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2759B1 - 수중 음성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음성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759B1
KR102642759B1 KR1020220104576A KR20220104576A KR102642759B1 KR 102642759 B1 KR102642759 B1 KR 102642759B1 KR 1020220104576 A KR1020220104576 A KR 1020220104576A KR 20220104576 A KR20220104576 A KR 20220104576A KR 102642759 B1 KR102642759 B1 KR 10264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transmission
case
voice
underwater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26575A (ko
Inventor
정승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피릿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피릿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피릿벤처스
Priority to KR102022010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759B1/ko
Priority to PCT/KR2023/012330 priority patent/WO2024043638A1/ko
Publication of KR2024002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7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26Communication means, e.g. means for signalling the presence of d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음성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잠수자가 수중에서 말을 하면 물을 매질로 하여 음성을 전달함으로써 타 잠수자가 귀로 들을 수 있게 하는 간이 수중 음성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음성전달장치{Underwater co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수중 음성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잠수자가 수중에서 말을 하면 물을 매질로 하여 음성을 전달함으로써 타 잠수자가 귀로 들을 수 있게 하는 간이 수중 음성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 스포츠는 다양한 형태의 즐길 거리들로 발전해 오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스쿠버 다이빙은 1943년 스쿠버가 개발된 이후 체력 단련과 수중 탐험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고, 그룹을 이루어 스쿠버 다이빙을 즐기는 동호회가 늘고 있으며, 스쿠버 다이빙을 위한 장소가 추천받는 여행지로 선정되는 등, 스쿠버 다이빙의 인기는 날이 갈수록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스쿠버 다이빙으로 잠수할 수 있는 최대 수심은 약 30~40m 정도고, 잠수 시간은 세 시간 반 정도이지만, 깊이 잠수할수록 수압이 높아지는 만큼 시간을 줄여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인체가 적응하지 못하고 정신을 잃거나 목숨을 잃을 수 있다.
한편, 스쿠버 다이빙은 잠수자가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호흡을 하기 때문에 함께 스쿠버 다이빙을 하는 다른 잠수자와 음성을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며, 정해진 신체 동작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체 언어(바디랭귀지-수화)를 통한 의사소통은 한계가 있고 특히, 위급상황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생명이 위험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수중에서 간편하게 잠수자들 간에 말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수중 음성전달장치의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에서 잠수자들 간에 간편하게 음성으로 의사소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수중 음성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수자들 간에 서로 떨어진 거리에 따라 전달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중 음성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잠수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호흡하는 것과 음성을 전달하는 것을 개폐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중 음성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에서 잠수자가 입으로 물고 말할 경우 음성이 물로 전달되어 타 잠수자가 들을 수있는 수중 음성전달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개방된 개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개구에 구비되고 잠수자가 입으로 물고 말할 경우, 음성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음성전달구; 및 혼 형태로 직경이 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혀 있으며,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타측 개구로 삽입되어 일측 단부 외주가 상기 케이스의 타측 개구 내주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전달된 음성에 의해 진동하여 개방된 타측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재는 일측 단부 외주를 상기 케이스의 타측 개구 내주에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전진 및 후진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 부피가 가변됨에 따라 전달되는 음성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성전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혼 형태의 뼈대 프레임; 상기 뼈대 프레임의 외주를 감싸고 음성에 의해 진동하는 카본 파이버 판재; 및 상기 뼈대 프레임의 타측에서 후방으로 뻗어있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며, 상기 뼈대 프레임과 상기 카본 파이버 판재가 전후진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은 상기 진동부재가 구비되고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전달공간과 상기 음성전달공간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될 경우 상기 음성 전달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음성전달공간과 상기 공기배출공간사이에는 일정 압력 이상의 공기를 배출하는 판막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배출공간에는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배출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미세기포 형태로 분쇄하여 수중에 배출되게 하는 매쉬망이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는 잠수자가 물고 공기를 공급받는 마우스피스와 공기탱크의 공기를 상기 마우스 피스로 공급하는 2차호흡기를 서로 연결하는 마우스피스 접속용 어댑터에 체결되고, 상기 마우스피스 접속용 어댑터에는 상기 2차호흡기의 공기를 상기 마우스피스로 공급하거나 잠수자가 말할 때 내뱉는 공기를 상기 음성전달구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개폐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수중 음성전달장치에 의하면, 잠수자가 수중에서 간편하게 입에 물고 말을 하면 음성이 진동부재를 통해 수중으로 전달되어 타 잠수자에가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음성전달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내부의 음성전달공간의 부피와 압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잠수자들 간에 서로 떨어진 거리에 따라 전달되는 음성의 크기나 파장을 조절하며 음성전달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음성전달장치에 의하면, 마우스피스 접속용 어댑터를 통해 잠수자가 호흡을 위한 마우스피스를 뱉어 내지 않고 마우스피스를 물고 말을 하더라도 수중 음성전달장치를 통해 음성전달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중 음성전달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중 음성전달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성전달장치를 마우스피스 접속용어댑터를 이용하여 마우스피스에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중 음성전달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중 음성전달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중 음성전달장치(100)는 수중에서 잠수자가 손으로 잡거나 밴드를 이용하여 손목등에 장착할 수 있으며, 잠수자가 입을 대고 말을 하면 물을 매질로 하여 진동이 전달됨으로써 타 잠수자가 수중에서 음성을 들을 수 있는 간이 수중 음성전달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성전달장치(100)는 스피커나 마이크와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100)는 케이스(110), 음성전달구(120), 진동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111)과 타측(112)은 각각 개방된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들에서는 상기 케이스(110)가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태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상기 음성전달구(120)는 잠수자가 입으로 물고 말할 수 있는 부분으로, 잠수자가 말을 하면 잠수자의 음성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공간(113)으로 전달된다.
