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8772B1 -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8772B1
KR102688772B1 KR1020220089303A KR20220089303A KR102688772B1 KR 102688772 B1 KR102688772 B1 KR 102688772B1 KR 1020220089303 A KR1020220089303 A KR 1020220089303A KR 20220089303 A KR20220089303 A KR 20220089303A KR 102688772 B1 KR102688772 B1 KR 102688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atback
emergency escape
lifting bar
fold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1977A (ko
Inventor
김상민
이정빈
김병모
김준규
이재성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8772B1/ko
Priority to US18/219,112 priority patent/US12257934B2/en
Publication of KR2024001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87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o a position in which i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objects, e.g. as a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50Interlocking shaft arrangements transmitting movement between hinge mechanisms on both sides of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열 시트백의 언폴딩시 잠금 작동 및 2열 시트백의 폴딩시 잠금해제 작동이 레버 조작에 따른 샤프트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비상 탈출용 메커니즘을 구비함으로써,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2열 시트백을 신속하게 폴딩시키면서 비상 탈출 통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대비 부품수, 중량, 조립 공정수, 원가 등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Seat back folding device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시트에 승차한 승객의 비상 탈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간단한 레버 조작만으로 프론트 시트백을 쉽게 폴딩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열 이상의 시트가 탑재된 차량의 경우, 비상 상황시 1열 및 2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은 각각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를 오픈시켜서 실외로 탈출할 수 있지만,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은 2열 시트의 시트백으로 인하여 신속한 탈출경로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비상 탈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2열 시트의 시트백을 폴딩시키기 위한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이 적용되고 있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을 도시한 일부 단면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을 일측에서 바라본 폴딩 전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종래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을 일측 및 타측에서 바라본 폴딩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00)의 양쪽 하단부가 시트쿠션 프레임(102)과 연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에 샤프트(10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 중 하나의 외면부에는 회전력 전달바(133), 제1당김바(131) 및 제2당김바(132)가 소정의 각도로 이격 형성된 형태의 레버(13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레버(130)의 제1당김바(131)에는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잡아 당길 수 있는 스트랩(120)이 연결되고, 상기 제2당김바(132)에는 케이블(121)의 일단부가 당겨짐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 중 하나의 내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30)의 회전력 전달바(133)와 연결핀(141-2)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1캠(14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상기 연결핀(141-2)은 사이드 프레임(110)에 관통 형성된 제1가이드슬롯(11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 중 하나의 내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4)와 동축으로 체결되는 외치형 제1섹터기어(161)이 장착되고, 상기 제1캠(141)과 제1섹터기어(161) 사이에는 제1포올(15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캠(141)의 상부에는 잠금돌기(14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포올(151)의 하부에는 잠금돌기(141-1)를 위로 밀어주며 밀착되는 잠금턱(151-1)과 잠금돌기(141-1)가 삽입되는 잠금해제홈(15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포올(151)의 상부에는 제1섹터기어(161)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잠금치형부(151-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 중 다른 하나의 내면부에는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121)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제2캠(14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 중 다른 하나의 내면부에는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4)와 동축으로 체결되는 제2섹터기어(162)가 장착되고, 상기 제2캠(142)과 제2섹터기어(162) 사이에는 제2포올(15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2캠(142)의 상부에 잠금돌기(142-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포올(152)의 하부에는 잠금돌기(142-1)를 위로 밀어주며 밀착되는 잠금턱(152-1) 및 잠금돌기(142-1)가 삽입되는 잠금해제홈(15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포올(152)의 상부에는 제2섹터기어(162)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잠금치형부(15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캠(142)의 외측면에는 사이드 프레임(110)에 형성된 제2가이드슬롯(112)을 따라 이동하는 케이블 연결단(142-2)이 돌출 형성되고, 이 케이블 연결단(142-2)에 케이블(121)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비상탈출이 필요한 상황에서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상기 스트랩(120)을 잡아당기면, 스트랩(120)과 연결된 상기 레버(130)의 제1당김바(131)가 당겨지면서 레버(130)가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레버(130)의 잠금해제 방향 회전시 상기 제2당김바(132)도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당김바(132)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121)도 잠금해제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레버(130)의 잠금해제 방향 회전시 레버(130)의 회전력 전달바(133)와 연결핀(141-2)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제1캠(141)이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캠(141)의 잠금돌기(141-1)가 상기 제1포올(151)의 잠금턱(151-1)으로부터 이탈되며 접촉 해제되는 동시에 제1포올(151)의 잠금해제홈(151-2)으로 삽입 가능한 위치에 배열된다.
