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C1~C6)알킬, (C1~C6)알켄, (C1~C6)알킨,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C1~C6)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중에서 선택되며, 이때 상기 아릴은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및 브로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할로, 니트로, 시아노, 히드록시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R2는 수소, (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 또는 디(C1~C6)알킬아미노 중에서 선택되고,
A는 아릴, 피리딘, 티오펜 또는 바이페닐 중 어느 하나이며,
X는 수소, CF3, CHF2, CH2F, (C1~C6)알킬, (C1~C6)알콕시, 또는 플루오로, 클로로 및 브로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할로임.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메틸-N-(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에탄설폰아미드[N-methyl-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 -4-yl)phenyl)ethanesulfonamide; #14-1], N-(4-클로로벤질)-N-(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에탄설폰아미드[N-(4-chlorobenzyl)-N-(3-(1-(4-(trifluoromethyl) phenyl)-1H-pyrazol-4-yl)phenyl)ethanesulfonamide; #14-2], N,N-디메틸-N'-(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3], N,N-디메틸-N'-methyl-N'-(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methyl-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4], N,N-디메틸-N'-(4-클로로벤질)-N'-(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4-chlorobenzyl)-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5], N,N-디메틸-N'-(3-(1-(4-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3-(1-(4-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11], N,N-디메틸-N'-(3-(1-(4-(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3-(1-(4-(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12], N,N-디메틸-N'-(3-(1-(4-(메톡시)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3-(1-(4-(methoxy)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13], N,N-디메틸-N'-(3-(1-(피리딘-4-일)-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3-(1-(pyridin-4-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14], N,N-디메틸-N'-(3-(1-(티오펜-4-일)-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3-(1-(thiophen-4-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15], N,N-디메틸-N'-(3-(1-(4-플루오로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3-(1-(4-fluoro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16], N,N-디메틸-N'-(3-(1-(4-([1,1'-비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3-(1-(4-([1,1'-bi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17], N,N-디메틸-N'-이소부틸-N'-(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isobutyl-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18], N,N-디메틸-N'-알릴-N'-(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allyl-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19], N,N-디메틸-N'-페닐-N'-(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아잔설폰아미드[N,N-dimethyl-N'-phenyl-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14-20] 또는 N-(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피페리딘-1-설폰아미드[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piperidine-1-sulfonamide; #14-2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4-1 내지 #14-5 및 #14-11 내지 #14-21 화합물들의 화학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Y는 수소, CF3, CHF2, CH2F, (C1~C6)알킬, (C1~C6)알콕시, 또는 플루오로, 클로로 및 브로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할로이고,
n은 0-5의 정수이고,
R은 또는 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6)알킬 중에서 선택되며, 이때 알킬은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클로로 및 브로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할로 또는 히드록시 중에서 선택됨.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E)-N-에틸-1-(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메탄이민 옥사이드[(E)-N-ethyl-1-(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methanimine oxide; #14-6], (E)-N-이소프로필-1-(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메탄이민 옥사이드[(E)-N-isopropyl-1-(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methanimine oxide; #14-7], (E)-N-터트-부틸-1-(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페닐)메탄이민 옥사이드[(E)-N-tert-butyl-1-(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methanimine oxide; #14-8], (E)-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벤즈알데히드 O-에틸 옥심 [(E)-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benzaldehyde O-ethyl oxime; #14-9] 또는 (E)-3-(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일)벤즈알데히드 O-(터트-부틸) 옥심[(E)-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benzaldehyde O-(tert-butyl) oxime; #14-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4-6 내지 #14-10 화합물들의 화학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구연산염, 초산염, 젖산염, 주석산염, 말레산염, 글루콘산염, 숙신산염, 포름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옥살산염, 푸마르산염, 메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파라톨루엔술폰산염, 캠퍼술폰산염,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survivin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세포사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urvivin은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등 다양한 암에서 높은 발현율을 나타내고, 세포사를 억제하는 단백질로써 암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관여한다. 상기 survivin은 진단 마커 및 표적 항암제 개발을 위한 타겟으로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survivin의 발현을 억제하는 KRCT-1을 암세포 처리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암세포 증식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의 가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제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피복정, 정제, 캡슐제, 좌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및 활성 화합물의 서방출형 제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5 내지 150 μM 농도의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라졸 유도체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 μM의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μM의 유효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암'이란 정상적인 세포사멸 균형이 깨지는 경우 세포가 과다 증식하고, 주변 조직으로 침윤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질병군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생식기종양, 음경암, 요도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피부암, 골수종, 백혈병 및 악성림프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방암을 포함한 전립선암, 폐암 및 위암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방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방사선 치료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세포 또는 방사선저항성(radioresistance)을 가지는 암세포에 관하여도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방사선 치료와 병용할 때, 암세포의 치료 방법에 있어서, 방사선 요법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에 그 특징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 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질병의 예방 또는 건강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라졸 유도체 화합물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라졸 유도체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라면, 기타 면류,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각종 스프, 육류, 소세지, 빵, 초코렛, 캔디류, 과자류, 피자,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또는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라졸 유도체 화합물 이외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에 따라 통상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민감제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라졸 유도체 화합물을 암세포에 처리하면 암세포의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여, 암세포의 사멸을 증진시킬 수 있다.
