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3721B1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721B1
KR102643721B1 KR1020180109208A KR20180109208A KR102643721B1 KR 102643721 B1 KR102643721 B1 KR 102643721B1 KR 1020180109208 A KR1020180109208 A KR 1020180109208A KR 20180109208 A KR20180109208 A KR 20180109208A KR 102643721 B1 KR102643721 B1 KR 10264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casing
battery
battery module
transfer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395A (ko
Inventor
이태규
최범
금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0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7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7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2Gases with free flow by convection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배터리 셀을 감싸는 케이싱; 및 케이싱과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열전달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이차전지 셀과, 이차전지 셀을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배터리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er Lith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근래 에너지원으로 활용되는 것을 비롯하여 대용량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배터리 셀이 직렬 내지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은 복수의 배터리 셀이 좁은 공간에 밀집되는 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종래 기술의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의 경우 방열이 미흡하여 발열에 의한 배터리 모듈 내지 배터리 팩의 용량 저하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13-0064704호(공개일자:2013년06월18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열 특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감싸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열전달 물질(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물질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열전달 물질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물질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단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배터리 셀이며, 상기 열전달 물질은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열전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홈은 테두리부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깊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홈은, 제1 테두리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테두리부로부터 이격된 제2 테두리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제1 경사부와 만나는 제2 경사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열전달 물질의 반대 위치에서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전달 물질과 유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방열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와 유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방열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열전달 물질에 배터리 셀이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수용홈이 형성된 케이싱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방열홈이 형성된 케이싱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열전달 물질에 배터리 셀이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수용홈이 형성된 케이싱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방열홈이 형성된 케이싱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배터리 셀(100)과, 케이싱(200)과, 열전달 물질(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 300)을 포함한다.
배터리 셀(100)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셀(100)은 파우치 타입일 수도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 타입일 수도 있다. 배터리 셀(100)이 파우치 타입인 경우 배터리 셀(100)에는 전극 리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0)에 구비되는 전극 리드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일종의 단자로서 전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 리드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는 배터리 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가 배터리 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전극 리드는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셀(100)은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되는 단위 셀(Unit Cell) 또는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세퍼레이터-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된 바이 셀(Bi-Cell)을 전지 용량에 맞게 복수개 적층시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100)이 원통형 타입인 경우 배터리 셀(100)은 전극 조립체, 예를 들어 젤리-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와 함께 전해액이 수용되는 원통형의 배터리 케이스와, 배터리 케이스의 예를 들어 상부에 형성된 양극 단자와, 배터리 케이스의 예를 들어 하부에 형상된 음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개재된 상태로 적층되어 젤리-롤 형태로 감긴 구조일 수 있으며, 양극에는 양극 리드가 부착되어 배터리 케이스의 예를 들어 상부의 양극 단자에 접속되고, 음극에는 음극 리드가 부착되어 배터리 케이스의 예를 들어 하부의 음극 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전극 조립체의 중심부에는 원통형의 센터핀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센터핀은 전극 조립체를 고정 및 지지하고, 충방전 및 작동시 내부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를 방출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케이스 내부, 예를 들어, 탑캡의 하부에는 배터리 케이스 내부의 압력 상승에 의해 파열되어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벤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 셀(100)이 원통형 타입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배터리 셀(100)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케이싱(200)은 배터리 셀(100)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케이싱(200)은 배터리 셀(100)을 둘러싸며 이에 의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100)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200)은 예를 들어, 상부 케이싱(210)과 하부 케이싱(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싱(200)의 내측에는 열전달 물질(300)의 돌출부(310, 도 2 참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싱(200)의 외측, 예를 들어, 케이싱(200)의 바닥면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홈(227)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홈(227)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두리부로부터 중심부(226)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깊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홈(227)은 제1 경사부(223)와 제2 경사부(22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경사부(223)는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 예를 들어 제1 테두리부(222)로부터 중심부(226)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경사부(225)는 다른 하나의 테두리부, 예를 들어, 제1 테두리부(222)로부터 이격된 제2 테두리부(224)로부터 중심부(226)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1 경사부(223)와 제2 경사부(225)가 중심부(226)에서 만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해 방열홈(22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의 방열홈(227)은 케이싱(200), 예를 들어, 하부 케이싱(220)의 바닥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방열홈(227)은 하부 케이싱(220)의 바닥면에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하부 케이싱(22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부 케이싱(21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200)에 방열홈(227)이 형성되면 케이싱(200)과 공기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방열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케이싱(200)은 다양한 종류의 열전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배터리 셀(100)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열전달 물질(300)은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케이싱(200)과 배터리 셀(100) 사이에 개재된다. 