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9644B1 -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644B1
KR102669644B1 KR1020230082756A KR20230082756A KR102669644B1 KR 102669644 B1 KR102669644 B1 KR 102669644B1 KR 1020230082756 A KR1020230082756 A KR 1020230082756A KR 20230082756 A KR20230082756 A KR 20230082756A KR 102669644 B1 KR102669644 B1 KR 102669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thistle
thistle extract
present
silymarin
fatty li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은
박형석
황병환
Original Assignee
한국자연한방 주식회사
박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연한방 주식회사, 박형석 filed Critical 한국자연한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644B1/ko
Priority to PCT/KR2024/009016 priority patent/WO2025005693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의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밀크씨슬 씨앗에 효소 처리 및 저농도 에탄올 용매 추출하여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이 생체이용율이 높고,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fatty liver, including milk thistle extract with increased bioavailability of silymarin}
본 발명은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의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밀크씨슬(학명: Silybum marianum)은 국화과 식물로 남서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에서 자라며, 6월~8월에 개화하고, 1.5m 크기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밀크씨슬은 열매와 씨앗에 실리말린이라고 불리는 플라보노리그난 그룹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연구에 따르면, 실리마린은 간세포의 세포막을 보호하고 간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실리마린은 항산화, 항종양, 혈당강하, 항고지혈증 및 위장 보호 효능 등 다양한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용한 성분인 실리마린을 밀크씨슬로부터 추출하여 생체이용률을 높히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미진한 부분이 있다. 특히,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밀크씨슬로부터 실리마린을 추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실리마린 함량 대비 인체 흡수율이 낮아, 낮은 생체이용률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7006호(2020.05.25)에는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한 밀크씨슬 추출물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2305호(2013.09.17)에는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높은 실리마린 생체이용율을 보이며,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밀크씨슬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밀크씨슬 씨앗에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 후, 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제조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크씨슬 씨앗에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 후, 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제조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밀크씨슬 씨앗은 바람직하게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은, 밀크씨슬 씨앗을 압착시켜 탈지시킨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반응은 45~55℃에서, 3~18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추출은 60~90℃에서, 1~8시간 동안 추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바람직하게 용매 추출 후, 분말화하는 과정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은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높고,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발휘한다.
도 1은 효소추출 후, 3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용매추출 시킨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또는 효소추출 없이 90%(v/v)에탄올을 사용하여 용매추출 시킨 밀크씨슬 추출물 (GPMP-070, 지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쥐에게 단회 투여한 후, 얻은 실리마린 혈중농도-시간 곡선하면적으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생체이용률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을 쥐에게 일주일간 투여한 후, 간손상을 일으키고, 측정한 혈중 AST 농도 결과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간보호 효능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을 쥐에게 일주일간 투여한 후, 간손상을 일으키고, 측정한 혈중 ALT 농도 결과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간보호 효능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을 쥐에게 일주일간 투여한 후, 간손상을 일으키고, 측정한 간세포의 항산화 단백질을 측정한 결과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간보호 효능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을 쥐에게 일주일간 투여한 후, 간손상을 일으키고, 간세포를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간보호 효능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을 HepG2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과 지방산(FFA)을 HepG2 세포에 처리(도 7의 A)하고,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지방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도 7의 B)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 Sample Low, Sample High)을 처리하며, 비알콜성 지방간 동물 모델 실험을 실시하고, 쥐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지방 축적 방지 효능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 Sample Low, Sample High)을 처리하며, 비알콜성 지방간 동물 모델 실험을 실시하고, 쥐 혈청 분석을 통해 지방간 관련 바이오 마커들을 확인한 결과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지방간 개선 효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 Sample Low, Sample High)을 처리하며, 비알콜성 지방간 동물 모델 실험을 실시하고, 얻은 쥐의 간을 염색하여 간세포 내 지방 축적을 확인한 결과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지방간 개선 효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크씨슬 씨앗에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 후, 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제조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크씨슬 씨앗에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 후, 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제조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밀크씨슬은 열매와 씨앗에 실리마린을 다량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리마린은 간보호, 항산화, 항종양, 혈당강하, 항고지혈증, 