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7695B1 -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695B1
KR102627695B1 KR1020227021061A KR20227021061A KR102627695B1 KR 102627695 B1 KR102627695 B1 KR 102627695B1 KR 1020227021061 A KR1020227021061 A KR 1020227021061A KR 20227021061 A KR20227021061 A KR 20227021061A KR 102627695 B1 KR102627695 B1 KR 10262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area
display
pixel circuit
subpix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8036A (ko
Inventor
미아오 창
루 장
진팡 장
지 쑤
촨지 쑤
Original Assignee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9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01L27/12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classe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classe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01L27/156
    • H01L33/36
    • H01L33/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2Encapsulations
    • H10H20/853Encapsulation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4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 H10H29/142Two-dimensional arrangements, e.g. asymmetric LED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은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각각 복수의 서브 픽셀이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기판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과 일일이 대응하는 픽셀 회로가 마련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마련된다.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복수의 신호 라인이 더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동일한 상기 신호 라인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 라인이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본 출원은 2019년 11월 21일에 제출되고, 출원 번호가 201922027980.5이며, 발명의 명칭이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인용 방식을 통해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스크린 차지 비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자 장치의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관련 업계에서 점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 예를 들어,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등은, 프론트 카메라, 이어피스(earpiece) 및 적외선 센싱 소자 등을 집적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노치를 형성하여, 노치 영역에 카메라, 이어피스 및 적외선 센싱 소자 등을 마련할 수 있으나, 노치 영역은 화면을 표시할 수 없다. 스크린은 노치 모양을 포함하거나, 스크린에 구멍을 내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외부 광선은 스크린의 펀칭 홀을 통해 스크린 하방의 감광 소자에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장치는 모두 진정한 의미의 풀 스크린이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영역에서 화면을 표시할 수 없듯이 전체 스크린의 각 영역에서 모두 디스플레이 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접하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는 각각 복수의 서브 픽셀이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는 복수의 상기 서브 픽셀과 일일이 대응하는 픽셀 회로가 마련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마련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마련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복수의 신호 라인이 더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동일한 상기 신호 라인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 라인이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 및 캡슐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화 구조는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커버하지 않고, 또는,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바,
컴포넌트 영역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커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컴포넌트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컴포넌트 영역에는 전자 소자가 마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이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므로, 이어피스, 감광 소자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하방에 마련할 수 있고, 감광 소자의 정상 작업을 확보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기판의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마련되므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구조 복잡도를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 광선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과할 때 생성되는 회절 효과의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 라인이 연결되는 픽셀 회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를 포함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가 동일한 신호 라인에 의해 구동되므로, 디스플레이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배선 복잡도를 낮출 수 있고, 동시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보다 일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경험의 향상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조감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서브 픽셀이 배열되는 국부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 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중 픽셀 회로 및 데이터 라인이 배열되는 국부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전극의 기판 상에서의 투영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전극의 기판 상에서의 다른 투영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전극의 기판 상에서의 또 다른 투영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의 조감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수행한다. 자명할 것은,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는 노치 영역이 마련되고, 이어피스, 카메라 및 적외선 센싱 소자 등 감광 소자는 노치 영역에 배열되며, 외부 광선은 노치 영역을 통해 감광 소자로 진입한다. 그러나 노치 영역은 디스플레이될 수 없으므로 전자 장치의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없다.
