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6175B1 -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 - Google Patents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6175B1
KR102686175B1 KR1020220057346A KR20220057346A KR102686175B1 KR 102686175 B1 KR102686175 B1 KR 102686175B1 KR 1020220057346 A KR1020220057346 A KR 1020220057346A KR 20220057346 A KR20220057346 A KR 20220057346A KR 102686175 B1 KR102686175 B1 KR 102686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opening
fire
door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7755A (en
Inventor
조성우
Original Assignee
국립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5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6175B1/en
Publication of KR2023015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6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24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sliding bars, rods or cables for the fastening of wings, e.g. corner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rest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 문의 개폐실린더 내의 잠금바를 회전에 의해 삽입, 돌출시키는 연결바; 상기 화장실 문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를 회전시켜 상기 화장실 문을 개폐시키는 하단 개방장치; 및상기 하단 개방장치와 상기 연결바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 재실자가 상기 하단 개방장치를 통해 화장실 문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exhausting smok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necting bar that inserts and protrudes the lock bar in the toilet door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by rotation; A lower opening device installed on one lower side of the bathroom doo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bathroom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on bar; and a connecting means connecting the lower opening device and the connecting b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ion, including a connection means that allows an occupant to open the bathroom door through the lower opening device in the event of a fire. .

Description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

본 발명은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exhausting smoke.

통상 아파트 등 고층 주거건물에는 각 세대 현관문 앞에 특별 피난계단과 특별 피난계단의 부속실로 구성된 제연구역을 갖게 되며, 새대 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재와 동시 발생되는 연기가 피난계단이 마련된 제연구역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키는 제연설비가 마련되어 있다.Typically,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have a smoke control area in front of the front door of each unit, consisting of a special evacuation staircase and a room attached to the special evacuation staircase. When a fire breaks out within the unit, the smoke gen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fire flows into the smoke control area where the evacuation staircase is provided. Smoke control equipment is installed to increase the air pressure in the smoke control area to prevent smoke from coming out.

그러나, 세대 내에서 화재에 의해 매연, 유독가스가 발생함에 따라, 매연, 유독가스의 흡입은 폐손상을 일으키고 주거자의 의식을 혼미하게 하거나 잃게 하여 세대 내에서 전술한 피난계단이나 그 부속실로 빠져나가는 것을어렵게 하기도 한다.However, as smoke and toxic gases are generated by a fire within a household, inhalation of the smoke and toxic gases can cause lung damage and cause residents to become unconscious or lose consciousness, preventing them from escaping from the household through the above-mentioned escape stairs or their attached rooms. It can also make things difficult.

2014 ~ 2018년까지 공동주택 화재건수는 약 2만4천여건이며, 사망자는 285명으로 보고됨에 따라 질식 사고 예방을 위한 최대 가성비를 고려한 안정장치에 초점을 맞출필요가 있다. From 2014 to 2018, the number of fires in apartment complexes was approximately 24,000, and the number of deaths was reported to be 285, so there is a need to focus on safety devices that consider maximum cost-effectiveness to prevent suffocation accidents.

화재 건수를 분석하면, 화재 발생 “인지 단계”에서 피해자들은 화재상황인지 지연 및 수면이나 음주 등으로 무방비 상태인 경우가 주간(11시 ~ 19시)보다 야간(23시 ~ 07시)이 1.6배 높다. Analyzing the number of fires, in the “recognition stage” of a fire, victims are 1.6 times more likely to delay recognizing the fire situation and are defenseless due to sleeping or drinking, at night (23:00 - 07:00) than during the day (11:00 - 19:00). high.

기존 아파트의 피난공간은 제연 또는 배연시스템으로 가압방식을 적용하여 연기유입을 억제하고 있으나, 화재발생에 따른 세대 내의 연기 배출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The evacuation space of existing apartments uses a pressurized smoke control or smoke control system to suppress the inflow of smoke, but there is no mention of smoke emissions within the unit due to a fire.

따라서 화재 발생 세대 내의 제연 또는 배연 계획은 전무한 실정으로 질식사고의 위험이 높고, 화재발생시, 방화구획으로 지정된 관계로 연기확산 방지를 위하여 수직덕트와 연결된 환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제연댐퍼(F.D)를 “CLOSED”시켜 세대 내의 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no smoke control or smoke control plan in the household where the fire occurred, so there is a high risk of suffocation accidents, and in the event of a fire, a smoke control damper (F.D) installed inside the ventilation duct connected to the vertical duct is installed to prevent the spread of smoke as it is designated as a fire prevention zone. “CLOSED” is regulated so that smoke inside the household can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즉, 공동주택 세대는 현관문이 갑종방화문으로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방화구획으로 지정됨에 따라 세대 내에서 발생하는 화염과 연기는 다른 세대로 확산을 막기 위하여 제연댐퍼를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세대에서는 외부로 연결된 화장실과 부엌의 후드에 설치된 제연댐퍼가 “CLOSED” 상태로 됨에 따라 세대 내의 연기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In other words, since the front door of apartment units is installed with a class A fire door, smoke dampers are installed to prevent flames and smoke generated within the unit from spreading to other units as they are designated as fire prevention zones. In the household where the fire broke out, the smoke dampers installed in the bathroom and kitchen hoods connected to the outside are in the “CLOSED” state, preventing the smoke inside the household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따라서 기존에서는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세대는 방화구획으로 지정됨에 따라 화염 또는 연기를 배출시킬 방안이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Therefore, in the past, when a fire breaks out in an apartment complex,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way to exhaust the flame or smoke as the unit is designated as a fire prevention zon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15314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11531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96913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59691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4547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62454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4816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9048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화구획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화재가 발생한 세대의 제연댐퍼는 “OPEN”으로 하고 다른 세대는 제연댐퍼를 “CLOSED” 상태로 함에 따라 화재 세대에서 발생한 화염과 연기가 다른 세대로 확산되지 않으며, 세대 내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연기 농도 희석으로 인하여 피난대피 시간을 향상시켜 질식사를 줄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purpose of fire prevention compartments, the smoke control damper of the household where the fire occurred is set to “OPEN” and the other households are set to “OPEN”. By placing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CLOSED” state, flames and smoke generated from a fire unit do not spread to other households, and the smoke within the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dilute the smoke concentration, thereby improving evacuation time and reducing suffocation. The purpose.

