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9613B1 -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613B1
KR102629613B1 KR1020200128615A KR20200128615A KR102629613B1 KR 102629613 B1 KR102629613 B1 KR 102629613B1 KR 1020200128615 A KR1020200128615 A KR 1020200128615A KR 20200128615 A KR20200128615 A KR 20200128615A KR 102629613 B1 KR102629613 B1 KR 10262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ste glass
oled
concrete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022A (ko
Inventor
장일영
김성겸
양희준
이재민
김도연
신자은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6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6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5Ceramic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17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8 내지 16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Concrete composition containing OLED waste glass, and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therefro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의 농도는 1960년대 약 315 ppm에서 지속적인 산업화의 영향으로 2019년 약 400 ppm로 치솟았다. 온실가스의 한 종류인 CO2의 농도 증가는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에 일조하였으며, 이로 인한 해수면 상승, 식생 변화, 홍수 및 가뭄 등의 환경 문제는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관한 국제적 협약 체결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1997년 2월에 채택된 교토의정서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의무를 선진국으로 국한하였으며, 2020년 만료 예정이다. 이후 기존 선진국에만 부여되었던 감축 의무를 195개국으로 확대한 파리협정이 2016년에 발효되어 2021년부터 적용 될 예정이다.
대한민국은 파리협정에 들어서면서부터 온실가스 감축의 의무를 가지게 되었으며, 2030년 배출전망치(Business as usual; BAU) 대비 37 %(8억 5,060톤/CO2)의 감축목표를 유엔에 제출하였다.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환경적, 제도적 요구가 점차 심화됨에 따라 시멘트 산업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CO2를 저감하기 위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등의 산업부산물을 혼화재로 활용하여 폐기 시 발생하는 환경부하 및 시멘트 대체 사용에 따른 시멘트 생산량을 감소시켜 해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이에 대한 유사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1691호가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1691호 (2016.10.2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2)를 흡수할 수 있는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시멘트 8 내지 16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OLED 폐유리 분말은 SiO2 45 내지 60 중량%, Al2O3 15 내지 25 중량%, BaO 5 내지 15 중량%, CaO 3 내지 10 중량%, SrO 0.5 내지 5 중량%, MgO 0.5 내지 5 중량%, Na2O 1 중량% 이하, 및 Fe2O3 1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OLED 폐유리 분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5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시멘트 8 내지 16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a) 시멘트 8 내지 16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가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은 콘크리트 조성물 내 시멘트의 일부를 OLED 폐유리 분말로 치환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산화 깊이 및 이산화탄소(CO2) 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사용한 탄산화 깊이 측정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CO2 노출기간(week)에 따른 OLED 폐유리 혼합 콘크리트의 탄산화 깊이(㎜)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재령일에 따른 OLED 폐유리 혼합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CO2 노출기간(year)에 따른 OLED 폐유리 혼합 콘크리트의 탄산화 깊이(㎜) 산출 결과이다.
