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6655B1 -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655B1
KR102656655B1 KR1020180095624A KR20180095624A KR102656655B1 KR 102656655 B1 KR102656655 B1 KR 102656655B1 KR 1020180095624 A KR1020180095624 A KR 1020180095624A KR 20180095624 A KR20180095624 A KR 20180095624A KR 102656655 B1 KR102656655 B1 KR 10265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istance
antenna
exter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202A (ko
Inventor
안정호
오세기
김철귀
손용준
유준
주재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655B1/ko
Priority to CN201980044650.7A priority patent/CN112368748B/zh
Priority to US16/527,375 priority patent/US11100734B2/en
Priority to PCT/KR2019/009576 priority patent/WO2020036347A1/en
Priority to EP19849256.3A priority patent/EP3797405A4/en
Publication of KR2020002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6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 G07C2009/003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whereby the wake-up circuit is situated in the keyless data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제어하는 통신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1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2 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거리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OPERATION BASED ON A MOVING DIRECTION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면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연동 가능한 주변 장치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더 나아가, IoT(Internet on Thing)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 대응하여, IoT 기술이 다양한 주변 장치에 적용되면서, IoT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IoT 기술은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존재하는 문의 개폐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침입자가 있는지 감지하는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현재 적용된 문의 개폐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문과 섀시(chassis) 각각에 자석을 접합시키고, 자석의 접합 유무에 기반하여 문이 열렸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현재 적용된 기술로는 사용자가 집에서 나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지(체크-아웃) 여부, 사용자가 집으로 들어오는지(체크-인)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존재하는 영역에 배치된 전자 장치들이 사용자의 재실 여부에 기반하여 다르게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제어하는 통신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1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2 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거리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1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2 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거리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각도의변화를 확인하고, 거리 또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의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의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재실 여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는 전자 장치들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가 구비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정확성있는 통신 방식(예: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 Band))을 이용하여 획득함으로써, 사용자 출입과 관련된 인증 동작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및 외부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에 따른 각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의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 차이 값을 이용하여 각도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가 방사하는 신호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에 따른 거리 변화 및 각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동작을 시작하기 위한 영역을 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140)을 예시하는 블록도(200)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142)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 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의 관리(예: 할당 또는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 윈도우 매니저(203), 멀티미디어 매니저(205), 리소스 매니저(207), 파워 매니저(2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 패키지 매니저(213), 커넥티비티 매니저(2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 로케이션 매니저(219), 그래픽 매니저(221), 시큐리티 매니저(223), 통화 매니저(2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GUI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포맷들을 파악하고, 그 중 선택된 해당하는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파일들 중 해당하는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130)의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9)는, 예를 들면, 배터리(189)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09)는 전자 장치(101)의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미도시)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 또는 직접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는, 예를 들면, 지정된 이벤트(예: 착신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하나 이상의 그래픽 효과들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2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2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2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1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142)와는 다른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예를 들면, 홈(251), 다이얼러(253), SMS/MMS(255), IM(instant message)(257), 브라우저(259), 카메라(261), 알람(263), 컨택트(265), 음성 인식(267), 이메일(269), 달력(271), 미디어 플레이어(273), 앨범(275), 와치(277), 헬스(279)(예: 운동량 또는 혈당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 또는 환경 정보(2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 (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도록 설정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269))에서 발생된 지정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및 외부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외부 전자 장치(300), 전자 장치(400) 및 외부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외부 전자 장치(3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문의 개폐,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알리는 메시지 전송 또는 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에 배치된 다양한 전자 장치들(예: 냉장고, 에어컨, 텔레비전, 전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의 제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전자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 