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7625B1 -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625B1
KR102667625B1 KR1020230016149A KR20230016149A KR102667625B1 KR 102667625 B1 KR102667625 B1 KR 102667625B1 KR 1020230016149 A KR1020230016149 A KR 1020230016149A KR 20230016149 A KR20230016149 A KR 20230016149A KR 102667625 B1 KR102667625 B1 KR 10266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parts
cosmetic composition
impr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우
김주형
Original Assignee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625B1/ko
Priority to PCT/KR2023/001870 priority patent/WO202416703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6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피부 각질층의 지질 층상구조 및 성분과 유사하도록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라멜라 구조를 갖는 미세 액적을 형성해 피부장벽을 개선함과 동시에 피부보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된 후 장시간 다양한 조건의 사용 전 저장환경 하에서 제조 시 구현된 라멜라 구조의 지질 층상구조와 구현된 액적의 크기에 변동이 최소화되어 기능 유지 및 피부로 우수한 흡수성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ARRIER AND SKIN MOISTURING AND METHOD FOR MA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시장의 확대와 함께 노인성 피부 및 건성 피부 등의 전용제제 개발을 위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건조피부는 표피와 진피를 포함한 피부의 전층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표피장벽으로서 역할을 하는 각질층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연령 성별 구체적 부위 지속적인 환경자극 스트레스의 증가 등 외부 자극 누적과 같은 요인에 의해 증가되 고 있는 추세이다. 피부 건조증이 있는 부위는 각질층의 장벽기능이 손상되어 있어 외부의 자극 물질이나 항원이 쉽게 통과할 수 있어 피부의 증상이 악순환될 수 있다.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은 일시적으로 외부에서 수분공급만으로 가능하 지 않고 각질층의 형성과 분화조절을 통하여 피부 자체의 상태를 개선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피부 각질층의 장벽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질의 성분중 하나인 세라마이드와 이를 이용한 피부 각질층과 표면에서의 구조형성에 의한 수분유지 및 유용성 물질의 흡수 침투를 위한 리포좀, 액정, 겔, 멀티-라멜라 에멀젼 등의 양친매성 지질의 구조체 또는 분산계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피부 표피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피부지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피부지질은 피부의 장벽기능을 담당하여 각질의 세포분열과 분화를 조절하고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체내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며 피부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기능을 담당하는 주된 피부지질은 주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으로 층상의 회합체를 형성하여 수분의 유지나 세포간 접착 혹은 외적자극에 대하여 장벽으로써의 기능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 각질층의 지질의 층상구조와 유사하도록 세라마이드에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산 등의 각질세포간 지질성분을 혼합 및 다층의 라멜라 구조를 형성한 조성물을 화장료에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늘고 있다.
그러나 피부 각질층의 지질 층상구조와 유사하도록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에도 목적하는 다층의 라멜라 구조를 제대로 형상하지 못하거나 제조단계에서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 등 다양한 조건의 저장환경 하에서 쉽게 라멜라 구조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부를 통해 흡수되기 위해서는 형성되는 액적의 크기가 작을수록 유리하나, 조성에 따라서 액적의 크기 분포가 고르지 못하거나 제조 단계에서 고른 크기분포의 액적이 형성되더라도 다양한 저장환경 하에서 액적 간의 합체가 발생하는 등의 액적의 크기변동이 생기고 이를 통한 피부흡수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71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부 각질층의 지질 층상구조 및 성분과 유사하도록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라멜라 구조를 갖는 미세 액적을 형성해 피부장벽을 개선함과 동시에 피부보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후 장시간 다양한 조건의 사용 전 저장환경 하에서 제조 시 구현된 라멜라 구조의 지질 층상구조와 구현된 액적의 크기에 변동이 최소화되어 기능 유지 및 피부로 우수한 흡수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수계 식물추출물 및 혼합 발효여과물을 포함하는 제1상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68 ~ 80℃로 승온시키는 단계, (2) 세라마이드,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제1기능성 성분,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제2기능성 성분, 및 레시틴계 성분을 함유하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상을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여 제1상과 제2상을 혼합하는 단계, (3) 35 ~ 40℃로 냉각된 반응기에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을 혼합한 후 20 ~ 30℃로 냉각 및 탈포하여 원료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원료조성물을 55 ~ 65℃로 승온 후 나노에멀젼화 시키는 단계 및 (5) 15℃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계 식물추출물은 수계 식물추출물 전체 중량 대비 녹차수 96.5 ~ 98.0중량%, 병풀잎수 0.8 ~ 1.8중량% 및 라벤더꽃수 0.8 ~ 1.8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발효여과물은 비피다 발효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 및 효모 발효여과물을 1: 0.8 ~ 1:2: 0.8 ~ 1:2: 0.8 ~ 1: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은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능성 성분은 베타글루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8 ~ 35중량부, 프룩탄 25 ~ 35 중량부 및 후코이단 25 ~ 3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제1기능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8 ~ 50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레시틴계 