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3486B1 - 분리기 - Google Patents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486B1
KR102633486B1 KR1020207018273A KR20207018273A KR102633486B1 KR 102633486 B1 KR102633486 B1 KR 102633486B1 KR 1020207018273 A KR1020207018273 A KR 1020207018273A KR 20207018273 A KR20207018273 A KR 20207018273A KR 102633486 B1 KR102633486 B1 KR 102633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rum
housing
drum
outlet
sepa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365A (ko
Inventor
루디거 고만
Original Assignee
게아 미케니컬 이큅먼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아 미케니컬 이큅먼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아 미케니컬 이큅먼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8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4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04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 B04B1/08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of con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02Electric motor drives
    • B04B9/04Direct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12Suspending rotary bowls ; Bearings; Packings for bearing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 분리 분야에서 유동성 현탁액(S)을 상이한 밀도의 적어도 2개의 유동성 상(HP, LP)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에 대한 것으로, 상기 분리기는 아래의 구성을 포함함 : a) 동작 중 고정되어 있으며 적어도 3개의 개구를 갖는 탱크로서 설계된 하우징(10) - 상기 개구는 유입 현탁액을 위한 유입구(103) 및 상이한 밀도의 유동성 상(HP,LL)을 위한 2개의 수직으로 이격된 배출구(104,105)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환형 공간(107,108)이 할당됨-, b) 상기 하우징(10)내에 수직 회전 축(d)을 가지고 배치되며, a)로부터 하우징의 개구에 대응하는 3개의 개구를 갖는 회전 드럼(20), c) 상기 드럼이 서스펜션 상태로 유지되고, 하우징 내에서 지지되고 회전되도록 하는 멀티 파트 지지 및 구동 장치(30), 동작중인 상기 하우징의 상기 2개의 배출구(104,105) 및 환형 공간(107,108) 사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에어갭(LS), 상기 에어갭은 동작 중 상기 드럼(20)이 회전할 때 상기 배출되는 상(HP,LP) 중 어느 하나로도 채워지지 않음.

Description

분리기
본 발명은 청구항 제1 항의 서문에 따른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WO 2014/000829A1으로부터, 유동성 제품을 상이한 상으로 분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분리기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드럼 하부 및 드럼 상부를 갖는 회전 가능한 드럼 및 드럼 내에 배열되는 정화 수단을 갖고, 하기 요소의 하나, 다수 또는 전부는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구성된다 : 드럼 하부, 드럼 상부, 정화 수단. 이러한 방식으로 발효액 등과 같은 제약 제품의 가공에 대해 특히 흥미롭고 유리하고, 대응되는 제품 일괄 처리에 대한 동작 바람직하게 상기 제품 일괄의 처리 동안 연속적인 동작 후에 상기 드럼의 부분이 세정될 필요는 없지만 전체 드럼이 대체되는 상기 드럼의 부분 또는 바람직하게 전체 드럼 - 바람직하게 유입 및 배출 시스템 또는 영역을 함께-을 일회용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분리기는 위생적인 관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 일회용 드럼과 구동부 사이의 물리적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구동부와 드럼 사이에 비접촉 커플링이 유리하다.
WO2015/1100501A1로부터, 혈액을 밀도가 다른 2개의 상으로 분리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는 자기 구동 장치 및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정되는 용기가 포함되고, 상기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갖고, 상기 용기는 자기적으로 서스펜드 된다. 이러한 점에서 문제는 개방된 컵 형 로터로부터 원심 분리하는 동안 2 개의 상의 배출이 불만족스러운 배출이다.