위장보호 효능, 지방간 개선 효능 등 다양한 기능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밀크씨슬로부터 상기와 같이 유용한 실리마린을 추출하여 실리마린의 인체 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높은 농도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시킨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실리마린 추출 수율은 우수하지만, 지용성을 띄어 인체 흡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효소 추출을 통해, 낮은 농도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였음에도, 높은 실리마린 함량을 가지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물 모델 실험을 실시한 결과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이 높은 농도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시킨 밀크씨슬 추출물 보다 더욱 높은 생체이용율을 보이며, 우수한 간보호 효능 및 지방간 개선 효능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음료, 미네랄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류,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의 건강기능성 식품류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하여 사용 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있어서,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0001 내지 1,000 mg/kg (체중)으로 1회 이상 경구 투여 가능하다. 다만,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와 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 제조과정에 대해 각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 (a): 밀크씨슬 씨앗에 효소를 첨가하고 반응시키는 단계>
본 단계는 밀크씨슬 씨앗에 효소를 첨가하고 반응시키는 과정이다. 즉, 본 단계는 이후 에탄올 용매 처리과정에서 실리마린이 더욱 원활하게 추출되도록 밀크씨슬 씨앗을 효소로 전처리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단계에서 밀크씨슬 씨앗은 바람직하게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인 것이 좋다.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을 사용하는 경우 실리마린이 더욱 원활하게 추출되어 더욱 높은 실리마린 함량을 가진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은 밀크씨슬 씨앗에 다양한 물리 화학적 방법을 수행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밀크씨슬 씨앗을 석유 에테르로 환류 추출하여 탈지시키는 것일 수도 있고, 밀크씨슬 씨앗을 압착시켜 배유(胚乳)를 분리하여 탈지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압착을 이용한 탈지 시 배유에 포함된 일부 전분질이 압착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껍질에 포함되어 회수될 수 있지만, 이렇게 껍질과 같이 포함되어 회수된 전분질은 본 발명의 밀크씨슬 씨앗 껍질로부터 실리마린을 추출하는데, 특별한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라서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본 단계에서 효소는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를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기재한 효소들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를 포함하는 Pectinex®Ultra SP-L 제품 (효소 활성: 3300 PGNU/g) 23~99,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Celluclast® 1.5 L 제품 (효소 활성: 700 EGU/g) 19~66, 셀룰라아제(cellulase)를 포함하는 ROHAMENT® CL 제품 (효소 활성: 15000 ECU/g) 1~6, 자일라나아제(xylanase) 및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를 포함하는 Ultraflo® Max 제품 (베타글루카나아제 효소 활성: 700 EGU/g, 자일라나아제 효소 활성: 250 FXU/g) 1~6,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를 포함하는 Viscozyme® L 제품 (효소활성: 100 FBG/g) 19~66의 무게 비율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하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비율로 효소들을 넣고 반응시킴으로써, 높은 함량의 실리마린을 포함하면서도 생체 이용률이 높은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기재한 셀룰라아제(cellulase)는 셀룰로오스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는 펙틴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는 베타글루칸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자일라나아제(xylanase)는 자일란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한편, 본 단계에서 반응은 45~55℃에서, 3~1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b):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밀크씨슬 씨앗에 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고 추출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할 시에는 고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높은 함량으로 실리마린을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은 20~60%(v/v)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데, 이를 통해, 생체이용율이 높은 수용성 실리마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 추출은 60~90℃에서, 1~8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단계는 에탄올 용매 추출 이후, 분말화시키는 과정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좋다. 분말화를 통해 밀크씨슬 추출물의 보관적성 및 사용적성이 향상된다.
상기 분말화시키는 과정은 일 예로,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화시키는 것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동결건조 전, 여과 과정 및 농축 과정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과 과정을 통해 불필요한 고형분을 제거시킬 수 있으며, 농축 과정을 통해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탄올을 제거하여 용매 잔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밀크씨슬 씨앗의 껍질과 배유 (胚乳, 내부 속살)를 분리시킨 후, 회수한 밀크씨슬 씨앗 껍질 11.5 g, 하기 표 1의 효소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68.9g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효소명 기능 제품명 제조사 효소 활성 효소 첨가량
1 폴리갈락투로나아제 세포벽의 구성 성분인 펙테이트 및 기타 갈락투로난에서 (1,4)-알파-디-갈락토시듀론 결합을 가수분해 Pectinex®Ultra SP-L novozymes 3300 PGNU/g 0.33g
2 셀룰라아제 셀룰로오스 및 기타 베타-D 글루칸에서 (1,4)-베타-디-글루코시드 결합을 내부에서 가수분해 Celluclast® 1.5 L novozymes 700 EGU/g 0.33g
비전분 다당류를 가수분해 ROHAMENT® CL AB Enzymes 15000 ECU/g 0.33g
3 베타글루카나아제 베타-디-글루칸에서 (1,3) 또는 (1,4) 결합을 내부에서 가수분해 Ultraflo® Max novozymes 700 EGU/g 0.01g
Viscozyme® L novozymes 100 FBG/g 0.33g
4 자일라나아제 자일란에서 (1,4)-베타-디-자일로시드 결합을 내부에서 가수분해 Ultraflo® Max novozymes 250 FXU/g 0.01g
상기 제조한 혼합액을 50℃의 온도에서 14시간 동안 1차 반응시켰다. 이후 30%(v/v) 에탄올 31.1 g을 첨가한 후, 8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며 2차 반응시켰다. 2차 반응시킨 혼합물을 25 μm의 필터로 여과시켰고, 그 통과액을 농축기를 통해 농축시켜 알코올과 수분을 제거시켰다. 이후 동결건조를 통해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실리마린(silymarin) 함량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유용성분인 실리마린(silymarin) 함량을 분석하고자 했다.