그리고 공동주택 세대에서 외부로 실내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장소는 화장실의 배기팬과 부엌의 후드만이 회부 수직덕트와 연결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실 문 손잡이와 연동된 별도의 하단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화재시 재실자가 기어서 연기를 피해 하단 개방장치를 통해 화장실문을 개방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d since only the exhaust fan in the bathroom and the hood in the kitchen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vertical duct as the only place where indoor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apar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eparate unit linked to the bathroom door handle is install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ion, which allows occupants to crawl and avoid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using the bottom opening device, and open the bathroom door through the bottom opening device to discharge smoke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시 연기농도에 기반하여 화장실 문이 닫혀 있고, 연기농도가 설정된 농도값 이하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재실자에게 알리고 재실자는 연기를 피해 하단 개방장치를 통해 화장실문을 개방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한 경우, 재실자는 화장실 문에 접근하지 않고, 제1,제2개폐장치를 자동개폐되도록 하여 화장실의 배기팬을 이용하여 화재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 fire, the bathroom door is closed based on the smoke concentration, and if the smoke concentration i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information about this is notified to the occupant and the occupant opens the bathroom door through the bottom opening device to avoid the smoke. It is opened to discharge smoke to the outside, and when the set concentration value is exceeded, the occupants do not approach the bathroom door,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s ar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o use the bathroom's exhaust fan to blow smoke to the outside in the event of a fi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exhausting smoke, which can be discharged with .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화장실 문의 개폐실린더 내의 잠금바를 회전에 의해 삽입, 돌출시키는 연결바; 상기 화장실 문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를 회전시켜 상기 화장실 문을 개폐시키는 하단 개방장치; 및 상기 하단 개방장치와 상기 연결바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 재실자가 상기 하단 개방장치를 통해 화장실 문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 connecting bar that inserts and protrudes the locking bar in the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of the bathroom door by rotation; A lower opening device installed on one lower side of the bathroom doo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bathroom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on bar; And a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lower opening device and the connection bar. It can be achieved as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discharge, including, in the event of a fire, the occupants opening the bathroom door through the lower opening device. You can.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은 사각단면의 상기 연결바의 복수의 면 각각에 설치되는 연결클립과, 연결선 상부 끝단을 상기 연결클립 각각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선 하부 끝단각각이 상기 하단 개방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connection means includes a connection clip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connection bar of a square cross-section,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to each of the connection clips, and each low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being fixed to the bottom opening device.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xed end.

또한 화재 발생시, 재실자는 화장실 문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상기 하단 개방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실 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event of a fire, the occupant may lean or crawl toward the bathroom door and then rotate the handle of the lower opening device to open the bathroom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그리고 상기 화장실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세대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화재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연기농도가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하는지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설정된 농도값 초과, 이하여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알림신호를 송출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농도값 이하인 경우, 재실자는 화장실 문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상기 하단 개방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실 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bathroom door is opened or closed, a receiver that receives a fire signal detected by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the household,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moke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exceeds or is below a set concentration value. , and includes a notif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abou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concentration value exceeds or fall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and when the concentration value i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the occupant leans or crawls toward the bathroom door and then moves to the bottom opening device. The toilet door may be opened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by rotating the handle.

또한 화장실 문에 구비되는 제1개방부; 상기 제1개방부에 설치되는 제1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화장실 문의 닫힘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개폐장치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first opening provided in the bathroom door; and a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wherein the control unit open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when the set concentration value is exceeded and the toilet door is detected to be closed by the sensor. can do.

그리고 상기 화장실 내의 배기팬은 인버터 팬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배기팬의 배기모터는 특정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개방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개방부; 및 상기 제2개방부에 설치되는 제2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배기모터가 특정속도 이상의 값을 수신받는 경우, 상기 제2개폐장치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exhaust fan in the bathroom is composed of an inverter fan, a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the exhaust motor of the exhaust fan rotates at a certain speed or more, and the second opening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opening is opened. wealth;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wherein when the control unit exceeds the set concentration value and the exhaust motor receives a value exceeding a specific speed from the receiving unit,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controlled to open.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개방장치; 및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세대 내의 제연댐퍼를 개방시키고, 비화재 발생 세대들 내의 제연댐퍼를 닫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통한 배연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object mentioned above; A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a fire detector, a controller that controls to open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unit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o close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units where the fire did not occur. A toilet for smoke exhaust, comprising a. This can be achieved as a smoke exhaust system through a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화재시, 공동 주택에 대한 배연방법에 있어서,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세대 내의 제연댐퍼를 개방시키고, 비화재 발생 세대들 내의 제연댐퍼를 닫도록 제어하는 단계; 화장실 문이 닫힌 경우, 재실자는 화장실 문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하단 개방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연결바의 회전에 의해 화장실 문을 개방시키는 단계; 및 화재 연기가 화장실 내의 배기팬을 통해 수직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통한 배연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unit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o open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units where the fire did not occur when a fire is detected by a fire detector in the smoke control method for an apartment complex in the event of a fire. controlling to close; When the bathroom door is closed, the occupant leans or crawls toward the bathroom door and then rotates the handle of the lowe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urpose mentioned above to open the bathroom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and discharging fire smoke to the outside through a vertical duct through an exhaust fan in the bathroom.

