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425B1 -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 Google Patents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7425B1 KR102627425B1 KR1020210128694A KR20210128694A KR102627425B1 KR 102627425 B1 KR102627425 B1 KR 102627425B1 KR 1020210128694 A KR1020210128694 A KR 1020210128694A KR 20210128694 A KR20210128694 A KR 20210128694A KR 102627425 B1 KR102627425 B1 KR 102627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al
- examination
- examiner
- booth
- camer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08000025157 Or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3
- 208000030194 mouth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3
- 208000028169 periodo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8909 Bored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74 Maloccl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65 gingiv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245 periodo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88—Cab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비대면으로 공공기관 및 단체(기업, 학교, 어린이집, 병의원 등)에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소속원 및 고객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몸체, 몸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진자 보호부, 몸체와 검진자 보호부를 고정하는 상단 결합부 및 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이동시키는 부스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구현한다.A non-face-to-face oral examination booth in public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companies, schools, daycare centers, hospitals, clinics, etc.) that allows members and customers to easily perform self-oral examinations and optimally manage their oral health. This relates to photographing the mouth of the oral examiner, mapping the oral image of the oral examiner and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 a body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an examiner protection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to prevent the oral examine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 upper joint that secures the body and the examinee protection part, and a part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It is formed to be movable and includes a booth moving part that moves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thereby implementing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대면으로 공공기관 및 단체(기업, 학교, 어린이집, 병의원 등)에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소속원 및 고객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nd more specifically, through an oral examination booth in public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companies, schools, daycare centers, hospitals, clinics, etc.) in a non-face-to-face manner, members and customers can easily perform self-oral examination. This is about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that allows optimal oral health care.
구강 질환은 적절한 예방 치료 및 꾸준한 관리를 통해서 높은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많은 구강 질환 환자들은 구강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의사에게 진단을 받거나 치료를 의뢰하지 않는 등 아직까지는 구강 예방에 대해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Although oral disease can have a high preventive effect through appropriate preventive treatment and consistent management, many oral disease patients do not receive a diagnosis or request treatment from a doctor unless an oral health problem occurs, so they are still unaware of oral prevention. This is lacking.
구강질환은 기타 질병과는 다르게 그 예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스케일링과 같은 간단한 시술로도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부정교합이 예측되는 어린이에게 간단한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면 성장기 이후 교정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어 구강건강관리뿐 아니라 비용적 편익도 매 큰 것을 알 수 있다.Unlike other diseases, prevention of oral disease is very important, and periodontal disease can be prevented with simple procedures such as scaling. If simple preventive treatment is performed on children who are expected to have malocclusion, they will not need orthodontic treatment after the growth period.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oral health care but also cost-benefit is significant.
환자의 현재 구강 상태를 예측함에 있어 치과 의사나 치위생사의 주관적 견해가 아닌, 정확한 검사 및 진단 결과와 그에 따른 객관적 수치 정보가 필요하지만 구강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산출하는 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이다.In predicting a patient's current oral condition, accurate examination and diagnosis results and corresponding objective numerical information are needed, rather than the subjective opinion of a dentist or dental hygienist, but there is no system that objectively calculates the oral health status.
구강의 2대 질환은 충치(치아우식), 치주질환을 의미한다. 특히, 치주염과 치은염을 의미하는 치주질환은 초기에는 동통도 없고 만성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발견이 늦어져, 치주질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The two major diseases of the oral cavity are cavities (tooth decay) and periodontal disease. In particular, periodontal disease, which refers to periodontitis and gingivitis, is painless in the beginning and progresses chronically, so detection is delayed, making it very difficult to prevent periodontal disease in advance.
따라서 이러한 구강 질환의 상태를 사전에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강건강 증진 및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 및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various methods are being researched and proposed to diagnose the condition of such oral diseases in advance, and to improve oral health and prevent oral diseases based on this, and the previously proposed technology based on these studies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to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 1> 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치주질환 및 목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건 정보와 사용자의 가맹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정보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구강 관리 용품 가맹점으로부터 구강 관리 용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후, 사용자의 조건 정보 및 치료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특정 구강 관리 용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 receives user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gender, age, periodontal disease, and goal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eatment information at the user's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oral care products is received from oral care product franchises. Thereafter, information on specific oral care products included in a specific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ndition information and treatm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user-customized oral care service.