전자 장치의 일부 스크린 위치에 투명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감광 소자를 투명 스크린 하방에 마련함으로써, 감광 소자의 정상적인 작업을 확보하는 동시에 전자 장치의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비투명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구동 방식은 능동 구동이고, 투명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구동 방식은 수동 구동이며, 스크린 바디는 두가지 구동 방안이 필요하므로, 이는 풀 스크린 구동의 복잡도를 대폭 증가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충돌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 및 실시방식의 특징은 서로 보충되거나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조감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서브 픽셀이 배열되는 국부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중 픽셀 회로 및 데이터 라인이 배열되는 국부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전극의 기판 상에서의 투영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전극의 기판 상에서의 다른 투영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전극의 기판 상에서의 또 다른 투영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의 조감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0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을 포함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에 인접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투광율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의 투광율보다 크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투광율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투광율보다 크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에는 각각 복수의 서브 픽셀(11, 21, 31)이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00)에는 복수의 상기 서브 픽셀(11, 21, 31)과 일일이 대응하는 픽셀 회로(12, 22, 32)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11)이 마련되고, 복수의 서브 픽셀(11)은 복수의 픽셀 회로(12)와 일일이 대응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21)이 마련되고, 복수의 서브 픽셀(21)은 복수의 픽셀 회로(22)와 일일이 대응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31)이 마련되고, 복수의 서브 픽셀(31)은 복수의 픽셀 회로(32)와 일일이 대응된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에 마련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내의 서브 픽셀(2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22)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에 마련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 내의 서브 픽셀(3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32)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에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복수의 신호 라인(40)이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동일한 상기 신호 라인(40)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 라인(40)이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의 서브 픽셀(2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22),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서브 픽셀(3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32)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판(10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투광율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의 투광율보다 크고,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투광율이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투광율보다 크므로, 감광 소자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하방에 마련하여, 감광 소자의 정상적인 작업을 확보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기판(100)의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확보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 내에 마련되므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투광율을 향상시키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구조 복잡도를 낮춤으로써, 외부 광선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을 통과 시 생성되는 회절 효과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 라인(40)이 연결되는 픽셀 회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의 서브 픽셀(2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22)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서브 픽셀(3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32)를 포함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동일한 신호 라인을 통해 구동되어, 디스플레이 기판(10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배선 복잡도를 낮출 수 있고, 동시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디스플레이 효과가 보다 일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경험 향상에 유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서브 픽셀(11)은 배선(13)을 통해 대응하는 픽셀 회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픽셀(11)은 제1 전극,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 및 발광 구조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서브 픽셀의 제1 전극은 배선(13)을 통해 대응하는 픽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전극은 양극일 수 있고, 제2 전극은 음극일 수 있으며, 복수의 서브 픽셀(11)의 제1 전극은 하나로 연결된 표면전극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동일한 상기 신호 라인(40)에 연결되고, 여기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은 대략적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은 제1 방향에서의 중심축선과 중첩될 수 있고, 일정한 거리로 이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각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에 연결되는 신호 라인(40)에는 모두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내의 서브 픽셀(12)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2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 내의 서브 픽셀(3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32)가 연결된다. 따라서, 최대한 신호 라인(40)의 배선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전반적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경계는 모두 직선형 경계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경계 또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경계가 비직선형 경계, 예를 들어, 호형 경계일 경우, 이로 인해 경계에 인접한 픽셀 유닛에 특정 컬러의 픽셀이 결핍되어, 경계 위치에 단일 컬러 광밴드가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의 향상에 도움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은 대향하는 제1 변(101)과 제2 변(1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101)은 상기 제2 변(102)과 평행되며, 모두 제1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은 대향하는 제3 변(201)과 상기 제3 변(201)과 대향하는 제4 변(202)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변(201)은 상기 제4변(202)과 평행되며, 모두 제1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제1 변(101)과 상기 제3 변(201)은 동일한 직선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열로, 신호 라인(4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을 우회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양측에 위치하는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에 연결될 필요가 없어 신호 라인(40)의 배선 복잡도를 간략화할 수 있다. .