그리고 수신부가 화재감지기에서 측정된 연기 농도와, 화장실의 개폐여부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및 알림수단이 설정된 농도값 초과, 이하여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알림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통한 배연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And a step in which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moke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fire detector and a detection signal for whether the toilet is open or closed; And it can be achieved as a smoke exhaust method through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ep of the notification means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about information on exceeding or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그리고 상기 설정된 농도값 이하인 경우, 재실자는 화장실 문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상기 하단 개방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실 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When the concentration value i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the occupant leans or crawls toward the bathroom door and then rotates the handle of the lower opening device to open the bathroom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

또한 화장실 문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상기 화장실문의 닫힘을 감지하고, 상기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가 제1개폐장치를 구동하여 제1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연기를 포함한 화장실 밖 실내 공기가 제1개방부를 통해 화장실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화장실 내에 설치된 배기팬에 의해 수직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detecting the closing of the bathroom door by a sensor installed on the bathroom door,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open the first opening by driv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when the concentration value exceeds the set value; and allowing indoor air outside the bathroom, including smoke,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to the outside through a vertical duct by 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bathroom.

그리고 상기 화장실 내의 배기팬은 인버터 팬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배기팬의 배기모터는 특정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며,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배기모터가 특정속도 이상의 값을 수신받는 경우, 상기 제1개방부의 하부측의 제2개방부에 설치된 제2개폐장치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exhaust fan in the bathroom is composed of an inverter fan, a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the exhaust motor of the exhaust fan rotates above a specific speed,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exhaust motor at a specific speed or higher in the receiver. When receiv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opening may be controlled to op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화구획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화재가 발생한 세대의 제연댐퍼는 “OPEN”으로 하고 다른 세대는 제연댐퍼를 “CLOSED” 상태로 함에 따라 화재 세대에서 발생한 화염과 연기가 다른 세대로 확산되지 않으며, 세대 내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연기 농도 희석으로 인하여 피난대피 시간을 향상시켜 질식사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purpose of the fire compartment, the smoke control damper of the house where the fire occurred is set to “OPEN” and the smoke control damper of the other house is set to “CLOSED”, so that the flame and smoke generated in the fire house are prevented. It does not spread to other households, and by discharging smoke within the household to the outsid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suffocation by improving evacuation time by diluting the smoke concentration.

그리고 공동주택 세대에서 외부로 실내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장소는 화장실의 배기팬과 부엌의 후드만이 회부 수직덕트와 연결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실 문 손잡이와 연동된 별도의 하단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화재시 재실자가 기어서 연기를 피해 하단 개방장치를 통해 화장실문을 개방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nd since only the exhaust fan in the bathroom and the hood in the kitchen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vertical duct as the only place where indoor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apar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eparate unit linked to the bathroom door handle is installed. By using the bottom opening device, in the event of a fire, occupants can crawl to avoid the smoke and open the bathroom door through the bottom opening device to exhaust the smoke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시 연기농도에 기반하여 화장실 문이 닫혀 있고, 연기농도가 설정된 농도값 이하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재실자에게 알리고 재실자는 연기를 피해 하단 개방장치를 통해 화장실문을 개방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한 경우, 재실자는 화장실 문에 접근하지 않고, 제1,제2개폐장치를 자동개폐되도록 하여 화장실의 배기팬을 이용하여 화재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 fire, the bathroom door is closed based on the smoke concentration, and if the smoke concentration i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information about this is notified to the occupant and the occupant opens the bathroom door through the bottom opening device to avoid the smoke. It is opened to discharge smoke to the outside, and when the set concentration value is exceeded, the occupants do not approach the bathroom door,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s ar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o use the bathroom's exhaust fan to blow smoke to the outside in the event of a fir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discharged.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은 기존 공동주택에서의 배연시스템의 모식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의 배연시스템의 모식도,
도 2는 화장실 문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단 개방장치가 설치된 화장실 문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문 손잡이의 연결바와 연동되는 하단 개방장치의 모식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부착 배연문을 통한 배연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연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부착 배연문을 통한 배연장치의 정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개폐장치가 회전됨에 따른 스프링 핀의 이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정상상태에서의 스프링핀과 걸림쇠의 결합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형 배기팬의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such.
Figure 1a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moke exhaust system in an existing apartment building,
Figure 1b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oke exhaust system in an apartment compl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hroom door handle;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bathroom door equipped with a bottom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ottom opening device linked to the connection bar of the bathroom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a smoke exhaust device through a smoke exhaust door attach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of the smoke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of a smoke exhaust device through a smoke exhaust door attached to a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front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pring pin a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rota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ring pin and the latch in a normal state;
10 is a block diagram of an inverter-type exhaust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a flow chart of the exhaust gas exhaus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 may be chang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an area shown as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written to explain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o aid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with sufficient knowledge in the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when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but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without any reas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disch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a은 기존 공동주택에서의 배연시스템의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에서의 배연시스템의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First, Figure 1a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smoke exhaust system in an existing apartment complex, and Figure 1B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smoke exhaust system in an apartment compl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화재 발생 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공동주택에서의 배연 시스템은 화재실(도 1a에서 “Fire”)에서 연기가 발생하면 제연댐퍼(F.D)는 “CLOSED” 상태로 전환되어 화염과 연기가 다른 세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화재실의 세대 내는 연기가 가득 찬 상태가 된다. When a fire occurs, as shown in FIG. 1a, the smoke exhaust system in an existing apartment building switches to the “CLOSED” state when smoke is generated in the fire room (“Fire” in FIG. 1a) and the flame and This prevents smoke from spreading to other households. Therefore, the inside of the fire room is filled with smoke.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연 시스템은 화재로 인하여 발생된 연기를 세대 내에 가두는 것이 아니라, 화재실의 제연댐퍼가 “OPEN”으로 전환되어 수직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이다. However, the smok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fine the smoke generated by the fire within the household, but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fire room is switched to “OPEN”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rtical duct.

