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491B1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0491B1 KR102660491B1 KR1020170173395A KR20170173395A KR102660491B1 KR 102660491 B1 KR102660491 B1 KR 102660491B1 KR 1020170173395 A KR1020170173395 A KR 1020170173395A KR 20170173395 A KR20170173395 A KR 20170173395A KR 102660491 B1 KR102660491 B1 KR 1026604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xel
- sub
- odd
- row sub
- numbe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홀수 번째 로우(row)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를 거울(mirror) 대칭 설계하여 발광부를 인접시키고, 발광부들 사이에 픽셀 리던던시(redundancy)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개구율이 향상될 수 있다.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dd-numbered row sub-pixels and even-numbered row sub-pixels designed to be mirror symmetrical to adjacent light emitting units, and pixel redundancy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s. ) By designing the structure, the yield can be improved in ultra-high resolution models. This pixel redundancy structure can be commonly used in odd-numbered row sub-pixels and even-numbered row sub-pixels, so the aperture ratio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화면,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고개구율을 구현하면서도, 픽셀 불량을 리페어(repair)할 수 있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can repair pixel defects while implementing a high aperture ratio in a large screen and ultra-high resolution model.
현재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표시장치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Currently, as we enter the full-fledged information age, the field of display devices that visually display electrical information signals is developing rapidly, and research is continuing to develop performance such as thinner, lighter, and lower power consumption for various display devices.
대표적인 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습윤 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Representative display device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ganic Lighting Display).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etc.
이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구현, 응답속도, 시야각(viewing angle),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Among these,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hich i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display device and, unlik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lightweight and thin form. In additio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are not only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due to low voltage operation, but also have excellent color reproduction, response speed,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R), so they are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It is becoming.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로 지칭된 2개의 전극 사이에 유기물을 사용한 발광층을 배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애노드에서의 정공(hole)을 발광층으로 주입시키고, 캐소드에서의 전자(electron)를 발광층으로 주입시키면,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서로 재결합(recombination)하면서 발광층에서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며 발광한다.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constructed by disposing a light-emitting layer using an organic material between two electrodes called an anode and a cathode. Then, when holes from the anode are injected into the light-emitting layer and electrons from the cathode are injected into the light-emitting layer,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with each other to form excitons i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emit light. do.
이러한 발광층에는 호스트(host) 물질과 도펀트(dopant) 물질이 포함되어 두 물질의 상호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호스트는 전자와 정공으로부터 여기자를 생성하고 도펀트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도펀트는 소량이 첨가되는 염료성 유기물로, 호스트로부터 에너지를 받아서 광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This light-emitting layer contains a host material and a dopant material,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wo materials occurs. The host generates excitons from electrons and holes and transfers energy to the dopant. The dopant is a dye-like organic substance added in small amounts and serves to receive energy from the host and convert it into light.
표시장치가 대형화되고 초고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개구율 확보가 필요하다.In order for display devices to become larger and achieve ultra-high resolu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a high aperture ratio.
한편, 서브-화소가 이물, 정전기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해 휘점, 암점 등의 불량이 되었을 때, 해당 서브-화소를 정상 구동시키기 위하여 픽셀 리던던시(pixel redundancy) 구조가 필요하다. 기존의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서브-화소들의 소스 노드가 겹쳐져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 경우 임의의 서브-화소에 휘점, 암점 등의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서브-화소의 소스 노드를 커팅(cutting)하여 단선시키고, 불량 서브-화소의 상부 서브-화소의 소스 노드를 용접(welding)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불량 서브-화소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a sub-pixel becomes defective, such as a bright spot or a dark spot, due to foreign matter, static electricity, or other causes,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needed to operate the sub-pixel normally. The existing pixel redundancy structure has a form in which source nodes of vertically adjacent sub-pixels overlap. In this case, when a defect such as a bright spot or dark spot occurs in any sub-pixel, the source node of the corresponding sub-pixel is cut and disconnected, and the source node of the upper sub-pixel of the defective sub-pixel is welded ( By connecting through welding, defective sub-pixels can be normalized.
이와 같은 리페어 구조는 8K UHD(Ultra High Definition) 급의 초고해상도 모델에서는 개구율이 감소된다는 이유로 적용이 어렵다.This repair structure is difficult to apply to 8K UHD (Ultra High Definition) class ultra-high resolution models because the aperture ratio is reduced.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초고해상도 모델에서는 수율 향상을 위해서 픽셀 리던던시 구조가 필요하다는 점, 및 이웃하는 2개의 서브-화소에 대해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공용화할 수 있다면 개구율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홀수 번째 로우(row)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를 거울(mirror) 대칭 설계함으로써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발명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d on the fact that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needed to improve yield in ultra-high resolution models, and that the aperture ratio loss can be minimized if the pixel redundancy structure can be shared for two neighboring sub-pixels. , by designing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in mirror symmetry,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can be commonly used by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invented.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화면,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고개구율을 구현하면서도, 픽셀 불량을 리페어 할 수 있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can repair pixel defects while implementing a high aperture ratio in a large screen and ultra-high resolution model.
한편, 현재 게이트라인의 수평 배선과 데이터라인/전원라인의 수직 배선간 단락 불량을 리페어 하기 위한 게이트 리던던시(redundancy) 패턴이 문제가 되고 있다.Meanwhile, the gate redundancy pattern to repair short circuit defects between the horizontal wiring of the gate line and the vertical wiring of the data line/power line is currently becoming a problem.
이는 수평 배선과 수직 배선의 교차지점은 그 사이에 층간절연층만이 개재되어 있어 짧은 이격거리로 인해 정전기성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수율 향상을 위해 리페어를 위한 구조가 화소, 즉 서브-화소 내에 설계되어야 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수평 배선과 수직 배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게이트 리던던시 패턴이 적용되었다. 다만, 게이트 리던던시 패턴은 게이트라인의 상하로 소정 영역을 차지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화소 내의 개구율을 축소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화소 내 게이트 리던던시 패턴의 추가로 인해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화소 설계가 어려웠다.This is because only the interlayer insulation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ring points, and electrostatic defects may occur due to the short separation distance. In order to improve yield, the structure for repair is designed within the pixel, that is, the sub-pixel. It had to be. Accordingly, a gate redundancy pattern was previously applied to the location where horizontal and vertical wiring intersect. However, as the gate redundancy pattern was formed to occupy a certain area above and below the gate line, it became a factor in reducing the aperture ratio within the pixel, and the addition of the gate redundancy pattern within the pixel made pixel design difficult in ultra-high resolution models.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평 배선과 수직 배선의 교차지점은 그 사이에 층간절연층만이 개재되어 있어 단락 불량에 취약하고, 이런 단락 불량은 배선간 이격거리에 영향을 받는 점에 착안하여, 데이터라인과 전원라인 및 게이트라인을 기존과 다른 층에 배치함으로써 수직 배선과 수평 배선 사이에 층간절연층 이외에 버퍼층이 개재되도록 하여 단락 불량을 방지하는 구조를 발명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interse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wires is vulnerable to short circuit defects because only the interlayer insulation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m, and that such short circuit defects are affected b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wires, By arranging the power line and gate line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existing one, a structure was invented that prevents short circuit defects by interposing a buffer layer in addition to the interlayer insulation layer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wir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게이트 리던던시 패턴 없이 수직 배선과 수평 배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락 불량을 방지하여 고개구율을 구현할 수 있는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can achieve a high aperture ratio by preventing short circuit defects that occur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wiring without a gate redundancy patter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위에 서로 교차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서브-화소를 구획하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서브-화소의 회로부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서브-화소의 발광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홀수 번째 로우(row) 서브-화소는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거울(mirror) 대칭되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가 서로 인접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ata lines and gate lines that cross each other on a substrate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in a matrix form, and circuit parts of the sub-pixels. It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disposed in and a light-emitting element disposed in the light-emitting portion of the sub-pixel, wherei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is mirror-symmetrical with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is mirror-symmetrical with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pixel and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위에 서로 교차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서브-화소를 구획하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서브-화소의 회로부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서브-화소의 발광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거울 대칭되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가 서로 인접하고, 인접하는 발광부들 사이에 하나의 픽셀 리던던시 구조가 배치되어, 리페어를 위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에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ata lines, gate lines, and sub-pixels that cross each other on a substrate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in a matrix form. It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disposed in a circuit portion and a light-emitting element disposed in a light-emitting portion of a sub-pixel, wherei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is mirror-symmetrical with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and is connected to the light-emitting portion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The light emitting units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one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light-emitting units, so that it can be commonly used by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for repair. .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개구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yield by applying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n an ultra-high resolution model, and this pixel redundancy structure can be commonly used in odd-numbered row sub-pixels and even-numbered row sub-pixels, thereby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