WO2015/1100501A1에서, 회전 용기를 회전 용기를 둘러싸는 비회전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이 제안되는데, 입구 및 2 개의 출구를 제외하고는 폐쇄된다. 고정식 하우징을 통해, 중앙 입구 파이프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 용기 내로 공급되고, 여기서 제1 상은 일종의 필링 요소와 함께 다시 수직 방향으로 상부로 펌핑되며, 이 때 상기 회전 용기는 제2 상에 대한 수직 상단부에서 오버플로우를 더 갖고, 이는 작동 중에 비회전 하우징 내로 흐르고 액상이 다시 오버플로를 통해 고정 하우징 외부로 다시 흘러 나올 때까지 채워지도록 한다. 이 설계는 내부-회전-용기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모아지는 액체 내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현명하게 높은 속도를 달성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원심 분리 분야에서 유동성 현탁액을 상이한 밀도의 적어도 2개의 유동상 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를 제공하는 청구항 제1 항의 주제에 의해 이 문제를 해결하며, 이는 다음을 포함한다.
a) 동작 중 고정되어 있으며 적어도 3개의 개구를 갖는 탱크로서 설계되는 하우징, 상기 개구는 유입 현탁액에 대한 유입구 및 상이한 밀도의 유동성 상에 대한 2개의 수직으로 이격된 배출구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우 상기 하우징의 환형 공간이 할당됨,
b) 상기 하우징 내에 수직 회전축을 가지고 배치되며, a) 로부터 하우징의 개구에 대응하는 3개의 개구를 갖는 회전 드럼,
c) 상기 드럼이 서스펜션 상태로 유지되고, 하우징 내에서 지지되고, 회전되도록 하는 멀티파트 지지 및 구동 장치
d) 상기 유출 상의 하나로 채워지지 않고, 상기 드럼이 회전 동작 중일 때 가스 특히 공기로 채워지는 에어 갭이 상기 2개의 배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환형 공간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됨.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제품 상은 쉽게 공급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드럼이 상기 제품 상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지 않고 두 개의 유동성 제품 상이 배출될 수 있고, 그 결과 제동될 수 있다.
이는 작동 중 최대 20,000rpm의 고속을 쉽게 도달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한 변형에 따르면, 유입구가 하우징의 중심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유입 파이프로 설계되고, 상기 두개의 배출구가 방사상으로 정렬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및 구동 장치가 적어도 2개의 영구 및/또는 전자기적으로 작동하는 베어링 및/또는 구동 유닛을 갖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 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작업이 하나의 지지 및 구동 유닛으로 수행되는 경우 보다 더 타겟된 방식으로 드럼의 동작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및/또는 구동 유닛 중 하나가 드럼 아래에 형성되고 드럼의 축 방향으로 수직으로의 서스펜션 상태를 유지하도록 본질적으로 또는 독점적으로 설계된 제1 축 방향 작동 자기 베어링으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2 지지 및/또는 구동 유닛이 상기 드럼의 하단에서 상기 드럼을 방사상으로 지지하고 회전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마지막으로, 제3 지지 및/또는 구동 유닛이 방사상으로 동작하는 자기 베어링으로 상기 드럼의 상단에서 상기 드럼을 지지하기 위해 설계되고 배치되는 점에서 상기 동작 움직임이 더욱 최적화 될 수 있다.
