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8951B1 -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 - Google Patents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8951B1
KR102678951B1 KR1020220183269A KR20220183269A KR102678951B1 KR 102678951 B1 KR102678951 B1 KR 102678951B1 KR 1020220183269 A KR1020220183269 A KR 1020220183269A KR 20220183269 A KR20220183269 A KR 20220183269A KR 102678951 B1 KR102678951 B1 KR 10267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ndible
wire
brace
maxill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8070A (ko
Inventor
박인출
Original Assignee
박인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출 filed Critical 박인출
Publication of KR2023009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89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장기 어린이의 입 호흡을 억제하는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좁은 위턱뼈를 확장하여 숨길을 넓혀줄 수 있고, 입 호흡을 억제함으로써 전반적인 호흡을 원활하게 촉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 {Orthodontics appliance installed in oral}
본 발명은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장기 어린이의 입 호흡을 억제하는 뇌발달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정과 관련해서는 턱뼈 교정, 치아 교정 두 가지가 있으며, 치아 교정은 삐뚤어진 치아 및 돌출된 앞니를 가지런하게 배열하는 것이고, 턱뼈 교정은 턱뼈의 비정상적인 구조를 정상화시키는 것이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는 턱뼈 교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치아교정은 주로 만 12세 전후에 진행하지만 50세 이상의 어느 나이에서나 할 수 있지만, 턱뼈 교정은 주로 성장기에 하기 때문에 교정을 진행하는 환자의 나이대가 중요하다.
성장기 어린 나이의 아동의 경우에 위턱뼈 성장이 부진하여 협소하거나 왜소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모유수유 부족이나 입 호흡 등의 원인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그렇게 되면 숨길 (airway)이 좁아져서 호흡이 원활하지 않고 산소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게 된다. 산소는 뇌 성장, 키 성장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산소가 부족하면 뇌 발달, 키 성장이 부진하게 되며, 이외에도 산소부족으로 인하여 면역력 저하, 암 발생률 증가 등 수많은 질병의 원인이 된다.
KR 10-2009-009615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위턱뼈 성장이 부진하여 협소하거나 왜소하게 되어 숨길 (airway)이 좁아져서 호흡이 원활하지 않고 산소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구강 내에 장착되는 교정기에 있어서, 좌우 어금니 부위의 상악골 및 하악골과, 뺨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협측판; 입천장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구개측판; 및 한 쌍의 상기 협측판과 상기 구개측판을 연결하여, 상기 구개측판을 고정하는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상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을 가로지르며 한 쌍의 상기 협측판에 연결되는 윗앞니순측 와이어; 및 상기 상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악골의 앞니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윗앞니순측 와이어와 마주보며 한 쌍의 상기 협측판에 연결되는 윗앞니설측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구개측판은,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에 대응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악골과 혀 사이에 배치되는 굴곡판; 한 쌍의 상기 협측판과 상기 굴곡판을 연결하는 굴곡판 와이어; 상기 골곡판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좌측 어금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되는 제1 아랫앞니설측 와이어; 및 상기 골곡판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우측 어금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되는 제2 아랫앞니설측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앞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의 영역과 입술 사이에 배치되는 입술패드; 및 한 쌍의 상기 협측판과 상기 입술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입술패드를 고정하는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입술패드는, 좌측 앞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의 영역과 상기 입술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분체; 및 우측 앞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의 영역과 상기 입술 사이에, 상기 패드분체와 이격 배치되는 제2 패드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을 가로지르며 한 쌍의 상기 협측판에 연결되는 아랫앞니순측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상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을 가로지르며 한 쌍의 상기 협측판에 연결되는 윗앞니설측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악골의 앞니를 사이에 두고 상기 아랫앞니순측 와이어와 마주보며 한 쌍의 상기 협측판에 연결되는 아랫앞니설측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앞니 부위의 상기 상악골의 영역과 입술 사이에 배치되는 입술패드; 및 한 쌍의 상기 협측판과 상기 입술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입술패드를 고정하는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입술패드는, 