이 경우 화재실을 제외한 각층 세대들에 설치되어 있는 제연댐퍼는 “CLOSED” 로 전환시켜 화염이나 연기가 세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세대 내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세대 내에서의 질식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smoke control dampers installed in each floor unit except the fire room are switched to “CLOSED” to prevent flame or smoke from entering the unit. Therefore, by discharging the smoke inside the household to the outside, suffocation accidents within the household can be reduced.

도 2는 화장실 문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단 개방장치가 설치된 화장실 문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문 손잡이의 연결바와 연동되는 하단 개방장치의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hroom door handle. And Figure 3 shows a front view of a bathroom door installed with a bottom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4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bottom opening device linked to the connection bar of the bathroom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화장실 문(1)의 개폐실린더(5) 내의 잠금바(6)를 회전에 의해 삽입, 돌출시키는 연결바(7)와, 화장실 문(1)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며, 연결바(7)를 회전시켜 화장실 문(1)을 개폐시키는 하단 개방장치(60)와, 하단 개방장치(60)와 연결바(7)를 연동하여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 재실자가 하단 개방장치(60)를 통해 화장실 문을 개방시키게 된다. A connecting bar (7) that inserts and protrudes the locking bar (6) in the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5) of the bathroom door (1) by rota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bathroom door (1), and connects the connecting bar (7). It includes a lower opening device (60) that rotates to open and close the bathroom door (1), and a connection means that links the lower opening device (60) and the connection bar (7), so that in the event of a fire, the occupants can use the lower opening device ( 60) The bathroom door is opened.

그리고 연결수단은 사각단면의 연결바(7)의 복수의 면 각각에 설치되는 연결클립(65)과, 연결선(63) 상부 끝단을 연결클립(65) 각각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4)와, 연결선(63) 하부 끝단각각이 하단 개방장치(60)에 고정되는 고정단(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connecting clip 65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connecting bar 7 of a square cross-section, a fastening member 64 that secures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line 63 to each of the connecting clips 65, and Each low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63 includes a fixed end 62 fixed to the lower opening device 60.

따라서 화재 발생시, 재실자는 화장실 문(1)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하단 개방장치(60)의 손잡이(61)를 회전시켜 연결바(7)의 회전에 의해 화장실 문(1)을 개방하게 된다.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the occupant leans or crawls toward the bathroom door (1) and then rotates the handle (61) of the bottom opening device (60) to open the bathroom door (1)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7). becomes open.

화재가 발생한 경우, 짧은 시간에 세대가 연기로 가득참에 따라, 재실자의 패닉상태로 인하여 개폐 실린더의 높이에서 화장실 문(1)의 개방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람이 기어서 대피할 수 있는 높이에 화장실 문(1)을 개방할 수 있는 하단 개방장치(60)가 필요하다. In the event of a fire, as the household fills with smoke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may become impossible to open the bathroom door (1) at the height of the opening/closing cylinder due to the panic of the occupants. Therefore, it may be impossible for people to escape by crawling. A bottom opening device (60) that can open the toilet door (1) at a high level is required.

기존 화장실 문은 거실에서 화장실쪽으로 밀고 닫히는 미닫이 문이 대부분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화장실 도어에는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화재 발생 시, 배기팬(화장실로 유입된 연기는 수직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은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기팬의 흡입력으로 화장실문(1)은 안쪽으로 열리게 된다. Most existing bathroom doors are sliding doors that are pushed and closed from the living room toward the bathroom, and a cylinder is installed on the bathroom door to protect personal privacy. In the event of a fire, an exhaust fan (which exhausts smoke entering the bathroom to the outside through a vertical duct) is installed in the bathroom, so the bathroom door (1) opens inward due to the suction power of the exhaust fan.

화장실 문 손잡이(4)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의 개폐에 사용되는 연결바(7)에 의존하게 되며, 연결바(7)의 형태는 사각기둥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ure 2, the structure of the bathroom door handle (4) depends on the connecting bar (7) us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and the connecting bar (7) has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린더의 개방은 일반적으로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돌려서 개방하든지, 아니면 밑으로 밀어서 개방하는 구조이므로, 연결바(7)는 사각기둥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이를 그래도 활용하고자 한다. 실린더(5)의 연결바(7)와 연결클립(65)으로 고정시켜 연결선(63)이 문(1)의 내부에서 하단 개방장치(60)와 연결되고, 실린더(5)와 동일한 동작으로 작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곳을 고정시켜 혹시 하나가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여 보조적으로 설치한다. 또한 연결선(6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선 방향유지틀이 설치되어 질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er is generally opened by turning the handle to the right or pushing downward, so the connecting bar 7 takes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so it is still intended to be used. By fixing the cylinder (5) with the connection bar (7) and connection clip (65), the connection line (63) is connected to the bottom opening device (60) inside the door (1) and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cylinder (5). It has a structure that i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wo locations are fixed and auxiliary installed in case one does not work. Additionally, a connection line direction maintenance frame may be installed to prevent the connection line 63 from being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장실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22)와, 세대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3)에서 감지된 화재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21)와, 화재감지기(3)에서 감지된 연기농도가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하는지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20)와, 설정된 농도값 초과, 이하여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알림신호를 송출하는 알림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22 that detects whether the bathroom door is opened or closed, a receiver 21 that receives a fire signal detected by a fire detector 3 installed in the household, and a sensor 21 that receives a fire signal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3 installed in the househol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20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moke concentration exceeds or is below a set concentration value, and a notification means 30 that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regar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smoke concentration exceeds or i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예를 들어 화재가 감지되고 화장실 문이 닫혀 있으며, 연기농도값이 설정된 농도값 이하인 경우 알림수단은 “화재가 발생되었고 화장실문을 하단 개방장치(60)를 통해 개방해 주세요”라는 음성알림을 송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fire is detected, the bathroom door is closed, and the smoke concentration value i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the notification means transmits a voice notification saying, “A fire has occurred, please open the bathroom door through the bottom opening device (60).” can do.

