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130B1 - Inspection vehicle in manhole - Google Patents
Inspection vehicle in manh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9130B1 KR102629130B1 KR1020230085830A KR20230085830A KR102629130B1 KR 102629130 B1 KR102629130 B1 KR 102629130B1 KR 1020230085830 A KR1020230085830 A KR 1020230085830A KR 20230085830 A KR20230085830 A KR 20230085830A KR 102629130 B1 KR102629130 B1 KR 102629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manhole
- unit
- pulley
- dr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맨홀 점검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하강 방식으로 맨홀의 내부로 진입이 용이하며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맨홀 점검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that can easily enter the interior of a manhole using an elevator up and down method and improve work safety.
맨홀(manhole)은 상하수도 설비, 통신설비 및 배선, 전력 송배전 설비 및 배선 등이 매설되어 있는 지하공간에 유지보수 작업 등을 목적으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상과 지하를 연결해주는 수직 구멍으로, 평상시 맨홀은 맨홀 뚜껑으로 폐쇄되어 있다.A manhole is a vertical hole that connects the ground and the underground to allow workers to enter the underground space where water and sewage facilities,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wiring,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nd wiring, etc. are buried for the purpose of maintenance work. , Normally, the manhole is closed with a manhole cover.
그리고, 지하공간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하여 작업자가 맨홀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맨홀 뚜껑이 있는 지상에서 지하공간까지 연결된 수직 통로에서 지하공간의 내부 벽면에 구비된 사다리 등의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지하로 직접 내려가 점검 및 보수작업을 진행하게 된다.In order to perform maintenance work in the underground space, the worker opens the manhole cover and uses a moving means such as a ladder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underground space in the vertical passage connected from the ground with the manhole cover to the underground space. You will go down directly to carry out inspection and repair work.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작업자가 맨홀 내부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맨홀 내에 직접 출입하는 종래의 경우에, 작업자가 맨홀 내에 출입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낙하하여 낙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As such, in the conventional case where workers enter the manhole directly to periodically inspect or perform maintenance work inside the manhole, it often occurs that the worker accidentally falls and suffers a fall while entering or exiting the manhole. did.
또한, 맨홀의 내부는 통풍이 원활하지 않아 전기장, 유입된 물과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의 부패 및 오염물질 등에 의해 발생한 유해가스가 존재하게 되는데, 인체의 감각기관으로는 유해가스의 농도나 종류를 신속하게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후각 등으로 가스 유출 상황을 인식한 경우에는 이미 밀폐된 작업장 공간 내에 유출된 가스가 무의식적으로 현장 작업자에게 상당수 흡입된 상태로, 질식사고, 인명사고 등의 해당 현장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위험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manhole is not well ventilated, so harmful gases are present due to electric fields, inflow of water, decay of foreign substances and pollutants, etc. The human body's sense organs cannot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r type of harmful ga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it quickly, and in cases where a gas leak situa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sense of smell, etc., a significant number of the gases leaked within the already sealed workplace space are inadvertently inhaled by field workers, resulting in suffocation accidents, fatal accidents, etc.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cause a fatal risk problem.
따라서 작업자의 맨홀 진입시 및 맨홀 내부의 작업 중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when workers enter manholes and while working inside manholes.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승하강 방식으로 승강기의 맨홀의 내부로 진입이 용이하며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맨홀 점검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that can easily enter the inside of the manhole of an elevator by lif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and improve work safety.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체; 차체에 장착되어 맨홀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가능한 승강기; 맨홀 내부의 상태 및 승강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에서 측정된 신호에 따라, 승강기가 맨홀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맨홀 내부로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승강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구동부는 모터; 모터와 연동되는 도르래부; 도르래부에 연결되어 도르래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기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맨홀 점검차량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 car body; An elevator mounted on the car body and capable of moving inside or outside a manhole;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condition inside the manhole and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vator to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manhole and then descend into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nd a driving unit that moves the elevator, and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A pulley unit linked to the motor;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is provided that is connected to a pulley and includes a wire rope that moves the elevator while moving along the pulle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기는 상기 차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 형태로 구비되는 안전 가이드 및 상기 안전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안전 가이드를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승강기 본체를 포함하고,In one embodiment, the elevator includes a sliding part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body and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 body, a rotating part rotat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part, and a driv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to provide driving force. ,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including a safety guid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and an elevator body mounted on the safety guide and vertically rising and lowering along the safety guid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안전 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연동되는 구동도르래, 상기 승강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고정도르래 및 상기 구동도르래에 일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도르래에 타단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afety guide, has a driving pulley interlocked with a motor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 fixed pulley mounted on one side of the elevator body, and one end is fixed to the driving pulley,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fixed pulley. It may include a wire rope connecting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체 후미에 설치되어 상기 맨홀의 위치 및 장애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근접센서, 상기 승강기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맨홀과의 정렬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proximity sens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manhole and whether an obstacle is approaching,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provided at one end of the elevator to detect alignment with the manhole.