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2912B1 - 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 Google Patents

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912B1
KR102392912B1 KR1020200115659A KR20200115659A KR102392912B1 KR 102392912 B1 KR102392912 B1 KR 102392912B1 KR 1020200115659 A KR1020200115659 A KR 1020200115659A KR 20200115659 A KR20200115659 A KR 20200115659A KR 102392912 B1 KR102392912 B1 KR 10239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examination
information
image
boo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3359A (en
Inventor
고태연
장완호
양희영
한종구
문지수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티티
Priority to KR102020011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912B1/en
Publication of KR2022003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3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91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비대면으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누구나가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구강건강 증진을 도모하도록 한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보정 한 후 보정한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구강 검진 부스, 구강 검진 부스로부터 제공되는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건강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구강관리 서비스서버 및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에 포함된 구강이미지를 진단하여 구강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건강정보를 암호화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구강건강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부스기반의 자가 구강검진장치를 구현한다.It relates to a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that enables anyone to easily self-examine themselves through a non-face-to-face oral examination booth to optimally manage their oral cavity, thereby promoting oral health. After taking a picture of the oral cavity, correcting the oral image of the user, mapping the corrected oral image and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and sending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Oral examination booth,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from oral examination booth is transmitted to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to request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s transmitted to oral care service server an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A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including an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that diagnoses the included oral image to generate oral health information, encrypts the generated oral health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sult of oral examination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implement

Description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대면으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누구나가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구강건강 증진을 도모하도록 한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th-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a non-face-to-face oral examination booth (Booth), anyone can easily self-examine the oral cavity to optimally manage the oral cavity, and through this, oral health It relates to a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designed to promote promotion.

구강 질환은 적절한 예방 치료 및 꾸준한 관리를 통해서 높은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많은 구강 질환 환자들은 구강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의사에게 진단을 받거나 치료를 의뢰하지 않는 등 아직까지는 구강 예방에 대해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Although oral diseases can be highly preventable through proper preventive treatment and continuous management, many patients with oral diseases are still aware of oral prevention, such as not receiving a diagnosis or requesting treatment from a doctor unless there is a problem with oral health. This is insufficient.

구강질환은 기타 질병과는 다르게 그 예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스케일링과 같은 간단한 시술로도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부정교합이 예측되는 어린이에게 간단한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면 성장기 이후 교정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어 구강건강관리뿐 아니라 비용적 편익도 매 큰 것을 알 수 있다.Unlike other diseases, prevention of oral disease is very important, and even simple procedures such as scaling can prevent periodontal disease.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oral health care but also cost and benefit are great.

환자의 현재 구강 상태를 예측함에 있어 치과 의사나 치위생사의 주관적 견해가 아닌, 정확한 검사 및 진단 결과와 그에 따른 객관적 수치 정보가 필요하지만 구강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산출하는 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이다.In predicting the patient's current oral condition, accurate examination and diagnosis results and objective numerical information are required, not the subjective opinion of a dentist or dental hygienist, but there is no system for objectively calculating the oral health condition.

구강의 2대 질환은 충치(치아우식), 치주질환을 의미한다. 특히, 치주염과 치은염을 의미하는 치주질환은 초기에는 동통도 없고 만성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발견이 늦어져, 치주질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The two major diseases of the oral cavity are tooth decay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In particular, periodontal disease, which means periodontitis and gingivitis, is difficult to prevent in advance because the detection is delayed because there is no pain in the beginning and it progresses chronically.

따라서 이러한 구강 질환의 상태를 사전에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강건강 증진 및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 및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various methods for diagnosing such oral disease states in advance, and based on this, various methods for improving oral health and preventing oral diseases have been studied and proposed. to <Patent Document 3> are disclosed.

<특허문헌 1> 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치주질환 및 목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건 정보와 사용자의 가맹 의료기관에서의 치료 정보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구강 관리 용품 가맹점으로부터 구강 관리 용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후, 사용자의 조건 정보 및 치료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특정 구강 관리 용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Patent Document 1> receives user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user's gender, age, periodontal disease, and goal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nd treatment information at a user's affiliated medical institution. In addition, information on oral care products is received from an oral care product store. Thereafter, information on a specific oral care product included in a specific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ndition information and treatm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a user-customized oral care service.

