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1613B1 - 지붕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지붕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1613B1
KR102681613B1 KR1020230130502A KR20230130502A KR102681613B1 KR 102681613 B1 KR102681613 B1 KR 102681613B1 KR 1020230130502 A KR1020230130502 A KR 1020230130502A KR 20230130502 A KR20230130502 A KR 20230130502A KR 102681613 B1 KR102681613 B1 KR 102681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assembly
plate
protrus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태
강동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 강재
(주)디에스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 강재, (주)디에스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 강재
Priority to KR102023013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1613B1/ko
Priority to KR1020240080882A priority patent/KR2025004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16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24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 E04D3/3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38Fasteners comprising several coa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41Series of easily separabl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지붕 패널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지붕 패널 조립체는, 기 설치되어 있는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덧씌워지는 지붕 패널 조립체로서,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요철 구조의 철부 상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철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1 조립부가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조립식 강판; 및 상기 제1 조립부 측에서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차례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을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식 강판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조립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립부 상에 노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의 상단은,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가 상기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시, 상기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붕 패널 조립체{Roof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지붕 패널 조립체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노후화된 외장 패널의 강도 보강은 물론, 누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지붕 패널 조립체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패널은 광전 효과를 이용하여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즉, 태양광 패널은 환경 오염 등을 야기하는 탄소 발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로, 청정의 천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최근,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태양광 패널 또한 농지, 경사지, 도로, 건축 구조물 및 지붕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다.
이때, 태양광 패널을 지붕에 설치하는 경우, 기 설치되어 있는 지붕에 의하여 태양광 패널이 지지되는 구조로, 태양광 패널을 지붕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지붕과 같은 구조물 상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후, 오랜 시간이 경과되면,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붕이 노후화되어, 태양광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즉, 지붕과 같은 구조물 상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후, 오랜 시간이 경과되면,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붕의 강도가 약화되고 누수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노후화된 외장 패널의 강도 보강은 물론, 누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지붕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붕 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붕 패널 조립체는, 기 설치되어 있는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덧씌워지는 지붕 패널 조립체로서,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요철 구조의 철부 상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철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1 조립부가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조립식 강판; 및 상기 제1 조립부 측에서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차례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을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식 강판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조립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립부 상에 노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의 상단은,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가 상기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시, 상기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강판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되는 방향으로 골과 마루로 이루어진 요철 구조를 가지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다른 철부 상에는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된 고정 볼트의 머리 부분이 돌출되고, 상기 마루는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다른 철부에 덧씌워지되, 상기 다른 철부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 볼트의 머리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다른 철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조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1-1 경사부, 상기 제1-1 경사부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되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1 돌출부, 상기 제1-1 돌출부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1 돌출부와 단차를 이루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1 돌출부와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1-2 돌출부, 상기 제1-2 돌출부의 길이 방향 하단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1-2 경사부 및 상기 제1-2 경사부의 길이 방향 하단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2-1 경사부, 상기 제2-1 경사부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와 상하 이격되는 수평면을 가지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되 상기 제2-1 경사부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의 끼움 결합 시,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끼움 홈에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부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다단 