본 발명은 데이터라인/전원라인의 수직 배선과 게이트라인의 수평 배선을 기존과 다른 층에 배치함으로써, 수직 배선과 수평 배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소 내 게이트 리던던시 패턴을 삭제할 수 있어,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화소 설계가 용이하고, 추가적인 개구율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hort circuit defects that occur between the vertical wiring and the horizontal wiring by arranging the vertical wiring of the data line/power line and the horizontal wiring of the gate line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existing wiring. Accordingly, the gate redundancy pattern within the pixel can be deleted, making pixel design easier in ultra-high resolution models and securing additional aperture ratio.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 리페어(repair)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다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ixel included in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pair process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Figure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II'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FIG. 9 is another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II'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cases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The fact that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ncludes all cases where another layer or other element is interposed directly on or in the middle of another element.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fu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conduct them together due to a related relationshi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130),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140), 영상처리부(170) 및 타이밍 컨트롤러(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서브-화소(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화소(160)는 로우(row) 방향 및 칼럼(column) 방향으로 배열되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화소(160)는 m개의 로우와 n개의 칼럼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서브-화소(160) 중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서브-화소(160)의 그룹을 로우 서브-화소로 정의하며, 칼럼 방향으로 배열된 서브-화소(160)의 그룹을 칼럼 서브-화소로 정의한다.The
복수의 서브-화소(160)는 각각 특정 컬러의 빛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화소(160)는 적색을 구현하는 적색 서브-화소, 녹색을 구현하는 녹색 서브-화소 및 청색을 구현하는 청색 서브-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 서브-화소, 녹색 서브-화소 및 청색 서브-화소의 그룹이 하나의 화소로 지칭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표시패널(110)의 복수의 서브-화소(160)는 각각 게이트라인(GL1 내지 GLm) 및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로우 서브-화소는 제1 게이트라인(GL1)에 연결되고, 1 칼럼 서브-화소는 제1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 내지 m 로우 서브-화소는 제2 내지 제m 게이트라인(GL2 내지 GLm)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2 내지 n 칼럼 서브-화소는 제2 내지 제n 데이터라인(DL2 내지 DLn)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화소(160)는 게이트라인(GL1 내지 GLm)으로부터 전달되는 게이트 전압과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전압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영상처리부(17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신호(영상 데이터)(DATA)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출력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7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타이밍 컨트롤러(180)는 데이터 신호(DATA)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영상처리부(17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80)는, 영상처리부(170)로부터 데이터 신호(DATA), 즉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데이터 신호(DATA), 즉 출력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 및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14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클럭 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 받아, 각종 제어 신호들(DCS, GCS)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 및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140)로 출력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180)는,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140)를 제어 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 제어 신호들(GCS)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는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14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회로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회로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회로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Here, the gate start pulse may control the operation start timing of one or more gate circuits constituting the gate driving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80)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들(DCS)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회로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데이터 회로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source start pulse may control the data sampling start timing of one or more data circuits constituting the data driving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140)는, 타이밍 컨트롤러(18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게이트라인(GL1 내지 GLm)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게이트라인(GL1 내지 GLm)을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The gate driving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140)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the gate driving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140)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pe Automated Bonding; TAB) 또는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The gate driving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140)는 쉬프트 레지스터, 레벨 쉬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gate driving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는, 특정 게이트라인이 열리면, 타이밍 컨트롤러(180)로부터 수신한 출력 영상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으로 공급함으로써, 데이터라인(DL1 내지 DLn)을 구동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gate line is opened, the data driving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130)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 방식 또는 칩 온 글라스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The data driving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 기판에 본딩 되고, 타단은 표시패널(110)에 본딩 될 수 있다.The data driving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30)는, 레벨 쉬프터, 래치부 등의 다양한 회로를 포함하는 로직부와,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igital Analog Converter; DAC) 및 출력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driving
화소(160)의 상세구조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화소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가 2T(Transistor)1C(Capacitor)의 화소 회로일 경우의 구조 및 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ixel included in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a 2T (Transistor) 1C (Capacitor) pixel circuit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 하나의 서브-화소는 스위칭(switching)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보상회로(미도시) 및 발광소자(L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발광소자(LE)는 구동 트랜지스터(DT)에 의해 형성된 구동전류에 따라 발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element LE may operate to emit light according to the driving current formed by the driving transistor DT.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117)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라인(116)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가 커패시터(C)에 데이터 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The switching transistor (ST) may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data signal supplied through the
구동 트랜지스터(113)는 커패시터(112)에 저장된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여 고전위 전원라인(VDD)과 저전위 전원라인(VSS) 사이에 일정한 구동전류가 흐르게 동작할 수 있다.The driving transistor 113 may operate so that a constant driving current flows between the high-potential power line (VDD) and the low-potential power line (VSS) in response to the data voltage stored in the capacitor 112.
여기서, 보상회로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며,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상회로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다.Here, the compensation circuit is a circuit for compensating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thin film transistors and a capacitor. The composition of the compensation circuit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compensation metho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 하나의 서브-화소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 및 발광소자(LE)를 포함하는 2T1C 구조로 구성되지만, 보상회로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6T1C, 6T2C, 7T1C, 7T2C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such, i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이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 2x2의 4개의 서브-화소(P11, P12, P21, P22)의 평면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에는 이중에서 하나의 서브-화소(P21)에 대해 스위칭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 및 발광소자(LE)를 포함하는 2T1C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보상회로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6T1C, 6T2C, 7T1C, 7T2C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FIG. 3 shows the planar structure of four 2x2 sub-pixels (P11, P12, P21, and P22) in the
그리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회로부(CA)와, 발광소자(LE)를 포함하는 발광부(EA) 및 게이트라인(117m-1, 117m)과 데이터라인(116n-1, 116n)의 교차부(IA)의 일부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 스위칭 트랜지스터(ST)를 포함하는 회로부(CA)의 일부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And, FIG. 4A shows the
도 3 및 도 4a,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기판(110) 위에 게이트라인(또는, 스캔라인)(117m-1, 117m)과, 데이터라인(116n-1, 116n) 및 전원라인(또는, 전원 전압라인)(119)이 교차하여 화소영역(AA)을 구획할 수 있다. 이외에 센싱 제어라인, 레퍼런스(reference) 라인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3 and 4A and 4B, the
데이터라인(116n-1, 116n)과 전원라인(119)은 기판(110) 위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라인(117m-1, 117m)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데이터라인(116n-1, 116n) 및 전원라인(119)과 함께 하나의 서브-화소의 화소영역(AA)을 구획할 수 있다. 편의상 화소영역(AA)은 발광소자(LE)가 발광하는 발광부(EA)와 발광소자(LE)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회로로 구성된 회로부(CA)로 구분할 수 있다.The data lines 116n-1 and 116n and the
도 3에는 m-1번째 게이트라인(117m-1)과 m번째 게이트라인(117m) 및 n-1번째 데이터라인(116n-1)과 n번째 데이터라인(116n)이 전원라인(119)과 함께 2x2의 4개의 서브-화소(P11, P12, P21, P22)를 구획하는 경우를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ure 3, the m-1th gate line (117m-1), the m-th gate line (117m), the n-1th data line (116n-1), and the n-th data line (116n) are shown together with the
이중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는 발광부(EA)가 회로부(CA)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는 발광부(EA)가 회로부(CA) 위에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에 따라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는 m-1번째 게이트라인(117m-1)이 서브-화소(P11, P12)의 상측에 배치되는 반면,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는 m번째 게이트라인(117m)이 서브-화소(P21, P2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Among them,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have the light emitting portion (EA) disposed below the circuit portion (CA),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have the light emitting portion (EA) disposed below the circuit portion (CA). ) The case placed above is given as an example. Accordingly, the m-1th gate line (117m-1)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b-pixels (P11, P12), while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may have an m-th gate line (117m) disposed below the sub-pixels (P21, P22).