방사선 민감성 또는 방사선 저항성의 기준은 0 내지 3 Gy의 감마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세포 생존율을 이용하여 작성한 선형 모델의 기울기 값에 의해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방법은 Jerry R. Williams 등이 논문(Acta Oncologica, 46, 628-638, 2007)을 통해 보고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방사선 민감성"은 상기 기울기 값이 0.00 내지 0.30의 범위에 포함되는 특징을 갖는 세포를 의미하고, "방사선저항성"은 0.31 내지 1.00 범위에 포함되는 특징을 갖는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생식기종양, 음경암, 요도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피부암, 골수종, 백혈병 및 악성림프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방암을 포함한 전립선암, 폐암 또는 위암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방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민감제용 약학조성물은 방사선 요법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사선 치료요법은 악성 세포의 DNA를 손상시키는 국소 치료 방법이다. 정상 세포는 종양 세포에 비해 이런 손상을 수선하는 능력이 더 큰데, 상기 방사선 치료요법은 이런 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방사선 치료요법은 외부 빔 방사선(x-선, γ-선, 양성자 및 중성자), 근접요법 및 방사선 활성 물질 이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2-D, 3-D, 공초점, 강도-변조(IMRT) 및 이미지-가이드(IGRT) 접근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치료에서 사용될 수 있는 표준 방사선 치료요법은 약 60 Gys(50 ~ 70 Gys)의 총 용량으로 2.5 Gy/일로 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피험자, 장치, 및 종양 타입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바람직한 방사선 용량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민감제용 약학조성물은 방사선에 대한 암세포의 민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기존의 방사선 치료 요법에 대한 개선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민감제용 약학조성물을 사용하면 암세포로 하여금 방사선에 대해 적어도 30%, 40%, 50%, 60%, 70%, 80%, 90%, 100% 또는 이 이상의 민감도를 가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민감도" 및 "방사선 민감도"는 방사선 용량에 기초한 생존하는 세포수를 말한다. 따라서, 방사선 민감도의 증가는 어떤 방사선 용량에서 생존하는 세포수의 감소, 치사량에 필요한 방사선 용량의 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민감제용 약학조성물은 암세포의 방사선 치료뿐만 아니라, 화학요법에서도 민감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합요법에서 민감도를 증가시키는 민감제의 용도로 본 발명의 방사선 민감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병용하여 투여"는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를 치료하는 항암 과정에서 방사선 조사를 함께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폐암, 유방암, 대장암, 난소암, 두경부암, 뇌암 등의 고형암과 같은 암세포를 치료하는 항암 과정에서 방사선 조사 치료법을 병용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제조예
1> 3-(1-(4-(
trifluoromethyl
)phenyl)-1H-
pyrazol
-4-
yl
)aniline
단계 1: 4-iodobenzotrifluoride(1.00 g, 3.68 mmol), 4-chloro-1H-pyrazole(415 mg, 4.05 mmol), cesium carbonate(2.40 g, 7.36 mmol), CuI(105 mg, 0.55 mmol)을 반응 용매인 무수 톨루엔(35 mL)에 가한 다음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반응액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실리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12 g의 표제화합물 (화합물 1)을 수득하였다. 1H-NMR(300 MHz, CDCl3): δ 8.23 (s, 1H), 8.02 (s, 1H), 7.89 (2H, d, J=8.77 Hz), 7.76 (2H, d, J=8.77 Hz); LC-MS (ESI, m/z) = 247.0 (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1(800 mg, 3.25 mmol)을 반응 용기에 넣고 3-aminophenylboronic acid(534 mg, 3.90 mmol), Pd(OAc)2(73 mg, 0.32 mmol), sSPhos(250 mg, 0.49 mmol), Na2CO3(689 mg, 6.50 mmol)를 무수 dioxane(25 mL)에 넣은 후 N2(g)를 5분간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11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물을 TLC로 확인하고 용매인 dioxane을 감압 농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반응물에 EtOAc를 넣어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실리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921 mg의 표제화합물(화합물 2)을 수득하였다. 1H-NMR(300 MHz, CDCl3): δ 8.21 (s, 1H), 8.08 (s, 1H), 7.81 (2H, d, J=8.74 Hz), 7.67 (2H, d, J=8.77 Hz), 7.45 (1H, m), 7.02 (1H, d, J=7.82 Hz), 6.89 (1H, s), 6.76 (1H, d, J=7.69 Hz), 4.66 (2H, s); LC-MS (ESI, m/z) = 304.1 (M+H+).
<
제조예
2> 2-(1-(4-(
trifluoromethyl
)phenyl)-1H-
pyrazol
-4-yl)benzaldehyde
제조예 1의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1(800 mg, 3.25 mmol)을 반응 용기에 넣고 (3-formylphenyl)boronic acid(585 mg, 3.90 mmol), Pd(PPh3)4(375 mg, 0.33 mmol), Na2CO3(689 mg, 6.54 mmol)를 dioxane(32 mL)에 넣은 후 N2(g)를 5분간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9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물을 TLC로 확인하고 용매인 dioxane을 감압 농축하여 제거하였다. 반응 농축액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 후 실리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870 mg의 표제화합물(화합물 3)을 수득하였다. 1H-NMR(300 MHz, CDCl3): δ 9.85 (s, 1H), 8.61 (s, 1H), 8.21 (s, 1H), 8.08 (s, 1H), 7.95 (1H, d, J=7.86 Hz), 7.81 (2H, d, J=8.74 Hz), 7.67 (2H, d, J=8.77 Hz), 7.45 (1H, m), 7.22 (1H, d, J=7.82 Hz); LC-MS (ESI, m/z) = 317.1 (M+H+).
<
실시예
1> 화합물 합성
1. #14-
1와
#14-2 합성 scheme
#14-1: N-methyl-N-(3-(1-(4-(
trifluoromethyl
)phenyl)-1H-
pyrazol
-4-yl)phenyl)ethanesulfonamide
단계 1: 제조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2, 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aniline(591 mg, 1.95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20 mL의 무수 DCM 용매로 녹인다. Ethanesulfonyl chloride (204 μL, 2.16 mmol)와 pyridine (174 μL, 2.16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DCM으로 희석하고 NH4Cl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603 mg의 화합물 4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0.51 (s, 1H), 8.20 (s, 1H), 8.04 (s, 1H), 7.83 (d, 2H, J=8.77 Hz), 7.73 (d, 2H, J= 8.77 Hz), 7.62 (s, 1H), 7.51 (d, 1H, J= 7.44 Hz), 7.42 (t, 1H, J= 7.71 Hz), 7.27 (d, 1H, J= 7.71 Hz), 3.12 (q, 2H, J= 7.44 Hz), 1.42 (t, 3H, J= 7.71 Hz); LC-MS (ESI, m/z) = 396.1 (M+H+).