좌측 앞니 부위의 상기 상악골의 영역과 상기 입술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분체; 및 우측 앞니 부위의 상기 상악골의 영역과 상기 입술 사이에, 상기 패드분체와 이격 배치되는 제2 패드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좁은 위턱뼈를 확장하여 숨길을 넓혀줄 수 있고, 입 호흡을 억제함으로써 전반적인 호흡을 원활하게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사선방향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전방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상방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측방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의 협측판, 구개측판, 및 굴곡판이 배치되는 구강 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사선방향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전방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상방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의 협측판, 구개측판, 굴곡판, 및 입술패드가 배치되는 구강 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사선방향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전방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상방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의 협측판, 구개측판, 굴곡판, 및 입술패드가 배치되는 구강 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턱뼈는 크게 상악골 (위턱뼈), 하악골 (아래턱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악골은 비유전성 인자의 골격으로서 후천적으로 변화시키기 어렵지 않으나, 하악골은 유전적인 영향에 의존하기 때문에 변화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의 교정 대상은 상악골과 하악골이며, 특히 상악골을 그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전두엽은 대뇌의 CEO라 불릴 정도로 대뇌들 중 가장 중요하고, 전두엽을 제외하면 인간의 뇌는 맘모스나 침팬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전두엽의 주요 기능은 대표적으로 사람의 지능, 그리고 인성이나 인간관계에 관련되는 자기 조절 능력과, 인성이나 사람의 태도와 관련된 분노 억제 능력 등의 기능을 관장한다. 일반적으로 전두엽은 만 4 ~ 7세 사이에서 가장 크게 성장하고, 최근의 뇌 연구 결과에 따르면 15 ~ 16세 사춘기 때까지 성장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에 의한 최적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시기는 전두엽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만 4 ~ 5세 연령의 아동이며, 12세까지는 그 효과를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호흡은 성장기 아동뿐만 아니라, 생명을 유지하거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사항이며, 원활한 호흡을 위해서는 숨길이 (airway) 매우 중요하다. 숨길이 막혀있거나 협소하면 충분한 공기와 산소가 체내로 공급되지 않아 건강에 해로운 결과를 초래한다.
보통 숨길이 협소한 어린이들이 많으며, 이에 따라 숨길이 막히게 되어 코로 충분한 호흡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만큼 입으로 호흡을 하게 되고 이러한 입 호흡은 건강에 나쁜 영항을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상악골 및 하악골, 특히 좁은 상악골을 확장하여 숨길을 넓혀줄 수 있어서 입 호흡을 억제하고 전반적인 호흡을 원활하게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상악골을 확장할 수 있어서 입 호흡을 억제하고, 코 호흡을 개선해서 뇌포 산소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덧니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턱관절 질환 및 전체적인 얼굴모습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뇌발달 교정은 숨길 (airway)을 넓히는 교정으로서 숨길 중심 (Airway-centered orthodontics)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갖는 교정 영역에 해당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사선방향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전방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상방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측방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의 협측판, 구개측판, 및 굴곡판이 배치되는 구강 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구강 내에 장착되는 교정기에 있어서, 좌우 어금니 부위의 상악골 및 하악골과, 뺨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협측판(10), 입천장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구개측판(20), 및 한 쌍의 협측판(10)과 구개측판(20)을 연결하여, 구개측판(20)을 고정하는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구강 내에 장착되는 교정기로서, 상악골 및 하악골 구조의 교정, 산소공급 증가, 뇌발달 촉진, 학습능력 증대, 비염, 축농증, 코골이 개선 및 키성장 촉진 등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한 쌍의 협측판(10), 구개측판(20), 및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협측판(10)은 각각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된 부재이다. 그 중 하나(10a)는 좌측 어금니 부위의 상악골 및 하악골과, 뺨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10b)는 우측 어금니 부위의 상악골 및 하악골과, 뺨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협측판(10)의 양 판면 중 하나인 제1 면은 상악골 및 하악골을 동시에 마주보고, 다른 하나인 제2 면은 뺨의 안쪽을 마주보게 된다. 이때, 제1 면은 상악골 및 하악골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의 상부와 하부는 상악골 및 하악골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면은 뺨의 안쪽에 접촉될 수 있다.