연이어, 상기 제1캠(141)의 잠금돌기(141-1)가 상기 제1포올(151)의 잠금해제홈(151-2)에 삽입 가능한 위치에 놓이면 제1포올(151)이 자중 또는 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복원력 등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잠금돌기(141-1)가 잠금해제홈(151-2)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제1포올(151)의 잠금치형부(151-3)가 상기 제1섹터기어(161)의 기어부로부터 분리되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블(121)이 잠금해제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케이블(121)의 타단부와 연결된 케이블 연결단(142-2)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제2캠(142)이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캠(142)의 잠금돌기(142-1)가 상기 제2포올(152)의 잠금턱(152-1)으로부터 이탈되며 접촉 해제되는 동시에 제2포올(152)의 잠금해제홈(152-2)으로 삽입 가능한 위치에 배열된다.
연이어, 상기 제2캠(142)의 잠금돌기(142-1)가 상기 제2포올(152)의 잠금해제홈(152-2)에 삽입 가능한 위치에 놓이면 제2포올(152)이 자중 또는 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복원력 등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잠금돌기(142-1)가 잠금해제홈(152-2)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제2포올(152)의 잠금치형부(152-3)가 상기 제2섹터기어(162)의 기어부로부터 분리되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가 시트백을 밀거나 시트백 리클라이너의 스프링 백 작용 등에 의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00)이 제1 및 제2섹터기어(161,162)와 함께 전방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에 의거하여 2열 시트의 시트백을 잠금해제시켜 폴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비상 탈출 통로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 탈출을 위한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한 종래의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을 위한 구성 부품수가 레버, 외치형 섹터기어, 포올, 캠, 케이블 등 과다하게 소요됨으로써, 중량 증가 및 원가 상승은 물론 조립 공정수 증가 및 그에 따른 조립 작업성 저하를 초래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을 위한 각 구성 부품별 동작이 시계열적으로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각 부품의 외관 프로파일 및 치수 관리 등을 위한 과도한 품질 관리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을 위한 각 구성 부품을 수동식이 아닌 모터 구동에 따른 전동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나, 화재나 사고 또는 방전시 모터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 자체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그에 따라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비상 탈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2열 시트백의 언폴딩시 잠금 작동 및 2열 시트백의 폴딩시 잠금해제 작동이 레버 조작에 따른 샤프트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비상 탈출용 메커니즘을 구비함으로써,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2열 시트백을 신속하게 폴딩시키면서 비상 탈출 통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대비 부품수, 중량, 조립 공정수, 원가 등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홀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시트쿠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샤프트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가이드홀에 양단부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바; 상기 승강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레버; 및 상기 승강바의 양단부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킹홈이 외경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락킹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승강바의 일단부에 레버의 전단부가 연결되고, 레버의 후단부는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커버하는 쉴드커버의 후면부에 승강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쉴드커버의 후면부에는 레버의 후단부가 승강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레버 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레버를 상승 조작하면 상기 승강바가 가이드홀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락킹홈에 삽입되고, 상기 레버를 하강 조작하면 상기 승강바가 가이드홀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락킹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는, 상기 레버 및 승강바를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락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바의 외경부에 코일부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면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브라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2열 시트백의 언폴딩시 잠금 작동 및 2열 시트백의 폴딩시 잠금해제 작동이 레버 조작에 따른 샤프트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비상 탈출 통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대비 부품수, 중량, 조립 공정수, 원가 등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비상탈출용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을 레버 조작에 따른 샤프트의 승강 동작만이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종래의 복잡하고 많은 부품수를 갖는 메커니즘 대비 각 부품의 동작 프로파일 및 치수 관리 등을 위한 품질 관리를 완화시켜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의 락킹 상태 및 시트백 프레임의 폴딩 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의 락킹해제 작동에 의하여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의 락킹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의 락킹해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2열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의 레버가 쉴드커버를 통하여 조작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시트백 프레임을 지시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양쪽 하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과 연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0)에 샤프트(10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100)이 샤프트(104)의 회전시 전방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길다란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113)이 관통 형성된다.
