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319B1 -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Google Patents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2319B1 KR102672319B1 KR1020220142979A KR20220142979A KR102672319B1 KR 102672319 B1 KR102672319 B1 KR 102672319B1 KR 1020220142979 A KR1020220142979 A KR 1020220142979A KR 20220142979 A KR20220142979 A KR 20220142979A KR 102672319 B1 KR102672319 B1 KR 1026723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ture
- manhole cover
- opening
- cover structure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7—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or impeding fall or injuries of pers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상태에서 배수시설을 밀폐하고, 배수시설의 배수가 역류하는 경우 개방하여 맨홀 커버가 맨홀에서 분리되는 위험을 방지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를 제공하는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구 또는 배수구 같은 배수시설의 맨홀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평판 형상이며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개방부에 힌지결합하여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개폐도어; 상기 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구; 상기 지지구와 결합하고,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나사 결합한 후 연장되어 상기 고정대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가 상기 고정대에 정확히 나사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구 중 서로 마주보는 지지구에 각각 결합하는 안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구 또는 배수구 같은 배수시설의 맨홀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평판 형상이며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개방부에 힌지결합하여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개폐도어; 상기 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구; 상기 지지구와 결합하고,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나사 결합한 후 연장되어 상기 고정대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가 상기 고정대에 정확히 나사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구 중 서로 마주보는 지지구에 각각 결합하는 안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의 역류에도 망실되지 않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노상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출하이 위한 하수구와 같은 배수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배수 시설은 적절한 구배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을 특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해당 지역의 침수를 방지한다.
한편, 상기 배수시설은 내부의 청소나 수리 등의 관리를 위한 맨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맨홀은 상기 배수시설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개방부이며, 일반적으로는 맨홀 커버로 덮여있다.
특히 맨홀 커버는 일정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주철재로 제조되거나,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특성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맨홀 커버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427571호에는 맨홀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본체와;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본체의 표면에 부착된 아스팔트슁글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용 맨홀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6-0085728호에는 맨홀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맨홀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되는 덮개; 및 프레임과 덮개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수밀성이 향상된 맨홀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부분의 맨홀 커버는 맨홀 미사용 시에는 자중에 의하여 맨홀에 안착되어 내부의 배수구조를 밀폐시킨다.
그러나 태풍이나 장마에 의하여 급격한 강수가 수용 하수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맨홀로 역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급격한 강수가 유입되어 맨홀에 작용하는 역류 압력에 함아 상기 맨홀커버의 자중보다 높은 경우 상기 맨홀 커버가 분리되어 맨홀이 개방되는 위험한 상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인 상태에서 배수시설을 밀폐하고, 배수시설의 배수가 역류하는 경우 개방하여 맨홀 커버가 맨홀에서 분리되는 위험을 방지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를 제공하는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구 또는 배수구 같은 배수시설의 맨홀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평판 형상이며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개방부에 힌지결합하여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개폐도어; 상기 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구; 상기 지지구와 결합하고,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나사 결합한 후 연장되어 상기 고정대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가 상기 고정대에 정확히 나사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구 중 서로 마주보는 지지구에 각각 결합하는 안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구는 2개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조합을 이루며, 상기 조합은 상기 몸체 하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4개의 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구는 'ㄴ'자 형태의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에 형성되는 회전홀,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직고정부 및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고정부에 상기 안정봉이 결합하고, 상기 회전홀에는 별도의 볼트 등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수용홀에는 상기 고정구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의 조합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구의 수용홀은 동일한 고정구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구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대는 외면, 내면, 상기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단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내면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면단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구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도어는 양문 형태로 상기 개방부에 