그리고 재실자는 설정된 농도값 이하인 경우, 화장실 문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하단 개방장치(60)의 손잡이(61)를 회전시켜 연결바(7)의 회전에 의해 화장실 문(1)을 개방하게 되며, 연기는 배기팬(10)을 통해 화장실을 통해 배출되어 수직덕트를 통해 배연되게 된다. If the concentration i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the occupant leans or crawls toward the bathroom door and then rotates the handle 61 of the lower opening device 60 to open the bathroom door 1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7. It is opened, and smoke is discharged through the toilet through the exhaust fan 10 and discharged through the vertical du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장실 문에 설치된 개폐장치와 연동되어 구성, 작동될 수 있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부착 배연문을 통한 배연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부착 배연문을 통한 배연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gured and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on the bathroom door. First, Figure 5 shows a front view of a smoke exhaust device through a smoke exhaust door attach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6 show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of the smoke exhaust device through the smoke smoke door attached to the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부착 배연문을 통한 배연장치(100)는, 화장실문(1)의 상부측의 제1개방부에 설치되는 제1개폐장치(30)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smoke exhaust device 100 through the smoke smoke door attached to the toil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on the upper side of the toilet door 1.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30) and a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it.

또한, 세대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3)에서 감지된 화재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수신부(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과 문(1)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질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ing unit (21) that receives a fire signal detected by a fire detector (3) installed in the household. This receiving unit 21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door frame 2 and the door 1, as shown in FIG. 5.

그리고 제어부(20)는 수신부(21)에서 화재신호를 수신받고, 연기농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개폐장치(30)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화장실문(1)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nd the control unit 20 is configured to receive a fire signal from the receiver 21 and op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30 when the smoke concentration exceeds the set value.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22 that detects whether the bathroom door 1 is opened or closed.

따라서 제어부(20)는 수신부(21)가 화재신호를 수신받고, 센서(22)에 의해 화장실문(1)의 닫힘을 감지하고, 연기농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개폐장치(30)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Therefore, the control unit 20 receives the fire signal from the receiver 21, detects the closing of the toilet door 1 by the sensor 22, and, when the smoke concentration exceeds the set valu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30 ) is controlled to open.

또한, 제1개폐장치(30)는 그릴 형태의 프레임과, 이러한 프레임의 개방단 각각에 설치되는 제1개폐부재(31)와, 제1개폐부재(31)를 구동시키는 서보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30 includes a grill-shaped frame, a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 installed at each open end of the frame, and a servo motor that drive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1. It can be.

또한, 수신부(21)는 세대의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수신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시가 아닌 정상상태에서도, 제어부(20)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제1개폐장치(30)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온도가 35 ~ 40℃ 범위인 경우 실내의 더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냉방부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receiver 2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household. Therefore, even in a normal state other than a fire,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first switch 30 to be opened when the temperature valu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For example, if the indoor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35 to 40℃, it may play a role in reducing the cooling load by discharging hot indoor air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시, 화재감지기(3)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화장실문(1)에 설치되는 배연장치(100)의 수신부(21)로 전송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 detector 3 detects the fire and transmits the fire signal to the receiver 21 of the smoke exhaust device 100 installed in the bathroom door 1.

그리고 화재감지기(3)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컨트롤러가 화재가 발생된 세대 내의 제연댐퍼를 개방시키고, 비화재 발생 세대들 내의 제연댐퍼를 닫도록 제어하게 된다. A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3, the controller controls to open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household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o close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households where the fire did not occur.

제1개폐장치(30)가 개방되면, 연기를 포함한 화장실 밖 실내 공기가 제1개방부를 통해 화장실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화장실 내에 설치된 배기팬(10)에 의해 수직덕트로 흡입되게 된다. 또한 화재 세대 내의 제연댐퍼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수직덕트로 흡입된 연기는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30 is opened, indoor air outside the bathroom, including smoke, flows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introduced air is sucked into the vertical duct by the exhaust fan 10 installed in the bathroom. Additionally, since the smoke control damper inside the fire house is open, the smoke sucked into the vertical duc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부착 배연문을 통한 배연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개폐장치(40)가 회전됨에 따른 스프링 핀의 이동을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정상상태에서의 스프링핀과 걸림쇠의 결합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형 배기팬(10)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부착 배연문을 통한 배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7 shows a front view of a smoke exhaust device through a smoke exhaust door attached to a toil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to 8C are front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pring pin a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hows the spring pin and the latch in a normal state. It shows the degree of coupling. In addition, Figure 10 shows a block diagram of an inverter-type exhaust fa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shows a flow chart of a smoke exhaust method through a toilet-mounted smok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개폐장치(30), 수신부(21), 제어부(20) 등을 전부 그대로 포함하면서, 제2개폐장치(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개폐장치(40)는 제1개방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above-mentioned first embodiment,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includes all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30), the receiving unit (21), the control unit (20), etc.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opening.

제어부(20)는 화재시 이러한 제2개폐장치(4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제2개폐장치(40)의 개폐제어는 화재감지기(3)의 화재신호와 연동되기 보다, 화장실 내의 배기팬(10)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2개폐장치(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to be opened in the event of a fire.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by detecting that the exhaust fan (10) in the bathroom rotates at high speed, rather than being linked to the fire signal of the fire detector (3). do.

이러한 화장실 내에 설치되는 배기팬(10)의 팬블레이드는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재료가 적용되며, 배기모터(11)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기(3)와 연동되어, 평상시(비화재지)에는 배기모터(11)가 저속으로 운정되나,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감지기(3)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고속으로 운전되도록 설계되며, 배기팬(10)의 고속 회전에 의해 화장실 문이 닫힐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12)형 배기팬(1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The fan blade of the exhaust fan (10) installed in such a bathroom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high heat, and the exhaust motor (11) is linked to the sensor (3) installed indoors, so that exhaust is discharged in normal times (non-fire areas). The motor 11 operates at low speed, but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design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fire detector 3 and operate at high speed, and the bathroom door can be closed by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exhaust fan 10. Therefore, as shown 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it is composed of an inverter 12 type exhaust fan 10 whose rotation speed can be controlled.