도 3은 n-1번째 데이터라인(116n-1)과 n번째 데이터라인(116n)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ure 3 shows an example where the n-1th data line 116n-1 and the
전원라인(119)은 하나 이상의 화소영역(AA)마다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데이터라인(116n-1, 116n) 및 전원라인(119)과 함께 데이터라인(116n-1, 116n) 및 전원라인(119)과 동일 층에 레퍼런스 라인이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 reference lin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with the
복수의 화소영역(AA)은 적색 서브-화소영역, 녹색 서브-화소영역, 청색 서브-화소영역 및 백색 서브-화소영역으로 구성되어 단위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도 3에서는 그 중에서 임의의 2x2의 4개의 서브-화소의 화소영역(AA)만이 예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화소의 화소영역(AA) 각각은 발광소자(LE)와 그 발광소자(LE)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복수의 화소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화소 구동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 및 센싱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ixel areas (AA) may be composed of a red sub-pixel area, a green sub-pixel area, a blue sub-pixel area, and a white sub-pixel area to form a unit pixel. In Figure 3, only the pixel area (AA) of four arbitrary 2x2 sub-pixels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ach of the pixel areas AA of these red, green, blue and white sub-pixels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LE and a plurality of pixel driving circuits that independently drive the light emitting elements LE. The pixel driving circuit may include a switching transistor (ST), a driving transistor (DT), a capacitor (C), and a sensing transistor (not shown).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117m-1, 117m)에 스캔 펄스(scan pulse)가 공급되면 턴-온 되어 데이터라인(116n-1, 116n)에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커패시터(C) 및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게이트전극(121)으로 공급할 수 있다.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117m-1, 117m)에 연결된 제2 게이트전극(121'), 데이터라인(116n-1, 116n)에 접속된 제2 소스전극(122'), 제6 컨택홀을 통해 제1 게이트전극(121)과 접속된 제2 드레인전극(123') 및 제2 액티브층(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witching transistor (ST) turns on when a scan pulse is supplied to the gate line (117m-1, 117m) and drives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ata line (116n-1, 116n) to the capacitor (C). It can be supplied to the
다음으로,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전원라인(119)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커패시터(C)에 충전된 구동전압에 따라 제어하여 구동전압에 비례하는 전류를 발광소자(LE)로 공급함으로써 발광소자(LE)를 발광시킨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제6 컨택홀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제2 드레인전극(123')과 접속된 제1 게이트전극(121), 전원라인(119)에 접속된 제1 소스전극(122), 제5 컨택홀을 통해 발광소자(LE)와 접속된 제1 드레인전극(123) 및 제1 액티브층(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driving transistor (DT) controls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이때, 전원라인(119)은 브리지 배선(미도시)을 통해 이웃하는 서브-화소의 제1 소스전극(122)에 접속될 수 있다. 브리지 배선은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화소로 연장될 수 있다. 이웃하는 서브-화소로 연장된 브리지 배선은 제10 컨택홀을 통해 이웃하는 서브-화소의 제1 소스전극(122)에 접속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브리지 배선의 일측은 제11 컨택홀을 통해 그 상부의 전원라인(119)에 접속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bridge wiring may be connected to the
이중 도 4a에 도시된 박막트랜지스터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이고, 제1 게이트전극(121)이 제1 액티브층(124) 위에 배치되는 탑 게이트 구조, 특히 코플라나(coplanar)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박막트랜지스터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이고, 제2 게이트전극(121')이 제2 액티브층(124') 위에 배치되는 탑 게이트 구조, 특히 코플라나(coplanar)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를 예로 들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전극이 액티브층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 게이트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도 적용 가능하다.Among them, the thin film transistor shown in FIG. 4A is a driving transistor (DT), and is an example of a thin film transistor with a top gate structure in which the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게이트전극(121)은 제1 게이트전극(1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게이트절연층(115b)을 개재하고, 제1 액티브층(124)과 중첩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제2 게이트전극(121')은 제2 게이트전극(1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게이트절연층(115b)을 개재하고, 제2 액티브층(124')과 중첩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1 액티브층(124)과 제2 액티브층(124')이 기판(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이때, 제1 액티브층(124) 하부에는 차광층(125)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액티브층(124)과 차광층(125) 사이에 버퍼층(115a)이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차광층(125)은 외부나 주변의 발광소자의 빛에 의해 제1 액티브층(124)이 영향을 받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기판(110)의 최하층에 배치될 수 있다.The
버퍼층(115a)은 차광층(125)을 덮도록 기판(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The
제1 액티브층(124) 및 제2 액티브층(124') 각각은 게이트절연층(115b) 위의 제1 게이트전극(121) 및 제2 게이트전극(121')과 중첩되게 형성되어, 제1 소스전극(122)과 제1 드레인전극(123) 사이 및 제2 소스전극(122')과 제2 드레인전극(123') 사이에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제1 액티브층(124) 및 제2 액티브층(124')은 Zn, Cd, Ga, In, Sn, Hf, Zr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oxide) 반도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a-Si),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poly-Si), 또는 유기물(organic) 반도체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도 4a에는 게이트절연층(115b)이 제1 게이트전극(121) 하부에만 한정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b에는 게이트절연층(115b)이 제2 게이트전극(121') 하부에 한정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절연층(115b)은 제1 액티브층(124)과 제2 액티브층(124')이 형성된 기판(110)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게이트절연층(115b)에는 제1 소스전극(122) 및 제1 드레인전극(123) 각각이 제1 액티브층(124)의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 각각에 접속하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절연층(115b)에는 제2 소스전극(122') 및 제2 드레인전극(123') 각각이 제2 액티브층(124')의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 각각에 접속하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Figure 4a shows an example where the
게이트절연층(115b)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제1 게이트전극(121) 및 제2 게이트전극(121')과 동일 층에 제2 방향으로 게이트라인(117m-1, 117m)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게이트전극(121)과 마찬가지로, 게이트라인(117m-1, 117m) 하부에는 게이트절연층(115b)이 한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Like the
제1 게이트전극(121)과 제2 게이트전극(121') 및 게이트라인(117m-1, 117m)은 다양한 도전물질, 일 예로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합금,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제1 게이트전극(121)과 제2 게이트전극(121') 및 게이트라인(117m-1, 117m) 위에 층간절연층(115c)이 배치될 수 있다.An interlayer insulating
층간절연층(115c)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층간절연층(115c)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화소영역(AA)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terlayer insulating
제1 액티브층(124) 및 제2 액티브층(124') 상부의 층간절연층(115c) 위에 각각 제1 소스전극(122)과 제1 드레인전극(123) 및 제2 소스전극(122')과 제2 드레인전극(1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소스전극(122)과 제2 소스전극(122') 각각은 층간절연층(115c)을 관통하는 제1 컨택홀과 제3 컨택홀을 통해 제1 액티브층(124)과 제2 액티브층(124')의 소스영역에 각각 접속될 수 있으며, 제1 드레인전극(123)과 제2 드레인전극(123') 각각은 층간절연층(115c)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과 제4 컨택홀을 통해 제1 액티브층(124)과 제2 액티브층(124')의 드레인영역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A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제2 드레인전극(123')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6 컨택홀을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게이트전극(1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second drain electrode 123' of the switching transistor (ST) may extend in one direction an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제1 소스전극(122)과 제2 소스전극(122') 및 제1 드레인전극(123)과 제2 드레인전극(123')의 동일 층에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데이터라인(116n-1, 116n)이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A data line ( 116n-1, 116n) may be arranged (see FIG.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 소스전극(122)과 제2 소스전극(122') 및 제1 드레인전극(123)과 제2 드레인전극(123')의 동일 층에 리페어 패턴(118)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페어 패턴(118)은 제1 게이트전극(121)과 제2 게이트전극 및 게이트라인(117m-1, 117m)과 동일 층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리페어 패턴(118)은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 사이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패턴(118)은 리페어를 위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도 3은 리페어 패턴(118)이 전원라인(119)에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라인(116n-1, 116n)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리페어 패턴(118)은 전원라인(119)과 데이터라인(116n-1, 116n)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Figure 3 shows an example wher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박막트랜지스터가 코플라나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태거드(staggered) 구조 등과 같은 다른 구조로 박막트랜지스터가 구현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specification, the thin film transistor is described as having a coplanar structure, but the thin film transistor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tructures such as a staggered structure.
다음으로,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보호층(115d)과 평탄화층(115e)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115d)은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영역(AA) 이외에 배치되는 게이트드라이버 및 기타 배선들을 보호하고, 평탄화층(115e)은 기판(110) 위의 단차를 완만하게 하여 기판(110) 상부를 평탄화하기 위해 형성할 수 있다.Next, a
발광부(EA)의 보호층(115d) 위에 컬러필터층(CF)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color filter layer (CF) may be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115d) of the light emitting unit (E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보호층(115d)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호층(115d)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화소영역(AA)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평탄화층(115e)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평탄화층(115e)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페닐렌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포토레지스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제1 드레인전극(123)은 보호층(115d)과 평탄화층(115e)을 관통하는 제5 컨택홀을 통해 발광소자(LE)의 애노드(126a, 126b)에 접속될 수 있다.The
이때, 편의상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의 애노드를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a)로 지칭하고,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의 애노드를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b)로 지칭하도록 한다.At this time, for convenience,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is referred to as the odd-numbered row anode (126a), and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is referred to as the even-numbered row anode (126b). Please refer to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a)와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b)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하부에 리페어 패턴(118)이 중첩, 배치되어 불량 서브-화소가 발생할 때 리페어 패턴(118)을 통해 불량 서브-화소를 리페어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dd-numbered
즉, 서브-화소가 이물, 정전기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해 휘점, 암점 등의 불량이 되었을 때, 해당 서브-화소를 정상 구동시키기 위하여 픽셀 리던던시(pixel redundancy) 구조가 필요하다. 기존의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서브-화소들의 소스 노드가 겹쳐져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 경우 임의의 서브-화소에 휘점, 암점 등의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서브-화소의 소스 노드를 커팅(cutting)하여 단선시키고, 불량 서브-화소의 상부 서브-화소의 소스 노드를 용접(welding)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불량 서브-화소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a sub-pixel becomes defective, such as a bright spot or a dark spot, due to foreign matter, static electricity, or other causes,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needed to operate the sub-pixel normally. The existing pixel redundancy structure has a form in which source nodes of vertically adjacent sub-pixels overlap. In this case, when a defect such as a bright spot or dark spot occurs in any sub-pixel, the source node of the corresponding sub-pixel is cut and disconnected, and the source node of the upper sub-pixel of the defective sub-pixel is welded ( By connecting through welding, defective sub-pixels can be normalized.
