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8692B1 -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 - Google Patents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8692B1 KR102678692B1 KR1020210138557A KR20210138557A KR102678692B1 KR 102678692 B1 KR102678692 B1 KR 102678692B1 KR 1020210138557 A KR1020210138557 A KR 1020210138557A KR 20210138557 A KR20210138557 A KR 20210138557A KR 102678692 B1 KR102678692 B1 KR 1026786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module
- gripping
- selection
-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5—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mechanical aspe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의 탈부착 결합 관계 및 커넥터모듈과 전선의 탈부착 결합 관계를 적용하여 계량기의 교체를 단순화시키고, 감전과 화재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커넥터모듈은 전극지지부와 전극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부가 전극지지부와 연통되는 유동가이드 중 적어도 전극지지부가 포함되는 커넥터바디와, 전극지지부에 결합되되 일부는 전극지지부에서 유동 가능한 전극모듈을 포함하고, 파지모듈과, 차폐모듈과, 선택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커넥터모듈은 전극지지부와 전극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부가 전극지지부와 연통되는 유동가이드 중 적어도 전극지지부가 포함되는 커넥터바디와, 전극지지부에 결합되되 일부는 전극지지부에서 유동 가능한 전극모듈을 포함하고, 파지모듈과, 차폐모듈과, 선택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의 탈부착 결합 관계 및 커넥터모듈과 전선의 탈부착 결합 관계를 적용하여 계량기의 교체를 단순화시키고, 감전과 화재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 전자식 전력량계는 가정이나 건물에 설치된다. 전자식 전력량계는 회로부와 기계부를 구비한다. 기계부와 회로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다. 기계부와 회로부에는 복수의 전압선과 복수의 전류선이 연결된다. 전압선과 전류선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전자식 전력량계가 동작된다.
여기서, 전자식 전력량계에 불량이 발생되거나 전력량계의 검정기간이 만료(실효)되는 경우, 전자식 전력량계를 교체해야 한다. 전자식 전력량계는 회로부의 고장이나 회로 부품의 노후 또는 실효에 의해 교체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케이스 내부에 기계부와 회로부가 함께 설치되므로, 회로부나 회로 부품의 노후 또는 실효 시, 전자식 전력량계 전체를 교체한다. 따라서, 전자식 전력량계의 교체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전기 계통이 활선 상태에서 전자식 전력량계가 교체되는 경우, 작업자가 감전될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기 계통이 정전된 상태에서 전자식 전력량계가 교체되는 경우, 고객 민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의 탈부착 결합 관계 및 커넥터모듈과 전선의 탈부착 결합 관계를 적용하여 계량기의 교체를 단순화시키고, 감전과 화재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모듈은 전극지지부와, 상기 전극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전극지지부와 연통되는 유동가이드 중 적어도 상기 전극지지부가 포함되는 커넥터바디; 및 상기 전극지지부에 결합되되, 일부는 상기 전극지지부에서 유동 가능한 전극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모듈은 파지모듈; 차폐모듈; 및 선택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지모듈은 상기 유동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유동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전선을 향해 상기 전극모듈을 가압하거나, 상기 유동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전극모듈의 가압력이 해제된다.
상기 차폐모듈은 상기 전극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전극모듈의 양측 커버가 가능하다.
상기 선택모듈은 상기 전극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전극모듈 중 입력모듈과 상기 전극모듈 중 출력모듈에 대한 전기적 연결 여부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지지부는, 상기 전극모듈이 결합되는 전극고정부; 상기 전극고정부와 연통되어 상기 전극모듈이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극유동부; 및 상기 전극유동부와 연통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극유동부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전선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전극고정부에 결합되는 전극블럭부; 상기 전극블럭부의 일측에서 상기 커넥터바디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접속전극부; 및 상기 전극유동부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극블럭부의 타측에서 상호 벌어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날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블럭부에는, 상기 전선이 수용 가능한 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선삽입부는, 외부로 노출된 전선개구로부터 상기 전극유동부를 향해 단면적이 작아진다.
