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9774B1 -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 Google Patents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774B1
KR101419774B1 KR1020130142260A KR20130142260A KR101419774B1 KR 101419774 B1 KR101419774 B1 KR 101419774B1 KR 1020130142260 A KR1020130142260 A KR 1020130142260A KR 20130142260 A KR20130142260 A KR 20130142260A KR 101419774 B1 KR101419774 B1 KR 101419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art
hole
man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권
남정윤
Original Assignee
(주)나스텍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스텍이앤씨 filed Critical (주)나스텍이앤씨
Priority to KR102013014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77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36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overflow or explosion control means, e.g. check or relie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63Hinged connection of cover to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받침틀을 덮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은, 원형으로 상기 받침틀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받침틀과 접촉하는 본체와; 상기 관통공의 중심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내주면 또는 상기 내주면 인접부위에 양단이 결합되는 힌지축과;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축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의 절반을 커버하는 제1개폐부와;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개폐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힌지축과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나머지 절반을 커버하는 제2개폐부를 구비하여, 상기 맨홀을 통해 역류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탈방지용 맨홀뚜껑{Manhole cover for separa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맨홀 내의 수압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맨홀뚜껑의 이탈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용 맨홀 뚜껑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지하의 하수관, 수도관, 지하 매설 케이블 및 포장도로 등을 검사하거나, 지하를 청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출입하는 구멍이며, 관의 굵기나 방향이 바뀌는 곳,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 등에 설치된다.
상기 맨홀은 통상 원통 형태에 뚜껑이 구비된 관 하부로 유입관과 유출관이 각각 연결되어 매설된 형태를 가지는데, 특히, 우수 및 오수를 이동시키는 하수도용 맨홀의 경우, 하부 측면으로 다수개의 유입관 및 유출관이 연결되는 맨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맨홀본체 상부로는 받침틀이 연결되어, 받침틀의 상부로 맨홀뚜껑을 안착시켜 덮는 형태를 가지며, 이렇게 형성된 맨홀은 지하로 매설되어, 맨홀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맨홀뚜껑에 의해 맨홀본체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면서, 가정이나 각종 시설 등의 하수를 배출시키며, 우천 시에는 맨홀뚜껑을 통해 도로의 빗물을 배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하수도용 맨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맨홀뚜껑은, 주철 또는 철근 콘크리트로 제조되어 단순히 맨홀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형태에, 작은 크기로 관통된 유입공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맨홀의 개방된 부위를 막아 각종 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맨홀 내부의 하수 및 악취나 가스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유입공을 통해 우수를 하수관으로 배수시킨다.
그러나, 맨홀뚜껑은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하수의 역류 시, 맨홀 내부의 높은 수압에 의해 맨홀뚜껑이 외부로 이탈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9216호(2006.04.03.)와 같이 맨홀뚜껑이 잠금장치에 의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받침틀과 맨홀본체 또는 맨홀본체와 유입관 및 유출관의 각 연결부위 및 기타 취약부위가 수압에 의해 파손되고 이탈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맨홀뚜껑의 이탈을 방지하여 분실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홀 내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받침틀을 덮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은, 원형으로 상기 받침틀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받침틀과 접촉하는 본체와; 상기 관통공의 중심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내주면 또는 상기 내주면 인접부위에 양단이 결합되는 힌지축과;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축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의 절반을 커버하는 제1개폐부와;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개폐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힌지축과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나머지 절반을 커버하는 제2개폐부를 구비하여, 상기 맨홀을 통해 역류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인접되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 각각의 외주면에 인접되는 가장자리 하부면의 안착을 위한 결합홈이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틀에서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틀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맨홀뚜껑은, 상기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의 개방시 탄성력에 의해 닫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상기 제1개폐부의 하부면과 및 상기 제2개폐부의 하부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이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맨홀 내의 수압 조절이 가능해 맨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용 맨홀뚜껑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개폐유닛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7은 도 1의 개폐유닛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용 맨홀뚜껑(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100)은 본체(120) 및 개폐유닛(11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20)는 원형으로 구비되고, 맨홀의 받침틀(130)을 덮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120)는 종래와 달리 중앙부분에 관통공(125)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20)는 외주면(122)과 내주면(124)를 구비하는 링 형상 또는 도넛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20)의 외주면(124) 및 상기 본체(120)의 가장자리 하부면은 상기 받침틀(130)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받침틀(130)은 상기 본체(120)가 안착되는 안착면(138)을 구비하고, 안착면(138)의 일정부위에 원주방향으로 안착홈(138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38a)에는 오링 등의 밀폐링(131)이 삽입되게 된다.