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영역(301), 제2 영역(302) 및 제3 영역(30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301)과 상기 제3 영역(303)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양 측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영역(202)과 상기 제2 변(102)은 인접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02)는 상기 제1 영역(301)과 상기 제3 영역(303)에 마련된다. 상기 제1 영역(301), 상기 제2 영역(302) 및 상기 제3 영역(303)에는 모두 서브 픽셀(31) 및 당해 서브 픽셀(31)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32)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301)에는 서브 픽셀(31), 제1 영역(301) 내의 서브 픽셀(31)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32) 및 서브 픽셀(11)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12)가 마련되고, 제2 영역(302)에는 서브 픽셀(31), 제2 영역(302) 내의 서브 픽셀(31)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32)가 마련되며, 제3 영역(303)에는 서브 픽셀(31), 제3 영역(303) 내의 서브 픽셀(31)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32) 및 서브 픽셀(11)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12)가 마련된다. .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는 제1 영역(301) 및 제3 영역(303)에 마련되어, 픽셀(11)과 대응하는 픽셀 회로(12) 사이의 배선(130)의 복잡도를 낮추는 데 도움된다. 또한, 제1 방향에서 이격되게 배열된 서브 픽셀(11), 서브 픽셀(21) 및 서브 픽셀(31) 중, 각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동일한 신호 라인(40)에 연결되어, 신호 라인이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을 지날 경우, 제2 영역(302)으로부터 지나가야 하며, 제1 영역(301) 또는 제3 영역(303)까지 연장되고, 신호 라인(40)은 제2 영역(302)에서의 연장 방향의 변경을 실현하여, 제1 영역(301) 및 제3 영역(303) 중 배선의 복잡도의 간략화에 유리함으로써, 제1 영역(301)과 제3 영역(303)은 더 많은 공간을 구비하여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를 마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상기 제1 영역(301)에 인접한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는 상기 제1 영역(301)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상기 제3 영역(303)에 인접한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는 상기 제3 영역(303)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제1 영역(301)에 인접한 서브 픽셀과 제1 영역(301) 사이의 거리는 제3 영역(303)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제3 영역(303)에 인접한 서브 픽셀과 제3 영역(303) 사이의 거리는 제1 영역(301)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이러한 배열로, 서브 픽셀(11)과 대응하는 픽셀 회로(13) 사이의 배선의 길이가 비교적 짧도록 할 수 있어, 회로의 복잡도 간략화에 도움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영역(301)의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비례 범위는 1/5 내지 1/2이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영역(301)의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는 d1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는 d2이며, 이때, d1과 d2의 비례 범위는 1/5 보다 크거나 같고, 1/2 보다 작거나 같다. 이러한 배열로, 제1 영역(301)의 공간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제1 영역(301)에 인접한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의 배열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영역(301)이 비교적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3 영역(303)의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비례 범위는 1/5 내지 1/2이다. 제3 영역(303)의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는 d3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는 d2이며, 이때, d3과 d2의 비례 범위는 1/5 보다 크거나 같고 1/2 보다 자거나 같다. 이러한 배열로, 제3 영역(303)의 공간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제3 영역(303)에 인접한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의 배열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제3 영역(303)이 비교적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2 영역(302)의 제1 방향에서의 사이즈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비례 범위는 1/20 내지 1/5이다. 제2 영역(302)의 제1 방향에서의 사이즈는 d4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는 d2이며, 이때, d4와 d2의 비례 범위는 1/20 보다 크기가 같고, 1/5 보다 작거나 같다. 이러한 배열로, 제2 영역(302)의 공간이 신호 라인(40)의 방향 변화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2 영역(302)이 비교적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방향은 컬럼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로우 방향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방향은 로우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컬럼 방향일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방향이 컬럼 방향이고, 제2 방향이 로우 방향인 경우만을 예시로 도시하였으며, 기타 경우는 따로 도시하지 않았다.
선택 가능하게,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투광율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의 투광율보다 크다. 이러한 배열로, 디스플레이 기판(100)의 디스플레이 밝기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으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까지 점차적으로 천이되도록 하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 내의 서브 픽셀(31)의 밀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내의 서브 픽셀(21)의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서브 픽셀(11)의 밀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내의 서브 픽셀(21)의 밀도보다 작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서브 픽셀(11)의 밀도와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 내의 서브 픽셀(31)의 밀도는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로,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 내의 서브 픽셀(3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32)의 수는 비교적 작아,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내의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를 마련하기 위한 여유 공간이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신호 라인(40)은 데이터 라인을 포함한다. 데이터 라인은 픽셀 회로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1 타입의 데이터 라인(41), 제2 타입의 데이터 라인(42) 및 제3 타입의 데이터 라인(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의 데이터 라인(41)과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서브 픽셀(1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12),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의 서브 픽셀(2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22)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서브 픽셀(3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32)이고, 상기 제2 타입의 데이터 라인(42)과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의 서브 픽셀(2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22)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의 서브 픽셀(3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32)이며, 상기 제3 타입의 데이터 라인(43)과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의 서브 픽셀(21)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22)이다. 세 가지 타입의 데이터 라인의 설정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가 동일한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데이터 라인의 배선의 복잡도 간략화에 도움되고, 서브 픽셀의 제어를 간략화한다.