여기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전극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전극지지부의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파지가이드; 및 상기 파지가이드와 상기 전극지지부를 연통시키는 가압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모듈은, 파지바디; 상기 파지바디의 양측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지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파지날개; 및 한 쌍의 파지날개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유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돌기는, 상기 가압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전선을 향해 상기 전극모듈을 가압하거나, 상기 가압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전극모듈의 가압력이 해제된다.
여기서, 한 쌍의 파지날개는, 상기 유동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파지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파지걸쇠;가 포함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파지모듈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유동돌기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파지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지걸쇠의 걸림 결합이 설정되거나 상기 유동돌기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파지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지걸쇠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는 걸쇠걸림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바디에는, 상기 전극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유동가이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커넥터바디에 형성되는 차폐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차폐모듈은, 적어도 일측이 상기 커넥터바디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차폐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차폐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폐가이드의 내벽과 상기 차폐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차폐돌부;가 포함되고, 상기 차폐가이드의 내벽과 상기 차폐모듈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차폐돌부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폐경로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모듈은, 상기 차폐판부의 일부가 상기 전극모듈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기 전극모듈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커넥터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차폐판부를 탄성 지지하는 차폐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바디에는, 상기 전극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전극지지부와 상기 유동가이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커넥터바디에 형성되는 선택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전극모듈에는, 상기 선택가이드에 노출되는 노출전극부;가 포함되며, 상기 선택모듈은, 적어도 일측이 상기 커넥터바디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선택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선택판부; 상기 전극모듈 중 입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가이드에 노출되는 입력선택전극; 상기 전극모듈 중 출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가이드에 노출되는 출력선택전극; 및 상기 입력선택전극과 상기 출력선택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선택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가이드의 내벽과 상기 선택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선택돌부;가 포함되고, 상기 선택가이드의 내벽과 상기 선택모듈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선택돌부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경로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모듈은, 상기 선택판부의 일부가 상기 전극모듈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커넥터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커넥터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선택판부를 탄성 지지하는 선택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는 계량바디와, 상기 계량바디로의 전원 입출력을 위한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형성된 본체접속부를 포함하는 계량기본체; 및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모듈에서 상기 커넥터바디에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입력포트와 상기 출력포트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는 상기 계량기본체와 상기 커넥터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넥터바디 중 어느 하나에는, 탈착슬라이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넥터바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탈착슬라이더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가이드;가 함몰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에 따르면,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의 탈부착 결합 관계 및 커넥터모듈과 전선의 탈부착 결합 관계를 적용하여 계량기의 교체를 단순화시키고, 감전과 화재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커넥터모듈에 개별 전선을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 다음, 전선이 결합된 커넥터모듈을 계량기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커넥터모듈에서 전선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커넥터모듈에서 전선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커넥터모듈에서 전선의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바디와 전극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전극모듈을 커넥터바디에 일체로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전선과 전극모듈의 탈부착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안착 위치에 대응하여 충분한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확보된 전극유동부에서 접속날개부의 탄성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바디와 파지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커넥터바디에서 파지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파지모듈이 전극모듈을 간편하게 가압할 수 있고, 전선과 전극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전극모듈의 가압력을 간편하게 해제시킬 수 있고, 전극모듈로부터 전선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바디에서 파지모듈의 회전 걸림 구조를 통해 커넥터바디에 파지모듈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전선과 전극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바디와 차폐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의 결합 여부에 따라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의 결합 전에는 커넥터바디에서 돌출된 전극모듈의 일부를 차폐하고,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의 결합 후에는 전선 쪽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바디에서 차폐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바디와 선택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커넥터바디에 전선이 결합될 때, 무정전(활선)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커넥터모듈이 계량기본체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무정전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전선과 계량기본체의 전기적 연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정전 교체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안정성을 확보하며, 교체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전류의 원활한 흐름과 절연성을 향상시키며,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커넥터모듈을 도시한 확대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3의 C-C' 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3의 D-D' 선에 따른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3의 E-E' 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커넥터모듈의 선택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커넥터모듈을 도시한 확대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3의 C-C' 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3의 D-D' 선에 따른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도 3의 E-E' 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a)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내고, (b)는 계량기본체에 결합된 후의 커넥터모듈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에서 커넥터모듈의 선택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모듈(30)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계량기는 계량기본체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모듈(30)을 포함하고, 베이스(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30) 중 적어도 계량기본체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10)에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계량기본체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10)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커넥터모듈(3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베이스(10)와 커넥터모듈(30)에 포함된 커넥터바디(40) 중 어느 하나에는 탈착슬라이더가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10)와 커넥터모듈(30)에 포함된 커넥터바디(40) 중 다른 하나에는 탈착슬라이더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가이드가 함몰 형성되므로, 베이스(10)에서 커넥터모듈(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계량기본체의 본체접속부(21)에 포함된 입력포트와 출력포트를 기준으로 전극모듈(50)을 정위치시켜 1:1로 정확하게 매칭시킬 수 있다.