즉, 화장실 내의 배기팬(10)은 인버터(12)형 팬으로 구성되며, 화재감지기(3)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 배기팬(10)의 배기모터(11)는 특정속도 이상으로 회전(고속회전)되며, 제어부(20)는 수신부(21)에서 배기모터(11)가 특정속도 이상의 값을 수신받는 경우, 제2개폐장치(40)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That is, the exhaust fan 10 in the bathroom is composed of an inverter 12 type fan, a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3, the exhaust motor 11 of the exhaust fan 10 rotates at a certain speed or more ( (rotates at high speed), and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second opening/closing device 40 to open when the exhaust motor 11 receives a value exceeding a certain speed from the receiving unit 21.

보다 구체적으로 제2개폐장치(40)는 도 7,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1), 회전모터(42), 회전체(43), 연결축(44), 걸림쇠(45), 스프링(46), 스프링핀(47), 고정핀(48), 방화 천스크린(4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7 and 8A to 8C,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includes a frame 41, a rotation motor 42, a rotating body 43, a connecting shaft 44, and a latch ( 45), spring 46, spring pin 47, fixing pin 48, fireproof cloth screen 49, etc.

프레임(41)은 제2개방부에 십자 형태로 설치된다. 회전모터(42)는 이러한 프레임(41)의 십자 교차부분에 설치된다. 그리고 스프링 걸림쇠(45) 각각은 회전모터(42)에 대해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ㄷ자 단면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스프링 걸림쇠(45) 각각은 연결축(44)에 의해 회전모터(42)에 결합되어 진다. 따라서, 회전모터(42)의 회전에 의해 연결축(44)과 걸림쇠(45)가 연동되어 회전되게 된다. The frame 41 is installed in a cross shape in the second opening. The rotation motor 42 is installed at the cross section of the frame 41. And each of the spring catches (45) is install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motor (42) and is configured to have a U-shaped cross-section, and each of these spring catches (45) is coupled to the rotation motor (42) by a connecting shaft (44). Lose. Accordingly, the connecting shaft 44 and the lock 45 are interlocked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otor 42.

또한, 각각의 스프링(46) 일측 끝단은 제2개방부 테두리 모서리에 고정핀(48)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 끝단은 스프링핀(47)에 고정되어 평상시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프링핀(47)은 스프링(46) 타측 끝단 각각에 구비되며 비화재시 걸림쇠(45) 내에 고정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방화 천 스크린(49)은 스프링(46) 각각에 결합되며 비화재시 제2개방부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one end of each spring 46 is fixed to the edge edge of the second opening by a fixing pin 48,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pring pin 47 to store elastic energy in normal times. In addition, the spring pin 47 is provided at each other end of the spring 46 and is configured to be fixedly inserted into the latch 45 in the event of a fire. In addition, the fireproof cloth screen 49 is coupled to each of the springs 46 and is configured to close the second opening in the event of a fire.

제어부(20)는 배기모터(11)가 특정속도 이상의 값을 수신받는 경우, 회전모터(42)가 개방단의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도 7, 도 8a 내지 도 8c 기준으로 시계방향)하여 스프링핀(47)이 걸림쇠(45)에서 탈착되어,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해 방화 천 스크린(49)을 테두리 측으로 이동시켜 제2개방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When the exhaust motor 11 receives a value exceeding a certain speed, the control unit 20 rotates the rotation motor 4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open end (clockwise based on FIGS. 7 and 8A to 8C). ), the spring pin 47 is detached from the latch 45, and the fire retardant screen 49 is moved to the edge si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6, thereby opening the second opening.

또한, 걸림쇠(45)는 판형의 회전체(43) 상에 결합되며, 회전모터(42)는 회전체(43)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42)가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 수동으로 회전체(43)를 회전시켜 스프링핀(47)을 걸림쇠(45)에 탈착시켜 제2개방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atch 45 is coupled to the plate-shaped rotating body 43, and the rotation motor 42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ng body 43. Therefore, when the rotation motor 42 does not operate normally, the second opening can be opened by manually rotating the rotating body 43 to attach and detach the spring pin 47 from the latch 4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부착 배연문을 통한 배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exhausting smoke through a smoke smoke door attached to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화재감지기(3)에서 화재를 감지하게 되고(S1), 화재가 감지되면, 컨트롤러가 화재가 발생된 세대 내의 제연댐퍼를 개방시키고, 비화재 발생 세대들 내의 제연댐퍼를 닫도록 제어한다(S2). First, the fire detector 3 detects a fire (S1), and when a fire is detected, the controller controls to open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household where the fire occurred and close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households where the fire did not occur ( S2).

그리고 화재신호는 화장실문(1)에 설치되는 배연장치(100)의 수신부(21)로 전송되고, 화재신호는 배기팬(10)에서도 전송받게 된다. Then,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21 of the smoke exhaust device 100 installed on the bathroom door 1, and the fire signal is also transmitted from the exhaust fan 10.

화재신호를 전송받으면 화장실 내 배기팬(10)은 특정속도 이상 즉 고속으로 회전되게 된다(S3). 배기팬(10)의 고속회전에 의해 화장실문(1)이 닫힐 수 있다. When a fire signal is transmitted, the exhaust fan 10 in the bathroom rotates at a certain speed or higher (S3). The bathroom door (1) can be closed by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exhaust fan (10).

그리고 센서(22)에서 화장실 문의 닫힘을 감지하게 되고(S4), 연기농도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S5), 알림수단(50)은 화장실 문이 닫혀 있으며 화장실문을 개방하라는 음성알림을 송출할 수 있다. 재실자는 이러한 경우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화장실 문(1)으로 이동하여 화장실 문의 하단 개방장치(60)를 통해 화장실 문을 개방시키게 된다(S6). Then, the sensor 22 detects that the bathroom door is closed (S4), and when the smoke concentration is below the set value (S5), the notification means 50 can transmit a voice notification that the bathroom door is closed and to open the bathroom door. there is. In this case, the occupant moves to the bathroom door (1) by leaning or crawling and opens the bathroom door through the bottom opening device (60) of the bathroom door (S6).