Silymarin 6종(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 각 2 mg을 메탄올(Methanol) 2ml와 혼합하여 표준용액으로 사용하고,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통해 하기 표 2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를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을 사용하되, 효소처리 없이 30%(v/v) 에탄올을 90%(v/v) 에탄올로 대체하고, 에탄올 추출 시 85℃에서 3시간 동안 3회 반복하여 추출시킨 밀크씨슬 추출물 (대조군 1),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을 사용하되, 30%(v/v) 에탄올을 증류수로 대체하여 추출한 밀크씨슬 추출물 (대조군 2) 및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을 사용하되, 셀룰라아제(cellulase; 제품명: ROHAMENT® CL), 베타글루카나아제(β-glucanase; 제품명: Ultraflo®Max), 자일라나아제(xylanase; 제품명: Ultraflo®Max)를 사용하지 않고, 총 3종의 효소 제품만 사용하여 제조한 밀크씨슬 추출물 (대조군 3)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번호 성분명 실시예 1
(mg/g)
대조군 1
(mg/g)
대조군 2
(mg/g)
대조군 3*
(mg/g)
1 silychristin 25.97 132.94 6.32
2 silydianin 26.17 38.34 6.00
3 silybin (A+B) 41.63 289.88 10.57
4 isosilybin (A+B) 24.38 98.54 3.18
총 합계 118.15 559.7 26.08 68.89*
* 대조군 3의 경우 실리마린 총합계만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2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한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118.15 mg/g의 실리마린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효소를 사용함에 따라 실리마린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실리마린(silymarin)의 혈중 약물 농도 확인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우수한 생체이용률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암, 수 Sprague-Dawley rat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한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과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의 시간에 따른 혈중 실리마린 농도를 비교하였다.
1) 혈액시료 채취 방법
- 실험물질의 제조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밀크씨슬 추출물 0.7g (실리마린 390 mg 함유)을 측량한 후, 조제용기에 부형제인 3차 멸균 증류수를 첨가하여 10 mL/kg의 투여액량으로 현탁시켰다.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 3.3 g (실리마린 390 mg 함유)을 측량한 후, 조제용기에 부형제인 3차 멸균 증류수를 첨가하여 20 mL/kg의 투여액량으로 현탁시켰다.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 보다 고형분 함량이 높아 20 mL/kg의 투여액량으로 현탁한 것이다. 다만, 투여하는 실리마린의 함량은 동일하다.
- 실험동물 구성
실험동물로서 수컷 SD Rat(6 주령, 180-200 g, 오리엔트바이오, 가평센터)와 암컷 SD Rat(6 주령, 130-150 g, 오리엔트바이오, 가평센터)를 사용하였고, 시험 기간 동안 케이지에서 자유롭게 물과 사료(LabDiet 5053, Nutri Int, USA)에 접근하도록 사육하였다. 온도는 22±3℃, 습도는 50±20%, 12 시간의 light/dark cycle을 유지한 상태로 실험 전 약 1주의 적응기를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일반증상 및 체중 증가에 이상이 없는 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평균체중에 가까운 동물을 선발하여 각 군 평균체중이 균등하도록 무작위로 군 당 6마리로 분리하여 실험하였다.
- 투여방법
쥐에 시험물질을 투여하기 전 음수를 제외하고 12 시간 이상 절식을 실시한 후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시험물질을 위내 강제투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의 투여액량은 10 mL/kg으로,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의 투여액량은 20 mL/kg으로 하고, 개체별 투여액량은 당일 측정한 체중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단회 위 내에 강제 경구투여 하였다. 시험 물질 투여 1.5 시간 후에 식이를 공급하였다.