도 4는 CO2 노출기간(year)에 따른 OLED 폐유리 혼합 콘크리트의 CO2 흡수량(㎏/㎥) 산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시멘트 8 내지 16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콘크리트 조성물 내 시멘트의 일부를 OLED 폐유리 분말로 치환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산화 깊이 및 이산화탄소(CO2) 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KS F 2456에 의거하여 재령 28일된 시편을 기준으로 압축강도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3 ≤ (S1-S0)/S0 × 100
(상기 관계식 1에서, S0는 폐유리 분말이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이며, S1은 폐유리 분말이 1 내지 10 중량%로 혼입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OLED 폐유리 분말이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 대비 3% 이상 향상된 압축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압축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S1-S0)/S0×100은 3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KS F 2596에 의거하여 측정된 탄산화 깊이가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2]
100 ≤ (D1-D0)/D0 × 100
(상기 관계식 2에서, D0는 폐유리 분말이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8주차 탄산화 깊이(㎜)이며, D1은 폐유리 분말이 1 내지 10 중량%로 혼입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8주차 탄산화 깊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OLED 폐유리 분말이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 대비 100% 이상, 즉 2배 이상 탄산화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이때, 탄산화 깊이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D1-D0)/D0×100은 1000 이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시멘트는 콘크리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클랜드 시멘트, 플라이 애쉬 시멘트, 고로 슬래그 시멘트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시멘트는 포클랜드 시멘트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 총 중량 중 시멘트의 함량은 8 내지 16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0 내지 16 중량%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최종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OLED 폐유리 분말은 반응성 분체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제작 공정에서 배출되는 파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OLED 폐유리 분말은 SiO2 45 내지 60 중량%, Al2O3 15 내지 25 중량%, BaO 5 내지 15 중량%, CaO 3 내지 10 중량%, SrO 0.5 내지 5 중량%, MgO 0.5 내지 5 중량%, Na2O 1 중량% 이하, 및 Fe2O3 1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좋게는 OLED 폐유리 분말 총 중량 중 SiO2 50 내지 60 중량%, Al2O3 17 내지 23 중량%, BaO 8 내지 13 중량%, CaO 5 내지 8 중량%, SrO 1 내지 5 중량%, MgO 1 내지 3 중량%, Na2O 0.01 내지 0.5 중량%, 및 Fe2O3 0.01 내지 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OLED 폐유리 분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50 ㎛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0.1 내지 30 ㎛, 더욱 좋게는 0.1 내지 15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포졸란 반응으로 C-S-H 겔이 생성이 더욱 촉진되어 압축강도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 총 중량 중 OLED 폐유리 분말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5 내지 6 중량%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최종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은 압축강도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잔골재 및 굵은골재는 콘크리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비한정적인 일 예시로 상기 잔골재는 입자의 평균 입경이 8 ㎜ 미만, 구체적으로 1 내지 8 ㎜ 미만인 모래일 수 있으며, 상기 굵은 골재는 입자의 평균 입경이 8 ㎜ 이상, 구체적으로 8 내지 50 ㎜인 자갈, 쇄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 총 중량 중 잔골재의 함량은 10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5 내지 45 중량%, 더욱 좋게는 20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 총 중량 중 굵은골재의 함량은 20 내지 60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25 내지 55 중량%, 더욱 좋게는 3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최종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면서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너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끝으로, 상기 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첨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 총 중량 중 잔골재의 함량은 3 내지 1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첨가제가 더 혼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카흄, 슬래그미분말, 감수제 또는 유동화제 등이 선택적으로 더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전술한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시멘트 8 내지 15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각 성분의 구체적인 조성 및 함량은 전술한 바와 동일함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a) 시멘트 8 내지 15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가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각 성분의 구체적인 조성 및 함량은 전술한 바와 동일함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a)단계에 있어, 배합은 마른 재료를 건(dry) 혼합 후 배합수를 첨가하여 추가 혼합할 수 있다. 이후 시공 위치 또는 전용 몰드 등에 상기 배합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한 후 양생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시멘트는 KS L 5201를 만족하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를 준비하였으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폐유리로 반응성 분체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제작 공정에서 배출되는 파유리를 분쇄하여 평균 입경 9 ㎛를 갖는 OLED 폐유리 분말을 준비하였다. 시멘트 및 OLED 폐유리의 성분 조성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다.
시멘트 OLED 폐유리
성분
(중량%)
SiO 2 15.6 55.9
Al 2 O 3 3.4 19.0
CaO 70.0 6.9
BaO - 11.8
Fe 2 O 3 4.4 0.10
MgO 2.7 2.3
SrO 0.1 3.4
Na 2 O 0.1 0.3
K 2 O 1.7 -
SO 3 1.4 -
SnO 2 - 0.3
P 2 O 5 0.1 -
Cr 2 O 3 0.1 -
MnO 0.1 -
NiO 0.1 -
ZnO 0.2 -
합계 100 100
비중 (g/㎤) 3.17 2.61
분말도 (㎠/g) 3,610 7,650
평균 입경 (㎛) 7.87 9.13
또한, 배합에 사용된 잔골재는 하천모래로서 비중이 2.60이고, 흡수율이 1.05인 것을 사용하였다. 굵은골재는 쇄석으로 비중이 2.65이고, 흡수율이 0.90, 최대 치수(Gmax)가 25 ㎜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를 각 성분의 함량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설계하여 배합하였다.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결합재 비(Water to binder ratio; w/b)는 0.4로 고정하며, OLED 폐유리 치환율을 10, 20 및 30 중량%로 설정하였다. 콘크리트의 경우 시멘트 페이스트와 동일한 w/b 및 OLED 치환율을 적용하였다. OLED 폐유리의 중량비 치환에 따라 변화된 콘크리트의 부피는 잔골재 양을 조절하여 맞추었다. 모든 배합에서 불필요한 화학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학첨가제의 사용은 배제하였다.