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센서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맨홀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거리로 상기 슬라이딩부가 이동한 후 상기 승강기가 직립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 근접센서의 감지 결과 상기 직립된 승강기의 위치가 상기 맨홀과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승강기가 상기 맨홀과 정렬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를 구동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 후에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승강기의 승하강 중에 상기 제1 근접센서로부터 주변의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승강기의 승하강을 정지시키고, 상기 장애물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승강기의 승하강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manhol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determines a moving distance of the sliding uni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istance, and moves the sliding unit to the determined distance. After moving,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so that the elevator is upright, and if the position of the upright elevator is not aligned with the manhole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the sliding part is driven so that the elevator is aligned with the manhole, If a surrounding obstacle is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during the raising/lowering of the rotating unit or the elevator after movement of the sliding unit, the raising/lowering of the rotating unit or the elevator is stopped, and when the obstacle is removed, the rotating unit or the elevator is raised/lowered. It can be controlled to resume desc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맨홀 점검 차량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승강기의 부근에 장애물을 감지하면 알람하는 제1 알람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2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includes a first alarm unit that alarms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an obstacle in the vicinity of the elevator;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when the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exceeds the standard pollution lev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은 근접센서에 의해 산출된 맨홀과의 거리에 따라 슬라이딩부가 이동한 후, 승강기가 직립되도록 회전부를 회전시키고, 직립된 승강기의 위치가 맨홀과 정렬되도록 슬라이딩부를 구동하며 맨홀 내부로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미세하게 승강기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승강기의 맨홀의 내부로 진입이 용이하며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은 작업자가 승강기에 탄 채 맨홀의 내부로 이송됨으로써 작업자의 맨홀 내부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sliding part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manhole calculated by the proximity sensor, rotates the rotating part so that the elevator is upright, and slide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upright elevator is aligned with the manhole. By driving the unit and finely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into the manhole, it is possible to easily enter the inside of the manhole of the elevator and improve work safety,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for workers. In addition,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workers from falling inside the manhole by transporting the worker inside the manhole while riding in an elevat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은 오염도측정센서에 의해 맨홀의 내부 환경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알람을 발생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질식사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manhole using a pollution level sensor and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thereby making the worker aware of the situation, thereby preventing the worker from suffocating, etc.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의 승강기의 맨홀 출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을 통한 맨홀 내부 세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에 적용된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에 적용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manhole entry and exit process of the elevator of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cleaning the inside of a manhole using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applied to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applied to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dditionally,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benea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immediately below” an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 차량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의 승강기의 맨홀 출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을 통한 맨홀 내부 세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에 적용된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에 적용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manhole entry and exit process of the elevator of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diagram of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cleaning the inside of a manhole through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applied to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block diagram of the system applied to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점검차량(10)은 차체(100), 정화부(200), 센서부(300), 알람부(400), 촬영부(500), 모니터링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body 100, a purification unit 200, a sensor unit 300, an alarm unit 400, and a photographing unit ( 500), a monitoring unit 600, and a control unit 700.
도 1을 참고하면, 차체(100)는 맨홀 점검 차량(10)의 차량 본체로서, 아우트리거(110), 승강기(120), 준설부(130), 세척부(140) 및 여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car body 100 is the vehicle body of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10, and includes an outrigger 110, an elevator 120, a dredging unit 130, a washing unit 140, and a filtering unit 150. may include.
아우트리거(110)는 차체(100)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연장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트리거(110)는 차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outrigger 110 may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00, extended by a hydraulic cylinder, and fixed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outrigger 110 can stably support the vehicle body 100.
승강기(120)는 차체(100)에 장착되어 동력에 의해 맨홀(A)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120)는 승강기 본체(121), 안전 가이드(122), 구동부(123), 회전부(124) 및 슬라이딩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vator 120 is mounted on the car body 100 and can be transported by power to allow entry and exit into the manhole (A). This elevator 120 may include an elevator body 121, a safety guide 122, a driving part 123, a rotating part 124, and a sliding part 125.
승강기 본체(121)는 안전 가이드(122)에 장착되어 구동도르래(123a)의 구동력에 의해 안전 가이드(122)를 따라 맨홀(A) 내부로 수직으로 승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 본체(121)는 맨홀(A) 내부로 진입하는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것이다.The elevator body 121 is mounted on the safety guide 122 and can vertically go up and down inside the manhole A along the safety guide 122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ulley 123a. This elevator body 121 is for workers entering the manhole (A) to board.
안전 가이드(122)는 구동부(123)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가이드(122)는 구동부(123)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안전 가이드(122)는 승강기 본체(12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안전 가이드(122)는 승강기 본체(121)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일정한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afety guide 12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123. For example, the safety guide 12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unit 123. At this time, the safety guide 122 i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body 121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That is, the safety guide 122 may be provided with a certain width to guide both sides of the elevator body 121.
구동부(123)는 회전부(12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구동부(123)는 회전부(124)와 승강기 본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3)는 구동도르래(123a), 와이어로프(123b) 및 고정도르래(123c)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2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unit 124.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2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unit 124 and the elevator body. This driving unit 123 may include a driving pulley (123a), a wire rope (123b), and a fixed pulley (123c).