선택 가능하게, 신호 라인(40)은 스캔 라인 등일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00)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픽셀(11, 21, 31)은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에 위치하는 서브 픽셀(11)의 제1 전극은 하나 이상의 전극 블록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극(111)의 두 개 또는 복수의 전극 블록(103)에서, 인접한 두 상기 전극 블록(103)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극(111)은 연결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인접한 두 전극 블록(103)은 대응하는 연결부(10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 구조는 상기 전극 블록(103)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블록(103)의 상기 기판 상에서의 투영은 하나의 제1 그래픽 유닛 또는 복수의 제1 그래픽 유닛이다. 상기 제1 그래픽 유닛은 원형, 타원형, 아령형, 조롱박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극(111)은 4개의 전극 블록(103)을 포함하고, 전극 블록(103)의 기판 상에서의 투영은 하나의 제1 그래픽 유닛으로 구성되며, 제1 그래픽 유닛은 원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극(111)은 4개의 전극 블록(103)을 포함하고, 전극 블록(103)의 기판 상에서의 투영은 하나의 제1 그래픽 유닛으로 구성되며, 제1 그래픽 유닛은 아령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극(111)은 4개의 전극 블록(103)을 포함하고, 전극 블록(103)의 기판 상에서의 투형은 하나의 제1 그래픽 유닛으로 구성되며, 제1 그래픽 유닛은 타원형이다. 제1 그래픽 유닛이 원형, 타원형, 아령형 및 조롱박형일 경우, 상기 형상은 회절로 인해 발생된 주기적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는 바, 즉, 회절장(diffraction field)의 분포를 변경시켜 외부 입사광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을 통과할 때 발생된 회절 효과를 감소시킨다. 또한, 제1 그래픽 유닛이 원형, 타원형, 아령형 및 조롱박형일 경우, 인접한 서브 픽셀의 제1 전극 사이의 거리는 연속적으로 변화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변화됨으로써, 인접한 서브 픽셀의 제1 전극에서 회절이 발생되는 위치가 다르도록 하고, 상이한 위치의 회절 효과가 서로 상쇄되어, 회절 효과의 감소에 도움되며,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하방에 마련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가 비교적 높은 해상도를 가지도록 확보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발광 구조 블록의 상기 기판 상에서의 투영은 하나의 제2 그래픽 유닛 또는 복수의 제2 그래픽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래픽 유닛은 원형, 타원형, 아령형, 조롱박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한다. 제2 그래픽 유닛이 원형, 타원형, 아령형 및 조롱박형일 경우, 상기 형상은 회절로 인해 발생된 주기적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는 바, 즉, 회절장의 분포를 변경시켜 외부 입사광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을 통과할 때 발생된 회절 효과를 감소시킨다. 또한, 제2 그래픽 유닛이 원형, 타원형, 아령형 및 조롱박형일 경우, 인접한 서브 픽셀의 발광 구조 사이의 거리는 연속적으로 변화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변화되어, 인접한 서브 픽셀의 발광 구조에서 회절이 발생되는 위치가 다르도록 하고, 상이한 위치의 회절 효과가 서로 상쇄됨으로써, 효과적으로 회절 효과를 낮출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하방에 마련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가 비교적 높은 해상도를 가지도록 확보한다.