단계 2: 위의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4(256 mg, 0.65 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7 mL의 무수 MeCN 용매로 녹인다. Methyl iodide(38 μL, 0.65 mmol)와 K2CO3(90 mg, 0.65 mmol)을 넣은 후 8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하고,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220 mg의 표제화합물 #14-1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3 (s, 1H), 8.02 (s, 1H), 7.89 (d, 2H, J=8.77 Hz), 7.76 (d, 2H, J= 8.77 Hz), 7.62 (s, 1H), 7.49 (d, 1H, J= 7.44 Hz), 7.45 (t, 1H, J= 7.71 Hz), 7.30 (d, 1H, J= 7.71 Hz), 3.40 (s, 3H), 3.12 (q, 2H, J= 7.44 Hz), 1.42 (t, 3H, J= 7.71 Hz); LC-MS (ESI, m/z) = 410.2 (M+H+).
#14-2: N-(4-
chlorobenzyl
)-N-(3-(1-(4-(
trifluoromethyl
) phenyl)-1H-pyrazol-4-yl)phenyl)ethanesulfonamide
위의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4(67 mg, 0.17 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3 mL의 무수 MeCN 용매로 녹인다. 1-(Bromomethyl)-4-chlorobenzene(82 mg, 0.21 mmol)과 K2CO3(29 mg, 0.21 mmol)을 넣은 후 8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 TLC로 확인한 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60 mg의 표제화합물 #14-2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12 (s, 1H), 7.94 (s, 1H), 7.87 (d, 2H, J= 8.54 Hz), 7.75 (d, 2H, J= 8.54 Hz), 7.46 (m, 1H), 7.38 (m, 2H), 7.24 (m, 3H), 7.17 (m, 1H), 4.88 (s, 2H), 3.15 (q, 2H, J= 7.35 Hz), 1.47 (t, 3H, J= 7.35 Hz); LC-MS (ESI, m/z) = 520.1 (M+H+).
2. #14-3, #14-4, #14-5, #14-11 내지 #14-21 합성 scheme
#14-3:
N,N
-
dimethyl
-N’-(3-(1-(4-(
trifluoromethyl
)phenyl)-1H-
pyrazol
-4-yl)phenyl)azanesulfonamide
제조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2, 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aniline(591 mg, 1.95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20 mL의 무수 DCM 용매로 녹인다. Dimethylsulfamoyl chloride (671 μL, 2.16 mmol)와 pyridine (174 μL, 2.16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DCM으로 희석하고 NH4Cl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781 mg의 표제화합물 #14-3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1 (S, 1H), 8.01 (s, 1H), 7.89 (d, 2H, J= 8.51 Hz), 7.76 (d, 2H, J= 8.51 Hz), 7.40 (m, 1H), 7.36 (m, 2H), 7.09 (m, 1H), 6.54 (s, 1H), 2.89 (s, 6H); LC-MS (ESI, m/z) = 411.1 (M+H+).
#14-4:
N,N
-
dimethyl
-N’-methyl-N’-(3-(1-(4-(
trifluoromethyl
)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실시예 #14-3의 화합물(100 mg, 0.24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3 mL의 무수 MeCN 용매로 녹인다. Iodomethane(17 μL, 0.28 mmol)와 K2CO3(67 mg, 0.50 mmol)을 넣은 후 8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94 mg의 표제화합물 #14-4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3 (s, 1H), 8.02 (s, 1H), 7.89 (d, 2H, J= 8.62 Hz), 7.76 (d, 2H, J= 8.62 Hz), 7.62 (m, 1H), 7.48 (m, 1H), 7.44 (t, 1H, J= 7.63 Hz), 7.32 (m, 1H), 3.33 (s, 3H), 2.83 (s, 6H); LC-MS (ESI, m/z) = 425.1 (M+H+).
#14-5:
N,N
-
dimethyl
-N’-(4-
chlorobenzyl
)-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실시예 #14-3의 화합물(100 mg, 0.24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3 mL의 무수 MeCN 용매로 녹인다. 4-Chlorobenzyl bromide(55 mg, 0.28 mmol)와 K2CO3(67 mg, 0.50 mmol)을 넣은 후 8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06 mg의 표제화합물 #14-5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12 (s, 1H), 7.94 (s, 1H), 7.88 (d, 2H, J= 8.83 Hz), 7.75 (d, 2H, J= 8.83 Hz), 7.46 (m, 1H), 7.37 (t, 1H, J= 7.61 Hz), 7.26 (s, 1H), 7.24 (d, 2H, J= 10.96 Hz), 7.15 (m, 1H), 4.78 (s, 2H), 2.78 (s, 6H); LC-MS (ESI, m/z) = 535.1 (M+H+).
#14-11:
N,N
-
dimethyl
-N’-(3-(1-(4-phenyl)-1H-
pyrazol
-4-yl)phenyl)azanesulfonamide
단계 1: iodobenzene(1.00 g, 4.90 mmol)과 4-chloro-1H-pyrazole(552 mg, 5.39 mmol)을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750 mg의 표제화합물 3-(1-phenyl-1H-pyrazol-4-yl)aniline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19 (s, 1H), 8.10 (s, 1H), 7.64 (2H, d, J=8.71 Hz), 7.42 (2H, m), 7.02 (1H, d, J=7.69 Hz), 6.84 (1H, s), 6.78 (1H, d, J=7.74 Hz), 4.67 (2H, s); LC-MS (ESI, m/z) = 236.1 (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phenyl-1H-pyrazol-4-yl)aniline (200 mg, 0.85 mmol)을 반응의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87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0.51 (s, 1H), 8.19 (S, 1H), 8.01 (s, 1H), 7.87-7.74 (m, 5H), 7.40 (m, 1H), 7.36 (m, 2H), 7.12 (m, 1H), 6.52 (s, 1H), 2.89 (s, 6H); LC-MS (ESI, m/z) = 344.2 (M+H+).