제1 유체 배출구가 상기 드럼의 상부 축 영역 -바람직하게는 상부 축 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제2 유체 배출구가 상기 드럼의 하부 축 영역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의 원통형 부분의 하부 축 방향 단부- 에 형성되는 것이 특히 높은 속도를 달성하고, 특히 안정된 동작을 하기 위해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내에서 서로 다른 밀도의 적어도 두 개의 유체상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각 분리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상기 2개의 유체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되는 것이 더욱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하우징이 단지 3개의 개구를 갖고 다른 부분은 기밀하게 밀봉되는 것은 또한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드럼" 및 "하우징"의 일회용 구성 요소를 가지는 분리기를 제작하는 것을 쉽게 하지만, 지지 및 구동 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은 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유리한 점들은 종속항 내에서 찾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기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 들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며, 여기서 추가적인 유리한 변형 및 실시예 들이 논의된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결정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변형 및 등가물도 실현 가능하며 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하며, 여기서,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의 원심분리기(1)는 동작 중 정지되어 있는 하우징(10)을 갖는다. 이 하우징은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복합 재료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0)은 하부 원통형 섹션(101) 및 상부 원뿔형 섹션(102)을 갖는다. 상기 하부 원통형 섹션은 차례로 상이한 직경의 원통형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컨테이너 방식으로 설계되며, 이는 3 개의 개구 들(아직 논의되지 않음)를 제외하고 긴밀하게 밀봉되는데 유리하다. 이들 개구 들은 유입구(103) 및 2개의 배출구들(104,105) 이다. 상기 유입구(103)는 상기 하우징(10)의 중심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유입 파이프(106)에 의해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배출구들(104, 105)은 본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배출구(104)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원뿔형 섹션(102)에 형성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에 직접 형성된다. 반면에, 상기 제2 배출구(105)는 하부 원통형 섹션(101)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원통형 섹션(101)의 영역의 수직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들(104,105)에는 상기 하우징의 환형 공간(107, 108)이 선행된다. 이들 배출구들은 회전 드럼(2)의 동작 중 액체가 상기 환형 공간(107, 108)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이들 환형 공간(107, 108)의 중요성 및 유리한 효과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출구들(104,105)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어지는 노즐로서 설계되며, 라인, 특히 호스 등(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유입구 및 여러 개의 배출구 라인, 특히 출구 파이프 또는 호스는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에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수직 회전축인 가상의 "이상적인" 회전축(D)를 갖는 회전 드럼(20)이 있다. 실제 회전축은 세차 운동으로 인해 "이상적인 회전 축"(D)에서 벗어난다.
드럼(20) 및 이의 구성 요소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우세하게(이상적으로 자석을 제외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예정임)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복합 재료로 만들어 진다. 여기서, 드럼(20)은 또한, 하부 원통형 섹션(201) 및 상부 원뿔형 섹션(202)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의 상기 유입 파이프(106)는 동작 중 정지되어 있다. 이는 상기 유입 파이프와 동심인 드럼(20)의 분배기(204)의 분배기 파이프(203)까지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를 통해서 상기 드럼(20) 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베어링 장치(310)는 동작 중 회전하지 않는 상기 유입 파이프(106)와 드럼(20)의 회전 분배기 파이프(20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베어링 장치(310)는 바람직하게는 동작하는 동안 드럼(20)의 상단부에서 드럼을 안정화 시키도록 방사 방향 작동 자기 베어링으로 설계된다. 드럼(20)의 상단에 있는 이러한 자기 베어링-또한 드럼 헤드로 알려짐-은 드럼(20)의 가능한 진자 운동을 간단히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이는 유입 파이프(106) 주위 및 상기 분배기 파이프(203) 내에 분포된 대응 자석을 가지며, 이들은 방사상으로 이격되고 자기 베어링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상기 분배기(204)의 상기 분배기 파이프(203) 방사상 분배기 채널(205) 내로 하향 개방되어, 분리 챔버 또는 원심 챔버(206) 내로 이어진다. 이 분리 챔버(206)에서 정화제는 플레이트팩(207)처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204)는 분배기 베이스(205a)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상기 드럼(20)으로부터 특히 원통형 섹션(201)로부터 축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는 하부 원통형 돌출부(205b)를 갖는다.
분리 챔버(206) 내에서, 상기 유입 파이프(106)을 통해 드럼(20)내로 공급되는 처리될 현탁액(S)은 드럼(20)의 동작 회전 구동에서 다른 밀도의 적어도 2 개의 유동성 상(LP 및 HP)으로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다. 저밀도의 상(LP)은 분리 챔버(206) 내에서 방사 방향 내측으로 흐르며, 방사상 배출부(209)내의 제1 배출 채널(208)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고, 상기 회전 드럼으로부터 상기 제1 환형 챔버(107)내로 방사상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상(LP)는 상기 드럼을 반경(ro)에서 떠난다. 거기서부터 회전 모션에서 상기 환형 공간 내의 임펄스로 인해 상기 상부 배출구(104)를 통해 하우징(10)의 밖으로 흐른다.