- 혈액시료의 채취
각 군의 모든 개체에 대하여 투여 후 채혈 시간마다 경정맥에서 헤파린 나트륨 (Sodium Heparin) (100 IU/mL)이 들어간 일회용 주사기 (1 mL 26G, 한국백신, KOR)를 이용하여 약 200 uL 이상의 혈액을 채혈하였다. 채혈시간은 투여 전 0 시간, 0.083, 0.25, 0.5, 0.75, 1, 1.5, 3, 5, 8, 12, 24 시간으로 총 12회 채혈을 실시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즉시 12,000 rpm 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한 뒤, -80℃에서 보관하였다가 전처리 전에 실온에서 해동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 혈액시료의 전처리
해동한 혈장 50 μL에 100% 메탄올 (IS: naringenin 40 ng/mL 포함) 450 μL를 가하였다. 이후 vortex-mixing (2,500 rpm, 5 min)하고 10분간 원심분리 (14,000 rpm, 10 min)하였다. 상층액 1 μL를 LC-MS/MS에 주입하여 실리마린 함량을 분석하였다.
- 기기 분석 조건
UPLC 기기: 1290 Series LC system (Agilent Technologies, Palo Alto, CA, USA)
컬럼: Waters HSS T3 (1.8 um, 2.1 * 50 mm)
컬럼 온도: 35℃
유속: 0.2 mL/min
주입량: 1.0 μL
분석시간: 16.0분
UPLC 이동상: A solution(0.1% formic acid + 10 mM Ammonium acetate), B solution(Methanol)
Time (min) A solution (%) B solution (%)
0.0 60 40
8.0 52 48
12.0 50 50
13.0 10 90
14.0 10 90
15.0 60 40
MS/MS 기기: 6470 mass spectrometer (Agilent Technologies, Palo Alto, CA, USA)
MS/MS 파라미터
Compound MRM transtion (m/z) Fragment energy(eV) Collision energy(eV) Retention time(min)
Silychristin 481→125/325 125 30/20 3.3
Silydianin 481→151/179 125 32/22 4.1
Silybin A 481→125/301 135 30/20 7.3
Silybin B 481→301/125 135 16/26 8.2
Isosilybin A 481→125/453 125 30/16 10.1
Isosilybin B 481→125/453 115 30/16 10.7
Naringenin (IS) 271→151/119 175 16/30 7.1
2) 혈액시료 분석 결과
상기 기재한 실험방법을 통해 혈액시료를 얻고, 실리마린 혈중 농도 데이터를 얻었다 (표 5~8).
수컷 쥐에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 투여 후 얻은 실리마린 혈중 농도(n=5)
Time(h)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
0 ND ND ND ND ND ND
0.083 3.93±1.87 ND 57.22±29.04 62.64±47.03 39.91±18.93 41.24±21.79
0.25 6.45±2.03 ND 66.59±22.14 53.26±15.37 47.03±13.75 44.59±17.87
0.5 7.38±0.83 ND 65.45±6.53 71.73±52.82 47.51±11.60 44.66±18.22
0.75 8.10±3.12 ND 63.27±31.05 64.45±47.94 45.72±22.37 40.96±20.71
1 6.24±3.30 ND 47.04±23.08 42.93±26.58 34.97±17.71 31.13±16.68
1.5 4.66±0.92 ND 21.36±10.53 14.97±6.82 16.89±8.25 14.19±7.72
3 0.26±00 ND 1.80±1.03 1.46±0.51 1.47±0.94 0.94±0.74
5 ND ND 0.76±00 ND ND ND
8 ND ND ND ND ND ND
12 ND ND ND ND ND ND
24 ND ND ND ND ND ND
암컷 쥐에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 투여 후 얻은 실리마린 혈중 농도(n=6)
Time(h)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
0 ND ND ND ND ND ND
0.083 3.88±2.16 ND 50.85±25.88 50.74±24.97 45.86±20.85 46.29±20.66
0.25 10.07±3.13 ND 72.60±20.10 75.21±18.36 67.49±16.19 67.35±20.12
0.5 12.31±3.06 ND 80.14±11.94 80.65±12.06 74.27±5.93 72.02±9.99
0.75 12.26±1.00 ND 85.33±14.67 82.53±12.36 78.53±13.26 76.43±15.81
1 10.05±1.88 ND 72.88±15.10 70.45±13.88 66.59±9.43 63.69±7.54
1.5 5.87±2.30 ND 33.72±23.55 29.66±20.44 30.04±19.99 26.77±18.56
3 ND ND 1.52±0.31 1.12±0.36 1.11±0.27 1.66±0.27
5 ND ND ND 0.96±0.14 0.87±0.03 0.95±0.37
8 ND ND ND ND ND ND
12 ND ND ND ND ND ND
24 ND ND ND ND ND ND
수컷 쥐에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 (GPMP-070) 투여 후 얻은 실리마린 혈중 농도(n=6)
Time(h)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
0 ND ND ND ND ND ND
0.083 ND ND 1.29±0.95 2.20±1.83 5.65±3.75 3.83±2.69
0.25 ND ND 3.17±2.05 5.58±3.40 15.61±11.74 11.50±8.77
0.5 ND ND 4.10±1.95 7.46±3.38 21.48±13.56 16.17±10.48
0.75 ND ND 4.11±1.12 8.10±2.20 21.76±7.85 15.33±6.39
1 ND ND 4.20±0.91 7.96±1.64 21.35±7.25 14.92±6.42
1.5 ND ND 2.65±1.11 5.38±2.47 13.23±5.81 8.71±4.34
3 ND ND 1.26±0.55 2.62±1.82 4.57±3.16 3.05±2.06
5 ND ND ND ND 1.57±0.28 1.40±0.15
8 ND ND ND ND ND ND
12 ND ND ND ND ND ND
24 ND ND ND ND ND ND
암컷 쥐에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 (GPMP-070) 투여 후 얻은 실리마린 혈중 농도(n=6)
Time(h)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
0 ND ND ND ND ND ND
