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7160B1 -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160B1
KR102647160B1 KR1020180104834A KR20180104834A KR102647160B1 KR 102647160 B1 KR102647160 B1 KR 102647160B1 KR 1020180104834 A KR1020180104834 A KR 1020180104834A KR 20180104834 A KR20180104834 A KR 20180104834A KR 102647160 B1 KR102647160 B1 KR 102647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area
lithium secondary
pattern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629A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0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1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1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전체 및 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패턴화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화된 코팅층은 서로 다른 저항을 나타내는 제1 패턴 영역 및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단락 또는 외부 단락의 발생시, 상기 패턴화된 코팅층에서 저항이 낮은 제1 영역으로 전류가 집중되고, 저항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2 영역은 저항부로 작용하여 단락 면적 및 발열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Electrode Having Pattered Coating Lay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성 향상을 위해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화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압을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전위를 갖는 두 전극 및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막을 개재한 후, 상기 두 전극에 리튬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주입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전해질로는 리튬염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유기 전해액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에서 이물질에 의한 내부 단락이나 못(nail)과 같은 물질의 관통에 의한 외부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열 또는 폭발이 일어날 수 있어, 안전성의 향상이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여러 각도에서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내부 단락 또는 외부 단락이 발생하더라도 발열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상기 전극에 대한 것으로서 집전체 및 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활물질층은 제1 패턴 영역 및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제1 패턴 영역의 저항보다 큰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전극 활물질층 총 면적 대비 60면적% 내지 95면적 %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각각 전극 활물질, 바인더 수지 및 도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이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비해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 함량이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 함량의 1배 초과 5배 이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각각 전극 활물질, 바인더 수지 및 도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이 고분자 수지 및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바인더 수지에 비해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각각 전극 활물질, 바인더 수지 및 도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이 고분자 수지 및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은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바인더 수지에 비해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은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및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은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측면은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활물질층은 선형의 제1 패턴 영역(A)들과 제2 패턴 영역(B)들이 서로 교번하여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 측면은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것으로서,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에 구비된 패턴화된 코팅층은 서로 다른 저항을 나타내는 제1 패턴영역 및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여, 내부 단락 또는 외부 단락의 발생시 저항이 낮은 제1 영역으로 전류가 집중되고, 저항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2 영역은 저항부로 작용하여 단락 면적 및 발열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극에 구비된 패턴화된 코팅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전체(10) 및 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는 전극 활물질층(20)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100, 100’, 100’’)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전극 활물질층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턴화된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집전체(10)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집전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3 내지 5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활물질층(20)은 서로 다른 저항 특성을 갖는 둘 이상의 영역들로 분할되어 패턴화되어 있는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전극은 서로 다른 저항 특성을 나타내는 제1 패턴 영역(A) 및 제2 패턴 영역(B)을 포함하도록 패턴화되어 있다. 상기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에 있어서 각 영역의 총 면적, 각 패턴 영역의 형태 및 크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1 패턴 영역(A)은 제2 패턴 영역(B)에 비해 낮은 저항값을 나타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의 높이는 동일하며 전극 활물질층의 총 면적 대비 제1 패턴 영역이 차지하는 총 면적이 60면적% 내지 95면적%일 수 있다. 