선택 가능하게, 전극 블록의 기판 상에서의 투영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유닛, 및 전극 블록 상의 발광 구조 블록의 기판 상에서의 투영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유닛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그래픽 유닛과 제2 그래픽 유닛이 다를 경우, 전극 블록의 기판 상에서의 투영과 발광 구조 블록의 기판 상에서의 투영은 상이하며, 광선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회절 효과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연결부(104)와 전극 블록(103)의 재료는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인듐 아연 산화물, 또는 은으로 도핑된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은으로 도핑된 인듐 아연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연결부(104)와 전극 블록(103)의 투광율이 비교적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104)와 전극 블록(103)의 재료가 은으로 도핑된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은으로 도핑된 인듐 아연 산화물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높은 투광율을 확보하는 기초 상에, 연결부 및 전극 블록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2 전극은 두께가 비교적 얇고, 일정한 투명도를 구비한 박막층(thin film)일 수 있고, 제2 전극의 재료는 마그네슘 은, 또는 은, 또는 알루미늄, 또는 몰리브덴, 또는 티타늄 질화물, 또는 니켈, 또는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티타늄 산화물일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네슘 은은 금속 마그네슘과 금속 은을 포함하는 혼합 재료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임의의 디스플레이 기판 및 캡슐화 구조를 포함한다. 캡슐화 구조는 디스플레이 기판(100)이 기판을 등진 일 측에 위치한다.
상기 캡슐화 구조는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을 커버하며,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은 커버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0)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30)을 커버한다. 편광판은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반사광을 소산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에 편광판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의 투광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캡슐화 구조는 캡슐화층, 유리 커버 플레이트, 터치 컨트롤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슐화층은 박막 캡슐화층 또는 유리가루 캡슐화층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310)은 컴포넌트 영역(320)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우징(310)을 커버한다. 컴포넌트 영역(32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 하방에 위치하고, 컴포넌트 영역(320)에는 전자 소자(330)가 마련된다.
전자 소자는 이어피스, 광학 소자, 거리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광학 소자는 프론트 카메라, 적외선 센서, 적외선 렌즈, 플러드 센싱 소자, 환경광 센서 및 격자 투영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소자 영여은 노치 영역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노치 영역에 대응되게 부착되게 마련되어, 광학 소자가 당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0)을 투과하여 발사 또는 광선 수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팜톱 컴퓨터 등 디지털 장치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면에서, 도시의 명확도를 위해, 층 및 영역의 사이즈를 확대했을 수 있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상"으로 칭될 경우, 직접 기타 소자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중간층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하"로 칭할 경우, 이는 직접 기타 소자 하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층 또는 소자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층 또는 소자가 두 층 또는 두 소자 "사이"로 칭될 시, 이는 두 층 또는 두 소자 사이의 유일한 층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층 또는 소자가 존재할 수도 있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소자를 나타낸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기판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는 각각 복수의 서브 픽셀이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에는 복수의 상기 서브 픽셀과 일일이 대응하는 픽셀 회로가 마련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마련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마련되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복수의 신호 라인이 더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동일한 상기 신호 라인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 라인이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반적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대향하는 제1 변과 제2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은 상기 제2 변과 평행되며, 모두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3 변과 상기 제3 변과 대향하는 제4 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변은 상기 제4변과 평행되며, 모두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3 변은 동일한 직선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양 측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변은 인접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는 모두 서브 픽셀 및 당해 서브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 회로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1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제3 영역에 인접한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3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제1 영역의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비례 범위가 1/5 내지 1/2인 것;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사이즈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비례 범위가 1/20 내지 1/5인 것; 및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사이즈의 비례 범위가 1/5 내지 1/2 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되,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를 연결하는 상기 신호 라인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연장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은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라인은 제1 타입의 데이터 라인, 제2 타입의 데이터 라인 및 제3 타입의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이고,
    상기 제2 타입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이며,
    상기 제3 타입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는 픽셀 회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서브 픽셀의 밀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서브 픽셀의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서브 픽셀의 밀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서브 픽셀의 밀도보다 작으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 중 서브 픽셀의 밀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중 서브 픽셀의 밀도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픽셀은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하는 서브 픽셀은,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 및 상기 발광 구조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하나 이상의 전극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이 복수의 전극 블록을 포함할 시, 인접한 두 상기 전극 블록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광 구조는 상기 전극 블록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블록의 상기 기판 상에서의 투영은 하나의 제1 그래픽 유닛 또는 복수의 제1 그래픽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래픽 유닛은 원형, 타원형, 아령형, 조롱박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구조의 상기 기판 상에서의 투영은 하나의 제2 그래픽 유닛 또는 복수의 제2 그래픽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래픽 유닛은 원형, 타원형, 아령형, 조롱박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9.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 및 캡슐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화 구조는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커버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27021061A 2019-11-21 2020-04-21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627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2027980.5 2019-11-21