또한, <특허문헌 2> 는 환자의 구강 상태를 검진하고, 환자의 구강 검진 자료를 포함하는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 데이터, 거주 지역 및 연령 정보를 빅데이터화한 후, 이를 분석하여 현재 시점에서 환자의 거주 지역 및 연령에 따라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 데이터가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판단한다. 이어,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강 검진 지수 산정을 위한 기준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구강 건강을 관리하도록 한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examines the patient's oral condition, converts the oral examination index calculation standard data including the patient's oral examination data, residence area, and age information into big data, and analyzes this to determine the patient's condition at the current time. Depending on the region of residence and age, the standard data for calculating the oral examination index determines the impact on oral health. Next, weighting is given to the standard data for calculating the oral examination index, and the standard data for calculating the oral examination index is quantified to manage oral health.
또한, <특허문헌 3> 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 사용자가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한 각각의 정보들을 통합 분석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3> collect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s oral hygiene behavior data and oral questionnaire data, and oral examination data generated when the user visits a professional medical institution. Each piece of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way is analyzed in an integrated manner to evaluate the user's risk of oral disease and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강 질환 관리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나 구강 데이터 및 문진 데이터, 전문 의료기관을 통해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강 질환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서, 실시간성이 떨어지고 현재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구강 질환의 분석에 정확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ral disease management systems as described above generate oral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ral data, questionnaire data, and oral examination data generated through a professional medical institution, and are poor in real-time and are currently used by the user. Since it is not a method of analyzing oral images, it has the disadvantage of lacking accuracy in the analysis of oral diseases.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치주질환 상태를 인지하는 것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recognize their periodontal disease status in real time.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비대면으로 자신의 치주질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accurately check one's periodontal disease status non-face-to-face.
또한, 일반적인 구강 검진 방식은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하므로, 시간적인 손실이 발생하여 경제적인 낭비도 유발한다.In addition, the general oral examination method requires a visit to a medical institution, which causes time loss and economic wast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비대면으로 공공기관 및 단체(기업, 학교, 어린이집, 병의원 등)에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소속원 및 고객이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non-face-to-face by public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companies, schools, daycare centers, hospitals, clinics, etc.)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oral examination booth that allows customers to easily perform self-examinations and optimally manage their oral healt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이용시설에서 간편하게 구강 검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강질병 악화와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가정과 사회의 의료비용 부담을 완화시켜 국민 건강 증진과 함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worsening of oral diseases and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by allowing oral examinations to be easily performed in a multi-use facility, and to alleviate the burden of medical costs on the home and society to improve public health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s is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몸체;Photograph the mouth of the oral examiner, creat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by mapping the captured oral image of the oral examiner and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ransmit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and make oral examination diagnosis. A body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results;
상기 몸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진자 보호부;an examiner protection unit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to prevent the oral examine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몸체와 검진자 보호부를 고정하는 상단 결합부; 및an upper coupling portion that secures the body and the examiner protection portion; and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이동시키는 부스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to be movable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includes a booth moving part that moves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상기에서 몸체는,In the above, the body is,
상기 검진자 보호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단 끼움 홈과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first and second upper fitting grooves and first and second lower fitting grooves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examiner protection part.
상기에서 몸체는,In the above, the body is,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A camera unit installed at a random location to photograph the examinee's oral cavity;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의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a controller built into the body, controlling transmission of the oral image of the examine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nd controlling output of oral examination diagnostic results;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프린터;a printer built into the body and printing oral examination diagnostic results on pap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검진자가 모습을 비추는 거울;a mirror reflecting the examiner's appearance;
상기 검진자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화면에 표출해주는 디스플레이;A display that inputs the examiner's information or displays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on a screen;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몸체에 내장되는 기기를 인출하거나 수리 시 몸체에 내장된 기기를 외부에서 확인하도록 하는 후면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ar do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ody to allow the device built in the body to be taken out or to check the device built in the body from the outside during repair.
상기에서 카메라부는,In the above, the camera unit,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 A camera that takes pictures of the examinee's oral cavity;
상기 카메라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촬영 시 상기 카메라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케이스;a case that protects the camera from the outside and exposes the camera to the outside when taking pictures;
상기 케이스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를 살균하는 살균기;a steriliz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case to sterilize the camera;
상기 카메라의 상기 케이스의 밖으로 인출하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카메라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amera transfer unit that pulls the camera out of the case or leads it into the inside of the case.