절곡되되 최종 단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 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절곡부의 길이 방향 끝단은 상기 플레이트 몸체와 이격되거나 합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U'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의 하측에 이격되는 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의 끼움 결합 시,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끼움 홈에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 몸체는 관통 유도 홈을 가지며, 상기 관통 유도 홈은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하여 관통되는 부분으로,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 캡은 상기 고정 볼트의 머리 부분이 은폐되도록,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다른 철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캡은, 상기 다른 철부의 상면을 캡핑하며, 상기 고정 볼트의 머리 부분이 수용되는 수용 홈을 구비하는 캡 몸체; 및 상기 다른 철부의 측면을 캡핑하며, 상기 캡 몸체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캡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캡은 볼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캡 날개에 형성되며, 곡률 변화를 통하여 상기 캡 날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 부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되 서로 연결되지 않는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을 포함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를 바닥면으로 하고, 상기 끼움부를 벽면으로 하는 제1 수용 홈이 제공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단에 밀착되는 상기 제1 조립부의 상단에는 상기 수평부를 바닥면으로 하고,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를 벽면으로 하는 제2 수용 홈이 제공되며, 고정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제2 수용 홈에 배치되며,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가 상기 제1 조립부의 양 측면을 조이는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클램프로부터 상기 제1 조립부의 양 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고정판에 의하여 상기 제1 수용 홈과 제2 수용 홈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 설치되어 있는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덧씌워지는 지붕 패널 조립체로서,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요철 구조의 철부 상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철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1 조립부가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조립식 강판; 및 상기 제1 조립부 측에서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차례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을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식 강판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조립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립부 상에 노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의 상단은,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가 상기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시, 상기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거 없이,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는 노후화된 외장 패널의 강도 보강은 물론, 누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지붕 패널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강도 보강을 통하여, 태양광 모듈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누수 문제 보완을 통하여, 조립 부위로 빗물 침투가 방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체결 부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보강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조립식 강판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조립식 강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체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조립식 강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에서 커버 캡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커버 캡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에서 조립식 강판의 마루에 체결 부재 및 커버 캡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보강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조립식 강판을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조립식 강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체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는 기 설치되어 있는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과 같은 외장 패널(10)에 덧씌워지는 패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장 패널(10)은 예를 들어, 지붕에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을 장시간 지지하고 있음에 따라 노후화된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노후화된 외장 패널(10)은 누수 문제와 강도 문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는 이러한 노후화된 외장 패널(10)에 대한 철거 없이, 노후화된 외장 패널(10)에 덧씌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태양광 패널을 장시간 지지함에 따라 약화된 외장 패널(1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이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노후화된 외장 패널(10)에 덧씌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는 보강 플레이트(110), 조립식 강판(120) 및 체결 부재(1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는,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과 같은 외장 패널(10)에 상기 지붕 패널 조립체(100)가 덧씌워지는 경우, 외장 패널(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외장 패널(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요철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장 패널(10)의 요철 구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철부 상에는 태양광 패널을 외장 패널(10) 상에 설치하기 위한 클램프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가 결합되는 철부에 하중에 집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외장 패널(10)에서 상기 철부의 강도가 가장 취약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는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외장 패널(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외장 패널(1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요철 구조에서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클램프가 결합되는 철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장 패널(1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요철 구조에서, 상기 클램프가 결합되는 철부 이외의 다른 철부 상에는 상기 외장 패널(10) 설치 시 이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된 고정 볼트(도 16의 11)의 머리 부분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고정 볼트(11)의 돌출된 머리 부분은 덧씌워지는 조립식 강판(120)에 의하여 은폐되거나 커버 캡(도 16의 240)에 의하여 캡핑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외장 