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0875B1 -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875B1
KR102640875B1 KR1020220172859A KR20220172859A KR102640875B1 KR 102640875 B1 KR102640875 B1 KR 102640875B1 KR 1020220172859 A KR1020220172859 A KR 1020220172859A KR 20220172859 A KR20220172859 A KR 20220172859A KR 102640875 B1 KR102640875 B1 KR 10264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put
port
alternating current
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표
장용훈
Original Assignee
신동표
장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표, 장용훈 filed Critical 신동표
Priority to KR1020220172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875B1/en
Priority to TW112213078U priority patent/TWM656508U/en
Priority to TW112146512A priority patent/TWI875353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87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08Intrinsically 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02H3/1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ing leakage comprises: a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having a first input power port and a second input power port to which different types of AC currents are inputted, respectively; a collection unit connected to the ground and shielding a leakage current and a ground fault current; a polarity display unit displaying whether the first input power port, the second input power port, and the ground are connected through the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and the collection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power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when the ground is connected based on connection polarity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polarity display unit, and operating a relay corresponding to the power port to supply power even if leakage is detected by a leakage detection device when the power is connected to the power por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Description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Flooding earth leakage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배전반 삼상에서 단상으로 분전하여 누전 차단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전원인지 여부에 따라 누설 전류 및 지락 전류를 차폐시키고 서지를 차단하여 전원 콘센트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자장치가 침수 시 인체, 가축 등에는 해가 되지 않도록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flooded earth leakage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from three phases to a single phase in a distribution board, and to shielding leakage current and ground fault cur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s normally supplied and is the power source. It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leakage from flooding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which blocks surges and prevents electronic devices supplied through a power outlet from harming humans, livestock, etc. when flooded.

일반적으로"배전반"이란 수전설비인 배전반에서부터 전기사용 기기에 이르는 변압기ㆍ개폐기ㆍ차단기ㆍ분전반ㆍ제어반ㆍ스위치, 그 밖의 부속설비 등을 함체에 넣고 전기적으로 연결한 설비를 말하며, 전기사업용전기설비, 일반용전기설비, 자가용전기설비에서 전기사용을 위해 설치하는 전원공급설비가 이에 해당된다.In general, "distribution board" refers to a facility in which transformers, switches, circuit breakers, distribution boards, control panels, switches, and other auxiliary facilities, ranging from the switchboard, which is a power receiving facility, to electrical equipment, are placed in a box and electrically connected. Electrical equipment for electric utility, This includes power supply equipment installed to use electricity in general electric equipment and private electric equipment.

이러한 전기설비들 간을 연결하기 위해 일례로 3상 4선식 전기설비는, Y결선, 델타 결선, 와이 델타결선 등의 방법으로 중성선(N)과 복수의 도체(R상, S상, T상)인 전력선을 결합하여 전력을 공급해주게 된다. To connect these electrical facilities, for example, a 3-phase 4-wire electrical facility uses a neutral wire (N) and multiple conductors (R-phase, S-phase, T-phase) using Y connection, delta connection, or wye-delta connection. Power is supplied by combining power lines.

여기서 부하에 연결 시 하나의 도체(전력선)와 다른 도체(전력선)를 연결하면 380V가 되고, 하나 의 도체(전력선)(예를 들어, R상)과 중성선(N)을 연결하면 220V가 되어, 단상 부하 에 전력을 공급해주게 된다.Here, when connecting to a load, if one conductor (power line) is connected to another conductor (power line), it becomes 380V, and if one conductor (power line) (for example, phase R) is connected to the neutral line (N), it becomes 220V. It supplies power to single-phase loads.