또한, <특허문헌 2> 는 환자의 구강 상태를 검진하고, 환자의 구강 검진 자료를 포함하는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 데이터, 거주 지역 및 연령 정보를 빅데이터화한 후, 이를 분석하여 현재 시점에서 환자의 거주 지역 및 연령에 따라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 데이터가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판단한다. 이어, 구강 검진 지수 산정 기준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강 검진 지수 산정을 위한 기준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구강 건강을 관리하도록 한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examines the patient's oral condition, converts the oral examination index calculation standard data including the patient's oral examination data, residential area and age information into big data, and then analyzes this to analyze the patient's The influence of the oral examination index calculation standard data on oral healt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gion of residence and age. Then, by giving weight to the oral examination index calculation standard data, the oral health is managed by digitizing the reference data for the oral examination index calculation.

또한, <특허문헌 3> 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의 구강 위생 행동 데이터 및 구강 문진 데이터, 사용자가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한 각각의 정보들을 통합 분석하여 사용자의 구강질환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3> collect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s oral hygiene behavior data and oral questionnaire data, and oral examination data generated by the user visiting a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each piece of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way, the user's risk of oral disease is evaluated and personalized service is provid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강 질환 관리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나 구강 데이터 및 문진 데이터, 전문 의료기관을 통해 생성된 구강검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강 질환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서, 실시간성이 떨어지고 현재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구강 질환의 분석에 정확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ral disease management systems as described above are a method of generating oral disease managemen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ral data and questionnaire data, and oral examination data generated through a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 and have poor real-time performance and current users Since it is not a method of analyzing oral images of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치주질환 상태를 인지하는 것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recognize his or her periodontal disease state in real time.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비대면으로 자신의 치주질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state of his or her periodontal disease in a non-face-to-face manner.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50467(2017.05.11. 공개)(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서버)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7-0050467 (published on May 11, 2017) (User-customized oral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oral care service providing server)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8979(2018.06.12. 등록)(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868979 (registered on June 12, 2018) (Oral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8030(2017.10.13. 등록)(구강질환 위험도 진단 및 구강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788030 (Registered on October 13, 2017) (Oral disease risk diagnosis and oral care system and metho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비대면으로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누구나가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구강건강 증진을 도모하도록 한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that occu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yone can easily self-examine themselves through a non-face-to-face oral examination booth (Booth) to optimally manage the oral cavity.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designed to promote oral health through thi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ooth-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용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보정 한 후 보정한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구강 검진 부스;After taking a picture of the user's oral cavity, correcting the captured user's oral image, mapping the corrected oral image and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and sending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Transmitting oral examination booth;

상기 구강 검진 부스로부터 제공되는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건강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구강관리 서비스서버; 및an oral care service server that transmit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ral examination booth to an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to request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ransmits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a user; and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에 포함된 구강이미지를 진단하여 구강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건강정보를 암호화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구강건강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al health information is generated by diagnosing the oral image included in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and the generated oral health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as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ealth management server.

상기에서 구강 검진 부스와 구강관리 서비스서버 및 구강건강 관리서버는 암호화된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송수신을 통해 해킹에 의한 자료 누출시에도 보안성을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oral examination booth,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and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improve security even in case of data leakage due to hacking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encryp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상기에서 이용자는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이용자 단말로 전송토록 전송위치를 설정하거나 종이 인쇄로 전송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user sets the transmission location to transmit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the user terminal or sets the transmission location by paper printing.

상기에서 구강 검진 부스는,In the above, the oral examination booth is,

몸체;body;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이용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a camera built into the body and photographing the user's oral cavity;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의 보정 및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a controller built into the body, controlling the corr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user's oral image taken by the camera,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installed on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nter for printing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on pap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에서 제어기는,In the above controller,

이용자가 구강 검진을 위해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a manipula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for a user to manipulate for oral examination, and outputting a functio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function buttons;

상기 조작부에서 출력된 기능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기능을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의 보정 및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cognizing the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unit, controlling corr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user's or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do.