화장실 문이 개방되면 연기는 화장실로 유입되어 배기팬(10)에 의해 수직덕트를 통해 배연되게 된다. When the bathroom door is opened, smoke flows into the bathroom and is exhausted through the vertical duct by the exhaust fan 10.

그리고 연기농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제1개폐장치(30)를 구동하여 제1개방부를 개방하고, 수신부(21)에서 배기모터(11)가 특정속도 이상의 값을 수신받는 경우, 제2개방부에 설치된 제2개폐장치(40)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S7). And when the smoke concentration exceeds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20 drive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30 to open the first opening, and the exhaust motor 11 receives a value exceeding a certain speed from the receiving unit 21. In this cas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is controlled to open (S7).

그리고 연기를 포함한 화장실 밖 실내 공기가 제1개방부, 제2개방부를 통해 화장실 내로 유입된다(S8). And the indoor air outside the bathroom, including smoke, flows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S8).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화장실 내에 설치된 고속회전되는 배기팬(10)에 의해 수직덕트로 흡입되게 된다. 또한 화재 세대 내의 제연댐퍼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수직덕트로 흡입된 연기는 외부로 배출되게 되게 된다(S9). And the introduced air is sucked into the vertical duct by the high-speed rotating exhaust fan 10 installed in the bathroom. Additionally, since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fire house is open, the smoke sucked into the vertical duc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9).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mposed.

1:화장실문
2:문틀
3:화재감지기
4:손잡이
5:개폐 실린더
6:잠금바
7:연결바
10:배기팬
11:배기모터
12:인버터
20:제어부
21:수신부
22:센서
30:제1개폐장치
31:제1개폐부재
40:제2개폐장치
41:프레임
42:회전모터
43:회전체
44:연결축
45:스프링걸림쇠
46:스프링
47:스프링핀
48:고정핀
49:방화 천 스크린
50:알림수단
60:하단 개방장치
61:하부 손잡이
62:고정단
63:연결선
64:체결부재
65:연결클립
100: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
1:Toilet door
2:Door frame
3:Smoke detector
4:Handle
5: Open and close cylinder
6:Lock bar
7:Connecting bar
10: Exhaust fan
11: Exhaust motor
12:Inverter
20: Control unit
21: Receiving unit
22:Sensor
30: First switchgear
31: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 Second switchgear
41:Frame
42: Rotation motor
43: Rotating body
44: Connecting shaft
45: Spring lock
46: spring
47: Spring pin
48: fixing pin
49:Firestop cloth screen
50: Notification means
60: Bottom opening device
61: Lower handle
62:Fixed end
63:connection line
64: Fastening member
65: Connection clip
100: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ion

Claims (12)