패널(10)의 요철 구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철부 상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110) 상에는 조립식 강판(120)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 상에 보강 플레이트(110)와 조립식 강판(120)이 차례로 적층된 후, 조립식 강판(120) 측에서 관통 결합되는 체결 부재(130)에 의하여, 외장 패널(10), 보강 플레이트(110) 및 조립식 강판(120)이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노후화된 외장 패널(1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 몸체(111) 및 끼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는 상기 외장 패널(10)의 철부 상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는 상기 외장 패널(10)과 조립식 강판(120) 사이에서 상기 체결 부재(130)에 의하여 샌드위치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는 관통 유도 홈(111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 유도 홈(111a)은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유도 홈(111a)은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의 폭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 유도 홈(111a)은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에서 상기 체결 부재(130)의 관통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체결 부재(130)에 의하여 관통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관통 유도 홈(111a)은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의 표면에서 깊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 유도 홈(111a)은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식 강판(120)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 유도 홈(111a)에 도달된 체결 부재(130)는 플레이트 몸체(111)에서 가장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관통 유도 홈(111a)을 쉽고 빠르게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 유도 홈(111a)은 상기 체결 부재(130)의 관통 경로 상에 구비되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보강 플레이트(110)에 대한 상기 체결 부재(130)의 쉽고 빠른 관통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의 조립성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112)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플레이트 몸체(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 몸체(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끼움부(112)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 혹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는 이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끼움부(112)와 단차를 이룰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는 양단의 끼움부(112)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 플레이트(110)의 상단에는 플레이트 몸체(111)를 바닥면으로 하고, 이의 양단에 구비되는 끼움부(112)를 벽면으로 하는 제1 수용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용 홈에는 후술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가 덧씌워지는 형태로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조립부(122)의 상단에도 제1 수용 홈과 동일한 형태의 제2 수용 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부(112)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에, 후술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가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끼움부(112)에 상응되는 형태로 상기 제1 조립부(122)의 하측에 마련되는 끼움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 날개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날개부(113)는 플레이트 몸체(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끼움부(112)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 날개부(113)는 끼움부(112)의 하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양측의 플레이트 날개부(11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날개부(113)가 기울어진 각도는 외장 패널(10)의 철부의 양측 경사면 각도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가 외장 패널(10)의 철부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외장 패널(10)의 철부의 상면은 물론 측면까지 상기 보강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보강될 수 있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날개부(113)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끼움부(112)는 후술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의 형상에 따라, 제1 조립부(12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12)는 제1 절곡부(112a) 및 제2 절곡부(1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112a)는 플레이트 몸체(111)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곡부(112b)는 상기 제1 절곡부(112a)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다단 절곡될 수 있다. 이때, 다단 절곡되는 제2 절곡부(112b)의 최종 단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 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112)는 플레이트 몸체(111)와 개방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곡부(112b)의 다단 절곡된 최종 단, 즉, 길이 방향 끝단은 플레이트 몸체(111)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112)는 플레이트 몸체(111)와 폐쇄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곡부(112b)의 길이 방향 끝단은 플레이트 몸체(111)와 합체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몸체(111)는 'U'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몸체(111)는 후술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 하측에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장 패널(10) 상에 놓이게 되는 플레이트 몸체(111)가 'U'자 형태로 구비되면, 체결 부재(130)가 체결될 시, 외장 패널(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더욱 증가되어, 보강 플레이트(110)와 외장 패널(10) 간의 체결이 더욱 공고히 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12)는 플레이트 몸체(111)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기울어진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식 강판(120)은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과 일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 1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한 것일 뿐,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 120')은 일 방향으로 연속 조립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원하는 면적만큼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강판(120)은 판상으로 구비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강판(120)은 외장 패널(10) 상에 덧씌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식 강판(120)의 길이 방향 양단은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를 매개로 상기 외장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강판(120)은 몸체부(121), 제1 조립부(122) 및 제2 