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248B1 -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5248B1 KR102675248B1 KR1020210164985A KR20210164985A KR102675248B1 KR 102675248 B1 KR102675248 B1 KR 102675248B1 KR 1020210164985 A KR1020210164985 A KR 1020210164985A KR 20210164985 A KR20210164985 A KR 20210164985A KR 102675248 B1 KR102675248 B1 KR 1026752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converter
- controller
- load
- switching circu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9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he static converters being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 형태에 근거하는 통상 시의 무정전 전원 시스템(1)의 전압 공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정전 시의 무정전 전원 시스템(1)의 전압 공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 시의 무정전 전원 시스템(1)의 전압 공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 시의 바이패스 경로로 전환한 무정전 전원 시스템(1)의 전압 공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교류 출력 변환기(10)의 콘트롤러(4)의 정전 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정전 시의 무정전 전원 시스템(1)의 전압 공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교류 출력 변환기(10)의 콘트롤러(4)의 정전 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흐름도다.
Claims (12)
- 교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병렬 접속한 복수의 교류 출력 변환기를 구비하고,
각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는,
외부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류 직류 변환기와,
상기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부하에 공급하는 직류 교류 변환기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직류 전압을 축전하는 2차 전지와,
상기 교류 부하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 사이에 마련된 제 1 전환 회로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로부터 공급하는 상기 교류 전압 대신에,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을 직접적으로 상기 교류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 경로와,
상기 교류 부하와 상기 바이패스 경로 사이에 마련된 제 2 전환 회로와,
정전 시 및 복전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회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외부 교류 전압 및 상기 교류 전압의 공급을 받아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전원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의 정전 시에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제 1 전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상기 제 1 전압 레벨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환 회로를 오프하고,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상기 제 1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상기 제 2 전압 레벨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환 회로를 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원 회로는, 상기 제 1 전환 회로의 온에 따라 다른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에서 생성된 교류 전압의 공급을 받아,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 전압을 계속하여 생성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의 정전 시에 상기 복수의 교류 출력 변환기로부터 상기 교류 부하로의 전압의 공급이 모두 정지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제 2 전환 회로를 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통상 시는 상기 제 1 전환 회로를 온하고, 상기 제 2 전환 회로를 오프하고 있는 전력 공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의 콘트롤러는, 다른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의 콘트롤러와 접속되고, 상기 다른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로부터 상기 제 1 전환 회로의 오프의 신호의 입력을 받는 전력 공급 시스템. - 교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병렬 접속한 복수의 교류 출력 변환기를 구비하고, 각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는, 외부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류 직류 변환기와, 상기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부하에 공급하는 직류 교류 변환기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직류 전압을 축전하는 2차 전지와, 상기 교류 부하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 사이에 마련된 제 1 전환 회로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로부터 공급하는 상기 교류 전압 대신에,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을 직접적으로 상기 교류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 경로와, 상기 교류 부하와 상기 바이패스 경로 사이에 마련된 제 2 전환 회로와, 상기 외부 교류 전압 및 상기 교류 전압의 공급을 받아, 정전 시 및 복전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회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의 제어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전원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의 정전 시에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제 1 전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상기 제 1 전압 레벨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환 회로를 오프하는 스텝과,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상기 제 1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상기 제 2 전압 레벨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환 회로를 온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 - 교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병렬 접속한 복수의 교류 출력 변환기를 구비하고,
각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는,
외부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류 직류 변환기와,
상기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부하에 공급하는 직류 교류 변환기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직류 전압을 축전하는 2차 전지와,
상기 교류 부하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 사이에 마련된 제 1 전환 회로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로부터 공급하는 상기 교류 전압 대신에,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을 직접적으로 상기 교류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 경로와,
상기 교류 부하와 상기 바이패스 경로 사이에 마련된 제 2 전환 회로와,
