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3067B1 -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 Google Patents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067B1
KR100803067B1 KR1020060129086A KR20060129086A KR100803067B1 KR 100803067 B1 KR100803067 B1 KR 100803067B1 KR 1020060129086 A KR1020060129086 A KR 1020060129086A KR 20060129086 A KR20060129086 A KR 20060129086A KR 100803067 B1 KR100803067 B1 KR 10080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ink
recliner
walk
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영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0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V & SUV 차량과 같이 운전석 후방으로 리어시트가 3열 이상으로 장착될 경우 맨 마지막 배열된 3열의 리어시트에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의 승하차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2열 및 3열의 리어시트 자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 시트백을 폴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쿠션이 장착되는 양측 쿠션브라켓과,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한 양측 쿠션브라켓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와,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 각각의 후측 상단에 장착된 채 시트백이 설치되는 시트백 브라켓을 회전작동시키기 위한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와, 상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단은 차체에 고정 부착된 일측 슬라이더 레일의 후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에 연결되어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최대로 늘어나고 슬라이더가 록크 해제되면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줄어들게 되는 워크인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 중 일측 쿠션브라켓에 돌출된 조립돌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슬라이더의 록킹바를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해제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는 슬라이더링크와;
상기 슬라이더링크 다음으로 상기한 조립돌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워크인링크와;
상기 슬라이더링크 및 워크인링크를 구속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한 조립돌 부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 쿠션브라켓에 고정 부착되는 링크고정브라켓과;
상기 일측 쿠션브라켓에 장착된 일측 리클라이너 뭉치와 함께 리클라이너축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클라이너링크와;
상기한 시트백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 일측 상단에 힌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워크인레버와;
상기 워크인레버와 워크인링크에 연결되는 제1 워크인 케이블과;
상기 워크인레바와 타측 리클라이너 뭉치에 노출된 상태로 리클라이너축에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록크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너 록킹해제 작동레버에 연결되는 제2 워크인 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리클라이너, 슬라이더, 워크인레버

Description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Rear seat walk i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리어시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리어시트에 장착된 리클라이너 및 워크인 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워크인 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시트 11 : 시트쿠션
12 : 시트백 13 : 슬라이더레일
14 : 슬라이더 15 : 록킹바
16 : 워크인스프링 17 : 시트백 프레임
18 : 케이블안내구 2a,2b : 쿠션브라켓
21 : 조립돌기 3a,3b : 리클라이너 뭉치
31 : 리클라이너축 32 : 리클라이너레버
33 : 리클라이너 록킹해제 작동레버
34 : 시트백 브라켓 35 : 리클라이너링크
4 : 슬라이더링크 41 : 걸림돌기
42 : 슬라이더 해제 케이블 5 : 워크인링크
51 : 연결돌기 52 : 걸림턱
53 : 돌기 54a,54b : 제1 및 제2 워크인 케이블
6 : 링크고정브라켓 61 : 리턴스프링
7 : 워크인레버 71 : 힌지단부
72 : 손잡이 8 : 커버
81 : 이동홈
본 발명은 RV & SUV 차량과 같이 운전석 후방으로 리어시트가 3열 이상으로 장착될 경우 맨 마지막 배열된 3열의 리어시트에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의 승하차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2열 및 3열의 리어시트 자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 시트백을 폴딩(folding)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walk in devic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V & SUV 차량에서 3열 이상의 시트 배열을 가질 때 맨 마지막에 배열된 3열 리어시트에 승객의 승하차를 원활히 돕기 위해 리클라이너 및 워크인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리어시트 자체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승객이 차량 외부에서 승차시에는 리어시트의 측면에 장착된 리클라이너 레버를 당기면 시트백이 전방을 향해 접혀지고, 하차시에는 실내에서 워크인 페달을 밟으면 리클라이너와 슬라이더가 록크 해제(lock-off)되면서 시트백은 전방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시트 자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승객의 이동공간이 넓어져 승객의 하차를 용이하게 한다.