사이의 거리 및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추적(트래킹)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GHz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초 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초 광대역 통신은 위치 측정의 오차가 오차가 cm 단위이며, 위치 검출의 정밀도가 높은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0)는 전자 장치(400)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0)는 전자 장치(400)가 수행하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 결정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전자 장치(400)로 위치 결정을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의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300)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300)의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송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문의 개폐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 배치된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미도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500)는 전자 장치(400)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300)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5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 존재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공간에 배치된 가전 제품 또는 동작 감지 센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5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온 경우(체크-인) 동작 감지 센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외부 서버(5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실내에서 실외로 이동하는 경우(체크-아웃), 동작 감지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5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 존재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공간에 배치된 가전 제품 또는 동작 감지 센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400)가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 외부 전자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제 1 통신 회로(420), 제 2 통신 회로(430),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는 GHz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초 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을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송한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 측정을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440)는 제 1 통신 회로(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통신 회로(420)의 제어에 기반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안테나(450)는 제 2 통신 회로(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통신 회로(430)의 제어에 기반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420) 및 제 2 통신 회로(430)는 하나의 통신 회로로 합쳐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안테나(440)가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출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출력한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2 안테나(450)가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출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출력한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가 수신한 신호는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가 수신한 신호에는 타임 스탬프(time stamp)가 포함될 수 있다. 타임 스탬프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안테나(440)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신호를 전송한 시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신호의 속도(c=3*10^8 m/s)와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2 안테나(450)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신호를 전송한 시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신호의 속도(c=3*10^8 m/s)와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거리 및 제 2 거리의 차이 값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차이 값의 변화를 트래킹하고,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 또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거리에서 제 2 거리를 뺀 값이 감소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제 1 안테나(440)에서 제 2 안테나(450)로 더 가까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 1 거리에서 제 2 거리를 뺀 값이 증가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제 2 안테나(450)에서 제 1 안테나(440)로 더 가까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거리 및 제 2 거리의 차이값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에 따른 각도의 변화를 트래킹하고,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는 외부 전자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미리 설정된 기준선(예: 전자 장치(400)와 지표면을 연결하는 선) 사이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 사이의 거리 및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에 따른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제 1 안테나(440)에서 수신한 신호의 위상 및 제 2 안테나(450)에서 수신한 신호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제 1 안테나(440)에서 수신한 신호의 위상 및 제 2 안테나(450)에서 수신한 신호의 위상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위상의 차이 값의 변화를 트래킹하고,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은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예를 들면, 집안)으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진입하는 방향(체크-인) 또는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서 밖으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이동하는 방향(체크-아웃)일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하는지 여부 또는 체크-아웃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외부 서버(예: 도 3의 외부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함 또는 체크-아웃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 존재하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하기 이전,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면, 움직임 감지 센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예를 들면, 움직임 감지를 수행함), 프로세서(410)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비활성화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500)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아웃하기 이전,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면, 움직임 감지 센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예를 들면, 움직임 감지를 수행하지 않음), 프로세서(410)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활성화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500)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함 또는 체크-아웃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경고 메시지에는 특정 사용자가 체크-인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외부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송한 인증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0)에 대한 인증은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 입장할 수 있는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일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에 대한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유효한 권한을 가짐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문을 열도록 전자 장치(400)에 포함된 잠금 장치(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유효한 권한을 가지지 못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문을 열지 않도록 잠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접근할 경우 알람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인증에 이용될 수 있는 키를 입력하는 키패드 또는 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가 외부 전자 장치(300)가 A에서 B로 이동하고, B에서 C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가 수신한 신호는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가 수신한 신호에는 타임 스탬프(time stamp)가 포함될 수 있다. 