상기에서 검진자 보호부는,In the above, the examiner protection department,
상기 몸체의 좌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검진자 보호체;a first examiner protection body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body to prevent the oral examin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몸체의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검진자 보호체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second examiner protection body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body to prevent the oral examin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상단 끼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 끼움 돌기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하단 끼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단 끼움 돌기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examiner protection bodies are each provided with an upper fitt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upper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and a lower fitt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 a lower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상기에서 제어기는,In the above, the controller is,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포함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원격의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하며,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oral image of the oral examiner and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remote oral care service server to request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he receiv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are displayed on the above display.
상기 구강검진 진단 요청 후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제공할 때까지 대기 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해주고, 상기 대기시간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구강 관련 건강 정보 또는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isplays a waiting time until the oral exam diagnosis request is made after requesting the oral exam diagnosis, and displays oral health information or advertisement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on the display during the waiting time.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비대면으로 누구나가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강건강 증진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oral health by allowing anyone to easily perform a self-oral examination and check their oral condition in a non-face-to-face manner through an oral examination booth.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이용자의 구강건강을 분석할 수 있으며, 구강 이미지로 구강 건강을 분석함으로써 구강 질환의 분석에 정확성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oral health can be analyzed in real time, and by analyzing the oral health using oral images,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of oral disea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를 통해 예방적 구강 관리를 도모해줌으로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by promoting preventive oral care through an oral examination booth.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에 장착된 카메라의 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 검진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the spread of oral examinations using oral examination booths by always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oral examination booth clea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후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후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rear view of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는 이용자인 구강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여 표출해주는 제어기가 내장된 몸체(110)가 구비된다.The
몸체(110)는 사각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몸체(1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진자 보호부(120)가 장착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검진자 보호부(120)의 전면에 도어를 설치하거나, 커튼을 설치하여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인이 구강 검진자의 검진 결과를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진자 보호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좌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검진자 보호체(121)와, 상기 몸체(110)의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검진자 보호체(122)를 구비한다.The
구강 검진자는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121)(122)에 의해 형성된 검진자 보호부(120) 내의 검진 영역에서 구강 검진을 수행한다.The oral examiner performs an oral examination in the examination area within the
몸체(110)와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121)(122)는 별도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홈과 돌기만을 이용하여, 홈에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제조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한다.The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검진자 보호부(120)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단 끼움 홈(111, 11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검진자 보호부(120)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113, 114)을 형성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first and second upper
여기서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113, 114)의 크기는 상기 제1 및 제2 상담 끼움 홈(111, 112)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상기 제1 검진자 보호체(121)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1 상단 끼움 홈(11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 끼움 돌기(121a)와,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1 하단 끼움 홈(1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단 끼움 돌기(121b)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검진자 보호체(122)도 제1 검진자 보호체(121)와 동일하게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2 상단 끼움 홈(1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단 끼움 돌기와,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2 하단 끼움 홈(11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단 끼움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따라서 제1 검진자 보호체(121)의 상담 끼움 돌기(121a)를 제1 상단 끼움 홈(111)에 삽입하고, 하단 끼움 돌기(121b)를 제1 하단 끼움 홈(113)에 삽입하여, 제1 검진자 보호체(121)를 몸체(110)에 결합하여 고정한다.Therefore, the consultation
아울러 제2 검진자 보호체(122)의 상담 끼움 돌기를 제2 상단 끼움 홈(112)에 삽입하고, 하단 끼움 돌기를 제2 하단 끼움 홈(114)에 삽입하여, 제2 검진자 보호체(122)를 몸체(110)에 결합하여 고정한다.In addition, the consultation fitting protrusion of the second
끼움 홈과 돌기만을 이용하여 몸체와 보호체 간을 결합함으로써, 추후 분리시에도 편의성을 제공한다.By combining the body and the protector using only the fitting groove and protrusion, convenience is provided during subsequent separation.
여기서 끼움 홈의 깊이와 끼움 돌기의 크기를 조절하면, 몸체와 검진자 보호체 간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실험 등을 통해 적절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는 홈의 깊이와 돌기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by adjusting the depth of the fitting groove and the size of the fitting protrusio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and the examiner's protector can be adjusted. It is desirable to set the depth of the groove and the size of the protrusion that can have an appropriate bonding force through experiments, etc.