협측판(10)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2개 이상의 분체로서 하나의 협측판(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상악골의 경우 바깥쪽의 뺨 근육과 안쪽의 혀가 도자기 빚듯이 빚어내는 작용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입 호흡 등의 이유로 혀의 작용이 저하되면 뺨 근육의 작용이 우세해지면서 상악골이 좁아지는 성장을 하게 되는데, 협측판(10)은 뺨 근육의 작용을 배제시킨다. 즉, 협측판(10)이 뺨 근육이 어금니 부위의 상악골 및 하악골을 안쪽으로 누르는 힘을 막는다. 이에 따라 상악골, 하악골의 측방 성장이 유도될 수 있다.
구개측판(20)은 입천장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부재이다. 구개측판(20)은 혀와 입천장 사이에 배치되는데, 입천장에 접촉될 수 있다. 구개측판(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 판면 중 제1 면은 입천장을 향해, 반대쪽 제2 면은 혀를 향해 배치되고, 여기서 제1 면이 입천장에 접촉될 수 있다. 구개측판(20)은 혀를 입천장으로 유도한다. 코 호흡을 하는 정상적인 혀의 말단 위치는 앞니 부위의 상악골 영역인데 반해, 입 호흡을 하는 경우에는 혀의 말단이 앞니 부위의 하악골 영역 등과 같은 비정상적 영역에 위치하게 한다. 구개측판(20)이 구강 내, 특히 입천장에 접촉되어 배치되면, 착용자는 이물감에 의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혀를 구개측판(20)에 접촉시키는 행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에 의해 혀의 움직임이 입천장으로 유도되고, 결과적으로 입 호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혀의 운동성이 향상되므로, 상악골 및/또는 하악골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힘을 증가시켜, 상악골 및/또는 하악골의 전방 및 측방 성장이 잘되도록 한다.
한편, 구개측판(20)에는 제1 면과 제2 면의 중심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21)는 혀를 구개측판(20)에 접촉시키는 행동을 보다 잘 유발한다. 여기서, 반드시 관통구(21)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2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블라인드 홀 (blind hole) 형태의 함몰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구개측판(20)의 제2 면에는 혀를 향해 돌출된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30)는 구개측판(20)을 고정하는 와이어이다. 여기서,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30)는 한 쌍의 협측판(10)과 구개측판(20)을 연결한다.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3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혀와 구개측판(20)이 접촉될 때에, 구개측판(20)이 입천장을 따라 슬라이딩되었다가, 혀와 구개측판(20)의 접촉이 해제되면 원 위치로 구개측란을 복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혀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유도된다.
또한,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30)는 한 쌍의 협측판(10)을 밀어낼 수 있다. 이로써, 상악골 및/또는 하악골의 측방 성장에 있어, 협측판(10)의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윗앞니순측 와이어(40), 및 윗앞니설측 와이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윗앞니순측 와이어(40)와 윗앞니설측 와이어(50)는 상악골의 앞니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한 쌍의 협측판(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윗앞니순측 와이어(40)는 좌측 협측판(10a)과 우측 협측판(10b)을 연결하되, 상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을 가로지르면서, 그 상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에 고정된다. 윗앞니설측 와이어(50)는 좌측 협측판(10a)과 우측 협측판(10b)을 연결하되, 상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을 가로지르면서, 그 상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앞니의 순측면은 입술을 바라보는 면이고, 설측면은 혀를 바라보는 면이다.
결국, 윗앞니순측 와이어(40), 및 윗앞니설측 와이어(50)에 의해, 한 쌍의 협측판(10)이 고정되고, 교정기가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굴곡판(60), 굴곡판 와이어(70), 제1 아랫앞니설측 와이어(80), 및 제2 아랫앞니설측 와이어(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굴곡판(60)은 하악골에 대응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된 부재로서, 하악골과 혀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골곡판의 외면은 하악골을 바라보고, 굴곡판(60)의 내면은 혀를 바라보게 된다. 여기서, 골곡판은 접촉되는 하악골 및 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굴곡판 와이어(70)는 한 쌍의 협측판(10)과 굴곡판(60)을 연결함으로써, 굴곡판(60)을 고정한다.
