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365B1 - Combine - Google Patents
Comb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3365B1 KR102653365B1 KR1020180151945A KR20180151945A KR102653365B1 KR 102653365 B1 KR102653365 B1 KR 102653365B1 KR 1020180151945 A KR1020180151945 A KR 1020180151945A KR 20180151945 A KR20180151945 A KR 20180151945A KR 102653365 B1 KR102653365 B1 KR 102653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delete delete
- grain
- cover body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RZVAJINKPMORJF-UHFFFAOYSA-N Acetaminophen Chemical compound CC(=O)NC1=CC=C(O)C=C1 RZVAJINKPMOR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RSWGJHLUYNHPMX-UHFFFAOYSA-N Abietic-Saeure Natural products C12CCC(C(C)C)=CC2=CCC2C1(C)CCCC2(C)C(O)=O RSWGJHLUYNHP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KHPCPRHQVVSZAH-HUOMCSJISA-N Rosin Natural products O(C/C=C/c1ccccc1)[C@H]1[C@H](O)[C@@H](O)[C@@H](O)[C@@H](CO)O1 KHPCPRHQVVSZAH-HUOMCSJI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HPCPRHQVVSZAH-UHFFFAOYSA-N trans-cinnamyl beta-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CC1=CC=CC=C1 KHPCPRHQVVSZA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182—Stripper beaters after the threshing dru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0—Arrangements of straw crushers or cutt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탈곡 장치의 횡 측판을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는 내 커버가 방해되는 일 없이 그레인 시브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가 방해되는 일 없이 그레인 시브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작업자가, 급동의 주위에 있어서의 곡간이 끼인 부위를 시인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 가능하고, 또한 수급 작업 시에 곡간이 끼이는 일이 발생했을 때 조작 부재를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내 커버(117)는, 내 커버(117)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분할되어 구성된 전 커버체(118), 중 커버체(119) 및 후 커버체(120)를 갖고 있다. 전 커버체(118), 중 커버체(119) 및 후 커버체(120) 중, 측면에서 보아 개구(106a)와 중복되는 중 커버체(119)는 횡 측판(10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또한, 탈곡 장치(10) 중 벨트 전동 기구(64) 및 벨트 전동 기구(65)가 위치하는 측의 횡 측판(106)에, 그레인 시브가 통과 가능한 개구(106a)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에서 보아, 전동 벨트(82) 및 전동 벨트(94)가 개구(106a)와 중복되지 않도록, 개구(106a)가 전동 벨트(82)와 전동 벨트(9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에, 급동을 지지함과 함께 상하 요동 가능한 급동 프레임과, 급동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실린더와, 실린더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1062)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1062)는, 탈곡 장치(1010) 중 피드 체인(1009)이 위치하는 측의 횡 측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There is a demand for a combine in which the grain sieve can be easily attached and remov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inner cover that covers the horizontal side plate of the threshing devic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Additionally, there is a demand for a combine in which the grain siev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ower transmission belt. In addition, there is a demand for a combine in which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while visually recognizing the area where the grain stem is stuck around the barrel, and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can be easily operated when the grain stem gets caught during supply and demand work. there is.
The inner cover 117 has a front cover 118, a middle cover 119, and a rear cover 120 formed by dividing the inner cover 117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dy. Among the front cover body 118, the middle cover body 119, and the rear cover body 120, the middle cover body 119 which overlaps the opening 106a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detachable from the horizontal side plate 106. Furthermore, an opening 106a through which the grain sieve can pass is formed in the transverse side plate 106 of the threshing device 10 on the side where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64 and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65 are located. When viewed from the side, an opening 106a is formed between the transmission belt 82 and the transmission belt 94 so that the transmission belt 82 and the transmission belt 94 do not overlap the opening 106a. In addition, the combine is provided with a quick start frame that supports the quick start and can swing up and down, a cylinder that swings the quick start frame upward, and an operation switch 1062 that operates the cylinder. The operation switch 1062 is arranged at the front end in the horizontal side part of the threshing apparatus 1010 on the side where the feed chain 1009 is loc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협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급동을 가짐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equipped with a threshing device that threshes harvested grain stems.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equipped with a feed chain that clamps and conveys harvested grain stems, and a threshing device that has a barrel and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ems that are conveyed by the feed chain.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부〔5〕」)가 구비된 콤바인이 개시되어 있다. 탈곡 장치는, 급동(문헌에서는 「급동〔9〕」)과, 급동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문헌에서는 「요동 선별 기구〔11〕」)를 갖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는,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고운 선별용 그레인 시브(문헌에서는 「그레인 시브〔24〕」)를 갖고 있다. 탈곡 장치의 횡 측판(문헌에서는 「좌측 벽〔34〕」)에는, 그레인 시브가 통과 가능한 개구(문헌에서는 「점검구〔3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그레인 시브를 개구에 통과시킴으로써, 그레인 시브를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As the above-mentioned combine, for example, the combine described in
또한,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부〔5〕」)가 구비된 콤바인이 개시되어 있다. 탈곡 장치는, 급동(문헌에서는 「급동〔9〕」)과, 급동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문헌에서는 「요동 선별 기구〔11〕」)와,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1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문헌에서는 「1번 회수부〔27〕」)와,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이면서 1번 회수부의 후방에 마련됨과 함께 2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문헌에서는 「2번 회수부〔28〕」)를 갖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는,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고운 선별용 그레인 시브(문헌에서는 「그레인 시브〔24〕」)를 갖고 있다. 1번 회수부는, 곡립을 기체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문헌에서는 「1번 스크루〔29〕」)를 갖고 있다. 2번 회수부는, 곡립을 기체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문헌에서는 「2번 스크루〔30〕」)를 갖고 있다. 기체 횡 외측부에, 동력 전달용 제1 전동 벨트(문헌에서는 「전동 벨트〔44〕」)를 가짐과 함께 1번 회수부의 회전축과 2번 스크루의 회전축에 걸쳐져 마련되는 제1 벨트 전동 기구(문헌에서는 「제2 전달 기구〔36〕」)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 중 제1 벨트 전동 기구가 위치하는 측의 횡 측판(문헌에서는 「좌측 벽〔34〕」)에, 그레인 시브가 통과 가능한 개구(문헌에서는 「점검구〔3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그레인 시브를 개구에 통과시킴으로써, 그레인 시브를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above-mentioned combine, for example, the combine described in
또한,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예취 곡간을 협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문헌에서는 「피드 체인〔20〕」)과, 급동(문헌에서는 「급동〔18〕」)을 가짐과 함께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부〔13〕」)가 구비된 콤바인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콤바인에는, 급동을 지지함과 함께 상하 요동 가능한 급동 프레임(문헌에서는 「상부 케이스〔12〕」)과, 급동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문헌에서는 「개폐 구동 수단〔51〕」)와,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문헌에서는 「명령 수단〔48〕」)가 구비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급동 프레임이 상승하게 되고, 급동 프레임을 소정의 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급동의 주위에 끼인 곡간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above-mentioned combine, for example, the combine described in
여기서, 상기와 같은 콤바인에서는 통상, 횡 측판을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는 내 커버와, 내 커버를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내 커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외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바, 그레인 시브를 개구에 통과시킬 때, 내 커버가 방해로 되어, 그레인 시브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Here, in the above-mentioned combine, an inner cover that covers the transverse side plate from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body is usually provided, and an outer cover that covers the inner cover from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body and is removable from the inner cover is provided, and a grain sieve is placed in the opening. When passing through, the inner cover becomes an obstruction, making it impossible to easily attach or detach the grain sieve.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탈곡 장치의 횡 측판을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는 내 커버가 방해되는 일 없이 그레인 시브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situation, there is a demand for a combine in which the grain siev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inner cover that covers the transverse side plate of the threshing device from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body.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측면에서 보아, 제1 전동 벨트가 개구와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그레인 시브를 개구에 통과시킬 때, 제1 전동 벨트가 방해되어, 그레인 시브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In addition, in the combine described in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가 방해되는 일 없이 그레인 시브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there is a demand for a combine in which the grain siev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ower transmission belt.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조작 부재가 탑승 운전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탑승 운전부에서 조작 부재를 조작할 필요가 있어, 급동의 주위에 있어서의 곡간이 끼인 부위를 시인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하지 못한다. 또한 수급 작업 시에 곡간이 끼이는 일이 발생했을 때는, 조작 부재를 조작하기 위하여 탑승 운전부까지 되돌아가야만 하여 번거롭다.Moreover, in the combine described in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작업자가, 급동의 주위에 있어서의 곡간이 끼인 부위를 시인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 가능하고, 또한 수급 작업 시에 곡간이 끼이는 일이 발생했을 때 조작 부재를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Taking the above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while recognizing the area around the barrel where the grain stem is caught, and can also easily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when the grain stem gets caught during supply/demand work. A combine is required.
본 발명의 특징은,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It is a combine equipped with a threshing device that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em,
상기 탈곡 장치는, 급동과, 상기 급동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선별 대상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를 갖고,The threshing device has a barrel and a rocking sorting device provided below the barrel and shaking and sorting the sorting object,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고운 선별용 그레인 시브를 갖고,The oscillation sorting device has a fine sorting grain siev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outer side of the body,
상기 탈곡 장치의 횡 측판에, 상기 그레인 시브가 통과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An opening through which the grain sieve can pass is formed in the transverse side plate of the threshing device,
상기 횡 측판을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는 내 커버와,an inner cover covering the transverse side plate from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fuselage;
상기 내 커버를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상기 내 커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외 커버가 구비되고,An outer cover is provided that covers the inner cover from the outer side of the fuselage and is removable from the inner cover,
상기 내 커버는, 상기 내 커버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분할되어 구성된 복수의 커버체를 갖고,The inner cover has a plurality of cover bodies configured by dividing the inner cov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craft,
상기 복수의 커버체 중, 측면에서 보아 상기 개구와 중복되는 커버체는 상기 횡 측판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에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cover bodies, the cover body that overlaps the opening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removable from the horizontal side plate.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커버체 중, 측면에서 보아 개구와 중복되는 커버체를 횡 측판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그레인 시브를 개구에 통과시킬 때, 내 커버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하여, 내 커버가 방해되는 일 없이 그레인 시브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내 커버 전체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커버체 중, 측면에서 보아 개구와 중복되는 커버체를 분리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그레인 시브의 착탈의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ver bodies, the cover body that overlaps the opening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side plate, so that the inner cover does not get in the way when the grain sieve is passed through the opening. This allows the grain sieve to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the inner cover being disturbed. In addition, even if the entire inner cover is not removed, only the cover body that overlaps the opening when viewed from the side among the plurality of covers needs to be removed, making it possible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grain sieve in this respect as well.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횡 측판 중 상기 내 커버보다도 하측의 부분을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는 하 커버가 구비되고,A lower cover is provided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transverse side plates lower than the inner cover from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aircraft,
상기 하 커버의 상단부는, 착탈 가능한 상기 커버체의 하단부에 대하여 기체 횡 외측으로부터 접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emovable cover body from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body.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커버체의 하단부가 기체 횡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커버체의 하단부를 하 커버의 상단부에 의하여 기체 횡 외측으로부터 밀리지 않게 받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can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does not spread outward to the horizontal side of the body, so that it is not pushed from the horizontal outer side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착탈 가능한 커버체의 하단부에, 기체 횡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 커버의 내부에 들어가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a bent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etachable cover body, which is bent outward horizontally to the body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lower cover.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커버체의 하단부와 하 커버의 상단부 사이에 있어서, 절곡부에 의하여 래버린스 구조가 구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짚 부스러기(예를 들어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토막 짚)나 빗물 등이 커버체의 하단부와 하 커버의 상단부 사이로부터 내부에 침입하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a labyrinth structure is formed by a bent portio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This makes it difficult for straw scraps (for example, straw from harvested grain piles conveyed by the feed chain) or rainwater to enter the interior from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착탈 가능한 커버체 중 상기 하 커버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상기 하 커버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보다도 기체 횡 외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of the removable cover body, a protrusion is formed in a portion above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which protrudes outward laterally to the body than i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방으로부터의 짚 부스러기(예를 들어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토막 짚)나 빗물 등이 돌출부에 의하여 차단되게 되어, 당해 짚 부스러기나 빗물 등이 커버체의 하단부와 하 커버의 상단부 사이로부터 내부에 침입하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straw scraps (for example, straw from harvested grain culverts conveyed by the feed chain) or rainwater, etc. from above are blocked by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straw scraps, rainwater, etc. are block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It is difficult to enter the interior from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ov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탈곡 장치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1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이면서 상기 1번 회수부의 후방에 마련됨과 함께 2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를 갖고,The threshing device is provided below the shaking sorting device and has a No. 1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grains of Product No. 1, and is provided below the shaking sorting device and behind the No. 1 recovery part and collects grains of Product No. 2. It has a second recovery unit for recovery,
상기 1번 회수부는, 곡립을 기체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를 갖고,The No. 1 recovery unit has a No. 1 screw that conveys grai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2번 회수부는, 곡립을 기체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를 갖고,The No. 2 recovery unit has a No. 2 screw for conveying grai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횡 측판이 위치하는 측의 기체 횡 외측부에,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를 가짐과 함께 상기 1번 스크루의 회전축과 상기 2번 스크루의 회전축에 걸쳐 마련되는 벨트 전동 기구가 마련되고,A belt transmission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outer side of the body on the side where the transverse side plate is located, and has a power transmission belt and is provided across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screw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screw,
상기 전동 벨트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기구가 구비되고,A tension mechanism is provided to apply tension to the transmission belt,
착탈 가능한 상기 커버체를 분리하면, 측면에서 보아 상기 텐션 기구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tension mechanism is exposed when the removable cover is removed when viewed from the side.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커버체를 분리함으로써 텐션 기구의 조정이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tension mechanism can be easily adjusted or confirmed by removing the cover body.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In addition,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A threshing device for threshing the harvested grain stem,
상기 탈곡 장치의 후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It is a combin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behind the threshing device and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straw cutting device that cuts and processes the straw discharged from the threshing device,
상기 탈곡 장치는, 급동과, 상기 급동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선별 대상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1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이면서 상기 1번 회수부의 후방에 마련됨과 함께 2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를 갖고,The threshing device includes a barrel, a oscillation sorting device provided below the barrel and oscillates and separates the sorting object, and a No. 1 recovery unit provided below the oscillation separator and collecting grains of the No. 1 product, It has a No. 2 recovery unit provided below the shaking sorting device and behind the No. 1 recovery unit and collects grains of No. 2 product,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고운 선별용 그레인 시브를 갖고,The oscillation sorting device has a fine sorting grain siev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outer side of the body,
상기 1번 회수부는, 곡립을 기체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를 갖고,The No. 1 recovery unit has a No. 1 screw that conveys grai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2번 회수부는, 곡립을 기체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를 갖고,The No. 2 recovery unit has a No. 2 screw for conveying grai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기체 횡 외측부에, 동력 전달용 제1 전동 벨트를 가짐과 함께 상기 1번 회수부의 회전축과 상기 2번 스크루의 회전축에 걸쳐져 마련되는 제1 벨트 전동 기구와, 동력 전달용 제2 전동 벨트를 가짐과 함께 상기 2번 스크루의 회전축과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에 걸쳐져 마련되는 제2 벨트 전동 기구가 마련되고,Having a first power transmission belt for power transmission at the lateral outer portion of the body, a first belt transmission mechanism provided across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recovery unit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screw,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belt for power transmission; A second belt transmission mechanism is provided across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screw and the transmission axis that transmits power to the discharge straw cutting device,