계량기본체는 계량바디(20)와, 본체접속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바디(20)는 수용가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표시할 수 있다. 계량바디(20)는 수용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입력선택전극(83)할 수 있다.
본체접속부(21)에는 계량바디(20)로의 전원 입출력을 위한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모듈(30)은 전선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접속부(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선은 공급측의 전원을 계량기본체에 공급하는 입력선(100)과, 계량기본체의 전원을 수용가로 전달하는 출력선(200)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입력선(100)은 전원공급방식에 따라 둘 이상으로 구비되고, 출력선(200)은 입력선(100)에 대응하여 둘 이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상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두 개의 입력선(100)과 두 개의 출력선(200)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전원공급방식에 따라 입력선(100)과 출력선(200)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모듈(30)은 커넥터바디(40)와, 전극모듈(50)을 포함하고, 파지모듈(60)과 차폐모듈(70)과 선택모듈(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40)는 계량기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외관을 형성한다.
커넥터바디(40)에는 전극지지부와 유동가이드 중 적어도 전극지지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전극지지부는 전선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된다.
전극지지부는 전극모듈(50)이 결합되는 전극고정부(411)(41)와, 전극고정부(411)(41)와 연통되어 전극모듈(50)이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극유동부(42)와, 전극유동부(42)와 연통되어 전선이 전극유동부(42)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전선삽입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고정부(411)(41)는 전극모듈(50)을 커넥터바디(4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전극유동부(42)는 전극모듈(50)과 전선의 탈부착을 위한 것이며, 전선삽입부(43)는 전선을 전극모듈(50)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유동가이드는 전극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부가 전극지지부와 연통된다. 유동가이드는 전극모듈(5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고, 전극지지부의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파지가이드(44)와, 파지가이드(44)와 전극지지부의 전극유동부(42)를 연통시키는 가압가이드(4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가이드(45)는 전극모듈(5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유동돌기(63)의 삽탈 경로를 형성하는 삽탈가이드(451)와, 삽탈가이드(451)와 연통되도록 전극모듈(5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유동돌기(63)의 가압 경로를 형성하는 왕복가이드(45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40)에는 전극모듈(5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유동가이드에서 이격되어 커넥터바디(40)에 형성되는 차폐가이드(4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차폐가이드(46)는 도 1을 기준으로 전극지지부의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차폐모듈(7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40)에는 전극모듈(5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전극지지부와 유동가이드에서 이격되어 커넥터바디(40)에 형성되는 선택가이드(4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선택가이드(47)는 도 1을 기준으로 전극지지부의 배면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선택모듈(8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전극모듈(50)과 선택모듈(80)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간편하게 결정지을 수 있다.
전극모듈(50)은 전극지지부에 결합되되 일부는 전극지지부에서 유동 가능하다.
전극모듈(50)은 전극고정부(411)(41)에 결합되는 전극블럭부(51)와, 전극블럭부(51)의 일측에서 커넥터바디(4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접속전극부(52)와, 전극유동부(42)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극블럭부(51)의 타측에서 상호 벌어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날개부를 포함할 수 수 있다.