성분은 수첨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이며, 상기 유화제는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및 중량평균분자량 700 ~ 1500Da인 폴리글루탐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수첨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20 ~ 30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700 ~ 1500Da 폴리감마글루탐산 2.5 ~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제1기능성 성분,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제2기능성 성분, 혼합 발효여과물, 수계 식물추출물, 레시틴계 성분을 함유하는 유화제, 기능성 유기용매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분산된 평균직경이 500nm 이하인 다수의 액적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체 중량대비 제1기능성 성분 0.5 ~ 2.5 중량%, 제2기능성 성분 0.9 ~ 1.5 중량%, 혼합 발효여과물 1.7 ~ 2.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제1기능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8 ~ 50 중량부로 포함되되 상기 레시틴계 성분은 수첨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이며, 상기 유화제는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및 중량평균분자량 700 ~ 1500Da인 폴리글루탐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피부 각질층의 지질 층상구조 및 성분과 유사하도록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라멜라 구조를 갖는 미세 액적을 형성해 피부장벽을 개선함과 동시에 피부보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된 후 장시간 다양한 조건의 사용 전 저장환경 하에서 제조 시 구현된 라멜라 구조의 지질 층상구조와 구현된 액적의 크기에 변동이 최소화되어 기능 유지 및 피부로 우수한 흡수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피부 트러블이 없으면서,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함에 따라서 각종 제형의 화장품을 비롯하여 샴푸, 린스 등의 헤어 제품 및 피부용 연고 등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1) 수계 식물추출물 및 혼합 발효여과물을 포함하는 제1상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68 ~ 80℃로 승온시키는 단계, (2) 세라마이드,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제1기능성 성분,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제2기능성 성분, 및 레시틴계 성분을 함유하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상을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여 제1상과 제2상을 혼합하는 단계, (3) 35 ~ 40℃로 냉각된 반응기에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을 혼합한 후 20 ~ 30℃로 냉각 및 탈포하여 원료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원료조성물을 55 ~ 65℃로 승온 후 나노에멀젼화 시키는 단계 및 (5) 15℃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1) 단계로서, 수계 식물추출물 및 혼합 발효여과물을 포함하는 제1상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68 ~ 80℃로 승온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1상은 수계로서, 수계 식물추출물과 혼합 발효여과물을 포함한다.
상기 수계 식물추출물은 조성물 내 용매 및 피부개선 효과를 발현하게 하는 것으로서, 녹차수, 병풀잎수 및 라벤더꽃수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계 식물추출물 전체 중량 대비 녹차수 96.5 ~ 98.0중량%, 병풀잎수 0.8 ~ 1.8중량% 및 라벤더꽃수 0.8 ~ 1.8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부장벽 및 피부보습, 피부 톤, 피부 진정 등의 피부개선을 달성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계 식물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68중량% 이상 함유될 수 있고, 정제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하 설명되는 조성물들 이외에 조성물 전체 중량 중 나머지 중량%를 차지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정제수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계 식물추출물은 68 ~ 75중량%로 함유되고, 나머지 잔량이 정제수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수계 식물추출물과 정제수의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수계 식물추출물은 공지된 추출방법, 예를 들어 추출용매를 물을 이용해 열수에서 추출된 것이거나, 또는 저온 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저온 임계 추출법에 의한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건조된 녹차잎, 병풀잎, 라벤더꽃을 각각 초고속 진공저온 추출기에 증류수와 1 : 1 ~ 30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3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약 60 ~ 80℃에서 8 ~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한 후, 수득된 1차 추출물을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하여 수득된 2차 추출물을 그대로 수계 식물추출물로 사용하거나 2차 추출물을 물에 희석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발효여과물은 균주를 달리하여 배양한 후 생성된 산물인 발효물을 여과해 수득한 발효여과물을 혼합한 것으로서, 상기 발효여과물은 비피다 발효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 및 효모 발효여과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피다 발효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은, ICID에 등재된 화장품 원료로서, 소화기계에 존재하는 세균의 일종인 비피도박테리움을 이용해 배양된 배양물을 살균, 여과시켜서 여과한 물질이다. 비피다 발효여과물은, 세포 재생 및 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서, 피부에서의 산소 공급을 활성화시킨다. 피부 장벽 강화로 거친 피부 개선 및 피부 리듬을 잡아주어 피부톤 개선과 수분 영양 공급 및 끈적임 없이 산듯한 발림성을 부여한다. 또한,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어 독성을 없애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비피다 발효여과물은 상용화된 것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Galcatomyses Ferment Filtrate)는, 피테라라고도 불리는 갈락토미세스 효모를 이용해 발효시킨 후 여과한 물질이다. 갈락토미세스(Galactomyces)는 사카로미세스(Saccharomyces) 속의 효모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은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의 전구체인 프로필라그린(profilaggrin)을 천연보습인자로 전환시키는 것을 도와 피부 보습을 유지시킨다. 