시트의 전방이동은 워크인 장치의 스프링인장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시트가 정상적인 상태(승객이 착좌한 상태)일 때에는 원크인 스프링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가 되어 인장력이 최대로 작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리클라이너와 슬라이더는 록크 해제되는 상태가 되면 스프링의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시트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리클라이너 및 워크인 장치는 리클라이너 레버 또는 워크인 페달의 작동시 시트백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폴딩됨과 동시에 슬라이더 록킹이 해제되면서 워크인이 작동되므로서 화물적재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2열 및 3열의 시트백만을 폴딩시키는 기능이 불가한 문제점(시트백의 백폴딩시 워크인이 동시에 작동하기 때문)이 있으며, 또한 2열 시트에 승객이 앉아있는 상태에서 3열 승객의 부주의로 인해 워크인 페달을 밟게 될 경우 워크인이 작동하게 되어 2열 승객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와 워크인 페달이 승객의 승하차시 발걸림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워크인 장치는 시트 쿠션 및 백을 폴딩시키기 위해 많은 메커니즘이 사용되기 때문에 중량 및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었고, 시트가 뒤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장치 및 스프링, 댐퍼 등을 부착해야 하 며, 시트를 더블 폴딩시키기 위해 시트 뒤쪽면에 설정된 밴드를 당겨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다는 점도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의 워크인레바를 시트백 상단에 장착하되, 상기한 워크인레바의 힌지단부는 시트백의 백프레임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한편 자유단측의 손잡이는 시트백의 일측 상단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므로서 승객이 승하차할 때 워크인레바가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며, 아울러 승객이 시트백 일측 상단에 노출된 워크인레바 손잡이를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한차례의 작동으로 시트백을 폴딩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워크인 장치는 작동시키지 않고 리클라이너만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시트백을 전,후 방향으로 폴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길이가 긴 적재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트쿠션이 장착되는 양측 쿠션브라켓과,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한 양측 쿠션브라켓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와,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 각각의 후측 상단에 장착된 채 시트백이 설치되는 시트백 브라켓을 회전작동시키기 위한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와, 상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단은 차체에 고정 부착된 일측 슬라이더 레일의 후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에 연결되어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최대로 늘어나고 슬라이더가 록크 해제되면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줄어들게 되는 워크인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 중 일측 쿠션브라켓에 돌출된 조립돌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슬라이더의 록킹바를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해제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는 슬라이더링크와;
상기 슬라이더링크 다음으로 상기한 조립돌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워크인링크와;
상기 슬라이더링크 및 워크인링크를 구속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한 조립돌부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 쿠션브라켓에 고정 부착되는 링크고정브라켓과;
상기 일측 쿠션브라켓에 장착된 일측 리클라이너 뭉치와 함께 리클라이너축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클라이너링크와;
상기한 시트백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 일측 상단에 힌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워크인레버와;
상기 워크인레버와 워크인링크에 연결되는 제1 워크인 케이블과;
상기 워크인레바와 타측 리클라이너 뭉치에 노출된 상태로 리클라이너축에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록크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너 록킹해제 작동레버에 연결되는 제2 워크인 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크인링크는 링크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된 리턴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크인링크의 상단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리클라이너링크의 하단에 걸림되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리클라이너 뭉치에 형성된 리클라이너링크의 하단은 워크인링크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돌기에 걸림되어 워크인링크를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향으로 길게 연장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크인레바는 그 자유단측에 형성된 손잡이가 시트백 일측 상단에 부착된 커버에 수직상으로 형성된 이동홈을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리어시트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리어시트에 장착된 리클라이너 및 워크인 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워크인 장치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리어시트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리어시트(1)는 시트쿠션(11)과 시트백(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쿠션(11)의 저부에는 차체 바닥에 서로 평행하도록 고정 설치된 양측 슬라이더레일(13)에 전,후방을 향해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 위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더(14)는 시트쿠션(11)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를 가지고 있으며, 일측 슬라이더레일에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록킹해제구조가 구비된 록킹바(15)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한 슬라이더(14) 및 슬라이더의 왕복이동을 제어하는 록킹바(15)의 록킹제어구조는 기존 RV & SUV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슬라이더(14) 및 록킹바(15)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및 설명에 대하여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2a)(2b) 각각의 후측 상단에 부착된 리클라이너 뭉치(3a)(3b)의 구조 역시 기존 RV & SUV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서는 도시를 생략하며, 다만 리클라이너 뭉치의 구조적 기능에 대한 설명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3a)(3b) 내부에는 리클라이너축(31) 양단에 록킹제어용 기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록킹제어용 기어는 시트백(12)을 정상상태(승객이 착좌할 수 있는 상태)로 기립시켰을 때에는 그 상태로 시트백(12)을 고정시키게 되는 한편, 상기한 일측 리클라이너 뭉치(3a)를 관통하는 리클라이너축(31)의 일단에 부착된 상태로 시트쿠션(11)의 일측으로 노출된 리클라이너 레버(32)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타측 리클라이너 뭉치(3b)를 관통하는 리클라이너축(31)의 타단에 설치된 리클라이너 록킹해제 작동레버(33)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25°각도 회전하게 될 때에는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3a)(3b)는 록크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시트백(12)을 전방으로 폴딩작동시키게 되며, 또는 승객이 전방으로 폴딩된 시트백(12)을 후방으로 회전시켜는 백폴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3a)(3b) 각각에는 시트백(12)을 부착시키기 위한 시트백 브라켓(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리클라이너 뭉치(3a)측에는 리클라이너축(31)과 함께 회전작동을 하는 리클라이너링크(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2a)(2b)들 중 일측 쿠션브라켓(2a)에는 일측 리클라이너 뭉치(3a)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돌부(21)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한 조립돌부에는 슬라이더링크(4)와 워크인링크(5)가 차례대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또한 상기한 조립돌부(21)에 일단이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는 링크고정브라켓(6)은 일측 쿠션브라켓(2a)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한 조립돌부(2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더링크(4)와 워크인링크(5)를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고정브라켓(6)에 일단이 고정 연결된 리턴스프링(61)의 타단은 워크인링크(5)의 하측에 돌출된 연결돌기(5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워크인링크(5)는 시트백(11)이 정상상태로 기립되어 있을 때에는 리턴스프링(61)의 인장력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도 4 참조)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워크인링크(5)의 하측에는 걸림턱(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슬라이더링크(4)의 하측에는 상기한 걸림턱(52)에 걸림되는 걸림돌기(4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슬라이더링크(4)의 상단에는 슬라이더(14)의 록킹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해제케이블(4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슬라이더링크(4)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워크인링크(5)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 게 됨에 따라 슬라이더링크(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더 해제케이블(42)을 당기게 되면 상기한 록킹바(15)가 슬라이더(14)의 록킹작동을 해제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워크인스프링(16)의 인장력이 작동하여 슬라이더(1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에서의 워크인스프링(16)의 일단은 슬라이더(14)에 부착된 타측 쿠션브라켓(2b)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고, 그 타단은 슬라이더(14)의 전방측에 이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한 워크인스프링(16)은 시트백(11)이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최대로 늘어난 상태에서 시트백(1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인장력이 가장 강한 상태이며, 이와 반대로 시트백(11)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인장력이 약해진 상태로 줄어들게 된다.
상기 리어시트(1)의 시트백(12) 내부에 설치된 시트백 프레임(17)의 일측 상단에는 힌지단부(71)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워크인레바(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워크인레바(7)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손잡이(72)는 시트백(12) 일측 상단에 노출된 상태로 부착된 커버(8)에 수직상으로 형성된 이동홈(8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승객이 상기한 커버(8)의 이동홈(81)을 통해 노출된 손잡이(72)를 잡고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워크인레바(7)가 힌지단부(71)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상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워크인레버(7)의 중간부분에는 시트백 프레임(17)에 형성된 케이블안내구(18)을 통해서 두가닥으로 된 제1 및 제2 워크인 케이블(54a)(54b)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1 워크인 케이블(54a)의 타단은 워크인링크(5)의 상단에 돌출된 돌기(53)에 연결되고, 상기한 제2 워크인 케이블(54b)의 타단은 타측 리클라이너 뭉치(3b)에 설치된 리클라이너 록킹해제 작동레버(33)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클라이너링크(35)의 하단(35a)은 하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워크인링크(5)는 워크인레버(7)가 작동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리턴스프링(61)에 의해 조립돌부(21)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도면상 좌측으로 회전된 상태이며, 이때 워크인링크(5) 상단의 돌기(53)는 리클라이너링크(35)의 하단(35a)보다 낮은 위치에서 좌측으로 회전이동된 상태이며, 상기한 워크인레바(7)를 상향으로 20°각도까지 들어올릴 때에는 제1 및 제2 워크인 케이블(54a)(54b)이 동시에 리클라이너 록킹해제 작동레버(33)와 워크인링크(5)를 잡아당겨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3a)(3b)는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아니한 상태이며, 다만 워크인링크(5)는 돌기(53)를 리클라이너링크(35)의 하단(35a)에 걸림되는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태가 되며, 또한 상기한 워크인레버(7)를 계속 들어올려 상향으로 25°각도까지 회전시켰을 때에는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3a)(3b)가 록킹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 브라켓(34)이 전방을 향해 회전하면서 시트백(12)을 전방으로 폴딩시키게 됨과 동시에 리클라이너링크(35)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워크인링크(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워크인링크(5)가 리클라이너링크(35)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슬라이더링크(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링크(4)는 슬라이더 해제 케이블(42)을 잡아당겨 