조립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21)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2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121)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골(120a)과 마루(120b)로 이루어진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21)는 두 개의 골(120a) 및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의 마루(120b)로 이루어진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강판(120)은 2골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골(120a)과 마루(120b)는 요철 구조를 가지는 외장 패널(10)에 맞춤형 혹은 안정적인 덧씌움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에는 외장 패널(10) 설치 시 이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된 고정 볼트(도 16의 11)의 머리 부분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장 패널(10)에 지붕 패널 조립체(10)를 덧씌우는 경우,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는 상기 고정 볼트(도 16의 11)가 체결되지 않은, 외장 패널(10)의 철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외장 패널(10)에 지붕 패널 조립체(10)를 덧씌우는 경우,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는 고정 볼트(도 16의 11)의 머리 부분이 위로 돌출되지 않은, 외장 패널(10)의 철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볼트(도 16의 11)의 머리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 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 볼트(도 16의 11)의 머리 부분은 상기 마루(120b)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루(120b)는 상기 고정 볼트(도 16의 11)가 체결되어 있는 철부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 볼트(도 16의 11)의 머리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덧씌워지는 철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 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 볼트(도 16의 11)의 머리 부분은 후술되는 커버 캡(도 16의 240)에 의하여 먼저 캡핑될 수 있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120b)는 후술되는 커버 캡(도 12의 240)에 덧씌워지는 형태로 끼움 결합이 가능한 다단 절곡된 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강판(120)은 2골 강판으로 구비되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강판의 골 간격 D1(도 1 참조)보다 긴 골 간격 D2를 가질 수 있다. 즉,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강판(120)의 골(120a)은 와이드 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조립부(122)는 상기 몸체부(121)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립부(1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가 외장 패널(10)에 덧씌워질 때, 외장 패널(10)의 철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조립부(122)에 수용되는 외장 패널(10)의 철부는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클램프가 결합되었던,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조립부(122)에 수용되는 외장 패널(10)의 철부는 고정 볼트(도 16의 11)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조립부(122)는 몸체부(121)의 마루(120b)와 같이, 골(120a)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립부(122)의 하측에는 외장 패널(10)의 철부가 수용되는 수용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가 외장 패널(10)에 덧씌워질 때, 상기 제1 조립부(122)는 하측으로, 외장 패널(10)의 철부 상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110)와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립부(122)는 외장 패널(10)의 철부 상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110)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가 외장 패널(10)에 덧씌워질 때, 상기 제1 조립부(122)는 상측으로,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와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조립부(122)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에 의하여 덧씌워지는 형태로,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는 일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1 조립부(122)는 제1-1 경사부(122a), 제1-1 돌출부(122b), 수평부(122c), 제1-2 돌출부(122d), 제1-2 경사부(122e) 및 날개부(122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경사부(122a)는 상기 몸체부(121)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 경사부(122a)는 상기 몸체부(121)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1 경사부(122a)는 제1 조립부(122)의 형성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경사부(122a)는 제1 조립부(122)의 하측에 마련되는 수용 홈의 깊이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1 경사부(122a)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 경사부(122a)는 상기 몸체부(12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 경사부(122a)는 상기 몸체부(121)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1 돌출부(122b)는 상기 제1-1 경사부(122a)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 돌출부(122b)는 상기 제1-1 경사부(122a)의 길이 방향 상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1 돌출부(122b)는 상기 몸체부(121)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가 외장 패널(10)에 덧씌워질 때, 상기 제1-1 돌출부(122b)는 하측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110)의 일측 끼움부(112)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1 돌출부(122b)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의 일측 끼움부(112)가 하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다단 절곡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1 돌출부(122b)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의 일측 끼움부(1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가 외장 패널(10)에 덧씌워질 때, 상기 제1-1 돌출부(122b)에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22c)는 상기 제1-1 돌출부(122b)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22c)는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1 돌출부(122b)의 길이 방향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122c)는 조립식 강판(120), 보강 플레이트(110) 및 외장 패널(10)을 차례로 관통하는 체결 부재(130)의 체결 개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부재(130)는 상기 수평부(122c) 상에서, 상기 수평부(122c)를 시점으로, 하측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부재(130)의 체결 완료 시, 수평부(122c) 상에는 상기 체결 부재(130)의 길이 방향 상단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조립부(122)는 이러한 체결 부재(130)의 길이 방향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부(122c)는 상기 제1-1 돌출부(122b)와 단차를 이룰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수평부(122c)는 상기 제1-1 돌출부(122b)의 길이 방향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122c)는 제1-1 돌출부(122b)와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1-2 돌출부(122d)의 길이 방향 상단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립부(122)의 상단에는 수평부(122c)를 