CN201922027980.5U CN210515985U (zh) 2019-11-21 2019-11-21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PCT/CN2020/085884 WO2021098137A1 (zh) 2019-11-21 2020-04-21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036A KR20220098036A (ko) 2022-07-08
KR102627695B1 true KR102627695B1 (ko) 2024-01-23

Family

ID=7057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061A Active KR102627695B1 (ko) 2019-11-21 2020-04-21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113093B2 (ko)
EP (1) EP4064360A4 (ko)
KR (1) KR102627695B1 (ko)
CN (1) CN210515985U (ko)
WO (1) WO2021098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572A (ko) 2019-12-24 2021-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1430436B (zh) * 2020-04-17 2022-09-3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833738B (zh) * 2020-05-27 2022-05-1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508377A (zh) * 2020-05-29 2020-08-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2283649B2 (en) 2020-06-08 2025-04-22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1477676A (zh) 2020-06-08 2020-07-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7631388A (zh) * 2020-06-19 2024-03-0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1883565B (zh) * 2020-06-30 2022-07-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833808B (zh) * 2020-06-30 2021-07-0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装置及显示装置
CN111834425B (zh) * 2020-07-02 2023-05-23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863896B (zh) * 2020-07-17 2024-09-1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显示屏、终端及显示方法
CN111785761B (zh) * 2020-07-20 2022-07-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916486B (zh) 2020-08-27 2024-01-3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969027B (zh) * 2020-08-28 2023-07-25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2071886B (zh) * 2020-09-17 2022-09-20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331703B (zh) * 2020-09-24 2022-09-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151592B (zh) 2020-09-30 2022-10-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440785A (zh) * 2020-09-30 2022-12-0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50090385A (ko) 2020-09-30 2025-06-19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4373785A (zh) * 2020-10-14 2022-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4371555A (zh) * 2020-10-14 2022-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穿戴式电子设备
CN114447031A (zh) * 2020-10-30 2022-05-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US11990079B2 (en) * 2020-11-13 2024-05-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4566522A (zh) * 2020-11-27 2022-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以及显示装置
KR20220095400A (ko) * 2020-12-29 2022-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N112838115A (zh) * 2021-01-25 2021-05-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和电子设备
CN112951152B (zh) * 2021-02-10 2023-06-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WO2022226834A1 (zh) * 2021-04-28 2022-11-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3161407B (zh) * 2021-04-28 2024-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13281941B (zh) * 2021-04-29 2022-07-1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3517324B (zh) * 2021-05-25 2025-0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16897607A (zh) * 2021-05-31 2023-10-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以及显示装置
CN113299219A (zh) * 2021-06-01 2021-08-2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3299201B (zh) * 2021-06-24 2025-04-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3539175B (zh) * 2021-07-23 2022-10-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764488B (zh) 2021-08-31 2023-02-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30049190A (ko) * 2021-10-05 2023-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067696B (zh) * 2021-11-04 2023-02-28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设备
US12272317B2 (en) 2022-04-22 2025-04-08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2023181785A (ja) * 2022-06-13 2023-12-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5768198B (zh) * 2022-11-10 2024-09-0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953968A (zh) * 2022-12-01 2023-04-1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265332U (zh) * 2019-01-31 2019-08-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和电子设备
CN110288945A (zh) * 2019-06-28 2019-09-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051B1 (ko) * 2017-09-06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73443B1 (ko) * 2017-09-14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461521A (zh) * 2017-09-30 2018-08-2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CN108389879B (zh) 2017-09-30 2021-06-1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以及电子设备
CN108269840B (zh) * 2017-09-30 2021-08-1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US11201307B2 (en) * 2018-04-17 2021-12-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619813B (zh) * 2018-06-20 2021-05-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其驱动方法、显示装置及高精度金属掩模版
CN208507679U (zh) * 2018-06-29 2019-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及高精度金属掩模板