상기에서 제어기는,In the abov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보정하여 선명도를 높이는 구강이미지 보정부;Oral image correction unit to increase the sharpness by correcting the user's oral image taken through the camer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강이미지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포함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oral image corrected by the oral image correction unit and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to request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he receiv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to the control unit.

상기에서 제어기는 구강검진 문진에 대한 이용자의 답변 정보를 조작부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이용자의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문진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문진 응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ontroller acquires the user's answer information to the oral examination questionnaire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generates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using the obtained user's answer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questionnaire response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상기에서 구강건강 관리서버는 구강검진 진단결과 전송 시 구강 검진 부스 ID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이용하여 접근 대상의 권한을 제한하여 보안성을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ransmitting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he oral examination booth ID and the access token using the user information are used to limit the authority of the access target to improve security.

상기에서 구강건강 관리서버는 수신한 구강 이미지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진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하는 구강건강 연산부; 상기 구강건강 연산부에서 판정한 구강건강정보를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암호화하여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구강건강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learns the received oral image with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which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determines whether a photo can be analyzed, whether or not to correct, and whether to extract, and uses the determined result information to detect an object (Object Detection). ) to obtain dental caries state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e information, and an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for learning the obtained dental caries state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e information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lgorithm to determine the oral health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ral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the oral health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as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and encrypts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상기에서 구강건강 연산부는 상기 구강 검진 부스로부터 전송된 구강 이미지를 구강건강 예측대상으로 등록하는 이미지 등록부; 상기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된 이미지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이미지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교정 여부 정보 및 발치 여부 정보와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하는 구강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an image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oral image transmitted from the oral examination booth as an oral health prediction target; By learning the image registered in the image registration unit with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mage can be analyzed, whether it is corrected, and whether or not tooth extraction is performed, and the result information is analyzed by object detection to obtain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an oral diagnostic unit that acquires the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oral health status by learning the acquired orthodontic status information, tooth extraction status information,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lgorithm. do it with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Booth)를 통해 비대면으로 누구나가 쉽게 자가 구강검진을 하여 구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강건강 증진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oral health by allowing anyone to easily self-examine the oral cavity through an oral examination booth (Booth) to check the oral cond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이용자의 구강건강을 분석할 수 있으며, 구강 이미지로 구강 건강을 분석함으로써 구강 질환의 분석에 정확성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user's oral health in real time, and by analyzing the oral health with the oral image,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accuracy in the analysis of oral disea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검진 부스를 통해 예방적 구강 관리를 도모해줌으로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promoting preventive oral care through the oral examination boo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검진 부스의 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구강건강 연산부의 실시 예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구강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예시 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examination booth of Figure 1;
3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of FIG. 1;
4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for analyzing an oral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booth-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구강 검진 부스(100),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 및 구강건강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ooth-based self-ex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n oral examination booth 100 , an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and an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 .

구강 검진 부스(100)는 이용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보정 한 후, 보정한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captures the user's oral cavity, corrects the captured user's oral image, maps the corrected oral image and the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It serves to transmit the request information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여기서 이용자는 구강 검진 부스(100)를 이용하여 이용자 개인정보(이용자 스마트폰 정보, 이메일 정보 등), 문진 데이터와 같은 일반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구강 검진의 형태는 간편 검진과 일반 검진이 있으며, 간편 검진일 경우에는 단순히 이용자 개인 정보(기기 ID, 이용자 정보)와 구강 이미지만을 제공하면 되고, 일반 검진일 경우에는 이용자 개인 정보와 문진 데이터와 구강 이미지를 제공하면 된다.Here, the user may use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to provide user personal information (user smartphone information, e-mail information, etc.) and general data such as questionnaire data. There are two types of oral examinations: simple examination and general examination. In the case of simple examination, it is only necessary to provid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device ID, user information) and oral image. Just provide an image.