바닥면으로 하고, 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1 돌출부(122b)와 제1-2 돌출부(122d)를 벽면으로 하는 제2 수용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조립부(122)는, 플레이트 몸체(111)를 바닥면으로 하고, 이의 양단에 구비되는 끼움부(112)를 벽면으로 하는 제1 수용 홈이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보강 플레이트(110)에 끼움 결합을 통하여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용 홈의 벽면을 이루는 상기 제1-1 돌출부(122b)와 제1-2 돌출부(122d)의 길이 방향 상단의 상측으로 돌출 높이는 체결 완료된 체결 부재(130)의 길이 방향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돌출부(122b)와 제1-2 돌출부(122d)에,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가 끼움 결합되더라도 상기 체결 부재(130)의 길이 방향 상단은 상기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의 하면에 비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수용 홈의 수평부(122c) 상에는 체결 부재(130)를 지지하는 고정판(13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35)의 하측면은 수평부(122c)와 접하고, 양측 벽면은 제1-1 돌출부(122b) 및 제1-2 돌출부(122d)와 접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붕 패널 조립체(100)에 클램프를 설치하는 경우, 제1 조립부(122)의 양 측면을 조이는 형태로 결합되는 클램프에 의하여, 제1 조립부(122)의 양 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힘에 의하여 제1 조립부(122)가 우그러지는 것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조립부(122)의 상단에 마련되는 제2 수용 홈에 고정판(13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클램프가 제1 조립부(122)에 결합되더라도 제1 조립부(122),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수용 홈을 이루는 제1-1 돌출부(122b), 수평부(122c) 및 제1-2 돌출부(122d)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10)의 변형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2 돌출부(122d)는 상기 수평부(122c)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 돌출부(122d)는 상기 수평부(122c)의 길이 방향 일단에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돌출부(122d)는 상기 몸체부(121)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가 외장 패널(10)에 덧씌워질 때, 상기 제1-2 돌출부(122d)는 하측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110)의 타측 끼움부(112)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2 돌출부(122d)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의 타측 끼움부(122)가 하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다단 절곡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2 돌출부(122d)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의 타측 끼움부(1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2 돌출부(122d)는 상기 제1-1 돌출부(122b)와 좌우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 돌출부(122d)와 제1-1 돌출부(122b)에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돌출부(122d)는 상기 제1-1 돌출부(122b) 및 수평부(122c)와 함께, 체결 완료된 체결 부재(130)의 길이 방향 상단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2 경사부(122e)는 상기 제1-2 돌출부(122d)의 길이 방향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 경사부(122e)는 상기 제1-2 돌출부(122d)의 길이 방향 하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 경사부(122e)는 상기 제1-1 경사부(122a)와 함께 제1 조립부(122)의 형성 높이 및 이에 따른 제1 조립부(122)의 하측에 마련되는 수용 홈의 수용 깊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 경사부(122e)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 경사부(122e)는 상기 제1-2 돌출부(122d)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2f)는 상기 제1-2 경사부(122e)의 길이 방향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2f)는 상기 제1-2 경사부(122e)의 길이 방향 하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122f)는 상기 제1-2 경사부(122e)의 길이 방향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122f)는 몸체부(121)와 동일한 높이를 이룰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조립부(123)는 길이 방향 일단에 제1 조립부(122)가 구비되는 몸체부(121)의 길이 방향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립부(123)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에 끼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조립부(123)는 제1 조립부(122)와 마찬가지로, 골(120a)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조립부(123)의 하측에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가 끼워지는 끼움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조립부(123)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100)는 일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2 조립부(123)는 제2-1 경사부(123a), 제2 돌출부(123b) 및 제2-2 경사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경사부(123a)는 상기 몸체부(121)의 길이 방향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1 경사부(123a)는 상기 몸체부(121)의 길이 방향 타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1 경사부(123a)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1 경사부(123a)는 상기 몸체부(12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1 경사부(123a)는 상기 몸체부(121)의 길이 방향 타단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1 경사부(123a)는 상기 제1-1 경사부(122a)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며, 기울어진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123b)는 상기 제2-1 경사부(123a)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123b)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에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끼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 12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2 돌출부(123b)는 제1 조립부(122)의 제1-1 돌출부(122b)와 제1-2 돌출부(122d)에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끼움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돌출부(123b)의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은 상기 제1-1 돌출부(122b) 및 제1-2 돌출부(122d)와 대응되도록 대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는 제2 돌출부(123b)의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에 상기 제2 돌출부(123b)가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123b)의 수평면은 제1 조립부(122)의 수평부(122c)와 상하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돌출부(123b)의 수평면과 제1 조립부(122c)의 수평부(122c)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체결 부재(130)의 길이 방향 상단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조립부(122) 상에 노출되는 체결 부재(130)의 길이 방향 상단은,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가 제1 조립부(122)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시,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다.