록킹바(15)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되어 슬라이더(14)는 워크인스프링(16)의 인장력에 의해 리어시트(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워크인레바(7)는 손잡이(72) 부분만 시트백(12)의 일측 상단에 부착된 커버(8)의 이동홈(81)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을 탑승하는 승객은 워크인레바(7)를 부주의로 건드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승객이 리어시트(1)의 시트백(12)만을 전방으로 폴딩시키고자 할 때에는 시트쿠션(11) 일측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 리클라이너레버(32)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이때 리클라이너레버(32)는 25°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리클라이너축(31)이 그 각도만큼 회전되어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3a)(3b)에 장착된 록킹제어용 기어를 록킹해제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태엽상태로 설치된 스프링이 작동하여 시트백(12)을 전방으로 폴딩시키게 되며, 또한 시트백(12)을 후방측으로 폴딩시킬 때에는 승객이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3a)(3b)를 록킹해제시킨 상태에서 시트백(12)을 후방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시트백(12)을 백폴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2열 및 3열에 배열된 리어시트(1)를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시트백(12)을 전방으로 폴딩시키고자 할 때에는 시트백(12) 일측 상단에 형성된 커버(8)의 이동홈(81) 하단에 노출된 워크인레버(7)의 손잡이(72)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워크인레버(7)가 제1 및 제2 워크인 케이블(54a)(54b)을 상향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때 워크인레버(7)가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향으로 20°각도로 들어 올린 상태가 될 때까지는 제1 워크인 케이블(54a)의 경우는 워크인링크(5)의 돌기(53)가 리클라이너링크(35)의 하단(35a)에 걸림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게 되며, 제2 워크인 케이블(54b)의 경우는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3a)(3b)를 록킹 해제시키기 전 상태까지 리클라이너 록킹해제 작동레버(3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가 된다.
상기 워크인레버(7)를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향으로 25°각도까지 들어올렸을 때에는 제2 워크인 케이블(54b)이 슬라이더 록킹해제 작동레바(33)를 리클라이너의 록킹해제 위치까지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3a)(3b)는 록킹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작동으로 리클라이너축(3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서 시트백 브라켓(34)에 부착된 시트백(12)은 전방을 향해 회전하여 폴딩되며, 리클라이너링크(3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하단(35a)에 걸림되어 있는 워크인링크(5)의 돌기(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워크인링크(5)는 그 하측에 형성된 걸림턱(52)이 슬라이더링크(4)의 걸림돌기(4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게 되므로서 이에 따라 슬라이더링크(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더 해제 케이블(42)을 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링크(4)가 슬라이더 해제 케이블(42)을 당기게 되면 슬라이더(14)의 록킹바(15)가 록킹해제되는 상태로 작동되며, 이에 따라 워크인스프링(16)의 인장력이 슬라이더(14)에 작용되므로서 시트백(12)이 시트쿠션(11) 상측으로 폴딩작동된 리어시트(1)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리어시트(1)의 시트백(12)을 폴딩작동시킨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는 승객이 리어시트(1)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슬라이더(14)의 록킹바(15)는 원위치로 복귀하면 자동적으로 록킹되어지며, 이어서 폴딩된 시트백(12)을 기립시키게 되면 양측 리클라이어 뭉치(3a)(3b)도 정상상태로 기립된 위치에서 록킹되어 승객이 리어시트(1)에 안정된 상태로 착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RV & SUV 차량의 장점인 실내공간의 활용성을 유지시키므로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2열 및 3열에 배열 설치된 리어시트의 스트백을 후방으로 백폴딩시킬 수 있어 길이가 긴 화물의 적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게 제공하며, 리어시트의 시트백 일측 상단에 워크인레버를 한차례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시트백을 폴딩시킴과 동시에 리어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워크인레버가 시트백 상단에 은폐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승객의 이동시 발걸림 등의 지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부주의에 의한 시트백 폴딩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워크인 작동을 위해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선자세로 워크인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5)

  1. 시트쿠션이 장착되는 양측 쿠션브라켓과,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한 양측 쿠션브라켓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와,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 각각의 후측 상단에 장착된 채 시트백이 설치되는 시트백 브라켓을 회전작동시키기 위한 양측 리클라이너 뭉치와, 상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단은 차체에 고정 부착된 일측 슬라이더 레일의 후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에 연결되어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최대로 늘어나고 슬라이더가 록크 해제되면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줄어들게 되는 워크인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측 쿠션브라켓 중 일측 쿠션브라켓에 돌출된 조립돌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슬라이더의 록킹바를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해제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는 슬라이더링크와;
    상기 슬라이더링크 다음으로 상기한 조립돌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워크인링크와;
    상기 슬라이더링크 및 워크인링크를 구속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한 조립돌부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 쿠션브라켓에 고정 부착되는 링크고정브라켓과;
    상기 일측 쿠션브라켓에 장착된 일측 리클라이너 뭉치와 함께 리클라이너축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클라이너링크와;
    상기한 시트백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 일측 상단에 힌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워크인레버와;