몸체(110)와 검진자 보호부(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단 결합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110)와 검진자 보호부(120)를 동시에 고정한다.With the
여기서 상단 결합부(130)는 몸체(110)와 검진자 보호부(120)의 상부에서 억지 끼움 방식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몸체(110) 및 검진자 보호부(120)와 상단 결합부(130)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몸체(110) 및 검진자 보호부(12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충격 완화체(110b)를 복수로 설치하여, 양자가 결합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단 결합부(130)에 의해 완성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를 특정 위치에 설치한 후, 설치된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 몸체(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부스 이동부(14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부스 이동부(140)는 360°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이동 바퀴로 구현할 수 있다. 검진 부스를 특정 위치에 안착시킨 후,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스 이동부(140)에는 이동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진 부스의 이동시에는 고정부를 해제하고 이동 바퀴인 부스 이동부(140)를 이용하여 가볍게 검진 부스를 밀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다시 고정부를 이용하여 검진 부스를 고정 시킨다.After installing the
이와 같이 검진 부스를 검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실제 구강 검진자가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강 검진자는 해당 업장의 임직원이거나 해당 업장을 방문한 고객이 될 수 있다.With the examination booth moved to the examination location, how an actual oral examiner uses it is explained as follows. Here, the oral examiner can be an employee of the business or a customer who has visited the business.
구강 검진자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의 설정 위치에 위치한 후, 디스플레이(119)에 표시된 사용 방법에 따라 조작을 하면서 구강 검진을 진행한다.The oral examiner positions the oral
이를 위해, 몸체(110)의 내부에는 구강 검진 부스의 전체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기(116)가 내장되어 있다. 제어기(116)는 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중앙처리장치,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제어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구강 검진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제어기(116)는 디스플레이(119)를 통해 구강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 검진 방법을 디스플레이해준다.If the oral examina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the
구강 검진자는 구강 검진을 하고자 하면, 검진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편안한 구강 검진 및 노약자 등을 위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앉을 수 있는 의자가 마련된 것으로 가정한다.When an oral examiner wants to perform an oral examination, he or she is located at the examination location. Here, for comfortable oral examination and for the elderly and the infirm, it is assumed that a chair for sitting is provid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구강 검진자는 마련된 의자에 착좌한 후, 몸체(110)의 전면부에 마련된 거울(118)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After sitting on the provided chair, the oral examiner can check his or her appearance through the
아울러 구강 검진자는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119)의 화면을 보고, 구강 검진을 위한 조작을 한다. 즉, 구강 검진 시작 버튼을 조작하여 구강 검진을 요청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9)는 입력과 정보 제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In addition, the oral examiner views the screen of the
구강 검진 시작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기(116)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구강 검진 프로그램을 인출하여 실행하고, 실행된 구강 검진 프로그램에 따라 구강 검진 동작을 제어한다.When the oral examination start button is operated, the
구강 검진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화면에 개인 정보를 입력하라는 창이 표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정보는 간략히 이름, 전화번호 등만을 간단히 입력하는 간편 검진과 등록된 개인의 의료정보를 활용하여 정밀하게 구강 검진을 요청하는 인증 검진이 있다. 인증 검진은 구강 검진자의 인증이 요청된다.When the oral examination program is run, a window asking you to enter personal information may appear on the screen. Her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a simple checkup in which only the name and phone number are briefly entered, and a certified checkup in which a detailed oral checkup is requested using the registered individual's medical information. Certification examinations require certification by an oral examiner.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강 검진 프로세스는 동일하므로, 이하 사용이 편리한 간편 검진에 의한 구강 검진을 시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Since only the method of entering personal information is different and the rest of the oral examination process is the same, the following will explain that oral examination is performed using a simple examination that is easy to use.
