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673B1 - Short current reduction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cabinet panel and cable reel apparatus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Short current reduction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cabinet panel and cable reel apparatus us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3673B1 KR101813673B1 KR1020150167266A KR20150167266A KR101813673B1 KR 101813673 B1 KR101813673 B1 KR 101813673B1 KR 1020150167266 A KR1020150167266 A KR 1020150167266A KR 20150167266 A KR20150167266 A KR 20150167266A KR 101813673 B1 KR101813673 B1 KR 101813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rt
- circuit current
- winding
- output
- circu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5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99 S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1—Current limitation using saturable react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 G01R31/024—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02H3/1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 H02H3/16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for three-phase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전력계통망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 부하 측에 접속하는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 상기 제1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1전류에 의하여 제1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N1p의 권수로 정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 정방향 권선 및 N1n의 권수로 역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 역방향 권선을 포함하는 입력 권선부(여기에서, 0 ≤ N1n < N1p); 상기 입력 권선부에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의 자속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N2n의 권수로 역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 역방향 권선 및 N2p의 권수로 정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 정방향 권선을 포함하는 출력 권선부(여기에서, 0 ≤ N2p < N2n);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N1p, N1n, N2n 및 N2p는, 수학식 N1p-N1n > (N2n-N2p)/2, (이 때, N1p-N1n≠N2n-N2p)를 만족함으로써, 전력계통의 단상 또는 3상(R, S, T상)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단락전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단락에 의한 스파크와 전선 과열을 저감할 뿐 아니라 단락 지점만을 신속히 차단하여 정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계통에서 단락 발생시 인명, 화재사고 및 정전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power system network and to which an AC power is applied; A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load side; A first forward winding wound in a positive direction with a winding number of N1p and a first reverse winding wound in a reverse direction with a winding number of N1n so as to generate a magnetic flux in a first direction by a first current input from the first input terminal Input winding portion (where 0 < N1n <N1p); A second reverse winding magnetically coupled to the input winding section and woun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the number of turns of N2n to generate a magnetic flux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magnetic flux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current, An output winding portion (here, 0? N2p < N2n) including a second forward winding wound in a forward direction with the number of turns of N2p; N1p, N1n, N2n, and N2p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f the output winding section, and N1p, N1n, N2n and N2p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N1p-N1n> (R, S, T phase) of the power syste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hort-circuit current and thereby reduce the spark and overheating due to the short circuit, It is effective to prevent a second accident caused by a fire, a fire or a power failure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power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계통에서 단락(합선) 발생시 단락전류를 저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계통의 단상 또는 3상(R, S, T상)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단락전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단락에 의한 스파크와 전선 과열을 저감할 뿐 아니라 단락 지점만을 신속히 차단하여 정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계통에서 단락 발생시 인명, 화재사고 및 정전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ducing a short-circuit current in a pow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 short-circuit curren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a single-phase or three-phase (R, S, T phase) Thereby preventing overheating of spark and electric wire caused by a short circuit and preventing short-circuiting of short-circuit point to prevent electric shock from spreading.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condary accident caused by fire, To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에 있어서, 22.9kv-y 배전방식은 3상 4선식 배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부터 공장이나 빌딩과 같은 큰 규모의 수용가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거나, 2차 변압기를 통해 소규모 공장이나 일반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배전선로는 도시 외곽이나 농어촌 등지에서는 가공선 형태로 시공되나, 대도시나 유원지와 같이 미관이 중시되는 지역에서는 지중으로 매설 시공한다.Generally, in the power system, the 22.9 kv-y power distribution system supplies power directly from a substation to a large-scale customer such as a factory or a building through a 3-phase 4-wire distribution line, or through a secondary transformer to a small- To the power supply. Such distribution lines are constructed in the form of machined lines in the outskirts of cities and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but they are buried underground in areas where beauty is important, such as large cities and amusement parks.
3상 4선식 배전 계통은, Y결선, 델타 결선 또는 와이 델타결선 등의 방법으로 중성선(N)과 전력선(R상, S상, T상)을 결합하여 전력을 공급해주게 된다. 여기서 전원연결 시 하나의 전력선과 다른 전력선을 연결하면 380V가 되고, 하나의 전력선(예를 들어, R상)과 중성선(N)을 연결하면 220V가 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해주게 된다.The three-phase four-wire distribution system will provide power by combining the neutral (N) and power lines (R, S, and T phases) by Y wire, delta wire or wieder wire. Here, when one power line and another power li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380V is obtained. When one power line (for example, R phase) and a neutral line (N) are connected, 220V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load.
여기서 단락(합선)이 발생되면 스파크 및 전선의 과열 등으로 인명 및 화재사고는 물론 부하 측에 불평형 전력이 발생하여, 삼상 측 선로에 연결된 냉장고, 세탁기 등의 부하가 소손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If a short circuit occurs, unbalanced power is generated on the load side as well as life and fire accidents due to overheating of the spark and the electric wire, and the loads such as the refrigerator and the washing machine connected to the three-phase line are burned.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전력계통은 단락 등의 전기고장으로부터 전기의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단계별로 다양한 계전장치를 통하여 관리되고 있다.The power system is managed through various relay devices in a step-by-step manner for stable use of electricity from electrical failures such as short circuits.
계전기는 입력되는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과전압/결상/역상/지락전류 등을 검출하고 차단기(CB: circuit break)를 동작시킴으로써, 전력망을 독립적으로 동작시켜 자가용 수용가 측의 고장이 전기사업자 측으로, 또는 전기사업자 측의 고장이 자가용수용가 측으로 전파가 되지 않도록 하여, 전체 계통망을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relay senses the input voltage and current and detects the current / overvoltage / phase / reverse / ground fault current and activates the circuit breaker (CB) so that the power network operates independently, , Or the failure of the electric power company side is prevented from propagating to the private car side, thereby making the whole system network operate stably.
이러한 계전기의 기능 중에 가장 대표적인 기능은 과전류와 지락(누전)을 검출하여 차단하는 것이다.The most representative function of these relays is to detect and block overcurrent and ground fault.
일반적으로 과전류는 부하에서 나타나므로 자가용 수용가 측 계전기가 부하 측의 이상전류를 감지하여 부하를 차단시켜야 한다. 여기에서 과전류에 의한 계전기 동작은 개별적인 동작으로 일어나야 하며, 과전류가 발생한 바로 상부 계전기만 동작하게 하면 된다. 만일 발생된 과전류가 최상부 계전기(전기사업자 계전기)까지 동작시킬 수 있는 큰 전류였다면, 최상부 계전기도 과전류 동작으로 차단될 것이므로, 이 경우는 전기사업자에 연결된 모든 자가용 수용가를 동시에 차단시키는 대형 정전사고가 발생되게 된다.Generally, since the overcurrent is present in the load, it is necessary to shut off the load by detecting the abnormal current on the load side. Here, the relay operation by the overcurrent must be performed in an individual operation, and only the upper relay in which the overcurrent occurs should be operated. If the generated overcurrent is a large current that can operate up to the top relay (electric company relay), the top relay will also be cut off by the overcurrent operation. In this case, a large power outage occurs .