다만, 이와 같은 리페어 구조는 8K UHD(Ultra High Definition) 급의 초고해상도 모델에서는 개구율이 감소된다는 이유로 적용이 어려웠다.However, this repair structure was difficult to apply in 8K UHD (Ultra High Definition) class ultra-high resolution models because the aperture ratio was reduced.
흔히 FHD의 4배인 3840x2160(약 880만 화소)의 해상도를 4K UHD, 그보다 4배인 7680x4320(약 3,300만 화소)의 해상도를 8K UHD라 부른다. 좀 더 편하게 부르기 위해 4K UHD는 UHD, 8K UHD는 FUHD로 부르기도 한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16:9 비율이며, 17:9 비율의 4096x2196, 2.35:1 비율의 4096x1716, 4:3 비율의 4096x3072 같은 해상도도 존재한다.Commonly, a resolution of 3840x2160 (about 8.8 million pixels), which is four times that of FHD, is called 4K UHD, and a resolution of 7680x4320 (about 33 million pixels), which is four times that of FHD, is called 8K UHD. To make it more convenient, 4K UHD is also called UHD and 8K UHD is called FUHD. Of course, this is only a 16:9 ratio, and there are also resolutions such as 4096x2196 with a 17:9 ratio, 4096x1716 with a 2.35:1 ratio, and 4096x3072 with a 4:3 ratio.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고해상도 모델에서는 수율 향상을 위해서 픽셀 리던던시 구조가 필요하다는 점, 및 이웃하는 2개의 서브-화소에 대해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공용화할 수 있다면 개구율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를 거울(mirror) 대칭 설계함으로써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ultra-high resolution models,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needed to improve yield, and that if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can be shared for two neighboring sub-pixels, aperture ratio loss can be minimized. Taking this into account,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are designed to be mirror symmetrical, thereby creating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betwee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즉,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를 거울 대칭 설계하여 발광부(LE)를 인접시키고, 발광부들(LE) 사이에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추가, 설계함으로써,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개구율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are designed to be mirror symmetrical to adjoin the light emitting units (LE), and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crea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s (LE). By adding,design, the yield can be improved in ultra-high-resolution,models. This pixel redundancy structure can be commonly used i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thereby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a)와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b) 일부가 인접하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의 경계를 향해 서로 돌출한 돌출부들(126a', 126b') 및 돌출부들(126a', 126b')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정 컨택홀(150)을 통해 돌출부들(126a', 126b')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126b')와 연결된 리페어 패턴(118)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ixel redundanc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dd row sub-pixels P11 and P12 and the even row sub-pixels P11 and P12 are adjacent to the
돌출부들(126a', 126b')은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a)의 돌출부(126a')와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b)의 돌출부(12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b)의 돌출부(126b')가 리페어 패턴(118)에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a)의 돌출부(126a')가 리페어 패턴(118)에 연결될 수도 있다.The
이어서, 도 4a를 참조하면, 평탄화층(115e) 위에 발광소자(LE)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 발광소자로서 발광소자(LE)는 평탄화층(115e) 위에 형성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드레인전극(123)과 접속된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126a, 126b),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126a, 126b) 위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127) 및 유기 발광층(127) 위에 배치된 캐소드(1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4A, the light emitting element LE may be disposed on the
이때,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126a, 126b)은 평탄화층(115e) 위에 배치되어, 평탄화층(115e)에 형성된 제5 컨택홀을 통하여 제1 드레인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126a, 126b)은 유기 발광층(127)에 정공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126a, 126b)은, 예를 들어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등과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odd or even
도 4a에서는 일 예로,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126a, 126b)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드레인전극(123)과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종류, 구동 회로의 설계 방식 등에 의해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126a, 126b)이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전극(122)과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FIG. 4A , as an example, odd or even
또한, 도 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b)의 돌출부(126b')가 컨택홀(150)을 통해 리페어 패턴(118)에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a)의 돌출부(126a')가 컨택홀(150)을 통해 리페어 패턴(118)에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FIG. 3, the case where the
유기 발광층(127)은 특정 색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유기층으로서,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청색 유기 발광층 및 백색 유기 발광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127)은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a에서는 유기 발광층(127)이 서브-화소 별로 패터닝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 발광층(127)은 복수의 서브-화소에 공통으로 형성된 공통층일 수 있다.The
캐소드(128)는 유기 발광층(127)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128)는 유기 발광층(127)으로 전자를 공급할 수 있다. 캐소드(128)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및 주석 산화물(Tin Oxide; TO) 계열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 또는 이테르븀(Yb)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캐소드(128)는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이어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126a, 126b) 및 평탄화층(115e) 위에 뱅크(115f)가 배치될 수 있다. 뱅크(115f)는 유기 발광소자의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126a, 126b)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4A and 4B , a
뱅크(115f)는 화소영역(AA)에서 인접하는 서브-화소를 구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뱅크(115f)는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115f)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아크릴(acryl),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뱅크(115f)는 평탄화층(115e) 위에 발광부(E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뱅크(115f)에는 오픈 홀(H)이 형성되어, 오픈 홀(H)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리던던시 구조가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오픈 홀(H)을 통해 노출된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임의의 서브-화소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레이저 용접을 통한 리페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An open hole H is formed in the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 리페어(repair)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pair process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도 5를 참조하면, 임의의 서브-화소, 일 예로 m번째 게이트라인(117m)과 n-1번째 데이터라인(116n-1)에 해당하는 서브-화소(P21)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해당 서브-화소(P21)를 정상 구동시키기 위해 리페어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f a defect occurs in any sub-pixel, for example, the sub-pixel (P21) corresponding to the m-th gate line (117m) and the n-1-th data line (116n-1), the corresponding sub-pixel -A repair process can be performed to operate the pixel (P21) normally.
이때, 불량은 이물, 정전기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한 휘점, 암점 등의 불량을 포함할 수 있다. 휘점은 해당 서브-화소의 구동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백색으로 보이는 점이고, 암점은 해당 서브-화소의 구동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흑색으로 보이는 점을 의미한다.At this time, defects may include defects such as bright spots or dark spots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static electricity, or other causes. A bright point is a point that always appears white regardless of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pixel is driven, and a dark point means a point that always appears black regardless of whether the corresponding sub-pixel is driven.
이와 같이 임의의 서브-화소(P21)에 휘점이나 암점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불량 서브-화소(P21)의 애노드(126b)와 드레인전극(123) 사이를 커팅(도 5의 C)하여 단선시킨다. 그리고, 불량 서브-화소(P21)의 상부 서브-화소, 즉 m-1번째 게이트라인(117m-1)과 n-1번째 데이터라인(116n-1)에 해당하는 서브-화소(P11)의 애노드(126a)를 용접(도 5의 W)을 통해 하부의 리페어 패턴(118)에 연결함으로써 불량 서브-화소(P21)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불량 서브-화소(P21)는 그 상부의 서브-화소(P11)의 구동전류와 동일한 구동전류가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defects such as bright spots or dark spots occur in any sub-pixel (P21), the space betwe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개구율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yield by applying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n an ultra-high resolution model, and this pixel redundancy structure includes odd row sub-pixels (P11, P12) and even row sub-pixels (P21). , P22) can be used in common, so the aperture ratio can be improved.