타임 스탬프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신호를 전송한 시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신호의 속도(c=3*10^8 m/s)와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2 안테나(450)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신호를 전송한 시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신호의 속도(c=3*10^8 m/s)와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0)가 A에 있는 경우,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511) 및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513)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거리(511)는 제 2 거리(513)에 비해 작으며, 제 1 거리(511)와 제 2 거리(513)의 차이 값은 음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0)가 B에 있는 경우,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521) 및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523)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거리(521)는 제 2 거리(523)와 동일하며, 제 1 거리(521)와 제 2 거리(523)의 차이 값은 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0)가 C에 있는 경우,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531) 및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533)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거리(531)는 제 2 거리(533)보다 크며, 제 1 거리(531)와 제 2 거리(533)의 차이 값은 양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511, 521, 531)와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513, 523, 533)의 차이 값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트래킹하고, 제 1 거리(511, 521, 531)와 제 2 거리(513, 523, 533)의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A에서 C로 이동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거리(511, 521, 531)와 제 2 거리(513, 523, 533)의 차이 값의 변화가 증가하는 경우(예를 들면, 음수에서 양수로 증가함),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A에서 C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거리(511, 521, 531)와 제 2 거리(513, 523, 533)의 차이 값의 변화가 감소하는 경우(예를 들면, 양수에서 음수로 감소함),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C에서 A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에 따른 각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에 따른 각도(615)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611)과 미리 설정된 기준선(예: 전자 장치(400)와 지표면(617)을 연결하는 선(615)) 사이의 각도(615)를 확인할 수 있다. 각도(615)는 제 1 안테나(예: 도 4의 제 1 안테나(440))에서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와 제 2 안테나(예: 도 4의 제 2 안테나(450))에서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각도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7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으로 진입하는 방향(체크-인, 621)으로 이동하는 경우, 각도(615)의 값은 점점 증가할 수 있다(예: -80도에서 +80도로 증가).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서 밖으로 나가는 방향(체크-아웃, 623)으로 이동하는 경우, 각도(615)의 값은 점점 감소할 수 있다(예: +80도에서 -80도로 감소). 전자 장치(400)는 각도의 변화를 트래킹하고,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각도(615)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장소로의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의 위상의 차이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예: 도 4의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예: 도 4의 제 2 안테나(450)) 각각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300))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따라서 각각 다른 위상을 갖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예: 도 6a의 615)가 변화함에 따라서,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가 수신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631)이 특정 관계(633)를 가지면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b에는 위상의 차이 값이 각도(615)의 변화와 비례해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위상의 차이 값(631)이 증가할수록 각도(615)는 증가할 수 있다. 위상의 차이 값(531)이 감소할수록 각도(615)는 감소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관계는, 위상의 차이 값이 증가할수록,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자 장치(4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위상의 차이 값이 감소할수록,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자 장치(40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가 수신한 신호의 위상을 확인하고, 제 1 안테나(440)가 수신한 신호의 위상과 제 2 안테나(450)가 수신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631)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위상의 차이 값의 변화를 트래킹하고, 위상의 차이 값(631)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 차이 값을 이용하여 각도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각도(615)를 결정하는 내용으로,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300)가 A 영역에 위치할 때, 지표면(617)과 전자 장치(400)를 잇는 가상의 선(613)과 전자 장치(40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가상의 선 사이의 각도(615)를 결정하는 내용에 대해서 서술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 결정을 위한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방사한 신호를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511) 및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513)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거리(511)와 제 2 거리(513)의 차이 값(p)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차이 값(p)와 제 1 안테나(440)와 제 2 안테나(450) 사이의 거리(d)의 관계에 기반하여 각도(615)를 결정할 수 있다. 각도(615)를 계산하는 식은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8081042547-pat00001