중성선(N)은 원칙적으로 대지 전위인 영 전위를 가져야 하나 실제로 현장에서 각상의 위상이 정확히 120°가 나오지 않을 때는 약간의 전압을 가질 수 도 있다. 이때 중성선 전위의 상승을 막기 위해 대지 전위 선인 접지선에 중성선을 공통 연결하면 각상의 위상이 약간 차이가 나게 되어도 대지와 닿아있기 때문에 영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In principle, the neutral wire (N) must have zero potential, which is the ground potential, but in practice, it may have a slight voltage when the phase of each phase is not exactly 120° in the field.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neutral line potential from rising, if the neutral line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which is the ground potential line, even if the phase of each phase is slightly different, the zero potential is maintained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단상 배전선로는 두 선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그 두 선 중에 하나의 선은 대지와 등전위인 중성선에서 연결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의 선은 대지와의 전위차가 220V인 복수의 도체(전력선)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도체(전력 선)에서 누전(지락)이 발생하면 감전으로 사망하거나, 화재발생 위험이 높지만 중 성선을 접지하지 않으면 하나의 도체가 누전, 지락 등이 발생하여도 검출할 수 없 고 건전상의 전위가 상승되어 기기 등의 절연 파괴로 더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충전전압, 낙뢰 등 서지 전압이 유입되었을 때 전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A single-phase distribution line is used by connecting two lines. One of the two lines is connected to the neutral line, which is at equal potential with the ground, and the other line is connected to multiple conductors (power lines) whose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ground is 220V. If a short circuit (ground fault) occurs in multiple conductors (power lines), there is a high risk of death from electric shock or a fire. However, if the neutral wire is not grounded, even if a short circuit or ground fault occurs in one conductor, it cannot be detected. As the potential of the high-voltage phase increases, a larger accident may occur due to insulation breakdown of devices, etc., and an electrical accident may occur when surge voltage such as charging voltage or lightning strikes is introduced.

또한 단상부하가 공통으로 연결된 전원 측 중성선이 단선되면 다른 삼상위상에 연결된 불평형 단상부하에 공통으로 연결된 중성선을 통해서 서로 다른 불평형 부하로 인해 이상전압이 경부하로 유입되게 되어 전기기기의 과열소손 및 그로 인한 화재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중성선으로 유입되는 영 상고조파 또한 중성선에 이상 과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기사고를 야기하며 이를 막기 위해 배선용차단기와 누전차단기가 시설된다.In addition, if the neutral wire on the power side to which single-phase loads are commonly connected is disconnected, abnormal voltage flows into the light load due to different unbalanced loads through the neutral wire commonly connected to the unbalanced single-phase load connected to other three phases, resulting in overheating and burnout of electrical equipment. Fires are occurring frequently, and zero harmonics flowing into the neutral wire also cause abnormal overcurrent to flow in the neutral wire, causing electrical accidents. To prevent this,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and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s are installed.

그러나 전기화재는 매년 줄어들지 않고 발생하고 있으며 고압수용가 보다는 저압수용가의 열악한 전기시설 때문에 화재발생의 대부분이 저압수용가에서 발생한다.However, electrical fires occur without decreasing every year, and most fires occur in low-voltage customers due to poor electrical facilities in low-pressure customers rather than high-voltage customers.

전기화재 발생은 배전선로에서 중성선이 단선된 전기를 공급하거나, 결상된 전기를 공급하거나, 오결선된 전기를 공급하거나, 서지 등 이상전압이 유입되거나 수용가내의 전기설비에서 저항증가, 접속불량(아크) 등의 전기고장이 발생하면 저압수용가는 상기 전기고장에 대한 아무런 대책을 세울 수가 없어 부하에 이상전압이 유입되거나, 전기설비가 과열, 소손되고 결국 감전, 전기화재가 발생하게 된다.Electrical fires occur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with a disconnected neutral wire in the distribution line, electricity is supplied with a phase loss, electricity is supplied with incorrect wiring, abnormal voltage such as surge is introduced, or resistance increases or poor connection (arc) occurs in the electric equipment in the customer's house. ), etc., when an electrical failure occurs, the low-voltage customer cannot take any countermeasures for the electrical failure, so abnormal voltage flows into the load, electrical equipment overheats and burns out, and eventually electric shock or electrical fire occurs.

또한 저압수용가 건물의 전기를 수용하는 인입구부터 메인차단기가 시설된 분·배전반까지는 누전 등 전기고장 감시의 사각지대로 이곳에서 누전, 지 락사고가 발생하면 아무런 대책 없이 감전, 화재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area from the inlet that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low-voltage customer building to the distribution panel equipped with the main circuit breaker is a blind spot in the monitoring of electrical faults such as short circuits, so if a short circuit or ground fault occurs here, life and property damage can occur due to electric shock or fire without any countermeasures. is occurring.