상기 탈곡 장치 중 상기 제1 벨트 전동 기구 및 상기 제2 벨트 전동 기구가 위치하는 측의 횡 측판에, 상기 그레인 시브가 통과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An opening through which the grain sieve can pass is formed in the transverse side plate of the threshing device on the side where the first belt transmission mechanism and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mechanism are located,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전동 벨트 및 상기 제2 전동 벨트가 상기 개구와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가 상기 제1 전동 벨트와 상기 제2 전동 벨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bel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elt so that the first transmission bel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elt do not overlap the opening.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측면에서 보아, 제1 전동 벨트 및 제2 전동 벨트가 개구와 중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레인 시브를 개구에 통과시킬 때, 제1 전동 벨트 및 제2 전동 벨트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제1 전동 벨트 및 제2 전동 벨트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전동 벨트 및 제2 전동 벨트가 방해되는 일 없이 그레인 시브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first transmission bel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elt do not overlap the opening, so even if the first transmission bel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elt are not separated when passing the grain sieve through the opening. The first transmission bel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elt are not disturbed. As a result, the grain sheav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belt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전동 벨트는 상기 개구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The first transmission belt is located lower than the opening,
상기 제1 전동 벨트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기구가 구비되고,A tension mechanism is provided to apply tension to the first transmission belt,
상기 텐션 기구는, 상기 제1 전동 벨트에 접촉하는 텐션 풀리와, 상기 텐션 풀리를 지지하는 요동 가능한 텐션 암과, 상기 텐션 암을 상기 텐션 풀리가 상기 제1 전동 벨트에 접촉하는 측으로 요동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중 상기 텐션 암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장착되는 로드를 갖고,The tension mechanism includes a tension pulley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nsmission belt, a oscillating tension arm supporting the tension pulley, and a spring that oscillates and presses the tension arm toward a side where the tension pulley contacts the first transmission belt. and a rod on which an end of the spring opposite to the tension arm is mounted,
상기 횡 측판에, 상기 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rod is provided on the transverse side plate,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support part is located in front of the opening.
여기서, 예를 들어 지지부가 개구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로드 및 스프링이 개구를 상하에 걸치게 되어, 그레인 시브를 개구에 통과시킬 때, 로드 및 스프링이 방해된다. 그러나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가 개구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드 및 스프링이 개구를 상하에 걸치는 일이 없어, 그레인 시브를 개구에 통과시킬 때, 로드 및 스프링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로드 및 스프링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하여, 로드 및 스프링이 방해되는 일 없이 그레인 시브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Here,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opening, the rod and spring span the top and bottom of the opening, and the rod and spring are obstructed when the grain sieve is passed through the opening. However, 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opening, the rod and spring do not span the top and bottom of the opening, and when the grain sieve is passed through the opening, the rod and spring are not separated even if the rod and spring are not separated. There is nothing to disturb. Thereby, the grain siev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the rod and spring being disturb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support part is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가 개구의 상단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보다도, 로드 및 스프링이 측면에서 보아 개구와 중복되기 어려워져, 그레인 시브를 개구에 통과시킬 때, 로드 및 스프링이 보다 방해되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rod and spring to overlap the opening when viewed from the side than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rod and spring to be obstructed when passing the grain sieve through the opening. .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의 하단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support part is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로드 및 스프링과 제1 전동 벨트 사이에 적절한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an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rod and spring and the first transmission bel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탈곡 장치는, 상기 급동의 후방에 마련됨과 함께 기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둘레에서 회전 가능한 분리 드럼을 갖고,The threshing device has a separation drum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arrel and rotatable around an axis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제2 전동 벨트는 상기 분리 드럼에도 권회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second transmission belt is also wound on the separation drum.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2 전동 벨트에 의하여 분리 드럼에도 동력이 전달되게 되어, 동력 전달 경로를 공통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separation drum by the second transmission belt, making it possible to commonize the power transmission path.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전동 벨트는 상기 제1 전동 벨트보다도 기체 횡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second transmission belt is located laterally outside the body than the first transmission belt.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출 짚 절단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제2 전동 벨트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when performing maintenance of the discharge straw cutting device,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belt can be easily accesse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laterally.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In addition,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예취 곡간을 협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A feed chain that conveys the harvested grain culm,
급동을 가짐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It is a combine that has a barrel and is equipped with a threshing device for threshing the harvested grain stalk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상기 급동을 지지함과 함께 상하 요동 가능한 급동 프레임과,A quick-action frame that supports the quick-movement and can swing up and down,
상기 급동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an actuator that swings the rapid motion frame upward;
상기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가 구비되고,An operating member for manipulating the actuator is provided,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탈곡 장치 중 상기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의 횡 측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The said operating member is arrange|positioned at the front end part in the lateral side part of the said threshing apparatus on the side where the said feed chain is located.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가, 탈곡 장치 중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의 횡 측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조작 부재가 탈곡 장치의 곡간 입구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가 급동의 주위에 있어서의 곡간이 끼인 부위를 시인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수급 작업 시에 곡간이 끼이는 일이 발생했을 때, 작업자가 수급 작업 부위로부터 조작 부재에 손을 닿게 하여 조작 부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the operat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portion in the transverse side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on the side where the feed chain is located,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near the grain stem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Thereby,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while visually recognizing the part where the grain stem in the periphery of the barrel was pinched. In addition, when the grain stem becomes stuck during the supply and demand operation,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operation member by touching the operation member from the supply and demand operation area.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start end of the feed chai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는 통상, 탈곡 장치의 상하 중앙부 부근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바, 조작 부재가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조작 부재가, 조작 부재 근처에 선 작업자의 눈 높이에 근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가 조작 부재를 시인하기 쉬우며, 또한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가,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의 높이 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 점에서도 조작 부재의 시인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conveyance starting end of the feed chain is usually located at a height near the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s of the threshing device, and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starting end of the feed chain,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operates. It approaches the eye level of the worker standing near the member. This makes it easy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recognize the operating member and allows the operator to operate it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bending the waist. Additionally, the operating member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height of the grain culm that has not yet been cut, and in this respect as well, the visibility and operability of the operating memb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횡 측부에 있어서의 기체 최횡 외측에 사이드 커버가 마련되고,A side cover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fuselage in the transverse side portion,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측의 커버체와 하측의 커버체로 상하로 분할되어 구성되고,The side cover is divided into an upper and lower cover body and is divided into an upper and lower cover body,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상측의 커버체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ver body.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측의 커버체는 하측의 커버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바, 조작 부재가 상측의 커버체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조작 부재가, 조작 부재 근처에 선 작업자의 눈 높이에 근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가 조작 부재를 시인하기 쉬우며, 또한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가,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의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 점에서도 조작 부재의 시인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upper cover body is located above the lower cover body, and the operation member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ver body, so that the operation member stands near the operation member. It approaches the worker's eye level. This makes it easy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recognize the operating member and allows the operator to operate it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bending the waist. In addition,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rain culm that has not yet been cut, and in this respect as well, the visibility and operability of the operating memb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측의 커버체에, 상기 조작 부재가 노출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exposed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body.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가 개구를 통하여 노출됨으로써, 상측의 커버체를 분리하는 일 없이 조작 부재를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operating member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can be operated without removing the upper cov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피드 체인을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과,a guide frame that guides and supports the feed chain;
상기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A support member is provided to support the operating member,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support member is supported on the guide frame.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프레임은, 중량물인 피드 체인을 지지할 만큼 강성이 높은 부재인 바, 조작 부재가 지지 부재를 통하여 가이드 프레임에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guide frame is a member with high rigidity enough to support a heavy feed chain, so the operat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guide frame through the support member. This allows the operating member to be supported reliab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탈곡 장치의 벽부를 연결하는 스테이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a stay connect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wall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is provided.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가 스테이를 통하여 탈곡 장치의 벽부에도 지지되게 되어 조작 부재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structure, the support member is also supported by the wall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through the stay, and the operating member can be supported more reliab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탈곡 장치의 벽부를 연결하는 스테이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a stay connect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wall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is provided.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가 스테이를 통하여 탈곡 장치의 벽부에도 지지되게 되어 조작 부재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structure, the support member is also supported by the wall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through the stay, and the operating member can be supported more reliably.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협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급동을 가짐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을 지지함과 함께 상하 요동 가능한 급동 프레임과, 상기 급동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탈곡 장치 중 상기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의 횡 측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In addition,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e equipped with a feed chain for clamping and transporting harvested grain stems, a barrel, and a threshing device for threshing the harvested grain stem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and supporting the barrel. It is provided with a quick-moving frame capable of swinging up and down, an actuator that swings the quick-moving frame upward, and an operating member that operates the actuator, and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on a lateral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on the side where the feed chain is located. It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가, 탈곡 장치 중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의 횡 측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조작 부재가 탈곡 장치의 곡간 입구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가, 급동의 주위에 있어서의 곡간이 끼인 부위를 시인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수급 작업 시에 곡간이 끼이는 일이 발생했을 때, 작업자가 수급 작업 개소로부터 조작 부재에 손을 닿게 하여 조작 부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the operat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portion in the transverse side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on the side where the feed chain is located,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near the grain stem entrance of the threshing device. Thereby, an operator can operate an operating member while visually recognizing the part where the grain stem in the periphery of the barrel was pinched. Additionally, when the grain stem becomes stuck during the supply/demand operation,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by touching the operating member from the supply/demand operation locati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start end of the feed chai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는 통상, 탈곡 장치의 상하 중앙부 부근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바, 조작 부재가,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조작 부재가, 조작 부재 근처에 선 작업자의 눈 높이에 근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가 조작 부재를 시인하기 쉬우며, 또한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가,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의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 점에서도 조작 부재의 시인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conveyance starting end of the feed chain is usually located at a height near the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s of the threshing device, and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starting end of the feed chain,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is: It approaches the eye level of the operator standing near the operating element. This makes it easy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recognize the operating member and allows the operator to operate it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bending the waist. In addition, the operating member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height of the grain culm that has not yet been cut, and in this respect as well, the visibility and operability of the operating memb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횡 측부에 있어서의 기체 최횡 외측에 사이드 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측의 커버체와 하측의 커버체로 상하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상측의 커버체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cover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body in the lateral side portion, the side cover is divided up and down into an upper cover body and a lower cover body, and the operat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It is suitable if it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cover body.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측의 커버체는 하측의 커버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바, 조작 부재가, 상측의 커버체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조작 부재가, 조작 부재 근처에 선 작업자의 눈 높이에 근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가 조작 부재를 시인하기 쉬우며, 또한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가,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의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 점에서도 조작 부재의 시인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upper cover body is located above the lower cover body, and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ver body,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is near the operating member. It is close to the eye level of the line worker. This makes it easy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recognize the operating member and allows the operator to operate it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bending the waist. In addition, the operating member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height of the grain culm that has not yet been cut, and in this respect as well, the visibility and operability of the operating memb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측의 커버체에, 상기 조작 부재가 노출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exposed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body.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가 개구를 통하여 노출됨으로써, 상측의 커버체를 분리하는 일 없이 조작 부재를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operating member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can be operated without removing the upper cov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드 체인을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a guide frame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feed chain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operating member are provided, and the support member is supported on the guide frame.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프레임은, 중량물인 피드 체인을 지지할 만큼 강성이 높은 부재인 바, 조작 부재가 지지 부재를 통하여 가이드 프레임에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부재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guide frame is a member with high rigidity enough to support a heavy feed chain, so the operat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guide frame through the support member. This allows the operating member to be supported reliab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탈곡 장치의 벽부를 연결하는 스테이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t is suitable if a stay connecting the said support member and the wall part of the said threshing apparatus is provided.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지지 부재가 스테이를 통하여 탈곡 장치의 벽부에도 지지되게 되어, 조작 부재를 보다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the support member is also supported by the wall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through the stay, and the operating member can be supported more reliab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탈곡 장치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said operat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said threshing apparatus.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조작 부재가, 탈곡 장치 중 피드 체인이 위치하는 측의 횡 측부의 전단에 배치되고, 탈곡 장치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를 조작하여 급동을 상승시킬 때, 작업자가 기체의 측부 위치에 있어서 시각에 의하여 급동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부재가 탈곡 장치에 지지되기 때문에 견고한 지지가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the operat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lateral side part of the threshing device on the side where the feed chain is located, and is supported by the threshing device. For this reason, when operating the actuator to raise the plunger, it become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confirm the state of the bolt from a position on the side of the aircraft. Additionally, since the operat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threshing device, solid support is possible.