(Θ: 각도(615), p: 제 1 거리(511)와 제 2 거리(513)의 차이, d: 제 1 안테나(440)와 제 2 안테나(450) 사이의 거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가 6.5G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UWB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제 1 안테나(450)와 제 2 안테나(450) 사이의 거리(d) 약 23-24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거리(511) 및 제 2 거리(513)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각도(615)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각도(615)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가 방사하는 신호의 방사 패턴을 x-y 평면, y-z 평면, x-z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x-y 평면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지표면과 평행한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y-z 평면은 전자 장치(400)에 포함된 키패드가 설치된 면과 평행한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x-z 평면은 x-y 평면과 y-z 평면과 각각 수직한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예: 도 4의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예: 도 4의 제 2 안테나(450))는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지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가 설치된 기판은 x-y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b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400))의 제 1 안테나(예: 도 4의 제 1 안테나(440))가 방사하는 방사 패턴(810) 및 제 2 안테나(예: 도 4의 제 2 안테나(450))가 출력하는 방사 패턴(820)을 x-y 평면 상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8c는 전자 장치(400)의 제 1 안테나(440)가 방사하는 방사 패턴(810) 및 제 2 안테나(450)가 출력하는 방사 패턴(820)을 y-z 평면 상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8d는 전자 장치(400)의 제 1 안테나(440)가 방사하는 방사 패턴(810) 및 제 2 안테나(450)가 출력하는 방사 패턴(820)을 x-z 평면 상에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440)가 방사하는 방사 패턴(810) 및 제 2 안테나(450)가 방사하는 방사 패턴(820)은 특정 방향(예: 지표면과 특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 지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갖는 방사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에 따른 거리 변화 및 각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거리(예: 도 5의 제 1 거리(511))와 제 2 거리(예: 도 5의 제 2 거리(513))의 차이 값 또는 각도(예: 도 6a의 각도(615)) 이외에 외부 전자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 사이의 제 3 거리(910) 및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0)를 구비하는 사용자가 집의 밖 영역(920)에서 집의 내부 영역(940)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 사이의 거리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제 1 거리(511)와 제 2 거리(513)의 차이 값 및 제 3 거리(910)의 변화를 트래킹하고, 제 3 거리의 변화 방향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제 3 거리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가 집안(940)으로 들어오는 방향으로 이동(체크-인)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제 3 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가 집안(940)에서 집 밖(920)으로 이동(체크-아웃)함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집안(940)으로 이동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300)가 집안(940)에 들어왔음을 알리는 신호를 외부 서버(예: 도 3의 외부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집안(940)으로 이동하는 경우, 집안(940)에 배치된 다른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집안(9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제 1 영역(930)에 존재함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제 1 영역(930)에 존재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상기에 기재된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도 5 및 도 6a에 개시된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에 따른 각도(예: 도 6a의 각도(615))의 변화 및 도 9에 개시된 전자 장치(400) 및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감지하는 제 2 영역을 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2 영역에서 이동하는 외부 전자 장치(300)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제 2 영역을 벗어난 외부 전자 장치(300)는 감지하지 못할 수 있고, 제 2 영역에서 이동하는 외부 전자 장치(300)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문과 인접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설치된 높이에 따라서 제 2 영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0)가 제 1 높이에서 설치된 경우, 제 1 높이에 대응하는 제 2 영역(1015)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0)는 제 2 영역(1015) 내에서 이동하는 외부 전자 장치(300)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20)가 제 2 높이에서 설치된 경우, 제 2 높이에 대응하는 제 2 영역(1025)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0)는 제 2 영역(1025) 내에서 이동하는 외부 전자 장치(300)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30)가 제 3 높이에서 설치된 경우, 제 2 높이에 대응하는 제 2 영역(1035)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30)는 제 2 영역(1035) 내에서 이동하는 외부 전자 장치(300)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제 2 영역(1015, 1025, 1035)을 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높이가 180cm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300)를 감지하는 제 2 영역의 각도(1040)의 범위를 -30도에서 10도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높이가 150cm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300)를 감지하는 제 2 영역의 각도(1040)의 범위를 -60도에서 10도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높이가 0cm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300)를 감지하는 제 2 영역의 각도(1040)의 범위를 -30도에서 30도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의 높이를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에 위치 측정 센서(예를 들면, GPS 센서 또는 고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300)를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의 지면에 위치시킴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와 상기 전자 장치(400) 사이의 거리를 전자 장치(400)와 지면 사이의 거리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높이를 확인하고, 설치된 높이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를 감지하는 제 2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제 2 영역 내에 존재하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제어하는 통신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1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2 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거리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차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가상의 선과 미리 설정된 기준 선 사이의 각도를 확인하고,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의 체크 인 또는 체크 아웃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배치된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크 인 또는 상기 체크 아웃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의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한 신호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신호의 출력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신호의 출력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 2 거리의 차이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위상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위상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위상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제 1 영역에 진입함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제 1 영역에 진입함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감지하는 제 2 영역을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지정된 위치에 배치됨을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로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UWB(ultra wide band)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작 1110에서,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예: 도 4의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예: 도 4의 제 2 안테나(450))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0)는 GHz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UWB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위치 측정을 위한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440) 및 제 2 안테나(450)가 수신한 신호에는 타임 스탬프(time stamp)가 포함될 수 있다. 