#14-12:
N,N
-
dimethyl
-N’-(3-(1-(4-(methyl)phenyl)-1H-
pyrazol
-4-
yl
)phenyl)
azanesulfonamide
단계 1: 1-iodo-4-methylbenzene(1.00 g, 4.58 mmol)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632 mg의 표제화합물 3-(1-(p-tolyl)-1H-pyrazol-4-yl)aniline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1 (s, 1H), 8.09 (s, 1H), 7.82 (2H, d, J=8.77 Hz), 7.69 (2H, d, J=8.77 Hz), 7.00 (1H, d, J=7.85 Hz), 6.86 (1H, s), 6.76 (1H, d, J=7.66 Hz), 4.69 (s, 2H), 2.43 (s, 3H); LC-MS (ESI, m/z) = 250.08 (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p-tolyl)-1H-pyrazol-4-yl)aniline (200 mg, 0.83 mmol)을 반응의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58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0.50 (s, 1H), 8.20 (S, 1H), 8.00 (s, 1H), 7.89 (d, 2H, J=8.48 Hz), 7.76 (d, 2H, J=8.51 Hz), 7.37 (m, 1H), 7.38 (m, 2H), 7.08 (m, 1H), 6.54 (s, 1H), 2.44 (s, 3H), 2.88 (s, 6H); LC-MS (ESI, m/z) = 357.1 (M+H+).
#14-13:
N,N
-
dimethyl
-N’-(3-(1-(4-(
methoxy
)phenyl)-1H-
pyrazol
-4-yl)phenyl)azanesulfonamide
단계 1: 1-iodo-4-methoybenzene(1.00 g, 4.27 mmol)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734 mg의 표제화합물 3-(1-(4-methoxyphenyl)-1H-pyrazol-4-yl)aniline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0 (s, 1H), 8.03 (s, 1H), 7.78 (2H, d, J=8.74 Hz), 7.64 (2H, d, J=8.74 Hz), 6.97 (1H, d, J=7.74 Hz), 6.85 (1H, s), 6.76 (1H, d, J=7.66 Hz), 4.69 (s, 2H), 3.82 (s, 3H); LC-MS (ESI, m/z) = 266.0 (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4-methoxyphenyl)-1H-pyrazol-4-yl)aniline (200 mg, 0.76 mmol)을 반응의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61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15 (S, 1H), 8.03 (s, 1H), 7.85 (d, 2H, J=8.45 Hz), 7.69 (d, 2H, J=8.48 Hz), 7.34 (m, 1H), 7.30 (m, 2H), 7.09 (m, 1H), 6.52 (s, 1H), 3.81 (s, 3H), 2.88 (s, 6H); LC-MS (ESI, m/z) = 373.1 (M+H+).
#14-14:
N,N
-
dimethyl
-N’-(3-(1-(
pyridin
-4-
yl
)-1H-
pyrazol
-4-
yl
)phenyl)
azanesulfonamide
단계 1: 4-iodopyridine(1.00 g, 4.87 mmol)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541 mg의 표제화합물 3-(1-(pyridin-4-yl)-1H-pyrazol-4-yl)aniline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32 (s, 1H), 8.12 (s, 1H), 7.98 (2H, d, J=8.64 Hz), 7.83 (2H, d, J=6.64 Hz), 7.01 (m, 1H), 6.97 (1H, d, J=7.72 Hz), 6.85 (1H, s), 6.72 (1H, d, J=7.72 Hz), 4.69 (s, 2H); LC-MS (ESI, m/z) = 237.0 (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pyridin-4-yl)-1H-pyrazol-4-yl)aniline (200 mg, 0.84 mmol)을 반응의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47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0.53 (s, 1H), 8.21 (S, 1H), 8.19 (s, 1H), 7.98 (d, 2H, J=8.42 Hz), 7.79 (d, 2H, J=8.42 Hz), 7.31 (m, 1H), 7.29 (m, 2H), 7.09 (m, 1H), 6.51 (s, 1H), 2.87 (s, 6H); LC-MS (ESI, m/z) = 344.1 (M+H+).
#14-15:
N,N
-
dimethyl
-N’-(3-(1-(
thiophen
-4-
yl
)-1H-
pyrazol
-4-yl)phenyl)azanesulfonamide
단계 1: 2-iodothiophen(1.00 g, 4.21 mmol)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708 mg의 표제화합물 3-(1-(thiophen-2-yl)-1H-pyrazol-4-yl)aniline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39 (s, 1H), 8.09 (s, 1H), 7.89(1H, d, J=8.64 Hz), 7.75 (1H, d, J=8.64 Hz), 7.65 (m, 1H), 7.01 (m, 1H), 6.97 (1H, d, J=7.72 Hz), 6.85 (1H, s), 6.72 (1H, d, J=7.72 Hz), 4.67 (s, 2H); LC-MS (ESI, m/z) = 242.3 (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thiophen-2-yl)-1H-pyrazol-4-yl)aniline을 반응의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63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0.50 (s, 1H), 8.39 (s, 1H), 8.12 (s, 1H), 7.95(1H, d, J=8.64 Hz), 7.79 (1H, d, J=8.64 Hz), 7.64 (m, 1H), 7.01 (m, 1H), 6.98 (1H, d, J=7.72 Hz), 6.85 (1H, s), 6.71 (1H, d, J=7.72 Hz), 6.52 (s, 1H), 2.88 (s, 6H); LC-MS (ESI, m/z) = 348.9 (M+H+).