또한, 예를 들어 피드 체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부재 등에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구성도 생각되지만, 피드 체인은 작동 시에 진동하고, 이 진동이 조작 부재에 전달되어 조작 부재를 공진시키는 등의 영향으로부터, 성능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도 상상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조작 부재를 탈곡 장치에 지지함으로써, 피드 체인으로부터 조작 부재에 진동이 전달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조작 부재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In addition,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operating member, for example, a member supporting a guide rail that guides the feed chain, is also considered, but the feed chain vibrates during operation, and this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member, causing the operating member to resonate, etc. Due to the influence of , problems such as performance degradation can also be imagined. In contrast, by supporting the operating member on the threshing device, the phenomenon of vibration being transmitted from the feed chain to the operating member can be suppress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operating member in a good stat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탈곡 장치의 전단부에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상기 탈곡 장치의 전 벽부를 연결하는 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암이, 상기 피드 체인에 있어서의 반송측 경로와 상기 피드 체인에 있어서의 복귀측 경로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member is supported on the front end of the threshing device through a frame, and the frame includes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operating member, and an arm connecting the bracket and the front wall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It is suitable if the arm is disposed at a position passing between a conveyance side path in the feed chain and a return side path in the feed chai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이것에 의하면, 측면에서 보아, 피드 체인의 반송측 경로와 복귀측 경로의 중간에 암을 삽통함으로써, 측면에서 보아 피드 체인이 권회되는 영역 내에 조작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피드 체인이 권회되는 영역의 외부에 프레임을 배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프레임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프레임이 피드 체인의 반송측 경로부에 의하여 덮이기 때문에, 암에 짚 부스러기 등이 체류하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operating member can be placed in the area where the feed chain is wound when viewed from the side by inserting the arm between the conveyance side path and the return side path of the feed chain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this configuration, compar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ame is arranged outside the area where the feed chain is wound,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frame. Additionally, since the frame is covered by the path portion on the conveyance side of the feed chain, it is difficult for straw debris, etc., to remain in the arm.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이, 상기 조작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고, 이 수용부가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bracket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operating member, and this accommodating portion is open downward.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피드 체인으로부터 낙하하는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이 조작 부재의 근방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조작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하측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수용부에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이 체류하는 일 없이 낙하에 의한 배출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에 포함되는 수분이 조작 부재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even if straw scraps, dust, etc. falling from the feed chain may reach the vicinity of the operating member, the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operating member is opened downward, so straw scraps, dust, etc.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Discharge by falling becomes possible without retention. This prevents moisture contained in, for example, straw scraps or dust from affecting the opera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하방에, 하측일수록 기체 횡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경사판이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an inclined plate is provided below the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lower side is located inside the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이 경사판에 접촉함으로써 기체 횡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안내되게 되어,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이 기체 외방의 포장면에 산란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straw debris, dust, etc. falling downward from the receiving portion are guided to the in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ircraft by contacting the inclined plate, preventing straw debris, dust, etc. from scattering on the pavement surface on the outside of the aircraft. does not exis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이, 단면 형상이 세로로 긴 판재로 이루어지는 주 암부와, 이 주 암부에 상단이 접속하고, 또한 하측일수록 상기 주 암부로부터 이격되는 경사 자세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보강 암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 includes a main arm made of a plate with a vertically long cross-sectional shape, and a reinforcing arm made of a plate with an inclined attitude that is connected at the top to the main arm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arm at the lower side. It is suitable if you have it.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주 암부의 굽힘 강성을 높임과 함께, 주 암부의 상면에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이 묻은 상황에서도 이들을 경사 자세의 보강 암부가 미끄러지게 하여 떨어뜨리는 것이 가능해져, 암의 상면에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을 체류시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main arm is increased, and even in situations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arm is covered with straw or dust, it becomes possible to drop them by allowing the reinforcing arm in an inclined position to slide, thereby all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to fall. This can solve the problem of retaining straw debris or dus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이, 상기 횡 측부에 있어서 최횡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the bracket is provided inside the side cover located at the most horizontal outer side in the horizontal side portio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사이드 커버의 내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조작 부재를 배치하며, 예를 들어 사이드 커버에 형성한 개구로부터 조작 부재를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operat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cover, and the operating member can be operated, for example, from an opening formed in the side cov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횡 측부에 있어서 최횡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커버보다도 돌출되지 않으면 적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if it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side cover located on the most horizontal outer side in the horizontal side portio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사이드 커버의 외면에 손을 대는 일이 있더라도 잘못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일이 없고, 또한 작업 시에 수목의 가지가 사이드 커버에 접촉하는 일이 있더라도 조작 부재가 오조작되는 현상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even if the worker touche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ver, the operating member will not be operated incorrectly, and even if a branch of a tree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cover during work, the operating member will not be operated incorrectly. phenomenon is suppressed.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벨트 전동 기구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콤바인의 동력 전달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전동 벨트 등과 개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텐션 기구 및 덮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전동 벨트를 긴장시킨 상태의 텐션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전동 벨트를 이완시킨 상태의 텐션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9는 탈곡 장치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내 커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내 커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있어서의 ⅩⅠ-ⅩⅠ 단면도이다.
도 12는 그레인 시브를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원 ⅩⅢ로 둘러싸인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4는 풀리 커버 및 그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내 커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텐션 기구 및 덮개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0은 급동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1은 급동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2는 탈곡 장치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의 주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조작 스위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조작 스위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5는 조작 스위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 단면도이다.
도 26은 조작 스위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제1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스위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2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스위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3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스위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 단면도이다.
도 30는 제8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탈곡 장치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의 주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1는 제8 다른 실시 형태의 조작 스위치를 지지하는 브래킷과 훅 걸림 결합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2은 제8 다른 실시 형태의 로크 상태의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3은 제8 다른 실시 형태의 로크 상태의 로크 기구의 부위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34은 제8 다른 실시 형태의 탈곡 장치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의 주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5는 제8 다른 실시 형태의 스위치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elf-contained combine.
Figure 2 is a lef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hreshing device.
Fig. 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on the left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path of this combine.
Fig.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mission belt and the opening.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tension mechanism and the cover.
Fig. 7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ension mechanism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mission belt is tensioned.
Fig. 8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ension mechanism with the transmission belt relaxed.
Fig. 9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inner cover on the left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cover.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ⅩⅠ-ⅩⅠ in Fig. 9.
Figure 12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grain sieve being separated.
FIG. 1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surrounded by circle XIII in FIG. 11.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lley cover and its mounting structure.
Figure 1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n inner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tension mechanism and the cover.
Figure 17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elf-contained combine.
Figure 18 is a plan view showing a self-contained combine.
Figure 19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threshing device.
Fig. 20 is a rear view showing the threshing device with the barrel frame lowered.
Fig. 21 is a rear view showing the threshing device with the barrel raised.
Fig. 22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urroundings of the conveyance starting end of the feed chain on the left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Fig. 2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Fig. 2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Fig. 25 is an enlarged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Fig. 2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Fig. 27 is an enlarged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other embodiment.
Fig. 28 is an enlarged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second alternative embodiment.
Fig. 29 is an enlarged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third alternative embodiment.
FIG. 30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urroundings of the conveyance starting end of the feed chain in the left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other embodiment.
Fig. 31 is a side view of a bracket supporting an operation switch and a hooked frame of the eighth alternative embodiment.
Fig. 32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locking mechanism in the locked state according to the eighth alternative embodiment.
Fig. 33 is a longitudinal front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in a locked state according to the eighth alternative embodiment.
FIG. 34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urroundings of the conveyance starting end of the feed chain in the left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of the eighth other embodiment.