이렇게 구성된 유기 발광소자 상부에는 수분에 취약한 유기 발광소자를 수분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봉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부는 무기층과 유기층이 교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 encapsulation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nfigured in this way to protec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ich is vulnerable to moisture, from being exposed to moisture. For example, the encapsulation par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inorganic layers and organic layers are alternately stack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의 경우, 게이트라인(117m-1, 117m)의 수평 배선과 데이터라인(116n-1, 116n)의 수직 배선 사이에 층간절연층(115c)만이 개재되어 있어 짧은 이격거리로 인해 정전기성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수평 배선과 수직 배선의 배치를 개선함으로써 상술한 정전기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Figure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to 9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이때,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200)에 있어, 2x2의 4개의 서브-화소(P11, P12, P21, P22)의 평면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에는 이중에서 하나의 서브-화소(P21)에 대해 스위칭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 및 발광소자(LE)를 포함하는 2T1C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보상회로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6T1C, 6T2C, 7T1C, 7T2C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FIG. 6 shows the planar structure of four 2x2 sub-pixels (P11, P12, P21, and P22) in the
또한,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200)에 있어, 일 예로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회로부(CA)와, 발광소자(LE)를 포함하는 발광부(EA) 및 게이트라인(217m-1, 217m)과 데이터라인(216n-1, 216n)의 교차부(IA)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200)에 있어, 스위칭 트랜지스터(ST)를 포함하는 회로부(CA)의 일부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200)에 있어,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200)에 있어,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다른 도면이다.In addition, FIG. 7A shows the
도 6 및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200)는 기판(210) 위에 게이트라인(또는, 스캔라인)(217m-1, 217m)과, 데이터라인(216n-1, 216n) 및 전원라인(또는, 전원 전압라인)(219)이 교차하여 화소영역(AA)을 구획할 수 있다. 이외에 센싱 제어라인, 레퍼런스(reference) 라인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A and 7B, the
데이터라인(216n-1, 216n)과 전원라인(219)은 기판(210) 위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라인(217m-1, 217m)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데이터라인(216n-1, 216n) 및 전원라인(219)과 함께 하나의 서브-화소의 화소영역(AA)을 구획할 수 있다. 편의상 화소영역(AA)은 발광소자(LE)가 발광하는 발광부(EA)와 발광소자(LE)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회로로 구성된 회로부(CA)로 구분할 수 있다.The data lines 216n-1 and 216n and the
도 6에는 m-1번째 게이트라인(217m-1)과 m번째 게이트라인(217m) 및 n-1번째 데이터라인(216n-1)과 n번째 데이터라인(216n)이 전원라인(219)과 함께 2x2의 4개의 서브-화소(P11, P12, P21, P22)를 구획하는 경우를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ure 6, the m-1th gate line (217m-1), the m-th gate line (217m), the n-1th data line (216n-1), and the n-th data line (216n) are shown together with the
이중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는 발광부(EA)가 회로부(CA)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는 발광부(EA)가 회로부(CA) 위에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에 따라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는 m-1번째 게이트라인(217m-1)이 서브-화소(P11, P12)의 상측에 배치되는 반면,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는 m번째 게이트라인(217m)이 서브-화소(P21, P2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Among them,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have the light emitting portion (EA) disposed below the circuit portion (CA),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have the light emitting portion (EA) disposed below the circuit portion (CA). ) The case placed above is given as an example. Accordingly, the m-1th gate line (217m-1)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b-pixels (P11, P12), while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may have an m-th gate line (217m) disposed below the sub-pixels (P21, P22).
도 6은 n-1번째 데이터라인(216n-1)과 n번째 데이터라인(216n)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ure 6 shows an example where the n-1th data line 216n-1 and the
전원라인(219)은 하나 이상의 화소영역(AA)마다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데이터라인(216n-1, 216n) 및 전원라인(219)과 함께 데이터라인(216n-1, 216n) 및 전원라인(219)과 동일 층에 레퍼런스 라인이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 reference lin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with the
복수의 화소영역(AA)은 적색 서브-화소영역, 녹색 서브-화소영역, 청색 서브-화소영역 및 백색 서브-화소영역으로 구성되어 단위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도 6에서는 그 중에서 임의의 2x2의 4개의 서브-화소의 화소영역(AA)만이 예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화소의 화소영역(AA) 각각은 발광소자(LE)와 그 발광소자(LE)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복수의 화소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화소 구동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 및 센싱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ixel areas (AA) may be composed of a red sub-pixel area, a green sub-pixel area, a blue sub-pixel area, and a white sub-pixel area to form a unit pixel. In Figure 6, only the pixel area (AA) of four arbitrary 2x2 sub-pixels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ach of the pixel areas AA of these red, green, blue and white sub-pixels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LE and a plurality of pixel driving circuits that independently drive the light emitting elements LE. The pixel driving circuit may include a switching transistor (ST), a driving transistor (DT), a capacitor (C), and a sensing transistor (not shown).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217m-1, 217m)에 스캔 펄스(scan pulse)가 공급되면 턴-온 되어 데이터라인(216n-1, 216n)에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커패시터(C) 및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게이트전극(2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217m-1, 217m)에 연결된 제2 게이트전극(221'), 데이터라인(216n-1, 216n)에 접속된 제2 소스전극(222'), 제6 컨택홀을 통해 제1 게이트전극(221)과 접속된 제2 드레인전극(223') 및 제2 액티브층(2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witching transistor (ST) turns on when a scan pulse is supplied to the gate line (217m-1, 217m) and drives the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ata line (216n-1, 216n) to the capacitor (C). It can be supplied to the
다음으로,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전원라인(219)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커패시터(C)에 충전된 구동전압에 따라 제어하여 구동전압에 비례하는 전류를 발광소자(LE)로 공급함으로써 발광소자(LE)를 발광시킨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제6 컨택홀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제2 드레인전극(223')과 접속된 제1 게이트전극(221), 전원라인(219)에 접속된 제1 소스전극(222), 제5 컨택홀을 통해 발광소자(LE)와 접속된 제1 드레인전극(223) 및 제1 액티브층(2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driving transistor (DT) controls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이때, 전원라인(219)은 브리지 배선(미도시)을 통해 이웃하는 서브-화소의 제1 소스전극(222)에 접속될 수 있다. 브리지 배선은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웃하는 서브-화소로 연장될 수 있다. 이웃하는 서브-화소로 연장된 브리지 배선은 제10 컨택홀을 통해 이웃하는 서브-화소의 제1 소스전극(222)에 접속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브리지 배선의 일측은 제11 컨택홀을 통해 그 상부의 전원라인(219)에 접속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bridge wiring can be connected to the
이중 도 7a에 도시된 박막트랜지스터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이고, 제1 게이트전극(221)이 제1 액티브층(224) 위에 배치되는 탑 게이트 구조, 특히 코플라나(coplanar)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박막트랜지스터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이고, 제2 게이트전극(221')이 제2 액티브층(224') 위에 배치되는 탑 게이트 구조, 특히 코플라나(coplanar)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를 예로 들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전극이 액티브층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 게이트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도 적용 가능하다.Among them, the thin film transistor shown in FIG. 7A is a driving transistor (DT), and is an example of a thin film transistor with a top gate structure in which the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게이트전극(221)은 제1 게이트전극(2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게이트절연층(215b)을 개재하고, 제1 액티브층(224)과 중첩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제2 게이트전극(221')은 제2 게이트전극(2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게이트절연층(215b)을 개재하고, 제2 액티브층(224')과 중첩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1 액티브층(224)과 제2 액티브층(224')이 기판(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이때, 제1 액티브층(224) 하부에는 차광층(225)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액티브층(224)과 차광층(225) 사이에 버퍼층(215a)이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차광층(225)은 외부나 주변의 발광소자의 빛에 의해 제1 액티브층(224)이 영향을 받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기판(210)의 최하층에 배치될 수 있다.The
차광층(225)과 동일 층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라인(216n-1, 216n)과 전원라인(219)이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라인(216n-1, 216n)과 전원라인(219)은 차광층(225)과 함께 기판(210) 최하층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lines 216n-1 and 216n and the
이는 데이터라인(216n-1, 216n)과 전원라인(219)의 수직 배선을 기존과는 다른 층에 배치함으로써 데이터라인(216n-1, 216n)과 전원라인(219)의 수직 배선과 게이트라인(217m-1, 217m)의 수평 배선 사이에 층간절연층(215c)의 한 층이 아닌 적어도 2층의 절연층, 일 예로 버퍼층(215a)과 층간절연층(215c)이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단락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y placing the vertical wiring of the data lines (216n-1, 216n) and the
버퍼층(215a)은 차광층(225), 전원라인(219) 및 데이터라인(216n-1, 216n)을 덮도록 기판(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The
제1 액티브층(224) 및 제2 액티브층(224') 각각은 게이트절연층(215b) 위의 제1 게이트전극(221) 및 제2 게이트전극과(221') 중첩되게 형성되어, 제1 소스전극(222)과 제1 드레인전극(223) 사이 및 제2 소스전극(222')과 제2 드레인전극(223') 사이에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제1 액티브층(224) 및 제2 액티브층(224')은 Zn, Cd, Ga, In, Sn, Hf, Zr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oxide) 반도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a-Si),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poly-Si), 또는 유기물(organic) 반도체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도 7a에는 게이트절연층(215b)이 제1 게이트전극(221) 하부에만 한정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7b에는 게이트절연층(215b)이 제2 게이트전극(221') 하부에 한정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절연층(215b)은 제1 액티브층(224)과 제2 액티브층(224')이 형성된 기판(210)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게이트절연층(215b)에는 제1 소스전극(222) 및 제1 드레인전극(223) 각각이 제1 액티브층(224)의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 각각에 접속하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절연층(215b)에는 제2 소스전극(222') 및 제2 드레인전극(223') 각각이 제2 액티브층(224')의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 각각에 접속하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Figure 7a shows an example where the
게이트절연층(215b)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제1 게이트전극(221) 및 제2 게이트전극(221')은 다양한 도전물질, 일 예로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합금,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제1 게이트전극(221) 및 제2 게이트전극(221') 위에 층간절연층(215c)이 배치될 수 있다.An interlayer insulating
층간절연층(215c)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층간절연층(215c)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10)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화소영역(AA)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terlayer insulating