#14-16:
N,N
-
dimethyl
-N’-(3-(1-(4-
fluorophenyl
)-1H-
pyrazol
-4-
yl
)phenyl)
azanesulfonamide
단계 1: 1-fluoro-4-iodobenzene(1.00 g, 4.51 mmol)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672 mg의 표제화합물 3-(1-(4-fluorophenyl)-1H-pyrazol-4-yl)aniline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7 (s, 1H), 8.08 (s, 1H), 7.82 (2H, d, J=8.74 Hz), 7.68 (2H, d, J=8.74 Hz), 7.46 (m, 1H), 7.04 (1H, d, J=7.82 Hz), 6.85 (1H, s), 6.72 (1H, d, J=7.69 Hz), 4.64 (s, 2H); LC-MS (ESI, m/z) = 254.1 (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4-fluorophenyl)-1H-pyrazol-4-yl)aniline (200 mg, 0.78 mmol)을 반응의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65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0.50 (s, 1H), 8.26 (s, 1H), 8.08 (s, 1H), 7.84 (2H, d, J=8.71 Hz), 7.69 (2H, d, J=8.74 Hz), 7.48 (m, 1H), 7.06 (1H, d, J=7.85 Hz), 6.85 (1H, s), 6.72 (1H, d, J=7.69 Hz), 6.52 (s, 1H), 2.90 (s, 6H); LC-MS (ESI, m/z) = 361.1 (M+H+).
#14-17:
N,N
-
dimethyl
-N’-(3-(1-(4-([1,1’-biphenyl]-1H-
pyrazol
-4-
yl
)phenyl)
azanesulfonamide
단계 1: 1-iodobiphenyl(1.00 g, 3.57 mmol)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812 mg의 표제화합물 3-(1-([1,1'-biphenyl]-4-yl)-1H-pyrazol-4-yl)aniline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32 (s, 1H), 8.14 (s, 1H), 7.81 (2H, d, J=8.77 Hz), 7.72 (2H, d, J=8.77 Hz), 7.69-7.52 (m, 5H), 7.46 (m, 1H), 7.01 (1H, d, J=7.82 Hz), 6.85 (1H, s), 6.78 (1H, d, J=7.66 Hz), 4.65 (s, 2H); LC-MS (ESI, m/z) = 312.1 (M+H+).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1,1'-biphenyl]-4-yl)-1H-pyrazol-4-yl)aniline (200 mg, 0.64 mmol)을 반응의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실시예 #14-3과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61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0.48 (s, 1H), 8.32 (s, 1H), 8.11 (s, 1H), 7.83 (2H, d, J=8.77 Hz), 7.70 (2H, d, J=8.77 Hz), 7.70-7.52 (m, 5H), 7.46 (m, 1H), 7.03 (1H, d, J=7.74 Hz), 6.81 (1H, s), 6.73 (1H, d, J=7.69 Hz), 6.50 (s, 1H), 2.91 (s. 6H); LC-MS (ESI, m/z) = 419.0 (M+H+).
#14-18:
N,N
-
dimethyl
-N’-
isobutyl
-N’-(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출발물질인 #14-3 (100 mg, 0.24 mmol)에 1-iodo-2-methylpropan(53 mg, 0.29 mmol)을 넣고 실시예 #14-4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32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2 (s, 1H), 8.01 (s, 1H), 7.87 (d, 2H, J= 8.62 Hz), 7.71 (d, 2H, J= 8.62 Hz), 7.59 (m, 1H), 7.49 (m, 1H), 7.42 (t, 1H, J= 7.60 Hz), 7.30 (m, 1H), 2.98 (d, J=7.72 Hz, 2H), 2.82 (s, 6H), 1.68 (m, 1H), 0.92 (d, 6H, J=6.8 Hz); LC-MS (ESI, m/z) = 466.9 (M+H+).
#14-19:
N,N
-
dimethyl
-N’-
allyl
-N’-(3-(1-(4-(
trifluoromethyl
)phenyl)-1H-
pyrazol
-4-yl)phenyl)azanesulfonamide
출발물질인 #14-3 (100 mg, 0.24 mmol)에 3-bromo-1-propene(35 mg, 0.29 mmol)을 넣고 실시예 #14-4와 유사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41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3 (s, 1H), 8.04 (s, 1H), 7.86 (d, 2H, J= 8.45 Hz), 7.72 (d, 2H, J= 8.45 Hz), 7.61 (m, 1H), 7.52 (m, 1H), 7.41 (t, 1H, J= 7.63 Hz), 7.31 (m, 1H), 5.85 (m, 1H), 5.19 (d, J=17.1 Hz, 1H), 5.17 (d, J=17.1 Hz, 1H), 3.73 (d, J=6.2 Hz, 1H), 2.82 (s, 6H); LC-MS (ESI, m/z) = 450.9 (M+H+).
#14-20:
N,N
-
dimethyl
-N’-phenyl-N’-(3-(1-(4-(
trifluoromethyl
)phenyl)-1H-pyrazol-4-yl)phenyl)azanesulfonamide
출발물질인 #14-3 (100 mg, 0.24 mmol), phenylboronic acid (36 mg, 0.29 mmol), Tetrakis(acetonitrile)copper(I) hexafluorophosphate (108 mg, 0.29 mmol), N-methylpiperidine(0.17 mL, 1.46 mmol)을 무수 MeCN에 넣고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DCM으로 희석하고 NH4Cl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29 mg의 표제화합물 #14-20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3 (S, 1H), 8.08 (s, 1H), 7.88 (d, 2H, J= 8.48 Hz), 7.79 (d, 2H, J= 8.48 Hz), 7.42 (m, 1H), 7.31 (m, 2H), 7.29-7.15 (m, 5H), 7.09 (m, 1H), 2.87 (s, 6H); LC-MS (ESI, m/z) = 486.9 (M+H+).