상기 본체(120)가 상기 받침틀(130)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120)를 상기 받침틀(130)에 잠가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홈(123)이 상기 본체(120)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20)에 내주면(124) 또는 상기 내주면(124) 인접부위에는 상기 개폐유닛(110)을 구성하는 힌지축(115)의 양단이 결합되기 위한 힌지홈(127)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홈(127)은 상기 관통공(125)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부위의 내주면(124) 또는 내주면 인접부위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힌지홈(127)의 위치는 상기 힌지축(115)의 체결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외에 다른 부분은 일반적인 맨홀 뚜껑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개폐유닛(110)은 힌지축(115), 제1개폐부(112a) 및 제2개폐부(112b)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축(115)은 상기 관통공(125)의 중심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관통공(125)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본체(120)의 내주면(124) 또는 상기 내주면(124) 인접부위에 형성된 힌지홈(127)들에 양단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1개폐부(112a)는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축(115)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관통공(125)의 절반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제2개폐부(112b)는 상기 제1개폐부(112a)와 대칭구조를 가지며,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115)과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125)의 나머지 절반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제1개폐부(112a)와 상기 제2개폐부(112b)는, 중심축을 연결하는 상기 힌지축(115)과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형구조를 이루어 상기 관통공(125) 전체를 커버하게 된다.
상기 제1개폐부(112a) 및 상기 제2개폐부(112b) 각각의 외주면에 인접되는 가장자리 하부면, 즉 상기 제1개폐부(112a)와 상기 2개폐부(112b)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으로 원형구조를 이루는 상기 개폐유닛(110)의 가장자리 하부면은, 상기 본체(120)의 내주면(124)과 인접되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홈(128)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결합홈(128)은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8)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124)과 인접되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면에 안착면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28)에 상기 개폐유닛(110)이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120)의 상부면과 상기 개폐유닛(110)의 상부면이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부(112a) 및 상기 제2개폐부(112b) 각각은 상기 관통공(125) 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폐유닛(110)의 닫힘시에는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결합홈(128)에 안착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제1개폐부(112a) 및 상기 제2개폐부(112b)는 상기 관통공(125)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110)의 개방시에는 상기 제1개폐부(112a) 및 상기 제2개폐부(112b)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관통공(125)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개폐유닛(110)은 상기 맨홀을 통해 역류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제1개폐부(112a) 및 상기 제2개폐부(112b)가 개방되어 물이 빠져나가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5는 상기 본체(120)와 상기 받침틀(13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0)가 상기 받침틀(130)에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120)를 상기 받침틀(130)에 잠가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홈(123)이 상기 본체(120)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는 점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틀(130)의 안착면(138) 인접부위에는 상기 제1고정홈(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고정홈(132)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2고정홈(132)의 하부면에는 볼트(136)의 머리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수평삽입홈(134)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삽입홈(134)에 상기 볼트(136)의 머리부분을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볼트(136)는 수평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고,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볼트(136)의 머리부분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홈(132)은 상기 받침틀(130)과 일체형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받침틀(130)의 특정부위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20)는 상기 제1고정홈(123), 상기 제2고정홈(132), 상기 볼트(136), 잠금너트(126)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틀(130)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136)가 상기 제2고정홈(132) 내의 상기 수평삽입홈(134)에 볼트 머리가 삽입된 상태가 되어 볼트가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120)의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안착면(138)에 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제1고정홈(123)이 상기 제2고정홈(132)에 인접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120)를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홈(123)에 잠금너트(126)를 위치시키고, 상기 볼트(136)의 단부가 상기 잠금너트(126)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너트(126)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120)와 상기 받침틀(1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136)는 상기 본체(120)의 외주면(122)의 외부에 놓이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달리, 상기 볼트(136)가 상기 제1고정홈(123)의 하부에 관통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136)가 상기 제1고정홈(123)의 하부에 관통홀(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잠금너트(126)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20)의 분리시에는 상기 잠금너트(126)를 회전시켜 잠금상태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너트(126)를 받침틀(13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잠금너트(126)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136)사 상기 수평삽입홈(134)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본체(12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잠금고정시에는 상기 잠금너트(126)를 상기 본체(120)의 제1고정홈(123)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잠금너트(126)를 회전시켜 잠가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개폐유닛(110)의 동작상태도 및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유닛(110)은 제1개폐부(112a) 및 제2개폐부(112b)로 구성되며, 힌지축(115)에 의해 양분되며 상기 힌지축(115)과 힌지결합되어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호우 등이 없이 하수 등의 상기 맨홀을 역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유닛(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28)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125)을 폐쇄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집중호우 등으로 맨홀내의 수압이 높아져 역류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폐부(112a) 및 상기 제2개폐부(112b)가 상기 힌지축(11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관통공(125)이 개방되게 된다.