간편 검진에 의해 개인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기(116)는 디스플레이(119)에 몸체(110)의 임의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부(115)의 사용과 이를 이용한 구강 검진 영상을 촬영하도록 안내한다.When personal information is entered through the simple checkup, the
구강 검진자는 이러한 촬영 안내를 기반으로 카메라부(115)를 이용하여 구강을 촬영한다. 구강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 완료 버튼을 조작한다.The oral examiner photographs the oral cavity using the
여기서 구강 검진용 검진 부스(100)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부(115)는 다수가 이용하는 장비이므로, 청결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부(115)를 1회 사용하면 살균을 통해 항상 청결 상태를 유지한다.Here, the
예컨대, 카메라부(115)는 이용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115b), 상기 카메라(115b)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촬영 시 상기 카메라(115b)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케이스(115a), 상기 케이스(115a)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115b)를 살균하는 살균기(115c) 및 상기 카메라(115b)를 상기 케이스(115a)의 밖으로 인출하거나 상기 케이스(115a)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카메라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이송부는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모터와 모터 구동부 또는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모터 축이나 액추에이터 축에 카메라(115b)를 연결하여, 카메라(115b)를 케이스(115a)의 밖으로 인출하거나 케이스(115a)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이송부는 제어기(116)로부터 발생하는 카메라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115b)의 이송을 제어한다.For example, the
살균기(115c)는 상기 카메라(115b)를 살균하여 청결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살균기(115c)는 카메라(115b)에 살균액을 분사하고 건조 기능을 통해 살균하는 화학적인 살균 방법, 자외선과 같은 파장을 이용하여 살균을 하는 물리적인 살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을 이용한 물리적인 살균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구강 검진자가 구강 촬영을 종료하면 촬영 종료 버튼을 조작한다.When the oral examiner ends oral imaging, he or she operates the imaging end button.
한편, 상기 제어기(116)는 촬영 종료 버튼이 조작되면 정확한 구강 검진을 위해, 사전에 구강 전문가들에 의해 제작된 문진을 디스플레이(119)에 표출하고, 구강 검진자가 응답하도록 한다. 여기서 문진 응답과 구강 촬영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apture end button is operated, the
문진 응답이 완료되면 제어기(116)는 통신 모듈을 통해 문진 응답 정보와 이용자 개인정보 및 구강 이미지 정보를 하나의 패킷으로 만들어, 원격에 위치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고 구강 검진을 요청한다.When the questionnaire response is completed, the
아울러 제어기(116)는 디스플레이(119)를 통해 구강 검진 결과를 수신하는 방법을 선택하도록 안내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구강 검진 결과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119)에 표출됨과 동시에 프린터(117)를 이용한 종이 인쇄물로 출력 가능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폰에 파일 또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해줄 수 있다. 사용자가 이메일을 등록하고 이메일 전송을 요청한 경우에는 이메일로도 전송해줄 수 있다.Here, the oral examination results are basically displayed on the
아울러 제어기(116)는 구강 검진 요청을 수행한 후에는 미리 설정된 구강 검진 대기시간을 디스플레이(119)에 표출하여, 구강 검진자가 구강 검진 결과의 대기 시간을 인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after performing an oral examination request, the
또한, 제어기(116)는 대기시간 동안 구강 검진자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서, 메모리에 미리 등록된 광고 정보나 구강 관리를 위한 구강 관련 건강정보를 디스플레이(119)에 표출해줄 수 있다.Additionally, the
여기서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와 구강건강 서비스서버는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간성을 갖고 통신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는 상기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로부터 제공되는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등록된 구강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강이미지를 진단하여 구강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건강정보를 암호화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상기 구강점진용 검진 부스(100)에 전송한다.When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receives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여기서 수신한 구강 이미지는 비정형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The oral image received here may be an unstructured image.
따라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는 비정형화된 구강 이미지의 보정을 위해, 입력된 구강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고, 방향 조절을 하여 정면 이미지가 되도록 한다. 방향 조절은 구강 구조를 통해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인식하여 정면으로 조절을 할 수 있다. 이어, 방향이 조절된 분할 이미지를 이미지 샤핀 필터(Image Sharpen Filter)로 필터링 처리하여 선명도를 높인다. 여기서 이미지 샤핀 필터로 사진의 선명도를 높이는 기법은 이미 영상 처리분야에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in order to correct the atypical oral image,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divides the input oral image into preset sizes and adjusts the direction to create a frontal image. Direction control is a method of recognizing the position through the oral structure and can be adjusted from the front. Next, the direction-adjusted segmented image is filtered using an Image Sharpen Filter to increase clarity. Here, the technique of increasing the clarity of a photo using an image Shaffin filter is a well-known technique already known in the image processing fiel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강 이미지의 보정이 완료되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진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한다. 이어, 판정한 구강건강정보를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암호화하여 상기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에 전송한다.Once the correction of the oral image is completed, it learns with the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o determine whether the photo can be analyzed, whether it is corrected, and whether the tooth is extracted, and the resulting information is analyzed through object detection.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are acquired, and the acquired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are learned using an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to determine oral health status. Next, the determined oral health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and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의 제어기(116)는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면 이를 디스플레이(119)를 통해 표출해주고, 구강 검진자가 선택한 출력 방식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구강 검진자에게 제공해준다.When the
예컨대, 구강 검진자가 종이 인쇄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몸체(110)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기(116)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프린터(117)를 제어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가 종이로 인쇄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프린터(117)를 통해 이용자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인쇄물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ral examiner selects paper printing, the
또한, 구강 검진자가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할 수단으로 이용자 스마트폰을 선택하였을 경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이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직접 전송한다. Additionally, if the oral examiner selects the user's smartphone as a means of receiving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are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user's smartphone.