구동도르래(123a)는 안전 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구동도르래(123a)는 안전 가이드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도르래(123a)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미도시)와 연동될 수 있다.The driving pulley 123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afety guide. For example, the driving pulley 123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afety guide. This driving pulley (123a) may be linked with a motor (not shown)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와이어로프(123b)는 다수의 강선을 꼬아서 소정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시킨 통상적인 것을 하나 또는 여러 가닥을 한벌로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서, 와이어로프(123b)의 일단은 구동도르래(123a)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고정도르래(123c)에 연결하여 상기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승강기 본체(121)를 승하강할 수 있다.The wire rope (123b) is made up of one or more strands of a common steel wire twisted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end of the wire rope (123b) is fixed to the driving pulley (123a). ,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xed pulley (123c) so that the elevator body 121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driving the motor (not shown).
고정도르래(123c) 승강기 본체(121)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도르래(123c)는 와이어로프(123b)의 상하 구동을 지지할 수 있다.The fixed pulley (123c)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elevator body (121). At this time, the fixed pulley (123c) can suppor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wire rope (123b).
회전부(124)는 슬라이딩부(125)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회전부(124)는 슬라이딩부(125)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24)는 승강기 본체(121)가 직립되도록 직각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rotating part 124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part 125. For example, the rotating part 12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part 125. At this time, the rotating part 124 may be rotated at a right angle so that the elevator body 121 stands upright.
슬라이딩부(125)는 차체(100)의 상부에 장착되고, 차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125)는 회전부(124)의 하측에 구비되는데, 결과적으로 승강기 본체(121), 안전 가이드(122), 구동부(123) 및 회전부(124)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125)는 승강기 본체(121)를 후방으로 이송할 수 있다.The sliding part 125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body 100 and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 body 100. That is, the sliding part 125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part 124, and as a result, the elevator body 121, the safety guide 122, the driving part 123, and the rotating part 124 can be mounted. At this time, the sliding part 125 can transport the elevator body 121 rearward.
준설부(130)는 맨홀(A) 내부의 퇴적물을 흡입하여 수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준설부(130)는 펌프를 통해 흡입관으로 맨홀(A) 내부의 퇴적물이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퇴적물을 여과부(150)의 저장탱크(151)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dredging unit 130 can suction and collect sediment inside the manhole (A). For example, the dredging unit 130 may suck the sediment inside the manhole (A) into the suction pipe through a pump, and discharge the sucked sediment into the storage tank 151 of the filtration unit 150.
세척부(140)는 맨홀(A) 내부에 물을 분사하여 잔여 퇴적물을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세척부(140)는 분사하기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및 물을 분사하는 노즐(14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41)은 승강기(120)에 설치되며, 승강기(120)와 함께 이송되면서 맨홀(A) 내부에 물을 고압 분사하여 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140 can spray water inside the manhole (A) to wash the remaining sediment. At this time, the washing unit 140 may include a water tank storing water for spraying and a nozzle 141 for spraying wat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nozzle 141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120, and while being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elevator 120, water can be sprayed at high pressure into the inside of the manhole A to perform cleaning.
여과부(150)는 수거된 퇴적물을 저장 및 여과하여, 퇴적물에서 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여과부(150)는 저장탱크(151) 및 여과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ration unit 150 can store and filter the collected sediment and separate water from the sediment. At this time, the filtration unit 150 may include a storage tank 151 and a filtration member 152.
저장탱크(151)는 준설부(130)를 통해 흡입된 퇴적물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탱크(151)의 상부로 퇴적물이 유입될 수 있다.The storage tank 151 can accommodate sediment sucked through the dredging unit 130. For example, sediment may flow in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151.
여과부재(152)는 저장탱크(15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여과부재(152)는 저장탱크(151)의 상부로 유입된 퇴적물을 침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재(152)를 통해 퇴적물의 모래나 슬러지만 침전이 되고, 물이 분리되어 저장탱크(151)의 하방으로 모일 수 있다. 분리된 물은 외부로 방출되어 하수구로 배수처리 될 수 있다.The filtering member 152 is disposed inside the storage tank 151 and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whos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this time, the filtering member 152 may precipitate sediment flowing in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151. Accordingly, only the sand or sludge of the sediment may precipitate through the filtering member 152, and the water may be separated and collected below the storage tank 151. The separat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drained into the sewer.
정화부(200)는 연결부(210) 및 흡입팬(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rification unit 200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210 and a suction fan 220.
연결부(210)는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맨홀(A)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10)는 자바라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210 may be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erted into the manhole (A). For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210 may be a bellows.