또한 갈락토미세스에 포함된 다당 성분이 피부 표면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고 탁월한 피부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물의 제조는 통상적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용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조 시, 갈락토미세스 균주를 15~20℃에서 2~3일 동안 배양한 배양물을 살균 공정 및 막 여과(membrane filtration)를 통해 제균 여과한 것을 0.001~1%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 락토바실러스(Lactobaillus)에 속하는 균주를 이용해 배양된 배양물을 살균, 여과시켜서 여과한 물질이다.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피부면력역 증진 및 피부염증완화에도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B2-16),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렌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P23), 및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 A1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를 이용해 배양된 배양물의 여과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은 통상적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용품을 사용할 수도 있는 바,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발효 여과물(Saccharomyces Ferment Filtrate)은 빵 또는 맥주를 만들 때 사용되는 천연 효모인 사카로미세스의 발효 여과물로서 아미노산, 핵산, 펩타이드, 미네랄, 비타민이 풍부하다. 효모 발효 여과물은 천연보습인자 NMF를 포함하고 아미노산 30%, 핵산 15%, 펩타이드 30% 이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핵산은 피부 세포 대사의 필수적인 성분으로 피부 세포의 재활성화를 해주며 피부를 부드럽게 윤기 있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기 효모 발효여과물은 통상적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용품을 사용할 수도 있는 바,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혼합 발효여과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 기준 1.7 ~ 2.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비피다 발효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 및 효모 발효여과물을 1: 0.8 ~ 1:2: 0.8 ~ 1:2: 0.8 ~ 1: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부재생, 보습, 진정, 피부면역증진, 피부염증완화, 피부장벽 개선 등의 다양한 피부개선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기에 유리하다.
상술한 수계 식물추출물 및 혼합 발효여과물은 반응기에 투입 후 68 ~ 80℃가 되도록 승온되며, 이를 통해서 후술하는 (2) 단계의 제2상과 혼합 및 수중유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반응기의 온도가 68℃ 미만이면 조성물간 혼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제1기능성 성분이 원활한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고, 조성물이 상분리될 우려가 있으며, 온도가 80℃를 초과하면 방부력 및/또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2) 단계로서, 세라마이드,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제1기능성 성분,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제2기능성 성분, 및 레시틴계 성분을 함유하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상을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여 제1상과 제2상을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2상은 수상인 제1상과 혼화성이 적거나 없는 유상이며, 피부장벽에 직접적으로 개선 효과를 갖는 제1기능성 성분과 피부 보습에 개선효과를 가지며, 제1기능성 성분을 통한 피부장벽 개선 및 강화에 도움을 주는 제2기능성 성분 및 제1기능성 성분이 제1상 내 안정적으로 라멜라 구조를 가지면서 적정한 크기의 액적을 갖도록 에먼젼화시킬 수 있는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능성 성분은 세포간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에 해당하는 세라마이드,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며, 세포간지질을 구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각질층의 장벽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으로서,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콜레스테롤과 함께 물과 지질이 교대로 반복되는 라멜라 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피부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생체에서 분리된 것이나, 또는 유사한 구조로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세라마이드는 화장료 제품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것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일 예로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EOH,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AP, 세라마이드 AH, 세라마이드 NH, 및 세라마이드 EO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피부장벽 개선이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진 세라마이드 N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레스테롤 및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는 상술한 세라마이드와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지질성분들로서, 안정한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콜레스테롤 및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가 각각 15 ~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기능성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0.5 ~ 2.5 중량%로 함유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피부장벽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를 발현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상술한 제1상 내 제1기능성 성분이 라멜라 구조를 가지면서 안정적이고 적정 크기의 액적을 형성하며, 이를 오랜기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성분으로서 레시틴계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시틴계 성분은 수첨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일 수 있고, 이외에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및 중량평균분자량 700 ~ 1500Da인 폴리글루탐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3종 성분의 혼합사용을 통해서 제1상 내 제1기능성 성분이 안정적인 라멜라 구조를 장시간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저장 조건 하에서도 오랜 기간 유화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액적의 크기 변동을 방지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와 폴리글루탐산이 갖는 카르복시기는 세라마이드의 아마이드기의 카보닐 그룹과 강한 수소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라멜라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시키며 안정성을 지속시키기에 유리하다. 