정전 시 및 복전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회로 및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외부 교류 전압 및 상기 교류 전압의 공급을 받아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전원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의 정전 시에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소정 전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소정 전압 레벨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를 오프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원 회로는, 상기 제 1 전환 회로를 통하여 다른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에서 생성된 교류 전압의 공급을 받아,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 전압을 계속하여 생성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의 정전 시에 상기 복수의 교류 출력 변환기로부터 상기 교류 부하로의 전압의 공급이 모두 정지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제 1 전환 회로를 오프하고, 상기 제 2 전환 회로를 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통상 시는 상기 제 1 전환 회로를 온하고, 상기 제 2 전환 회로를 오프하고 있는 전력 공급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각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의 콘트롤러는, 다른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의 콘트롤러와 접속되고, 상기 다른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로부터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의 오프의 신호의 입력을 받는 전력 공급 시스템. - 교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병렬 접속한 복수의 교류 출력 변환기를 구비하고, 각 상기 교류 출력 변환기는, 외부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류 직류 변환기와, 상기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교류 부하에 공급하는 직류 교류 변환기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직류 전압을 축전하는 2차 전지와, 상기 교류 부하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 사이에 마련된 제 1 전환 회로와,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로부터 공급하는 상기 교류 전압 대신에,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을 직접적으로 상기 교류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 경로와, 상기 교류 부하와 상기 바이패스 경로 사이에 마련된 제 2 전환 회로와, 상기 외부 교류 전압 및 상기 교류 전압의 공급을 받아, 정전 시 및 복전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전환 회로 및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의 제어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전원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교류 전압의 정전 시에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소정 전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2차 전지의 축전 용량이 소정 전압 레벨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직류 교류 변환기를 오프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201024 | 2020-12-03 | ||
JP2020201024A JP7455737B2 (ja) | 2020-12-03 | 2020-12-03 |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の制御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8490A KR20220078490A (ko) | 2022-06-10 |
KR102675248B1 true KR102675248B1 (ko) | 2024-06-14 |
Family
ID=8198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4985A Active KR102675248B1 (ko) | 2020-12-03 | 2021-11-26 |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7455737B2 (ko) |
KR (1) | KR10267524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1053B1 (ko) | 2018-01-25 | 2018-05-24 | 정정심 | 비상전원 자동 절체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64001B (zh) | 2014-06-26 | 2019-02-26 |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 不间断电源装置 |
JP6875524B2 (ja) * | 2017-06-28 | 2021-05-26 |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 無停電電源システム |
JP6886040B2 (ja) | 2018-11-21 | 2021-06-16 |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 電力供給システム |
JP7278800B2 (ja) | 2019-02-28 | 2023-05-22 |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 電力供給システム |
-
2020
- 2020-12-03 JP JP2020201024A patent/JP7455737B2/ja active Active
-
2021
- 2021-11-26 KR KR1020210164985A patent/KR10267524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1053B1 (ko) | 2018-01-25 | 2018-05-24 | 정정심 | 비상전원 자동 절체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088894A (ja) | 2022-06-15 |
KR20220078490A (ko) | 2022-06-10 |
JP7455737B2 (ja) | 2024-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84491B2 (en) |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 |
CN108666966B (zh) | 具备短路故障检测功能的变换装置及其短路故障检测方法 | |
TW201818633A (zh) | 不斷電電源裝置 | |
CN111771320A (zh) | 电源装置 | |
US10886843B2 (en) | Electric power supplying system | |
JP2001069689A (ja) | 無停電電源装置のバイパス回路 | |
JP6468593B2 (ja) | 蓄電システム | |
KR102566563B1 (ko) | 전력 공급 시스템 | |
KR102675248B1 (ko) |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제어 방법 | |
JP2013059152A (ja) | 個別バイパス方式並列無停電電源システム | |
JPH05146092A (ja) | 複数台待機冗長運転方式無停電電源装置の充電制御回路 | |
US11258297B2 (en) | Inverter control strategy for a transient heavy load | |
CN109075605B (zh) | 不间断电源装置 | |
JP2008228481A (ja) | 無停電電源装置 | |
WO2022219805A1 (ja) | 無停電電源装置 | |
JP6668274B2 (ja) | 無停電電源システム | |
JP3926634B2 (ja) | 停復電検出装置 | |
JP6175815B2 (ja) | 多重電源装置、多重電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4497760B2 (ja) | 無停電電源システム | |
US10855084B2 (en) | Power conversion system for power system interconnection | |
KR101081583B1 (ko) | 단일 정류부를 이용한 듀얼인버터 방식의 선택적 부하 이중화 방식의 무정전 전원장치 | |
JP2013172547A (ja) | 切替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直流給電システム | |
JP2004266945A (ja) |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のバックアップ方式 | |
CN115566783A (zh) | 电源切换方法及多输入电源系统 | |
JPH0491634A (ja) | 交流無停電電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