0.083 6.77±5.76 ND 5.29±6.42 11.63±17.29 26.84±38.67 22.48±34.18
0.25 10.03±5.12 ND 10.06±7.46 22.59±17.77 52.95±46.07 45.20±14.01
0.5 8.21±2.30 ND 7.39±3.08 16.39±8.28 42.04±25.56 32.83±22.22
0.75 6.86±0.93 ND 6.27±1.61 13.19±4.18 35.98±17.04 28.13±16.12
1 6.53±0.21 ND 5.45±2.15 12.51±5.41 32.14±18.34 24.61±16.81
1.5 4.74±1.56 ND 2.55±1.07 6.16±2.91 15.02±7.92 10.96±6.54
3 1.39±00 ND 0.51±00 0.73±0.29 1.67±0.66 1.42±0.42
5 0.57±00 ND ND ND 1.16±0.57 1.25±0.49
8 ND ND ND ND ND ND
12 ND ND ND ND ND ND
24 ND ND ND ND ND ND
상기 표 5~8을 보면,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과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을 동일한 실리마림 함량으로 투여하였음에도,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가 더욱 높은 실리마린 혈중 농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이, 10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시킨 밀크씨슬 추출물보다, 더욱 높은 실리마린 흡수율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표 5~8을 바탕으로,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표 9~12).
수컷 쥐에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 투여 후 얻은 실리마린 6종의 약동학적 파라미터(n=5)
Parameter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
AUC0-t(ng·
h/mL)
8.02±2.80 ND 86.07±22.14 85.21±42.35 38.95±11.09 61.99±25.34
AUC0-∞(ng·
h/mL)
10.89±3.88 ND 87.44±21.21 86.30±41.62 42.46±11.50 63.61±26.19
Cmax (ng/mL) 9.46±1.82 ND 84.42±20.00 85.59±47.65 24.83±12.05 55.22±18.19
Tmax(h) 0.55±0.27 ND 0.47±0.30 0.47±0.27 0.88±0.38 0.43±0.34
T1/2(h) 0.52±0.15 ND 0.40±0.03 0.42±0.18 0.84±0.27 0.47±0.16
암컷 쥐에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 투여 후 얻은 실리마린 6종의 약동학적 파라미터(n=6)
Parameter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
AUC0-t(ng·
h/mL)
12.61±3.67 ND 113.21±26.51 108.35±21.33 100.90±19.62 108.75±24.45
AUC0-∞(ng·
h/mL)
24.70±7.81 ND 108.30±25.26 108.56±21.23 103.17±17.82 110.35±23.20
Cmax (ng/mL) 13.22±2.40 ND 90.37±11.35 88.38±12.41 82.76±10.45 82.59±12.94
Tmax(h) 0.67±0.13 ND 0.63±0.26 0.58±0.20 0.63±0.26 0.63±0.26
T1/2(h) 1.04±0.62 ND 0.80±0.80 0.34±0.03 0.40.±0.10 0.45±0.11
수컷 쥐에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 (GPMP-070) 투여 후 얻은 실리마린 6종의 약동학적 파라미터(n=6)
Parameter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
AUC0-t(ng·
h/mL)
ND ND 6.86±1.91 13.89±2.44 63.12±20.65 28.17±11.36
AUC0-∞(ng·
h/mL)
ND ND 9.76±3.35 19.70±11.04 64.31±20.41 31.67±10.60
Cmax (ng/mL) ND ND 4.88±1.71 9.26±2.84 59.39±14.59 18.02±9.64
Tmax(h) ND ND 0.75±0.32 0.88±0.38 0.47±0.30 0.79±0.40
T1/2(h) ND ND 1.16±0.59 1.14±0.62 0.39±0.04 0.83±0.75
암컷 쥐에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 (GPMP-070) 투여 후 얻은 실리마린 6종의 약동학적 파라미터(n=6)
Parameter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
AUC0-t(ng·
h/mL)
10.26±2.31 ND 8.84±3.53 21.12±10.76 59.60±33.09 46.45±30.36
AUC0-∞(ng·
h/mL)
24.02±17.66 ND 11.44±4.43 23.48±10.70 61.19±32.48 47.67±30.46
Cmax (ng/mL) 10.46±3.96 ND 11.10±6.66 25.20±15.81 60.21±42.94 51.38±38.63
Tmax(h) 0.45±0.21 ND 0.46±0.25 0.46±0.29 0.42±0.20 0.42±0.20
T1/2(h) 1.76±1.60 ND 0.71±0.13 0.48±0.09 0.74±0.58 0.57±0.11
한편, 상기 표 9~12를 바탕으로, 혈중농도-시간 곡선하면적 (AUC0-∞)을 비교하였다 (도 1).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과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 (GPMP-070)이 동일한 함량으로 실리마린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이 더욱 높은 혈중농도-시간 곡선하면적 (AUC0-∞)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이, 10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시킨 밀크씨슬 추출물보다, 더욱 높은 생체이용율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3: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간손상 방지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간손상 방지능을 평가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을 쥐에게 일주일간 경구투여 한 뒤, T-BHP(Tert-Butyl hydroperoxide)를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도시켰다.