특히,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가이드홀(113)에 파이프 형태로 된 승강바(20)의 양단부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외면부에는 락킹홈(42)이 형성된 락킹 플레이트(40)가 장착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락킹 플레이트(40)는 그 외경부 소정 위치에 상기 승강바(20)의 양단부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킹홈(4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외면에 장착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100)의 폴딩 또는 언폴딩시 함께 폴딩방향 또는 언폴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이 폴딩 전 위치 즉, 언폴딩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락킹 플레이트(40)의 락킹홈(42)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가이드홀(113)가 상하로 일치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승강바(20)의 양단부가 가이드홀(113)을 따라 위로 상승되면 락킹홈(42)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바(20)의 일단부에는 승객이 직접 승강 조작 가능한 레버(10)가 연결되는 바, 레버(10)의 전단부가 상기 승강바(2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레버(10)의 후단부는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을 커버하는 쉴드커버(50)의 후면부에 승강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며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쉴드커버(50)는 시트쿠션 사이드 프레임을 비롯하여 내부 부품들이 외관상 보이지 않게 커버하고, 시트 위치 조절을 위한 각종 스위치 등이 장착되는 일종의 장식 커버체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쉴드커버(50)의 후면부에는 도 9에서 보듯이 레버(10)의 후단부가 승강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레버 안내홀(52)이 형성됨으로써, 승객이 레버(10)의 후단부를 잡고 레버 안내홀(52)을 따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승강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이 폴딩 전 위치 즉, 언폴딩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승객이 상기 레버(10)를 잡고 상승 조작하면 승강바(20)의 양단부가 가이드홀(113)을 따라 상승하여 락킹 플레이트(40)의 락킹홈(42)에 삽입되고, 반면 상기 레버(10)를 잡고 하강 조작하면 승강바(20)가 가이드홀(113)을 따라 하강하여 락킹 플레이트(40)의 락킹홈(4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는 상기 레버(10) 및 승강바(20)를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가이드홀(113)을 따라 락킹홈(4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바(20)의 외경부에 코일부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내면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코일스프링(30)으로 채택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10)의 내면에 장착되는 스프링 고정브라켓(114)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레버(10)를 잡고 하강 조작하는 동시에 레버(10)와 연결된 승강바(20)가 락킹 플레이트(40)의 락킹홈(42)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사이드 프레임(110)의 가이드홀(113)을 따라 하강할 때, 상기 승강바(20)에 삽입된 코일스프링(30)이 인장됨으로써, 인장된 코일스프링(30)은 상기 승강바(20)가 락킹 플레이트(40)의 락킹홈(42)으로 다시 삽입되도록 가이드홀(113)을 따라 상승시키려는 탄성복원력을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의 잠금해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2열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00)이 폴딩 전 위치 즉, 언폴딩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승강바(20)는 코일스프링(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사이드 프레임(110)의 가이드홀(113)을 따라 락킹 플레이트(40)의 락킹홈(42)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의 외면에 장착된 락킹 플레이트(40)의 락킹홈(42)에 승강바(20)가 삽입되어 락킹 플레이트(40)가 회전되지 않게 구속됨으로써, 락킹 플레이트(40)와 일체인 시트백 프레임(100)은 폴딩 전 위치 즉, 언폴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비상탈출이 필요한 상황에서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상기 레버(10)를 잡고 하강 조작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와 연결된 승강바(20)가 사이드 프레임(110)의 가이드홀(113)을 따라 하강하여 락킹 플레이트(40)의 락킹홈(4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락킹 플레이트(40)의 락킹홈(42)으로부터 승강바(20)의 양단부가 분리됨에 따라, 락킹 플레이트(40)에 대한 잠금해제와 더불어 락킹 플레이트(40)와 일체인 시트백 프레임(100)이 전방으로 폴딩 가능하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연이어,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시트백을 밀거나 시트백 리클라이너의 스프링 백 작용 등에 의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00)이 락킹 플레이트(40)와 함께 전방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폴딩 메커니즘에 의거하여 2열 시트의 시트백을 잠금해제시켜 폴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비상 탈출 통로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 조작에 따른 샤프트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2열 시트백의 언폴딩시 잠금 및 2열 시트백의 폴딩을 위한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3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비상 탈출 통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메커니즘 대비 부품수, 중량, 조립 공정수, 원가 등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각 실시예별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레버 20 : 승강바
30 : 코일스프링 40 : 락킹 플레이트
42 : 락킹홈 50 : 쉴드커버
52 : 레버 안내홀 100 : 시트백 프레임
102 : 시트쿠션 프레임 104 : 샤프트
110 : 사이드 프레임 111 : 제1가이드슬롯
112 : 제2가이드슬롯 113 : 가이드홀
114 : 스프링 고정브라켓 120 : 스트랩
121 : 케이블 130 : 레버
131 : 제1당김바 132 : 제2당김바
133 : 회전력 전달바 141 : 제1캠
141-1 : 잠금돌기 141-2 : 연결핀
142 : 제2캠 142-1 : 잠금돌기
142-2 : 케이블 연결단 151 : 제1포올
151-1 : 잠금턱 151-2 : 잠금해제홈
151-3 : 잠금치형부 152 : 제2포올
152-1 : 잠금턱 152-2 : 잠금해제홈
152-3 : 잠금치형부 161 : 제1섹터기어
162 : 제2섹터기어

Claims (7)

  1. 가이드홀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시트쿠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샤프트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가이드홀에 양단부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바;
    상기 승강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레버; 및