산정된 콘크리트 배합 설계를 토대로 배합 재료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2분간 건비빔 후, 배합수를 첨가하여 3분 동안 추가 배합하였다.
압축강도 및 급속 탄산화 실험을 위한 콘크리트 시편은 원주형 몰드(Ø 100 × 200 ㎜) 및 각주형 몰드(50 × 50 × 100 ㎜)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시멘트 16.95 15.28 13.61 11.93
OLED 폐유리 0.00 1.70 3.41 5.11
모래 33.90 33.77 33.65 33.52
쇄석 42.37 42.46 42.53 42.62
6.78 6.79 6.80 6.82
합계 100 100 100 100
[특성 분석]
1) 압축강도 분석:
재령별 OLED 폐유리 치환에 따른 강도 발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KS F 2456에 의거하여 재령 1 ,3, 7, 14, 28, 56 및 91일 콘크리트 시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최대용량 2,000 kN의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를 이용하여 재하속도 300 kN/분의 하중제어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5개 시편의 평균값을 압축강도 값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 종류와 관계없이 재령의 증가에 따라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지속적인 수화 반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OLED 폐유리를 치환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재령 14일까지 OLED 폐유리를 혼입한 시편과 비교하여 항상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재령 14일 OLED 폐유리의 압축강도는 41.43 ㎫이었다.
하지만 재령 14일 이후 OLED 폐유리 혼입량과 관계없이 모든 OLED 혼입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비교예 1의 강도 값을 초월하였는데, 이는 중장기 수화과정에서의 포졸란 반응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포졸란 반응으로 생성된 C-S-H 겔은 콘크리트 내 공극을 채움으로써 밀실하게 하여 압축강도 증진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내 OLED 폐유리 미분말 치환율의 증가는 본격적인 포졸란 반응이 일어나는 중장기 재령에서 더 높은 강도 발현을 나타냈는데, 재령 28일에서 실시예 1은 49.61 ㎫, 실시예 2는 51.13 ㎫ 그리고 실시예 3은 51.38 ㎫였다. 이러한 결과는 콘크리트 내 OLED 폐유리의 양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양의 포졸란 반응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C-S-H 겔 생성량이 증가하여 강도 증진을 초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약 9 ㎛의 평균입경을 가진 OLED 폐유리 미분말은 충분한 포졸란 반응을 일으키며 이에 따라 압축강도에 증가에 기여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30 중량%의 치환율에서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인만큼 혼화재로써 활용하기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더 높은 치환율에서의 포졸란 반응성, 강도 등 다양한 시험을 통해 경제성을 고려한 사용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촉진 탄산화 실험:
콘크리트 시편의 탄산화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촉진 탄산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28일 동안 양생 후 콘크리트 시편(크기 50 × 50 × 100 ㎜)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에만 탄산화를 유도하기 위해 나머지 4면에 대해 2회의 에폭시 코팅을 하였다. 에폭시 코팅 및 건조가 완료된 시편을 탄산화 챔버에 정치시킨 후 촉진 탄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탄산화 촉진을 위해 CO2 농도 3 부피%, 온도 20±2℃, 상대습도(RH) 60%의 환경을 유지하였다. 일정 기간 노출 후 탄산화 깊이 측정을 위해 CO2 침투방향으로 시편을 절단하였다. 절단면을 대상으로 KS F 2596에 따라 95 중량% 에탄올 90 ㎖ + 증류수 10 ㎖를 혼합한 혼합 용액에 페놀프탈레인 분말 1 g을 녹여 지시약을 제조한 한 후, 이를 절단면에 분무하여 깊이를 측정하였다. 이 때, 도 1과 같이 모든 시편에 대해 총 6개의 동일한 지점에서 발색되지 않은 영역의 길이를 1 ㎜ 단위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탄산화 깊이로 산정하였다. 측정 지점에 골재가 있을 경우 탄산화가 진행된 경계면 양 끝점을 연결하는 선을 그어 해당 깊이까지의 길이를 탄산화 깊이로 가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시편은 노출시간에 따라 탄산화 깊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OLED 폐유리 혼입율과 관계없이 비교예 1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낮은 탄산화 저항성을 보였는데, 이는 포졸란 반응으로 인한 콘크리트 내 CH 함량의 감소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기 중 CO2가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화합물과 탄산화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 중 일차적으로 반응하는 수화물은 CH이다. 하지만, OLED 폐유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경우 포졸란 반응으로 인해 CH를 우선적으로 소비하여 더 많은 양의 CO2 침투를 허용한다. 반대로 비교예 1의 콘크리트는 충분한 양의 CH가 존재하고 이는 유입된 CO2와 반응하여 다량의 탄산칼슘(CaCO3)을 형성한다. 생성된 CaCO3는 CH에 비교하여 높은 밀도를 가지므로 탄산화가 진행될수록 콘크리트 내 공극 구조를 치밀하게 만들어 더 이상의 CO2 침투를 제한하고, 이러한 현상은 콘크리트 표면에서부터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탄산화 반응을 더디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OLED 폐유리 혼입 콘크리트 내 폐유리 미분말의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탄산화 깊이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예를 들어, 비교예 1의 경우 8주차 탄산화 깊이는 1.91 ㎜이었으며, 실시예 1은 4.71 ㎜, 실시예 2는 5.16 ㎜ 그리고 실시예 3은 비교예 1의 약 3.9배 높은 7.53 ㎜ 깊이까지 탄산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경향 역시 OLED 폐유리 혼입율이 증가함에 따른 포졸란 반응성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3) CO 2 흡수량 산정:
콘크리트 내 탄산화로 인한 CO2 흡수량을 산정하기 위해 Pade et al.(2007) 및 Lee et al.(2009)의 연구에서 제안된 계산식 (1)을 이용하였다. 이 때, 탄산화 반응에 참여하는 클링커 및 수화물은 문헌고찰을 통해 아래 같이 결정하였다(반응식 (1) 내지 (5)).
반응식 (1):
반응식 (2):
반응식 (3):
반응식 (4):
반응식 (5):
탄산화 반응식에서 알 수 있듯이 각 화합물은 동일한 몰 농도의 CO2와 반응하므로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중 리트벨트법을 이용한 정량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탄산화 가능한 화합물의 몰농도를 계산하였다.
계산식 (1):
상기 계산식 (1)에서 [CO2]는 CO2 흡수량(㎏), [Mc]는 단위 부피당 탄산화가 가능한 화합물의 몰 수(mol/㎥), Area는 대기 중 노출된 콘크리트의 면적(㎡), dc는 탄산화 깊이(m), MCO₂는 CO2의 몰질량(g/mol)이다.
또한, 시간에 따른 탄산화가 진행된 콘크리트의 부피를 산정하기 위해 대기 중 노출된 면적은 1 ㎡으로 가정하고, 촉진 탄산화 실험에서 페놀프탈레인법에 의해 측정된 탄산화 깊이 값을 이용하여 아래 탄산화 깊이 예측 식에 대해 회귀분석하여 탄산화 속도 계수(α)를 구한 후 최대 50년까지의 탄산화 깊이(dc)를 하기 계산식 (2)를 통해 산정하였다.
계산식 (2):
상기 계산식 (2)에서 dc는 탄산화 깊이(m), α는 탄산화 속도 계수, time은 탄산화 시간(년)이다.