상기 면적%를 만족하는 한, 각 패턴 영역의 모양, 형상 및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동일한 패턴 영역들은 전극 활물질층에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로 분포되어 있어 어느 한 패턴 영역이 전극의 일부분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극에 구비된 패턴화된 코팅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패턴화된 코팅층은 선형의 제1 패턴 영역(A)과 제2 패턴 영역(B)이 서로 교번하여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할 때, 상기 패턴화된 코팅층은 소정 면적을 갖는 장방형의 제1패턴 영역(A)과 제2패턴 영역(B)이 상하 좌우 교번된 형상의 매트릭스 형태를 이루며, 제1패턴 영역(A)의 저항 상승율이 제2패턴 영역(B)의 저항 상승율보다 작다. 다르게는 도트 형태의 다수의 제1 패턴 영역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규칙적으로 배치되고 제1 패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2 패턴 영역으로 채워질 수 있다. 또는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의 배치가 이와 반대로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도트 형태는 각각 독립적으로 원이나 다각형 또는 무정형의 폐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제1 패턴 영역이 도트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제1 패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제2 패턴 영역으로 채워져 있는 전극(100’)을 예시적으로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패턴 영역 및 제2 패턴 영역은 각각 이들을 구성하는 패턴 요소들이 전극 활물질층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및 제2 패턴 영역의 저항값은 상온(25℃)이나 전지가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온도 범위에서는 저항값의 차이가 적다. 그러나, 상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전지의 내부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전지의 내부 온도가 전극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 및 바인더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의 용융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상기 용융 온도를 초과하는 정도로 상승하였다가 냉각된 경우에는 제2 패턴 영역의 저항값이 크게 증가된다. 전지의 단락(short circuit) 등과 같은 전지의 손상에 의해 전류가 저항이 낮은 국소 부위에 집중되고 이로 인해 급격하게 열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극 활물질층에 저저항 영역과 고저항 영역이 분포시킴으로써 네일(nail)과 같은 이물에 의한 관통 등 전지의 손상에 의해 단락이 발생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저항이 낮은 부분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러한 저저항 영역이 전극 활물질층의 전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전류의 이동이나 발열이 어느 한 부위로 집중되지 않고 전극의 전면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각각 전극 활물질, 바인더 수지 및 도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제1 패턴 영역에 비해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있어서, 이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고분자 수지 및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지에 단락이 발생하여 열폭주로 인해 전지의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제2 패턴 영역은 상기 바인더 수지 및 고분자 수지 등 포함된 고분자 재료가 용융되어 전극 구조가 붕괴되고 이로 인해 도전 네트워크가 끊어지면서 셧다운 효과를 발휘하며 저항이 크게 증가된다. 한편 PTC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온도 증가에 따라 PTC 물질의 저항이 급격히 증가한다. 제1 패턴 영역의 경우에도 바인더 수지가 용융되면서 셧다운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나 제2 패턴 영역에 비해 저항의 증가가 크지 않다. 이와 같이 제2 패턴 영역의 저항이 크게 증가되는 경우 제1 패턴 영역으로 전류의 이동이 유도되어 발열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 함량은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 함량보다 높은 것으로서, 제1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 함량에 비해 1배 초과 5배 이하인 것이다. 예를 들어, 1.2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적 특징에 따라 제2 패턴 영역은 제1 패턴 영역에 비해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으므로 바인더 수지의 용융에 의한 셧다운 효과가 제1 패턴 영역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난다. 한편,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전극 활물질의 함량이 저하되어 에너지 밀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제2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제1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 함량의 5배 이하로 적절하게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전지의 정상적인 구동 온도에서는 제2 패턴 영역과 제1 패턴 영역의 저항의 차이가 적어 전극 활물질층 전체에서 고른 저항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단락 발생이나 이로 인한 열폭주시에는 셧다운되어 제1 패턴 영역으로 전류의 이동을 유도하여 발열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바인더 수지 함량 증량과 함께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고분자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수지는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와 같거나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 제2 패턴 영역에 포함된 고분자 수지가 바인더 수지에 비해 먼저 용융되면서 셧다운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 제1 패턴 영역으로 전류의 이동을 유도하여 발열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전극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의 용융 온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말레산무수물 기능기화된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기능기화된 엘라스토머, 에틸렌 공중합체(예컨대, 엑손모빌(ExxonMobil)의 EXXELOR VA1801 및 