    상기 승강바의 양단부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킹홈이 외경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락킹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 및 승강바를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락킹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바의 외경부에 코일부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면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의 일단부에 레버의 전단부가 연결되고, 레버의 후단부는 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커버하는 쉴드커버의 후면부에 승강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쉴드커버의 후면부에는 레버의 후단부가 승강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레버 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상승 조작하면 상기 승강바가 가이드홀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락킹홈에 삽입되고, 상기 레버를 하강 조작하면 상기 승강바가 가이드홀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락킹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브라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KR1020220089303A 2022-07-20 2022-07-20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Active KR102688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03A KR102688772B1 (ko) 2022-07-20 2022-07-20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US18/219,112 US12257934B2 (en) 2022-07-20 2023-07-07 Seatback-folding device for emergency escape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303A KR102688772B1 (ko) 2022-07-20 2022-07-20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977A KR20240011977A (ko) 2024-01-29
KR102688772B1 true KR102688772B1 (ko) 2024-07-29

Family

ID=8957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303A Active KR102688772B1 (ko) 2022-07-20 2022-07-20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2257934B2 (ko)
KR (1) KR1026887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989B1 (ko) * 2005-08-30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2열 시트구조
KR100803067B1 (ko) * 2006-12-18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7102A1 (fr) * 1979-10-11 1981-04-17 Hutchinson Mapa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sieges a dossier articule, notamment pour automobiles
KR19980056649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접힘장치
DE10313807B4 (de) * 2003-03-21 2013-11-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DE102005011210B4 (de) * 2005-03-09 2017-10-19 Kokinetics Gmbh Fahrzeugsitz
DE102005043941B4 (de) * 2005-09-15 2011-04-21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 mit neigungsverstellbarer und/oder klappbarer Rückenlehne
FR2915934B1 (fr) * 2007-05-11 2010-03-26 Faurecia Sieges Automobile Ensemble d'articulation a poignee embarquee pour siege a modules d'articulation maitre et esclave
FR2938217B1 (fr) * 2008-11-10 2011-09-0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iege reglabl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KR101752228B1 (ko) * 2011-08-31 2017-07-1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DE102013215028B4 (de) * 2013-03-27 2018-08-0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Easy-Entry-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US9403447B2 (en) * 2014-05-15 2016-08-02 Fca Us Llc Vehicle seat including an interlock assembly
JP6379773B2 (ja) * 2014-07-14 2018-08-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220143298A (ko) * 2021-04-16 2022-10-2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록킹 장치
KR102730028B1 (ko) * 2022-08-12 2024-11-1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비상 탈출용 전동식 시트백 폴딩 장치
KR102744217B1 (ko) * 2022-12-12 2024-12-1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989B1 (ko) * 2005-08-30 200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2열 시트구조
KR100803067B1 (ko) * 2006-12-18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25308A1 (en) 2024-01-25
KR20240011977A (ko) 2024-01-29
US12257934B2 (en) 202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9863B1 (en) Stowable vehicle seat
JP4783844B2 (ja) 車両用シート
JP5187119B2 (ja) 車両用シートの操作レバー構造体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CN111601732A (zh) 便捷进入的车辆座椅
KR20220143298A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록킹 장치
CN211567732U (zh) 一种便于后排进出且靠背可放平的汽车座椅
JP2010000960A (ja) 自動車シートに用いるシート・リフター
JP2009090963A (ja) 車両用シート
CN103085692A (zh) 折叠的车辆座椅
WO2020241841A1 (ja) 車両用内装品の回転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の回転装置
CN110356289A (zh) 一种一键式座椅调节装置
CA2706460C (en) Manual retracting head restraint
US10703240B2 (en) Reduced-component vehicle seatback
KR102688772B1 (ko)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EP1574390B1 (en) Vehicle, in particular a commercial vehicle, with a collapsible front passenger seat
CN109693591B (zh) 汽车座椅四向头枕调节机构和汽车座椅
CN109910704B (zh) 一种手动座椅骨架
CN112606750A (zh) 头枕安装结构、多人座椅和车辆
CN108297747B (zh) 机动车儿童乘员用安全座椅
JP6547586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2770289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KR102754797B1 (ko) 워크인 장치
CN222921422U (zh) 车辆座椅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