화장실 문의 개폐실린더 내의 잠금바를 회전에 의해 삽입, 돌출시키는 연결바;
상기 화장실 문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를 회전시켜 상기 화장실 문을 개폐시키는 하단 개방장치; 및
상기 하단 개방장치와 상기 연결바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 재실자가 상기 하단 개방장치를 통해 화장실 문을 개방시키고,
상기 연결수단은, 사각단면의 상기 연결바의 복수의 면 각각에 설치되는 연결클립과, 연결선 상부 끝단을 상기 연결클립 각각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연결선 하부 끝단각각이 상기 하단 개방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
A connecting bar that inserts and protrudes the locking bar in the bathroom door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by rotation;
A lower opening device installed on one lower side of the bathroom door and opening and closing the bathroom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on bar; and
Including a connecting means connecting the bottom opening device and the connecting bar,
In the event of a fire, the occupant opens the bathroom door through the lower opening device,
The connection means includes a connection clip installed on each of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connection bar of a square cross-section,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to each of the connection clips, and each low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being fixed to the bottom opening device.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exhausting smoke, comprising a fixed en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 재실자는 화장실 문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상기 하단 개방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실 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
According to clause 1,
In the event of a fire, the occupant leans or crawls toward the bathroom door, then rotates the handle of the lower opening device to open the bathroom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Opening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세대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화재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연기농도가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하는지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설정된 농도값 초과, 이하여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알림신호를 송출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농도값 이하인 경우, 재실자는 화장실 문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상기 하단 개방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실 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
According to clause 3,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bathroom door is opened or closed, a receiver that receives a fire signal detected by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the household,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moke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exceeds or is below a set concentration value; It includes a notif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about information on exceeding or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If the concentration value i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the occupant leans or crawls toward the bathroom door and then rotates the handle of the lower opening device to open the bathroom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화장실 문에 구비되는 제1개방부; 상기 제1개방부에 설치되는 제1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화장실 문의 닫힘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개폐장치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
According to clause 4,
A first opening provided in the bathroom door; It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The control unit open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when the set concentration value is exceeded and the sensor detects that the bathroom door is clos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내의 배기팬은 인버터 팬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배기팬의 배기모터는 특정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개방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개방부; 및
상기 제2개방부에 설치되는 제2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배기모터가 특정속도 이상의 값을 수신받는 경우, 상기 제2개폐장치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exhaust fan in the bathroom consists of an inverter fan, a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the exhaust motor of the exhaust fan rotates at a certain speed or more,
a second opening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opening; and
It include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part,
The control unit opens the toilet door cylinder for smoke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centration value exceeds the set value and the exhaust motor receives a value exceeding a specific speed from the receiver,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ontrolled to be opened. Device.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방장치; 및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세대 내의 제연댐퍼를 개방시키고, 비화재 발생 세대들 내의 제연댐퍼를 닫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통한 배연시스템.
The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6; a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a fire detector, a controller that controls to open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household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o close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units where the fire did not occur. A toilet door for smoke exhaust, comprising a. Smoke exhaust system through cylinder opening device.
화재시, 공동 주택에 대한 배연방법에 있어서,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세대 내의 제연댐퍼를 개방시키고, 비화재 발생 세대들 내의 제연댐퍼를 닫도록 제어하는 단계;
화장실 문이 닫힌 경우, 재실자는 화장실 문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방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연결바의 회전에 의해 화장실 문을 개방시키는 단계; 및
화재 연기가 화장실 내의 배기팬을 통해 수직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통한 배연방법.
In case of fire, in the smoke prevention law for apartment buildings,
When a fire is detected by a fire detector, controlling to open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household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o close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households where the fire did not occur;
When the bathroom door is closed, the occupant leans or crawls toward the bathroom door, then rotates the handle of the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paragraphs 1 and 3 to 6, thereby opening the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Opening the bathroom door; and
A method of exhausting fire through a bathroom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discharge, comprising the step of discharging fire smoke to the outside through a vertical duct through an exhaust fan in the bathroom.
제 8항에 있어서,
수신부가 화재감지기에서 측정된 연기 농도와, 화장실의 개폐여부 감지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및
알림수단이 설정된 농도값 초과, 이하여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알림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통한 배연방법.
According to clause 8,
A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smoke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fire detector and a detection signal for whether the toilet is open or closed; and
A method of exhausting smoke through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exhausting smoke, comprising the step of the notification means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about information on exceeding or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농도값 이하인 경우, 재실자는 화장실 문 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기어서 이동한 후, 상기 하단 개방장치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실 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통한 배연방법.
According to clause 9,
If the concentration value is below the set concentration value, the occupant leans or crawls toward the bathroom door and then rotates the handle of the lower opening device to open the bathroom door by rotating the connecting bar. Exhaust exhaust method using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화장실 문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상기 화장실문의 닫힘을 감지하고, 상기 설정된 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가 제1개폐장치를 구동하여 제1개방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연기를 포함한 화장실 밖 실내 공기가 제1개방부를 통해 화장실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화장실 내에 설치된 배기팬에 의해 수직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통한 배연방법.
According to clause 10,
When the closing of the bathroom door is detected by a sensor installed on the bathroom door and the concentration value exceeds the set value,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driv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open the first opening; and
Indoor air outside the toilet containing smoke is introduced into the toilet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vertical duct by 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toilet. Exhaust exhaust method using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내의 배기팬은 인버터 팬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배기팬의 배기모터는 특정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며,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배기모터가 특정속도 이상의 값을 수신받는 경우, 상기 제1개방부의 하부측의 제2개방부에 설치된 제2개폐장치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을 위한 화장실 도어 실린더 개방장치를 통한 배연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exhaust fan in the bathroom consists of an inverter fan, a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the exhaust motor of the exhaust fan rotates at a certain speed or more,
For smoke exhaus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p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opening when the exhaust motor receives a value exceeding a specific speed from the receiving unit. Exhaust exhaust method using a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KR1020220057346A 2022-05-10 2022-05-10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 KR1026861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46A KR102686175B1 (en) 2022-05-10 2022-05-10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46A KR102686175B1 (en) 2022-05-10 2022-05-10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755A KR20230157755A (en) 2023-11-17
KR102686175B1 true KR102686175B1 (en) 2024-07-19

Family

ID=8896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346A KR102686175B1 (en) 2022-05-10 2022-05-10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617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180B1 (en) * 2019-08-01 2020-02-11 이성민 Fire prot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314B1 (en) 2011-06-30 2012-03-05 주식회사 에어패스 Ventilating apparatus with smoke removal function on fire
KR20130024575A (en) * 2011-08-31 2013-03-08 김도현 Fire door with way out
KR200470058Y1 (en) * 2011-12-26 2013-11-29 강민구 Safety device of a fire exit
KR101596913B1 (en) 2015-07-13 2016-02-23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re door having a function for preventing and exhausting fire smoke
KR101624547B1 (en) 2015-08-24 2016-05-26 정연태 Smoke control system for apartment house
KR101904816B1 (en) 2018-08-09 2018-10-05 황명준 A Manufacturing Machine for Auto Opening Clos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180B1 (en) * 2019-08-01 2020-02-11 이성민 Fire prot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755A (en)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7881B2 (en) Protective bed unit
KR101202403B1 (en) Multi-function complex damper for ventilation and fire
KR101610281B1 (en)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KR101306151B1 (en) Restroom system of high-rise building as fire-refuge compart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242179B1 (en) method of fire smoke control of building
KR20070001065U (en) Smoke control method using air curtain device and its device
KR101402304B1 (en) Proportional Control Systems of Air Supply Damper at Smoke Control Room
KR1022631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elter for the Old and the Infirm
US7670216B2 (en) Automatic closure pressure equilizer
KR102580522B1 (en) Apparatus for exhausting smoke installed at toilet door
KR102686175B1 (en) Toilet door cylinder opening device for smoke exhaust
KR101549219B1 (en) air curtain for exhausting smoke equipped side guide
KR101826906B1 (en) Fire ventilation open and close apparatus
KR200447730Y1 (en) A flame protector device for apartment
KR102073356B1 (en) Fire emergency evacuation safety system with air supply and air suction adjustment
JP2017223103A (en) Differential pressure relaxation type quick operation double hinged door
KR102627547B1 (en) Folding type fireproof door
CN213627319U (en) Double-leaf wooden fireproof door with glass
KR101511607B1 (en) Device for shutting and rolling the dometic fire protecting screen shutter
KR102732282B1 (en) Smoke control system for firefighting and firefighting zones in multi-unit dwellings
KR102212160B1 (en) Fire Shutter for Vessel
KR101591231B1 (en) Emergency gate with evacuation space
JPH11200722A (en) Door having draft function
CN218542039U (en) Fireproof escape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CN218177080U (en) High fire protection system door and window of secu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