Fig. 3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frame according to another eighth embodiment.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A mod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콤바인의 전체 구성〕〔Overall composition of the combine〕
도 1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본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과, 기체 프레임(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운전 캐빈(3)이 마련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4)와, 운전부(4)를 덮는 캐빈(5)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4)의 하방에는 엔진 E(도 4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Figure 1 shows a self-contained combine. This combine is equipped with a
운전 캐빈(3)의 전방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6)가 마련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7)가 마련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8)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협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9)이 마련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의 좌측 옆에는 탈곡 장치(10)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10)는, 피드 체인(9)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11)에 의하여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10)의 후측에는, 피드 체인(9)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협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12)가 연속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의하여 반송된 탈곡 장치(10)로부터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13)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In front of the operating
예취부(6)는 복수 베기 사양(예를 들어 6조 베기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6)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4)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일으킴 장치(15)와 절단 장치(16)와 반송 장치(17)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4)는 포장의 식립 곡간을 분초한다. 일으킴 장치(15)는 분초된 식립 곡간을 일으킨다. 절단 장치(16)는 일으켜진 식립 곡간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7)는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10)를 향하여 후방으로 반송한다.The reaping
탈곡 장치(10) 중 피드 체인(9)이 위치하는 측의 횡 측부(좌측부)에 있어서의 기체 최횡 외측에는 사이드 커버(18)가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18)는, 상측의 커버체(19)(본 발명에 따른 「외 커버」에 상당함)와 하측의 커버체(20)(본 발명에 따른 「하 커버」에 상당함)로 상하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커버체(19)는 전측의 상 커버체(21)와 후측의 상 커버체(22)로 전후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측의 커버체(20)는 전측의 하 커버체(23)와 후측의 하 커버체(24)로 전후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A
〔탈곡 장치〕[Threshing devic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의 상부에는 급실(25)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25)에는, 급동(11)이,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심 Y1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급동(11)의 하방에는 받침망(27)이 마련되어 있다. 급동(11)의 후방에는, 분리 드럼(28)이,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X1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분리 드럼(28)은 확산 동체이며, 선별 대상물을 풀어, 이것에 포함되는 단립화 곡립 등의 유하를 촉진한다. 분리 드럼(28)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29)이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탈곡 장치(10)의 하부에는, 선별 대상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30), 요동 선별 장치(30)에 있어서의 하부측의 선별 영역(고운 선별 영역)으로 선별풍을 송풍하는 주풍구(31), 요동 선별 장치(30)에 있어서의 상부측의 선별 영역(거친 선별 영역)으로 선별풍을 송풍하는 제1 부풍구(32), 요동 선별 장치(30)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선별 영역으로 선별풍을 송풍하는 제2 부풍구(33),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34), 2번물의 곡립(지경(枝梗)이 붙은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35) 등이 마련되어 있다.At the lower part of the threshing
요동 선별 장치(30)는 받침망(27)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요동 선별 장치(30)는, 시브 케이스(36)와, 거친 선별용 제1 그레인 팬(37)과, 복수의 제1 체 선(38)과, 거친 선별용 제2 그레인 팬(39)과, 복수의 제2 체 선(40)과, 거친 선별용 채프 시브(41)와, 거친 선별용 스트로우 랙(42)과, 안내판(43)과, 고운 선별용 그레인 시브(44)를 구비하고 있다.The shaking
시브 케이스(36)에는 제1 그레인 팬(37)이나 제1 체 선(38), 제2 그레인 팬(39), 제2 체 선(40), 채프 시브(41), 스트로우 랙(42), 안내판(43), 그레인 시브(44)가 장비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36)의 후방부에는, 시브 케이스(36)를 요동 구동하는 편심 캠식 요동 구동 기구(45)가 마련되어 있다.The
제1 그레인 팬(37)은 시브 케이스(36)의 거친 선별 영역의 전방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그레인 팬(37)은, 받침망(27)의 전방부측으로부터 누하한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비중 선별한다.The
제1 체 선(38)은, 제1 그레인 팬(37)의 후단부로부터 후 상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기체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체 선(38)은, 제1 그레인 팬(37)으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풀면서 채프 시브(41)의 전단부에 공급한다.The
제2 그레인 팬(39)은, 시브 케이스(36)의 거친 선별 영역의 후방부측에 있어서, 송진구(46)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제2 그레인 팬(39)은, 송진구(46)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비중 선별한다.The
제2 체 선(40)은, 제2 그레인 팬(39)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기체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체 선(40)은, 제2 그레인 팬(39)으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풀면서 채프 시브(41)의 후단부 및 스트로우 랙(42)에 공급한다.The
채프 시브(41)는, 시브 케이스(36)의 거친 선별 영역에 있어서의 제1 그레인 팬(37)의 후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채프 시브(41)는, 제1 체 선(38)으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이나 받침망(27)의 후방부측으로부터 누하한 선별 대상물, 제2 체 선(40)으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한다.The
스트로우 랙(42)은, 시브 케이스(36)의 거친 선별 영역의 후방부측에 있어서, 채프 시브(41)의 후단부에 연속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우 랙(42)은 제2 체 선(40)으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이나 채프 시브(41)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한다.The
안내판(43)은 시브 케이스(36)의 고운 선별 영역의 전방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안내판(43)은, 채프 시브(41)의 전방부측으로부터 누하한 선별 대상물을 후 하방을 향하여 유하 안내한다.The
그레인 시브(44)는 시브 케이스(36)의 고운 선별 영역의 후방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레인 시브(44)는, 채프 시브(41)의 후방부측으로부터 누하한 선별 대상물이나 안내판(43)으로부터의 선별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한다. 그레인 시브(44)는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1번 회수부(34)는 그레인 시브(44)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1번 회수부(34)는, 1번물의 곡립을 우방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47)를 구비하고 있다. 1번 스크루(47)의 우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7)로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48)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The
2번 회수부(35)는, 1번 회수부(34)의 후방이며 스트로우 랙(42)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2번 회수부(35)는, 2번물의 곡립을 우방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49)를 구비하고 있다. 2번 스크루(49)의 우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30)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50)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The
〔동력 전달 경로〕[Power transmission path]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운터 축(51)이 탈곡 장치(10)의 전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 축(51)의 우단부와 엔진 E의 출력축 Ea에 걸쳐, 엔진 E의 출력축 Ea의 동력을 카운터 축(51)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52)가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 축(51)의 좌우 중간부와 중계축(53)에 걸쳐, 카운터 축(51)의 동력을 중계축(53)에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54)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축(53)과 급동(11)의 급동축(11a)과 중계축(55)에 걸쳐, 중계축(53)의 동력을 급동(11)의 급동축(11a) 및 중계축(55)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56)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축(55)과 중계축(57)에 걸쳐, 중계축(55)의 동력을 중계축(57)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58)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축(57)과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입력축(12a)에 걸쳐, 중계축(57)의 동력을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입력축(12a)에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59)가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카운터 축(51)의 좌단부와 중계축(60)에 걸쳐, 카운터 축(51)의 동력을 중계축(60)에 전달하는 기어 전동 기구(61)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 횡 외측부(탈곡 장치(10)의 좌측부)에는 벨트 전동 기구(62, 63, 64, 65, 66, 67)가 마련되어 있다.A
중계축(60)과 주풍구(31)의 회전축(31a)과 제1 부풍구(32)의 회전축(32a)에 걸쳐, 중계축(60)의 동력을 주풍구(31)의 회전축(31a) 및 제1 부풍구(32)의 회전축(32a)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62)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62)는, 중계축(60)에 마련된 출력 풀리(68)와, 주풍구(31)의 회전축(31a)에 마련된 입력 풀리(69)와, 제1 부풍구(32)의 회전축(32a)에 마련된 입력 풀리(70)와, 출력 풀리(68) 및 입력 풀리(69, 70)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71)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71)는 텐션 풀리(72) 및 풀리(73)에도 권회되어 있다.The power of the
중계축(60)과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에 걸쳐, 중계축(60)의 동력을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63)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63)는, 중계축(60)에 마련된 출력 풀리(74),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에 마련된 입력 풀리(75)와, 출력 풀리(74) 및 입력 풀리(75)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76)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76)는 텐션 풀리(77)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76)는 전동 벨트(71)보다도 기체 횡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과 양곡 장치(48)의 회전축(48a)에 걸쳐,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의 동력을 양곡 장치(48)의 회전축(48a)에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78)가 마련되어 있다.A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과 제2 부풍구(33)의 회전축(33a)과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에 걸쳐,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의 동력을 제2 부풍구(33)의 회전축(33a) 및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64)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64)는,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에 마련된 출력 풀리(79)와, 제2 부풍구(33)의 회전축(33a)에 마련된 입력 풀리(80)와,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에 마련된 입력 풀리(81)와, 출력 풀리(79) 및 입력 풀리(80, 81)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82)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82)는 텐션 풀리(83) 및 풀리(84)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82)는 전동 벨트(76)보다도 기체 횡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rotation axis (47a) of the No. 1 screw (47) spans the rotation axis (47a) of the No. 1 screw (47), the rotation axis (33a) of the second vent (33), and the rotation axis (49a) of the No. 2 screw (49). A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과 중계축(85)에 걸쳐,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의 동력을 중계축(85)에 전달하는 체인 전동 기구(86)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축(85)과 2번 환원 장치(50)의 회전축(50a)에 걸쳐, 중계축(85)의 동력을 2번 환원 장치(50)의 회전축(50a)에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87)가 마련되어 있다.A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과 분리 드럼(28)의 회전축(28a)과 중계축(88)과 구동 케이스(89)의 입력축(89a)에 걸쳐,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의 동력을 분리 드럼(28)의 회전축(28a), 중계축(88) 및 구동 케이스(89)의 입력축(89a)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65)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65)는,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에 마련된 출력 풀리(90)와, 분리 드럼(28)의 회전축(28a)에 마련된 입력 풀리(91)와, 중계축(88)에 마련된 입력 풀리(92)와, 구동 케이스(89)의 입력축(89a)에 마련된 입력 풀리(93)와, 출력 풀리(90) 및 입력 풀리(91, 92, 93)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94)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94)는 풀리(95, 96)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94)는 전동 벨트(82)보다도 기체 횡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Across the
또한, 중계축(60)과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에 걸쳐, 중계축(60)의 동력을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63)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63)는, 중계축(60)에 마련된 출력 풀리(74),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에 마련된 입력 풀리(75)와, 출력 풀리(74) 및 입력 풀리(75)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76)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76)는 텐션 풀리(77)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76)는 전동 벨트(71)보다도 기체 횡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과 양곡 장치(48)의 회전축(48a)에 걸쳐,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의 동력을 양곡 장치(48)의 회전축(48a)에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78)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과 제2 부풍구(33)의 회전축(33a)과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에 걸쳐,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의 동력을 제2 부풍구(33)의 회전축(33a) 및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64)(본 발명에 따른 「제1 벨트 전동 기구」에 상당함)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64)는,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에 마련된 출력 풀리(79)와, 제2 부풍구(33)의 회전축(33a)에 마련된 입력 풀리(80)와,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에 마련된 입력 풀리(81)와, 출력 풀리(79) 및 입력 풀리(80, 81)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82)(본 발명에 따른 「제1 전동 벨트」에 상당함)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82)는 텐션 풀리(83) 및 풀리(84)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82)는 전동 벨트(76)보다도 기체 횡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rotation axis (47a) of the No. 1 screw (47) spans the rotation axis (47a) of the No. 1 screw (47), the rotation axis (33a) of the second vent (33), and the rotation axis (49a) of the No. 2 screw (49). A belt transmission mechanism 64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lt transmis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과 중계축(85)에 걸쳐,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의 동력을 중계축(85)에 전달하는 체인 전동 기구(86)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축(85)과 2번 환원 장치(50)의 회전축(50a)에 걸쳐, 중계축(85)의 동력을 2번 환원 장치(50)의 회전축(50a)에 전달하는 베벨 기어 전동 기구(87)가 마련되어 있다.A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과 분리 드럼(28)의 회전축(28a)과 중계축(88)과 구동 케이스(89)의 입력축(89a)(본 발명에 따른 「전동축」에 상당함)에 걸쳐,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의 동력을 분리 드럼(28)의 회전축(28a), 중계축(88) 및 구동 케이스(89)의 입력축(89a)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65)(본 발명에 따른 「제2 벨트 전동 기구」에 상당함)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65)는, 2번 스크루(49)의 회전축(49a)에 마련된 출력 풀리(90)와, 분리 드럼(28)의 회전축(28a)에 마련된 입력 풀리(91)와, 중계축(88)에 마련된 입력 풀리(92)와, 구동 케이스(89)의 입력축(89a)에 마련된 입력 풀리(93)와, 출력 풀리(90) 및 입력 풀리(91, 92, 93)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94)(본 발명에 따른 「제2 전동 벨트」에 상당함)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94)는 풀리(95, 96)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94)는 전동 벨트(82)보다도 기체 횡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중계축(88)과 요동 구동 기구(45)의 구동축(45a)에 걸쳐, 중계축(88)의 동력을 요동 구동 기구(45)의 구동축(45a)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66)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66)는, 중계축(88)에 마련된 출력 풀리(97)와, 요동 구동 기구(45)의 구동축(45a)에 마련된 입력 풀리(98)와, 출력 풀리(97) 및 입력 풀리(98)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99)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99)는 텐션 풀리(100)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99)는 전동 벨트(94)보다도 기체 횡 내측(우측)에 위치하고 있다.A