결합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개폐도어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도어의 상방향 개방 각도는 9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정봉은 상기 수직고정부와 결합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는 고정대와 고정대에 안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평판 형상이며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개폐도어와 몸체 하면에 회전 결합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결합하는 안전봉을 포함하며, 특히 지지구에 고정대에 정확히 결합된 경우 안정봉을 지지구에 결합시킬 수 있므로, 정확한 시공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배수시설에 하수 등이 역류할 경우 상기 개폐도어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커버가 망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구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안정봉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4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구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안정봉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4의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로 밑에 형성되어 하수 등의 물이 흘러가는 배수시설의 배수로(1)의 상단에 형성되는 맨홀(2)과 상기 맨홀(2)의 내경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에 결합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시설은 하수구 또는 도로에 형성되는 배수구일 수 있으며, 상기 맨홀(2)은 원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0)는 상기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맨홀(2)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형태로 구성되며, 외면(11)에는 상측에 외면단(12)이 형성되고, 내면(13)에는 하측에 내면단(1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면단(12)에 의하여 상기 맨홀(2)에 지지되고, 상기 내면단(14)에는 상기 커버(20)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내면단(14) 상단에 위치하는 내면(13)에는 커버(20) 고정을 위한 고정홀(15)들이 복수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홀(15)의 개수는 4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외면단(12)은 생략되거나 다른 형태로 상기 맨홀(2)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평판 형태의 몸체(30), 상기 몸체(30)에 형성된 개방부(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개폐도어(40), 상기 몸체(3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구(50), 상기 지지구(50)와 결합하며 상기 몸체(30)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32)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구(60) 및 상기 지지구(50) 중 2개의 지지구(50)에 결합하는 안전봉(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30)는 원판 형태를 기본으로 중앙에는 사각형 형태의 개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부(31)는 상기 개폐도어(40)이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개폐도어(40)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5)를 별도로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계폐도어(40)는 상기 커버(20)의 상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이는 상기 맨홀(2)을 통하여 하수가 역류하는 경우 물, 상기 개폐도어(40)의 무게 이상의 압력에 의하여 하중인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개폐도어(40)가 상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몸체(51)와 상기 지지몸체(51)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회전홀(52)과 상기 지지몸체(51)의 일단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정봉(70)의 일부과 결합하는 수직고정부(53)과 상기 지지몸체(51)의 타측에 형성되는 장공 형태의 수용홀(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50)는 상기 몸체(30)의 하면에 상기 회전홀(52)에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볼트 등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2개가 하나의 조합으로 설치되며, 각 조합은 4개가 동일한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구(50)는 전체 8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30)의 돌출부(32)는 하나의 조합을 형성하는 2개의 지지구(50) 사이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체 4개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2)에는 나사홀(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홀(33)에는 상기 고정구(60)가 나사 결합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2개의 지지구(50)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수용홀(54)에 관통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60)는 별도의 헤드부(61)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61)는 상기 지지구(50)의 수용홀(54)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60)를 상기 돌출부(32)에 결합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고정구(60)와 연동된 상기 지지구(50)들이 회전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60)의 길이와 나사산의 형성 길이는 상기 고정대(10)의 고정홀(15)에 정확한 깊이로 결합하는 경우 상기 지지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30)에 수직 및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사전에 설정한다.
한편, 상기 안전봉(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태로 구성되며, 양끝단에는 결합홀(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71)은 상기 지지구(50)의 수직고정부(53)와 결합한다.
즉, 상기 고정구(60)가 상기 고정대(10)의 고정홀(15)에 정확히 결합하는 경우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50)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구(50)가 수직 및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만 상기 안정봉(70)에 상기 수직고정부(53)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정봉(70)의 정확한 결합이 가능한 경우, 상기 커버(20)가 정확히 고정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안전봉(70)은 십자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개폐도어(40)가 개방된 경우 주변 사람들이 개방부(31)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망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서로 교차하는 안전봉(70)은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하로 구분되어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경우 교차부분이 서로 겹합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40)는 상기 개방부(31)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완전히 개방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미만으로 설정한다.