제1 액티브층(224) 및 제2 액티브층(224') 상부의 층간절연층(215c) 위에 각각 제1 소스전극(222)과 제1 드레인전극(223) 및 제2 소스전극(222')과 제2 드레인전극(2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소스전극(222)과 제2 소스전극(222') 각각은 층간절연층(215c)을 관통하는 제1 컨택홀과 제3 컨택홀을 통해 제1 액티브층(224)과 제2 액티브층(224')의 소스영역에 각각 접속될 수 있으며, 제1 드레인전극(223)과 제2 드레인전극(223') 각각은 층간절연층(215c)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과 제4 컨택홀을 통해 제1 액티브층(224)과 제2 액티브층(224')의 드레인영역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A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제2 드레인전극(223')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6 컨택홀을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게이트전극(2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second drain electrode 223' of the switching transistor (ST) may extend in one direction an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제1 소스전극(222)과 제2 소스전극(222') 및 제1 드레인전극(223)과 제2 드레인전극(223')의 동일 층에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게이트라인(217m-1, 217m)이 배치될 수 있다(도 7 참조).A gate line ( 217m-1, 217m) can be deployed (see Figure 7).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200)는 데이터라인(216n-1, 216n)과 전원라인(219)의 수직 배선이 기판(210) 위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게이트라인(217m-1, 217m)의 수평 배선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 배선과 함께 화소영역(AA)을 구획하게 된다.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200)는 데이터라인(216n-1, 216n)과 전원라인(219)의 수직 배선을 최하층의 차광층(225)과 동일 층에 배치하며 게이트라인(217m-1, 217m)의 수평 배선을 제1 소스전극(222)/제1 드레인전극(223)과 동일 층에 배치함으로써, 수직 배선과 수평 배선 사이에 기존의 층간절연층(215c) 한 층 대신에 적어도 층간절연층(215c)과 버퍼층(215a)의 2층의 절연층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직 배선과 수평 배선의 교차지점에서 발생하는 단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th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수평 배선과 수직 배선의 교차지점은 그 사이에 층간절연층(215c)만이 개재되어 있어 단락 불량에 취약하고, 이런 단락 불량은 배선간 이격거리에 영향을 받는 점에 착안하여, 데이터라인(216n-1, 216n)과 전원라인(219) 및 게이트라인(217m-1, 217m)을 이전과는 다른 층에 배치함으로써 수평 배선과 수직 배선 사이에 층간절연층(215c)과 버퍼층(215a)의 2층의 절연층이 개재되도록 구성하여 단락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res is vulnerable to short circuit defects because only the interlayer insulating
이에 따라 서브-화소 내 게이트 리던던시 패턴을 삭제할 수 있어, 고해상도 모델에서 화소 설계가 용이하고 수율이 향상되며, 추가적인 개구율 확보도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gate redundancy pattern within the sub-pixel can be deleted, making pixel design easier in high-resolution models, improving yield, and securing additional aperture rati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제1 소스전극(222)과 제2 소스전극(222') 및 제1 드레인전극(223)과 제2 드레인전극(223')의 동일 층에 리페어 패턴(218)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페어 패턴(218)은 제1 게이트전극(221)과 제2 게이트전극(221') 및 게이트라인(217m-1, 217m)과 동일 층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air pattern is formed on the same layer of the
리페어 패턴(218)은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 사이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패턴(218)은 리페어를 위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도 6은 리페어 패턴(218)이 전원라인(219)에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라인(216n-1, 216n)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리페어 패턴(218)은 전원라인(219)과 데이터라인(216n-1, 216n)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Figure 6 shows an example wher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박막트랜지스터가 코플라나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태거드(staggered) 구조 등과 같은 다른 구조로 박막트랜지스터가 구현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specification, the thin film transistor is described as having a coplanar structure, but the thin film transistor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tructures such as a staggered structure.
다음으로,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보호층(215d)과 평탄화층(215e)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215d)은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영역(AA) 이외에 배치되는 게이트드라이버 및 기타 배선들을 보호하고, 평탄화층(215e)은 기판(210) 위의 단차를 완만하게 하여 기판(210) 상부를 평탄화하기 위해 형성할 수 있다.Next, a
발광부(EA)의 보호층(215d) 위에 컬러필터층(CF)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color filter layer CF may be disposed on the
보호층(215d)은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x)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호층(215d)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10)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화소영역(AA)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평탄화층(215e)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평탄화층(215e)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페닐렌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포토레지스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화층(215e)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필터층(CF)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필터층(CF)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도 8에서와 같이 평탄화층(215e)이 컬러필터층(CF)을 덮도록 배치될 경우, 용접 포인트(welding point)의 마진(L1)과 오픈 홀(H)의 면적이 줄어드는 반면에, 도 9에서와 같이 평탄화층(215e)이 컬러필터층(CF)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배치될 경우, 용접 포인트의 마진(L2)과 오픈 홀(H)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예로, 오픈 홀(H)의 면적을 크게 하여 평탄화층(215e)이 컬러필터층(CF)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When the
제1 드레인전극(223)은 보호층(215d)과 평탄화층(215e)을 관통하는 제5 컨택홀을 통해 발광소자(LE)의 애노드(226a, 226b)에 접속될 수 있다.The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편의상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의 애노드를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a)로 지칭하고,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의 애노드를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b)로 지칭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for convenience,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is referred to as the odd-numbered
도 6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a)와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b)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하부에 리페어 패턴(218)이 중첩, 배치되어 불량 서브-화소가 발생할 때 리페어 패턴(218)을 통해 불량 서브-화소를 리페어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S. 6, 8, and 9,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dd-numbe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초고해상도 모델에서는 수율 향상을 위해서 픽셀 리던던시 구조가 필요하다는 점, 및 이웃하는 2개의 서브-화소에 대해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공용화할 수 있다면 개구율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를 거울(mirror) 대칭 설계함으로써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ultra-high resolution models,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required to improve yield, and if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can be shared for two neighboring sub-pixels, aperture ratio loss can be avoided. Considering that this can be minimized,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are designed to be mirror symmetrical, thereby creating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mmonly used in (P11, P12) and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즉,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를 거울 대칭 설계하여 발광부(LE)를 인접시키고, 발광부들(LE) 사이에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추가, 설계함으로써,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개구율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are designed to be mirror symmetrical to adjoin the light emitting units (LE), and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crea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s (LE). By adding,design, the yield can be improved in ultra-high-resolution,models. This pixel redundancy structure can be commonly used i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P11, P12)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P21, P22), thereby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a)와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b) 일부가 인접하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의 경계를 향해 서로 돌출한 돌출부들(226a', 226b') 및 돌출부들(226a', 226b')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정 컨택홀(250)을 통해 돌출부들(226a', 226b')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226b')와 연결된 리페어 패턴(218)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ixel redundanc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돌출부들(226a', 226b')은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a)의 돌출부(226a')와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b)의 돌출부(22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b)의 돌출부(226b')가 리페어 패턴(218)에 연결(또는, 접속)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a)의 돌출부(126a')가 리페어 패턴(218)에 연결될 수도 있다.The
이어서, 도 7a 및 도 7b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평탄화층(215e) 위에 발광소자(LE)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 발광소자로서 발광소자(LE)는 평탄화층(215e) 위에 형성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드레인전극(223)과 접속된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226a, 226b),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226a, 226b) 위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227) 및 유기 발광층(227) 위에 배치된 캐소드(2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7A and 7B to 9 , the light emitting element LE may be disposed on the
이때,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226a, 226b)은 평탄화층(215e) 위에 배치되어, 평탄화층(215e)에 형성된 제5 컨택홀을 통하여 제1 드레인전극(2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226a, 226b)은 유기 발광층(227)에 정공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226a, 226b)은, 예를 들어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등과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odd or even
도 7a에서는 일 예로,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226a, 226b)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드레인전극(223)과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종류, 구동 회로의 설계 방식 등에 의해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226a, 226b)이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소스전극(222)과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FIG. 7A , as an example, odd or even
또한, 도 6과 도 8 및 도 9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126b)의 돌출부(126b')가 컨택홀(150)을 통해 리페어 패턴(118)에 연결된 경우를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수 번째 로우 애노드(226a)의 돌출부(226a')가 컨택홀(250)을 통해 리페어 패턴(218)에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FIGS. 6, 8, and 9, the case where the
유기 발광층(227)은 특정 색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유기층으로서,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청색 유기 발광층 및 백색 유기 발광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227)은 정공 수송층, 정공 주입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a에서는 유기 발광층(227)이 서브-화소 별로 패터닝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 발광층(227)은 복수의 서브-화소에 공통으로 형성된 공통층일 수 있다.The
캐소드(228)는 유기 발광층(227)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228)는 유기 발광층(227)으로 전자를 공급할 수 있다. 캐소드(228)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및 주석 산화물(Tin Oxide; TO) 계열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 또는 이테르븀(Yb)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캐소드(228)는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이어서,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면,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226a, 226b) 및 평탄화층(215e) 위에 뱅크(215f)가 배치될 수 있다. 뱅크(215f)는 유기 발광소자의 홀수나 짝수 번째 로우 애노드들(226a, 226b)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7A and 7B , a
뱅크(215f)는 화소영역(AA)에서 인접하는 서브-화소(P11, P12, P21, P22)를 구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뱅크(215f)는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215f)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아크릴(acryl),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뱅크(215f)는 평탄화층(215e) 위에 발광부(E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뱅크(215f)에는 오픈 홀(H)이 형성되어, 오픈 홀(H)을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리던던시 구조가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오픈 홀(H)을 통해 노출된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임의의 서브-화소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레이저 용접을 통한 리페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An open hole H is formed in the
즉, 임의의 서브-화소, 일 예로 m번째 게이트라인(217m)과 n-1번째 데이터라인(216n-1)에 해당하는 서브-화소(P21)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해당 서브-화소(P21)를 정상 구동시키기 위해 리페어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That is, if a defect occurs in any sub-pixel, for example, the sub-pixel (P21) corresponding to the m-th gate line (217m) and the n-1-th data line (216n-1), the corresponding sub-pixel (P21) ) can proceed with the repair process to operate normally.