구동 케이스(89)의 입력축(89a)과 배출 짚 절단 장치(13)의 입력축(13a)에 걸쳐, 구동 케이스(89)의 입력축(89a)의 동력을 배출 짚 절단 장치(13)의 입력축(13a)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67)가 마련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67)는, 구동 케이스(89)의 입력축(89a)에 마련된 출력 풀리(101)와, 배출 짚 절단 장치(13)의 입력축(13a)에 마련된 입력 풀리(102)와, 출력 풀리(101) 및 입력 풀리(102)에 권회되는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103)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벨트(103)는 텐션 풀리(104)에도 권회되어 있다. 전동 벨트(103)는 전동 벨트(94)보다도 기체 횡 내측(우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power of the
구동 케이스(89)는, 입력축(89a)과, 출력축(89b)과, 입력축(89a)의 동력을 배진 팬(29)의 회전축(29a) 및 출력축(89b)에 전달하는 기어 전동 기구(89c)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축(89b)에는, 피드 체인(9)을 구동하는 구동 스프로킷(105)이 마련되어 있다.The
〔개구〕〔Aperture〕
도 5, 도 6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 중 피드 체인(9)이 위치하는 측의 횡 측판(좌측의 횡 측판)(106)에는, 그레인 시브(44)를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부터 착탈하도록, 그레인 시브(44)가 통과 가능한 개구(106a)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횡 측판(106)에는, 개구(106a)를 폐색하는 덮개(107)가 볼트(108)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덮개(107)의 하 연부에는, 좌측의 횡 측판(106) 중 개구(106a)의 하 연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양측으로부터 집어서 당해 부분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편(107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6, and 16, a
측면에서 보아, 전동 벨트(82, 94)가 개구(106a)와 중복되어 있지 않도록, 개구(106a)가 전동 벨트(82)와 전동 벨트(9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106a)는, 좌측의 횡 측판(106)에 있어서, 전동 벨트(82)보다도 상측이고, 또한 전동 벨트(94)보다도 앞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전동 벨트(82)는 개구(106a)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전동 벨트(94)는 개구(106a)보다도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When viewed from the side, an
〔텐션 기구〕[Tension mechanism]
도 5, 도 6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벨트(82)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기구(109)가 마련되어 있다. 텐션 기구(109)는, 전동 벨트(82)에 접촉하는 텐션 풀리(83)와, 텐션 풀리(83)를 지지하는 요동 가능한 텐션 암(110)과, 텐션 암(110)을 텐션 풀리(83)가 전동 벨트(82)에 접촉하는 측으로 요동 가압하는 스프링(111)과, 스프링(111) 중 텐션 암(110)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장착되는 로드(112)와, 조작 레버(113)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5, 6, and 16, a
텐션 풀리(83)는, 전동 벨트(82) 중 하측 경로 부분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텐션 암(110)은,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과 동일한 축심 둘레에서 요동 가능하다. 로드(112)에는, 스프링(111)의 요동 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너트(114)나 헐거움 방지용 로크 너트(11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The
좌측의 횡 측판(106)에는, 로드(112)를 지지하는 지지부(116)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116)는, 개구(106a)의 전방에 있어서, 개구(106a)의 상단보다도 하측이고, 또한 개구(106a)의 하단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로드(112)는, 측면에서 보아 개구(106a) 중 전 하부에 있어서의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부분을 따르는 상태에서 지지부(116)에 지지되어 있다.A
지지부(116)에는, 로드(112)가 들어가는 오목부(116a)와, 조작 레버(113)(걸림 삽입 갈고리(113a))가 걸림 삽입되는 1쌍의 걸림 삽입 구멍(116b)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113)에는, 걸림 삽입 구멍(116b)에 걸림 삽입되는 1쌍의 걸림 삽입 갈고리(113a)와, 로드(112)가 들어가서 로드(112)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릿(113b)과, 파지부(113c)와, 파지부(113c)에 대하여 절곡되는 절곡부(113d)가 형성되어 있다.The
전동 벨트(82)를 긴장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걸림 삽입 갈고리(113a)를 각 걸림 삽입 구멍(116b)에 걸림 삽입시킨 상태에서 파지부(113c)를 좌측의 횡 측판(106)을 향하여 기립시켜 간다. 그렇게 하면, 각 걸림 삽입 구멍(116b)에 대한 각 걸림 삽입 갈고리(113a)의 걸림 삽입이 점차 깊어짐과 함께, 로드(112)가 슬릿(113b)을 따라 절곡부(113d)를 향하여 이동하여 오목부(116a)에 들어간다.In order to tension the
그리고 파지부(113c)의 기립에 수반하여 절곡부(113d)가 지지부(116)에 적재됨과 함께, 너트(114)가 절곡부(113d)에 적재된다. 그리고 스프링(111)의 작용에 의하여 텐션 암(110)이 긴장 방향으로 요동 가압됨과 함께, 절곡부(113d)가 지지부(116)와 너트(114) 사이에 협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텐션 암(110)이 스프링(111)에 의하여 긴장 방향으로 요동 가압됨으로써, 전동 벨트(82)가 긴장 상태로 된다.Then, with the erection of the holding
그리고 전동 벨트(82)를 이완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113c)를 기립 자세로부터 횡 외방(좌방)을 향하여 기울여 간다. 그렇게 하면, 절곡부(113d)가 지지부(116)로부터 이격됨과 함께, 로드(112)가 슬릿(113b)을 따라 절곡부(113d)로부터 파지부(113c)를 향하여 이동하여 오목부(116a)로부터 빠져나온다.In order to place the
그리고 파지부(113c)의 기울어짐에 수반하여 스프링(111)이 자유 길이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프링(111)에 의한 텐션 암(110)의 긴장 방향으로의 요동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전동 벨트(82)가 이완 상태로 된다.And as the
〔내 커버〕〔My Cover〕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횡 측판(106)을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부터 덮는 내 커버(117)가 마련되어 있다. 상측의 커버체(19)는, 내 커버(117)를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내 커버(117)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하측의 커버체(20)는, 좌측의 횡 측판(106) 중 내 커버(117)보다도 하측의 부분을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좌측의 횡 측판(10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내 커버(117)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탈곡 장치(10)에 있어서의 전단부(10A)와 후단부(10B)에 걸쳐져 있다. 내 커버(117)는, 내 커버(117)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분할(본 실시 형태에서는 3분할)되어 구성된 복수의 커버체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 커버(117)는 상기 커버로서, 전 커버체(118)와 중 커버체(119)와 후 커버체(12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0, an
전 커버체(118)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탈곡 장치(10)의 전단부(10A)와 개구(106a)의 전단 직전 부위에 걸쳐져 있다. 전 커버체(118)는, 좌측의 횡 측판(10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전 커버체(118)의 후 연부에는, 중 커버체(119)의 전 연부가 장착되는 전 장착부(118a, 118b, 118c)가 마련되어 있다. 전 장착부(118a, 118b, 118c)는, 측면에서 보아 개구(106a)와 중복되어 있지 않다. 전 커버체(118) 중 전 장착부(118b)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좌방을 향하여 상승되는 상승부(118d)가 마련되어 있다.The
후 커버체(120)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탈곡 장치(10)의 후단부(10B)와 개구(106a)의 후단 직후 부위에 걸쳐져 있다. 후 커버체(120)는 좌측의 횡 측판(10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후 커버체(120)의 전 연부에는, 중 커버체(119)의 후 연부가 장착되는 후 장착부(120a, 120b)가 마련되어 있다. 후 장착부(120a, 120b)는, 측면에서 보아 개구(106a)와 중복되어 있지 않다.The
중 커버체(119)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개구(106a)의 전단 직전 부위와 개구(106a)의 후단 직후 부위에 걸쳐져 있다. 중 커버체(119)는, 개구(106a)의 전후 길이보다도 긴 전후 길이를 갖고 있다. 중 커버체(119)는, 측면에서 보아 개구(106a)의 상측 반부와 중복되어 있다. 중 커버체(119)는, 측면에서 보아 피드 체인(9)과 중복되지 않도록 피드 체인(9)의 하측 경로 부분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중 커버체(119)를 착탈할 때 중 커버체(119)가 피드 체인(9)과 간섭하는 일이 없다.The
중 커버체(119)는 좌측의 횡 측판(10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중 커버체(119)는, 그 전 연부 및 후 연부가 각각 전 장착부(118a, 118b, 118c) 및 후 장착부(120a, 120b)에 기체 횡 외측(좌측)으로부터 중첩된 상태에서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부터 볼트 고정되어 있다.The
중 커버체(119)의 전 연부는 전 장착부(118a, 118b, 118c)에 볼트(12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전 장착부(118a, 118b, 118c) 중 볼트(121)에 대응하는 구멍에는 용접 너트(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중 커버체(119)의 전 연부와 전 커버체(118)의 후 연부 사이의 간극(전방에 개구되는 간극)은 상승부(118d)에 의하여 전방으로부터 덮여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당해 간극으로부터 짚 부스러기 등이 중 커버체(119)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The front edge of the
중 커버체(119)의 후 연부는 후 장착부(120a, 120b)에 볼트(12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후 장착부(120a, 120b) 중 볼트(121)에 대응하는 구멍에는 용접 너트(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The rear edge of the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 커버체(119)는, 그 상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 경사부(119a)와, 상 종벽부(119b)(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에 상당함)와, 하 경사부(119c)와, 하 종벽부(119d)와, 절곡부(119e)를 구비하고 있다. 상 경사부(119a)는 기체 횡 외측(좌측)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하 경사부(119c)는, 상 종벽부(119b)의 하단부로부터 기체 횡 내측(우측) 아래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고, 또한 기체 횡 내측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하 종벽부(119d)는, 하 경사부(119c)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 전측의 하 커버체(23)의 상단부는, 하 종벽부(119d)에 대하여 기체 횡 외측(좌측)으로부터 접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0 to 13, the
상 종벽부(119b)는, 상 경사부(119a)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상 종벽부(119b)는, 중 커버체(119) 중 전측의 하 커버체(23)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하 종벽부(119d))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 종벽부(119d)보다도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중 커버체(119) 중 전측의 하 커버체(23)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하 종벽부(119d))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하 종벽부(119d)보다도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 돌출되는 상 종벽부(119b)가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절곡부(119e)는, 하 종벽부(119d)의 하단부로부터 기체 횡 외측(좌측)으로 절곡되어 전측의 하 커버체(23)의 내부에 들어가 있다. 전측의 하 커버체(23)의 상단부에는, 상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119e)와 절곡부(23a)에 의하여 래버린스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The
〔그레인 시브의 착탈〕[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grain sheave]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의 하 커버체(23)를 분리한 후, 중 커버체(119)를 분리한다. 그리고 중 커버체(119)를 분리한 상태에서 덮개(107)를 분리한 후, 그레인 시브(44)를 개구(106a)를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중 커버체(119)를 분리함으로써, 그레인 시브(44)를 개구(106a)를 통과시킬 때, 중 커버체(119)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도 5 참조), 측면에서 보아, 전동 벨트(82, 94)가 개구(106a)와 중복되어 있지 않고, 게다가 지지부(116)가 개구(106a)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레인 시브(44)를 개구(106a)를 통과시킬 때, 전동 벨트(82, 94)나 로드(112) 및 스프링(111)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전동 벨트(82, 94)나 로드(112) 및 스프링(111)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하여, 중 커버체(119)나 전동 벨트(82, 94), 로드(112) 및 스프링(111)이 방해되는 일 없이 그레인 시브(44)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after removing the front
〔풀리 커버〕〔Pulley Cover〕
도 9,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 스크루(47)의 회전축(47a)에 마련된 입력 풀리(75) 및 출력 풀리(79)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풀리 커버(122)가 마련되어 있다. 풀리 커버(122)는, 전측의 하 커버체(23)의 하단부와 기체 프레임(1)의 좌 연부의 좌우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풀리 커버(122)는, 전동 벨트(76)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상태에서, 주풍구(31)의 회전축(31a)보다도 앞쪽의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풀리 커버(122)는, 기체 프레임(1)의 좌 연부로부터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스테이(123)(전후 2군데)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11, and 14, a
풀리 커버(122)에는, 전후로 긴, 긴 구멍(122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긴 구멍(122a)은, 좌우 및 전후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풀리 커버(122)의 좌단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상승되는 상승부(122b)가 마련되어 있다. 상승부(122b)의 상단부에는, 기체 횡 외측(좌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풀리 커버(122)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상승되는 상승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In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풍구(31) 등의 바람에 의하여 운반된 짚 부스러기(예를 들어 피드 체인(9)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토막 짚)가 풀리 커버(122) 상에 퇴적되었다고 하더라도, 풀리 커버(122) 상의 짚 부스러기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흐를 때, 긴 구멍(122a)이나 풀리 커버(122)에 있어서의 전단부나 후단부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때, 상술한 바와 같이, 긴 구멍(122a)이 전후로 긴 것이기 때문에, 풀리 커버(122) 상의 짚 부스러기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흐를 때 긴 구멍(122a)으로부터 떨어지기 쉽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straw debris carried by the wind from the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116)는, 개구(106a)의 전방에 있어서, 개구(106a)의 상단보다도 하측이고, 또한 개구(106a)의 하단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개구(106a)의 전방에 있어서, 개구(106a)의 상단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는 지지부(116)는, 개구(106a)의 전방에 있어서, 개구(106a)의 하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는 지지부(116)는, 개구(106a)의 상방 또는 하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벨트(94)는 분리 드럼(28)(입력 풀리(91))에도 권회되어 있지만, 분리 드럼(28)에 권회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벨트(94)는 전동 벨트(82)보다도 기체 횡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전동 벨트(82)보다도 기체 횡 내측(우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 커버(117)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3분할되어 있지만, 2분할 또는 4분할 이상 되어 있어도 된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측의 하 커버체(23)의 상단부가 중 커버체(119)의 하단부(하 종벽부(119d))에 대하여 기체 횡 외측(좌측)으로부터 접하고 있지만, 중 커버체(119)의 하단부(하 종벽부(119d))에 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5) In the above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front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 커버체(119)의 하단부(하 종벽부(119d))에 기체 횡 외측(좌측)으로 절곡되어 전측의 하 커버체(23)의 내부에 들어가는 절곡부(119e)가 형성되어 있지만, 절곡부(119e)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6) In the above embodiment, the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 커버체(119) 중 전측의 하 커버체(23)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하 종벽부(119d))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하 종벽부(119d)보다도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 돌출되는 상 종벽부(119b)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 종벽부(119b)가 하 종벽부(119d)보다도 기체 횡 외방(좌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7)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ortion of the