이용자는 구강 검진 부스(100) 또는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구강건강 상태를 인지하며, 구강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예측되면 치과병원 등을 방문하여 후속 조치를 취하여 구강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및 스마트 패드와 같은 모바일 기기, 인터넷이 가능한 퍼스널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The user receive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using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or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his or her oral health condition through this, and visits a dental hospital to take follow-up measures if the oral health condition is predicted to be poor It is desirable to take care of oral health by taking Here, 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a smart pad, a personal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capable of the Internet, and the like.

상기 구강 검진 부스(100)는 공공장소 및 기관(예를 들어, 학교, 관공서, 보건소, 회사, 공단 등)에 설치된 하드웨어 형태로서 공공장소 및 기관 등 다양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구강질환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부스 형태의 검진 장비이다.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is a hardware form installed in public places and institutions (eg, schools, government offices, public health centers, companies, industrial complexes, etc.), so that oral diseases can be easily inspected in various places such as public places and institutions. It is a booth type inspection equipment.

여기서 이용자는 구강 검진 부스(100)를 통해 구강검진을 요청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이용자 단말(예를 들어, 이용자 스마트폰)로 전송토록 전송위치를 설정하거나, 종이 인쇄(프린트 출력)로 전송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user requests an oral examination through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and sets the transmission location to transmit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the user terminal (eg, user's smartphone), or transmits it by paper printing (print output) You can set the location.

즉, 이용자는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할 수단으로 이용자 스마트폰을 선택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이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으며, 프린트 출력을 선택하여 구강 검진 부스(10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프린트를 통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구강검진 결과를 인쇄물로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receive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directly from the user's smartphone by selecting the user's smartphone as a means to receive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and select a printout to be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Through the provided print, the oral examination results can be checked in print in real time at the site.

이러한 구강 검진 부스(100)는 이용자가 들어가서 구강을 촬영하고 구강 검진을 요청하며, 구강검진 결과를 인쇄물로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장비가 내장 또는 설치된 몸체(101)를 구비한다. 이러한 몸체(101)는 이용자 1인이 들어가서 구강을 촬영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다.This oral examination booth 100 is provided with a body 101 that is built-in or installed with various equipment that allows a user to enter, photograph an oral cavity, request an oral examination, and to check the oral examination result in real time in the field as a printout. This body 101 is provided with sufficient space so that there is no discomfort when one user enters and takes an oral cavity.

상기 몸체(101)의 소정 위치에는 이용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102)가 설치된다. 이용자는 카메라(102)를 통해 구강을 촬영함으로써, 별도의 구강 촬영 장비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A camera 102 for photographing the user's oral cavity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101 . By photographing the oral cavity through the camera 102, the user does not need to prepare a separate oral imaging equipment.

상기 몸체(101)에는 상기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의 보정 및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인 제어기(110)가 소정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기(110)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 기능을 선택하거나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전송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The body 101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110, which i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rr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user's or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2, an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ontroller 110 , a user may select a function through a touch or select a transmission location of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또한, 상기 몸체(101)의 임의 위치에는 상기 제어기(110)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프린터(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프린터(120)를 통해 이용자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인쇄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inter 120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body 101 to print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on pap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rough the printer 120, the user can check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n print in real time in the field.

한편, 상기 제어기(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구강 검진을 위해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작부(111)는 입력장치가 터치 패널일 경우, 터치 패널에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기능 버튼을 터치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선택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조작부(111)가 터치 패널이 아닐 경우에는, 기능을 확인하거나 기타 정보 확인이나 진단 장비의 사용법을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표시장치와 기능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 등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작부(111)가 터치 패널로 구현되어, 정보 입력과 정보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 the controller 110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for the user to operate for oral examination, and the operation unit 111 for outputting a functio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button. ) is included. Here, when the input device is a touch panel, the manipulation unit 111 may select or set various functions by touching a function button displayed as an icon on the touch panel. When the operation unit 111 is not a touch panel, a display device for checking functions or displaying information for checking other information or using diagnostic equipment and a plurality of buttons for inputting functions must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manipulation unit 111 is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so that information input and information display are possible.