다만, 이들 3종이 혼합되는 경우에도 폴리글루탐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중요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 700 ~ 1500Da,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 700 ~ 1000Da인 폴리글루탐산을 통해 상술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리하다. 만일 폴리글루탐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이 700Da 미만인 경우 다양한 조건의 저장환경 내 라멜라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구현된 액적의 크기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만일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Da을 초과하는 경우 제1상 내에 안정적으로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액적을 형성시키기 어려울 수 있고, 구현된 액적의 크기가 과도하게 큰 것이 섞여 있는 등 액적 크기가 균일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는 피부컨디셔닝제, 계면활성제 등으로 화장품 원료로 공지된 성분으로서, 스테아릭애씨드와 스크로오스의 모노에스터 혼합물일 수 있고, 상용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글루탐산은 폴리감마글루탐산으로 명칭되는 것으로서 폴리감마글루탐산은 글루탐산(glutamic acid)이 감마 결합을 통하여 연결된 점액성의 아미노산 고분자이며 바실러스 속 균주에서 생산된다. 통상적으로 수득되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kDa 이상인 고분자량을 가지며, 피부에 보습, 피부노화 방지, pH 밸런스 유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분자량의 폴리감마글루탐산이 아닌 중량평균분자량이 700 ~ 1500Da인 것을 유화제로써 사용하며, 통상의 고분자량 폴리감마글루탐산은 피부 보습에는 도움을 줄 수 있어도 상술한 유화제로써의 효과는 발현하기 어렵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700 ~ 1500Da인 폴리감마글루탐산은 일 예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 균주의 배양을 통해 수득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시료액을 정제해 폴리감마글루탐산을 분리한 후 GPC(gel permeation column) 등의 공지된 방법을 통해서 분자량 별로 분리 및 수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유화제는 제1기능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8 ~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화제는 수첨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100 중량부에 대해서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20 ~ 30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700 ~ 1500Da인 폴리글루탐산 2.5 ~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유화제의 함량이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거나 수첨된 레시틴,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의 혼합비율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라도 위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상술한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부장벽 개선이 미미하거나 다양한 환경에서 저장안정성 저하 및 이로 인한 피부 흡수율 변동, 흡수되는 제1기능성 성분의 층상구조 변동 등으로 인하여 피부장벽 개선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능성 성분은 피부 보습에 개선효과를 가지며, 제1기능성 성분을 통한 피부장벽 개선 및 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서, 베타글루칸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베타글루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8 ~ 35중량부, 프룩탄 25 ~ 35 중량부 및 후코이단 25 ~ 3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면역체계에 관련하는 주요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면역 강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피부에 적용 시 피부 면역체계 강화, 피부 깊숙한 곳까지 수분 공급 및 보습기능, 피부보호 및 피부 진정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천연 보습 성분 중의 하나로서, 히알루론산으로 명칭되는 성분이다. 피부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사이를 채우고 있는 바탕물질로서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대표적인 보습성분이다.
또한, 상기 프룩탄은 프푹토오스의 호모폴리머로서, 수분보유력이 뛰어나 피부보습력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후코이단은 해조류 중 갈조류에서 분비되는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황산기를 함유한 다당류를 통칭하는 물질이다. 상기 후코이단은 생체조직을 보습하고, 상처를 아물게 하거나 염증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후코이단은 라멜라 구조를 형성한 세라마이드와 혼용 시 피부 장벽 개선 및 보습 효과에 상승작용을 발현하는데, 이는 후코이단의 효과로써 알려지지 않은 효과이다. 한편, 후코이단은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지 않은 세라마이드나 콜레스테롤 등의 지질과 함께 사용 시 상술한 상승작용은 발현하기 어렵다.
상술한 제2기능성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0.9 ~ 1.5 중량% 함유될 수 있고, 제2기능성 성분 내 베타글루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8 ~ 35중량부, 프룩탄 25 ~ 35 중량부 및 후코이단 25 ~ 3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술한 제2기능성 성분의 효과를 발현하기에 유리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3) 단계로서, 35 ~ 40℃로 냉각된 반응기에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을 혼합한 후 20 ~ 30℃로 냉각 및 탈포하여 원료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기능성 유기용매는 화장료 조성물 내 용제로써 작용하면서 항균, 산화방지 기능을 같이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유기용매의 혼합물은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유기용매는 주 또는 부기능으로 상술한 제1상 및/또는 제2상 성분들에 대한 용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항균, 산화방지제의 효과를 주기능으로 발현하거나, 부기능으로서 항균, 산화방지 효과를 부스터 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어서 별도의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고도 방부 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보습력을 부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내 2.8 ~ 5.