#14-21: N-(3-(1-(4-(
trifluoromethyl
)phenyl)-1H-
pyrazol
-4-yl)phenyl)piperidine-1-sulfonamide
제조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aniline(100 mg, 0.33 mmol)과 Piperidine-1-sulfonyl chloride(56 uL, 0.39 mmol)을 실시예 #14-3과 유사한 반응시켜 42 m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23 (S, 1H), 7.98 (s, 1H), 7.84 (d, 2H, J= 8.31 Hz), 7.74 (d, 2H, J= 8.31 Hz), 7.36 (m, 1H), 7.33 (m, 2H), 7.01 (m, 1H), 3.07 (t, J= 7.7 Hz, 4H), 1.53-1.43 (m, 6H); LC-MS (ESI, m/z) = 451.1 (M+H+).
3. #14-6, #14-7, #14-8 합성 scheme
#14-6: (E)-N-ethyl-1-(3-(1-(4-(
trifluoromethyl
)phenyl)-1H-
pyrazol
-4-yl)phenyl)methanimine oxide
제조예 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00 mg, 0.32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3 mL의 무수 EtOH에 녹인다. N-methylhydroxylamine·HCl(79 mg, 0.95 mmol)과 potassium acetate(93 mg, 0.95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76 mg의 표제화합물 #14-6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35 (s, 1H), 8.12 (s, 1H), 7.86 (d, 2H, J= 8.59 Hz), 7.74 (d, 2H, J= 8.59 Hz), 7.70 (m, 1H), 7.56 (m, 1H), 7.44 (t, 1H, J= 7.63 Hz), 7.32 (m, 1H), 3.98 (q, 2H, J=9.00 Hz), 1.56 (t, 3H, J=9.00 Hz); LC-MS (ESI, m/z) = 360.2 (M+H+).
#14-7: (E)-N-isopropyl-1-(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methanimine oxide
제조예 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00 mg, 0.32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3 mL의 무수 EtOH에 녹인다. N-isopropylhydroxylamine·HCl(105 mg, 0.95 mmol)과 potassium acetate(93 mg, 0.95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60 mg의 표제화합물 #14-7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32 (s, 1H), 8.12 (s, 1H), 7.86 (d, 2H, J= 8.50 Hz), 7.71 (d, 2H, J= 8.50 Hz), 7.65 (m, 1H), 7.56 (m, 1H), 7.41 (t, 1H, J= 7.61 Hz), 7.29 (m, 1H), 4.21 (m, 1H), 1.51 (s, 3H), 1.49 (s, 3H); LC-MS (ESI, m/z) = 374.0 (M+H+).
#14-8: (E)-N-tert-butyl-1-(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phenyl)methanimine oxide
제조예 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00 mg, 0.32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3 mL의 무수 EtOH에 녹인다. N-tert-butylhydroxylamine·HCl(118 mg, 0.95 mmol)과 potassium acetate(93 mg, 0.95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71 mg의 표제화합물 #14-8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38 (s, 1H), 8.21 (s, 1H), 7.84 (d, 2H, J= 8.12 Hz), 7.72 (d, 2H, J= 8.12 Hz), 7.59 (m, 1H), 7.53 (m, 1H), 7.40 (t, 1H, J= 7.61 Hz), 7.27 (m, 1H), 1.60 (s, 9H); LC-MS (ESI, m/z) = 388.1 (M+H+).
4. #14-9, #14-10 합성 scheme
#14-9: (E)-3-(1-(4-(
trifluoromethyl
)phenyl)-1H-
pyrazol
-4-yl)benzaldehyde O-ethyl
oxime
제조예 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00 mg, 0.32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5 mL의 무수 DCM에 녹인다. ethoxyamine·HCl(46 mg, 0.47 mmol)과 pyridine(56 μL, 0.70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78 mg의 표제화합물 #14-9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46 (s, 1H), 8.32 (s, 1H), 8.08 (s, 1H), 7.80 (d, 2H, J= 8.45 Hz), 7.71 (d, 2H, J= 8.45 Hz), 7.64 (m, 1H), 7.53 (m, 1H), 7.41 (t, 1H, J= 7.61 Hz), 7.32 (m, 1H), 3.57 (q, 2H, J=9.82 Hz), 1.51 (t, 3H, J=9.82 Hz); LC-MS (ESI, m/z) = 360.1 (M+H+).
#14-10: (E)-3-(1-(4-(trifluoromethyl)phenyl)-1H-pyrazol-4-yl)benzaldehyde O-(
tert
-butyl)
oxime
제조예 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3(100 mg, 0.32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5 mL의 무수 DCM에 녹인다. tert-butoxyamine·HCl(59 mg, 0.47 mmol)과 pyridine(56 μL, 0.70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TLC로 확인한 후, EtOAc로 희석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85 mg의 표제화합물 #14-10를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52 (s, 1H), 8.38 (s, 1H), 8.12 (s, 1H), 7.83 (d, 2H, J= 8.42 Hz), 7.74 (d, 2H, J= 8.42 Hz), 7.63 (m, 1H), 7.50 (m, 1H), 7.47 (t, 1H, J= 7.59 Hz), 7.32 (m, 1H), 1.25 (s, 9H); LC-MS (ESI, m/z) = 388.0 (M+H+).
<
실시예
2> 유방암 세포주와 이의 배양 방법
사람 유래 종양 세포주, 유방암세포주인 MCF7 및 T47D, BT549, MDA-MB231, MDA-MB453는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HyClone, South Logan, UT)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Corning, NY, USA) 에서 37℃, 5% CO2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방법을 통하여 준비한 세포주 및 화합물을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KRCT
-1의 암세포 특이적인 사멸효과(항암 효과)의 확인
1.
KRCT
-1의 세포증식 및 생존 분석을 통한 암세포 사멸효과(항암 효과)의 확인
KRCT-1의 암세포 증식 저해를 확인하기 위해서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WST-8 분석 (Cyto XTM cell viability assay kit, LPS solution, 대전, 한국)을 수행하였다. 대장암 (DLD1, HCT-116), 폐암 (H1299, A549), 뇌종양 (U373, LN18), 유방암 (T47D, BT549, MDA-MB 453, MCF7 및 MDA MB-231), 위암(SNU668), 혈액암(MV4-11)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상기 화합물을 처리하였다. 이후 흡광도를 Versamax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험의 결과를 도 2 및 도 3B에 나타내었다.