이후 isoflurane을 이용해 충분히 마취 한 뒤, 마취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개복하고, 간조직을 채취하였다. 복대동맥에서는 전혈을 얻은 후, tube(BD SST tube, Vacutainer blood collection tube, BD)에 담아 혈청을 분리하고, 간수치 측정(AST 측정, ALT 측정)에 사용하였다.
1) 혈청 AST 분석 결과
혈청에 존재하는 AST를 분석한 결과 (도 2), 밀크씨슬 추출물 투여 없이 T-BHP 만을 투여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은 정상대조군(Normal control)과 비교하여 혈청 AST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을 일주일간 경구투여 한 뒤, T-BHP를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도한 실험군의 경우, 음성대조군 보다 혈청 AST 수치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이 우수한 간손상 방지능이 있음을 의미한다.
2) 혈청 ALT 분석 결과
혈청에 존재하는 ALT를 분석한 결과 (도 3), 밀크씨슬 추출물 투여 없이 T-BHP 만을 투여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은 정상대조군(Normal control)과 비교하여 혈청 ALT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을 일주일간 경구투여 한 뒤, T-BHP를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도한 실험군의 경우, 음성대조군 보다 혈청 ALT 수치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이 우수한 간손상 방지능이 있음을 의미한다.
3) 간조직 항산화 단백질 분석
채취한 간조직에서 단백질을 분리하고, 항산화 단백질을 측정하였다 (도 4). 이를 통해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은 정상대조군(Normal control)과 비교하여 항산화 단백질(GST, CAT, SOD)의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을 일주일간 경구투여 한 뒤, T-BHP를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도한 실험군의 경우는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이 간의 산화스트레스 내성을 강화시켜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4) 간조식 변화 관찰
채취한 간조직을 H&E(헤마톡실린-에오신)로 염색하여 확인한 결과 (도 5),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은 정상대조군(Normal control)과 비교하여 간세포의 소실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을 일주일간 경구투여 한 뒤, T-BHP를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도한 실험군의 경우, 음성대조군 보다도 간세포 소실이 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이 우수한 간손상 방지능이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4: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지방 생성 억제 효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의 지방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고자 했다.
1) 세포 독성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지방 생성 억제 효능 확인실험을 실시하기 전,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먼저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HepG2 세포를 96-well microtiter plate에 세포농도 5×106 cells/㎖로 조절하여 100 ㎕씩 well에 넣고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을 농도별로 처리 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교환한 후 MTT labeling reagent에 electron coupling reagent를 첨가하여 준비한 MTT labeling mixture를 각 well당 10 ㎕씩(최종농도 0.5㎎/㎖) 4시간 처리한 후 5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이용하여 식물혼합추출물 분말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도 6).
도 6을 보면,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처리하여도, cell viability에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지방 생성 억제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epG2 세포에 지방산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처리하고, 세포 내 지방 생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HepG2 세포를 6 well-plate에 분주하고 유리 지방산(FFA)과 수용성 실리마린추출물을 24시간 처리한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Welgene, Daegu, Korea)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10% formaldehyd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세포를 고정하였다. 고정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Oil Red O 염색시약(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넣어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한 세포를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흡광도 측정을 위해 Isopropanol로 염색된 세포를 용출시켜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7).