여기서 구강 검진자는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구강상태를 판단한다.Here, the oral examiner judges his or her oral condition based on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여기서 구강검진 진단결과는 보고서 형태이며, 구강의 어느 질병이 있다는 전문의가 진단하는 정보가 아니며,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추후 다음 문제가 발생한다는 등의 상태 정보이다.Here,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are in the form of a report, and are not information that a specialist diagnoses as to which oral disease there is. It is status information, such as which part may have a problem and if this condition persists, the next problem will occur in the future.
예컨대, 구강진단 결과는 10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oral diagnosis results can be divided into 10 levels.
1 ~ 3단계는 좋음, 4 ~ 7단계는 보통, 8 ~ 10단계는 위험 등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구강 검진자는 구강진단 결과를 보고 단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구강 관리를 한다.Levels 1 to 3 are good, levels 4 to 7 are normal, and levels 8 to 10 are dangerous. Therefore, the oral examiner looks at the oral diagnosis results, confirms the stage, and manages the oral cavity through this.
특히, 구강 검진자는 이러한 구강진단 결과 보고서를 통해 구강 상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이 되면(구강진단 결과 8 ~ 10단계 범위), 즉시 치과를 방문하여 자신의 구강건강을 관리하고, 구강건강 악화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f the oral examiner determines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oral condition through this oral diagnosis report (oral diagnosis results range from level 8 to 10), he or she immediately visits the dentist to manage his or her oral health and prevent oral health from deteriorating.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it.
한편, 몸체(110)의 후면에는 후면 도어(110a)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후면 도어(110a)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1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몸체(110)에 내장되는 기기를 인출하거나 수리를 위해 몸체(110)에 내장된 기기를 확인할 때 활용된다. 후면 도어(110a)를 이용하여 장비 교체나 A/S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의 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해준다.Meanwhile, a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is known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it.
100: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110: 몸체
111, 112: 제1 및 제2 상단 끼움 홈
113, 114: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
115: 카메라부
116: 제어기
117: 프린터
118: 거울
119: 디스플레이
120: 검진자 보호부
121, 122: 제1 및 제2 검진자 보호체
130: 상단 결합부
140: 부스 이동부100: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110: body
111, 112: first and second upper fitting grooves
113, 114: first and second lower fitting grooves
115: Camera unit
116: controller
117: printer
118: mirror
119: display
120: Examiner protection department
121, 122: first and second examiner protectors
130: top coupling part
140: Booth moving unit
Claims (6)
상기 몸체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어, 구강 검진자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검진자 보호부;
상기 몸체와 검진자 보호부를 고정하는 상단 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를 이동시키는 부스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의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프린터; 상기 검진자가 모습을 비추는 거울; 상기 검진자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화면에 표출해주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몸체에 내장되는 기기를 인출하거나 수리 시 몸체에 내장된 기기를 외부에서 확인하도록 하는 후면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검진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촬영 시 상기 카메라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를 살균하는 살균기; 및 상기 카메라의 상기 케이스의 밖으로 인출하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카메라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The mouth of the oral examiner is photographed, the oral image of the oral examiner captured and the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are mapped to generat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and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is made. A body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results;
an examiner protection unit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to prevent the oral examine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 upper coupling portion that secures the body and the examiner protection portion; and
It is movably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includes a booth moving part that moves the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The body is,
A camera unit installed at a random location to photograph the examinee's oral cavity; a controller built into the body, controlling transmission of the oral image of the examine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nd controlling output of oral examination diagnostic results; a printer built into the body and printing oral examination diagnostic results on pap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mirror reflecting the examiner's appearance; A display that inputs the examiner's information or displays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on a screen; And a rear do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ody to allow the device built in the body to be taken out or to check the device built in the body from the outside during repair,
The camera unit,
A camera that takes pictures of the examinee's oral cavity; a case that protects the camera from the outside and exposes the camera to the outside when taking pictures; a steriliz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case to sterilize the camera; and a camera transfer unit that pulls the camera out of the case or leads it into the inside of the case.