2. KRCT-1의 균락형성 분석법(Clonogenic assay)을 통한 암세포 사멸효과(항암 효과)의 확인
선별된 KRCT-1이 암세포를 효율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균락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60 mm 배양 플레이트에 다양한 유방암 세포주 BT549, MCF7, T47D 및 MDA MB231 (500-1000 cells)개의 세포를 배양하고, 24시간 후 상기 화합물을 10 μM 각각 처리하고 14일간 배양하였다. 메탄올이 첨가된 트립토판 블루로 고정 및 염색시키고, Image 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치화하고 이를 도 3C에 나타내었다.
도 3C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방암 세포주에서 KRCT-1 처리시 함세포 균락의 수와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KRCT-1은 암세포의 균락을 효과적으로 사멸시킨다.
3. KRCT-1의 종양구 형성 분석법(Tumorsphere forming assay)을 통한 암세포 사멸효과(항암 효과)의 확인
선별된 KRCT-1이 암세포의 종양구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종양구 형성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부착률이 낮은 플레이트에 유방암 세포 MCF7 (2500-10000 cells)를 1% 페니실린, B-27 (1:50; invitrogen), 20 ng/mL 표피 세포 성장인자 (R&D Systems) 및 20 ng/mL 섬유모 세포 성장인자 (R&D Systems)가 함유된 무혈청 DMEM/ F12(welGENE)에 현탁하여 배양시켰다. 24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화합물을 처리하여 14일간 배양한 후 종양구의 직경을 측정하여 수치화하였고, 이를 도 3D에 나타내었다.
도 3D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방암 세포주에서 KRCT-1 처리시 암세포 종양구 직경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KRCT-1은 암세포의 종양구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
실시예
4> 면역 결핍 마우스 종양 모델 (
Xenograft
mouse model)에서
KRCT
-1의 항암효과 확인
면역 결핍 마우스 종양 모델에 암세포주를 피하에 이식하여 상기 화합물의 항암 효과가 실제로 생체수준에서 일어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면역 결핍 마우스 대퇴부 피하에 BT549 세포주를 이식하여 종양을 형성한 후, 종양의 크기가 50~100 mm3에 이르면 상기 화합물을 일주일에 2회 30 mg/kg 복강 주사하였다. 대조군과 KRCT-1 처리군 각각 일주일에 3회씩 종양의 부피와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도 4a의 A와 도 4b의 A는 유방암 세포주를 이식 후 4주차가 되었을 때 대조군 대비 KRCT-1을 처리한 군은 종양의 부피와 크기가 작은 것을 관찰하였다. 상기 분리한 마우스 종양에서 종양 증식 항원 Ki-67에 대한 웨스턴 블랏팅을 실시하였고, 이를 도 4b의 B에 나타내었다. 도 4a의 B는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는 동안의 일주일에 3 회씩 마우스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KRCT-1을 처리한 군은 종양의 부피와 크기가 작고, Ki-67의 발현이 확연히 감소된 것을 확인한 바, KRCT-1 화합물이 종양 증식을 저해하고, 항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KRCT-1 처리시 면역결핍 마우스의 몸무게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KRCT-1이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종양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5>
KRCT
-1의 암세포 사멸 효과 확인
1.
FACS를
통한 세포사멸 효과 확인
Annexin V/PI 염색 후, FACS 분석을 수행하여 암세포 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KRCT-1 20 μM의 존재 및 부재하에 48 h 동안 암세포주 MCF7과 BT549에 처리하였고, Annenxin V 결합의 분석은 제조사의 추천하고 있는 프로토콜에 따라 Annexin V-FITC apoptosis Detection Kit (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세포의 배지를 포함하여 모든 세포를 모은 후 15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1× PBS로 세척한 다음 1×106 세포 농도로 재현탁한 다음, 100 μl의 세포 현탁액을 5ml 튜브에 첨가하고, 여기에 5 μl의 Annexin V-FITC 및 5μl의 PI을 첨가하여 암실에서 15분 동안 RT에서 배양하였다. 400 μl의 1× 결합 완충용액을 각 튜브에 첨가하고, 샘플을 유동 세포분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FACS 검정의 결과는 도 5a에 나타내었다. 본 결과 MCF7은 약 40%, BT549는 약 23% 세포사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분자 발현의 확인을 통한 세포사멸 효과 확인
웨스턴 블랏팅 실험을 통하여 KRCT-1에 의한 세포사멸을 확인하였다. SDS-PAGE 전기영동을 통하여 20 ㎍의 단백질을 분리하고 PVDF 막으로 옮긴 후 다음의 나열된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였다: 토끼 다클론항체 cleaved PARP(Asp214)(#9541) 및 phospho-Chk2(Thr68)(#2661; Cell Signaling Technology, MA); 토끼 단일클론항체 caspase3(#9664), chk2(#6334S), survivin(#2808S); 마우스 단일클론항체 caspase 9(551246; BD Pharmingen, CA, USA). 또한 마우스 단일클론항체 β-actin(C4; Santa Cruz Biotechnology, CA, USA)는 로딩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1× PBS/0.1% Tween 20으로 세척하고, HRP-결합 2차 항체와 향상된 화학발광 검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합 단백질을 탐지하였으며, 밴드의 이미지를 Amersham Imager 600 시스템(GE Healthcare Life Science) 사용하여 얻고, 이를 도 5b에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주 BT549, T47D 및 MCF7에 KRCT-1을 각 0, 2.5, 5, 10, 20 μM 씩 투여량 의존적 방법으로 각 24h 동안 처리하고 암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survivin의 발현 양과 세포사멸 마커인clv-PARP, caspase 9, caspase 3의 발현 양을 확인하였다. 처리된 KRCT-1의 농도에 따라 암세포 내에 존재하는 survivin과 pro-caspase 9의 발현양을 감소시키고, 세포사멸시 증가하는 잘라진 PARP 및 caspase3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KRCT-1으로 인해서 세포의 사멸이 활성화되었음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6>
KRCT
-1의 처리를 통한
암세포주의
방사선 민감도 상승효과의 확인
1.