따라서 이러한 동작을 억제하기 위하여 과전류 계전기는 정한시/반한시/초반한시 등의 다양한 동작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과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동작시간이 가변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하부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시간이 상부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시간보다 빠르게 설정하여, 과전류를 만들어 내는 부하를 빠른 시간 내에 계통으로부터 분리해냄으로써 전체 계통망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such an operation, the overcurrent relay has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a predetermined time / inverse time / early time, and the operation time is variabl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overcurrent.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time of the lower overcurrent relay is set to be faster than the operation time of the upper overcurrent relay, so that the overcurrent generating load can be separated from the system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that the entire system can be stably operated.
그러나 단락사고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용가의 전기 사용조건에서는 차단기 용량과 전기를 사용하는 부하 측 전선의 길이나 굵기에 따라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아 전선이 과열되어 불이 붙는 전기화재가 빈번하고, 차단기가 동작하더라도 순간적인 스파크 및 과전류에 의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해마다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short-circuit accident, the breaker does not operate according to the length or thickness of the load-side electric wire using the breaker capacity and electricity under the electric usage condition of the general customer, so electric fires due to overheating of the electric wire are frequent, Even if instantaneous sparks and overcurrents are caused, life and property damage are constantly occurring every year.
또한, 단락에 의하여 과전류 계전기가 동작하는 경우에도 메인 차단기와 부하 측 차단기가 동시에 차단되거나, 한전의 변압기 퓨즈까지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다수의 수용가가 정전으로 인한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정상 복구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In addition, when the overcurrent relay operates due to a short circuit, the main breaker and the load side breaker are simultaneously shut off, or the transformer fuse of the KEPCO is also cut off, resulting in a secondary damage caused by a power failur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restore it to normal.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력계통의 단상 또는 3상(R, S, T상)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단락전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단락에 의한 스파크와 전선 과열을 저감할 뿐 아니라 단락 지점만을 신속히 차단하여 정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계통에서 단락 발생시 인명, 화재사고 및 정전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단 장치, 분전반 및 케이블 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a short circuit current in a single phase or three phases (R, S, T phases) of a power system, A short 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secondary accident caused by a fire, a fire, or a power outage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power system by preventing short-circuiting of the power system by preventing sho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ocking device, a distribution board, and a cable reel de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전력계통망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 부하 측에 접속하는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 상기 제1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1전류에 의하여 제1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N1p의 권수로 정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 정방향 권선 및 N1n의 권수로 역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 역방향 권선을 포함하는 입력 권선부(여기에서, 0 ≤ N1n < N1p); 상기 입력 권선부에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의 자속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N2n의 권수로 역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 역방향 권선 및 N2p의 권수로 정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 정방향 권선을 포함하는 출력 권선부(여기에서, 0 ≤ N2p < N2n);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N1p, N1n, N2n 및 N2p는, 수학식 N1p-N1n > (N2n-N2p)/2, (이 때, N1p-N1n≠N2n-N2p)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power system network and to which an AC power is applied; A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load side; A first forward winding wound in a positive direction with a winding number of N1p and a first reverse winding wound in a reverse direction with a winding number of N1n so as to generate a magnetic flux in a first direction by a first current input from the first input terminal Input winding portion (where 0 < N1n <N1p); A second reverse winding magnetically coupled to the input winding section and woun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the number of turns of N2n to generate a magnetic flux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magnetic flux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current, An output winding portion (here, 0? N2p < N2n) including a second forward winding wound in a forward direction with the number of turns of N2p; N1p, N1n, N2n, and N2p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f the output winding section, and N1p, N1n, N2n and N2p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N1p-N1n> -N2p). ≪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출력 권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권선부에 연결되는 한 쌍 이상의 출력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권선부 및 나머지 권선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output winding section;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coupled to the at least one output winding section, and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winding section and the remaining windings satisfy the above equ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의 단락전류는,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에서 보이는 등가 임피던스로 조절되고, 상기 등가 임피던스는 입력 권선부 및 출력 권선부의 배치, 권선의 저항, 자기코어의 형상, 또는 자기코어 상의 갭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circuit currents at the first and second output stages are adjusted to an equivalent impedance seen at both ends of the output winding section, It is desirable to set the position, the resistance of the winding, the shape of the magnetic core, or the gap on the magnetic core using at least one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기 출력 권선부는, 상기 등가 임피던스와 별도로 상기 제2 정방향 권선 또는 제2 역방향 권선에 직렬 연결되는 임피던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임피던스부는, 저항 또는 인덕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winding sec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pedance section connected in series to the second forward winding or the second reverse winding separately from the equivalent impedan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indu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에 대응되는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 중 일단의 주변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탭; 및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 중 일단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탭과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탭절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variable tab provided at a periphery of one end of both ends of the output winding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ends; And a tap switching portion for selectively connecting one end of the output winding portion or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ends to the one or more variable tap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기 탭절환부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ab switching portion is manually op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는 출력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탭절환부는 상기 양단 전압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의 일단을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 중 일단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탭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voltage sensing unit for sensing a voltage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And one end of the second output terminal is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or both ends of the output winding portion or the at least one variable t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기 입력 권선부의 제1 역방향 권선의 권수 N1n 및 상기 출력 권선부의 제2 정방향 권선의 권수 N2p는 0이고, 상기 입력 권선부의 제1 정방향 권선의 권수 N1p는 상기 출력 권선부의 제2 역방향 권선의 권수 N2n의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urns N1n of the first reverse winding of the input winding portion and the number of turns N2p of the second forward winding of the output winding portion are zero, The number of turns N1p is preferably twice the number of turns N2n of the second reverse winding of the output winding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기 출력 권선부의 일단은 상기 제1 입력단 또는 제2 입력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output winding sec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or the second input terminal 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캐스케이드로 연결된 복수의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변압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ascade-connected transformer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formers is preferably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 측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이상상태 감지부; 및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를 분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 breaking device including: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n abnormal state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to sense an abnormal state of the load side; And a switch unit for disconnecting the load from the AC power sour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hort circuit or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loa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는,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제1 입력단, 제2 입력단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input terminal, the second input terminal, or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는,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내의 두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두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이고,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voltage between two nodes 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And in the abnormal state, it is preferable to exceed the reference voltag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는, 상기 두 노드 중 하나는 상기 출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이고, 상기 두 노드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입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two nodes is a node drawn out from the output winding section and the other of the two nodes is a node drawn out from the input winding section Do.