동일한 노출조건 하에서의 탄산화 진전속도를 고려한 CO2 흡수량 계산을 위해 실제 촉진 탄산화 노출에 따른 깊이 결과 값을 계산식 (2)에 대하여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회귀분석하였다. 위 과정에서 도출된 탄산화 속도 계수(α)는 비교예 1 3.65, 실시예 1 10.27, 실시예 2 11.17, 그리고 실시예 3 15.02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탄산화 관점에서의 OLED 콘크리트 CO2 흡수량을 계산하기 위해 계산식 (2)를 이용하여 최대 50년까지의 CO2 흡수량을 산정하였다.
도 4 및 5에서 알 수 있듯이 OLED 미분말이 혼입된 콘크리트 시편은 전 구간에서 비교예 1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높은 CO2 흡수량을 보여주었다. 비교예 1은 가장 많은 탄산화가 가능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현저히 낮은 탄산화 진전 속도로 인해 낮은 CO2 흡수량을 나타냈다. 다소 비슷한 탄산화 정도를 가지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경우 탄산화와 관련된 화합물의 몰농도 차이로 인해 CO2 흡수량의 차이가 미비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표 3은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용기간으로 예상되는 30-50년에서의 CO2 흡수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노출 기간
(년)
CO 2 흡수량(㎏/㎥)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30 1.35 3.56 3.68 4.81
40 1.56 4.12 4.25 5.55
50 1.74 4.60 4.76 6.21
노출 기간 50년에서 OLED 폐유리를 혼입한 콘크리트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OLED 폐유리 혼입율에 따라 약 2.6-3.5배 높은 흡수량을 보였다. 따라서, OLED 폐유리 미분말을 콘크리트에 적용할 경우 CO2 흡수량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위 결과는 계산 과정에서 재령 28일에서의 탄산화 가능한 화합물 농도 값만을 이용함으로써 탄산화 노출 기간 동안의 수화도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의 촉진 탄산화 실험에서 도출된 값을 활용하여 탄산화 깊이를 예측하여 실제 값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신뢰도 제고를 위해 앞서 언급한 한계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용 기간 중 CO2 흡수 방안으로써 탄산화 촉진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이점 및 OLED 폐유리 분말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시멘트 8 내지 16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로,
    상기 OLED 폐유리 분말은 SiO2 45 내지 60 중량%, Al2O3 15 내지 25 중량%, BaO 5 내지 15 중량%, CaO 3 내지 10 중량%, SrO 0.5 내지 5 중량%, MgO 0.5 내지 5 중량%, Na2O 1 중량% 이하, 및 Fe2O3 1 중량% 이하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KS F 2596에 의거하여 측정된 탄산화 깊이가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인,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관계식 2]
    100 ≤ (D1-D0)/D0 × 100
    (상기 관계식 2에서, D0는 폐유리 분말이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8주차 탄산화 깊이(㎜)이며, D1은 폐유리 분말이 1 내지 10 중량%로 혼입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8주차 탄산화 깊이(㎜)이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LED 폐유리 분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50 ㎛인,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4. 시멘트 8 내지 16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상기 OLED 폐유리 분말은 SiO2 45 내지 60 중량%, Al2O3 15 내지 25 중량%, BaO 5 내지 15 중량%, CaO 3 내지 10 중량%, SrO 0.5 내지 5 중량%, MgO 0.5 내지 5 중량%, Na2O 1 중량% 이하, 및 Fe2O3 1 중량% 이하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KS F 2596에 의거하여 측정된 탄산화 깊이가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인,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관계식 2]
    100 ≤ (D1-D0)/D0 × 100
    (상기 관계식 2에서, D0는 폐유리 분말이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8주차 탄산화 깊이(㎜)이며, D1은 폐유리 분말이 1 내지 10 중량%로 혼입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8주차 탄산화 깊이(㎜)이다.)