본 발명은 배전반 삼상에서 단상으로 분전하여 누전 차단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전원인지 여부에 따라 누설 전류 및 지락 전류를 차폐시키고 서지를 차단하여 전원 콘센트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자장치가 침수 시 인체, 가축 등에는 해가 되지 않도록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power from a three-phase switchboard to a single phase, supplies power normally through an earth leakage breaker, shields leakage current and ground fault current depending on whether it is power, and blocks surges, so that when an electronic device applied through a power outlet is flooded, the human body 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and leakage that prevents harm to livestock, etc.,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L 상, N 상 및 접지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L상 및 N 상이 바뀌어도 상관없이 정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oded earth leakage prevention device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that recognize the L phase, N phase, and ground separately to enable normal operation regardless of the L phase and N phase being changed when power is input.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누설 전류 및 지락 전류를 차폐하여 회로가 보호되어 정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ded earth leakage prevention device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which shields leakage current and ground fault current to protect the circuit and enable normal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출력 콘센트와 전기 장치가 침수가 되어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and earth leakage that allows output outlets and electrical devices to operate normally even when flooded,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입력단 및 출력 전원 콘센트가 릴레이를 통해 분리되어 있어 출력 전원 콘센트가 침수 시에도 누전 차단기가 오프되지 않아 출력 전원 콘센트에 꽂은 전자장치 등에 감전 우려가 없도록 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that prevents the risk of electric shock to electronic devices plugged into the output power outlet by separating the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power outlet through a relay, so that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does not turn off even when the output power outlet is flood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for implementing thi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교류 전류가 각각 입력되는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노이즈 및 전자파 필터부, 접지가 연결되어 있으며 누설 전류 및 지락 전류를 차폐하는 포집부, 상기 노이즈 및 전자파 필터부 및 상기 포집부를 통해 상기 제1 입력 전원 포트, 상기 제2 입력 전원 포트 및 상기 접지 각각이 연결되었는지 표시하는 극성 표시부 및 상기 극성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연결 극성 정보를 기초로 접지가 연결되었으면, 상기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상기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전원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전원 포트에 전원이 인결되면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해 누설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A flooded earth leakage prevention device to achieve this purpose is a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formed with a first input power port and a second input power port through which different types of alternating current are input, respectively, and a ground is connected to the leakage current. and a collecting unit for shielding ground fault current, a polarity display unit indicating whether each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the second input power port, and the ground is connected through the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and the collecting unit, and the polarity display unit. If ground is connected based on the displayed connection polarity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power is connected to either the first input power port or the second input power port, and if power is connected to the power por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t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that supplies power by operating a relay corresponding to the power port even if a leak is detected by a leak detection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이즈 및 전자파 필터부는 상기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상기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전원 포트를 통해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outputs a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and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 can receive any one of the alternating current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를 입력받는 제1 전원 입력부,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를 입력받는 제2 전원 입력부 및 상기 제1 전원 입력부 및 상기 제2 전원 입력부 중 어느 전원 입력부를통해 전원이 입력되었지 여부에 따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is a first power input unit that receives one of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and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and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 and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and a second power input unit that receives an alternating current (AC/N), and turns off depending on whether power is input through any of the first power input unit and the second power input unit. It may include a relay that switches from the on state to output power.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에서 실행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방법은 접지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접지가 연결되어 있으면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입력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 전원이 연결되었으면 상기 연결된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looded earth leakage prevention method implemented in the flooded earth leakage prevention device to achieve this purpos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ground is connected, and if the ground is connected, which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is It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power is connected through one input power port 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s show that the input power is connected, supplying power by operating a relay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power po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입력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상기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전원 포트를 통해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power is connected through any one of the input power ports includes generating a first alternating current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y one of the alternating current (AC/H) and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has been inpu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 전원이 연결되었으면 상기 연결된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가 입력되면, 복수의 릴레이 중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의 상태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가 입력되면, 복수의 릴레이 중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의 상태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f the input power is conn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tep of supplying power by operating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power port includes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and When any one of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s (AC/N) is input, switching the state of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to the on state and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input When either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or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is input through the power port, the state of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is checked. It may include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on state and supplying power.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반 삼상에서 단상으로 분전하여 누전 차단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전원인지 여부에 따라 누설 전류 및 지락 전류를 차폐시키고 서지를 차단하여 전원 콘센트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자장치가 침수 시 인체에는 해가 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distributed normally from the three-phase switchboard to the single phase,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power is supplied, leakage current and ground fault current are shielded, surges are blocked, and th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outlet. The advantage of this electronic device is that it is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when submerged.