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일 예로 펜틸렌글라이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판다이올 10 ~ 20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15 ~ 30 중량부, 1,2-헥산다이올 6 ~ 18 중량부 및 에틸헥실글리세린 0.5 ~ 2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은 반응기 온도가 35 ~ 40℃로 냉각된 후 혼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능성 유기용매의 부분적 기화에 따른 혼화성 저하를 방지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혼합된 후 20 ~ 30℃로 냉각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료 조성물의 수중 유화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4) 단계로서, 원료조성물을 55 ~ 65℃로 승온 후 나노에멀젼화 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4) 단계는 유화된 액적의 크기인 평균직경이 예를 들어 500㎚ 이하를 가지도록 미분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액적, 예를 들어 라멜라 구조를 형성한 세라마이드의 수소결합을 약화시키 위하여 온도를 55 ~ 65℃로 승온 시킨 상태에서 나노에멀젼화 시키며, 이를 통해서 라멜라 구조를 갖는 상태에서 액적의 크기만 500nm 이하가 되도록 나노에멀젼화 되기 유리하다. 만일 온도를 65℃를 초과해 수행될 경우 라멜라 구조 자체가 붕괴된 상태에서 액적이 형성됨에 따라서 라멜라 구조를 가지는 액적의 비율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4) 단계는 나노에멀젼 시킬 수 있는 공지의 장치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고, 일 예로 초고압분산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압력 900 ~ 1200bar로 20 ~ 60분 간 교반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장치의 입구 온도는 55 ~ 65℃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5) 단계로서, 나노에멀젼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15℃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나노에멀젼화된 화장료 조성물은 액적의 평균직경이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10㎚이하가 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만일 (5) 단계에서 온도가 15℃ 이하가 되도록 냉각되지 않을 경우 구현된 액적 간의 합체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에 액적의 평균직경이 500nm 이하가 되는 나노에멀젼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거나 구현된 액적의 크기가 불균일하고 이에 따라서 피부 흡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5) 단계의 냉각온도는 다른 일 예로 2℃ 이상, 4℃ 이상, 또는 6℃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장벽 및 피부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제1기능성 성분,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제2기능성 성분, 혼합 발효여과물, 수계 식물추출물, 레시틴계 성분을 함유하는 유화제, 기능성 유기용매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액적의 평균직경이 500nm 이하로 형성됨에 따라서 피부 흡수성이 우수하고, 각질층 이하에 작용해 피부장벽 개선 및 피부 보습 증진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고, 각질 제거, 피부 진정 효과, 피부 염증완화, 피지 완화 등의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 트러블이 적어 다양한 연령대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 및 조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준비예 1>
수계 식물추출물로써 녹차수, 병풀잎수 및 라벤더꽃수를 아래와 같이 준비한 후 수계 식물추출물 전체 중량 대비 녹차수 97.8중량%, 병풀잎수 1.1중량% 및 라벤더꽃수 1.1중량%를 혼합해 수계 식물추출물을 제조했다.
(1) 녹차수 제조
초고속 진공저온추출기(경서기계, COSMOS-660)에 건조된 녹차잎(Camellia Sinensis Leaf)을 증류수에 1:20 중량비로 넣고, 약 75℃에서 5 시간 동안 추출하여 녹차수를 얻었다. 이 녹차수를 다시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한 후 냉장(약 3℃) 보관하였다.
(2) 병풀잎수의 제조
초고속 진공저온추출기(경서기계, COSMOS-660)에 건조 병풀잎(Centella Asiatica Leaf)을 증류수에 1:3 중량비로 넣고, 약 80℃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병풀잎수를 얻었다. 이후 다시 상기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하여 냉장(약 3℃) 보관하였다.
(3) 라벤더꽃수의 제조
초고속 진공저온추출기(경서기계, COSMOS-660)에 건조된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꽃을 증류수에 1:1 중량비로 넣고, 약 75 ~77℃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라벤더꽃수를 얻었다. 이후 다시 상기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하여 냉장(약 3℃) 보관하였다.
<준비예 2>
혼합 발효여과물로써, 비피다 발효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 및 효모 발효여과물을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해 준비했다. 비피다 발효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 및 효모 발효여과물은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구입해 사용했다. 이때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은 모유 유산균(Lactobacillus reuteri), 김치 유산균(Lactobacillus brevis) 및 치즈 유산균(Lactobacillus casei) 3종의 발효여과물을 1:1:1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구입해 사용했다.
<준비예 3>
제1기능성 성분으로서, 세라마이드 NP 100 중량부에 대해서 글라이코스 핑고리피드 20중량부 및 콜레스테롤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했다.
<준비예 4>
제2기능성 성분으로서, 베타글루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30.1중량부, 프룩탄 28 중량부 및 후코이단 28 중량부를 혼합해 준비했다.
이때, 후코이단은 완도산 미역 포자엽에서 추출한 L-Fucoidan((주)해림후코이단)을 사용하였고, 사용된 L-Fucoidan은 평균 분자량 223,130 Da 황산기 함량 25.5%이었다.
<준비예 5>
유화제로서, 수첨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24.4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1000Da인 폴리글루탐산 3.6 중량부를 혼합해 준비했다.