균락
형성 분석법을 통한 방사선 병용효과 확인
KRCT-1과 방사선 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균락 형성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균락 형성 분석법을 수행하기 위해 유방암 세포주 BT549, T47D와 MCF7에 KRCT-1 화합물 2.5 μM을 처리하고, Biobeam GM8000 (감마 - Gamma-Service Medical GmbH, Leipzig, Germany)을 사용하여 2.5 Gy 방사선을 처리하였다. 나머지 균락형성을 위한 실험기법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이를 도 6a에 나타내었다. KRCT-1을 처리한 군에서는 DMSO를 처리한 군 대비 유의할 정도의 두 암세포주의 방사선 치료효과가 나타나, 암세포 균락의 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웨스턴
블랏팅
실험을 통한 방사선 병용효과 확인
웨스턴 블랏팅 실험을 통하여 KRCT-1의 처리를 통한 암세포주의 방사선 민감도 상승효과의 확인하기 위하여 유방암 세포주 BT549, T47D와 MCF7에 KRCT-1 화합물 10 μM을 처리하고, Biobeam GM8000(감마 - Gamma-Service Medical GmbH, Leipzig, Germany)을 사용하여 3 Gy 방사선을 처리 후 30h 동안 배양하였다. 웨스턴 블랏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SDS-PAGE 전기영동을 통하여 20 ㎍의 단백질을 분리하고 PVDF 막으로 옮긴 후 다음의 나열된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였다: 토끼 다클론항체 phospho-Chk2 (Thr68) (#2661; Cell Signaling Technology, MA); 토끼 단일클론항체 chk2 (#6334S)를 사용하였다. 웨스턴 블랏팅의 나머지 조건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사선을 처리한 이후 KRCT-1을 처리한 군에서는 survivin의 발현 양 감소 및 인산화된 Chk2의 발현 양이 증가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암세포의 사멸이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KRCT
-1이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확인
KRCT-1이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DNA 손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γ-H2AX foci 실험을 수행하였다. 방사선을 포함한 여러 가지 DNA 손상물질들에 의해 DNA 단일 가닥이나 이중 가닥이 절단되면, γ-H2AX 인산화가 일어나면서 세포핵에서 nuclear foci가 생성이 된다. 이를 지표로 사용하여 DNA 손상에 따른 병용 효과를 평가하였다. 2.5×104 MCF7세포를24 웰 플레이트에 48h배양 후 KRCT-1 20 μM 을 24h 동안 처리하고 방사선 2 Gy 조사 후 1h이 되었을 때 세포의 고정하였다. 그리고 투과화를 위하여 인산완충식염수로 세척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 0.2% 트리톤-X를 첨가하여 각각 10 min 동안 반응시켰다. 5% 우태아 혈청으로 1h 전처리를 하고, 인산화된 H2AX 에 대한 1:100 희석 γ-H2AX(05-656; EMD Millipore Corp., MA, USA) 항체를 16h 동안 처리한 후, 0.1% 트리톤X-100/ 인산완충식염수 용액 (Tritonx-100/ PBS)으로 3번 세척하였다. Alexa488-접합 이차 항체 (AP132JA4, Invitrogen)로 실온에서 2h 반응시켜 표지하였으며, IN Cell Analyzer 6000 (GE Healthcare Life Science)로 인산화된 γ-H2AX foci를 촬영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대조군에 비하여 KRCT-1과 방사선을 같이 처리한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암세포에 DNA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방사선에 대한 민감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암세포에 있어서, KRCT-1은 방사선 민감제 (radiosensitizer)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7> KRCT-1의 Trk-A 선택적 억제 활성 확인 :
In vitro
kinase assay를 통한 효능 및 특이성 검정
KRCT-1의 특정 키나아제에 대한 선택적 반응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고마바이오텍 (Seoul, Korea)에 in vitro kinase assay 프로파일링을 의뢰를 하였고, 효소 반응 실험은 Eurofins Pharma Discovery Services (Scotland, UK)에서 수행되었다. 키나아제 프로파일링을 위해 넓은 종양학 패널 (broad oncology panel)로써 104개의 키나아제 시리즈와 10 μM KRCT-1이 반응에 사용되었다. Trk-A의 IC50 키나아제 분석을 구하기 위해 100 μM으로부터 3배 순차 희석한 KRCT-1이 사용되었다.
<
실시예
8> 암 세포주에서
KRCT
-1에 의한
Trk
-A 억제 활성 확인
암 세포주에서 KRCT-1이 Trk-A 키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하위의 신호 전달 저해되는지 확인하였다. Trk-A가 리간드에 의해 활성화되면, 세포 내에서 MEK/ERK와 STAT3 신호 전달 경로가 활성화된다. 이를 지표로 하여 KRCT-1 농도별 (2.5, 5, 10, 20 μM)로 암세포 주에 처리하였을 때 인산화된 ERK와 인산화된 STAT3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웨스텃 블랏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SDS-PAGE 전기영동을 통하여 20 ㎍의 단백질을 분리하고 PVDF 막으로 옮긴 후 다음의 나열된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였다: 토끼 다클론항체 phospho-STAT3 (Tyr705) (ab76315; Abcam, UK), 마우스 단일클론항체 phospho-ERK (Thr202/Tyr204) (sc-514302; Santa Cruz Biotechnology), ERK (sc-7383; Santa Cruz Biotechnology), STAT3 (sc8019; Santa Cruz Biotechnology)를 사용하였다. 웨스턴 블랏팅의 나머지 조건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