고밀도의 상(HP)은 상기 분리 챔버(206)내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며, 분리 판 또는 환형 위어(annular weir)(210)을 통해 제1 방사 방향 안쪽 상기 환형 위어(210) 아래에 있는 제2 배출 채널(211)내로 아래쪽으로 안내되고 여기서부터 상기 회전 드럼(20)으로부터 상기 제2 하부 환형 챔버(108) 내로 방사상으로 배출된다. 거기에서, 이 고밀도의 제2 액체상은 회전 모션에서 상기 환형 공간(108) 내의 임펄스로 인해 상기 제2 하부 배출구(105)를 통해 하우징(10) 밖으로 흐르고, 여기서 상기 상(HP)는 상기 드럼을 반경(ru)에서 떠난다. (ro) 대 (ru)의 비는 디스크 스택 내의 상기 2개의 상 사이의 상기 분리 영역의 반경이 조절될 수 있게 하여, 개별 상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반경 (ru)는 오리피스 판(orifice plate)(미도시)에 의해 간편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들(104,105)사이의 수직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드럼(20)은 서로 에어갭(LS)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드럼(20)의 빠른 속도가 비교적 쉽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유리하다. 이 영역에서, 상기 에어 갭(LS)은 배출된 상(HP, LP) 중 하나를 채우지 않는다.
상기 드럼(20)은 서스펜션으로 유지되고 전자기적 지지 및 구동 장치(3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내에서 회전된다. 상기 전자기적 지지 및 구동 장치(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 및/또는 구동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 또는 셋의 이러한 유닛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적 지지 및 구동 장치(30)는 이미 설명된 상부 방사상 작동 베어링 장치(3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자기적 지지 및 구동 장치(30)는 또한 하부 축방향 작동 베어링 장치(320)을 가질 수 있다.
이 축방향 작동 베어링 장치(320)는 본질적으로 상기 하우징(10)내에서 부상에 의해 드럼(20)의 축방향 서스펜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받침대 상에, 예를 들어, 하우징의 밑면 또는 하우징(10) 아래의 고정자(311) 상에 제1 자석(32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방향 작동 베어링 장치(320)는 상기 제1 자석(321) 축방향 위에 이격되어 드럼(20)의 하부 영역, 특히 하면에 위치하는 제2 자석(322)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제1 및/또는 제2 자석(321,322)은 드럼(1)이 회전 중 축 방향으로 서스펜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절하게 정렬되거나 편극된 영구 자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들 자석(321,322)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드럼(20)이 축방향으로 자기 부상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 방법으로 원주 방향으로 또는 2개의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동일한 직경의 원 상에 원주 방향으로 분포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절한 제어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전자석은 또한 제1 자석(321)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적 지지 및 구동 장치(30)는 또한, 전기 모터(330), 상기 드럼(20) 상에 형성되는 회전자 자석(332) 및 상기 고정자(331) 및 상기 하우징(10) 외부에 형성되는 고정자 자석(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중심은 상기 고정자 자석(333)의 적절한 제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는 전자기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영구 자석을 통한 구동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 및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원심 펌프 구동을 위해서 Levitronix 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EP2273124B1)
동작 중, 드럼(20)은 축 방향으로 서스펜션 상태를 유지하고 방사 방향으로 중심을 맞춰 회전한다. 드럼(20)은 바람직하게는 1,000 에서 20,000rpm 사이의 속도에서 작동된다. 회전에 의해 발생된 힘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유동성 상으로 처리될 현탁액의 분리 및 배출을 이끌어낸다.
설명 된 실시 예에서, 구동 시스템 및 베어링의 부품을 제외하고 일회성으로 설계될 수 있는 하우징과 함께 분리기를 제작하는 것이 다시 가능하며, 이는 발효액 등과 같은 제약 제품의 가공에 특히 흥미롭고 유리하고, 대응되는 제품 일괄 처리를 위한 동작 이후부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품 일괄의 처리 동안 연속적인 동작 이후부터 상기 드럼의 세정이 수행될 필요는 없지만 분리기가 하우징과 함께 전체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자석과 같은 개별적인 요소들은 적절하게 재사용될 수 있다.