    상기 워크인레버와 워크인링크에 연결되는 제1 워크인 케이블과;
    상기 워크인레바와 타측 리클라이너 뭉치에 노출된 상태로 리클라이너축에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록크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너 록킹해제 작동레버에 연결되는 제2 워크인 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링크는 링크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된 리턴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링크의 상단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리클라이너링크의 하단에 걸림되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리클라이너 뭉치에 형성된 리클라이너링크의 하단은 워크인링크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돌기에 걸림되어 워크인링크를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향으로 길게 연장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레바는 그 자유단측에 형성된 손잡이가 시트백 일측 상단에 부착된 커버에 수직상으로 형성된 이동홈을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KR1020060129086A 2006-12-18 2006-12-18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Active KR100803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86A KR100803067B1 (ko) 2006-12-18 2006-12-18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86A KR100803067B1 (ko) 2006-12-18 2006-12-18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067B1 true KR100803067B1 (ko) 2008-02-18

Family

ID=3938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086A Active KR100803067B1 (ko) 2006-12-18 2006-12-18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06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912B1 (ko) 2008-10-13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클라이너 레버의 연결장치
KR101371868B1 (ko) 2008-04-16 2014-03-07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시트
CN107791912A (zh) * 2016-09-02 2018-03-13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模块化装配和支撑的横管附接钩部件
CN112140949A (zh) * 2019-06-27 2020-12-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座椅的辅助座椅存放装置
KR20220077489A (ko) * 2020-12-02 2022-06-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구동 메커니즘 구조
CN115092022A (zh) * 2022-06-28 2022-09-23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排座椅折叠结构
CN115431850A (zh) * 2021-06-01 2022-12-06 达世株式会社 座椅的翻移装置
KR20240011977A (ko) * 2022-07-20 2024-01-2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3003A (ja) * 2006-06-23 2008-01-10 Omron Corp 電波検知回路及び遊技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3003A (ja) * 2006-06-23 2008-01-10 Omron Corp 電波検知回路及び遊技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8848호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868B1 (ko) 2008-04-16 2014-03-07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시트
KR101013912B1 (ko) 2008-10-13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클라이너 레버의 연결장치
CN107791912A (zh) * 2016-09-02 2018-03-13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模块化装配和支撑的横管附接钩部件
CN107791912B (zh) * 2016-09-02 2021-11-26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模块化装配和支撑的横管附接钩部件
CN112140949A (zh) * 2019-06-27 2020-12-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座椅的辅助座椅存放装置
KR102523570B1 (ko) 2020-12-02 2023-04-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구동 메커니즘 구조
KR20220077489A (ko) * 2020-12-02 2022-06-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구동 메커니즘 구조
CN115431850B (zh) * 2021-06-01 2023-07-14 达世株式会社 座椅的翻移装置
CN115431850A (zh) * 2021-06-01 2022-12-06 达世株式会社 座椅的翻移装置
CN115092022A (zh) * 2022-06-28 2022-09-23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排座椅折叠结构
KR20240011977A (ko) * 2022-07-20 2024-01-2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KR102688772B1 (ko) * 2022-07-20 2024-07-2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시트백 폴딩 장치
US12257934B2 (en) 2022-07-20 2025-03-25 Hyundai Transys Inc. Seatback-folding device for emergency escape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067B1 (ko) 리어시트 워크인 장치
US8540308B2 (en) Stowable vehicle seat
JP5193552B2 (ja) 車両用格納シート
CN102143862B (zh) 误操作防止装置及车用收起座椅
US7377584B2 (en) Articulating high latch for a seat
KR101398333B1 (ko)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JP5164514B2 (ja) 車両用格納シート
US20070138854A1 (en) Folding recliner of seat for vehicles
US7478882B2 (en) Motor vehicle seat
CN106314223A (zh) 具有可折叠的收起位置的交通工具座椅
WO2017110438A1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100062228A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WO2009104586A1 (ja) 車両用格納シート
CN106164506A (zh) 车辆座椅,特别是机动车辆座椅
US20100225151A1 (en) Vehicle seat actuation mechanism
JP7068591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372960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101404478B1 (ko)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KR101578944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CN104742763A (zh) 交通工具用座椅
JP7280499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6262526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243673B1 (ko) 차량용 팁 업 시트
JP7332958B2 (ja) 乗物用シート
JP6708938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