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는,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내의 두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두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voltage between two nodes 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and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between the two nodes is a reference voltage And in the abnormal state, it is preferable to be equal to or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는, 상기 두 노드는 상기 입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nodes are nodes drawn out from the input winding sec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는, 상기 스위치부는, 반도체 스위치, 차단기, 마그네틱 스위치 또는 계전기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이고, 상기 전력계통망과 단락전류 저감 장치 사이, 또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와 부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section is one or a combination of a semiconductor switch, a circuit breaker, a magnetic switch or a relay,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is provided between the current reducing apparatus and the loa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는,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short-circuit or over-current has occurred in the loa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Is preferably an audible or visual alar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전력계통망으로부터 삼상 전원을 인가받는 R 입력단, S 입력단 및 T 입력단; 부하에 접속되는 R 출력단, S 출력단 및 T 출력단; 및 상기 각 입력단과 중성점 사이 각각에 연결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각각의 제1 입력단은 상기 R 입력단, S 입력단, 및 T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각각의 제2 입력단과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 중 일단은 상기 중성점에 공통 연결되고,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 중 타단은 상기 R 출력단, S 출력단 및 T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hree-phas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R input terminal, an S input terminal and a T input terminal receiving three-phase power from a power grid network; An R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load, an S output terminal and a T output terminal; An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input terminals and the neutral point, wherein a first input terminal of each of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s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 input terminal, the S input terminal, and the T input terminal, Each of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neutral point,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f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R output terminal, the S output terminal, and the T output terminal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phas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와 캐스케이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hree-phas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transformer connected in cascade with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hree-phas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transformer is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메인 차단기 및 분기 차단기를 포함하고, 인입된 교류전원을 부하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부하 측의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상술한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tribution board including a main breaker and a branch circuit breaker, and branching the supplied AC power to the load, Where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와 캐스케이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transformer connected in cascade with the short-circuit current abatement devic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transformer is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이상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 차단기 또는 상기 분기 차단기 중 하나 이상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bnormal state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shortcurrent reduction apparatus and sensing an abnormal state of the loa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main breaker and the branch breaker is shut off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vercurrent has occurred.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제1 입력단, 제2 입력단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input terminal, the second input terminal, or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내의 두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두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이고,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voltage between two nodes in the shortcircuit reduction apparatu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between the two nodes is less than a reference voltage in a steady state, It is preferable to exceed the reference voltag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상기 두 노드 중 하나는 상기 출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이고, 상기 두 노드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입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two nodes is a node drawn out from the output winding section, and the other of the two nodes is a node drawn out from the input winding sec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내의 두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두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voltage between two nodes 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between the two nodes exceeds a reference voltage in a steady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tag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상기 두 노드는 상기 입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nodes are nodes drawn out from the input winding sec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lar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hort circuit or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loa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It is preferable to be a visual alar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릴 장치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케이블 권취부 및 상기 케이블과 부하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 콘센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부하 측의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단락전류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부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ble reel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le reel unit wound around a cable, and a receptacle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able and the load unit, An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unit connected between the cable and a socket to reduce a short-circuit current on the load side, where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unit is a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릴 장치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케이블 권취부 및 상기 케이블과 부하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 콘센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부하 측의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단락전류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부는,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ble reel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le reel unit wound around a cable, and a receptacle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able and the load unit, An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unit connected between the cable and a socket to reduce a short-circuit current on the load side, where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unit is a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shut-off unit.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단 장치, 분전반 및 케이블 릴 장치는, 전력계통의 단상 또는 3상(R, S, T상)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단락전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단락에 의한 스파크와 전선 과열을 저감할 뿐 아니라 단락 지점만을 신속히 차단하여 정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계통에서 단락 발생시 인명, 화재사고 및 정전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하는 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eaking device, the distribution board and the cable reel device using the same reduce the short-circuit curren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a single-phase or three-phase (R, S, T phase) It not only reduces spark and wire overheating due to short circuit but also prevents sudden spread of power by rapidly blocking short circuit point. It is an excellent effect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 caused by fire, accident or power outage in the power system.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를 적용한 전력계통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의 내부 회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를 변형한 예시도.
도 5는 도 2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를 간략화한 등가 회로도.
도 6은 도 5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에 권선의 내부 등가 임피던스를 고려한 회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a)는 정상 동작의 경우, 도 7(b)는 부하가 단락된 경우.
도 8은 도 5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에 가변탭 및 탭절환부를 적용한 예시도.
도 9(a) 및 도 9 (b)는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가 캐스케이드로 적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도 10의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에서 권선의 양단 전압을 추출하는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부하 측에서의 정상 또는 단락 동작시 도 11의 양단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파형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을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을 도시한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을 도시한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릴 장치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케이블 릴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ystem to which a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of Fig. 2;
Fig. 5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in which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of Fig. 2 is simplified. Fig.
Fig. 6 is a circuit diagram in which the internal equivalent impedance of a winding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of Fig. 5;
7 (a) and 7 (b) are explanatory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of FIG. 6; Fig. 7 (a) shows the case of normal operation, and Fig. 7 (b) shows the case where the load is short-circuited.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pplication of a variable tap and a tab switching portion to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of Fig. 5; Fig.
9 (a) and 9 (b)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case where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cascad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interrup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both ends of a winding are extracted 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of Fig. 10; Fig.
Fig. 12 (a) and Fig. 12 (b) are waveform diagrams showing the change of both end voltages in Fig. 11 during normal or short-circuit operation on the load side.
1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three-phas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 motor control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ree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able reel apparatus of FIG. 17;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merely exemplary and is merely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가 전력계통 상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short-circui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교류전원(10)을 인가받아 부하(20)에 전달한다. 여기에서 부하(20)는 개별의 전기기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하(20) 측에 설치된 모든 전기기기를 포함한다고 보아야 한다. 교류전원(10)과 부하(20) 사이에 배치된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부하(20) 측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락전류를 저감하도록 동작한다. 상기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구성과 동작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Referring to FIG. 1, a short-circui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내부 회로도이다.Fig. 2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short-circuit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교류전원(10)이 인가되는 제1 입력단(131) 및 제2 입력단(132)과, 부하(20) 측에 접속하는 제1 출력단(141) 및 제2 출력단(142)을 포함하고, 제1 입력단(131)과 제2 입력단(132)의 사이에는 제1 입력단(131)으로부터 입력되는 제1전류에 의하여 제1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는 입력 권선부(110)와, 상기 입력 권선부(110)에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의 자속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는 출력 권선부(120)가 직렬로 결합되어 있다.2, the short-circuit
입력 권선부(110)는, 제1전류에 의하여 제1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N1p의 권수로 정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 정방향 권선(111)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제1 정방향 권선(111)과 반대 방향으로 N1n의 권수로 권선되는 제1 역방향 권선(11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입력 권선부(110)에서 제1 방향의 자속과 제2 방향의 자속이 상쇄되어 제1 방향의 자속만 남아야 하므로 제1 역방향 권선(112)의 권수 N1n은 제1 정방향 권선(111)의 권수 N1p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제1 역방향 권선(112)의 권수 N1n은 0≤N1n<N1p를 만족하는 범위를 갖는다.The
출력 권선부(120)는, 제1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의 자속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N2n의 권수로 역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 역방향 권선(122)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1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제2 제2 역방향 권선(122) 권선(122)과 반대 방향으로 N2p의 권수로 정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 정방향 권선(12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출력 권선부(120)에서 제2 방향의 자속과 제1 방향의 자속이 상쇄되어 제2 방향의 자속만 남아야 하므로 제2 정방향 권선(121)의 권수 N2p는 제2 역방향 권선(122)의 권수 N2n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제2 정방향 권선(121)의 권수 N2p는 0≤N2p<N2n을 만족하는 범위를 갖는다.The
정상 동작 상태에서 제1 및 제2 입력단(131, 132)에 인가되는 입력 교류전압 Vac는 입력 권선부(110)와 출력 권선부(120)에 분배되고 이 경우에 출력 권선부(120)에 유기되는 2차 전압 V2는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The input AC voltage Vac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stages 131 and 132 is distributed to the
수학식 1의 분모는 0이 될 수 없으므로, 수학식 1은 N1p-N1n≠N2n-N2p인 조건에서 유효하다.Since the denominator of Equation (1) can not be zero, Equation (1) is valid under the condition of N1p-N1n? N2n-N2p.