임의의 서브-화소(P21)에 휘점이나 암점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불량 서브-화소(P21)의 애노드(226b)와 드레인전극(223) 사이를 커팅하여 단선시킨다. 그리고, 불량 서브-화소(P21)의 상부 서브-화소, 즉 m-1번째 게이트라인(217m-1)과 n-1번째 데이터라인(216n-1)에 해당하는 서브-화소(P11)의 애노드(226a)를 용접을 통해 하부의 리페어 패턴(218)에 연결함으로써 불량 서브-화소(P21)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불량 서브-화소(P21)는 그 상부의 서브-화소(P11)의 구동전류와 동일한 구동전류가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다.If a defect such as a bright spot or a dark spot occurs in any sub-pixel (P21), the gap betwe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고해상도 모델에서 픽셀 리던던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11, P12)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P21, P22)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개구율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yield by applying a pixel redundancy structure in an ultra-high resolution model, and this pixel redundancy structure includes odd row sub-pixels (P11, P12) and even row sub-pixels (P21). , P22) can be used in common, so the aperture ratio can be improved.
이렇게 구성된 유기 발광소자 상부에는 수분에 취약한 유기 발광소자를 수분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봉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부는 무기층과 유기층이 교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 encapsulation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nfigured in this way to protec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ich is vulnerable to moisture, from being exposed to moisture. For example, the encapsulation par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inorganic layers and organic layers are alternately stack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위에 서로 교차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서브-화소를 구획하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서브-화소의 회로부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서브-화소의 발광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홀수 번째 로우(row) 서브-화소는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거울(mirror) 대칭되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가 서로 인접할 수 있다.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ata lines and gate lines that cross each other on a substrate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in a matrix form, thin film transistors and sub-pixels disposed in the circuit part of the sub-pixels. It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 the light emitting part of, and the odd row sub-pixel is mirror symmetrical with the even row sub-pixel, so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odd row sub-pixel and the even row sub-pixel are mirror symmetrical. -The light emitting parts of the pixels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발광소자는 애노드를 포함하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n anode, and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발광부가 회로부 아래에 배치되고,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발광부가 회로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may be disposed below the circuit portion,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may be disposed above the circui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게이트라인이 해당 서브-화소의 상측에 배치되는 반면,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게이트라인이 해당 서브-화소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may have its gate line disposed above the sub-pixel, while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may have its gate line disposed below the sub-pixel. there i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는 리페어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pair pattern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source/drain electrod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페어 패턴은,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 사이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pattern may be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는, 그 일부가 인접하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경계를 향해 각각 돌출한 돌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have a portion thereof directed toward the border of the adjacent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Each may further include protruding protrus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돌출부들의 하부에 리페어 패턴이 중첩,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pair patterns may be overlapped and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s of the protrus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페어 패턴은 소정 컨택홀을 통해 돌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와 접속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pattern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rotrusions through a predetermined contact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페어 패턴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돌출부들 중 다른 하나의 돌출부에 접속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pattern can be connected to another one of the protrusions through laser we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라인은 기판 위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게이트라인은, 데이터라인 상부에 적어도 2층의 절연층을 개재하여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line i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substrate, and the gate line i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with at least two layers of insulating layers on top of the data line. You ca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차광층을 더 포함하며, 데이터라인은 차광층과 동일 층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light blocking layer disposed below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data line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light blocking laye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위에 서로 교차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서브-화소를 구획하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서브-화소의 회로부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서브-화소의 발광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거울 대칭되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가 서로 인접하고, 인접하는 발광부들 사이에 하나의 픽셀 리던던시 구조가 배치되어, 리페어를 위해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에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ata lines and gate lines that cross each other on a substrate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in a matrix form, a thin film transistor disposed in the circuit section of the sub-pixels, and It includes a light-emitting element disposed in a light-emitting portion of a sub-pixel, and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is mirror-symmetrical with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so that the light-emitting portion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are mirror-symmetrical. The light emitting unit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one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light emitting units, so that it can be commonly used i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s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s for repai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발광소자는 애노드를 포함하며,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일부가 인접하는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경계를 향해 서로 돌출한 돌출부들, 및 돌출부들의 하부에 배치된 리페어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n anode, and the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such that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a part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are adjacent to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protrusions that protrude from each other toward the boundary of the row sub-pixel, and a repair pattern disposed below the protrus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층과, 발광부의 보호층 위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 및 컬러필터층 위에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source/drain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 color filter layer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planarization layer disposed on the color filter layer. You ca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페어 패턴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pattern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source/drain electrod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보호층을 관통하여 리페어 패턴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 및 평탄화층과 컬러필터층을 관통하여 리페어 패턴 상부의 보호층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오픈 홀을 더 포함하며, 돌출부들은, 오픈 홀을 통해 리페어 패턴 상부의 보호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s a contact hole that penetrates the protective layer and exposes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repair pattern, and a contact hole that penetrates the flattening layer and the color filter layer to expose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on the repair pattern. It further includes an open hole, and the protrusions can be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on the upper part of the repair pattern through the open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페어 패턴은, 컨택홀을 통해 돌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와 접속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pattern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rotrusions through a contact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페어 패턴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돌출부들 중 다른 하나의 돌출부에 접속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air pattern may be connected to another one of the protrusions through laser welding.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 전계발광 표시장치
115a: 버퍼층
115b: 게이트절연층
115c: 층간절연층
115d: 보호층
115e: 평탄화층
115f: 뱅크
116n-1,116n,216n-1,216n: 데이터라인
117m-1,117m,217m-1,217m: 게이트라인
119,219: 전원라인
125,225: 차광층
126a,126b,216a,216b: 애노드
126a',126b',216a',216b': 돌출부
127,227: 유기 발광층
128,228: 캐소드
150,250: 리페어 패턴
H: 오픈 홀100,200: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115a: buffer layer
115b: Gate insulation layer
115c: Interlayer insulation layer
115d: protective layer
115e: Planarization layer
115f: bank
116n-1,116n,216n-1,216n: data line
117m-1,117m,217m-1,217m: Gateline
119,219: Power line
125,225: Light blocking layer
126a, 126b, 216a, 216b: Anode
126a', 126b', 216a', 216b': protrusions
127,227: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8,228: cathode
150,250: Repair pattern
H: open hole
Claims (19)
상기 서브-화소의 회로부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서브-화소의 발광부에 배치되며, 애노드를 포함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홀수 번째 로우(row) 서브-화소는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상기 회로부와 상기 발광부의 배치가 대칭되어,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와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가 서로 인접하며,
홀수 번째 데이터라인과 짝수 번째 데이터라인은 인접하여 배치되고, 홀수 번째 칼럼(column)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칼럼 서브-화소는 상기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홀수 번째 데이터라인과 상기 짝수 번째 데이터라인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되어, 상기 홀수 번째 칼럼 서브-화소의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홀수 번째 데이터라인에 접속하고, 상기 짝수 번째 칼럼 서브-화소의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짝수 번째 데이터라인에 접속하며,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및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각각의 양측은, 인접하는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경계를 향해 각각 돌출한 돌출부들을 갖고,
상기 돌출부들을 포함한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및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는,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상하 대칭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Data lines, power lines, and gate lines that cross each other on the substrate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in a matrix form;
a thin film transistor disposed in a circuit part of the sub-pixel; and
It is disposed in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sub-pixel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ing an anode,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are symmetrical in arrangement of the circuit part and the light emitting part, so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djacent,
The odd-numbered data line and the even-numbered data line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dd-numbered column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column sub-pixel are positioned between the odd-numbered data line and the even-numbered data line arranged adjacently. is symmetrical left and right,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odd-numbered column sub-pixel is connected to the odd-numbered data line,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even-numbered column sub-pixel is connected to the even-numbered data line,
Both sides of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respectively have protrusions that protrude toward the boundary of the adjacent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Have,
The anode of the odd row sub-pixel and the anode of the even row sub-pixel including the protrusions are vertically symmetrical across a boundary between the odd row sub-pixel and the even row sub-pixel,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와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wherein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회로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회로부 위에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paragraph 2,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has the light emitting portion disposed below the circuit portion,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has the light emitting portion disposed above the circuit portion.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상기 게이트라인이 해당 서브-화소의 상측에 배치되는 반면,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상기 게이트라인이 해당 서브-화소의 하측에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paragraph 3,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has the gate line disposed above the sub-pixel, while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has the gate line disposed below the sub-pixel.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는 리페어 패턴을 더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paragraph 2,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pair pattern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source/drain electrod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상기 리페어 패턴은,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 사이의 경계에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5,
The repair pattern is disposed at a boundary between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의 상기 양측의 돌출부들과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의 상기 양측의 돌출부들은, 서로 대향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5,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face each other.