1 원심분리기
10 하우징
101 하부 원통형 섹션
102 상부 원뿔형 섹션
103 유입구
104, 105 배출구
106 유입구 파이프
107, 108 환형 공간
20 드럼
201 하부 원통형 섹션
202 상부 원통형 섹션
203 분배기 파이프
204 분배기
205 분배기 채널
206 분리 챔버
207 플레이트 팩
205a 분배기 베이스
205b 원통형 돌출부
208 배출 채널
209 배출부
210 환형 위어(annular weir)
211 배출 채널
30 지지 및 구동 장치
310 상부 방사 베어링 장치
320 하부 축방향 베어링 장치
321 제1 자석
331 고정자
322 제2 자석
330 전기 모터
331 고정자
332 회전자 자석
333 고정자 자석
D 회전축
S 현탁액
LP, HP 유동성 상
LS 에어 갭
ro 상부 반경
ru 하부 반경

Claims (10)

  1. 원심 분리 분야에서 유동성 현탁액을 상이한 밀도의 적어도 2개의 유동성 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로서,
    a) 분리기 동작 중 고정되어 있으며 적어도 3개의 개구를 갖는 탱크로서 설계된 하우징 - 상기 개구는 유입 현탁액을 위한 유입구 및 상기 하우징의 제1 환형 공간 및 제2 환형 공간이 각각 할당되는 상이한 밀도의 유동성 상을 위한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와 수직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환형 공간은 제1 배출구에 유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환형 공간은 상기 제2 배출구에 유체적으로 결합됨- ;
    b) 상기 하우징 내에 수직 회전 축을 가지고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3개의 개구에 대응하는 3개의 개구를 갖는 회전 드럼; 및
    c) 상기 회전 드럼이 서스펜션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지지되고 회전되도록 하는 멀티 파트 지지 및 구동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 파트 지지 및 구동 장치는:
    상기 회전 드럼을 서스펜션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된 축 방향 작동 자기 베어링 -상기 축 방향 작동 자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 드럼의 아래에 배치됨-;
    상기 회전 드럼 아래에 배치된 전기 모터 및 상기 회전 드럼에 부착된 회전자 자석 - 상기 전기 모터는, 상기 회전 드럼의 하단에서, 상기 회전 드럼이 방사 방향으로 중심을 맞춰 회전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회전 드럼의 상부 축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드럼의 상부 축 단부에서 상기 회전 드럼의 진자 운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방사상 작동 자기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적어도 일부는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복합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하고,
    동작중인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배출구의 상기 제1 환형 공간과 상기 제2 배출구의 상기 제2 환형 공간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된 에어갭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회전 드럼 사이에서 형성되고, 동작 중 상기 회전 드럼이 회전할 때 배출되는 상 중 어느 하나로도 채워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유입 파이프로 설계되고,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는 방사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및 구동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영구적 또는 전자기적으로 작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4. 제3 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드럼을 서스펜션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5. 제3 항 또는 제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의 하단에서 상기 회전 드럼을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을 지지하고 방사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6. 제5 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은 상기 회전 드럼의 상부 축 단부에서 상기 회전 드럼을 지지하고 회전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분배기 및 적어도 하나의 분배 챔버를 더 포함하고,
    분배기 및 적어도 하나의 분배 챔버는 상기 회전 드럼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8. 제1 항에 있어서,
    제1 배출 채널(208)은 상기 회전 드럼의 상부 축 영역 내에 형성되고, 제2 배출 채널(211)은 상기 회전 드럼의 하부 축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반경(ro, ru)이 상기 회전 드럼 내에서 밀도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유체상을 분리하여 형성되는 각 분리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3개의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개구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의 다른 부분이 밀봉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KR1020207018273A 2017-11-27 2018-11-15 분리기 Active KR102633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8027.8 2017-11-27
DE102017128027.8A DE102017128027A1 (de) 2017-11-27 2017-11-27 Separator
PCT/EP2018/081411 WO2019101624A1 (de) 2017-11-27 2018-11-15 Sepa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365A KR20200086365A (ko) 2020-07-16
KR102633486B1 true KR102633486B1 (ko) 2024-02-02

Family

ID=6433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273A Active KR102633486B1 (ko) 2017-11-27 2018-11-15 분리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96954B2 (ko)
EP (1) EP3717132B1 (ko)
KR (1) KR102633486B1 (ko)
CN (1) CN111372687B (ko)
DE (1) DE102017128027A1 (ko)
DK (1) DK3717132T3 (ko)
ES (1) ES2965723T3 (ko)
WO (1) WO2019101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1009148A (es) * 2019-02-26 2021-09-10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Separador.