또한, 본 발명은 L 상, N 상 및 접지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L상 및 N 상이 바뀌어도 상관없이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cognizing the L phase, N phase, and ground separately, so that normal operation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L phase and N phase changing when power is input.

또한, 본 발명은 누설 전류 및 지락 전류를 차폐하여 회로가 보호되어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ircuit is protected by shielding leakage current and ground fault current, enabling normal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출력 콘센트와 전기 장치가 침수가 되어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utput outlet and electrical device can operate normally even if they are flooded.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입력단 및 출력 전원 콘센트가 릴레이를 통해 분리되어 있어 출력 전원 콘센트가 침수 시에도 누전 차단기가 오프되지 않아 출력 전원 콘센트에 꽂은 전자장치 등에 감전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since the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power outlet are separated through a relay, the earth leakage breaker does not turn off even when the output power outlet is flooded, so there is no risk of electric shock to electronic devices plugged into the output power out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 회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수 누전 차단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and earth lea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ound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from electrical lea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and earth lea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100)는 노이즈 및 전자파 필터부(110), 포집부(120), 극성 표시부(130), 메인 제어부(140) 및 전원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100 includes a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110, a collection unit 120, a polarity display unit 130, a main control unit 140, and a power output unit 150. do.

노이즈 및 전자파 필터부(110)에는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 각각이 형성되어 있다. A first input power port and a second input power port are formed in the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110, and each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is formed.

이때,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입력될 수 있고,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At this time, either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or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power may be input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N) may be input to the second input power port. /H) and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power may be inpu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L 상, N 상 및 접지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L상 및 N 상이 바뀌어도 상관없이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cognizing the L phase, N phase, and ground separately, so that normal operation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L phase and N phase changing when power is input.

포집부(120)에는 접지(FG)가 연결되며, 누설 전류 및 지락 전류를 차폐하여 회로가 보호되어 정상 동작을 실행한다. The ground (FG)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unit 120, and the circuit is protected by shielding leakage current and ground fault current to perform normal operation.

극성 표시부(130)는 노이즈 및 전자파 필터부(110) 및 포집부(120)를 통해 제1 입력 전원 포트, 제2 입력 전원부 및 접지 각각이 접지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The polarity display unit 130 displays whether each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unit, and ground is grounded through the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110 and the collection unit 120.

메인 제어부(140)는 극성 표시부(130)로부터 수신된 연결 극성 정보를 기초로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전원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그리고 접지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The main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power ports is connected to power and ground based on the connection pola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larity display unit 130.

이때, 메인 제어부(140)는 접지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전원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었다고 하더라도 아무런 실행을 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if the ground is not connected, the main control unit 140 does not execute anything even if power is connected to either the first input power port or the second input power port.

만일, 메인 제어부(140)는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 각각에 연결된 입력 전원의 종류를 판단하고 입력 전원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릴레이 중 입력 전원의 종류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If the ground is connected, the main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type of input power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and corresponds to the type of input power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according to the type of input power. Operate the relay so that power is supplied.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교류 전원이 연결되고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제2 교류 전원(AC/N)이 연결되지 않으면, 복수의 릴레이 중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when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AC power (AC/N)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wer port while the ground is connected, the main control unit 140 connects a plurality of relays.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is operated to supply power.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고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교류 전원이 연결되면, 복수의 릴레이 중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wer port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when power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wer port while the ground is connected. Operate the corresponding relay so that power is supplied.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교류 전원이 연결되고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았으나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해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릴레이 중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140 is connected to ground when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power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wer port, but when a leak is detected by a leak detection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is operated to supply powe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 입력단 및 출력 전원 콘센트가 릴레이를 통해 분리되어 있어 출력 전원 콘센트가 침수 시에도 누전 차단기가 오프되지 않아 출력 전원 콘센트에 꽂은 전자장치 등에 감전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power outlet are separated through a relay, so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does not turn off even when the output power outlet is flooded, so there is no risk of electric shock to electronic devices plugged into the output power outlet.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고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교류 전원이 연결되었으나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해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릴레이 중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140 is connected to ground when power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wer port, but a leak is detected by a leak detection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put power port is operated to supply power.