상기 진동부재(130)는 혼 형태로 직경이 큰 일측(131)은 개방되고, 타측(132)은 막혀 있으며, 타측(132)이 상기 케이스의 타측 개구(112)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130)의 일측 단부 외주는 상기 케이스(110)의 타측 개구(112) 내주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진동부재(130)의 일측 단부 외주와 상기 케이스(110)의 타측 개구(112) 내주 사이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진동부재(130)는 상기 케이스(110)에 회전하며 체결되는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가 변화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113)의 부피는 가변된다.
즉,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113)의 부피를 가변시키며 잠수자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음성의 크기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잠수자들 간의 거리가 멀더라도 음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130)는 혼 형상의 뼈대 프레임(133)과 상기 뼈대 프레임(133)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113)으로 유입되는 음성에 의해 진동하며 내부로 유입된 물로 전달함으로써 수중으로 음성이 전달되게 하는 진동 판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동 판재(130)는 작은 음성에도 쉽게 떨릴 수 있고 방수가 되는 카본 파이버 판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뼈대 프레임(133)의 타측, 즉 후면에는, 후방으로 뻗어있고,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가이드 홀(114)에 삽입되며, 상기 뼈대 프레임(1130)과 상기 카본 파이버 판재(134)가 전후로 움직일 때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봉(13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113)은 상기 진동부재(130)가 위치하여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전달공간(113a)과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공간(113b)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과 상기 공기배출공간(113b) 사이에는 잠수자가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으로 공기를 불어넣거나 말을 할때 일정 압력 이상이되면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의 물이나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공간(113b)으로 배출하기 위한 판막(113a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판막(113aa)은 잠수자가 말을 할 때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의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댐퍼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판막(113a)은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의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공간(113b)으로 한 방향으로만 통과하게 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에서 통과되는 공기통과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의 조합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상기 공기배출공간(113b)에서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으로 해수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조절밸브를 통해 공기의 배출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의 압력을 조절하여 음압이 상기 진동부재(130)로 전달되는 정도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공간(113b)에는 상기 음성전달공간(113a)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미세기포 형태로 분쇄하여 수중으로 배출함으로써 음성전달시 물방울소리가 최소화되게 하여 선명한 음성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매쉬망(11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매쉬망(115)으로 분쇄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114)를 통해 수중으로 배출된다.
한편, 잠수자가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100)를 직접 입에 물지 않고, 호흡을 위해 물고 있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100)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100)를 마우스피스 접속용어댑터(200)를 이용하여 마우스피스(10)에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잠수자는 공기탱크(20)의 공기를 1차 호흡기(21), 2차 호흡기(30), 마우스피스(10)를 순차로 거쳐 흡입하게 되며, 항상 상기 마우스피스(10)를 입에 물고 있다.
즉,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100)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마우스피스(10)를 뱉어내고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100)의 음성전달구(120)를 물고 말을 해야한다.