흡입팬(220)은 연결부(210)에 설치되어 맨홀(A) 내부의 공기가 연결부(210)를 통해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팬(220)의 작동에 의해 맨홀(A) 내부의 공기를 흡입되고, 외기를 맨홀(A) 내부로 공급하여 맨홀 내부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맨홀 내부의 오염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suction fan 220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210 to allow the air inside the manhole (A) to be sucked in through the connection part 210. Accordingly, the air inside the manhole (A) is sucked in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fan 220, and the outside air is supplied into the manhole (A) to purify the air inside the manhole,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pollution inside the manhole.
센서부(300)는 맨홀(A) 내부의 상태 및 승강기(12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센서부(300)는 오염도측정센서(310), 근접센서(320) 및 하중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00 can detect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manhole (A) and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20. 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sensor unit 300 may include a pollution level sensor 310, a proximity sensor 320, and a load sensor 330.
오염도측정센서(310)는 맨홀(A) 내부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도측정센서(310)는 연결부(210)에 설치되고 맨홀(A)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오염도는 맨홀(A) 내부 공기에 존재하는 유해가스의 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해가스로는 메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황화수소 등일 수 있다. The pollution level sensor 310 can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inside the manhole (A). For example, the pollution level sensor 310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210 and located inside the manhole (A). At this time, the pollution level may be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es present in the air inside the manhole (A). For example, harmful gases may include methan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nd hydrogen sulfide.
근접센서(320)는 승강기(120)의 동작을 위해 장애물이나 맨홀(A)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센서(320)는 제1 근접센서(321) 및 제2 근접센서(3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320 can detect obstacles or manholes (A)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20. This proximity sensor 320 may include a first proximity sensor 321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322.
제1 근접센서(321)는 차체(100)의 후미에 설치되어, 맨홀(A)의 위치를 측정하고, 장애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120)가 슬라이딩부(125)에 의해 차체(100)의 후방으로 이송되거나 회전부(124)에 의해 직립되는 경우, 제1 근접센서(321)는 차체(100)의 후미, 즉 승강기(120) 부근으로 접근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00 and can measure the position of the manhole (A) and detect whether an obstacle is approaching. For example, when the elevator 120 is transported to the rear of the car body 100 by the sliding part 125 or upright by the rotating part 124,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ar body 100, That is, obstacles approaching near the elevator 120 can be detected.
또한, 제1 근접센서(321)는 맨홀(A)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근접센서(321)는 그로부터 방출되는 신호(전자기파나 전기장)가 반사되어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위치를 맨홀(A)의 위치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근접센서(321)는 방향에 따라 일정한 각도로 신호의 방출 및 반사신호의 수신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can detect the location of the manhole (A). For example,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may detect the location as the location of the manhole (A) if the signal (electromagnetic wave or electric field) emitted therefrom is reflected and not received. At this time,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may repeatedly emit a signal and receive a reflected signal at a constant angle depending on the direction.
제2 근접센서(322)는 승강기(120)의 일단에 구비되어, 맨홀(A)과의 정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근접센서(322)는 승강기(120)가 직립된 상태에서 승강기(120)의 아래로 신호를 발산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승강기(120)의 바로 아래에 맨홀(A)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근접센서(322)는 승강기(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근접센서(322)는 승강기(120)가 맨홀(A) 단면적 내부에 위치하는지 또는 맨홀(A) 단면적의 외부에 일부가 걸쳐진 상태인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cond proximity sensor 32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elevator 120 and can detect whether it is aligned with the manhole (A). For example,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22 radiates a signal below the elevator 120 when the elevator 120 is upright and receives the reflected signal, thereby creating a manhole (A) directly below the elevator 120. You can detect where this is. At this time,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2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120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22 can detect whether the elevator 120 is located insid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nhole (A) or whether it is partially located outsid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nhole (A).
하중센서(330)는 승강기(120)에 설치되어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120)에 작업자나 중량물을 탑승시킬 경우, 승강기(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The load sensor 330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120 and can measure the load. For example, when a worker or a heavy object is boarded in the elevator 120, the load applied to the elevator 120 can be measured.
알람부(400)는 맨홀 점검 차량(10)의 동작 중에 위험이 발생함을 알람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400)는 제1 알람부(410) 및 제2 알람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larm unit 400 may alert that a danger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10. This alarm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alarm unit 410 and a second alarm unit 420.
제1 알람부(410)는 센서부(300)가 승강기(120)의 부근에 장애물을 감지하면 작업자 및 장애물에게 경보하도록 알람할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은 승강기(120) 측으로 이동하는 사람이나 사람이 탄 이동 수단 또는 애완견 등의 동물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알람부(410)는 시청각적으로 알람할 수 있다. 즉, 제1 알람부(410)는 제1 조명부(411) 및 제1 소리출력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ensor unit 300 detects an obstacle in the vicinity of the elevator 120, the first alarm unit 410 can provide an alarm to alert the operator and the obstacle. Here, the obstacle may be a person moving toward the elevator 120,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which a person rides, or an animal such as a pet dog. For example, the first alarm unit 410 can provide an audio-visual alarm. That is, the first alarm unit 410 may include a first lighting unit 411 and a first sound output unit 412.