전원 출력부(150)는 메인 제어부(140)에 의해 릴레이가 동작되면 전원을 공급받아 출력한다. The power output unit 150 receives power and outputs it when the relay is operated by the main control unit 14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140)는 제1 전원 입력부(141), 제2 전원 입력부(142) 및 복수의 릴레이(143_1~143_N)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main control unit 140 includes a first power input unit 141, a second power input unit 142, and a plurality of relays 143_1 to 143_N.

제1 전원 입력부(141)는 제1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전원이 입력된다. 제1 전원 입력부(141)는 제1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제1 교류 전류(AC/H)가 입력되면 제1 교류 전류(AC/H)를 제공하고, 제1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제2 교류 전류(AC/N)가 입력되면 제2 교류 전류(AC/N)를 제공한다. Power is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port.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provides a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when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port, and provides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H)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port. When current (AC/N) is input,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is provided.

제2 전원 입력부(142)는 제2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전원이 입력된다. 제2 전원 입력부(142)는 제2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제1 교류 전류(AC/H)가 입력되면 제1 교류 전류(AC/H)를 제공하고, 제2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제2 교류 전류(AC/N)가 입력되면 제2 교류 전류(AC/N)를 제공한다. Power is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port.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provides a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when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input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port, and provides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H)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port. When current (AC/N) is input,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is provid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L 상, N 상 및 접지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전원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L상 및 N 상이 바뀌어도 상관없이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cognizing the L phase, N phase, and ground separately, so that normal operation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L phase and N phase changing when power is input.

상기 제1 전원 입력부(141) 및 제2 전원 입력부(142) 각각은 서로 다른 릴레이(143_1~143_N)와 연결되어 있다. Each of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and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is connected to different relays 143_1 to 143_N.

따라서, 제1 전원 입력부(141)에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가 입력되면 제1 전원 입력부(141)에 해당하는 릴레이가 동작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either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or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is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is activated. It can oper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또한, 제2 전원 입력부(142)에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가 입력되면 제2 전원 입력부(142)에 해당하는 릴레이가 동작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either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or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is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is activated. It can oper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복수의 릴레이(143_1~143_N)는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원 입력부(141) 및 제2 전원 입력부(142) 어느 전원 입력부(141)에 전원이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A plurality of relays (143_1 to 143_N) switch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depending on which power input unit 141 of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and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is connected to the ground. so that power is output.