상기 검진자 보호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단 끼움 홈과 제1 및 제2 하단 끼움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
In claim 1, the body,
A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upper fitting grooves and first and second lower fitting grooves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examiner protection part.
구강 검진자의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포함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원격의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하며,
상기 구강검진 진단 요청 후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제공할 때까지 대기 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해주고, 상기 대기시간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구강 관련 건강 정보 또는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검진용 검진 부스.In claim 1, the controller: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oral image of the oral examiner and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remote oral care service server to request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he receiv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are displayed on the above display.
For oral exam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isplays the waiting time until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s provided after the request for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displays oral health information or advertising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on the display during the waiting time. Examination boo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8694A KR102627425B1 (en) | 2021-09-29 | 2021-09-29 |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8694A KR102627425B1 (en) | 2021-09-29 | 2021-09-29 |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5870A KR20230045870A (en) | 2023-04-05 |
KR102627425B1 true KR102627425B1 (en) | 2024-01-23 |
Family
ID=8588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8694A Active KR102627425B1 (en) | 2021-09-29 | 2021-09-29 |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7425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26996A (en) * | 2004-10-27 | 2006-05-18 | Yoshida Dental Mfg Co Ltd | Dental communication booth and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65764A (en) * | 1989-08-04 | 1991-03-20 | Toshiba Corp | Device for displaying medical examination waiting time |
KR101435880B1 (en) * | 2012-11-30 | 2014-09-02 | (주) 나인원 |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condition with optical scanning having advertisement display module |
KR101836187B1 (en) | 2015-10-30 | 2018-03-08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user-costomized oral care service and |
KR101868979B1 (en) | 2016-05-31 | 2018-07-23 | (주)이너웨이브 |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oral care using deep learning |
KR101788030B1 (en) | 2016-06-15 | 2017-11-15 |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 System and method for risk diagnosis on oral disease and oral care |
KR102295376B1 (en) * | 2019-08-05 | 2021-08-30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Vending machine type moving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medical treatment for remoteness medical treatment |
-
2021
- 2021-09-29 KR KR1020210128694A patent/KR1026274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26996A (en) * | 2004-10-27 | 2006-05-18 | Yoshida Dental Mfg Co Ltd | Dental communication booth and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5870A (en) | 2023-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58582A1 (en) |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medical diagnostic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telehealth services | |
US1163310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health care | |
KR102311398B1 (en) | Mobile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 |
KR102214756B1 (en) | Mouth diagnosis system | |
AU200830244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healthcare | |
KR20110125421A (en) | Oral health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oral health care service delivery method | |
KR20190023133A (en) | Dental care system | |
KR20060100737A (en) | Dental patient care service method using internet and its system | |
KR102627428B1 (en) | Oral examination method using oral examination booth | |
KR20180034871A (en) | Digital dental prosthetic treatment of da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medical office | |
KR102627425B1 (en) |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 |
JP2004255029A (en) | Mobile terminal, health management support system | |
JP7442860B2 (en) | A system and method for non-face-to-face dental caries risk diagnosis and oral management using tooth surface coloring image data | |
US20220354421A1 (en) | Tooth analysis server, tooth analysis terminal, and tooth analysis program | |
KR10258391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s and incremental dental health care services | |
WO2020162845A1 (en) | A system for informing its users about orthodontic treatment | |
KR102392912B1 (en) | 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 |
KR102392916B1 (en) | Oral examination apparatus using examination booth | |
JP3242234U (en) | Preventive dentistry practice system | |
JP3242087U (en) | Preventive dentistry introduction consulting system | |
KR102749693B1 (en) | Oral care system | |
KR101962241B1 (en) | Prevention System For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 |
Griffin et al. | Person-centred care in DXA and secondary fracture prevention | |
Yann | Teledentistry: Past, Present, Future | |
JP2023065876A (en) | Mobile-based self oral cavity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