CN111375496A (zh) * 2019-12-31 2020-07-07 浙江三联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筒式分离机
DE102020121422A1 (de) * 2020-08-14 2022-02-17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Separator
DE102020121420A1 (de) 2020-08-14 2022-02-17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Separator
DE102020121419A1 (de) * 2020-08-14 2022-02-17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Separator
JP2024533062A (ja) 2021-09-07 2024-09-12 ジーイーエー ウエストファリア セパレーター グループ ゲーエムベーハー セパレータインサート、セパレータ及びセパレータインサートの交換方法
DE102021123178A1 (de) 2021-09-07 2023-03-09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Separatoreinsatz, Separator und Verfahren zum Wechseln eines Separatoreinsatzes
DE202022101640U1 (de) 2022-03-29 2025-01-27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Separator
DE202022104151U1 (de) 2022-07-22 2023-10-30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Transportsicherung für einen Separatoreinsatz eines Separators
WO2024033325A1 (de) 2022-08-10 2024-02-15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Trennanlage zum trennen einer suspension
DE102023102918A1 (de) 2023-02-07 2024-08-08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Trennteller, Kombination aus Trenntellerstapel und Verteiler sowie Zentrifuge
DE202024102397U1 (de) 2023-06-07 2024-09-10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Trennanlage zum Trennen einer Suspension
WO2024251477A1 (de) 2023-06-07 2024-12-12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Trennanlage zum trennen einer suspension
DE102023116567A1 (de) * 2023-06-23 2024-12-24 Gea Westfalia Separator Group Gmbh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3035A1 (en) * 2002-12-12 2004-06-24 Alfa Laval Corporate Ab A method of purifying contaminated oil from particles suspended in the oil in a centnrifugal separator
JP2014507255A (ja) * 2010-11-19 2014-03-27 ケンゼー・ナッシュ・コーポレーション 遠心分離機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0982A (en) * 1960-03-17 1964-03-04 Reactor Centrum Nederland Devices in ultracentrifuges for detecting movements of the rotor
US5026341A (en) * 1987-05-22 1991-06-25 Robert Giebeler Low speed disengageable damper
DE69221865T2 (de) * 1991-06-11 1998-03-26 Andrew N. Schofield And Associates Ltd., Cambridge Zentrifugen, und verwandte vorrichtungen und verfahren (16.12.93)
CN1196691A (zh) * 1996-04-30 1998-10-21 达德国际有限公司 稳定离心机转子的装置和方法
SE0201982D0 (sv) * 2002-06-24 2002-06-24 Alfa Laval Corp Ab Sätt att rena vevhusgas samt en gasreningsseparator
DE10334370A1 (de) * 2003-07-25 2005-02-24 Westfalia Separator Ag Vollmantel-Schneckenzentrifuge mit Direktantrieb
SE530223C2 (sv) * 2006-05-15 2008-04-01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DE102008062160A1 (de) * 2008-12-13 2010-07-0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ekanterzentrifuge
DE102009009961B4 (de) * 2009-02-23 2013-10-31 Hanning Elektro-Werke Gmbh & Co. Kg Rotationskörper
DE102009009958A1 (de) * 2009-02-23 2010-09-02 Hanning Elektro-Werke Gmbh & Co. Kg Zentrifuge
EP2273124B1 (de) 2009-07-06 2015-02-25 Levitronix GmbH Zentrifugalpumpe und Verfahren zum Ausgleichen des axialen Schubs in einer Zentrifugalpumpe