상기 제2-2 경사부(123c)는 상기 제2 돌출부(123b)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2 경사부(123c)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2 경사부(123c)는 상기 제2 돌출부(123b)의 길이 방향 일단에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경사부(123c)는 제2 돌출부(123bc)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2-2 경사부(123c)는 상기 제2-1 경사부(123a)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와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1 조립부(122')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우수한 조립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 부재(130)는 제1 조립부(122) 측에서 조립식 강판(120), 보강 플레이트(110) 및 외장 패널(10)에 차례로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립부(122),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조립부(122)의 수평부(122c) 상에는 체결 부재(130)를 고정하는 고정판(13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30)는 이러한 고정판(135)에 지지되면서, 조립식 강판(120), 보강 플레이트(110) 및 외장 패널(10)에 차례로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체결 부재(130)는 상기 조립식 강판(120), 보강 플레이트(110) 및 외장 패널(10)을 일체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완료 후, 상기 제1 조립부(122) 상에 노출되는 체결 부재(130)의 상단은,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가 상기 제1 조립부(122)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시,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 부재(130)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130)는 헤드부(131) 및 바디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는 체결 완료 시 상기 제1 조립부(122),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조립부(122)의 수평부(122c) 상으로 노출 혹은 돌출되며,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120')의 제2 조립부(123')에 의하여 은폐되는 체결 부재(130)의 길이 방향 상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32)는 상기 헤드부(131)의 하측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132)는 제1 나사산(132a) 및 제2 나사산(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산(132a)은 바디부(132)의 길이 방향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산(132b)은 바디부(132)의 길이 방향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나사산(132a)과 제2 나사산(132b)은 바디부(13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130)에 의하여 일체로 체결되는 외장 패널(10)과 조립식 강판(120)은 얇은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외장 패널(10)과 조립식 강판(120) 체결 시, 나사산이 바디의 길이 방향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를 사용하게 되면, 볼트가 완전히 체결될 때까지 상기 외장 패널(10)과 조립식 강판(120)에 계속적으로 체결 압력이 가해져, 외장 패널(10)과 조립식 강판(120)이 손상되거나 구조가 무너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나사산(132a)과 제2 나사산(132b)이 비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나사산(132a)이 형성되는 바디부(132)의 길이 방향 상단은 체결 완료 시, 고정판(135)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132a)의 형성 높이는 상기 고정판(135)의 두께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제2 나사산(132b)이 형성되는 바디부(132)의 길이 방향 하단은 외장 패널(10)이 고정되어 있는 건축 구조물의 내측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나사산(132a)과 제2 나사산(132b)이 형성되지 않는 바디부(132)의 길이 방향 일측은 체결 완료 시 외장 패널(10)과 조립식 강판(120)과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130)를 사용하여 얇은 두께의 외장 패널(10)과 조립식 강판(120)을 체결하게 되면, 외장 패널(10) 및 조립식 강판(120)과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바디부(132)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상기 체결 부재(130)가 헛돌게 되고, 이를 통하여, 체결 시에도 외장 패널(10)과 조립식 강판(120)의 모양과 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조립식 강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에서 커버 캡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의 커버 캡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200)는 보강 플레이트(110), 조립식 강판(220) 및 체결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조립식 강판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나머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강판(220)은 판상으로 구비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강판(220)은 외장 패널(10) 상에 덧씌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강판(220)의 몸체부(221)는 골(220a)과 마루(220b)로 이루어진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221)는 네 개의 골(220a), 및 골(220a)과 골(220a) 사이에 구비되는 세 개의 마루(220b)로 이루어진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강판(220)은 4골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골(220a)과 마루(220b)는 요철 구조를 가지는 외장 패널(10)에 맞춤형 혹은 안정적인 덧씌움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에는 외장 패널(10) 설치 시 이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된 고정 볼트(11)의 머리 부분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붕 패널 조립체(200)는 커버 캡(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캡(240)은 상기 고정 볼트(11)의 머리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커버 캡(240)은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 상으로 머리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 볼트(11)를 은폐시킬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캡(240)은 캡 몸체(241) 및 캡 날개(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몸체(241)는 상기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의 상면을 캡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 몸체(241)는, 다단 절곡되어, 상기 철부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 볼트(11)의 머리 부분이 수용되는 수용 홈을 하측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캡(240)이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용 홈에 상기 고정 볼트(11)의 머리 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캡 몸체(241)는 상기 철부의 상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캡 날개(242)는 상기 캡 몸체(241)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캡(240)은 캡 날개(242)를 통하여, 상기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캡 날개(242)는 상기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에 끼움 결합 가능한 형태 혹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철부에 끼움 결합되어 철부의 측면을 캡핑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캡(240)은 볼록부(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243)는 상기 캡 