제1 아랫앞니설측 와이어(80), 및 제2 아랫앞니설측 와이어(90)는 각각 굴곡판(60)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어느 하나는 좌측의, 다른 하나는 우측의 어금니 부위의 하악골 방향으로 절곡되어, 하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사선방향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전방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상방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의 협측판, 구개측판, 굴곡판, 및 입술패드가 배치되는 구강 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의 한 쌍의 협측판(10), 구개측판(20), 및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30)를 포함한다.
또한, 윗앞니순측 와이어(40), 및 윗앞니설측 와이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굴곡판(60), 굴곡판 와이어(70), 굴곡판 와이어(70), 제1 아랫앞니설측 와이어(80), 및 제2 아랫앞니설측 와이어(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협측판(10), 구개측판(20),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30), 윗앞니순측 와이어(40), 윗앞니설측 와이어(50), 굴곡판(60), 굴곡판 와이어(70), 굴곡판 와이어(70), 제1 아랫앞니설측 와이어(80), 및 제2 아랫앞니설측 와이어(90) 등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추가로, 입술패드(100), 및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술패드(100)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로서, 앞니 부위의 하악골의 영역과 입술 사이에 배치된다. 입술패드(100)는 입술이 앞니 부위 하악골을 가압하는 힘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입술패드(100)로 인해, 앞니 부위 하악골의 전방 성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입술패드(100)는 하나로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앞니 부위의 하악골의 영역과 입술 사이에 제1 패드분체(100a)가 배치되고, 우측 앞니 부위의 하악골의 영역과 입술 사이에 제2 패드분체(10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분체(100a)와 제2 패드분체(100b)는 앞니 부위 하악골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좌우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110)는 입술패드(100)를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협측판(10)과 입술패드(100)를 연결하는 와이어이다. 이러한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110)에 의해 입술패드(100)가 고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사선방향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전방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상방에서 촬영한 이미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의 협측판, 구개측판, 굴곡판, 및 입술패드가 배치되는 구강 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의 한 쌍의 협측판(10), 구개측판(20), 및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30)를 포함하고,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아랫앞니순측 와이어(12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랫앞니순측 와이어(120) 는 하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을 가로지르며, 한 쌍의 협측판(10)을 연결하는 와이어이다. 이러한 아랫앞니순측 와이어(120)는 하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에 고정되어, 교정기가 구강 내에 장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윗앞니설측 와이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윗앞니설측 와이어(50)는 상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을 가로지르며, 한 쌍의 협측판(10)을 연결하는 와이어이다. 이러한 윗앞니설측 와이어(50)는 상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되어, 교정기가 구강 내에 장착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아랫앞니설측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랫앞니설측 와이어는 하악골의 앞니를 사이에 두고 아랫앞니순측 와이어(120) 와 마주보도록, 한 쌍의 협측판(10)에 연결됨으로써, 하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아랫앞니설측 와이어와 윗앞니설측 와이어(50)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입술패드(100), 및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술패드(100)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로서, 앞니 부위의 상악골의 영역과 입술 사이에 배치된다. 입술패드(100)는 입술이 앞니 부위 상악골을 가압하는 힘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입술패드(100)로 인해, 앞니 부위 상악골의 전방 성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입술패드(100)는 하나로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앞니 부위의 상악골의 영역과 입술 사이에 제1 패드분체(100a)가 배치되고, 우측 앞니 부위의 상악골의 영역과 입술 사이에 제2 패드분체(10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분체(100a)와 제2 패드분체(100b)는 앞니 부위 상악골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좌우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110)는 입술패드(100)를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협측판(10)과 입술패드(100)를 연결하는 와이어이다. 이러한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110)에 의해 입술패드(100)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는 착용자의 교합 상태에 따라 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교합일 때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사용함으로써, 상악골 및 하악골을 동시에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과개교합일 때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사용하여, 하악골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반대교합일 때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를 사용함으로써 상악골의 성장을 촉질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10a. 10b: 협측판 20: 구개측판
21: 관통구 30: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