출력 권선부(120)에서 인출된 제1 및 제2 출력단(141, 142)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입력단(131, 132)에 인가되는 입력 교류전압 Vac는 입력 권선부(110)에만 걸리게 되므로 단락 시에 출력 권선부(120)에 유기되는 2차 전압 V2.sh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An input AC voltage Vac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stages 131 and 132 is applied to the input winding part (or the output winding par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first and
여기에서 권선 간의 권수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면, 정상 동작시에 출력 권선부(120)에 유기되는 2차 전압 V2보다 단락 시에 출력 권선부(120)에 유기되는 2차 전압 V2.sh를 더 작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부하 측에서의 단락전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windings is set appropriately, the secondary voltage V2.sh induced in the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정상 동작시의 2차 전압 V2 보다 단락 시의 2차 전압 V2.sh를 작게 설정하면 아래 수학식 3과 같은 권수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If the secondary voltage V2.sh at the time of short-circuiting is set smaller than the secondary voltage V2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by using Equations (1) and (2), the relationship of the number of turns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can be obt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3도 N1p-N1n≠N2n-N2p인 조건에서 유효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quation (3) is also valid under the condition of N1p-N1n? N2n-N2p.
다시 말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에서 입력 권선부(110)와 출력 권선부(120)의 권수가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부하 측에서 단락 발생 시에 출력 권선부(120)의 2차 전압 V2.sh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비례해서 단락전류도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 수학식 3도 N1p-N1n이 N2n-N2p와 같지 아니한 조건에서 유효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사항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 권선부(110) 또는 출력 권선부(120)의 권선을 복수 개로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이용한 변형 예를 예시하고 있다.The short-circuit
도 3은 도 2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에서 출력 권선부(120)와 출력단을 복수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출력 권선부(120)를 입력 권선부(110) 내에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도 3에 도시된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하나의 입력 권선부(110)와 2개의 출력 권선부(120)로 구성되며, 각각의 출력 권선부(120)는 제2 정방향 및 역방향 권선(121, 122)과 제3 정방향 및 역방향 권선(123, 124)을 각각 포함한다. 출력 권선부(120)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각각의 출력 권선부(120)와 해당 출력 권선부(120)를 제외한 권선들 사이에 수학식 3의 관계를 만족하면 해당 출력 권선부(120)에서 인출한 출력단에 대하여 단락전류가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출력 권선부(120)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그 이상의 출력 권선부(120)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3 is composed of one input winding 110 and two
도 4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도 2의 경우와 달리 제2 출력단(142)이 제2 입력단(132)에 접속하지 아니하고 출력 권선부(120)가 입력 권선부(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입력 권선부(110)를 복수 개로 분할하고 각각의 입력 권선부(110)는 제1 정방향 및 역방향 권선(111, 112)과 제4 정방향 및 역방향 권선(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출력 권선부(120)와 입력 권선부(110)의 권선들 간에 수학식 3을 만족하면 단락 시에 단락전류가 저감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때 수학식 3의 N1p는 제1 정방향 권선(111)과 제4 정방향 권선(113)의 권수의 합(N11p+N12p)과 동일하고, 수학식 3의 N1n은 제1 역방향 권선(112)과 제4 역방향 권선(114)의 권수의 합(N11n+N12n)과 동일하다.4, the
도 5에는 도 2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간략화한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Fig. 5 shows a circuit in which the short-circuit
도 2의 입력 권선부(110)는 제1 정방향 권선(111)과 이보다 작은 권수로 권선된 제1 역방향 권선(112)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제1 정방향 권선(111)에 의한 제1 방향의 자속에서 제1 역방향 권선(112)에 의한 제2 방향의 자속이 상쇄되어 제1 방향의 자속만 남게 되는바, 도 2의 입력 권선부(110)는 제1 정방향 권선(111)의 권수 N1p에서 제1 역방향 권선(112)의 권수 N1n을 뺀 N1(=N1p-N1n)의 권수를 갖고 정방향으로 권선된 권선과 등가이다.The
또한 도 2의 출력 권선부(120)는 제2 역방향 권선(122)과 이보다 작은 권수로 권선된 제2 정방향 권선(121)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제2 역방향 권선(122)에 의한 제2 방향의 자속에서 제2 정방향 권선(121)에 의한 제1 방향의 자속이 상쇄되어 제2 방향의 자속만 남게 되는바, 도 2의 출력 권선부(120)는 제2 역방향 권선(122)의 권수 N2n에서 제2 정방향 권선(121)의 권수 N2p을 뺀 N2(=N2n-N2p)의 권수를 갖고 역방향으로 권선된 권선과 등가이다.2 is composed of the second reverse winding 122 and the second forward winding 121 wound at a smaller winding number than that of the second reverse winding 122 and the second reverse winding 122 of the second reverse winding 122, The magnetic flux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second forward winding 121 in the magnetic flux is canceled and only the magnetic flux in the second direction is left. In this case, the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등가인 회로이다. 도 5의 구성으로부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다시 쓰면 아래 수학식 4와 같다.
Therefore, the short-circuit
상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4도 N1≠N2인 조건에서 유효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quation (4) is also valid under the condition that N1? N2.
또한, 이를 기초로 수학식 3을 다시 정리하면, 도 5에 도시된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아래 수학식 5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3, the short-circuit
상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5는 N1≠N2인 조건에서 유효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quation (5) is valid under the condition that N1? N2.
도 5에 도시된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의 실제적인 동작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6에서는 출력 권선부(120)에서 바라본 등가 임피던스 Zt가 고려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단권 변압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등가 임피던스 Zt는 출력 권선부(120)에서 바라본 단권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 철손 및 동손 등을 등가적으로 고려한 임피던스이다. 등가 임피던스는 입력 권선부(110) 및 출력 권선부(120)의 배치, 권선의 저항, 자기코어의 형상, 또는 자기코어 상의 갭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In order to examine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e short-circuit
도 7(a) 및 도 7(b)에는 도 6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및 부하가 단락되는 경우에 있어서 전압 및 전류가 도시되어 있다.7 (a) and 7 (b) show voltage and current when the short-circuit
도 7(a)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의 제1 및 제2 출력단(141, 142)에 정상적인 부하 임피던스 Zo가 연결된 경우에 전압 및 전류를 도시하고 있다. 입력 교류전압 Vac 및 입력전류 I1에 대응하여 출력 권선부(120)에 유기된 전압 V2 및 출력전류 Io를 회로해석 기법에 의하여 구하면 아래 수학식 6과 같다.