일 실시예에서,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원 입력부(141)에 제1 교류 전원(AC/H)이 연결되고 제2 전원 입력부(142)에 제2 교류 전원(AC/N)이 연결되지 않으면, 복수의 릴레이(143_1~143_N) 중 제1 전원 입력부(141)에 해당하는 릴레이(143_1)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C power source (AC/H)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and the second AC power source (AC/N)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while the ground is connected. Otherwise, the relay 143_1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143_1 to 143_N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o output power.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원 입력부(141)에 제1 교류 전원(AC/H)이 연결되지 않고 제2 전원 입력부(142)에 제2 교류 전원(AC/N)이 연결되면, 복수의 릴레이(143_1~143_N) 중 제2 전원 입력부(142)에 해당하는 릴레이(143_2)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first AC/H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and the second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When (AC/N) is connected, the relay 143_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143_1 to 143_N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o output power.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원 입력부(141)에 제1 교류 전원이 연결되고 제2 전원 입력부(142)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았으나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해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릴레이(143_1~143_N) 중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143_1)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while ground is connected and the power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but a leak is detected by a leak detection device. ,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143_1 to 143_N), the relay (143_1)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o output power.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원 입력부(141)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고 제2 전원 입력부(142)에 교류 전원이 연결되었으나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해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릴레이(143_1~143_N) 중 제2 전원 입력부(142)에 해당하는 릴레이(143_2)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power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unit 141 while ground is connected and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but a leak is detected by a leak detection device, a plurality of Among the relays 143_1 to 143_N, the relay 143_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142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o output pow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 회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ound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는 제1 릴레이(RL1), 제2 릴레이(RL2), 제3 릴레이(RL3) 및 제4 릴레이(RL4)로 구성되며, 제1 릴레이(RL1)는 제1 입력 전원 포트와 연결되고, 제2 릴레이(RL2)는 제2 입력 전원(AC/H)와 연결되고, 제3 릴레이(RL3)는 제2 릴레이(RL2)와 연결되고, 제4 릴레이(RL4)는 제1 릴레이(RL1)와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main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first relay (RL1), a second relay (RL2), a third relay (RL3), and a fourth relay (RL4), and the first relay (RL1) is the first input Connected to the power port, the second relay (RL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wer (AC/H), the third relay (RL3)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lay (RL2), and the fourth relay (RL4) is connected to the power port.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RL1).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제2 입력 전원(AC/N)의 연결 상태 및 접지(FG)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지 않지만 제1 입력 전원(AC/H)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면 AC 전원 입력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한 후 제1 릴레이(RL1)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하여 출력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릴레이(RL1)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하여 출력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도 4의 회로에서 LD2 및 LD3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In one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140 does not check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AC/N) and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ground (FG), but if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AC/H) is confirmed, the main control unit 140 After determining that the AC power input is in a normal state, the state of the first relay (RL1) is changed to the on state to supply power to the output outle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te of the first relay RL1 is changed to the on state to supply power to the output outlet, LD2 and LD3 light up in the circuit of FIG. 4.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제1 입력 전원(AC/H)의 연결 상태 및 접지(FG)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지 않지만 제2 입력 전원(AC/N)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면 AC 전원 입력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한 후 제1 릴레이(RL1) 및 제2 릴레이(RL2)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하여 출력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제2 릴레이(RL2)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하여 출력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도 4의 회로에서 LD3 및 LD4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140 does not check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AC/H) and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ground (FG), but confirms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AC/N). After determining that the AC power input is in a normal state, the state of the first relay (RL1) and the second relay (RL2) is changed to the on state to supply power to the output outle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te of the second relay RL2 is changed to the on state to supply power to the output outlet, LD3 and LD4 light up in the circuit of FIG. 4.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제1 입력 전원(AC/H) 및 제2 입력 전원(AC/N)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지만 접지(FG)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지 않으면 접지(FG)가 비 접지 상태라고 판단한 후 제1 릴레이(RL1), 제2 릴레이(RL2) 및 제3 릴레이(RL3)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여 출력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접지(FG)가 비 접지 상태이면 도 4의 회로에서 접지(FG)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input power (AC/H) and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AC/N), but i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ground (FG) is not confirmed, the main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grounding state. After determining that (FG) is in an ungrounded state, the states of the first relay (RL1), the second relay (RL2), and the third relay (RL3) are changed to the off state to supply power to the output outlet. As above, if the ground (FG) is in an ungrounded state, the ground (FG) lights up in the circuit of FIG. 4.

상기의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접지(FG)가 비 접지 상태이면 동작을 시키지 않은 이유는 접지(FG)의 회로가 연결되어야만 누설 전류 및 지락 전류를 차폐시키는 차폐 회로(A Shielded circuit)이 동작하기 때문이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ain control unit 140 does not operate when the ground (FG) is in an ungrounded state because it is a shielded circuit that shields leakage current and ground fault current only when the ground (FG) circuit is connected. ) is working.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누설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극성 표시부(130)로부터 수신된 연결 극성 정보를 기초로 제2 입력 전원(AC/N) 및 접지(FG)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지 않지만 제1 입력 전원(AC/H)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면 제1 릴레이(RL1)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한 후 누전 차단기의 상태가 오프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릴레이(RL1)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되면 도 4의 회로에서 LED2 및 LED3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ain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a leak has occurred,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AC/N) and ground (FG) is based on the connection pola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larity display unit 130. is not confirmed, but i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AC/H) is confirmed, the state of the first relay (RL1) is changed to the on state, and then the state of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s changed to the off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te of the first relay RL1 is changed to the on state, LED2 and LED3 light up in the circuit of FIG. 4.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부(140)는 누설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제2 입력 전원(AC/N) 및 접지(FG)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지 않지만 제1 입력 전원(AC/H)의 연결 상태가 확인되면 누설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제1 릴레이(RL1) 및 제2 릴레이(RL2)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한 후 누전 차단기의 상태가 오프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릴레이(RL1) 및 제2 릴레이(RL2)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되면 도 4의 회로에서 LED3 및 LED4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ain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a leak has occurred,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econd input power (AC/N) and ground (FG) is not confirmed, but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first input power (AC/H) is not confirmed. When the connection state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that a leak has occurred, and the states of the first relay (RL1) and the second relay (RL2) are changed to the on state, and then the state of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s changed to the off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te of the first relay (RL1) and the second relay (RL2) is changed to the on state, LED3 and LED4 light up in the circuit of FIG. 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수 누전 차단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from electrical lea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100)는 접지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0).Referring to FIG. 5,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ground is connected (step S310).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100)는 접지가 연결되어 있으면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입력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0).If ground is connected,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power is connect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step S320).

