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023B1 -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0023B1 KR102640023B1 KR1020170015728A KR20170015728A KR102640023B1 KR 102640023 B1 KR102640023 B1 KR 102640023B1 KR 1020170015728 A KR1020170015728 A KR 1020170015728A KR 20170015728 A KR20170015728 A KR 20170015728A KR 102640023 B1 KR102640023 B1 KR 1026400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member
- connector assembly
- housing
- cam
- battery pack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하우징에서 이너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 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Ⅰ-Ⅰ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Ⅱ-Ⅱ 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캠 블록과 가이드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Ⅲ-Ⅲ 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11: 제1 하우징
111: 제1 아웃터 하우징
112: 가이드 블록
211: 상면
211a: 홀
212: 측벽
213: 제2 고정부(위치제한부)
214: 간격
113: 커버
114: 힌지축
115: 실링부재
12: 제2 하우징
121: 제2 아웃터 하우징
121a: 개구
122: 이너 하우징
122a: 개구
123: 캠 레일
123a: 경사면
123b: 높이 유지면
123c: 안착면
124: 결합 안내 블록
241: 상면
241a: 슬릿
242: 측벽
243: 지지부
244: 간격
126, 127: 위치제한부
127a: 슬릿
13, 14: 와이어
131, 141: 링 터미널
15: 제1 체결부재
15a: 스톱퍼(위치제한부)
151: 제2 체결부재
16: 캠 블록
161: 메인 플레이트
161a: 제1 체결부재 삽입홀
162: 가이드 리브
163: 제1 고정부(위치제한부)
17: 실링부재
Claims (33)
- 제1 체결부재;
제1 와이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링 터미널에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가체결되도록 지지하는 캠 블록;
제2 와이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링 터미널이 수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될 때 상기 캠 블록을 승하강시켜서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링 터미널과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가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캠 레일;
을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캠 레일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캠 레일이 접촉되는 면에 홈 또는 그루브가 형성된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서 상기 캠 레일을 마주보는 하부에 상기 캠 레일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
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레일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링 터미널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기 캠 블록을 상승시키는 경사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승된 높이를 유지시키는 높이 유지면이 형성된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 레일은, 상기 높이 유지면의 높이가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 링 터미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 레일은,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높이 유지면 후방에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링 터미널에 결합되도록 하강시키도록 형성된 안착면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내부에 상기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캠 블록이 안착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 링 터미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 홀이 형성되거나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 터미널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1 링 터미널이 서로 간섭되거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복수의 구획된 영역 사이에 상기 캠 레일이 위치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제1 하우징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결합 안내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 안내 블록은 상면에 상기 제2 링 터미널이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위치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안내 블록 내부에는 별도의 개체로 형성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안내 블록 내부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안내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슬롯 또는 홀이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일 측에 외부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를 조일 수 있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커버가 구비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레일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링 터미널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기 캠 블록을 상승시키는 경사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승된 높이를 유지시키는 높이 유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 링 터미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 또는 상기 캠 블록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캠 레일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캠 블록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캠 레일에 대해서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이 상기 캠 레일을 따라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제한부가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를 탄성 가압하고,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을 지나가면 복원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슬릿이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대해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캠 블록에 걸려서 이탈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캠 블록의 하부로 노출된 부분의 외주면 일 측에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내부에 상기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캠 블록이 안착되는 가이드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을 상기 가이드 블록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캠 레일에 접촉되도록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블록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가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측벽에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일 측에 형성된 돌기와, 타 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홈 또는 그루브 또는 슬릿을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4951 | 2016-02-05 | ||
KR20160014951 | 2016-02-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3741A KR20170093741A (ko) | 2017-08-16 |
KR102640023B1 true KR102640023B1 (ko) | 2024-02-26 |
Family
ID=5975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5728A Active KR102640023B1 (ko) | 2016-02-05 | 2017-02-03 |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002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1017A (ja) | 2008-07-10 | 2010-01-28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2015130300A (ja) | 2014-01-08 | 2015-07-16 | 住友電装株式会社 | 機器用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94609B2 (ja) * | 2007-07-26 | 2013-05-08 | 住友電装株式会社 | 機器用コネクタ |
KR101169034B1 (ko) * | 2010-09-01 | 2012-07-27 | 한국과학기술원 | 고주파 전선 커넥터 |
-
2017
- 2017-02-03 KR KR1020170015728A patent/KR10264002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1017A (ja) | 2008-07-10 | 2010-01-28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2015130300A (ja) | 2014-01-08 | 2015-07-16 | 住友電装株式会社 | 機器用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3741A (ko) | 2017-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85353B2 (en) | Electric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uitable for contacting with a connector | |
EP3313157B1 (en) | Waterproof electronic control device | |
US9509079B2 (en) |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al junction box, and electronic component | |
CN105191034A (zh) | 用于电子元件容纳单元的防水结构 | |
US6870097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102591645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102131128B1 (ko) | 플로팅 리셉터클 커넥터 | |
JPWO2016110886A1 (ja) | 蓄電ユニット | |
CN107181076A (zh) | 电路基板用电连接器 | |
CN105594067B (zh) | 电子控制装置 | |
US20120106034A1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US9941678B2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CN111165081A (zh) | 电子控制单元 | |
KR20170127996A (ko) | 기판 커넥터 | |
KR20180123993A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JP6148598B2 (ja) | コネクタ | |
KR102612957B1 (ko) |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 |
KR20200091341A (ko) | 클러스터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 | |
KR102640023B1 (ko) |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
US20180090879A1 (en) | Electronic component retaining structure,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 |
CN101258650B (zh) | 带有电构件和电馈线的壳体 | |
KR102629846B1 (ko) | 복수의 공간적 방향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 | |
KR20210157857A (ko)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
RU192718U1 (ru) | Модуль электронного прибора | |
KR20170085941A (ko) |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