날개(242)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243)는 상기 캡 날개(242)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볼록부(243)는 성형 롤러 등을 통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곡률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243)의 곡률을 외력을 가해 변화시키면, 이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캡 날개(242)의 각도, 즉,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캡(240)을 외장 패널(10)의 철부에 결합시키는 경우, 커버 캡(240)의 양측 볼록부(243)를 안쪽으로 누르면, 양측 캡 날개(24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로, 커버 캡(240)을 외장 패널(10)의 철부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시킨 후, 양측 볼록부(243)를 누르는 힘을 제거해주면, 양측 캡 날개(242)가 오므라들면서 외장 패널(10)의 철부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장 패널(10)의 철부에 쉽고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는 커버 캡(240)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캡(240)이 끼움 결합되는 외장 패널(10)의 철부에는 조립식 강판(220)의 어느 한 마루(220b)가 덧씌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볼트(11)의 머리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외장 패널(10)의 철부에는 커버 캡(240)과 조립식 강판(220)의 마루(220b)가 이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도 보강은 물론, 누수 문제도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외장 패널(10)의 어느 한 철부 상에 보강 플레이트(110)가 위치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110)에 조립식 강판(220)의 어느 한 마루(220b)가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한 마루(220b)의 상면을 시점으로, 체결 부재(130)가 조립식 강판(120), 보강 플레이트(110) 및 외장 패널(10)에 관통 결합되어, 이들을 일체로 체결할 수 있고, 체결 완료 후 상기 어느 한 마루(220b)에는 커버 캡(240)이 캡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완료 후, 상기 어느 한 마루(220b) 상으로 노출되는 체결 부재(130)의 길이 방향 상단은 상기 커버 캡(240)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누수가 차단되고 부식이 방지 혹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강판(120)은, 홑 강판을 의미할 수도 있고, 샌드위치 판넬의 상부 강판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200; 지붕 패널 조립체 110; 보강 플레이트
111; 플레이트 몸체 111a; 관통 유도 홈
112; 끼움부 112a; 제1 절곡부
112b; 제2 절곡부 113; 플레이트 날개부
120, 220; 조립식 강판 120a, 220a; 골
120b, 220b; 마루 121, 221; 몸체부
122; 제1 조립부 122a; 제1-1 경사부
122b; 제1-1 돌출부 122c; 수평부
122d; 제1-2 돌출부 122e; 제1-2 경사부
122f; 날개부 123; 제2 조립부
123a; 제2-1 경사부 123b; 제2 돌출부
123c; 제2-2 경사부 130; 체결 부재
131; 헤드부 132; 바디부
132a; 제1 나사산 132b; 제2 나사산
135; 고정판 240; 커버 캡
241; 캡 몸체 242; 캡 날개
243; 볼록부

Claims (11)

  1. 기 설치되어 있는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덧씌워지는 지붕 패널 조립체로서,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요철 구조의 철부 상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철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1 조립부가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조립식 강판; 및
    상기 제1 조립부 측에서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차례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을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식 강판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조립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립부 상에 노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의 상단은,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가 상기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시, 상기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에 의하여 은폐되되,
    상기 조립식 강판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되는 방향으로 골과 마루로 이루어진 요철 구조를 가지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다른 철부 상에는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된 고정 볼트의 머리 부분이 돌출되고,
    상기 마루는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다른 철부에 덧씌워지되, 상기 다른 철부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 볼트의 머리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다른 철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조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1-1 경사부, 상기 제1-1 경사부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되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1 돌출부, 상기 제1-1 돌출부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1 돌출부와 단차를 이루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1 돌출부와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1-2 돌출부, 상기 제1-2 돌출부의 길이 방향 하단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1-2 경사부 및 상기 제1-2 경사부의 길이 방향 하단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타단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2-1 경사부, 상기 제2-1 경사부의 길이 방향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와 상하 이격되는 수평면을 가지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되 상기 제2-1 경사부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의 끼움 결합 시,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끼움 홈에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지붕 패널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다단 절곡되되 최종 단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 측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절곡부의 길이 방향 끝단은 상기 플레이트 몸체와 이격되거나 합체되는, 지붕 패널 조립체.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몸체는 관통 유도 홈을 가지며,
    상기 관통 유도 홈은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하여 관통되는 부분으로,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지는, 지붕 패널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커버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 캡은 상기 고정 볼트의 머리 부분이 은폐되도록,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다른 철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지붕 패널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캡은,
    상기 다른 철부의 상면을 캡핑하며, 상기 고정 볼트의 머리 부분이 수용되는 수용 홈을 구비하는 캡 몸체; 및
    상기 다른 철부의 측면을 캡핑하며, 상기 캡 몸체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캡 날개를 포함하는, 지붕 패널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캡은 볼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록부는, 상기 캡 날개에 형성되며, 곡률 변화를 통하여 상기 캡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지붕 패널 조립체.