도 7의 A는 세포를 염색한 후 관찰한 결과를, 도 7의 B는 흡광도를 측정하여 지방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을 보면, 양성 대조군 대비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 처리군에서 지방 생성량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이 지방 생성 억제에 효능이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5: 본 발명 밀크씨슬 추출물의 지방간 동물 모델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우수한 흡수율을 가진 본 발명의 밀크씨슬 추출물(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KPMP-060)이 대조군 1 밀크씨슬 추출물 (지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GPMP-070) 보다 지방간에 더욱 우수한 효능을 보일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생후 6주령 된 수컷 쥐(C56BL/6)에게 비알콜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을 유발시키며, 밀크씨슬 추출물을 처리하고, 쥐의 체중, 혈청 내 지표, 간 조직의 지방 축적량을 확인하였다.
1) 지방간 동물모델 실험 방법
생후 6주령 된 수컷 쥐(C56BL/6)에게 고지방 식이(60% kcal fat diet)와 20% fructose가 함유된 음수를 병행 섭취시킴으로써 지방간을 유발시키고, 밀크씨슬 추출물을 처리하여 효능을 확인하였다.
정상 대조군(Normal diet control)에서는 정상 식이(AIN-93G)를 사용했으며, 비알콜성 지방간 유발군은 고지방 식이(60% kcal fat diet)와 20% fructose 가 함유된 음수를 병행 섭취시킴으로써 지방간을 유발하였다. 식이와 음수는 9주간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고 시험물질인 수용성 실리마린(65mg/kg, 130mg/kg)과 대조약물인 지용성 실리마린(13.5mg/kg) 투여를 식이유발과 함께 진행하였고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 대조군(Normal diet control)에서는 증류수만을 경구 투여하였다 (표 13 참조).
그룹 식이 및 음수 투여 물질 투여량
Normal diet control AIN-93G diet 증류수 -
Negative control High Fat diet
(60% kcal fat)
+
20% Fructose 음수
증류수 -
Positive control 지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13.5mg/kg
Sample Low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65mg/kg
Sample High 130mg/kg
한편,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에서 지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은 13.5mg/kg을 투여하였고, 저농도 실시군(Sample Low)에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은 65mg/kg을 투여하였는데, 각 추출물에 함유된 실리마린 함량을 고려하여, 투여한 것이다. 즉,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과 저농도 실시군(Sample Low)에서 투여되는 실리마린의 함량은 동일하다.
2) 체중 측정
지방간 동물모델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실험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도 8).
도 8을 보면,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대비,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처리군(Sample Low, Sample High)에서 체중이 더욱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이 지방 축적 방지에 효능이 있음을 의미한다.
3) 혈청 내 지표 변화
9주간의 지방간 동물모델 실험이 끝난 후, 실험동물로부터 얻은 혈액을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지방간 관련 바이오 마커들을 측정하였다.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총 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HDL(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수치는 분리한 혈청을 혈액분석기와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LDL(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수치는 Freidewald 등의 방법에 따라 LDL cholesterol = total cholesterol - HDL cholesterol - TG/5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도 9).
도 9를 보면, 본 발명의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처리군(Sample Low, Sample High)에서 GOT, GPT, 중성지방(TG), LDL 지표가 낮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이 지방간에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의미한다.
4) 간 조직의 지방 축적 분석
실험 종료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마우스에서 분리한 간 조직을 10% phosphate-buffered formalin에서 하루 이상 처리하여 고정하고, 12시간 이상 흐르는 물에서 formalin을 세척한 후, 60% ethanol, 70% ethanol, 80% ethanol 90% ethanol, 95% ethanol, 100% ethanol을 각각 1시간씩 처리하여 탈수시켰다. Xylen을 처리하여 1시간씩 3번의 투명화 과정 후, paraffin을 1시간씩 2번 처리하는 침투과정을 실시하였다. 포매과정을 거쳐 약 2㎛의 두께로 박절하여 slide 위에 조직을 얹고 건조시킨 후, 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였다. Slide의 물기를 제거하고, mounting medium을 처리한 후, cover glass를 덮어 마무리하였다. 이후, 간의 지방조직 분석을 Axio observer Z1 microscope (Carl Zeiss Inc., Gottingen, Germany)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도 10).
도 10을 보면, 고지방+과당 음수를 투여한 대조군(Negative Control, Positive Control)에서 주변부의 하얀색으로 염색된 지방 알갱이가 관찰되며, 지질에 의해 핵이 밀려나 있는 전형적인 지방간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Sample Low, Sample High)을 처리한 경우에는 주변부에 작은 지방 입자만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이 간세포 내 지방축적을 감소시키며 지방간에 우수한 효능을 보였음을 의미한다.