전극블럭부(51)는 전극고정부(411)(41)를 매개로 전극고정부(411)(41)에 안정되고, 전극모듈(50)의 길이 방향 이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접속전극부(52)는 커넥터바디(40)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하여 입력포트 또는 출력포트와의 전기적 연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 쌍의 접속날개부는 전극블럭부(51)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날개전극부(53)와, 전극블럭부(51)의 타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날개전극부(53)와 실질적인 대칭을 이루는 제2날개전극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접속날개부는 탄성을 가지므로, 파지모듈(60)에 의해 가압되었다가 파지모듈(6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벌이진 상태로 복귀할 수 있고, 전선의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한 쌍의 접속날개부는 전극블럭부(51)로부터 상호 벌어지도록 돌출 형성되므로, 전선은 한 쌍의 접속날개부 사이로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고, 전극모듈(50)과 전선의 전기적 연결이 간편해진다. 한 쌍의 접속날개부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전선과의 접촉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전극블럭부(51)에는 전선이 수용 가능한 끼움홈부(511)가 함몰 형성되므로, 전선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한편, 전선과 전극모듈(50)의 전기적 연결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전선삽입부(43)는 외부로 노출된 전선개구로부터 전극유동부(42)를 향해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하여, 전선을 전선삽입부(43)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전극모듈(50)에는 후술하는 선택가이드(47)에 노출되는 노출전극부(56)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출전극부(56)는 전극블럭부(51)로부터 한 쌍의 접속날개부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전극부(55)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전극모듈(50)에서 커넥터바디(40)로부터 돌출된 부분인 접속전극부(52)는 1:1 ㄷ대응으로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된다.
파지모듈(60)은 유동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파지모듈(60)은 유동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전선을 향해 전극모듈(50)을 가압하므로, 전극지지부에 삽입되는 전선과 전극모듈(50)의 전기적 연결설정을 구현할수 있다. 또한, 파지모듈(60)은 유동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전극모듈(50)의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전극지지부에 삽입되는 전선과 전극모듈(50)의 전기적 연결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파지모듈(60)은 파지바디(61)와, 파지바디(61)의 양측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파지가이드(4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파지날개(62)와, 한 쌍의 파지날개(62)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가압가이드(4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유동돌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유동돌기(63)는 가압가이드(45)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전선을 향해 전극모듈(50)을 가압하거나, 가압가이드(45)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전극모듈(50)의 가압력을 해제시킬 수 있다.
파지모듈(60)에서 한 쌍의 파지날개(62)는 유동돌기(6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다른 표현으로, 파지모듈(60)의 유동돌기(63)는 가압가이드(45)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한편,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커넥터바디(40)와 파지모듈(60) 중 어느 하나에는 파지걸쇠가 포함되고, 커넥터바디(40)와 파지모듈(60) 중 다른 하나에는, 유동돌기(63)를 중심으로 하는 파지모듈(60)의 회전에 따라 파지걸쇠의 걸림 결합이 설정되거나 유동돌기(63)를 중심으로 하는 파지모듈(60)의 회전에 따라 파지걸쇠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는 걸쇠걸림부가 포함될 수 있다.
파지걸쇠는 파지바디(61)와 커넥터바디(4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바디후크(611)를 포함하고, 걸쇠걸림부는 파지바디(61)와 커넥터바디(4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파지걸쇠는 파지바디(61)에 구비되는 바디후크(611)이고, 걸쇠걸림부는 커넥터바디(40)의 모서리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지걸쇠는 파지날개(62)와 파지가이드(4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날개후크(621)를 포함하고, 걸쇠걸림부는 파지날개(62)와 파지가이드(44)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파지걸쇠는 한 쌍의 파지날개(62)에 구비되는 날개후크(621)이고, 걸쇠걸림부는 파지가이드(44)에 구비되는 제1걸림부(441)와 제2걸림부(442)로 구성될 수 있다.