상기 양측의 돌출부들 중의 일측의 돌출부들의 하부에 상기 리페어 패턴이 중첩,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In clause 7,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 which the repair pattern is overlapped and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one of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상기 리페어 패턴은 소정 컨택홀을 통해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또는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의 상기 일측의 돌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의 돌출부와 접속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8,
The repair pattern is connected to a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or the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through a predetermined contact hole.
상기 리페어 패턴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또는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의 상기 일측의 돌출부들 중 다른 하나의 일측의 돌출부에 접속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9,
The repair pattern is connected to a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other of the protrusions on one side of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or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through laser welding.
상기 데이터라인은 상기 기판 위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라인은, 상기 데이터라인 상부에 적어도 2층의 절연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data line i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substrate,
The gate line i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with at least two insulating layers on top of the data line.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차광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라인은 상기 차광층과 동일 층에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11,
It further includes a light blocking layer disposed below the thin film transistor,
The data line is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light blocking layer.
상기 서브-화소의 회로부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서브-화소의 발광부에 배치되며, 애노드를 포함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는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상기 회로부와 상기 발광부의 배치가 대칭되어,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와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발광부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인접하는 발광부들 사이에 하나의 픽셀 리던던시 구조가 배치되어, 리페어를 위해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며,
홀수 번째 데이터라인과 짝수 번째 데이터라인은 인접하여 배치되고, 홀수 번째 칼럼 서브-화소와 짝수 번째 칼럼 서브-화소는 상기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홀수 번째 데이터라인과 상기 짝수 번째 데이터라인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어, 상기 홀수 번째 칼럼 서브-화소의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홀수 번째 데이터라인에 접속하고, 상기 짝수 번째 칼럼 서브-화소의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짝수 번째 데이터라인에 접속하며,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및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각각의 양측은, 인접하는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경계를 향해 각각 돌출한 돌출부들을 갖고,
상기 돌출부들을 포함한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및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는,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와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상하 대칭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Data lines, power lines, and gate lines that cross each other on the substrate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in a matrix form;
a thin film transistor disposed in the circuit part of the sub-pixel; and
It is disposed in a light emitting part of the sub-pixel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ing an anode,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is symmetrical to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in that the arrangement of the circuit portion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symmetrical, so that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are adjacent to each other,
One pixel redundancy structure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light emitting units and is commonly used by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for repair,
The odd-numbered data line and the even-numbered data line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dd-numbered column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column sub-pixel are symmetrical with the odd-numbered data line and the even-numbered data lin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odd-numbered column sub-pixel is connected to the odd-numbered data line,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even-numbered column sub-pixel is connected to the even-numbered data line,
Both sides of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respectively have protrusions that protrude toward the boundary of the adjacent odd-numbered row sub-pixel and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Have,
The anode of the odd row sub-pixel and the anode of the even row sub-pixel including the protrusions are vertically symmetrical across a boundary between the odd row sub-pixel and the even row sub-pixel,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상기 픽셀 리던던시 구조는, 상기 양측의 돌출부들 중의 일측의 돌출부들, 및 상기 일측의 돌출부들의 하부에 배치된 리페어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13,
The pixel redundancy structure includes protrusions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and a repair pattern disposed under the protrusions on the one side.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층;
상기 발광부의 보호층 위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 및
상기 컬러필터층 위에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14,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op of the source/drain electrod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 color filter layer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lanarization layer disposed on the color filter layer.
상기 리페어 패턴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15,
The repair pattern is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source/drain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상기 보호층을 관통하여 상기 리페어 패턴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 및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컬러필터층을 관통하여 상기 리페어 패턴 상부의 상기 보호층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오픈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측의 돌출부들은, 상기 오픈 홀을 통해 상기 리페어 패턴 상부의 상기 보호층 위에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and 16,
a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protective layer to expose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repair pattern; and
It further includes an open hole penetrating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color filter layer to expose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on the repair pattern,
The protrusions on one side are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on the repair pattern through the open hole.
상기 리페어 패턴은,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또는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의 상기 일측의 돌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의 돌출부와 접속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17,
The repair pattern is connected to a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or the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through the contact hole.
상기 리페어 패턴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상기 홀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 또는 상기 짝수 번째 로우 서브-화소의 애노드의 상기 일측의 돌출부들 중 다른 하나의 일측의 돌출부에 접속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use 18,
The repair pattern is connected to a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other of the protrusions on one side of the anode of the odd-numbered row sub-pixel or the anode of the even-numbered row sub-pixel through laser we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395A KR102660491B1 (en) | 2017-12-15 | 2017-12-15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395A KR102660491B1 (en) | 2017-12-15 | 2017-12-15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2217A KR20190072217A (en) | 2019-06-25 |
KR102660491B1 true KR102660491B1 (en) | 2024-04-23 |
Family
ID=6706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3395A Active KR102660491B1 (en) | 2017-12-15 | 2017-12-15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04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0076604A (en) * | 2021-04-29 | 2025-05-30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CN113690277B (en) * | 2021-07-30 | 2024-04-05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Display panel, data line open circuit repai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
CN113823641B (en) * | 2021-09-14 | 2024-03-29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KR20230083149A (en) * | 2021-12-02 | 2023-06-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22892A (en) * | 2001-07-06 | 2003-01-24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6415A (en) * | 1991-09-06 | 1993-03-19 | Toshiba Corp |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102067228B1 (en) * | 2013-12-03 | 2020-01-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ing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thereof |
KR102123979B1 (en) * | 2013-12-09 | 2020-06-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repair structure |
KR102132181B1 (en) * | 2013-12-31 | 2020-07-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241442B1 (en) * | 2014-09-05 | 2021-04-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102443405B1 (en) * | 2015-08-31 | 2022-09-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102485786B1 (en) * | 2015-12-31 | 2023-01-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2017
- 2017-12-15 KR KR1020170173395A patent/KR1026604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22892A (en) * | 2001-07-06 | 2003-01-24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2217A (en) | 2019-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56082B2 (en)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44913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660491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KR20110115694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12272699B2 (en) | Contact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13990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20210173244A1 (en) | Display device | |
US10861927B2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contact structure | |
KR102380330B1 (en) | Large Area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A Repair Structure | |
CN110571238B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12779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KR102063273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KR102059950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JP4792748B2 (en) | Display panel | |
US11929027B2 (en) | Display device | |
KR102019146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KR102370677B1 (en) | Display Device | |
KR20230101011A (en) | Display device | |
KR20230103581A (en) | Display device | |
KR20240119774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240097389A (en) | Display apparatus | |
KR20240104456A (en) | Self fault recovery lay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reof | |
KR20220000115A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JP4893753B2 (en) | Display panel | |
KR20220096883A (en)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