제1 조명부(411)는 차체(100)의 후미 및 직립된 승강기(120)의 양측으로부터 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 또는 접근하는 장애물에게 시각적인 경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명부(411)는 LED램프일 수 있으며, 백색, 황색 및 적색 등 여러 색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조명부(411)는 시각적인 경고신호 알림 외에도 일반적인 조명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lighting unit 411 generates light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00 and both sides of the upright elevator 120, thereby providing a visual warning signal to workers or approaching obstacles. For example, the first lighting unit 411 may be an LED lamp and may produce various colors such as white, yellow, and red. Meanwhile, the first lighting unit 411 can be used as general lighting in addition to visual warning signal notification.
제1 소리출력부(412)는 차체(100)의 후미 및 직립된 승강기(120)의 양측으로부터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 또는 접근하는 장애물에게 청각적인 경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리출력부(412)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안내음성 또는 사이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412 generates soun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00 and both sides of the upright elevator 120, thereby providing an auditory warning signal to workers or approaching obstacles. For example, the first sound output unit 412 may be a speaker and may generate a guidance sound or a siren.
또한 제2 알람부(420)는 오염도측정센서(310)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경보하도록 알람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알람부(420)는 시청각적으로 알람할 수 있다. 즉, 제2 알람부(420)는 제2 조명부(421) 및 제2 소리출력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alarm unit 420 can alarm to alert the worker when the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pollution level measurement sensor 310 exceeds the standard pollution level. For example, the second alarm unit 420 can provide an audio-visual alarm. That is, the second alarm unit 420 may include a second lighting unit 421 and a second sound output unit 422.
제2 조명부(421)는 맨홀(A) 내부에서 광을 발생시켜 맨홀(A) 내부의 작업자에게 시각적인 경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명부(421)는 LED램프일 수 있으며, 백색, 황색 및 적색 등 여러 색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조명부(421)는 시각적인 경고신호 알림 외에도 일반적인 조명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lighting unit 421 can generate light inside the manhole (A) and provide a visual warning signal to workers inside the manhole (A). For example, the second lighting unit 421 may be an LED lamp and may produce various colors such as white, yellow, and red. Meanwhile, the second lighting unit 421 can be used as general lighting in addition to visual warning signal notification.
제2 소리출력부(422)는 맨홀(A) 내부에 소리를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청각적인 경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소리출력부(422)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안내음성 또는 사이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22 can generate sound inside the manhole (A) and provide an auditory warning signal to the worker. For example,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422 may be a speaker and may generate a guidance sound or a siren.
촬영부(500)는 맨홀(A)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맨홀(A)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촬영부(500)는 점검차량(10)에 설치되어 맨홀(A)을 촬영하고, 영상데이터를 모니터링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500 captures an image of the manhole (A), allowing the location of the manhole (A) to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500 may be installed in the inspection vehicle 10 to photograph the manhole (A) and transmit the image data to the monitoring unit 600.
모니터링부(600)는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데이터 및 촬영부(500)에서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600)는 승강기(120)와 맨홀(A)의 정렬 여부, 승강기(120) 부근으로의 장애물의 접근 여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센서부(300)에서 감지한 맨홀의 위치와, 촬영부(500)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부(600)는 회전부(124)의 회전에 의해 직립된 승강기(1020의 위치가 맨홀(A)의 위치와 정렬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맨홀(A)의 위치에 맞춰 승강기(1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울러, 모니터링부(600)는 접근하는 장애물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작업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있다.The monitoring unit 600 may display the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300 and the image data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on a display to enable monitoring. For example, the monitoring unit 600 determines whether the elevator 120 and the manhole A are aligned, whether an obstacle approaches the elevator 120, the location of the manhol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300 through the display, and ,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500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monitoring unit 600 can not only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upright elevator 1020 is aligned with the position of the manhole (A) by rotating the rotating part 124, but also can determine whether the elevator 1020 is aligned with the position of the manhole (A). It can be displayed to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120.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600 can provide position information so that workers can take action by displaying the position of approaching obstacles.
제어부(700)는 차체(100), 정화부(200), 센서부(300), 알람부(400), 촬영부(500) 및 모니터링부(60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맨홀 점검 차량(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오염도측정센서(310), 근접센서(320) 및 하중센서(330)를 제어함과 동시에 각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아우트리거(110) 등 유압으로 구동되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전기를 제어함으로써, 승강기(120), 준설부(130), 세척부(140), 여과부(150), 정화부(200), 센서부(300), 알람부(400), 촬영부(500), 모니터링부(600) 등 전기로 구동되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100, purification unit 200, sensor unit 300, alarm unit 400, imaging unit 500, and monitoring unit 600 to form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10). )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pollution level sensor 310, proximity sensor 320, and load sensor 330 and simultaneously receive signals from each sensor.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devices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such as the outrigger 110, by controlling hydraulic pressur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electricity to operate the elevator 120, the dredging unit 130, the washing unit 140, the filtering unit 150, the purifying unit 200, the sensor unit 300, and the alarm unit ( The operation of electrically driven devices such as 400), imaging unit 500, and monitoring unit 600 can be controlled.