파지모듈(6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선삽입부(43)를 거쳐 제1날개전극부(53)와 제2날개전극부(54) 사이에 전선을 삽입한다. 그리고, 유동돌기(63)는 가압가이드(45)의 삽탈가이드(451)에 삽입하고, 한 쌍의 파지날개(62)는 각각 파지가이드(44)에 삽입하면, 유동돌기(63)는 전극블럭부(51)의 양측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유동돌기(63)가 왕복가이드(45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유동돌기(63)는 접속날개부를 가압하므로, 제1날개전극부(53)와 제2날개전극부(54)는 전선에 밀착된다. 마지막으로, 유동돌기(63)를 중심으로 한 쌍의 파지날개(62)를 회전시키면, 파지바디(61)는 커넥터바디(40)에 적층 지지되고, 파지걸쇠가 걸쇠걸림부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전극모듈(50)에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커넥터바디(40)에서 파지모듈(60)을 분리함에 따라 접속날개부는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제1날개전극부(53)와 제2날개전극부(54) 사이에서 전선을 분리시킬 수 있다.
차폐모듈(70)은 전극모듈(5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커넥터바디(4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차폐모듈(70)은 커넥터바디(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모듈(50)의 양측 커버가 가능하다.
차폐모듈(70)은 적어도 일측이 커넥터바디(40)에서 돌출되도록 차폐가이드(46)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차폐판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 상태에서 차폐판부(71)는 접속전극부(52) 쪽으로 돌출되어 접속전극부(52) 사이를 차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가이드(46)의 내벽과 차폐모듈(70) 중 어느 하나에는 차폐돌부(72)가 포함되고, 차폐가이드(46)의 내벽과 차폐모듈(70) 중 다른 하나에는, 차폐돌부(72)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폐경로부(461)가 포함되므로, 차폐가이드(46)에서 차폐판부(71)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차폐가이드(46)의 일단부에는 차폐지지부(73)가 구비될 수 있다.
차폐모듈(70)은 차폐판부(71)의 일부가 전극모듈(50)에서 이격된 상태로 커넥터바디(40)로부터 돌출 형성된 전극모듈(5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커넥터바디(40)를 기준으로 차폐판부(71)를 탄성 지지하는 차폐스프링(74)을 더 포함하므로, 아이들 상태에서 차폐판부(71)의 돌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차폐스프링(74)의 일단부는 차폐지지부(73)에 결합되고, 차폐스프링(74)의 타단부는 차폐돌부(72)에 결합된다.
차폐모듈(70)의 동작을 살펴보면, 아이들 상태에서 차폐판부(71)는 차폐스프링(74)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커넥터바디(40)의 상부에는 접속전극부(52)와 함께 차폐판부(71)의 일부가 돌출 형성된다. 커넥터모듈(30)을 계량기본체의 본체접속부(21)에 결합하면, 차폐판부(71)는 슬라이드 이동되고, 커넥터바디(40)의 하부로 돌출되어 전선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반대로, 커넥터모듈(30)을 계량기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탄성에 의해 차폐판부(71)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커넥터바디(40)의 상부로 돌출된다.
선택모듈(80)은 전극모듈(5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커넥터바디(4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택모듈(80)은 커넥터바디(40)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전극모듈(50) 중 입력모듈(501)과 전극모듈(50) 중 출력모듈(502)에 대한 전기적 연결 여부를 선택하게 된다.
선택모듈(80)은 적어도 일측이 커넥터바디(40)에서 돌출되도록 선택가이드(47)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선택판부(81)와, 전극모듈(50) 중 입력모듈(501)에 대응하여 선택가이드(47)에 노출되는 입력선택전극(83)과, 전극모듈(50) 중 출력모듈(502)에 대응하여 선택가이드(47)에 노출되는 출력선택전극(84)과, 입력선택전극(83)과 출력선택전극(8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선택전극(8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상 연결을 나타내므로, 입력선택전극(83)은 제1입력선(100)택부와 제2입력선(100)택부로 구분되고, 출력선택전극(84)은 제1출력선(200)택부와 제2출력선(200)택부로 구분되며, 연결선택전극(85)은 선택판부(81)의 중심 쪽에 배치된 제1입력선(100)택부와 제1출력선(200)택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전극부와, 선택판부(81)의 가장자리 쪽에 배치된 제2입력선(100)택부와 제2출력선(200)택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전극부로 구분할 수 있다.