타임 스탬프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20에서,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안테나(440)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신호를 전송한 시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신호의 속도(c=3*10^8 m/s)와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1 안테나(44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30에서, 전자 장치(400)는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2 안테나(450)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신호를 전송한 시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신호의 속도(c=3*10^8 m/s)와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2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300)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40에서, 전자 장치(400)는 제 1 거리와 제 2 거리의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은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예를 들면, 집안)으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진입하는 방향(체크-인) 또는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서 밖으로 외부 전자 장치(300)가 이동하는 방향(체크-아웃)일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제 1 거리와 제 2 거리의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하는지 여부 또는 체크-아웃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150에서,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함 또는 체크-아웃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 존재하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함 또는 체크-아웃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송한 인증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11에 도시된 동작 이후에 발생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10에서, 외부 서버(예: 도 3의 외부 서버(500))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는 공간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Arm 모드 또는 공간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이 비활성화된 Dis-arm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500)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400))가 전송한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 정보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220에서, 외부 서버(500)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Arm 모드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메시지에는 특정 사용자가 체크-인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230에서, 외부 서버(500)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Dis-arm 모드임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5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동작 1220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1240에서, 외부 서버(5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아웃함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300)의 출입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출입 기록은 사용자 단말(미도시)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4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으로 체크-인하였는지 여부, 외부 전자 장치(300)가 전자 장치(400)가 설치된 영역에서 체크-아웃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5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했는지 또는 체크-아웃했는지 여부에 따라서 경고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외부 서버(500)는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인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아웃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300)가 체크-아웃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1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2 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거리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거리 차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가상의 선과 미리 설정된 기준 선 사이의 각도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체크 인 또는 상기 체크 아웃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각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의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한 신호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신호의 출력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 2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신호의 출력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 2 거리의 차이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미리 설정된 영역에 진입함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미리 설정된 영역에 진입함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을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지정된 위치에 배치됨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IoT 센서, 도어 락, 도어 벨, 스마트 홈 디바이스, 운송 수단, 운송 수단의 키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제어하는 통신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1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2 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거리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차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가상의 선과 미리 설정된 기준 선 사이의 각도를 확인하고,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의 체크 인 또는 체크 아웃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배치된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크 인 또는 상기 체크 아웃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의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한 신호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신호의 출력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신호의 출력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 2 거리의 