단계 S3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100)는 상기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상기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하나의 전원 포트를 통해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one embodiment of step S320,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100 generates a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and a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2 Determine whether any of the alternating currents (AC/N) has been input.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10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 전원이 연결되었으면 상기 연결된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한다(단계 S330).If the input power is conn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100 operates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power port to supply power (step S330).

단계 S3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100)는 제1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가 입력되면, 복수의 릴레이 중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의 상태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step S330, the submerged earth leakage prevention device 100 supplies any one of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and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through the first input power port. When current is input, power can be supplied by switching the state of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to the on state.

단계 S33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100)는 제2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교류 전류(AC/H) 및 제2 교류 전류(AC/N) 중 어느 하나의 교류 전류가 입력되면, 복수의 릴레이 중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의 상태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step S330,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100 provides any one of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and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through the second input power port. When an alternating current is input, the method may include supplying power by switching the state of a re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to the on state.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se descriptio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110: 노이즈 및 전자파 필터부,
120: 포집부,
130: 극성 표시부,
140: 메인 제어부,
150: 무감전 제어부,
160: 전원 출력부
100: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110: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filter unit,
120: collection unit,
130: polarity indicator,
140: main control unit,
150: shock-free control unit,
160: Power output unit

Claims (6)

제1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며 제1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제1 교류 전류(AC/H)가 입력되면 제1 교류 전류(AC/H)를 제공하고, 제1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제2 교류 전류(AC/N)가 입력되면 제2 교류 전류(AC/N)를 제공하는 제1 전원 입력부;
제2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며 제2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제1 교류 전류(AC/H)가 입력되면 제1 교류 전류(AC/H)를 제공하고, 제2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제2 교류 전류(AC/N)가 입력되면 제2 교류 전류(AC/N)를 제공하는 제2 전원 입력부;
접지의 회로가 연결되면 누설 전류 및 지락 전류를 차폐시키는 차폐 회로가 동작하며,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원 입력부에 제1 교류 전원이 연결되고 제2 전원 입력부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았으나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해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릴레이 중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원 입력부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고 제2 전원 입력부에 교류 전원이 연결되었으나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해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릴레이 중 제2 전원 입력부에 해당하는 릴레이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
Power is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port, and when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port,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provided, and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port. a first power input unit that provides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when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is input;
Power is input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port, and when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input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port,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provided, and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input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port. a second power input unit that provides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when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is input;
When the ground circuit is connected, a shielding circuit that shields leakage current and ground fault current operates, and when the ground is connected, the first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and the leak detection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When a leak is detected,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o output power, and the power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while the ground is connected. If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but a leak is detected by a leakage detection device, the main control unit that switches the rela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wer input unit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o output pow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침수 누전 차단 방지 장치에서 실행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전원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그리고 접지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접지가 연결되어 있으면 제1 입력 전원 포트 및 제2 입력 전원 포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입력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 전원이 연결되었으면 상기 연결된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교류 전원이 연결되고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았으나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해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릴레이 중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접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입력 전원 포트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고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교류 전원이 연결되었으나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해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릴레이 중 제2 입력 전원 포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며 제1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제1 교류 전류(AC/H)가 입력되면 제1 교류 전류(AC/H)를 제공하고, 제1 전원 입력 포트를 통해 제2 교류 전류(AC/N)가 입력되면 제2 교류 전류(AC/N)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며 제2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제1 교류 전류(AC/H)가 입력되면 제1 교류 전류(AC/H)를 제공하고, 제2 입력 전원 포트를 통해 제2 교류 전류(AC/N)가 입력되면 제2 교류 전류(AC/N)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누전 차단 방지 방법.
In the method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and earth leakage, which is carried out in a water leakage prevention device,
determining which power port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is connected to power and to which ground is connected;
If the ground is connected, determining whether input power is connect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and
If the input power is conn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upplying power by operating a relay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power port,
When the ground is connected,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power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wer port, but if a leak is detected by a leakage detection device, it corresponds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operating a relay to supply power; and
When the ground is connected, power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AC p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wer port, but if leakage is detected by the leakage detection device, the second input power port among the plurality of relay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perating the relay to ensure that power is supplied,
Power is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power port, and when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power port,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provided, and the first power input port is providing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when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is input through; and
Power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power port, and when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power port,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AC/H) is provided, and the second input power port is supplied. A method for preventing flooded earth leakage,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when the second alternating current (AC/N) is input through the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72859A 2022-12-12 2022-12-12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Active KR1026408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859A KR102640875B1 (en) 2022-12-12 2022-12-12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TW112213078U TWM656508U (en) 2022-12-12 2023-11-30 Isolation device to prevent water immersion and leakage
TW112146512A TWI875353B (en) 2022-12-12 2023-11-30 Water-proof leakage isolating devic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859A KR102640875B1 (en) 2022-12-12 2022-12-12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875B1 true KR102640875B1 (en) 2024-02-23