상기 본체(120)는 상기 받침틀(130)에 고정되어 있어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개폐유닛(110)에 의해 상기 맨홀 내의 수압이 조절되므로, 상기 맨홀 뚜껑의 이탈이나, 이탈로 인한 손실의 방지 및 안전사고의 방지가 가능하다.
상기 개폐유닛(110)은 맨홀 내의 수압이 높아지면 수압에 의해 상기 관통공(125)을 개방하는 구조를 가지나, 맨홀 내의 수압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개폐유닛(110)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관통공(125)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개폐유닛(110)의 무게가 가볍거나, 상기 힌지축(115)과의 힌지결합상태가 원활하지 못하거나 윤활작용이나 회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등에는 상기 개폐유닛(110)이 상기 관통공(125)을 개방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물질 유입이나 기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폐유닛(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140a,14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140a,140b)는 상기 제1개폐부(112a) 및 상기 제2개폐부(112b)의 개방시 탄성력에 의해 닫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개폐부(112a) 및 상기 제2개폐부(112b)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140a,140b)는 상기 힌지축(115)의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개폐부(112a)의 하부면과 및 상기 제2개폐부(112b)의 하부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개폐부(112a)의 하부면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개폐부(112b)의 하부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140a,140b)는 도 7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40a)으로 구비될 수 있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40b)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기타 탄성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140a,140b)는 일정 수압보다 탄성력이 작게 형성되어 일정수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늘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수압이 약해지거나 작용하지 않으면 탄성력이 작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140a,140b)는 맨홀 내의 수압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개폐유닛(110)이 수압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유닛(110)이 수압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수압이 약해지거나 수압이 작용하지 않으면, 탄성력이 작용하여 복원됨에 따라 상기 개폐유닛(110)이 상기 관통공(125)을 폐쇄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이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맨홀 내의 수압 조절이 가능해 맨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개폐유닛 120 : 본체
130 : 받침틀

Claims (5)

  1. 맨홀의 받침틀을 덮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에 있어서:
    원형으로 상기 받침틀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외주면이 상기 받침틀과 접촉하는 본체와;
    상기 관통공의 중심점을 통과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내주면 또는 상기 내주면 인접부위에 양단이 결합되는 힌지축과;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축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의 절반을 커버하는 제1개폐부와;
    반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개폐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힌지축과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나머지 절반을 커버하는 제2개폐부를 구비하여,
    상기 맨홀을 통해 역류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가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맨홀뚜껑은, 상기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의 개방시 탄성력에 의해 닫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인접되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개폐부 및 상기 제2개폐부 각각의 외주면에 인접되는 가장자리 하부면의 안착을 위한 결합홈이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틀에서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틀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상기 제1개폐부의 하부면과 및 상기 제2개폐부의 하부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KR1020130142260A 2013-11-21 2013-11-21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Expired - Fee Related KR101419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260A KR101419774B1 (ko) 2013-11-21 2013-11-21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260A KR101419774B1 (ko) 2013-11-21 2013-11-21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774B1 true KR101419774B1 (ko) 2014-07-17