차이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위상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위상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위상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위상의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및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제 1 영역에 진입함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제 1 영역에 진입함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감지하는 제 2 영역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지정된 위치에 배치됨을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UWB(ultra wide band)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1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1 거리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제 2 안테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제 2 거리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거리 및 상기 제 2 거리의 거리 차이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거리 차이 값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가상의 선과 미리 설정된 기준 선 사이의 각도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체크 인 또는 체크 아웃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각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에 대응하여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외부 전자 장치들의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출력한 신호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신호의 출력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 2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타임 스탬프에 포함된 신호의 출력 시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 2 거리의 차이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가상의 선과 미리 설정된 기준 선 사이의 각도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미리 설정된 영역에 진입함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미리 설정된 영역에 진입함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을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을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지정된 위치에 배치됨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지면 사이의 거리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095624A 2018-08-16 2018-08-16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ctive KR10265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624A KR102656655B1 (ko) 2018-08-16 2018-08-16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201980044650.7A CN112368748B (zh) 2018-08-16 2019-07-31 基于外部电子设备的移动方向执行操作的电子设备及其方法
US16/527,375 US11100734B2 (en) 2018-08-16 2019-07-31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operations based on movement direc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PCT/KR2019/009576 WO2020036347A1 (en) 2018-08-16 2019-07-31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operations based on movement direc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EP19849256.3A EP3797405A4 (en) 2018-08-16 2019-07-31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OPERAT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624A KR102656655B1 (ko) 2018-08-16 2018-08-16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02A KR20200020202A (ko) 2020-02-26
KR102656655B1 true KR102656655B1 (ko) 2024-04-12

Family

ID=6952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624A Active KR102656655B1 (ko) 2018-08-16 2018-08-16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00734B2 (ko)
EP (1) EP3797405A4 (ko)
KR (1) KR102656655B1 (ko)
CN (1) CN112368748B (ko)
WO (1) WO20200363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9219A1 (en) 2018-11-02 2022-04-06 Assa Abloy AB System,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 control
JP7391987B2 (ja) 2019-03-25 2023-12-05 アッサ アブロイ アーベー アクセス制御読取機システム用の超広帯域装置
US11902784B2 (en) 2019-03-25 2024-02-13 Assa Abloy Ab Reader coordination for access control
WO2020225866A1 (ja) * 2019-05-08 2020-11-12 株式会社大正スカイビル レンタルスペースの情報処理装置
MX2022003588A (es) * 2019-09-26 2022-07-19 Assa Abloy Ab Configuracion de antena de banda ultra ancha para el sistema de control de acceso fisico.
CN113992267B (zh) * 2020-07-10 2023-02-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079862B (zh) * 2020-08-05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970672A (zh) * 2020-08-31 2020-11-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查找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89134B1 (ko) * 2020-09-24 2023-01-16 (주)아이준 스마트 도어벨 출입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KR20230046164A (ko) * 2021-09-29 202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6011483A (zh) * 2021-10-22 2023-04-2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进出状态确定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075399A1 (ko) * 2021-10-27 2023-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996623B2 (en) 2021-12-31 2024-05-28 Schlage Lock Company Llc UWB antenna solutions for increased accuracy for intent detection in access control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3415A1 (en) 2008-05-22 2009-11-2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Positioning method for a remote keyless entry system
JP2013535117A (ja) 2010-04-13 2013-09-0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テナベースの近接性検出器を備えた調節可能な無線回路
US20130237193A1 (en) 2011-03-17 2013-09-12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70118323A1 (en) 2015-10-27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relate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3600B2 (ja) * 1991-05-06 2001-08-27 アイブイエイチエ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周波自動車レーダシステム
JPH06144757A (ja) 1992-11-02 1994-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ドアの安全装置
JPH06144767A (ja) 1992-11-04 1994-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ー多段積用スプレツダー
JP3526496B2 (ja) * 1996-02-27 2004-05-17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入出管理用非接触識別装置
JP3887295B2 (ja) * 2002-10-08 2007-0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遠隔制御装置
US7388466B2 (en) * 2004-11-30 2008-06-17 Lear Corporation Integrated passive entry and remote keyless entry system
GB2429559B (en) * 2005-08-23 2008-05-14 Microlise Ltd RFID portal arrangements
JP4709113B2 (ja) * 2006-09-29 2011-06-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方向検出システム、移動方向検出装置及び移動方向検出方法