  10. 기 설치되어 있는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덧씌워지는 지붕 패널 조립체로서,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요철 구조의 철부 상에 위치되는 보강 플레이트;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의 철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1 조립부가 길이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조립식 강판; 및
    상기 제1 조립부 측에서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에 차례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조립식 강판,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홑 강판 또는 샌드위치 패널을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식 강판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조립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립부 상에 노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의 상단은,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가 상기 제1 조립부에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시, 상기 이웃하는 조립식 강판의 제2 조립부에 의하여 은폐되되,
    상기 체결 부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되 서로 연결되지 않는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을 포함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지붕 패널 조립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를 바닥면으로 하고, 상기 끼움부를 벽면으로 하는 제1 수용 홈이 제공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단에 밀착되는 상기 제1 조립부의 상단에는 상기 수평부를 바닥면으로 하고, 상기 제1-1 돌출부와 제1-2 돌출부를 벽면으로 하는 제2 수용 홈이 제공되며,
    고정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제2 수용 홈에 배치되며,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가 상기 제1 조립부의 양 측면을 조이는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클램프로부터 상기 제1 조립부의 양 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고정판에 의하여 상기 제1 수용 홈과 제2 수용 홈의 형상이 유지되는, 지붕 패널 조립체.
KR1020230130502A 2023-09-27 2023-09-27 지붕 패널 조립체 Active KR102681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502A KR102681613B1 (ko) 2023-09-27 2023-09-27 지붕 패널 조립체
KR1020240080882A KR20250047568A (ko) 2023-09-27 2024-06-21 지붕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502A KR102681613B1 (ko) 2023-09-27 2023-09-27 지붕 패널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0882A Division KR20250047568A (ko) 2023-09-27 2024-06-21 지붕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1613B1 true KR102681613B1 (ko) 2024-07-04

Family

ID=919129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0502A Active KR102681613B1 (ko) 2023-09-27 2023-09-27 지붕 패널 조립체
KR1020240080882A Pending KR20250047568A (ko) 2023-09-27 2024-06-21 지붕 패널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0882A Pending KR20250047568A (ko) 2023-09-27 2024-06-21 지붕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816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670U (ja) * 1992-06-08 1994-03-18 大塚鈑金工業株式会社 再利用可能な屋根材
JP2001349010A (ja) * 2000-06-09 2001-12-21 Sanko Metal Ind Co Ltd 改修屋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670U (ja) * 1992-06-08 1994-03-18 大塚鈑金工業株式会社 再利用可能な屋根材
JP2001349010A (ja) * 2000-06-09 2001-12-21 Sanko Metal Ind Co Ltd 改修屋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47568A (ko) 2025-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8356B1 (en) Mounting bracket for solar panel applications
US3520100A (en) Rigid interlocking overlapping panel joint with a drain groove
US7546708B2 (en) Light transmission panels, retaining clip and a combination thereof
US6840020B2 (en) Valley truss clip
US10030392B2 (en) Subframe support for retrofit roof
KR102452995B1 (ko) 구조보강프레임이 구비된 지붕용 패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패널지붕
KR20140134788A (ko) 지붕에 대한 시설물 설치용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용마루 시공방법
US4089145A (en) Metal roof construction
US20070062135A1 (en) Corrugated shear panel and anchor interconnect system
KR101450581B1 (ko) 병행설치 및 볼록곡면 설치가 용이한 섬유보강 복합소재 바닥판
KR102681613B1 (ko) 지붕 패널 조립체
CN101668907B (zh) 预制屋面板单元
MX2007004266A (es) Panel de construccion y estructura de construccion.
KR101209843B1 (ko) 건축물 시스템
KR20250000559U (ko) 지붕 패널 조립체
JP3239681U (ja) 連棟型農業用温室の骨格構造
JP6628594B2 (ja) 折板屋根改修用金具
AU2019275605B2 (en) Integrated beam for corrugated sheet and integrated frame structure formed thereon
JP3220318U (ja) 嵌合式屋根材
KR20120062419A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2681615B1 (ko) 지붕 패널 조립체
KR102798000B1 (ko) 건축용 지붕 패널의 연결부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지붕 패널 간 연결 시공 방법
JP3688602B2 (ja) アーチ状湾曲屋根の構築方法
KR102144740B1 (ko) 대들보용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US20240191505A1 (en) Roof covering element, modular roofing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9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7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