40: 윗앞니순측 와이어 50: 윗앞니설측 와이어
60: 굴곡판 70: 굴곡판 와이어
80: 제1 아랫앞니설측 와이어 90: 제2 아랫앞니설측 와이어
100: 입술패드 100a: 제1 패드분체
100b: 제2 패드분체 110: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
120: 아랫앞니순측 와이어

Claims (11)

  1. 구강 내에 장착되는 교정기에 있어서,
    좌우 어금니 부위의 상악골 및 하악골과, 뺨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협측판;
    입천장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구개측판; 및
    한 쌍의 상기 협측판과 상기 구개측판을 연결하여, 상기 구개측판을 고정하는 구개측판 고정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골에 대응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악골과 혀 사이에 배치되는 굴곡판;
    한 쌍의 상기 협측판과 상기 굴곡판을 연결하는 굴곡판 와이어;
    상기 굴곡판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좌측 어금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되는 제1 아랫앞니설측 와이어; 및
    상기 굴곡판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우측 어금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되는 제2 아랫앞니설측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교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악골의 앞니의 순측면을 가로지르며 한 쌍의 상기 협측판에 연결되는 윗앞니순측 와이어; 및
    상기 상악골의 앞니의 설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악골의 앞니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윗앞니순측 와이어와 마주보며 한 쌍의 상기 협측판에 연결되는 윗앞니설측 와이어;를 포함하는 교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개측판은,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교정기.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앞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의 영역과 입술 사이에 배치되는 입술패드; 및
    한 쌍의 상기 협측판과 상기 입술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입술패드를 고정하는 입술패드 고정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교정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입술패드는,
    좌측 앞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의 영역과 상기 입술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분체; 및
    우측 앞니 부위의 상기 하악골의 영역과 상기 입술 사이에, 상기 패드분체와 이격 배치되는 제2 패드분체;를 포함하는 교정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183269A 2021-12-24 2022-12-23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 Active KR102678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7078 2021-12-24
KR1020210187078 2021-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070A KR20230098070A (ko) 2023-07-03
KR102678951B1 true KR102678951B1 (ko) 2024-06-27

Family

ID=8715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3269A Active KR102678951B1 (ko) 2021-12-24 2022-12-23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89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8465A (ja) 2007-11-13 2013-10-10 Apnicure Inc 気道開存性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17382B1 (ru) * 2007-08-29 2012-12-28 Кристофер Джон Фаррелл Ортодон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KR20090096157A (ko) 2008-03-07 2009-09-10 이준호 기능 교정용 장치 및 교정 유닛
US9089385B2 (en) * 2011-09-15 2015-07-28 Sue S. Lee Apparatus for applying corrective forces to shape palate
AU2017293472B2 (en) * 2016-07-08 2022-08-18 Tongue Lab Europe Ltd. Dental appliance for sleep apnea, snoring and tongue and oral cavity remode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8465A (ja) 2007-11-13 2013-10-10 Apnicure Inc 気道開存性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070A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4213B2 (en)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114910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US4773853A (en) Oral orthopedic appliance
US7661955B2 (en) Dental appliance
US7677886B2 (en) Maxillofacial orthodontic appliance
CN203576668U (zh) 正畸矫治器和正畸矫治器套件
CA2735032C (en) Intraoral apparatus for treating upper airway disorders
CN110013332B (zh)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CN110063802A (zh) 下颌前导隐形矫治器
EP3675768B1 (en) Orthodontic system
Graber The use of muscle forces by simple orthodontic appliances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CN108451657A (zh) 一种个性化功能矫治器及其制作方法
CN219461460U (zh) 颌间关系调整矫治器
KR102678951B1 (ko) 구강내 장착용 교정기
Achmad et al. Increased overjet in growing child, problem solving in pediatric dentistry
Kondo Nonextraction and nonsurgical treatment of an adult with skeletal Class II open bite with severe retrognathic mandible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N213607024U (zh) 一种调整上下颌位关系的牙科器械及矫治系统
CN221866039U (zh) 一种改良型Frankel-III功能调节器
RU226696U1 (ru) Мульти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коррекции моторики языка
JP3251207U (ja) シェル状歯科器具及び歯列矯正治療システム
CN222341324U (zh) 牙科器械以及牙科系统
JP7299452B1 (ja) マウスピース
Jain et al. Tweed's philosophy-a review
KR20180001267A (ko)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