이때 폴리글루탐산은 폴리감마글루탐산 생산용 기본배지(5%의 L-글루탐산이 첨가된 배지; Glucose 5%, (NH4)2SO4 1%, KH2PO4 0.27%, Na2HPO4·12H2O 0.42%, NaCl 0.9%, MgSO4·7H2O 0.3%, Vitamin solution 5 ml/L, pH 6.8)가 3L 들어있는 5L 크기의 발효기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청국장 균주(Bacillus subtilis var chungkookjang, KCTC 0697BP)의 배양액을 2% 접종하여 교반 속도는 150rpm, 공기주입속도는 1.2 vvm으로 하여 37℃에서 80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균체를 제거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시료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시료액에 2 N 황산용액을 첨가 후 8℃에서 18 시간 동안 정치시켜 폴리감마글루탐산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이것을 충분한 양의 증류수로 세척한 후, 누체여과기를 이용하여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수득하였다. 이후 수득한 폴리감마글루탐산을 GPC(Gel Permeation Column)를 이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0.5 ~ 20,000 kDa의 폴리감마글루탐산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고, 가온 처리 공정을 통하여 분리된 중량평균분자량 1000Da인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사용했다.
<준비예 6>
기능성 유기용매로서, 펜틸렌글라이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판다이올 13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20 중량부, 1,2-헥산다이올 10 중량부 및 에틸헥실글리세린 0.9 중량부를 혼합해 준비했다.
<실시예1>
정제수,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수계 식물추출물 및 준비예 2에서 제조된 혼합 발효여과물을 혼합한 제1상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70℃로 승온시켰다. 이후 준비예 3에서 제조된 제1기능성 성분 및 준비예 4에서 제조된 제2기능성 성분, 및 준비예 5에서 제조된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상을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여 제1상과 제2상을 혼합했다. 이후 반응기 온도를 35℃로 냉각 후 준비예 6에서 제조된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을 혼합한 후 30℃로 냉각 및 탈포하여 원료조성물을 제조했다.
이후 원료조성물을 초고압분산장치에 투입하되, 입구온도를 60℃, 압력을 1000bar, 교반시간을 30분으로 하여 나노에멀젼화시켰고, 나노에멀젼화된 조성물을 12℃로 설정된 출구를 통해 토출한 후 동일한 온도에서 보관된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했다.
이때, 최종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수계 식물추출물 70중량%, 혼합 발효여과물 1.8 중량%, 제1기능성 성분 1.1 중량%, 제2기능성 성분 1.3중량%, 유화제 0.62 중량%,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이 3.4 중량% 였고, 잔량이 정제수로 포함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준비예 4에서 제2기능성 성분 중 후코이단을 생략한 것을 사용해 실시예 1과 준비예들의 혼합비율이 동일하도록 혼합되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했다.
<실시예 3>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준비예 4에서 제2기능성 성분 중 후코이단 및 프룩탄을 생략한 것을 사용해 실시예 1과 준비예들의 혼합비율이 동일하도록 혼합되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했다.
<실시예 4>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준비예 5에서 유화제 중 폴리글루탐산 및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를 생략한 것을 사용해 실시예 1과 준비예들의 혼합비율이 동일하도록 혼합되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했다.
<비교예 1>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나노에멀화젼 후 출구온도를 20℃로 설정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했다.
<실험예 1>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아래의 내용을 평가해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라멜라 구조 형성 평가
라멜라 구조 형성여부는 OLYMPUS BX50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광학 이방성 유무 및 말테즈(maltese) 무늬의 선명도(선명 또는 불선명)로서 관찰하였다.
2. 액적 크기 평가
수중 유화액 중 액적의 크기는 다중산란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 농도로 희석한 후 나노입도분석기(Nano ZS, Malvern Instrument Ltd., Malvern, UK)를 이용하여 평균직경을 측정했다.
3. 피부 자극성 평가
(주)OATC 피부임상시험센터에 의뢰하여 피부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참여피험자는 총 20명(만 20세 ~ 60세의 여성, 평균 연력 46.32세)이었으며, 시험방법은 피험자의 척추를 제외한 등의 평평한 부위로 착색이나 피부손상이 없는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시험제품을 20㎕로딩하여 피부에 고정한 후,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30분 및 24시간 후의 평가를 수행했으며, 피부과 전문의 육안평가 및 Frosch&Kligman, CTFA guideline, Draize 방법을 응용하여 자극유무를 판정했고, 피부자극지수계산 공식은 하기 식1과 같고, 피부자극지수에 따른 자극성은 피부자극지수 0.00 ~ 0.25 비(무) 자극성, 0.26 ~ 1.00 약산 자극성, 1.01 ~ 2.50 중증도 자극성, 2.51 ~ 4.00 강한 자극성으로 판정했다.
[식 1]
4. 경피수분손실 및 피부 보습효과 측정
건강한 피부를 가진 성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대상자의 연령은 30세에서 45세까지로 평균연령은 38세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 별로 평균연령이 유사하도록 5명을 배정한 후 좌측 팔에 샘플을 3mg/㎠의 양으로 도포하고, 반대 우측팔에는 대조군으로서 정제수를 동일양으로 도포하도록 했고, 매일 오전, 오후 1일 2회 자가 처리 후 1주후 및 2주후 경피수분손실 및 피부보습 효과를 아래와 같이 측정했다.