한편, 제어부(700)는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연산함으로써, 맨홀(A) 내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700 can determine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manhole (A) by receiving the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300 and calculating it.
이때, 제어부(700)는 오염도측정센서(310)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고 맨홀(A) 내부의 오염도와 기준오염도를 비교하여,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맨홀 내에 위험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0)는 제2 알람부(420)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pollution level measurement sensor 310, compares the pollution level inside the manhole (A) with the standard pollution level, and determines that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within the manhole if the measured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pollution level. can do.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second alarm unit 420 to generate an alarm.
또한, 제어부(700)는 기준오염도를 복수개로 설정하여, 각 기준오염도 마다 제어조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오염도 및 제2 기준오염도를 설정하고(제1 기준오염도<제2 기준오염도), 측정 오염도가 제1 기준오염도 이상 제2 기준오염도 미만일 경우 제2 알람부(420)에서는 황색광 및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측정 오염도가 제2 기준오염도 이상일 경우 제2 알람부(420)에서 적색광 및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측정 오염도의 수치에 따라 제어 조건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작업자들에게 위험정도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can set a plurality of standard pollution levels and set different control conditions for each standard pollution level. For example, if the first standard pollution level and the second standard pollution level are set (the first standard pollution level < the second standard pollution level), and the measured pollution level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ndard pollution level and less than the second standard pollution level, the second alarm unit 420 Yellow light and sound can be output, and if the measured contamination level is higher than the second standard contamination level, red light and sound can be output from the second alarm unit 420. That is, the control unit 700 can easily convey the degree of risk to workers by setting different control conditions according to the measured contamination level.
또한, 제어부(700)는 제1 근접센서(321)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맨홀(A)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따라 슬라이딩부(125)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700)는 제1 근접센서(321)에서 감지된 맨홀(A)의 위치와 차체(100) 후미의 거리, 맨홀(A)의 위치를 감지한 경우의 제1 근접센서(321)의 감지각도에 따라 승강기(120)가 차체(100)의 후미로 이송되는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슬라이딩부(125)에 의해 승강기(120)가 차체(100) 후방으로 결정된 거리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manhole A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and determine the moving distance of the sliding unit 125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istance.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70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manhole (A)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the distance to the rear of the car body 100, and the position of the manhole (A),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 the distance at which the elevator 120 is transpor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00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angl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elevator 120 to slide to the rear of the car body 100 at a determined distance by using the sliding unit 125.
또한, 제어부(700)는 상기 결정된 거리로 슬라이딩부(126)가 이동한 후 승강기(120)를 직립하기 위해 회전부(124)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2 근접센서(322)의 감지 결과 직립된 승강기(120)의 위치가 맨홀(A)과 정렬되지 않으면 승강기(120)와 맨홀(A)을 정렬하기 위해 슬라이딩부(125)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700)는 제2 근접센서(322)에 감지 결과에 따라 승강기(120)의 위치에 맨홀(A)의 위치에 따라 승강기(120)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승강기(120)의 양측에 구비된 제2 근접센서(322)의 감지결과에 따라 승강기(120)를 차체(100) 측으로 이동할지 아니면 차체(100) 외측으로 이동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700)는 슬라이딩부(125)를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제2 근접센서(322)에 의해 승강기(120)가 맨홀(A)과 정렬되는지를 지속적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1 근접센서(321)로부터 감지된 맨홀(A)의 크기(직경)와 승강기(120)의 폭에 기초하여 슬라이딩부(1254)가 이동하는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rotating unit 124 to rotate to erect the elevator 120 after the sliding unit 126 moves to the 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if the position of the upright elevator 120 is not aligned with the manhole (A)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22, the control unit 700 uses a sliding unit ( 125) can be controlled to driv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120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manhole A at the location of the elevator 1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22. That is,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whether to move the elevator 120 toward the vehicle body 100 o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1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s 32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120. You ca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sliding unit 125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the elevator 120 is aligned with the manhole (A)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22 while slowly moving in the determined moving direction.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the distance that the sliding unit 1254 moves based on the size (diameter) of the manhole A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and the width of the elevator 120.
또한, 제어부(700)는 맨홀(A) 내부에서 제2 근접센서(322)에 감지 결과에 따라 맨홀(A)의 바닥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승강기(120)가 맨홀 내부로 하강하는 경우, 바닥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가 되면 승강기(12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제2 근접센서(322)의 감지결과에 따라 승강기(120)의 정렬과 하강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calculate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manhole (A)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22 inside the manhole (A). At this time, when the elevator 120 descends into the manhole,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elevator 120 to stop when the distance from the floor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That is,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both the alignment and descent of the elevator 1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322.