상기 제어기(110)는 상기 조작부(111)에서 출력된 기능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기능을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의 보정 및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13)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110 recognizes an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unit 111, controls corr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user's oral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02, and results of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a control unit 113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상기 제어부(113)는 이용자가 검진 모드 중 간편 검진을 선택하면 상기 구강이미지 보정부(115)에 의해 보정된 구강 이미지와 이용자 개인정보만을 이용하여 구강검진을 요청한다. 이용자가 검진 모드 중 일반 검진을 선택하면 상기 구강이미지 보정부(115)에 의해 보정된 구강 이미지와 상기 문진 응답부(116)에서 생성한 문진 응답 정보와 이용자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구강 검진을 요청한다. 여기서 이용자 개인정보에는 이용자 정보와 기기 ID 정보(구강 검진 부스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자 개인정보는 추후 구강검진 결과정보의 전송 시 보안을 위한 웹 토큰(접근 토큰)의 발행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3 requests an oral examination using only the oral image corrected by the oral image correcting unit 115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user selects a simple examination among examination modes. When the user selects a general checkup in the checkup mode, the oral examination is requested using the oral image corrected by the oral image correction unit 115,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questionnaire response unit 116,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 Here,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and device ID information (oral examination booth ID information). This user'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used as the issuance information of a web token (access token) for security when the oral examination result information is transmitted later.

아울러 상기 제어기(110)는 상기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102)를 통해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보정하여 선명도를 높이는 구강이미지 보정부(115), 상기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강이미지 보정부(115)에 의해 보정된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포함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상기 제어부(113)에 전달하는 통신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112)는 네트워크를 통해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와 접속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is an oral image correction unit 115 that enhances sharpness by correcting the user's oral image taken through the camera 10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3,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3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oral image corrected by the oral image correction unit 115 and the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to request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he received oral examin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112 that transmits the diagnosis result to the control unit 113 .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구강 검진 부스(100)와 구강건강 서비스서버(200)는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간성을 갖고 통신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and the oral health service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may be formed with real-time properties.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와 구강건강 관리서버(300)로 서버를 복수로 구현한 이유는 진단 결과의 보안성을 높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실제 건강관리 및 개인정보는 구강건강 관리서버(300)에서 모두 관리하되 웹 토큰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여 보안성을 향상하고, 구강관리 서비스 서버(200)는 단순히 정보의 인터페이스와 병원 예약 등의 단순 서비스만을 처리하도록 하여, 신속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The reason for implementing a plurality of servers as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and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is to increase the security of the diagnosis result to prevent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ctual health care and personal information are all managed by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but the security is improved by transmitting information through a web token, and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is simply an interface of information and simple procedures such as hospital reservations. By processing only the service, prompt service was made.

또한, 상기 제어기(110)는 다양한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114), 구강검진 문진에 대한 이용자의 답변 정보를 조작부(111)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이용자의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문진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13)에 전달하는 문진 응답부(116), 상기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프린터(120)로 전송하는 인쇄 출력부(117)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acquires the user's answer information to the memory 114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the oral examination questionnaire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1, and uses the obtained user's answer information to display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It includes a questionnaire response unit 116 tha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3 , and a print output unit 117 that transmit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the printer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3 .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구강 검진 부스(100)로부터 제공되는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건강 관리서버(300)에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to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to request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ransmit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the user. plays a role

이러한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구강 검진 부스(100)로부터 전송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에 포함된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전송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전송 위치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상기 구강 검진 부스(100)로 전송하거나 이용자가 등록한 이용자 단말로 전송해준다.This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confirms the transmission location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ncluded in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and or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osition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he diagnosis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or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by the user.