VA1803),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형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말레산무수물 기능기화된 폴리프로필렌(maleic anhydride functionalized polypropylene),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형된 폴리프로필렌(glycidyl methacrylate modified polypropylen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아세틸, 아크릴 수지, 교대배열 폴리스티렌(syndiotactic polystyrene: sPS), PA6, PA66, PA11, PA12, PA6T, PA9T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폴리아미드,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형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8-아미노카프릴산,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폴리카프로락톤,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신속한 셧다운 효과를 발휘하는 측면에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용융온도가 150℃ 이하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패턴 영역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TC 물질은 고분자 재료에 미립자 형태의 도전성 재료가 혼입된 복합 재료로 도전성을 가지면서 온도 상승시 저항을 크게 증가시키는 정온도 계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PTC 재료는 특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고분자 재료의 부피팽창과 경우에 따라서는 도전성 재료들의 유동에 의해 도전성 재료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도전성 재료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PTC 물질의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고, 전류가 차단된다.
이러한 PTC 물질은 고분자 재료로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약 15% 이상의 결정화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머는 상기한 특성에 부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말레산무수물 기능기화된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기능기화된 엘라스토머, 에틸렌 공중합체(예컨대, 엑손모빌(ExxonMobil)의 EXXELOR VA1801 및 VA1803),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형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말레산무수물 기능기화된 폴리프로필렌(maleic anhydride functionalized polypropylene),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형된 폴리프로필렌(glycidyl methacrylate modified polypropylen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아세틸, 아크릴 수지, 교대배열 폴리스티렌(syndiotactic polystyrene: sPS), PA6, PA66, PA11, PA12, PA6T, PA9T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폴리아미드,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형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 아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8-아미노카프릴산, 폴리비닐 알코올(PVA), 및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재료는 예를 들어 BaTiO3,도전성 탄소 재료 및 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TC 물질 및 고분자 수지는 전극 용량을 고려했을 때,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 또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지나치게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극 활물질의 양이 감소되어 에너지 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패턴화된 전극 활물질층은 저항이 상이한 2개의 영역을 교대로 포함함에 따라, 내부 단락 또는 외부 단락에 의해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 저항이 낮은 제1 패턴 영역으로 전류가 집중되고, 바인더 수지 함량이 높거나 PTC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저항이 높은 제2 패턴 영역은 저항부로 작용하여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패턴화된 코팅층 내의 발열 면적은 제1 패턴 영역으로 제한되어 전체 발열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전극 활물질층 전체가 동일한 저항 특성을 갖는 경우에는 전극 전체에서 발열이 발생하여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했을 때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극 활물질층은 상이한 조성을 갖는 2가지의 코팅 슬러리를 이용하여 마스크 공정, 리프트-오프(lift-off) 공정 등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전극 활물질, 바인더 수지 및 도전재를 용매에 분산시켜 얻은 제1 코팅 슬러리 및 제2 코팅 슬러리를 각각 준비하고 마스크를 통해 제1 코팅 슬러리를 도포하여 제1 패턴 영역을 형성한 다음, 마스크를 이동시켜서 제2 코팅 슬러리를 도포하여 제2패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코팅 슬러리는 제1 코팅 슬러리에 비해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코팅 슬러리는 이와 함께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전술한 고분자 수지 및 PTC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코팅 슬러리 중 바인더 수지 함량은 상기 제1 코팅 슬러리 중 바인더 수지 함량의 1.2배 이상, 또는 2배 이상 또는 3배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 코팅 슬러리 중 고분자 수지 및 PTC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은 상기 제2 코팅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5중량% 의 범위 중 적절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 슬러리 및 제2 코팅 슬러리에 사용가능한 활물질은 전극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이 양극인 경우에는, 활물질로서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로 사용 가능한 물질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리튬 니켈 산화물(LiNiO2)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 + xMn2 - 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LiMn2O3,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LiV3O8,LiFe3O4,V2O5,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 - 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LiNixMn2 - xO4로 표현되는 스피넬 구조의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LiNi0 . 