7 (a) shows the voltage and current when the normal load impedance Zo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여기에서 n은 출력 권선부(120)에 대한 입력 권선부(110)의 비로서 n=N1/N2로 주어진다.Here, n is given by n = N1 / N2 as a ratio of the
도 7(b)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의 제1 출력단(141) 및 제2 출력단(142)에 연결된 부하에서 단락이 발생한 연결된 경우의 전압 및 전류를 도시하고 있다. 단락 시에 출력 권선부(120)에 유기된 전압 V2.sh 및 단락전류 Ish는 수학식 6을 이용하여 부하 임피던스 Zo에 0옴을 대입함으로써 아래 수학식 7과 같이 구할 수 있다.
7B shows voltage and curren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a load connected to the
위 수학식 7에서 알 수 있듯이, 단락전류 Ish는 권선비 n외에 출력 권선부(120) 측의 등가 임피던스 Zt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등가 임피던스 Zt를 크게 하면 단락전류 Ish를 줄일 수 있다. 등가 임피던스 Z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권선부(120)에서 바라본 단권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 철손 및 동손이 고려된 것으로서 입력 권선부(110) 및 출력 권선부(120)의 배치, 권선의 저항, 자기코어의 형상, 또는 자기코어 상의 갭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단락 시의 단락전류 Ish를 더욱 저감하기 위하여 등가 임피던스 Zt에 직렬로 결합하는 임피던스부를 더욱 부가할 수 있으며, 상기 임피던스부는 저항 또는 인덕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Equation (7), the short-circuit current Ish can be adjusted by the equivalent impedance Zt of the
출력 권선부(120)에 대한 입력 권선부(110)의 권선비 n=2로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 수학식 6과 수학식 7의 의미를 살펴보면, 수학식 6으로부터 정상 부하에서의 출력 권선부(120)의 유기 전압 V2 및 출력전류 Io는 V2??Vac, Io??Vac/Zo (∵Zo≫Zt)로 주어지지만, 부하가 단락되는 경우에는 수학식 7로부터 출력 권선부(120)의 유기 전압 V2.sh 및 단락전류 Ish가 V2.sh=Vac/2, Ish=Vac/(4Zt)로 주어진다. 다시 말하면, 입력 권선부(110)와 출력 권선부(120)의 권선비 n=2로 설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적용하는 경우에, 정상 부하 조건에서는 출력 권선부(120)의 유기 전압 V2가 입력전압과 동일한 Vac였던 것이 부하가 단락되면 출력 권선부(120)의 유기 전압 V2=V2.sh=Vac/2가 되어 정상 부하일 때의 1/2로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단락전류도 저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6) and Equation (7), when the winding ratio n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입력 권선부(110)와 출력 권선부(120)의 권선비 n을 조절하여 입력 전압 Vac에 대하여 출력 권선부(120)의 유기 전압 V2를 강압하거나 승압하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권선비 n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권선비 n을 2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수학식 6 및 수학식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 부하 조건에서는 입력전압 Vac와 동일한 크기의 출력 권선부(120)의 유기 전압 V2 및 출력전압 Vo를 얻을 수 있고, 부하(20)가 단락되는 조건에서는 출력 권선부(120)의 유기 전압 V2가 정상 부하 조건보다 낮아진 Vac/2가 유기되어 단락전류가 저감됨을 알 수 있다The short circuit current reducing
도 8에는 도 5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에 가변탭(160) 및 탭절환부(150)를 적용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8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variable taps 160 and the tapped
부하 임피던스 Zo가 작아지게 되면 등가 임피던스 Zt 및 부하 임피던스 Zo 간의 전압분배의 법칙에 의하여 출력전압 Vo가 작아지게 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권선부(110)와 출력 권선부(120)의 권선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탭(16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탭(160) 중 하나는 탭절환부(150)에 의해 제1 출력단(141)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탭절환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전압 감지부(170)를 더 포함하여 출력전압이 일정 수준이상 변동할 때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출력전압 감지부(170)의 감지결과에 따라 탭절환부(150)가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load impedance Zo becomes smaller, the output voltage Vo becomes smaller due to the law of voltage distribution between the equivalent impedance Zt and the load impedance Zo.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the above, the short-circuit
도 9(a) 및 9(b)에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가 변압기(180)와 캐스케이드 연결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Figures 9 (a) and 9 (b) show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hort-circuit
도 9(a)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일반적인 변압기(180)와 캐스케이드 연결될 수 있고, 도 9(b)에 보인 바와 같이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복수 개 구비하여 캐스케이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입출력 전압비를 적절히 설정하고 단락 시의 단락전류를 더욱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9A, the short-circuit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이용한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부하(20) 측에서 단락 발생시 단락전류를 저감하여 단락에 의한 스파크 및 전선의 과열을 감소시켜 인명 및 화재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단락사고로부터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도 10과 같은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로 구현될 수도 있다.10 shows a short-circui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와,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에 연결되어 부하(20) 측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이상상태 감지부(210)와,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20)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교류전원(10)으로부터 상기 부하(20)를 분리하는 스위치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는 이상상태 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부하(20)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보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인 경보일 수 있다.10,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and breaking
도 10에는 이상상태 감지부(210)가 제1 입력단(131) 및 제2 입력단(132)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거나, 제1 및 제2 출력단(141, 142)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상상태 감지부(210)는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내의 두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여 단락이나 과전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10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bnormal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입력 권선부(110)와 출력 권선부(120)의 권선비가 2인 경우이고, 하나의 예시로서 A, B 및 C 노드를 도 11과 같이 설정하였다고 할 때, 정상 부하 조건일 때와 단락이 발생한 조건에서 A-C 노드 사이 및 A-B 노드 사이에서의 양단 전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도 12(a) 및 도 12(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상상태 감지부(210)가 A-C 노드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고 기준전압을 0V에서 Vac/2 사이로 설정하는 경우에, A-C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이고, 부하(20)에서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단락 또는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여 스위치부(220)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상태 감지부(210)가 A-B 노드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고 기준전압을 Vac/2에서 Vac 사이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A-B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가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단락 또는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여 스위치부(220)를 차단할 수도 있다. 도 11에 예시된 노드 외에도 다양한 노드를 설정하고 상기 노드 간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단락 또는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가 단순 설계변경을 통하여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The short-circuit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에 포함된 스위치부(220)는, 이상상태 감지부(2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구성요소로서, 반도체 스위치, 차단기, 마그네틱 스위치 또는 계전기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고, 그 설치되는 위치는 전력계통과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사이, 또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와 부하(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가 단상 교류전원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포함하여 3상 4선식 배전계통에 대하여 중성선(N)과 전력선(R상, S상, T상)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성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hort-circuit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는, 3개의 단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포함하고,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각각의 제1 입력단(131)은 삼상 전원이 인가되는 R 입력단(R1), S 입력단(S1) 및 T 입력단(T1)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각각의 제2 입력단(132)과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141, 142) 중 일단은 중성점(N)에 공통 연결되고,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141, 142) 중 타단은 R 출력단(R2), S 출력단(S2) 및 T 출력단(T2)에 각각 연결되어 부하 측으로 삼상 전원을 출력한다.13, the three-phas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본 발명에 따른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는, 각 상의 출력단(R2, S2, T2)과 중성점 간의 단락 또는 각 상끼리의 단락에 대응하여 단락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는 개별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결선하여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함체 안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변압기(180) 또는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캐스케이드로 더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이용하여 분전반(400)을 구현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1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통상적인 분전반은, 산업설비 회로 및 건물의 옥내ㅇ외 회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의 용량에 맞게 배분하는 전로의 인입구 역활을 하는 장치로서, 그 내부에 배선용 차단기 및 누전차단기 등의 회로 차단기가 설치되어 과전류 또는 단락사고 발생시 분기 회로를 주모선으로 부터 차단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분전반은 배선용 차단기 등의 차단 속도의 한계로 말미암아 부하 측에서 단락 발생시 큰 단락전류가 형성되어 스파크나 전선 과열에 의한 화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거나, 하부보다 상부의 차단기가 먼저 차단되어 정전이 확산되는 문제가 있었다.A typical distribution board is an apparatus that serves as an entrance to a converter that distribute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of the load in an industrial facility circuit and an outside circuit inside a building. The circuit board circuit breaker such as a wiring breaker and an earth leakage breaker Is installed to cut off the branch circuit from the main bus line in case of an over current or short circuit to prevent electric