US7719213B2 (en) 2006-10-19 2010-05-18 Herman Stephen A Door actuator and opener
JP4795257B2 (ja) * 2007-01-26 2011-10-1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
US8299893B2 (en) * 2008-03-18 2012-10-30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Operator system utilizing a position detector to initiate a closing sequence
KR20100033624A (ko)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블루투스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CN201622576U (zh) * 2010-03-11 2010-11-03 江苏凯路威电子有限公司 无线射频识别装置
KR101131182B1 (ko) 2010-06-15 2012-03-28 주식회사 에스원 경비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5009B1 (ko) 2010-12-16 2012-01-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그의 위치 인식이 가능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태그의 위치 인식방법
US20140077929A1 (en) * 2012-03-08 2014-03-20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5879108B2 (ja) * 2011-11-30 2016-03-08 新日本無線株式会社 動体検知装置
TWI459304B (zh) * 2012-09-05 2014-11-01 China Steel Corp Object movement direc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and the use of the device control area personnel access control system
US10270642B2 (en) * 2012-12-05 2019-04-23 Origin Wireless,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bject tracking and navigation
KR20140080170A (ko) 2012-12-20 2014-06-3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포브키 인식 기반의 승차 연동 장치 및 방법
CN104010361B (zh) * 2013-02-22 2018-04-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定位系统和方法
US8965599B2 (en) * 2013-05-01 2015-02-24 Delphi Technologies, Inc. Passive entry and passive start system with operator walking detection
CZ2013741A3 (cs) * 2013-09-25 2015-04-22 AŽD Praha s.r.o. Způsob určení směru a polohy vozidla na principu satelitní navigace a systém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FI125687B (fi) * 2013-10-01 2016-01-15 Rollock Oy Lukkojärjestely ja menetelmä radiosignaalia lähettävän laitteen läsnäolon ja sijainnin tunnistamiseen
KR101459967B1 (ko) 2013-11-13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US9613511B2 (en) * 2014-01-13 2017-04-04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 Detection system
CN106164701B (zh) * 2014-03-31 2019-11-05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位置检测系统
JP6359359B2 (ja) 2014-07-02 2018-07-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キー装置
KR101626716B1 (ko) 2015-03-20 2016-06-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위치 기반 인증 시스템
JP6520269B2 (ja) 2015-03-20 2019-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センサ、照明システム
JP2016178617A (ja) 2015-03-20 2016-10-06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KR20160136131A (ko) 2015-05-19 2016-11-29 중소기업은행 Uwb 기반의 이동형 상대 측위 장치 및 이에 관한 방법
US9894613B2 (en) 2015-07-22 2018-0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ime of flight based passive entry/passive start system
KR20170022489A (ko) 2015-08-20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인항공체 및 이의 제어방법
EP3147868A1 (en) * 2015-09-25 2017-03-29 Assa Abloy AB Determining when to initiate an access control procedure
US9685014B1 (en) * 2016-02-10 2017-06-20 Lear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waves for polling signals
TWI630583B (zh) * 2016-04-15 2018-07-21 泰金寶電通股份有限公司 動態門禁控制系統及動態門禁控制方法
CN107463940B (zh) * 2017-06-29 2020-02-21 清华大学 基于手机数据的车辆类型识别方法和设备
US10328900B1 (en) * 2017-12-04 2019-06-25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vehicle passive keyless entry triggered by smartphone proximity det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3415A1 (en) 2008-05-22 2009-11-2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Positioning method for a remote keyless entry system
JP2013535117A (ja) 2010-04-13 2013-09-0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テナベースの近接性検出器を備えた調節可能な無線回路
US20130237193A1 (en) 2011-03-17 2013-09-12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70118323A1 (en) 2015-10-27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related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347A1 (en) 2020-02-20
CN112368748B (zh) 2023-08-15
EP3797405A4 (en) 2021-08-04
US11100734B2 (en) 2021-08-24
KR20200020202A (ko) 2020-02-26
EP3797405A1 (en) 2021-03-31
US20200058181A1 (en) 2020-02-20
CN112368748A (zh) 2021-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655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7121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지오펜스 관리 방법
KR102821700B1 (ko) 위치를 연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21661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0345B1 (ko) 레인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995934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ntry or exit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KR102653252B1 (ko) 외부 객체의 정보에 기반하여 시각화된 인공 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277711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external device
KR102668301B1 (ko)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155691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payment by using audio module
US11039005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unlocking electronic device based on location
KR102740978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채널 스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415662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location of user and method thereof
KR20190020940A (ko)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19877A (ko) 전파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2103926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electronic device
EP436178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S11448724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location of user
KR102755046B1 (ko) 외부 장치와 관련된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4789734A (zh) 感知信息补偿方法、装置、车辆、存储介质及程序
KR102832268B1 (ko) 설정된 위치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751567B1 (ko) 사용자 상태 기반의 지오펜싱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8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