8Co0 . 1Mn0 . 1O2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이 음극인 경우에는, 활물질로서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사용 가능한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천연흑연, 인조흑연)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 - xMe’yOz(Me:Mn,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및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티타늄 산화물; 리튬 티타늄 산화물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물질 및/또는 Si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활물질은 각 슬러리 중 고형분 함량 기준으로 80 내지 98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 슬러리 및 제2 코팅 슬러리에 사용가능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는 각 슬러리 중 고형분 함량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상세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코팅 슬러리 및 제2 코팅 슬러리에 사용가능한 바인더 수지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E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산,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제1 코팅 슬러리에서는 고형분 함량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팅 슬러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함량 범위로 제1 코팅 슬러리 중 포함된 바인더 수지의 함량보다 높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코팅 슬러리 및 제2 코팅 슬러리에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물, 또는 NMP(N-methyl-2-pyrrolidone), 아세토니트릴 등의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슬러리 중의 고형분 농도가 5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 70 내지 90 중량%가 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 슬러리 및 제2 코팅 슬러리의 도포 후, 건조 및 압연을 수행함으로써 패턴화된 코팅층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동시에 리튬 이온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통상의 리튬 이차전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세퍼레이터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단위전지로서 전지모듈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예로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활물질로서 Li(Ni0.8Mn0.1Co0.1)O2(GL80),도전재로 카본블랙(Super P) 및 바인더 수지로 PVdF(KF9700)를 97.5:1:1.5의 중량비로 용매인 NMP에 첨가하여, 제1 패턴 영역 형성용 제1 코팅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한편, 활물질로서 Li(Ni0.8Mn0.1Co0.1)O2(GL80),도전재로 카본블랙(Super P) 및 바인더 수지로 PVdF(KF9700)를 94:1:5의 중량비로 용매인 NMP에 첨가하여, 제2 패턴 영역 형성용 제2 코팅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다음, 알루미늄 집전체(두께 12㎛)의 일면에 상기 제1 코팅 슬러리와 제2 코팅 슬러리 이용하여 각 패턴 영역이 교번하여 1mm의 폭을 갖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전극 활물질층을 도포하고 이를 130℃에서 건조하고 압연하여 두께 150㎛의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전극 활물질층에서 제1 패턴 영역의 면적은 전극 활물질층 총 면적 대비 70면적% 였다.
실시예 2:
제2 코팅 슬러리를 전극 활물질로서 Li(Ni0.8Mn0.1Co0.1)O2(GL80),도전재로 카본블랙(Super P), 바인더 수지로 PVdF(KF9700) 및 폴리에틸렌을 94:1:1.5:3.5의 중량비로 용매인 NMP에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양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활물질로서 Li(Ni0.8Mn0.1Co0.1)O2(GL80),도전재로 카본블랙(Super P) 및 바인더 수지로 PVdF(KF9700)를 97.5:1:1.5의 중량비로 용매인 NMP에 첨가하여, 전극 활물질 형성용 코팅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상기 코팅 슬러리를 두께 12㎛의 알루미늄 집전체의 일면에 도포하고, 이를 130℃에서 건조하고 압연하여 두께 150㎛의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Li(Ni0.8Mn0.1Co0.1)O2(GL80),도전재로 카본블랙(Super P), 바인더 수지로 PVdF(KF9700) 및 폴리에틸렌을 94:1:1.5:3.5의 중량비로 용매인 NMP에 첨가하여, 전극 활물질층 형성용 코팅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상기 코팅 슬러리를 두께 12㎛의 알루미늄 집전체의 일면에 도포하고, 이를 130℃에서 건조하고 압연하여 두께 150㎛의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저항 측정 결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 전극(양극)에 대해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의 표면 저항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각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전극(양극)에 대해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면 저항은 Laresta-GP (MCP-T600 모델, MITSUBISHI CHEMICAL사)를 이용하여 상온(약 25℃ 조건)에서의 표면 저항을 각각 5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양극과 대극으로 리튬 금속을 준비하고 이들 사이에 폴리프로필렌 분리막을 게재한 후, 에틸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LiPF6(MerckBatteryGrade,EC/DMC=1/1,1MLiPF6)조성의 전해액을 사용하여 코인 하프 셀(coin half cell)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상기 전지를 각각 300℃의 챔버에 약 10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상온으로 자연 냉각하고 분해하여 양극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각 양극에 대해 제1 패턴 영역과 제2 패턴 영역의 표면 저항을 각각 측정하였다. 표면 저항은 상온(약 25℃ 조건)에서 측정되었으며,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의 결과를 아래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경우에는 고온 노출 후 제2 패턴 영역의 저항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내부 단락 등에 의해 전지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에 저항이 낮은 부분인 제1 패턴 영역으로 전류의 흐름이 분산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코팅층