선택판부(81)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파지 및 선택판부(81)의 슬라이드 이동 제한을 위한 정지손잡이(82)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택가이드(47)의 내벽과 선택모듈(80) 중 어느 하나에는 선택돌부가 포함되고, 선택가이드(47)의 내벽과 선택모듈(80) 중 다른 하나에는, 선택돌부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경로부가 포함되므로, 선택가이드(47)에서 선택판부(81)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선택가이드(47)의 일단부에는 선택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택모듈(80)은 선택판부(81)의 일부가 전극모듈(50)에서 이격된 상태로 커넥터바디(40)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커넥터바디(40)를 기준으로 선택판부(81)를 탄성 지지하는 선택스프링을 더 포함하므로, 아이들 상태에서 선택판부(81)의 돌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입력선택전극(83)과 출력선택전극(84)에서 각각 노출전극부(56)에 전기적 연결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선택스프링의 일단부는 선택지지부에 결합되고, 선택스프링의 타단부는 선택돌부에 결합된다.
선택모듈(80)의 동작을 살펴보면, 아이들 상태에서 선택판부(81)는 선택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커넥터바디(40)의 상부에는 접속전극부(52)와 차폐판부(71)와 함께 선택판부(81)의 일부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입력선택전극(83)과 출력선택전극(84)에는 각각 노출전극부(5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선을 전극모듈(50)에 결합시키면, 무정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커넥터모듈(30)을 계량기본체의 본체접속부(21)에 결합하면, 선택판부(81)는 슬라이드 이동되고, 커넥터바디(40)의 하부로 돌출된다. 이때, 입력선택전극(83)과 출력선택전극(84)에서는 노출전극부(56)가 분리되고,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는 각각 접속전극부(5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커넥터모듈(30)을 계량기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탄성에 의해 선택판부(81)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커넥터바디(40)의 상부로 돌출고, 입력선택전극(83)과 출력선택전극(84)에는 각각 노출전극부(56)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모듈(8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입력선택전극(83)과 출력선택전극(84)에서 노출전극부(56)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커넥터모듈(30)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에 따르면,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30)의 탈부착 결합 관계 및 커넥터모듈(30)과 전선의 탈부착 결합 관계를 적용하여 계량기의 교체를 단순화시키고, 감전과 화재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커넥터모듈(30)에 개별 전선을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 다음, 전선이 결합된 커넥터모듈(30)을 계량기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커넥터모듈(30)에서 전선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커넥터모듈(30)에서 전선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커넥터모듈(30)에서 전선의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바디(40)와 전극모듈(5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전극모듈(50)을 커넥터바디(40)에 일체로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전선과 전극모듈(50)의 탈부착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안착 위치에 대응하여 충분한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확보된 전극유동부(42)에서 접속날개부의 탄성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바디(40)와 파지모듈(6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커넥터바디(40)에서 파지모듈(6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모듈(6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파지모듈(60)이 전극모듈(50)을 간편하게 가압할 수 있고, 전선과 전극모듈(50)의 전기적 연결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모듈(6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전극모듈(50)의 가압력을 간편하게 해제시킬 수 있고, 전극모듈(50)로부터 전선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바디(40)에서 파지모듈(60)의 회전 걸림 구조를 통해 커넥터바디(40)에 파지모듈(6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전선과 전극모듈(50)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바디(40)와 차폐모듈(70)의 결합 관계를 통해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30)의 결합 여부에 따라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30)의 결합 전에는 커넥터바디(40)에서 돌출된 전극모듈(50)의 일부를 차폐하고, 계량기본체와 커넥터모듈(30)의 결합 후에는 전선 쪽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바디(40)에서 차폐모듈(7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바디(40)와 선택모듈(8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커넥터바디(40)에 전선이 결합될 때, 무정전(활선)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커넥터모듈(30)이 계량기본체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무정전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전선과 계량기본체의 전기적 연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무정전 교체작업이 가능하고, 작업 안정성을 확보하며, 교체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전류의 원활한 흐름과 절연성을 향상시키며,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입력선 200: 출력선 10: 베이스