상기 각도는 하수가 역류하여 압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도어(40)가 개방된 후, 압력이 사라질 경우 자중에 의하여 다시 닫힐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한 동작을 위해서는 80도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배수로 2: 맨홀
10: 고정대 11: 외면
12: 외면단 13: 내면
14: 내면단 15: 고정홀
20: 커버 30: 몸체
31: 개방부 32: 돌출부
33: 나사부 35: 스토퍼
40: 개폐도어 50: 지지구
51: 지지몸체 52: 회전홀
53: 수직고정부 54: 수용홀
60: 고정구 61: 헤드부
70: 안전봉 71: 결합홀
100: 맨홀 커버 구조체
10: 고정대 11: 외면
12: 외면단 13: 내면
14: 내면단 15: 고정홀
20: 커버 30: 몸체
31: 개방부 32: 돌출부
33: 나사부 35: 스토퍼
40: 개폐도어 50: 지지구
51: 지지몸체 52: 회전홀
53: 수직고정부 54: 수용홀
60: 고정구 61: 헤드부
70: 안전봉 71: 결합홀
100: 맨홀 커버 구조체
Claims (10)
- 하수구 또는 배수구 같은 배수시설의 맨홀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평판 형상이며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개방부에 힌지결합하여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개폐도어;
상기 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지지구;
상기 지지구와 결합하고,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나사 결합한 후 연장되어 상기 고정대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가 상기 고정대에 정확히 나사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구 중 서로 마주보는 지지구에 각각 결합하는 안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2개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조합을 이루며, 상기 조합은 상기 몸체 하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4개의 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ㄴ'자 형태의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에 형성되는 회전홀,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직고정부 및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고정부에 상기 안정봉이 결합하고, 상기 회전홀에는 별도의 볼트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수용홀에는 상기 고정구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조합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구의 수용홀은 동일한 고정구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외면, 내면, 상기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단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내면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면단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구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양문 형태로 상기 개방부에 결합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개폐도어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상방향 개방 각도는 9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정봉은 상기 수직고정부와 결합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2979A KR102672319B1 (ko) | 2022-10-31 | 2022-10-31 |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2979A KR102672319B1 (ko) | 2022-10-31 | 2022-10-31 |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1373A KR20240061373A (ko) | 2024-05-08 |
KR102672319B1 true KR102672319B1 (ko) | 2024-06-05 |
Family
ID=9107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2979A Active KR102672319B1 (ko) | 2022-10-31 | 2022-10-31 |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23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9804B1 (ko) * | 2024-07-25 | 2024-11-13 | (주)미츠 | 측면 날개 개방을 이용하여 수압조절이 가능한 맨홀 덮개 구조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774B1 (ko) | 2013-11-21 | 2014-07-17 | (주)나스텍이앤씨 |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
KR101448569B1 (ko) | 2014-02-18 | 2014-10-16 |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 수압조절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
CN108824612A (zh) | 2018-08-01 | 2018-11-16 | 上海砼仁环保技术发展有限公司 | 一种雨水箅子支架与井圈套件 |
KR101942215B1 (ko) | 2018-01-29 | 2019-01-24 | 김경호 | 고정과 개폐가 용이한 맨홀 결합구조체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5809A (ko) * | 2004-08-03 | 2004-08-30 | 주식회사 대복종합건설 | 개폐가 용이한 대형 맨홀 |
KR20130067977A (ko) * | 2011-12-15 | 2013-06-25 |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 수압 방출 기능을 가지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
-
2022
- 2022-10-31 KR KR1020220142979A patent/KR1026723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9774B1 (ko) | 2013-11-21 | 2014-07-17 | (주)나스텍이앤씨 |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
KR101448569B1 (ko) | 2014-02-18 | 2014-10-16 |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 수압조절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
KR101942215B1 (ko) | 2018-01-29 | 2019-01-24 | 김경호 | 고정과 개폐가 용이한 맨홀 결합구조체 |
CN108824612A (zh) | 2018-08-01 | 2018-11-16 | 上海砼仁环保技术发展有限公司 | 一种雨水箅子支架与井圈套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1373A (ko) | 2024-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72319B1 (ko) |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 |
KR20240042743A (ko) | 맨홀용 추락방지 안전망 | |
KR102148661B1 (ko) | 맨홀뚜껑 조립체 | |
KR20110017130A (ko) |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 |
CN207469415U (zh) | 排水整流井 | |
KR101716394B1 (ko) | 정합식 맨홀 | |
KR100654756B1 (ko) |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 |
CN211773906U (zh) | 一种市政工程用道路井盖 | |
RU60547U1 (ru) |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рышки люка | |
KR102008815B1 (ko) |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 |
KR20140002180U (ko) | 이탈 방지 장치가 구비된 맨홀 조립체 | |
CN210766897U (zh) | 一种市政公用工程用防盗防堵井盖 | |
KR101996050B1 (ko) |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 |
KR20180117020A (ko) | 부유부를 구비한 케이블 맨홀의 배수 장치 | |
KR101382174B1 (ko) |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 |
KR200262733Y1 (ko) |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 |
KR102557783B1 (ko) | 탈부착 가능한 차단판을 구비한 맨홀 | |
KR20140122989A (ko) | 잡물 유입방지용 맨홀덮개 | |
KR102035387B1 (ko) | 경첩을 이용한 유량조절장치 | |
KR100528615B1 (ko) |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 |
KR100290951B1 (ko) | 자동수문 | |
KR102790334B1 (ko) | 우수관로용 맨홀시스템 | |
KR102466764B1 (ko) | 악취저감 빗물받이 | |
KR102795080B1 (ko) | 오수관로용 맨홀시스템 | |
KR102386350B1 (ko) | 세로형 수로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