Family

ID=9004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859A Active KR102640875B1 (en) 2022-12-12 2022-12-12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0875B1 (en)
TW (2) TWI87535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875B1 (en) * 2022-12-12 2024-02-23 신동표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348A (en) * 2002-04-30 2003-11-05 한국산업안전공단 Device for earthing status display
KR101923574B1 (en) * 2018-04-09 2019-02-27 주식회사티피티 Protective electrical outlet of an electric leakage when filled with water
JP2020162277A (en) * 2019-03-26 2020-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Power supply and vehicle
KR102322324B1 (en) * 2020-06-04 2021-11-05 박종후 Multi-functional Non-electric shock Protective System and Protective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1345A1 (en) * 2013-01-30 2014-07-31 Eaton Corporation Annunciating or power vending circuit breaker for an electric load
WO2020026357A1 (en) * 2018-07-31 2020-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Breaker
KR102640875B1 (en) * 2022-12-12 2024-02-23 신동표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348A (en) * 2002-04-30 2003-11-05 한국산업안전공단 Device for earthing status display
KR101923574B1 (en) * 2018-04-09 2019-02-27 주식회사티피티 Protective electrical outlet of an electric leakage when filled with water
JP2020162277A (en) * 2019-03-26 2020-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Power supply and vehicle
KR102322324B1 (en) * 2020-06-04 2021-11-05 박종후 Multi-functional Non-electric shock Protective System and Protectiv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656508U (en) 2024-06-11
TW202425028A (en) 2024-06-16
TWI875353B (en) 202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62511B (en) Universal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detecting and repairing electrical faul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U2020247540B2 (en) Open pen detection and shut down system
KR101440492B1 (en) Switchgear having a function of electrical fire prevention and overload blocking
KR20220056052A (en) Basic protection, fault protection and/or additional protection devices to against electric shock
KR1021692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due to electric failure
KR10264087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CN103683225A (en) Ground fault protection method of nuclear plant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system in all power supply ranges
JP7505686B2 (en) Apparatus, method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during electric leakage and earth faults
RU2737951C1 (en) Electrical installation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
KR20170051984A (en) Before using electrical short circuit resistance measuring device for applying distribution board
KR101813673B1 (en) Short current reduction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cabinet panel and cable reel apparatus using thereof
JP2009240029A (en) Lightning protection device and housing box
EA016235B1 (en) Zero sequence current generator
KR10262873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from electric leakage and ground fault, and electric supply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220056319A (en) Temporary distribution board to prevent electric shock and fire
Skibinski et al. Part i: Application guidelines for high resistance grounding of low voltage common ac bus and common dc bus pwm drive systems
Vukolov et al. Improvement of algorithms for voltage circuits fault detection in relay protection terminal of 6-35 kV electrical networks
WO2020026258A1 (en) Low voltage domestic board integrated with multilevel protection and multiple source
CN216056322U (en) Lightning protection circuit breaker
CN1018688B (en) Zero-breaking protection device
RU2427852C1 (en) Fire safety method of single-phase electric wiring
KR20120086557A (en) Distrtibuting board cabinet panel with neutral line replacement and method thereof
Cohen Loss of neutral in low voltage distribution systems-consequences and solutions
KR20220056062A (en) Electrical switchboard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due to short circuit or ground fault
Ashok 400KV SUBSTATION AREECODE POWER GRID CORPORATION OF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