20: 계량바디 21: 본체접속부 30: 커넥터모듈
40: 커넥터바디 41: 전극고정부 411: 전극고정부
42: 전극유동부 43: 전선삽입부 44: 파지가이드
441: 제1걸림부 442: 제2걸림부 45: 가압가이드
451: 삽탈가이드 452: 왕복가이드 46: 차폐가이드
461: 차폐경로부 47: 선택가이드
50: 전극모듈 501: 입력모듈 502: 출력모듈
51: 전극블럭부 511: 끼움홈부 52: 접속전극부
53: 제1날개전극부 54: 제2날개전극부 55: 연장전극부
56: 노출전극부
60: 파지모듈 61: 파지바디 611: 바디후크
62: 파지날개 621: 날개후크 63: 유동돌기
70: 차폐모듈 71: 차폐판부 72: 차폐돌부
73: 차폐지지부 74: 차폐스프링
80: 선택모듈 81: 선택판부 82: 정지손잡이
83: 입력선택전극 84: 출력선택전극 85: 연결선택전극
20: 계량바디 21: 본체접속부 30: 커넥터모듈
40: 커넥터바디 41: 전극고정부 411: 전극고정부
42: 전극유동부 43: 전선삽입부 44: 파지가이드
441: 제1걸림부 442: 제2걸림부 45: 가압가이드
451: 삽탈가이드 452: 왕복가이드 46: 차폐가이드
461: 차폐경로부 47: 선택가이드
50: 전극모듈 501: 입력모듈 502: 출력모듈
51: 전극블럭부 511: 끼움홈부 52: 접속전극부
53: 제1날개전극부 54: 제2날개전극부 55: 연장전극부
56: 노출전극부
60: 파지모듈 61: 파지바디 611: 바디후크
62: 파지날개 621: 날개후크 63: 유동돌기
70: 차폐모듈 71: 차폐판부 72: 차폐돌부
73: 차폐지지부 74: 차폐스프링
80: 선택모듈 81: 선택판부 82: 정지손잡이
83: 입력선택전극 84: 출력선택전극 85: 연결선택전극
Claims (6)
- 전극지지부와, 상기 전극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전극지지부와 연통되는 유동가이드를 포함하는 커넥터바디; 및 상기 전극지지부에 결합되되, 일부는 상기 전극지지부에서 유동 가능한 전극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유동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전선을 향해 상기 전극모듈을 가압하거나, 상기 유동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전극모듈의 가압력이 해제되는 파지모듈; 상기 전극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전극모듈의 양측 커버가 가능한 차폐모듈; 및 상기 전극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전극모듈 중 입력모듈과 상기 전극모듈 중 출력모듈에 대한 전기적 연결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지지부는,
상기 전극모듈이 결합되는 전극고정부; 상기 전극고정부와 연통되어 상기 전극모듈이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극유동부; 및 상기 전극유동부와 연통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전극유동부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전선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바디는,
상기 전극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전극지지부와 상기 유동가이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커넥터바디에 형성되는 선택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전극고정부에 결합되는 전극블럭부; 상기 전극블럭부의 일측에서 상기 커넥터바디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접속전극부; 상기 전극유동부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극블럭부의 타측에서 상호 벌어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날개부; 및 상기 선택가이드에 노출되는 노출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블럭부에는, 상기 전선이 수용 가능한 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전선삽입부는, 외부로 노출된 전선개구로부터 상기 전극유동부를 향해 단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선택모듈은,
적어도 일측이 상기 커넥터바디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선택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선택판부; 상기 전극모듈 중 입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가이드에 노출되는 입력선택전극; 상기 전극모듈 중 출력모듈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가이드에 노출되는 출력선택전극; 및 상기 입력선택전극과 상기 출력선택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선택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모듈.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전극모듈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전극지지부의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파지가이드; 및
상기 파지가이드와 상기 전극지지부를 연통시키는 가압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모듈은,
파지바디;
상기 파지바디의 양측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지가이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파지날개; 및
한 쌍의 파지날개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유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돌기는, 상기 가압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전선을 향해 상기 전극모듈을 가압하거나, 상기 가압가이드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전극모듈의 가압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모듈.