(8)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 커버체(119)를 분리하면, 측면에서 보아 텐션 기구(109)(조작 레버(113))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 커버체(119)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중 커버체(119)(도 9 참조)의 전단의 위치보다도 앞쪽의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다른 실시 형태(1)에서는, 중 커버체(119)는, 중 커버체(119)를 분리하면, 측면에서 보아 텐션 기구(109)(조작 레버(113))가 노출되도록, 조작 레버(113)의 상단보다도 앞쪽의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 커버체(119)를 분리함으로써 텐션 기구(109)의 조정(조작 레버(113)의 조작)이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8) As shown in Fig. 15, when the
또한, 〔콤바인의 전체 구성〕Additionally, [overall composition of the combine]
도 17 및 도 18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본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001)과, 기체 프레임(100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100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운전 캐빈(1003)이 마련되어 있다. 운전 캐빈(1003)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1004)와, 운전부(1004)를 덮는 캐빈(1005)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1004)의 하방에는 엔진(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Figures 17 and 18 show a self-contained combine. This combine is equipped with a
운전 캐빈(1003)의 전방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1006)가 마련되어 있다. 운전 캐빈(100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1007)가 마련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100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008)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협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1009)이 마련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1007)의 좌측 옆에는 탈곡 장치(1010)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1010)는, 급동(1011)을 가짐과 함께 피드 체인(1009)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1010)의 후측에는 배출 짚 반송 장치(1012)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012)는, 피드 체인(1009)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협지 반송한다. 배출 짚 반송 장치(1012)는 배출 짚 프레임(도시 생략)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의 반송 종단부 측위의 하방에는, 배출 짚 반송 장치(1012)에 의하여 반송된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1028)가 마련되어 있다.In front of the
예취부(1006)는 복수 베기 사양(예를 들어 6조 베기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1006)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013)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일으킴 장치(1014)와 절단 장치(1015)와 반송 장치(1016)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013)는 포장의 식립 곡간을 분초한다. 일으킴 장치(1014)는 분초된 식립 곡간을 일으킨다. 절단 장치(1015)는 일으켜진 식립 곡간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016)는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1010)를 향하여 후방으로 반송한다.The reaping
피드 체인(1009)을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1029)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1029)은, 피드 체인(1009) 중 상측 경로에 대응하는 부분을 안내 지지하고 있다. 가이드 프레임(1029)은, 피드 체인(1009) 중 상측 경로에 있어서의 반송 시단부와 반송 종단부에 걸쳐져 있다.A
〔탈곡 장치〕[Threshing device]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10)의 상부에는 급실(1017)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1017)에는 급동(1011)이 마련되어 있다. 급동(10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 Y1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다. 급동(1011)의 하방에는 받침망(1018)이 마련되어 있다. 급실(1017)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019)이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9, a
탈곡 장치(1010)의 하부에는, 선별 대상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1020), 요동 선별 장치(1020)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1021),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1022), 2번물의 곡립(지경(枝梗)이 붙은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1023) 등이 마련되어 있다.At the lower part of the
1번 회수부(1022)에는, 1번물의 곡립을 우방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1024)가 마련되어 있다. 1번 스크루(1024)의 우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1007)로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1025)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In the No. 1
2번 회수부(1023)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우방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1026)가 마련되어 있다. 2번 스크루(1026)의 우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1020)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1027)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The No. 2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1017)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벽부(1034)가 마련되어 있다. 전측의 벽부(1034)는 급실(1017)의 전 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후측의 벽부(1034)는 급실(1017)의 후 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벽부(1034)는 가동 벽(1035)과 고정 벽(1036)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벽(1035)에는, 급동(1011)이 급동축(1011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벽(1035)과 고정 벽(1036)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암(1037)이 마련되어 있다. 가동 벽(1035)은 연결 암(1037)을 통하여,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Y2 둘레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고정 벽(1036)에 지지되어 있다. 전측의 고정 벽(1036)과 후측의 고정 벽(1036)에 걸쳐, 상기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는 전동축(1038)이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1010)의 좌우 양 측부에는 각각,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향 프레임(1040L·1040R)이 마련되어 있다.19 to 21,
급동(1011)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급동 커버(1042)가 마련되어 있다. 급동 커버(1042)의 우측 옆에는 우 상부 커버(1043)가 마련되어 있다. 우 상부 커버(1043)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둘레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우측의 전후향 프레임(1040R)에 지지되어 있다.A
급동(1011)을 지지함과 함께 요동 축심 Y2 둘레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급동 프레임(1044)이 마련되어 있다. 급동 프레임(1044)은, 전후 1쌍의 가동 벽(1035)과, 좌측의 전후향 프레임(1040L)을 구비하고 있다. 급동 프레임(1044)에는 급동 커버(1042)도 지지되어 있다.A
급동 프레임(1044)을 상하 요동시키는 실린더(1045)(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에 상당함)가 마련되어 있다. 실린더(1045)는 후측의 가동 벽(1035)과 후측의 고정 벽(1036)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린더(1045)는 전동 실린더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1045)의 신장 동작에 의하여 급동 프레임(1044)이 상승하고, 실린더(1045)의 길이 축소 동작에 의하여 급동 프레임(1044)이 하강한다.A cylinder 1045 (equivalent to an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swinging the
급동(1011)을, 탈곡 처리를 행하는 탈곡 처리 위치에 위치 유지하는 급동 로크 기구(1046)가 마련되어 있다. 급동 로크 기구(1046)는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1047)와 전후 1쌍의 급동 훅 핀(1048)을 구비하고 있다. 전측의 벽부(1034) 및 후측의 벽부(1034)의 각각에 훅 플레이트(1047)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Y3 둘레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훅 플레이트(1047)의 선단부에는, 급동 훅 핀(1048)에 걸림 결합 가능한 훅부(1047a)가 마련되어 있다. 훅부(1047a)가 급동 훅 핀(1048)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급동(1011)이 탈곡 처리 위치에 위치 유지된다. 급동 훅 핀(1048)에 대한 훅부(1047a)의 걸림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급동 프레임(1044)과 함께 급동(1011)이 실린더(1045)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1047)를 요동 구동하는 모터 M이 후측의 벽부(1034)의 후면에 지지되어 있다. 모터 M에 의하여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1047)가 걸림 결합측 및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A
〔사이드 커버〕[side cover]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10) 중 피드 체인(1009)이 위치하는 측의 횡 측부(좌측부)에 있어서의 기체 최횡 외측에는 사이드 커버(1050)가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1050)는 탈곡 장치(1010)의 좌측 벽을 덮는 것이며, 당해 좌측 벽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사이드 커버(1050)는 상측의 커버체(1051)와 하측의 커버체(1052)로 상하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커버체(1051)는 전측의 상 커버체(1053)와 후측의 상 커버체(1054)로 전후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측의 커버체(1052)는 전측의 하 커버체(1055)와 후측의 하 커버체(1056)로 전후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7, a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의 상 커버체(1053)를 탈곡 장치(1010)의 좌측 벽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전후 1쌍의 로크 기구(1057)가 마련되어 있다. 전측의 로크 기구(1057)는, 훅 걸림 결합 프레임(1058)과, 훅 걸림 결합 프레임(1058)에 걸림 결합 가능한 훅(1059), 받침구(1060A), 훅(1060B)과, 훅(1059)을 걸림 결합 해제 조작하는 핸들(1061)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22 to 24, a pair of front and
훅 걸림 결합 프레임(1058)은, 환봉 부재가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훅 걸림 결합 프레임(1058)은, 지지 프레임(1063)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1063)에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1029)의 전부에는, 지지 프레임(1063)이 장착되는 장착부(1064)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063)은 장착부(106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장착부(1064)에는 지지 프레임(1063)의 상단부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The hooked
〔조작 스위치〕[Operation switch]
도 22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045)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1062)(본 발명에 따른 「조작 부재」에 상당함)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1062)는, 실린더(1045)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대하여, 실린더(1045)의 신장 동작에 의하여 급동 프레임(1044)을 상승시키는 상승 명령과, 실린더(1045)의 길이 축소 동작에 의하여 급동 프레임(1044)을 하강시키는 하강 명령을 발령한다. 조작 스위치(1062)는, 상승 명령을 발령하는 상승 조작부(1062a)와, 하강 명령을 발령하는 하강 조작부(1062b)와, 배선 W가 접속되는 접속부(1062c)를 구비하고 있다. 상승 조작부(1062a)를 누름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급동 프레임(1044)이 상승하고, 하강 조작부(1062b)를 누름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급동 프레임(1044)이 하강한다.As shown in FIGS. 22 to 26, an operating switch 1062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operating the
조작 스위치(1062)는 탈곡 장치(1010)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 스위치(1062)는 탈곡 장치(1010)의 곡간 입구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1062)는, 측면에서 보아, 전측의 핸들(1061)에 대하여 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조작 스위치(1062)는, 전측의 상 커버체(1053)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조작 스위치(1062)는, 피드 체인(1009)의 반송 시단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스위치(1062)는, 피드 체인(1009)의 하측 경로에 있어서의 반송 시단부의 하단 P보다도 하측이고, 또한 전측의 상 커버체(1053)와 전측의 하 커버체(1055)의 경계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여기서, 도 17 및 도 22에 있어서, 기체에 대하여 좌측의 포장에 있어서의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의 높이를 H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의 높이 H는 예시이며, 다소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조작 스위치(1062)는, 아직 베지 않은 곡간의 높이 H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스위치(1062)가, 조작 스위치(1062) 근처에 선 작업자의 눈 높이에 근접하게 되어, 작업자가 조작 스위치(1062)를 시인하기 쉽다(도 17 참조).Here, in Figures 17 and 22, the height of the grain stem that has not yet been cut in the field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is indicated by H. In addition, the height H of the grain stem that has not yet been cut as shown in the drawing is an example and may be slightly higher or lower. The
전측의 상 커버체(1053)에는, 조작 스위치(1062)가 노출되는 개구(1053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053a)는 대략 사각 형상(구체적으로는 약간 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의 개구이다. 전측의 상 커버체(1053) 중 개구(1053a)에 대응하는 부분은, 그 주위보다도 전측의 상 커버체(1053)의 이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조작 스위치(1062)는 개구(1053a)로부터 노출되어 있지만, 개구(1053a)로부터 기체 횡 외측(좌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An
여기서, 조작 스위치(1062)는 전측의 상 커버체(1053)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전측의 상 커버체(1053)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조작 스위치(1062)를 개구(1053a)를 통하여 조작할 수 있음과 함께, 전측의 상 커버체(1053)가 분리되더라도 조작 스위치(1062)가 기체측에 남게 되어, 전측의 상 커버체(1053)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조작 스위치(1062)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측의 상 커버체(1053)를 분리할 때, 배선 W를 접속부(1062c)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다.Here, the
〔조작 스위치의 지지 구조〕[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1062)는 지지 프레임(1063) 및 지지 브래킷(1066)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063) 및 지지 브래킷(106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지지 프레임(1063) 및 지지 브래킷(1066)은 장착부(1064)를 통하여 가이드 프레임(1029)에 지지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1062)는, 그 조작면이 기체 횡 외측(좌측)의 바로 옆을 향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1066)은, 지지 프레임(106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1063)에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 프레임(1063)은 지지 브래킷(1066)용과 훅 걸림 결합 프레임(1058)용에 겸용되고 있다.23 to 26, the
지지 브래킷(1066)은, 조작 스위치(1062)를 수용하는 수용부(1067)와, 조작 스위치(1062)가 장착되는 장착부(1068)와, 장착부(1068)를 지지하는 지지부(1069)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1067)는, 기체 횡 내측(우측)으로 개구되는 상자형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용부(1067)는, 그 외측면이 수직으로 되는 자세로 지지 프레임(1063)에 지지되어 있다. 장착부(1068)에는, 조작 스위치(1062)가 끼워 넣어지는 끼워 넣기 구멍(1068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069)은, 판형 부재가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양 단부가 수용부(1067)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1069)의 내부에는 장착부(1068)가 고정되어 있다.The
지지 프레임(1063)과 탈곡 장치(1010)의 전 벽부(1010A)(본 발명에 따른 「탈곡 장치의 벽부」에 상당함)를 연결하는 스테이(1070)가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1070)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향부(1071)와, 횡향부(1071)의 좌단부에 마련되는 좌 고정부(1072)와, 횡향부(1071)의 우단부에 마련되는 우 고정부(1073)를 구비하고 있다. 우 고정부(1073)는 전 벽부(1010A)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063)의 하부에는, 좌 고정부(1072)가 볼트 고정되는 피고정부(1074)가 마련되어 있다. 횡향부(1071)를 따라 조작 스위치(1062)용 배선 W를 깔아놓을 수 있다.A
조작 스위치(1062)를 기체 횡 외측(좌측)으로부터 덮는 스위치 커버(1075)가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 커버(1075)는 투명한 탄성체(예를 들어 투명한 비닐제의 시트)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커버(1075)는, 지지 브래킷(1066) 중 상면으로부터 좌측면의 하단부까지 걸쳐질 정도의 상하 길이를 갖고, 또한 지지 브래킷(1066)의 전후 길이와 같은 정도의 전후 길이를 갖고 있다. 스위치 커버(1075)는 지지 브래킷(1066)의 좌측면과 전측의 상 커버체(1053)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A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1)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1062)를, 그 조작면이 좌 상방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수용부(1067)는, 그 외측면이 좌 상방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지지 프레임(1063)에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 스위치(1062) 근처에 선 작업자가 조작 스위치(1062)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내려다볼 때 조작 스위치(1062)를 보다 시인하기 쉽다(도 17 참조).(1) As shown in FIG. 27, the