acciden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stribution panel, a short circuit current is formed when a short circuit occurs on the load sid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breaking speed of a circuit breaker or the like, so that the fire caused by spark or electric wire overheating can not be effectively prevented, There has been a problem of spread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400)은,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메인 차단기(410) 및 분기 차단기(42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차단기(410)와 분기 차단기(420) 사이에 부하(20) 측의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40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와 유사하게 이상상태 감지부(210)를 더 포함하여, 이상상태 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부하(20)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 차단기(410) 또는 상기 분기 차단기(420) 중 하나 이상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400)은 부하(20)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청각적 또는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2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14, the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전반(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에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변압기(180) 또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캐스케이드로 더욱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 결합방법은 앞에서 도 9(a) 및 도 9(b)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전력 수용가에 설치되는 수배전반(500)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에 관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Further, the short-circuit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집단거주 지역(예를 들면, 아파트), 빌딩, 학교, 공장, 항만, 공항, 상수/하수 처리장, 변전소, 중공업 플랜트, 지하철, 화학단지, 제철소 등의 광범위한 전력 수용가에서 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여 구내 설비에게 공급하는 수배전 계통에 설치되며, 전력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하여 사용된다.Generally, switchgear is used in a wide range of power consumers, such as residential areas (eg apartments), buildings, schools, factories, ports, airports, water and sewage treatment plants, substations, heavy industrial plants, subways, It is installed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that converts power to low pressure and supplies it to premises equipment. It is used for power monitoring, control and protection.
도 15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500)은, 고압 메인 차단기(510) 및 저압 메인 차단기(530)와, 인입된 전기를 변압하는 변압기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기부(520)는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단락전류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부는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500)에 포함된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앞에서 설명한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의 기술적인 특징을 동일하게 포함한다. 또한 변압기부(520)의 후단에는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550)를 포함하는 배전부(540)가 포함되어 부하(20) 측으로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한다.15, the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500)에 포함된 변압기부(520)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와 캐스케이드로 연결된 변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압기는 삼상 변압기(521)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일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500)은,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또는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에 연결되어 부하 측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이상상태 감지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고압 메인 차단기(510), 저압 메인 차단기(530) 또는 배전부(540)에 포함된 배선용 차단기(550)를 개방하여 삼상 또는 단상 전력을 차단한다. 이상상태 감지부(210)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또는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거나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또는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의 입력 권선부(110) 또는 출력 권선부(120) 내의 임의의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여 부하에서의 단락 또는 과전류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앞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기재를 생략한다.The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적용한 전동기 제어반(600)이 도시되어 있다.16 shows an electric
전동기 제어반이란, 중형 및 대형 기동장치 및 보호 장치의 집합체이며, 건축물 내 전원공급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전기 설비로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전원분배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며, 각종 부하설비 장애시 파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상시 철저한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The electric motor control panel is a collection of medium and large starters and protective devices, and it should be able to function as a rational and systematic power distribution device as an electric device that systematically constructs the power supply in the building. In order to prevent this, thorough maintenance is necessary.
이러한 종래의 모터제어반 및 자동제어반은 옥내소화전 주 펌프 모터, 옥내 소화전 보조 펌프, 옥외 소화전 주 펌프, 옥외 소화전 보조 펌프, 스프링클러 주 펌프, 스프링클러 보조 펌프, 냉동기반 히터 및 샤워장 온수 히터의 전동기(모터)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과 차단 동작을 하게 된다.Such a conventional motor control panel and automatic control panel can be used for indoor fire hydrant main pump motor, indoor fire hydrant auxiliary pump, outdoor fire hydrant main pump, outdoor fire hydrant auxiliary pump, sprinkler main pump, sprinkler auxiliary pump, So that the power supply and the disconnecting operation are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600)은, 차단기와 마그네틱 스위치(630)를 구비하고, 부하 측의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단락전류 저감부를 포함하되, 단락전류 저감부는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600)의 차단기는 배선용 차단기(550)일 수 있고, 단락전류 저감부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를 대체하여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락전류 저감부에 포함된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또는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ectric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600)은,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또는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에 연결되어 부하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이상상태 감지부(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210)의 감지결과에 따라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선용 차단기(550)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630)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The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전동기 제어반(600)의 부하는 전동기(650)이고 상기 전동기(650)는 단상 또는 삼상 전동기를 포함한다. 부하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단락전류 저감부는 단락전류를 저감시켜서 단락으로 인한 전기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이상상태 감지부(210)를 더 포함하여 부하 측에서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상상태 감지부(210)는 주회로의 배선용 차단기(550)를 차단하거나, 시퀀스 회로로 구성된 운전 제어부(610)를 통하여 각 전동기(650)에 전력을 공급하는 마그네틱 스위치(630)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기 제어반(600)은 각 전동기(650) 별로 구성된 분기 회로마다 퓨즈(6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load of the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및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를 적용한 케이블 릴 장치의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reel apparatus to which a short-circuit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릴 장치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원통형의 케이블 권취부(710)와, 케이블 권취부(710)에 감기는 소정 길이의 전력선 등의 케이블(740)과, 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케이블 권취부(71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블 권취부(710)의 몸체 일측면에는 외부로부터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콘센트(720)가 마련되어 있고, 케이블(740)의 단부에는 외부 전력 공급원의 콘센트에 접속할 수 있는 플러그(730)가 구비되어 있다.17, a cable ree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본 발명의 케이블 릴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 18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릴 장치는, 케이블(740)과 콘센트(720) 사이에 연결되어 부하 측의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단락전류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부는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이거나, 본 발명의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일 수 있다.18 showing the inside of a cable ree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ble ree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unit connected between a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릴 장치는 공사 현장, 작업 현장, 야외 행사장 및 캠핑장 등 일반 실내보다 사용 조건이 거칠고 열악하여 단락사고에 의한 인명 또는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릴 장치는 부하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에서 단락전류를 저감시키거나,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로 하여금 회로를 차단시켜 스파크나 화재에 의한 인명 피해 또는 화재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cable ree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se conditions are rougher and poorer than general rooms such as a construction site, a work site, an outdoor event site, and a camp site, and lives or fire frequently occurs due to a short-circuit accident. The cable ree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short-circuit current in the short-circu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 및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는 전력계통의 단상 또는 3상(R, S, T상)에서 부하 측에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단락전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단락에 의한 스파크와 전선 과열을 저감할 뿐 아니라 단락 지점만을 신속히 차단하여 정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계통에서 단락 발생시 인명, 화재사고 및 정전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ort-circui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락전류 저감 장치(100),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200) 및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300)는 전력계통 상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에서 실시예로서 언급한 분전반(400), 수배전반(500), 전동기 제어반(600) 및 케이블 릴 장치 뿐 아니라 소방용으로서 비상 유도등, 비상 콘센트 등 단락사고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short-circui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초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교류전원 20 : 부하