저항(Ω)

상온

고온(300℃) 노출 후

실시예 1

제1 패턴 영역

0.6

63

제2 패턴 영역

0.8

124

실시예 2

제1 패턴 영역

0.6

69

제2 패턴 영역

0.9

714

비교예 1

0.6

67

비교예 2

0.9

924
100, 100’, 100’’ 전극
A 제1 패턴 영역
B 제2 패턴 영역
20 전극 활물질층
10 집전체

Claims (11)

  1. 집전체 및 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활물질층은 2 이상의 제1 패턴 영역 및 2 이상의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제1 패턴 영역의 저항보다 큰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으로서,
    상기 제1 패턴 영역 및 상기 제2 패턴 영역은 각각 전극 활물질, 바인더 수지 및 도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 영역이 상기 제1 패턴 영역에 비해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으며,
    상기 제2 패턴 영역이 고분자 수지 및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2 이상의 제1 패턴 영역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 영역은 전극 활물질층 총 면적 대비 60 면적% 내지 95 면적%인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 함량이 상기 제1 패턴 영역의 바인더 수지 함량의 1배 초과 5배 이하인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바인더 수지에 비해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바인더 수지에 비해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및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 중 1종 이상은 상기 제2 패턴 영역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활물질층은 선형의 제1 패턴 영역(A)들과 제2 패턴 영역(B)들이 서로 교번하여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상을 나타내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11. 제1항, 제4항,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180104834A 2018-09-03 2018-09-03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ctive KR102647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834A KR102647160B1 (ko) 2018-09-03 2018-09-03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834A KR102647160B1 (ko) 2018-09-03 2018-09-03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629A KR20200026629A (ko) 2020-03-11
KR102647160B1 true KR102647160B1 (ko) 2024-03-12

Family

ID=6980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834A Active KR102647160B1 (ko) 2018-09-03 2018-09-03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3500B2 (ja) * 2020-05-29 2022-12-20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検査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検査プログラム
CN115995619A (zh) * 2021-12-14 2023-04-21 江苏天合储能有限公司 一种复合极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4095670A1 (ja) * 2022-10-31 2024-05-10 パナソニック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二次電池
CN115986056B (zh) * 2023-03-17 2023-06-1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二次电池及电子装置
CN120092329A (zh) * 2023-08-11 2025-06-03 株式会社Lg新能源 锂二次电池用正极、其制造方法和包含其的锂二次电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1852B2 (ja) * 1998-06-25 2007-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0976A (ja) * 2009-09-28 2011-04-07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WO2011142083A1 (ja) * 2010-05-12 2011-11-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1852B2 (ja) * 1998-06-25 2007-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0976A (ja) * 2009-09-28 2011-04-07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WO2011142083A1 (ja) * 2010-05-12 2011-11-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629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8846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2647160B1 (ko) 패턴화된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134458B1 (ko) 전고체 전지 및 이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
JP7038951B2 (ja) 負極活物質及びそれを含む全固体電池用負極
JP3827545B2 (ja) 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74409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440884B1 (ko) 표면 처리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EP3579310B1 (en)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JP4836371B2 (ja) 正極活物質およびこれを含む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3474351B1 (en) Anode comprising electrode protective lay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employing same
KR101924036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음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 및 리튬 이차전지
KR102192082B1 (ko)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248305B1 (ko) 원통형 젤리롤에 사용되는 스트립형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070065803A (ko) 정극 활물질과 리튬 이온 2차 전지
KR101686720B1 (ko) 고용체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및 리튬 이온 2차 전지
KR101704157B1 (ko) 고용체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14009495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10008338A (ko) 조립전지
KR20160149862A (ko) 실리콘 산화물-탄소-고분자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CN101436659A (zh) 用于锂离子二次电池的正极、其制造方法及锂离子二次电池
KR102068707B1 (ko)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10094980A (ko) 양극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20200065626A (ko) 팔면체 구조의 리튬 망간계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40099715A (ko) 이차 전지용 바인더,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 전지
JP202009593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