  5. a) 시멘트 8 내지 16 중량%, OLED 폐유리 분말 1 내지 10 중량%, 잔골재 10 내지 50 중량%, 굵은골재 20 내지 60 중량% 및 물 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가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OLED 폐유리 분말은 SiO2 45 내지 60 중량%, Al2O3 15 내지 25 중량%, BaO 5 내지 15 중량%, CaO 3 내지 10 중량%, SrO 0.5 내지 5 중량%, MgO 0.5 내지 5 중량%, Na2O 1 중량% 이하, 및 Fe2O3 1 중량% 이하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KS F 2596에 의거하여 측정된 탄산화 깊이가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 방법.
    [관계식 2]
    100 ≤ (D1-D0)/D0 × 100
    (상기 관계식 2에서, D0는 폐유리 분말이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8주차 탄산화 깊이(㎜)이며, D1은 폐유리 분말이 1 내지 10 중량%로 혼입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8주차 탄산화 깊이(㎜)이다.)
KR1020200128615A 2020-10-06 2020-10-06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62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615A KR102629613B1 (ko) 2020-10-06 2020-10-06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615A KR102629613B1 (ko) 2020-10-06 2020-10-06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022A KR20220046022A (ko) 2022-04-14
KR102629613B1 true KR102629613B1 (ko) 2024-01-25

Family

ID=8121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615A Active KR102629613B1 (ko) 2020-10-06 2020-10-06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6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306A (ja) 2012-10-02 2014-05-15 Avanstrate Inc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641634B1 (ko) 2015-11-04 2016-07-22 (주)이노소재 디스플레이 폐유리와 파유리를 재활용한 장섬유 유리용 또는 플리트용 실리카 분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691A (ko) 2015-04-10 2016-10-20 주식회사 갑오 이산화탄소 저감용 저탄소 시멘트 결합재 조성물,이를 포함하는 증기양생 콘크리트
KR20170114630A (ko) * 2016-04-05 2017-10-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복패각과 폐유리분말을 갖는 co2 저감형 친환경 콘크리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306A (ja) 2012-10-02 2014-05-15 Avanstrate Inc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641634B1 (ko) 2015-11-04 2016-07-22 (주)이노소재 디스플레이 폐유리와 파유리를 재활용한 장섬유 유리용 또는 플리트용 실리카 분말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겸부.,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공학석사학위논문(2018. 12. 공지)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022A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724B1 (ko) 고로슬래그, 분말형 규산나트륨,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결합재를 이용하는 무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RU2705646C1 (ru) Бесцементное вяжущее вещество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101410056B1 (ko) 바텀애시를 포함하는 결합재에 의한 무시멘트 콘크리트
KR101339332B1 (ko) 바텀애시를 포함하는 결합재
EP1561736B1 (en) Method for preparing a building material
Thomas et al. Lowering the carbon footprint of concrete by reducing clinker content of cement
KR101165694B1 (ko) 플라이애시를 포함하는 비소성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18009B1 (ko) 결합재로 폐유리 미분말과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Quang Effect of quartz powder and mineral admixtures on the properties of high-performance concrete
GB2349879A (en) Cured calcium silicate object with high strength
KR20160033522A (ko) 환원슬래그를 이용한 고함수율 연약지반 토양 개량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양 고화 방법
JP5122316B2 (ja) セメント添加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6832188B2 (ja) 人工骨材、およびセメント質硬化体
KR102629613B1 (ko)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7645A (ko)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Kim et al. An empirical study on the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in OLED-mixed concrete through carbonation reaction
KR102146455B1 (ko) 고로슬래그 기반 조성물 및 이의 경화체
JP2010155739A (ja) 超軽量モルタル
KR101015066B1 (ko) 고강도 경량 무수축 충진모르타르
CN114988838B (zh) 一种石膏自流平砂浆及其制备方法
KR102252333B1 (ko) 석회석 슬러지를 활용한 결합재 조성물 및 이의 경화체
KR101879269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용 팽창성 수축저감형 균열방지 조성물 및 시멘트 모르타르용 팽창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00039006A (ko)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물성을 개선시킨 콘크리트용 혼화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KR102199929B1 (ko) 내구성 증진을 위한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숏크리트 조성물
RU2303579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ухая цемен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