측정 시 실내온도 23±1℃, 상대습도 45±10%에서 20분간 피검자들을 안정시킨 후 하기의 방법으로 경피수분손실 및 피부보습 효과를 측정했다.
피부 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은 피부로부터 발산되는 수분량으로서 피부장벽기능의 지표이다. TEWAMETER TM210을 이용해 피검부위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탐침을 피검부위의 피부에 수직으로 접촉하여 탐침 내에 있는 상하 2개의 습도 (probe) sensor가 피부표면과 주위 공기간의 "water vapor gradient"를 기초로 경피 수분손실량을 측정한다. 측정값은 같은 부위에서 3회 반복 시행하여 평균값을 취하였다.
또한, 피부표면의 정전용량은 CORNEOMETER CM825를 이용해 측정했다. 구체적으로 직경 6mm (probe)의 탐침을 측정부위에 일정한 압력으로 피부에 수직으로 닿게 한 후 접촉하는 곳의 정전용량(electrical capacitance)을 계측하여 피부 표면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고, 3회 수행해 평균값을 취했다.
도포 7일 후 및 도포 14일 후에 피부 보습력 및 경피수분손실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라멜라구조 형성성 선명한 이방성 관찰 선명한 이방성 관찰 선명한 이방성 관찰 이방성이 뚜렷하게 관찰되지 못한 부분이 많고, 무늬가 불균일하게 형성됨 선명한 이방성 관찰
액적 평균직경(㎚) 283.4 291.0 270.5. 383.1 645.7
피부자극지수
(수치/평가)
0.00/무자극 0.00/무자극 0.00/무자극 0.00/무자극 0.00/무자극
피부보습
(평균)
도포전 49.74 51.21 50.32 49.14 50.59
도포 후 7일 68.23 64.45 61.63 66.13 64.02
도포 후 14일 82.12 76.11 71.85 72.48 69.30
경피수분손실(평균) 도포전 30.53 29.35 30.68 31.37 30.31
도포 후 7일 18.44 20.66 21.14 23.21 25.52
도포 후 14일 15.27 17.76 17.99 19.48 21.19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은 라멜라 구조를 갖는 액적이 형성되나, 액적의 크기가 500㎚를 초과함에 따라서 흡수가 제대로 되지 못해서 실시예들에 대비해 경피수분손실이 컸고 이에 피부장벽 개선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4의 경우 라멜라 구조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함에 따라서 실시예 1에 대비해 경피수분손실이 컸고, 피부보습성능도 좋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후코이단을 불포함한 실시예 2, 3은 실시예 1에 대비해 경피수분손실이 컸고, 피부보습성능도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제2기능성 성분이 피부장벽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룩탄과 후코이단을 모두 불포함한 실시예3과 실시예2의 경피수분손실은 유사한데, 이를 통해 프룩탄이 피부장벽 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나, 피부보습 성능에서는 차이가 큰 것을 통해서 후코이단 및 프룩탄의 동시 사용이 피부보습에 상승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 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준비예 5의 유화제를 하기 표 2와 같이 변경해 하기 표 2와 같은 피부장벽 및 피부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했다.
<실험예2>
실시예1, 실시예4 ~ 8에 따른 피부장벽 및 피부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실험예1의 라멜라구조 형성 및 액적크기 분석을 동일하게 실시하되 저장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일동안 20℃ -> 50℃-> 20℃의 히팅/냉각 온도 변화를 가지도록 온도 프로파일을 설정하고, 10주간 사이클링 인큐베이터에서 보관한 후 라멜라구조 및 액적크기를 분석해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폴리글루탐산
포함여부/MW(Da)
포함/1000 불포함 불포함 포함/300 포함/2500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포함 불포함 포함 포함 포함
저장
0일
라멜라구조 형성성 선명한 이방성 관찰 이방성이 뚜렷하게 관찰되지 못한 부분이 많고, 무늬가 불균일하게 형성됨 선명한 이방성 관찰 선명한 이방성 관찰 선명한 이방성 관찰
액적 평균직경(㎚) 283.4 383.1 306,5 300.6 298.3
저장
10주 후
라멜라구조 형성성 선명한 이방성 관찰 미수행 이방성 미관찰됨 Maltese 무늬 흐려짐 이방성 미관찰됨
액적 평균직경(㎚) 308.4 미수행 782.5 490.6 750.4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폴리글루탐산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중량분자량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는 실시예 6, 7 및 폴리글루탐산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5 모두 장기간 저장안정성에서 좋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1) 수계 식물추출물 및 혼합 발효여과물을 포함하는 제1상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68 ~ 80℃로 승온시키는 단계;
    (2) 세라마이드,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제1기능성 성분,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제2기능성 성분, 및 레시틴계 성분을 함유하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상을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여 제1상과 제2상을 혼합하는 단계;
    (3) 35 ~ 40℃로 냉각된 반응기에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을 혼합한 후 20 ~ 30℃로 냉각 및 탈포하여 원료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원료조성물을 55 ~ 65℃로 승온 후 나노에멀젼화 시키는 단계; 및
    (5) 15℃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화제는 제1기능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8 ~ 50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레시틴계 성분은 수첨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이며,
    상기 유화제는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및 중량평균분자량 700 ~ 1500Da인 폴리글루탐산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식물추출물은 수계 식물추출물 전체 중량 대비 녹차수 96.5 ~ 98.0중량%, 병풀잎수 0.8 ~ 1.8중량% 및 라벤더꽃수 0.8 ~ 1.8중량%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발효여과물은 비피다 발효여과물, 갈락토미세스 발효여과물, 락토바실러스 발효여과물 및 효모 발효여과물을 1: 0.8 ~ 1:2: 0.8 ~ 1:2: 0.8 ~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유기용매 혼합물은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성 성분은 베타글루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8 ~ 35중량부, 프룩탄 25 ~ 35 중량부 및 후코이단 25 ~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수첨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20 ~ 30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700 ~ 1500Da 폴리감마글루탐산 2.5 ~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8. 세라마이드,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제1기능성 성분,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제2기능성 성분, 혼합 발효여과물, 수계 식물추출물, 레시틴계 성분을 함유하는 유화제, 기능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며, 분산된 평균직경이 500nm 이하인 다수의 액적을 포함하되,