(2)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067)의 저부가 하측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짚 부스러기 등을 당해 개구로부터 떨어뜨릴 수 있다.(2) As shown in FIG. 28, the bottom of the
(3)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커버(1075)에, 조작 스위치(1062)의 형상에 맞는 형상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조작 스위치(1062)는 수용부(1067)에 장착되어 있다. 또는 스위치 커버(1075)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3) As shown in FIG. 29, a shaped portion matching the shape of the
(4)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급동 프레임(1044)과 함께 요동 축심 Y2 둘레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scharge straw frame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winging up and down around the swing axis Y2 together with the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부재」가 조작 스위치(106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조작 레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5)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r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the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가 실린더(1045)(전동 실린더)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유압 실린더 또는 모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6) In the above embodiment,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a cylinder 1045 (electric cylinder), but may be configured by a hydraulic cylinder or a motor.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측의 상 커버체(1053)에 개구(1053a)가 형성되어 있지만, 개구(1053a)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개구(1053a)가 있는 사양(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1062)를 구비하는 사양)과 개구(1053a)가 없는 사양(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1062)를 구비하지 않는 사양)은, 전측의 상 커버체(1053)를 성형하는 형을 겸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개구(1053a)가 없는 사양에 있어서, 전측의 상 커버체(1053) 중 개구(1053a)가 막혀 있는 부분을, 예를 들어 주의 마크를 부착하는 장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7) In the above embodiment, an
또한, (8) 조작 스위치(1062)의 지지 구조로서, 도 30 내지 도 35에 도시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Additionally, (8) as a support structure for the
〔사이드 커버〕[side cover]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10) 중 피드 체인(1009)이 배치된 횡 측부(좌측부)에 있어서의 기체 최횡 외측에는, 탈곡 장치(1010)의 좌측을 덮는 사이드 커버(1050)가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1050)는 상측의 상부 커버체(1051)와 하측의 하부 커버체(1052)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체(1051)는 전후 방향으로 2분할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커버체(1052)는 전후 방향으로 2분할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0, on the lateralmost outer side of the body on the lateral side (left side) where the
도 30, 도 32,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의 상부 커버체(1051)는, 로크 기구(0157)에 의하여 탈곡 장치(1010)의 좌측의 측벽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크 기구(0157)는, 훅 걸림 결합 프레임(0158)과, 훅 걸림 결합 프레임(0158)에 걸림 결합 가능한 훅(0159)과, 받침구(0160A)와, 훅(0160B)과, 훅(0159)을 걸림 결합 해제 조작하는 핸들(0161)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30, 32, and 33, the front
사이드 커버(1050)를 구성하는 상부 커버체(1051)와 하부 커버체(1052)는, 도 30, 도 32, 도 33에 도시하는 구조와 공통되는 구조의 로크 기구(0157)에 의하여 로크 상태에서 보유 지지되고, 로크 기구(0157)의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10)의 전 벽부(1010A)(탈곡 장치(1010)의 전단부의 구체예)에 대하여, 고정판(0171)을 통하여 외방으로 돌출되는 자세로 스테이(017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스테이(0170)는 전체가 봉형이며, 돌출 단의 지지판(0172)을 통하여 지지 프레임(0177)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1 to 33, with respect to the
지지 프레임(0177)은 세로로 긴 자세로 설정되며, 상단에 장착부(0176)를 통하여 가이드 프레임(1029)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0177)은 하부에 보유 지지판(017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보유 지지판(0173)에 대하여 지지판(0172)이 볼트에 의하여 연결된다.The support frame (0177) is set in a vertically long position, and a guide frame (1029) is provided at the top through a mounting portion (0176). This support frame 0177 is provided with a holding plate 0173 at the bottom, and a supporting plate 0172 is connected to this holding plate 0173 by bolts.
이 지지 프레임(0177)에 대하여 훅 걸림 결합 프레임(0158)이 지지되어 있다. 이 훅 걸림 결합 프레임(0158)은 절곡된 환봉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훅 걸림 결합 프레임(0158)에서는, 상부와 하부의 평행 자세의 피결합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형태로 되며, 상부의 피결합 프레임부에 받침구(0160A)가 걸림 결합하고, 하부의 피결합 프레임부에 훅(0160B)이 걸림 결합한다. 또한 로크 기구(0157)가 로크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부의 피결합 프레임부에 훅(0159)이 걸림 결합한다.A hooked frame 0158 is supported on this support frame 0177. This hooked frame 0158 is composed of bent round bar members. In this hooked frame 0158, the hooked frame 0158 is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engaging frame parts in a parallel posture, a support 0160A is hooked to the upper engaging frame part, and the lower engaging frame part is engaged. The hook (0160B) is engaged and connected. Additionally, when the locking mechanism 0157 is in the locked state, the hook 0159 is engaged with the upper engaging frame portion.
〔조작 스위치〕[Operation switch]
도 30 내지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체(1051)의 전단 위치의 외측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스위치(1062)(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 스위치(1062)는, 케이스형의 스위치 본체에 대하여 상측의 상승 조작부(1062a)를 압입하는 조작과 하측의 하강 조작부(1062b)를 압입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 조작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30 to 35, an operation switch 1062 (operating member) is provided so that the
탈곡 장치(1010)는,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 M과 실린더(1045)(도 20, 도 21를 참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어 장치는, 조작 스위치(1062)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 신호를 취득함과 함께, 모터 M과 실린더(104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As explained in the embodiment, the threshing
도 30,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체(1051)에는, 조작 스위치(1062)의 상승 조작부(1062a)와 하강 조작부(1062b)를 갖는 조작면을 노출시키는 구멍부(1051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051a)는 대략 사각 형상이며, 상부 커버체(1051)에 있어서 구멍부(1051a)에 대응하는 부분은, 그 주위보다 움푹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조작 스위치(1062)가 상부 커버체(1051)에 묻히도록 배치되고, 조작 스위치(1062)의 조작부면이 상부 커버체(1051)의 외벽면(1051s)보다 외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조작부면과 상부 커버체(1051)의 외벽면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0 and 34, the
〔조작 스위치의 지지 구조〕[Support structure of the operation switch]
도 30, 도 31, 도 34,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1062)(조작 부재)는 스위치 프레임 F를 통하여 탈곡 장치(1010)의 전 벽부(1010A)(탈곡 장치(1010)의 전부 위치의 구체예)에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0, 31, 34, and 35, the operation switch 1062 (opera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스위치 프레임 F는, 조작 스위치(1062)를 수용하는 브래킷(0164)과, 이 브래킷(0164)의 상부에 연결되는 종향 자세의 상부 플레이트(0165)와, 상부 플레이트(0165)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암(016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 스위치(1062)의 하측에는, 하측일수록 기체 내측으로 경사지는 자세의 경사판(0155)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사판(0155)은, 사이드 커버(1050)의 내면에 있어서, 경사 자세로 지지된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The switch frame F includes a bracket 0164 for accommodating the
이 스위치 프레임 F에서는, 브래킷(0164)의 이면측(기체의 내방을 향하는 측)에 스위치 수용부(0164s)(수용부의 구체 구성)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스위치 수용부(0164s)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1062)를 덮는 커버 부재(0167)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조작 스위치(1062)는 스위치 수용부(0164s)에 끼워 넣어지고, 커버 부재(0167)에 의하여 상부와 한쪽 측부가 덮이는 상태에서 지지된다.In this switch frame F, a switch accommodating portion 0164s (spherical configura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bracket 0164 (the side facing the inside of the aircraft), and in this switch accommodating portion 0164s, an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It is provided with a cover member (0167) that covers (1062). From this configuration, the
중간 암(0166)은 띠판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암부(0166a)와, 이 주 암부(0166a)의 내단측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0165)와 평행인 자세로 굴곡되는 연결부(016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결부(0166b)는, 탈곡 장치(1010)의 전단부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부재(1010B)에 볼트에 의하여 연결된다.The middle arm 0166 is formed of a strip plate, and has a main arm portion 0166a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uselage, and an inner end side of the main arm portion 0166a that is bent in a position parallel to the upper plate 0165.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0166b). Moreover, the connection part 0166b is connected to the
또한, 주 암부(0166a)에는, 이 주 암부(0166a)의 상부에 용접에 의하여 접속되고, 또한 하측일수록 주 암부(0166a)로부터 이격되는 경사 자세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보강 암부(0166c)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강 암부(0166c)의 외단부는 상부 플레이트(0165)에 용접 고정되고, 내단부는 연결부(0166b)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ain arm portion 0166a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arm portion 0166a by welding, and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arm portion 0166c made of a plate material in an inclined posi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arm portion 0166a at the lower side. . The outer end of this reinforcing arm portion 0166c is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plate 0165, and the inner end is weld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0166b.
이 스위치 프레임 F는 브래킷(0164)의 상부에 상부 플레이트(0165)를 용접 고정하고, 상부 플레이트(0165)의 상단에 중간 암(0166)의 주 암부(0166a)의 외단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특히 주 암부(0166a)는, 피드 체인(1009)의 반송측 경로(가이드 프레임(1029)으로 지지되는 측)와 복귀측 경로(가이드 프레임(1029)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측) 사이의 공간을 삽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In this switch frame F, the upper plate 0165 is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0164, and the outer end of the main arm portion 0166a of the middle arm 0166 is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0165. In particular, the main arm portion 0166a fills the space between the conveyance side path (the side supported by the guide frame 1029) and the return side path (the side spaced downward from the guide frame 1029) of the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0164)은, 외면측의 종벽(0164a)과,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1쌍의 측벽(0164b)과, 상부 벽(0164c)을 구비함으로써, 기체 내방과 하방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0167)는, 단일의 측벽부(0167a)와, 상벽부(0167b)를 구비함으로써, 기체 내방과 하방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35, the bracket 0164 has a vertical wall 0164a on the outer surface side, a pair of side walls 0164b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aircraft, and an upper wall 0164c, so that the bracket 0164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aircraft. It has a structure that is open downwards.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0167 has a single side wall portion 0167a and an upper wall portion 0167b, and thus has a structure that is open inward and downward of the body.
브래킷(0164)의 외면측의 종벽(0164a)에는 관통 구멍형의 개구(0164d)가 형성되며, 이 개구(0164d)로부터 조작부면이 노출되도록 조작 스위치(1062)의 스위치 본체가 브래킷(0164)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조작 스위치(1062)를 구비한 상태에서는, 조작 스위치(1062)의 하방이 개방되기 때문에,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이 조작 스위치(1062)에 부착되는 일 없이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배출된다.A through-hole-shaped opening 0164d is formed in the vertical wall 0164a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racket 0164, and the switch body of the
도 31,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프레임 F에 지지되는 조작 스위치(1062)는 피드 체인(1009)의 반송측 경로와 복귀측 경로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조작 스위치(1062)의 조작 상태를 취출하는 배선은 피드 체인(1009)의 하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0164)의 상부 벽(0164c)으로부터 종벽(0164a)을 덮는 스위치 커버(0175)를 구비하고 있는, 이 스위치 커버(0175)는, 투명하고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비닐재 등의 수지 시트로 구성되며, 상부 커버체(1051)의 내면과 브래킷(0164)의 종벽(0164a)의 외면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상태로 배치된다.31 and 34, the
〔다른 실시 형태 (8)의 작용 효과〕[Operation and effect of other embodiment (8)]
이와 같이 조작 스위치(1062)를, 피드 체인(1009)보다 외측의 상부 커버체(1051)의 외면에 노출시키는 형태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급동(1011)(도 19 내지 도 21 등을 참조)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급동(1011)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급동(1011)이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급동(1011)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업자가 위치하기 때문에 급실(1017)(도 19을 참조)의 내부의 확인이 용이해지며, 예를 들어 내부의 곡간의 제거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특히 조작 스위치(1062)의 조작면이 상부 커버체(1051)의 구멍부(1051a)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되기는 하지만, 상부 커버체(1051)의 외벽면(1051s)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잘못 조작부면에 접촉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작업 시에 수목의 가지가 사이드 커버(1050)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조작 스위치(1062)가 오조작되는 문제도 해소된다.In particular, although the operating surface of the
또한 스위치 프레임 F를 통하여 조작 스위치(1062)를 탈곡 장치(1010)에 지지함으로써, 피드 체인(1009)으로부터의 진동을 조작 스위치(1062)에 전달하는 일이 없는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작 스위치(1062)를 공진시키는 것이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Furthermore, by supporting the
이 구성에서는, 스위치 프레임 F를 구성하는 브래킷(0164)의 스위치 지지 공간이 하방으로 개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지지 공간에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이 침입하더라도 이들이 체류하지 않고 낙하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에 포함되는 수분이 스위치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witch support space of the bracket 0164 constituting the switch frame F is configured to be open downward, even if straw or dust, etc., enters the support space, they do not stay but are discharged by falling. This prevents moisture contained in, for example, straw scraps or dust from affecting the switch.