예를 들어, 열전달 물질(300)은 배터리 셀(100)과 하부 케이싱(220)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이 하부 케이싱(220)에 접촉되고 반대편의 타측이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전달 물질(300)은 배터리 셀(10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배터리 셀(100)의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각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물질(300)은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가 폼패드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전달 물질(3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돌출부(310)는 열전달 물질(300)에서 배터리 셀(100)이 접촉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310)는 열전달 물질(300),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310)는 단면이 원호 형상, 즉, 원 둘레의 한 부분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돌출부(3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돌출부(3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310)는 정면이나 배면에서 바라보면 원호 형상이지만(도 2 참조), 측면에서 바라보면 길이 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도 3 참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하나의 예시로 이러한 형상에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200), 예를 들어, 하부 케이싱(220)에는 돌출부(310)에 대응되는 수용홈(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도 4 참조), 열전달 물질(300)의 돌출부(310)가 케이싱(200)의 수용홈(22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전달 물질(300)에 돌출부(310)가 형성되면 유체, 특히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방열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케이싱(200)에 수용홈(221)이 형성되어 돌출부(310)가 수용홈(221)에 수용되면 열전달 물질(300)이 케이싱(200)에 밀착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케이싱(200)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방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전달 물질(300)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열전달 물질(300)은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달 물질(300)은 돌출부(310)와 마찬가지로 정면이나 배면에서 바라보면 원호 형상이지만 측면에서 바라보면 길이 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열전달 물질(3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원통형 배터리 셀(100)과 케이싱(200) 사이에 개재되는 열전달 물질(300)을 포함하며, 열전달 물질(300)은 단면이 원호 형상인 돌출부(31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호 형상의 돌출부(310)에 의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방열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케이싱(200)에는 열전달 물질(300)의 돌출부(31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221)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돌출부(310)가 수용홈(221)에 수용되면 열전달 물질(300)의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310)와 수용홈(221)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역시 방열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케이싱(200)에는 테두리부로부터 중심부(226)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중심부(226)로 갈수독 홈의 깊이가 깊어지는 방열홈(227,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열홈(227)에 의해 케이싱(200)과 공기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방열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의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지지부재(400)가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지지부재(400)는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싱(200)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통형 배터리 셀(1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는 케이싱(2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전달 물질(300)의 반대 위치에서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400)가 원통형 배터리 셀(10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400)는 원통형 배터리 셀(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400)가 배터리 셀(100)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310)가 수용홈(221)에 수용된 후 수용홈(2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부재(400)는 배터리 셀(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지지부재(400)는 상부 케이싱(210)에 형성되어 배터리 셀(100)의 상부에 접촉되지만 지지부재(40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재의 변형 실시예로, 예를 들어, 지지부재(400)는 원형의 배터리 셀(100)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셀(100)이 지지부재(400)에 삽입된 후 지지부재(40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10)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10)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배터리 모듈(1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터리 모듈 100 : 배터리 셀
200 : 케이싱 210 : 상부 케이싱
220 : 하부 케이싱 221 : 수용홈
222 : 제1 테두리부 223 : 제1 경사부
224 : 제2 테두리부 225 : 제2 경사부
226 : 중심부 227 : 방열홈
300 : 열전달 물질 310 : 돌출부
400 : 지지부재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을 감싸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열전달 물질(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물질에서 상기 배터리 셀이 접촉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열전달 물질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물질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단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배터리 셀이며,
    상기 열전달 물질은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열전도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홈은 테두리부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홈의 깊이가 깊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홈은, 제1 테두리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테두리부로부터 이격된 제2 테두리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제1 경사부와 만나는 제2 경사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열전달 물질의 반대 위치에서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80109208A 2018-09-12 2018-09-12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ctive KR10264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208A KR102643721B1 (ko) 2018-09-12 2018-09-12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208A KR102643721B1 (ko) 2018-09-12 2018-09-12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95A KR20200030395A (ko) 2020-03-20
KR102643721B1 true KR102643721B1 (ko) 2024-03-04

Family

ID=6995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208A Active KR102643721B1 (ko) 2018-09-12 2018-09-12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7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6805A (ja) * 2017-01-17 2018-07-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523B1 (ko) 2011-12-08 2015-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방열판
KR102120118B1 (ko) * 2016-08-18 2020-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6805A (ja) * 2017-01-17 2018-07-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95A (ko)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195B1 (ko) 배터리 팩
KR10220324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51109B1 (ko) 전지 모듈
CN110168771A (zh)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JP7055203B2 (ja) 冷却効率が向上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EP3486967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facing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CN107408652B (zh) 具有改进的冷却结构的电池模块
KR20190069872A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370144B1 (ko) 각형 리튬형 전지
JP7049548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352295B1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KR20130090262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70067012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23537015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2009438B1 (ko) 배터리 모듈
KR20220047057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64372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193166B1 (ko) 배터리 모듈
KR102576583B1 (ko) 배터리 셀
EP4407754A1 (en) Battery module having cooling function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200106377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40098764A (ko) 배터리 모듈
CN118202514A (zh)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KR20230076429A (ko) 배터리 셀
KR20240127159A (ko)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