이런 과정에서 불편함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2차 호흡기(30)와 상기 마우스피스(10) 사이에 마우스피스 접속용어댑터(100)를 체결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접속용어댑터(100)에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100)의 음성전달구(120)를 체결하여 잠수자가 상기 마우스피스(10)를 물고 하는 말이 상기 마우스피스 접속용어댑터(100)를 통해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100)로 전달되게 하였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 접속용어댑터(100)의 내부에는 상기 2차 호흡기(30)의 공기를 상기 마우스피스(10)로 전달하거나 잠수자가 말할 때 내뱉는 공기를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100)로 공급하는 개폐장치(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예를 들면, 3-way 밸브등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밸브장치나 스위칭장치로 대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수중 음성전달장치 110:케이스
113:케이스의 내부공간 113a:음성전달공간
113b:공기배출공간 113aa:판막
114:공기배출구 115:매쉬망
120:음성전달구 130:진동부재
133:뼈대프레임 134:카본 파이버 판재

Claims (4)

  1. 수중에서 잠수자가 입으로 물고 말할 경우 음성이 물로 전달되어 타 잠수자가 들을 수 있는 수중 음성전달장치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개방된 개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개구에 구비되고 잠수자가 입으로 물고 말할 경우, 음성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음성전달구; 및
    혼 형태로 직경이 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혀 있으며,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타측 개구로 삽입되어 일측 단부 외주가 상기 케이스의 타측 개구 내주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전달된 음성에 의해 진동하여 개방된 타측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재는 일측 단부 외주를 상기 케이스의 타측 개구 내주에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전진 및 후진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 부피가 가변됨에 따라 전달되는 음성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성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혼 형태의 뼈대 프레임;
    상기 뼈대 프레임의 외주를 감싸고 음성에 의해 진동하는 카본 파이버 판재; 및
    상기 뼈대 프레임의 타측에서 후방으로 뻗어있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며, 상기 뼈대 프레임과 상기 카본 파이버 판재가 전후진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성전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은 상기 진동부재가 구비되고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전달공간과 상기 음성전달공간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될 경우 상기 음성 전달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음성전달공간과 상기 공기배출공간사이에는 일정 압력 이상의 공기를 배출하는 판막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배출공간에는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배출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미세기포 형태로 분쇄하여 수중에 배출되게 하는 매쉬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성전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음성전달장치는 잠수자가 물고 공기를 공급받는 마우스피스와 공기탱크의 공기를 상기 마우스 피스로 공급하는 2차호흡기를 서로 연결하는 마우스피스 접속용 어댑터에 체결되고, 상기 마우스피스 접속용 어댑터에는 상기 2차호흡기의 공기를 상기 마우스피스로 공급하거나 잠수자가 말할 때 내뱉는 공기를 상기 음성전달구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개폐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성전달장치.
KR1020220104576A 2022-08-22 2022-08-22 수중 음성전달장치 Active KR102642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76A KR102642759B1 (ko) 2022-08-22 2022-08-22 수중 음성전달장치
PCT/KR2023/012330 WO2024043638A1 (ko) 2022-08-22 2023-08-21 수중 음성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76A KR102642759B1 (ko) 2022-08-22 2022-08-22 수중 음성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575A KR20240026575A (ko) 2024-02-29
KR102642759B1 true KR102642759B1 (ko) 2024-03-04

Family

ID=9004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576A Active KR102642759B1 (ko) 2022-08-22 2022-08-22 수중 음성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7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1110A (en) 1976-09-17 1978-01-31 Philip Wallace Payne Underwater voice commun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3587B2 (en) * 2013-12-05 2016-06-07 Apple Inc. Pressure vent for speaker or microphone modu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1110A (en) 1976-09-17 1978-01-31 Philip Wallace Payne Underwater voice commun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575A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7362B2 (en) Diving mask provided with a telecommunications device
US6061457A (en) Waterproof microphone and speaker
US3433222A (en) Under-water diving equipment
US3292618A (en) Under-water diving equipment
US5251326A (en) Two way communication system for water sports
US5209226A (en) Underwater respiratory device
US8418689B1 (en) Exhaust air transfer device for open system underwater diving
WO1998003225A1 (en) Full face mask having isolated vision and breathing compartments with full mouth access
KR102642759B1 (ko) 수중 음성전달장치
US3123680A (en) Mouthpiece for submarine use
US4527658A (en) Bubble silencer for an underwater voice communicator
US5493079A (en) Vocal communication snorkel
RU26866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речевой связи дайвера
KR102417231B1 (ko) 풀 페이스 마스크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수중 통신 장치
KR20230074894A (ko) 수중 통신 장치
US10032446B2 (en) Underwater voice communication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24043638A1 (ko) 수중 음성전달장치
US200500134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vocalists in hearing their vocal sounds
EP3854245B1 (en) Cap with respir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US3548371A (en) Underwater speaking device
US10342705B1 (en) Noise reduc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reathing apparatuses and helmets
US5877460A (en) Device for talking underwater
JPH0446888A (ja) 潜水用簡易ヘルメット
US20240409195A1 (en) Communicating diving mask
WO2017048145A1 (en) Device for underwater voic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