Claims (7)

  1.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에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 후, 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제조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에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 후, 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제조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은,
    밀크씨슬 씨앗을 압착시켜 탈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은,
    밀크씨슬 씨앗을 압착시켜 탈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에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 후, 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를 포함하여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6. 탈지된 밀크씨슬 씨앗에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나아제(xylan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a); 및
    상기 단계 (a) 후, 20~60%(v/v)의 에탄올을 용매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b);를 포함하여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230082756A 2023-06-27 2023-06-27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ctive KR102669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756A KR102669644B1 (ko) 2023-06-27 2023-06-27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4/009016 WO2025005693A1 (ko) 2023-06-27 2024-06-27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756A KR102669644B1 (ko) 2023-06-27 2023-06-27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9644B1 true KR102669644B1 (ko) 2024-05-27

Family

ID=9133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756A Active KR102669644B1 (ko) 2023-06-27 2023-06-27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9644B1 (ko)
WO (1) WO20250056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05693A1 (ko) * 2023-06-27 2025-01-02 한국자연한방 주식회사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6449A1 (de) * 2000-03-29 2001-10-04 Council Scient Ind Res Verbessertes Verfahren zur Isolierung des hepatoprotektiven Mittels Silymarin aus den Samen der Pflanze Silybum marianum
KR20100126272A (ko) * 2007-12-23 2010-12-01 유로메드 에스.에이. 신규한 밀크씨슬 추출물,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30102305A (ko)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160115461A (ko) * 2015-03-27 2016-10-06 전라남도 큰엉겅퀴로부터 실리마린의 고효율 추출하는 방법
KR20200057006A (ko) 2017-09-22 2020-05-25 유로메드, 에스.에이. 밀크씨슬 추출물의 향상된 용해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06B1 (ko) * 2011-08-02 2013-10-10 (주)이뮤노텍 글루타치온과 실리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간보호용 조성물
KR101655396B1 (ko) * 2013-08-06 2016-09-08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9644B1 (ko) * 2023-06-27 2024-05-27 한국자연한방 주식회사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6449A1 (de) * 2000-03-29 2001-10-04 Council Scient Ind Res Verbessertes Verfahren zur Isolierung des hepatoprotektiven Mittels Silymarin aus den Samen der Pflanze Silybum marianum
KR20100126272A (ko) * 2007-12-23 2010-12-01 유로메드 에스.에이. 신규한 밀크씨슬 추출물,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30102305A (ko)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160115461A (ko) * 2015-03-27 2016-10-06 전라남도 큰엉겅퀴로부터 실리마린의 고효율 추출하는 방법
KR20200057006A (ko) 2017-09-22 2020-05-25 유로메드, 에스.에이. 밀크씨슬 추출물의 향상된 용해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u et al., Optimisation of enzyme assisted extraction of silybin from the seeds of Silybum marianum by Box-Behnken experimental design. Phytochemical Analysis. 2009, Vol. 20, pp. 475-483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05693A1 (ko) * 2023-06-27 2025-01-02 한국자연한방 주식회사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005693A1 (ko) 202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Cistanches Herba, from an endangered species to a big brand of Chinese medicine
US661694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Wenguanguo extract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Wang et al. Recent advances on main active ingredients,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Rosa roxbughii and it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Monobe et al.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a crude polysaccharide derived from green tea (Camellia sinensis) extract
KR100930580B1 (ko) 다물린 에이 및 다물린 비 함량이 증가된 신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Li et al. Preparation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om Portulaca oleracea L.
AU2020264340B2 (en) Method of preparing noni fruit extract containing high iridoid content or a fraction thereof, method of preparing noni fruit extract containing high content of immune-enhancing active substance or a fraction thereof and use of noni fruit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Yang et al. Cultivated fruit body of Phellinus baumii: a potentially sustainable antidiabetic resource
KR20170134237A (ko) 리나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69644B1 (ko)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303582B2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Chen et al. Anticancer activity of rhamnoallosan against DU-145 cells is kinetically complementary to coexisting polyphenolics in Psidium guajava budding leaves
KR101355483B1 (ko) 수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아사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3414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4415B1 (ko) 비만, 고지혈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47864A (ko) 부추와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물
KR100839185B1 (ko) 플랜타마조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및당뇨합병증 예방/치료용 조성물
KR101545495B1 (ko) 삼백초 추출물과 그 유효성분인 쿼세틴을 함유하는 신경변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그리고 삼백초 추출물 추출 방법
KR101407188B1 (ko) 발효 또는 비발효된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60002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68412B1 (ko) 실리마린 생체이용률이 증대된 밀크씨슬 추출물 제조방법
KR102050966B1 (ko) 침향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7151B1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66381B1 (ko) 대황으로부터 분리된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