DE102009039729A1 (de) * 2009-09-02 2011-03-03 Guntram Krettek Zentrifuge
DE102011078475B4 (de) * 2011-06-30 2013-05-23 Hanning Elektro-Werke Gmbh & Co. Kg Dynamische Ausgleichsvorrichtung eines Rotationskörpers
WO2013116800A2 (en) * 2012-02-02 2013-08-08 Atmi Packaging, Inc. Centrifug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DE102012105499A1 (de) 2012-06-25 2014-01-02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Separator
DE102013111586A1 (de) 2013-10-21 2015-04-23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Klärung einer fließfähigen Suspension mit schwankendem Feststoffgehalt mit einer Zentrifuge, insbesondere einem selbstentleerenden Separator
DE102014000971A1 (de) 2014-01-25 2015-07-3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Trennung von Blut in seine Bestandteile sowie Verfahren hierzu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15102476A1 (de) * 2015-02-20 2016-08-25 Hanning Elektro-Werke Gmbh & Co. Kg Antriebsanordnung
DE102015103665A1 (de) * 2015-03-12 2016-09-15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Separator
DE102015108741A1 (de) * 2015-06-02 2016-12-08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Separator
DE102015218005A1 (de) * 2015-09-18 2017-03-23 Festo Ag & Co. Kg Vorrichtung zur Bearbeitung und/oder Behandlung eines Werkstücks und/oder Werkmaterials
CN105689160B (zh) * 2016-01-20 2019-01-0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用于磁悬浮离心机的停机方法及装置
CN106040443B (zh) * 2016-07-13 2018-10-02 山东科技大学 超高速磁悬浮固液分离装置
CN106824557A (zh) * 2017-02-17 2017-06-13 大连冠力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侧入式高速直联分离泵
CN108283999A (zh) * 2018-01-31 2018-07-17 湖北环电磁装备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永磁同步电机直驱的离心选矿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3035A1 (en) * 2002-12-12 2004-06-24 Alfa Laval Corporate Ab A method of purifying contaminated oil from particles suspended in the oil in a centnrifugal separator
JP2014507255A (ja) * 2010-11-19 2014-03-27 ケンゼー・ナッシュ・コーポレーション 遠心分離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1624A1 (de) 2019-05-31
KR20200086365A (ko) 2020-07-16
ES2965723T3 (es) 2024-04-16
DE102017128027A1 (de) 2019-05-29
US11596954B2 (en) 2023-03-07
US20210031215A1 (en) 2021-02-04
CN111372687B (zh) 2024-02-23
CN111372687A (zh) 2020-07-03
DK3717132T3 (da) 2023-11-27
EP3717132A1 (de) 2020-10-07
EP3717132B1 (de)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486B1 (ko) 분리기
US12303918B2 (en) Separator for separating a flowable suspension into two flowable phases of different density
WO2018202611A1 (en) A separation disc for a centrifugal separator
JP6868638B2 (ja) セパレータ
EP2366457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djusting the radial position of an interface layer in a centrifugal separator
JP2023537765A (ja) セパレータインサート、セパレータ及びセパレータインサートを交換する方法
AU2019396481B2 (en) Centrifugal separator
US20230302466A1 (en) Separator insert and separator
RU2778648C1 (ru) Сепаратор
CA3184135A1 (en) Separator insert and separator
JP4342107B2 (ja) 反動駆動ロータを有する遠心分離機の出口
US549866A (en) Centrifugal liquid-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12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5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