또한, 제어부(700)는 제1 근접센서(321)로부터 주변의 장애물이 감지되면, 회전부(124)에 의한 승강기 본체(121)의 회전 또는 모터와 연동되는 구동도르래(123a)와 와이어로프(123b)에 의한 승강기 본체(121)의 하강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슬라이딩부(125)의 이동 후에 회전부(124) 또는 승강기(120)의 승하강 중에 제1 근접센서(321)로부터 주변의 장애물이 감지되면, 회전부(124) 또는 승강기(120)의 승하강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맨홀 점검 차량(10)은 동작중인 승강기 본체(121)와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 (700)는 주변의 장애물이 제거되면 회전부(124) 또는 구동도르래(123a)의 동작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urrounding obstacle is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the control unit 700 rotates the elevator body 121 by the rotating unit 124 or the driving pulley 123a and the wire rope 123b linked to the motor. ) can be controlled to stop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body 121. That is, if a surrounding obstacle is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321 dur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rotating part 124 or the elevator 120 after the movement of the sliding part 125, the control unit 700 moves the rotating part 124 or the elevator ( 120) can be controlled to stop the raising and lowering. As a result, the manhole inspection vehicle 10 can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operating elevator body 121 and an obstacl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rotation unit 124 or the driving pulley 123a to resume operation when the surrounding obstacles are removed.
또한, 제어부(700)는 하중센서(330)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승강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측정된 하중값이 기준하중값 이상일 경우 승강기(120)에 과중량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여 승강기(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혹은 승강기(12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20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load sensor 330. For example, if the measured load value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load value,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elevator 120 is overloaded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20 or reduces the moving speed of the elevator 120. You can do it.
또한, 제어부(700)는 촬영부(5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작업자의 위치 및 작업자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작업자의 움직임이 정지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2 알람부(420)를 작동하여 1차 경고를 할 수 있으며, 1차 경고 이후에도 작업자의 움직임이 정지한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통신부(미도시)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는 제어부(700)의 명령에 따라, 한국전력공사 및 119 관제탑 등의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imaging unit 500 and determine the worker's location and the worker's movement state.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worker's movement has stopped, it can operate the second alarm unit 420 to issue a first warning, and even after the first warning, the worker's movement remains stopped. If a decision is made, a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Here,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communicate with external sources such as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nd the 119 control tower according to commands from the control unit 7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점검차량 100: 차체
110: 아우트리거 120: 승강기
121: 승강기 본체 122: 안전 가이드
123: 구동부 123a: 구동도르래
123b: 와이어로프 123c: 고정도르래
124: 회전부 125: 슬라이딩부
130: 준설부
140: 세척부 141: 노즐
150: 여과부 151: 저장탱크
152: 여과부재 200: 정화부
210: 연결부 220: 흡입팬
300: 센서부 310: 오염도측정센서
320: 근접센서 321: 제1 근접센서
322: 제2 근접센서 330: 하중센서
400: 알람부 410: 제1 알람부
411: 제1 조명부 412: 제1 소리출력부
420: 제2 알람부 421: 제2 조명부
422: 제2 소리출력부 500: 촬영부
600: 모니터링부 700: 제어부10: Inspection vehicle 100: Body
110: outrigger 120: elevator
121: Elevator body 122: Safety guide
123: driving unit 123a: driving pulley
123b: wire rope 123c: fixed pulley
124: rotating part 125: sliding part
130: Dredging department
140: Washing unit 141: Nozzle
150: filtration unit 151: storage tank
152: filtration member 200: purification unit
210: Connection 220: Suction fan
300: Sensor unit 310: Pollution measurement sensor
320: Proximity sensor 321: First proximity sensor
322: second proximity sensor 330: load sensor
400: Alarm unit 410: First alarm unit
411: first lighting unit 412: first sound output unit
420: second alarm unit 421: second lighting unit
422: Second sound output unit 500: Photographing unit
600: monitoring unit 700: control unit
Claims (5)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맨홀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가능한 승강기;
상기 맨홀 내부의 상태 및 상기 승강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기가 상기 맨홀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맨홀 내부로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승강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되는 도르래부;
상기 도르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기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차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 형태로 구비되는 안전 가이드; 및
상기 안전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안전 가이드를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승강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도르래부는,
상기 안전 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와 연동되는 구동도르래; 및
상기 승강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고정도르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구동도르래에 일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도르래에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체 후미에 설치되어 상기 맨홀의 위치 및 장애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근접센서; 및
상기 승강기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맨홀과의 정렬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센서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맨홀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 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거리로 상기 슬라이딩부가 이동한 후 상기 승강기가 직립되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 근접센서의 감지 결과 상기 직립된 승강기의 위치가 상기 맨홀과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승강기가 상기 맨홀과 정렬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를 구동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 후에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승강기의 승하강 중에 상기 제1 근접센서로부터 주변의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승강기의 승하강을 정지시키고, 상기 장애물이 제거되면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승강기의 승하강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맨홀 점검차량.car body;
An elevator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nd capable of moving inside or outside a manhole;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condition of the inside of the manhole and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vator to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manhole and then descend into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nd
It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moves the elevator,
The driving unit,
motor;
A pulley unit interlocked with the motor;
It includes a wire rope connected to the pulley unit and moving the elevator while moving along the pulley unit,
The elevator is
a sliding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body and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rotating part rotat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part;
A safety guid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and
It includes an elevator body mounted on the safety guide and vertically rising and falling along the safety guid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The pulley part is,
A driving pulle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afety guide and interlocked with the motor; and
It includes a fixed pulley mounted on one side of the elevator body,
One end of the wire rope is fixed to the driving pulle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xed pulley,
The sensor unit,
A first proximity sens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to detect the location of the manhole and whether an obstacle is approaching;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elevator and detects alignment with the manhole.