- 제5항에 있어서,
한 쌍의 파지날개는, 상기 유동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파지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파지걸쇠;가 포함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파지모듈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유동돌기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파지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지걸쇠의 걸림 결합이 설정되거나 상기 유동돌기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파지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지걸쇠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는 걸쇠걸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8557A KR102678692B1 (ko) | 2021-10-18 | 2021-10-18 |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8557A KR102678692B1 (ko) | 2021-10-18 | 2021-10-18 |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5170A KR20230055170A (ko) | 2023-04-25 |
KR102678692B1 true KR102678692B1 (ko) | 2024-06-26 |
Family
ID=8610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8557A Active KR102678692B1 (ko) | 2021-10-18 | 2021-10-18 |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869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0177Y1 (ko) | 2003-07-07 | 2003-10-17 | 주식회사 남전사 | 전력량계용 단자구조 |
KR200425715Y1 (ko) * | 2006-06-22 | 2006-09-0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용 핀터미널 |
JP2008034330A (ja) * | 2006-07-07 | 2008-02-14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ランプ管用コネクタ |
KR200449081Y1 (ko) * | 2008-07-16 | 2010-06-10 | 황형인 | 전력량계의 개방형 단자대 |
JP2013161663A (ja) | 2012-02-06 | 2013-08-19 | Yokoyama Denki Co Ltd | 端子台及び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5707B2 (ja) * | 1997-12-24 | 2000-08-14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
KR102169763B1 (ko) | 2019-04-18 | 2020-10-26 | 한국전력공사 | 전자식 전력량계 |
KR102758559B1 (ko) * | 2019-09-18 | 2025-01-23 | 한국전력공사 | 전력량계 무정전 교체장치 |
-
2021
- 2021-10-18 KR KR1020210138557A patent/KR10267869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0177Y1 (ko) | 2003-07-07 | 2003-10-17 | 주식회사 남전사 | 전력량계용 단자구조 |
KR200425715Y1 (ko) * | 2006-06-22 | 2006-09-0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용 핀터미널 |
JP2008034330A (ja) * | 2006-07-07 | 2008-02-14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ランプ管用コネクタ |
KR200449081Y1 (ko) * | 2008-07-16 | 2010-06-10 | 황형인 | 전력량계의 개방형 단자대 |
JP2013161663A (ja) | 2012-02-06 | 2013-08-19 | Yokoyama Denki Co Ltd | 端子台及び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5170A (ko) | 2023-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573838B (zh) | 设备开关装置 | |
US20150009607A1 (en) | Busbar connection system for use with a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electrical device including the busbar connection system | |
US20020072266A1 (en) | Electrical modular terminal | |
US10139581B2 (en) | Patch panel | |
US20200400291A1 (en) | Lighting unit and rail type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 |
KR102678692B1 (ko) | 커넥터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전자식 계량기 | |
JP4454903B2 (ja) | 正面カバー付き接触器 | |
CN101170017A (zh) | 电连接在第一与第二接触器之间的模块及相应换向器组件 | |
TWI407928B (zh) | 傢俱(三) | |
KR20150107246A (ko) | 전자식 전력량계 | |
CN215497386U (zh) | 一种插座 | |
CN107431293A (zh) | 配电蜂房形件 | |
US12046849B2 (en) | Snap on faceplate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 |
JP2009122025A (ja) | 電力量計およびその接続アダプタ | |
CN204230649U (zh) | 一种导轨安装装置 | |
CN212305917U (zh) | 电器主控盒和电器 | |
JP7242139B2 (ja) | 計測ユニット及びモジュール | |
JP6797060B2 (ja) | 電子式電力量計 | |
JP6884631B2 (ja) | パッチパネル | |
US20230121766A1 (en) | Modular electrical receptacle | |
CN110120609A (zh) | 在插接连接器壳体中的线缆减轻张力和屏蔽附接 | |
US20240230713A9 (en) | Test box with circuit boards assembled by means of guide rails | |
JP7503451B2 (ja) | 回路遮断器 | |
JPH02126529A (ja) | 回路遮断器 | |
RU188075U1 (ru) | Счётчик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