 상기 보조 관통구멍(8)을 통하여 인출된 음향이 착용자의 귀 뒤쪽에서 소리를 보충적으로 전달하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귀에 더욱 효과적으로 스피커의 음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A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arphon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ear by forming a plurality of auxiliary through
한편, 상기 보조 관통구멍(8)의 개수는 도면에서는 6개를 도시하여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6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형성시켜 사 용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auxiliary throug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분해 사시도이고,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결합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earph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에서 스피커가 설치되는 몸체의 사시도이며,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in which a speaker is installed in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몸체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covered with a cover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어폰 몸체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covered with the earphone body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면 5에 도시한 실시예의 이어폰 몸체의 우측면도이다.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earphone body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 도면의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Explanation of reference signs in the drawings *
1 - 스피커 2 - 이어폰 몸체1-Speaker 2-Earphone Body
3 - 커버 4- 연장부3-cover 4- extension
5 - 음향 배출구 6 - 돌출대5-acoustic outlet 6-protrusion
7 - 덕트 8 - 보조 관통구멍 7-duct 8-auxiliary through hol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2877A KR100825335B1 (en) | 2007-10-12 | 2007-10-12 | Earphones for sound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2877A KR100825335B1 (en) | 2007-10-12 | 2007-10-12 | Earphones for sound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5335B1 true KR100825335B1 (en) | 2008-04-28 |
Family
ID=3957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28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5335B1 (en) | 2007-10-12 | 2007-10-12 | Earphones for sound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533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663B1 (en) | 2015-05-29 | 2015-11-16 | (주)위즈앤위즈 | Earphonecap |
KR200493455Y1 (en) | 2019-12-17 | 2021-04-02 | 부전전자 주식회사 | Earphone with Nozzle Integral type Structure Applied Drum Safety Filter |
US11076229B2 (en) | 2019-12-11 | 2021-07-27 | Bujeon Co., Ltd. | Grill-integrated low-pass filter and speaker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8579A (en) | 1996-08-19 | 1998-06-05 | 이데이 노브유끼 | earphone |
KR200289548Y1 (en) * | 2002-06-28 | 2002-09-16 | 윤득상 |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
KR20050118375A (en) | 2004-06-14 | 2005-12-19 | 엠엠기어 주식회사 | Ear insert of earphone |
-
2007
- 2007-10-12 KR KR1020070102877A patent/KR1008253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8579A (en) | 1996-08-19 | 1998-06-05 | 이데이 노브유끼 | earphone |
KR200289548Y1 (en) * | 2002-06-28 | 2002-09-16 | 윤득상 |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
KR20050118375A (en) | 2004-06-14 | 2005-12-19 | 엠엠기어 주식회사 | Ear insert of earphon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663B1 (en) | 2015-05-29 | 2015-11-16 | (주)위즈앤위즈 | Earphonecap |
US11076229B2 (en) | 2019-12-11 | 2021-07-27 | Bujeon Co., Ltd. | Grill-integrated low-pass filter and speaker including the same |
KR200493455Y1 (en) | 2019-12-17 | 2021-04-02 | 부전전자 주식회사 | Earphone with Nozzle Integral type Structure Applied Drum Safety Filter |
US11006196B1 (en) | 2019-12-17 | 2021-05-11 | Bujeon Co., Ltd. | Earphone having nozzle-integrated structure with drum safety filter applied thereto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462913B (en) | Flexible earphone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earphone housing | |
US7570777B1 (en) | Earset assembly | |
US10791390B2 (en) | Flex-fit ear tip for headphones | |
US10212525B2 (en) | Universal earpiece | |
US6810987B1 (en) | Earbud headset | |
EP1843627B1 (en) | A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 |
US20070165899A1 (en) | Audio headphone | |
CN107041169A (en) | Ear speaker device with optical sensor | |
JPWO2016103983A1 (en) | Bone conduction headphones | |
JP2006526295A (en) | Audio headset | |
CN114339511B (en) | Wireless headphones | |
CN211831105U (en) | Novel non-in-ear earphone | |
JP2007189673A (en) |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 |
WO2016186344A1 (en) | Earset | |
KR100825335B1 (en) | Earphones for sound equipment | |
US20060147079A1 (en) | Earphone | |
US20240147115A1 (en) | Open-ear bluetooth earphone | |
WO2016000380A1 (en) | Earphone | |
JP2000300599A (en) | Ear plug | |
CN218103449U (en) | Earphone head and wireless earphone | |
CN113613133A (en) | Open type wireless earphone | |
CN218783893U (en) | Open bluetooth headset | |
KR200429813Y1 (en) | Earrings | |
KR102645970B1 (en) | Earphone | |
CN216134578U (en) | Open type wireless ear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10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