The control unit,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manhol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and determine the moving distance of the sliding par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istance,
After the sliding part moves to the determined distance,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so that the elevator is upright, and if the position of the upright elevator is not aligned with the manhole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the elevator is aligned with the manhole. Driving the sliding part,
If a surrounding obstacle is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dur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rotating unit or the elevator after moving the sliding unit,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rotating unit or the elevator is stopped, and when the obstacle is removed, the rotating unit or the elevator is stopped.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that controls the resumption of ascending and descending.
상기 센서부가 상기 승강기의 부근에 장애물을 감지하면 알람하는 제1 알람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오염도가 기준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2 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맨홀 점검차량.According to claim 1,
a first alarm unit that alarms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an obstacle in the vicinity of the elevator; and
a second alarm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when the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exceeds the standard pollution level;
A manhole inspection vehicle further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5830A KR102629130B1 (en) | 2023-07-03 | 2023-07-03 | Inspection vehicle in manh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5830A KR102629130B1 (en) | 2023-07-03 | 2023-07-03 | Inspection vehicle in manho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9130B1 true KR102629130B1 (en) | 2024-01-25 |
Family
ID=8972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5830A Active KR102629130B1 (en) | 2023-07-03 | 2023-07-03 | Inspection vehicle in manh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913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4521B1 (en) * | 2024-09-23 | 2024-11-26 | (주)드림엔지니어링 | Apparatus for inspecting water supply and sewage pipe manhole faciliti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96371A (en) * | 1984-03-24 | 1987-09-29 | Alfons Moog | Bridge bottom inspection apparatus |
KR102228678B1 (en) * | 2020-11-18 | 2021-03-15 | 노오순 | Temporary gondola device |
KR102452846B1 (en) * | 2022-05-26 | 2022-10-11 | 주식회사 코아스 | Inspection vehicle for worker safety in manhole |
-
2023
- 2023-07-03 KR KR1020230085830A patent/KR1026291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96371A (en) * | 1984-03-24 | 1987-09-29 | Alfons Moog | Bridge bottom inspection apparatus |
KR102228678B1 (en) * | 2020-11-18 | 2021-03-15 | 노오순 | Temporary gondola device |
KR102452846B1 (en) * | 2022-05-26 | 2022-10-11 | 주식회사 코아스 | Inspection vehicle for worker safety in manho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4521B1 (en) * | 2024-09-23 | 2024-11-26 | (주)드림엔지니어링 | Apparatus for inspecting water supply and sewage pipe manhole faciliti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29130B1 (en) | Inspection vehicle in manhole | |
KR102163322B1 (en) | Harmful gas sensing and ventilating system for manhole | |
KR101884324B1 (en) | Auxiliary device for voice guidance of crosswalk | |
US8256581B2 (en) | Landing door proximity warning system | |
KR102517980B1 (en) | Safety management system in confined space | |
KR102452846B1 (en) | Inspection vehicle for worker safety in manhole | |
KR102100411B1 (en) | Using image monitoring system, such as emergency call button and fire detection sensor and park display | |
KR100799317B1 (en) | Vehicle platform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 |
KR101638845B1 (en) | Safety alert and slow down stop control system comprising active RFID tag for FOR heavy equipment of industry and construction | |
JP2023078778A (en) | Passenger conveyor system, passenger conveyor, and movable body used therefor | |
CN113971866B (en) | Tunnel water and mud bursting disaster linkage alarm and intelligent personnel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 |
CN105987741A (en) | Culvert water level alarm system and method | |
KR20130104393A (en) | Alam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high place operation car | |
KR100863459B1 (en) | Tunnel Safety Management Device | |
KR102165103B1 (en) | Safety accident protection system for conveyor belt | |
CN210667113U (en) | A spill material monitoring alarm device for vertical shaft promotes | |
KR102243886B1 (en) | Smart Parking Guidance and Location with Air Quality Control Complex System | |
JP2003246576A (en) | Moving walk device control system and moving walk device | |
CN207750103U (en) | A kind of detection prior-warning device of tunnel locomotive safe operation | |
CN218984812U (en) | Colliery is drainage channel detection robot in pit | |
JPH11199151A (en) | Approach warning device for car and counterweight of adjacent elevator | |
KR101215862B1 (en) | Submergence detecting system for elevator | |
JP2000344461A (en) | Danger display / monitoring device under suspended load in shaft | |
CN207161138U (en) | A kind of inclined shaft pedestrian mine hoist safety block sytem | |
CN112390124A (en) | Mining lift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7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