Family

ID=5174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2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9774B1 (ko) 2013-11-21 2013-11-21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77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59B1 (ko) * 2016-04-08 2016-12-12 주식회사 금교산업 맨홀 내부 설치용 방취, 방충 기능을 갖는 플랫밸브
CN109403387A (zh) * 2018-12-17 2019-03-01 江西君泽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井盖
KR101967283B1 (ko) * 2018-12-21 2019-08-13 주식회사 일산금속 맨홀뚜껑 및 맨홀받침대의 잠금장치구조
KR102256113B1 (ko) 2020-11-30 2021-05-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직 연결체 및 고정걸쇠 어셈블리를 구비한 맨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40061373A (ko) * 2022-10-31 2024-05-08 심현리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KR102729803B1 (ko) * 2024-07-25 2024-11-13 (주)미츠 수압조절이 가능한 맨홀 덮개 구조물
KR102732257B1 (ko) * 2023-09-11 2024-11-20 제일건설안전기술 주식회사 역류에도 맨홀 커버가 이탈하지 않는 맨홀
KR20250066052A (ko) 2023-11-06 2025-05-13 김태원 맨홀덮개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맨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500B1 (ko) * 2010-03-31 2010-10-13 이상각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중맨홀뚜껑
KR101004004B1 (ko) * 2008-01-18 2010-12-31 김명화 잠금식 이중 맨홀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004B1 (ko) * 2008-01-18 2010-12-31 김명화 잠금식 이중 맨홀덮개
KR100987500B1 (ko) * 2010-03-31 2010-10-13 이상각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이중맨홀뚜껑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59B1 (ko) * 2016-04-08 2016-12-12 주식회사 금교산업 맨홀 내부 설치용 방취, 방충 기능을 갖는 플랫밸브
CN109403387A (zh) * 2018-12-17 2019-03-01 江西君泽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井盖
KR101967283B1 (ko) * 2018-12-21 2019-08-13 주식회사 일산금속 맨홀뚜껑 및 맨홀받침대의 잠금장치구조
KR102256113B1 (ko) 2020-11-30 2021-05-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직 연결체 및 고정걸쇠 어셈블리를 구비한 맨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40061373A (ko) * 2022-10-31 2024-05-08 심현리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KR102672319B1 (ko) 2022-10-31 2024-06-05 심현리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KR102732257B1 (ko) * 2023-09-11 2024-11-20 제일건설안전기술 주식회사 역류에도 맨홀 커버가 이탈하지 않는 맨홀
KR20250066052A (ko) 2023-11-06 2025-05-13 김태원 맨홀덮개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맨홀
KR102729803B1 (ko) * 2024-07-25 2024-11-13 (주)미츠 수압조절이 가능한 맨홀 덮개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774B1 (ko)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US7744305B2 (en) Manhole with locking device
US5987824A (en) Locking manhole cover
KR101051388B1 (ko) 맨홀 커버 조립체
KR20150010529A (ko) 다기능 프레임이 구비된 맨홀덮개
KR101067610B1 (ko)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US9260840B2 (en) Main valve for dry barrel fire hydrant
EP2093328A2 (en) Variably connected bridge drainer
KR200396491Y1 (ko) 이탈 방지 및 안전성을 향상한 맨홀
KR20140128813A (ko) 맨홀용 악취 및 역류 방지 장치
KR200465218Y1 (ko) 맨홀 조립체
KR100927147B1 (ko) 재난대비 다기능 하수도용 이중맨홀뚜껑
KR101300700B1 (ko) 이탈 방지용 맨홀뚜껑
KR20140002180U (ko) 이탈 방지 장치가 구비된 맨홀 조립체
JP2018188922A (ja) 間接排水用継手
KR200439235Y1 (ko) 맨홀의 밀폐구조
KR200470846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밸브
US7789104B2 (en) Backflow prevent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s
KR100758730B1 (ko) 방수용 회전 잠금식 상수도·하수도·전기·통신용 안전 맨홀뚜껑
KR101707671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KR102729804B1 (ko) 측면 날개 개방을 이용하여 수압조절이 가능한 맨홀 덮개 구조물
KR200332761Y1 (ko) 부동전
JP6649829B2 (ja) 逆流防止弁
KR20250066052A (ko) 맨홀덮개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맨홀
KR101436798B1 (ko) 하수구 및 배수로 뚜껑 오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07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710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