    상기 유화제는 제1기능성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8 ~ 50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레시틴계 성분은 수첨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이며,
    상기 유화제는 수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및 중량평균분자량 700 ~ 1500Da인 폴리글루탐산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전체 중량대비 제1기능성 성분 0.5 ~ 2.5 중량%, 제2기능성 성분 0.9 ~ 1.5 중량%, 혼합 발효여과물 1.7 ~ 2.5중량%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KR1020230016149A 2023-02-07 2023-02-07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66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149A KR102667625B1 (ko) 2023-02-07 2023-02-07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3/001870 WO2024167037A1 (ko) 2023-02-07 2023-02-09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149A KR102667625B1 (ko) 2023-02-07 2023-02-07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7625B1 true KR102667625B1 (ko) 2024-05-30

Family

ID=9127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149A Active KR102667625B1 (ko) 2023-02-07 2023-02-07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7625B1 (ko)
WO (1) WO20241670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615226A (zh) * 2024-07-04 2024-09-10 广州颜当家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补水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759467B1 (ko) * 2024-07-25 2025-01-24 에스씨엠생명과학 주식회사 줄기세포 조건화 배지와 병풀잎수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425A (ko) * 2001-08-14 2003-02-25 주식회사 참 존 천연 액정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167B1 (ko) 2019-04-26 2019-09-27 주식회사 미립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4763A (ko) * 2021-02-09 2022-08-17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화장료용 멀티 보습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98B1 (ko) * 2013-05-23 2015-05-18 주식회사 큐브앤코 화장품에 사용감 개선 및 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9594B1 (ko) * 2019-04-25 2021-02-24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115691B (zh) * 2019-05-29 2021-04-09 湖南美媛本草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含大米发酵产物的美白嫩肤乳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425A (ko) * 2001-08-14 2003-02-25 주식회사 참 존 천연 액정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167B1 (ko) 2019-04-26 2019-09-27 주식회사 미립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4763A (ko) * 2021-02-09 2022-08-17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화장료용 멀티 보습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615226A (zh) * 2024-07-04 2024-09-10 广州颜当家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补水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759467B1 (ko) * 2024-07-25 2025-01-24 에스씨엠생명과학 주식회사 줄기세포 조건화 배지와 병풀잎수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67037A1 (ko) 2024-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9173B2 (ja) コンブチャ(kombucha)を含む化粧品または皮膚用薬組成物
KR101912478B1 (ko) 피부, 점막, 모발 및/또는 손발톱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
CN1761450B (zh) 特征在于含有α,α-海藻糖的糖类衍生物的皮肤外用剂
KR102667625B1 (ko) 피부장벽 및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285093B2 (en) Cosmetic uses of swertiamarin
CN110638707A (zh) 一种眼部护理霜及其制备方法
KR20100031068A (ko)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허브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058294B1 (ko) 달팽이점액, 인도유향수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림
KR102658915B1 (ko) 화장료용 멀티 보습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895056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1343B1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0166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716849A (zh) 一种含有油茶提取物的防皲裂护肤膏霜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388394A (zh) 一种双相冻干粉溶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59756A (zh) 一种促进冬虫夏草透皮吸收的液晶缓释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730289B (zh) 一种具有多重修护功效的眼唇护理组合物及其应用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9585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2485A (ko) 제주아그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3476385A (zh) 一种含多种天然植物有效成分的美白益肤温和修复的沐浴凝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6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40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