100 : 단락전류 저감 장치 110 : 입력 권선부
111, 112 : 제1 정방향 및 역방향 권선
113, 114 : 제4 정방향 및 역방향 권선
120 : 출력 권선부
121, 122 : 제2 정방향 및 역방향 권선
123, 124 : 제3 정방향 및 역방향 권선
131, 132 : 제1 및 제2 입력단
141~144 : 제1 내지 제4 출력단 150 : 탭절환부
160 : 가변탭 170 : 출력전압 감지부
180 : 변압기 200 :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
210 : 이상상태 감지부 220 : 스위치부
230 : 경보 발생부 300 :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
400 : 분전반 410 : 메인 차단기
420 : 분기 차단기 500 : 수배전반
510 : 고압 메인 차단기 520 : 변압기부
521 : 삼상 변압기 530 : 저압 메인 차단기
540 : 배전부 550 : 배선용 차단기
600 : 전동기 제어반(MCC반) 610 : 운전 제어부
620 : 퓨즈 630 : 마그네틱 스위치
650 : 전동기 710 : 케이블 권취부
720 : 콘센트 730 : 플러그
740 : 케이블, 전선10: AC power supply 20: Load
100: short 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110: input winding part
111, 112: first forward and reverse windings
113, 114: Fourth forward and reverse windings
120: Output winding section
121, 122: second forward and reverse windings
123, 124: 3rd forward and reverse windings
131, 132: first and second inputs
141 to 144: first to fourth output stages 150:
160: Variable tap 170: Output voltage sensing unit
180: Transformer 200: short-circuit current cutoff device
210: abnormal state detection unit 220:
230: alarm generator 300: three-phas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400: distribution board 410: main breaker
420: branch breaker 500: switchgear
510: high voltage main breaker 520: transformer part
521: Three-phase transformer 530: Low-voltage main breaker
540: Distribution part 550: Circuit breaker
600: Motor control board (MCC) 610: Operation control unit
620: Fuse 630: Magnetic switch
650: electric motor 710: cable winding part
720: Outlet 730: Plug
740: Cables, wires
Claims (34)
부하 측에 접속하는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
상기 제1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1전류에 의하여 제1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N1p의 권수로 정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 정방향 권선 및 N1n의 권수로 역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 역방향 권선을 포함하는 입력 권선부(여기에서, 0 ≤ N1n < N1p);
상기 입력 권선부에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1 방향의 자속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N2n의 권수로 역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 역방향 권선 및 N2p의 권수로 정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 정방향 권선을 포함하는 출력 권선부(여기에서, 0 ≤ N2p < N2n);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에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N1p, N1n, N2n 및 N2p는, 수학식 N1p-N1n > (N2n-N2p)/2, (이 때, N1p-N1n≠N2n-N2p)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network and to which the AC power is applied;
A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load side;
A first forward winding wound in a positive direction with a winding number of N1p and a first reverse winding wound in a reverse direction with a winding number of N1n so as to generate a magnetic flux in a first direction by a first current input from the first input terminal Input winding portion (where 0 < N1n <N1p);
A second reverse winding magnetically coupled to the input winding section and woun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the number of turns of N2n to generate a magnetic flux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magnetic flux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current, An output winding portion (here, 0? N2p < N2n) including a second forward winding wound in a forward direction with the number of turns of N2p;
N1p, N1n, N2n, and N2p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f the output winding section, and N1p, N1n, N2n and N2p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N1p-N1n> -N2p). ≪ / RTI >
하나 이상의 출력 권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권선부에 연결되는 한 쌍 이상의 출력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 권선부 및 나머지 권선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utput winding s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output terminal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output winding section,
And the above expression is satisfied for the at least one output winding section and the remaining windings.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의 단락전류는,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에서 보이는 등가 임피던스로 조절되고,
상기 등가 임피던스는 입력 권선부 및 출력 권선부의 배치, 권선의 저항, 자기코어의 형상, 또는 자기코어 상의 갭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circuit current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are adjusted to an equivalent impedance seen from both ends of the output winding section,
Wherein the equivalent impedance is set using at least one of an arrangement of the input winding portion and the output winding portion, a resistance of the winding, a shape of the magnetic core, or a gap on the magnetic core.
상기 출력 권선부는, 상기 등가 임피던스와 별도로 상기 제2 정방향 권선 또는 제2 역방향 권선에 직렬 연결되는 임피던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임피던스부는, 저항 또는 인덕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put winding section may further include an impedance section connected in series to the second forward winding or the second reverse winding separately from the equivalent impedance,
Wherein the impedance sec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sistor and an inductor.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에 대응되는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 중 일단의 주변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탭; 및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 중 일단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탭과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탭절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r more variable tabs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one end of both ends of the output wind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ends; And
Further comprising a tap switching part for selectively connecting one end of either end of the output winding part or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ends to the at least one variable tap.
상기 탭절환부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ap switching unit is manually operated.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는 출력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탭절환부는 상기 양단 전압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의 일단을 상기 출력 권선부의 양단 중 일단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변탭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output voltage sensing unit for sensing a voltage across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Wherein the tap switching unit selectively connects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with one end of the output winding unit or one or more variable tap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both end voltage.
상기 입력 권선부의 제1 역방향 권선의 권수 N1n 및 상기 출력 권선부의 제2 정방향 권선의 권수 N2p는 0이고,
상기 입력 권선부의 제1 정방향 권선의 권수 N1p는 상기 출력 권선부의 제2 역방향 권선의 권수 N2n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turns N1n of the first reverse winding of the input winding portion and the number of turns N2p of the second forward winding of the output winding portion are zero,
Wherein the number of turns N1p of the first forward winding of the input winding portion is twice the number of turns N2n of the second reverse winding of the output winding portion.
상기 출력 권선부의 일단은 상기 제1 입력단 또는 제2 입력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one end of the output winding sec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or the second input terminal.
상기 복수의 변압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
A plurality of cascade-connected transformer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formers is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 측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이상상태 감지부; 및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를 분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
9.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 abnormal state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to sense an abnormal state of the load side; And
And a switch for disconnecting the load from the AC power sour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hort circuit or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loa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제1 입력단, 제2 입력단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input terminal, the second input terminal, or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내의 두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두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이고,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voltage between two nodes in the shortcircuit reduction apparatus, wherein a magnitude of a voltage between the two nodes is less than a reference voltage in a steady state and exceeds a reference voltage in an abnormal state. Abatement device.