US10707281B2 (en) * 2018-08-10 2020-07-07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CN109188809B (zh) * 2018-09-30 2021-09-1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047967B (zh) * 2018-10-11 2022-0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43634B1 (ko) * 2018-12-04 2024-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CN109585519B (zh) 2018-12-19 2020-11-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767107B (zh) * 2018-12-28 2023-03-2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oled阵列基板
CN110767698B (zh) * 2018-12-28 2023-08-0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oled阵列基板
CN114694524B (zh) * 2018-12-29 2023-08-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智能终端
US11171180B2 (en) * 2019-01-04 2021-11-0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0764362B (zh) * 2019-01-31 2020-12-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掩膜条、阵列基板、显示屏及显示装置
CN110767157B (zh) * 2019-01-31 2020-11-0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oled阵列基板
CN109950288B (zh) * 2019-03-29 2021-05-2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962092B (zh) * 2019-03-29 2021-09-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767139B (zh) * 2019-03-29 2020-12-1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180483B (zh) * 2019-04-04 2021-02-2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Oled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767159A (zh) * 2019-04-04 2020-02-0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装置和显示设备
US11183544B2 (en) * 2019-06-25 2021-11-2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0444125B (zh) * 2019-06-25 2022-03-08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屏、终端
CN110297365A (zh) * 2019-06-27 2019-10-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210052743U (zh) * 2019-06-28 2020-02-1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189706B (zh) * 2019-06-28 2021-06-2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189639B (zh) 2019-06-28 2020-12-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289296B (zh) * 2019-06-28 2022-03-2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210245501U (zh) * 2019-07-03 2020-04-0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1011375A1 (en) * 2019-07-12 2021-01-2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Retrofit remote control device mounting assembly
CN210120136U (zh) * 2019-07-31 2020-02-2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
CN210575958U (zh) * 2019-08-02 2020-05-1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444570B (zh) * 2019-08-09 2021-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电子装置
CN110504289B (zh) * 2019-08-27 2022-08-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379356B (zh) * 2019-08-29 2022-04-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10120138U (zh) * 2019-08-30 2020-02-2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542484B (zh) * 2019-09-20 2024-12-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及电子设备
CN114913814B (zh) * 2019-09-29 2023-06-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显示驱动装置和电子设备
CN113764491B (zh) * 2019-09-29 2023-12-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783385B (zh) * 2019-10-21 2020-11-0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723321B1 (ko) * 2019-10-23 2024-10-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326560B (zh) * 2020-01-23 2023-08-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1402743A (zh) * 2020-03-24 2020-07-1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7576938B2 (ja) * 2020-07-22 2024-11-01 武漢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
KR102812390B1 (ko) * 2020-08-26 2025-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1916486B (zh) * 2020-08-27 2024-01-3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31796A (ko) * 2020-09-03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50090385A (ko) * 2020-09-30 2025-06-19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2151592B (zh) * 2020-09-30 2022-10-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70135A (ko) * 2020-11-20 2022-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763817A (zh) * 2021-09-07 2021-12-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显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265332U (zh) * 2019-01-31 2019-08-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和电子设备
CN110288945A (zh) * 2019-06-28 2019-09-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036A (ko) 2022-07-08
EP4064360A4 (en) 2023-01-11
US12113093B2 (en) 2024-10-08
CN210515985U (zh) 2020-05-12
EP4064360A1 (en) 2022-09-28
WO2021098137A1 (zh) 2021-05-27
US20220093682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695B1 (ko)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6540B1 (ko) 디스플레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335744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11335284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844263B2 (en) Display panel having one display region surrounding another displayer regio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7280979B2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11180490B (zh) 显示屏及电子装置
CN107731101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4299827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767681B (zh) 显示屏及显示终端
CN112130371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5347033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402743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387281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enabling full screen display with transparent and non-transparent display areas
WO2020087799A1 (zh) 显示屏及显示终端
US20220158117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04965338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618557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227910B2 (en) Display panel, display screen, and display terminal
CN108376523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290153A (zh) 显示屏及显示装置
CN112820767A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0783481A (zh) 显示面板、显示屏及显示装置
CN113299720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767167B (zh) 显示屏及显示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