또한, 스위치 프레임 F를 구성하는 주 암부(0166a)에 보강 암부(0166c)를 구비함으로써, 주 암부(0166a)의 굽힘 강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이 보강 암부(0166c)가 경사 자세로 구비되기 때문에, 보강 암부(0166c)에 짚 부스러기나 진애가 묻더라도 미끄러지게 하여 떨어뜨리는 것이 가능해져, 짚 부스러기나 진애가 잔류하는 문제도 해소된다. 또한 경사판(0155)을 구비함으로써, 짚 부스러기나 진애를 기체 외방의 포장면에 산란시키는 일도 없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reinforcing arm portion 0166c to the main arm portion 0166a constituting the switch frame F, the bending rigidity of the main arm portion 0166a is improved and the reinforcing arm portion 0166c is provided in an inclined position. , Even if straw debris or dust gets on the reinforcing arm part (0166c), it is possible to slide it off, eliminating the problem of straw debris or dust remaining. Additionally, by providing the inclined plate 0155, straw debris and dust are not scattered on the pavement outside the aircraft.
(9) 다른 실시 형태 (8)에 나타낸 구성 대신, 스위치 프레임 F를 구성하는 중간 암(0166)을 피드 체인(1009)의 복귀측 경로의 하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중간 암(0166)을 배치하는 것에서는, 다른 실시 형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드 체인(1009)의 반송측 경로와 복귀측 경로의 중간에 삽통하는 것과 비교하여 배치가 용이해지며, 예를 들어 중간 암(0166)으로서, 각 파이프재 등의 높은 강도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한층 더 견고하게 조작 스위치(1062)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9) Instead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other embodiment (8), the intermediate arm 0166 constituting the switch frame F may be disposed below the return side path of the
(10) 스위치 프레임 F의 구조는, 다른 실시 형태 (8)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중간 암(0166)의 외단 위치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브래킷(1064)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스위치 프레임 F의 부품 개수를 적게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비용의 저감도 가능해진다.(10) The structure of the switch frame F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other embodiment (8), and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a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예를 들어 자탈형 콤바인)에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ordinary combines in addition to self-contained combines.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mbines (for example, self-driving combines).
10: 탈곡 장치
11: 급동
13: 배출 짚 절단 장치
19: 상측의 커버체(외 커버)
20: 하측의 커버체(하 커버)
28: 분리 드럼
30: 요동 선별 장치
34: 1번 회수부
35: 2번 회수부
44: 그레인 시브
47: 1번 스크루
47a: 1번 스크루의 회전축
49: 2번 스크루
49a: 2번 스크루의 회전축
64: 벨트 전동 기구(제1 벨트 전동 기구)
65: 벨트 전동 기구(제2 벨트 전동 기구)
82: 전동 벨트(제1 전동 벨트)
83: 텐션 풀리
89a: 입력축(전동축)
94: 전동 벨트(제2 전동 벨트)
106: 횡 측판
106a: 개구
109: 텐션 기구
110: 텐션 암
111: 스프링
112: 로드
116: 지지부
117: 내 커버
118: 전 커버체(커버체)
119: 중 커버체(커버체, 착탈 가능한 커버체)
119b: 상 종벽부(돌출부)
119e: 절곡부
120: 후 커버체(커버체)
X1: 축심
1009: 피드 체인
1010: 탈곡 장치
1010A: 전 벽부(탈곡 장치의 벽부)
1011: 급동
1029: 가이드 프레임
1044: 급동 프레임
1045: 실린더(액추에이터)
1050: 사이드 커버
1051: 상측의 커버체
1053a: 개구
1062: 조작 스위치(조작 부재)
1063: 지지 프레임(지지 부재)
1066: 지지 브래킷(지지 부재)
1070: 스테이
0155: 경사판
0164: 브래킷
0164s: 스위치 수용부
0166: 중간 암(암)
0166a: 주 암부
0166c: 보강 암부
F: 스위치 프레임(프레임)10: threshing device
11: sudden action
13: Discharge straw cutting device
19: Upper cover body (outer cover)
20: Lower cover body (lower cover)
28: separation drum
30: Oscillation sorting device
34:
35:
44: Grain Sieve
47: Screw No. 1
47a: Rotation axis of screw No. 1
49: Screw No. 2
49a: Rotation axis of screw No. 2
64: Belt transmission mechanism (first belt transmission mechanism)
65: Belt transmission mechanism (second belt transmission mechanism)
82: Power belt (first power belt)
83: Tension pulley
89a: Input shaft (transmission shaft)
94: Power belt (second power belt)
106: Transverse side plate
106a: opening
109: Tension mechanism
110: Tension arm
111: spring
112: load
116: support part
117: My cover
118: Full cover body (cover body)
119: Middle cover body (cover body, removable cover body)
119b: Upper longitudinal wall (protrusion)
119e: bend part
120: Rear cover body (cover body)
X1: Axis
1009: Feed chain
1010: Threshing device
1010A: Front wall (wall of threshing device)
1011: sudden movement
1029: Guide frame
1044: Rapid action frame
1045: Cylinder (actuator)
1050: Side cover
1051: Upper cover body
1053a: opening
1062: Operation switch (operation member)
1063: Support frame (support member)
1066: Support bracket (support member)
1070: Stay
0155: Inclined plate
0164: bracket
0164s: switch receptor
0166: Intermediate cancer (cancer)
0166a: Main Ambu
0166c: Reinforced arm part
F: Switch frame (frame)
Claims (30)
상기 탈곡 장치는, 급동과, 상기 급동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선별 대상물을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를 갖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고운 선별용 그레인 시브를 갖고,
상기 탈곡 장치의 횡 측판에, 상기 그레인 시브가 통과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횡 측판을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는 내 커버와,
상기 내 커버를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상기 내 커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외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내 커버는, 상기 내 커버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분할되어 구성된 복수의 커버체를 갖고,
상기 복수의 커버체 중, 측면에서 보아 상기 개구와 중복되는 커버체는, 상기 복수의 커버체 중 측면에서 보아 상기 개구와 중복되어 있지 않은 커버체에 대해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콤바인.It is a combine equipped with a threshing device that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em,
The threshing device has a barrel and a rocking sorting device provided below the barrel and shaking and sorting the sorting object,
The oscillation sorting device has a fine sorting grain siev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outer side of the body,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grain sieve can pass is formed in the transverse side plate of the threshing device,
an inner cover covering the transverse side plate from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fuselage;
An outer cover is provided that covers the inner cover from the outer side of the fuselage and is removable from the inner cover,
The inner cover has a plurality of cover bodies configured by dividing the inner cov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craft,
Among the plurality of cover bodies, a cover body that overlaps the opening in a side view is a combine detachably fixed from the outside of the fuselage to a cover body that does not overlap the opening in the side view among the plurality of cover bodies. .
상기 횡 측판 중 상기 내 커버보다도 하측의 부분을 기체 횡 외방으로부터 덮는 하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하 커버의 상단부는, 착탈 가능한 상기 커버체의 하단부에 대하여 기체 횡 외측으로부터 접하고 있는 콤바인.According to paragraph 1,
A lower cover is provided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transverse side plates lower than the inner cover from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aircraft,
A combin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emovable cover body from the lateral outer side of the body.
상기 착탈 가능한 커버체의 하단부에, 기체 횡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 커버의 내부에 들어가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According to paragraph 2,
A combine in which a bent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etachable cover body, which is bent outward horizontally to the body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lower cover.
상기 착탈 가능한 커버체 중 상기 하 커버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보다도 상측의 부분에, 상기 하 커버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보다도 기체 횡 외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According to paragraph 2 or 3,
A combine in which a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laterally to the body tha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removable cover body above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상기 탈곡 장치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에 마련됨과 함께 1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이면서 상기 1번 회수부의 후방에 마련됨과 함께 2번물의 곡립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를 갖고,
상기 1번 회수부는, 곡립을 기체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를 갖고,
상기 2번 회수부는, 곡립을 기체 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를 갖고,
상기 횡 측판이 위치하는 측의 기체 횡 외측부에, 동력 전달용 전동 벨트를 가짐과 함께 상기 1번 스크루의 회전축과 상기 2번 스크루의 회전축에 걸쳐 마련되는 벨트 전동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전동 벨트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기구가 구비되고,
착탈 가능한 상기 커버체를 분리하면, 측면에서 보아 상기 텐션 기구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hreshing device is provided below the shaking sorting device and has a No. 1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grains of Product No. 1, and is provided below the shaking sorting device and behind the No. 1 recovery unit and collects grains of Product No. 2. It has a second recovery unit for recovery,
The No. 1 recovery unit has a No. 1 screw that conveys grai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The No. 2 recovery unit has a No. 2 screw for conveying grai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A belt transmission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outer side of the body on the side where the transverse side plate is located, and has a power transmission belt and is provided across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screw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screw,
A tension mechanism is provided to apply tension to the transmission belt,
A combine configured so that when the removable cover is removed, the tension mechanism is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s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232588 | 2017-12-04 | ||
JP2017232588 | 2017-12-04 | ||
JP2017239191A JP6879893B2 (en) | 2017-12-14 | 2017-12-14 | combine |
JPJP-P-2017-239190 | 2017-12-14 | ||
JP2017239190A JP2019103462A (en) | 2017-12-14 | 2017-12-14 | Combine harvester |
JPJP-P-2017-239191 | 2017-12-14 | ||
JP2018199448A JP7110059B2 (en) | 2017-12-04 | 2018-10-23 | combine |
JPJP-P-2018-199448 | 2018-10-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5951A KR20190065951A (en) | 2019-06-12 |
KR102653365B1 true KR102653365B1 (en) | 2024-04-02 |
Family
ID=6684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1945A Active KR102653365B1 (en) | 2017-12-04 | 2018-11-30 | Combi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3365B1 (en) |
CN (1) | CN109863889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6901B1 (en) | 2023-10-24 | 2024-06-21 | 주식회사 불스 | Attaching and deattaching structure for combine grain siev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95287A (en) * | 2007-10-17 | 2009-05-07 | Kubota Corp | Structure for attaching or detaching grain sieve in thresher |
JP2017046608A (en) * | 2015-08-31 | 2017-03-09 | 株式会社クボタ | Combine-harveste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86650U (en) | 1972-01-22 | 1973-10-20 | ||
JPS5741043U (en) * | 1980-08-18 | 1982-03-05 | ||
DE3914962A1 (en) * | 1989-05-06 | 1990-11-08 | Claas Ohg | HARVESTER |
JPH04349818A (en) * | 1991-05-27 | 1992-12-04 | Iseki & Co Ltd | Cover device of combine |
JP2905151B2 (en) * | 1996-08-28 | 1999-06-14 | 八鹿鉄工株式会社 | Threshing section cover of combine |
JP4658886B2 (en) * | 2006-09-22 | 2011-03-23 | 株式会社クボタ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reshing device |
JP6113039B2 (en) * | 2013-09-27 | 2017-04-12 | 株式会社クボタ | Combine |
-
2018
- 2018-11-30 KR KR1020180151945A patent/KR102653365B1/en active Active
- 2018-12-03 CN CN201811464407.4A patent/CN109863889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95287A (en) * | 2007-10-17 | 2009-05-07 | Kubota Corp | Structure for attaching or detaching grain sieve in thresher |
JP2017046608A (en) * | 2015-08-31 | 2017-03-09 | 株式会社クボタ | Combine-harves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863889B (en) | 2022-08-23 |
CN109863889A (en) | 2019-06-11 |
KR20190065951A (en) | 2019-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08945B2 (en) | Combine | |
KR102653365B1 (en) | Combine | |
JP7110059B2 (en) | combine | |
JP6833624B2 (en) | combine | |
CN111083995B (en) | combine harvester | |
CN111373937B (en) | Harvester | |
JP6858651B2 (en) | combine | |
JP5975633B2 (en) | Combine grain discharge structure | |
JP7085981B2 (en) | combine | |
JP7069250B2 (en) | combine | |
JP7176022B2 (en) | combine | |
JP6073057B2 (en) | Combine grain discharge structure | |
JP7026733B2 (en) | combine | |
JP6879893B2 (en) | combine | |
JP6041777B2 (en) | Combine | |
JP7588534B2 (en) | combine | |
CN108990518B (en) | Combine harvester | |
JP2005333917A (en) | Vegetable harvester | |
JP2019058119A (en) | Thresher | |
JP6721540B2 (en) | combine | |
CN108990512B (en) | Combine harvester | |
JP2025005914A (en) | combine | |
JP2020103159A (en) | Harvester | |
JP2007074944A (en) | Combine harvester | |
JP2020156509A5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