상기 두 노드 중 하나는 상기 출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이고, 상기 두 노드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입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one of the two nodes is a node drawn out from the output winding section, and the other of the two nodes is a node drawn from the input winding section.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내의 두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두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voltage between two nodes in the shortcircuit reduction apparatus, wherein a magnitude of a voltage between the two nodes exceeds a reference voltage in a steady state and is lower than a reference voltage in an abnormal state. Blocking device.
상기 두 노드는 상기 입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two nodes are nodes drawn from the input winding section.
상기 스위치부는, 반도체 스위치, 차단기, 마그네틱 스위치 또는 계전기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이고, 상기 전력계통망과 단락전류 저감 장치 사이, 또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와 부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witch unit is at least one of a semiconductor switch, a circuit breaker, a magnetic switch or a relay, or between the power system network and the short-circuit current abatement device or between the short-circuit current abatement device and the load. Current reduction device.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hort circuit or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loa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wherein the alarm is an audible or visual alarm .
부하에 접속되는 R 출력단, S 출력단 및 T 출력단; 및
상기 각 입력단과 중성점 사이 각각에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각각의 제1 입력단은 상기 R 입력단, S 입력단, 및 T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각각의 제2 입력단과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 중 일단은 상기 중성점에 공통 연결되고,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 중 타단은 상기 R 출력단, S 출력단 및 T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
An R input terminal, an S input terminal and a T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three-phase power from the power grid network;
An R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load, an S output terminal and a T output terminal; And
An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input terminals and the neutral point,
Wherein the first input terminal of each of the shortcircuit reduction devices is connected to the R input terminal, the S input terminal, and the T input terminal, respectively,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each of the shortcircuit reduction devices and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neutral point And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f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R output terminal, the S output terminal, and the T output terminal, respectively.
상기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three-phas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is integrally formed.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와 캐스케이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at least one transformer connected in cascade with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상용 단락전류 저감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at least one of said at least one transformer is said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부하 측의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단락전류 저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1. A distribution board including a main breaker and a branch circuit breaker,
An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for reducing the short-circuit current on the load side,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is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와 캐스케이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4. The method of claim 23,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transformer cascaded with said short-circuit current abatement devi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at least one of said at least one transformer is said short-circuit current abatement device.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이상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 차단기 또는 상기 분기 차단기 중 하나 이상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4. The method of claim 23,
And an abnormal state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unit to sense an abnormal state of the load,
And disconnects at least one of the main breaker and the branch break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hort circuit or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loa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제1 입력단, 제2 입력단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단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input terminal, the second input terminal, or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내의 두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두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이고,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voltage between two nodes in the shortcircuit reduction apparatus, wherein the voltage between the two nodes is less than a reference voltage in a normal state and exceeds a reference voltage in an abnormal state.
상기 두 노드 중 하나는 상기 출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이고, 상기 두 노드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입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one of the two nodes is a node drawn from the output winding section, and the other of the two nodes is a node drawn from the input winding section.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는, 상기 단락전류 저감 장치 내의 두 노드 간의 전압을 감지하되, 상기 두 노드 간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을 초과하고, 이상상태에서는 기준전압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senses a voltage between two nodes in the shortcircuit reduction device, wherein the voltage between the two nodes exceeds a reference voltage in a steady state and is lower than a reference voltage in an abnormal state.
상기 두 노드는 상기 입력 권선부에서 인출한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two nodes are nodes drawn from the input winding section.
상기 이상상태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부하에 단락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7. The method of claim 26,
Further comprising an alar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hort circuit or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loa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state sensing unit, and the alarm is an audible or visual alarm.
상기 케이블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부하 측의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단락전류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부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락전류 저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장치.
A cable reel apparatus comprising a cable reel for winding a cable and an outlet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ble and a load device,
An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unit connected between the cable and the socket to reduce the short-circuit current on the load side,
Where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section is a short-circuit curren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상기 케이블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부하 측의 단락전류를 저감시키는 단락전류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전류 저감부는, 제11항의 단락전류 저감 차단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장치.A cable reel apparatus comprising a cable reel for winding a cable and an outlet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ble and a load device,
And a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unit connected between the cable and the socket to reduce the short-circuit current on the load side,
Wherein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unit is the short-circuit current reduction device of claim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7266A KR101813673B1 (en) | 2015-11-27 | 2015-11-27 | Short current reduction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cabinet panel and cable reel apparatus us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7266A KR101813673B1 (en) | 2015-11-27 | 2015-11-27 | Short current reduction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cabinet panel and cable reel apparatus us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1992A KR20170061992A (en) | 2017-06-07 |
KR101813673B1 true KR101813673B1 (en) | 2018-01-02 |
Family
ID=5922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7266A Active KR101813673B1 (en) | 2015-11-27 | 2015-11-27 | Short current reduction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cabinet panel and cable reel apparatus us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367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3391B1 (en) * | 2018-10-26 | 2019-01-30 | 우진전기 주식회사 | A transformer comprising back turn structure of source side primary winding for short-circuit force reduction and steel clamp weight lightening |
KR102631029B1 (en) * | 2021-12-16 | 2024-01-31 | 한국전력공사 | Recessed underground distribution box and manhole system for power facilities |
-
2015
- 2015-11-27 KR KR1020150167266A patent/KR10181367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1992A (en) | 2017-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262511B (en) | Universal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detecting and repairing electrical faul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Hewitson et al. | Practical power system protection | |
KR101320373B1 (en) | Open-phase recovery device equipped with a transform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KR20220056052A (en) | Basic protection, fault protection and/or additional protection devices to against electric shock | |
KR10216923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due to electric failure | |
Dugan | Examples of ferroresonance in distribution systems | |
KR20130044247A (en) | Recovery device and method of recovery for open-phase in the power system line | |
KR101813673B1 (en) | Short current reduction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cabinet panel and cable reel apparatus using thereof | |
JP7505686B2 (en) | Apparatus, method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during electric leakage and earth faults | |
KR102640875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flood short circui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 |
KR20220056319A (en) | Temporary distribution board to prevent electric shock and fire | |
KR20220056060A (en) | Automatic control panel for preventing electric leakage, fire, and power failure caused by short circuit, ground fault, and surge | |
KR20230162146A (en) |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 |
KR2017004207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aster caused by short-circuit in electric power systems | |
KR20220056064A (en) | Power supply system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to prevent electric breakdown accidents (electric leakage, flooding, surge, electric shock, fire, power outage, etc.) | |
Parise | Structural Design Criteria for Energy Saving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 |
CN219554656U (en) | Maintenance power distribution optimizing equipment | |
Eryomina et al. | To the problem of technogenic safety of electrical installations at the objects | |
JP2000032670A (en) | Spot network receiving facility | |
KR20220056062A (en) | Electrical switchboard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due to short circuit or ground fault | |
WO2023161951A1 (en) | Protected distribution board integrated with low voltage load power distribution system | |
RU2007006C1 (en) | Device for protection of transformer connected to power line via isolating switch | |
Salamena | Capacity Analysis Of Backup Generator In Workshop And Laboratory Building Of Polnam Electrical Department | |
KR20180133719A (en) | Eco-friendly power-saving electric fault recovery transformer | |
Gouda | Grounding Grid Performance Under Fault Curr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