구강건강 관리서버(300)는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에 포함된 구강이미지를 진단하여 구강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건강정보를 암호화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generates oral health information by diagnosing the oral image included in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and encrypts the generated oral health information to diagnose the oral examination As a result, it serves to transmit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여기서 구강 검진 부스(100)와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 및 구강건강 관리서버(300)는 암호화된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송수신을 통해 해킹에 의한 자료 누출시에도 보안성을 향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and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improve security even in case of data leakage due to hacking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encryp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상기 구강건강 관리서버(300)는 구강검진 진단결과 전송 시 구강 검진 부스 ID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이용하여 접근 대상의 권한을 제한하여 보안성을 향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improves security by limiting the authority of an access target using an access token using an oral examination booth ID and user information when transmitting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이러한 구강건강 관리서버(300)는 수신한 구강 이미지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진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하는 구강건강 연산부(310), 상기 구강건강 연산부(310)에서 판정한 구강건강정보를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암호화하여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에 전송하는 구강건강정보 제공부(320), 구강진단을 위한 빅 데이터, 개인 정보, 암호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learns the received oral image with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which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determines whether the photo can be analyzed, whether or not to correct it, and whether or not to extract, and detects the determined result information ( Object Detection) to obtain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and learn the acquired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with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to determine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310 ), an oral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 320), and a database 330 in which big data for oral diagnosis, personal information, encryption algorithm, and the like are stored.

상기 구강건강정보 제공부(320)는 상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200)에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oral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0 serves to transmit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

상기 구강건강 연산부(3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강 검진 부스(100)로부터 전송된 구강 이미지를 구강건강 예측대상으로 등록하는 이미지 등록부(311), 상기 이미지 등록부(311)에 등록된 이미지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이미지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교정 여부 정보 및 발치 여부 정보와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하는 구강 진단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310 registers the oral image transmitted from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as an oral health prediction target image registration unit 311, the image registration unit 311 registration By learning the image from the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it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can be analyzed, whether it is corrected or not, and whether or not the tooth is extracted. It may include an oral diagnosis unit 312 for determining oral health status by learning the acquire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orthodontics and whether or not tooth extraction has been obtained,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lgorithm.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booth-based self-ex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구강 검진을 자가 진단하기 위한 구강 검진 부스(100)를 학교, 관공서, 보건소, 회사, 공단 등의 공공장소 및 기관에 설치해 놓는다.First, an oral examination booth 100 for self-diagnosis of oral examination is installed in public places and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government offices, public health centers, companies, and industrial complexes.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자신의 구강건강 상태를 자가 검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시설에 설치된 구강 검진 부스(100)를 방문한다.A user using the facility visits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installed in the facility to self-examine and manage their oral health condition.

이후, 이용자는 구강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제어기(110)에 마련된 조작부(111)를 통해 구강 검진 요청을 한다.Thereafter, the user makes a request for oral examination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1 provided in the controller 110 in order to check the oral health state.

조작부(111)를 통해 구강 검진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기(110) 내의 제어부(113)에서 터치 패널로 이루어진 조작부(111)의 화면을 통해 구강검진 방법을 안내한다.When an oral examination request is generated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11 , the control unit 113 in the controller 110 guides the oral examination method through the screen of the manipulation unit 111 made of a touch panel.

여기서 구강검진 방법의 안내로서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요청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정보를 전송할 위치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용자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간단한 개인정보(성명,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를 입력한다,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지문과 같은 생체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개인정보 입력을 대체할 수도 있다.Here, as a guide to the oral examination metho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requested and the location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s selected. The user inputs simple personal information (name, date of birth, phone number, etc.) in response to such a request.

여기서 이용자는 개인정보로서 기본적인 사용자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더욱 정확한 구강검진을 위해 병력사항이나 복약중인 약 또는 신체의 특이 사항(고혈압, 저혈압, 당뇨, 심장질환, 변비, 임신, 기타) 등을 등록할 수도 있다.Here, the user enters basic user personal information as personal information, and for more accurate oral examination, the user registers his/her medical history, medications or body specific information (high blood pressure, low blood pressure, diabetes, heart disease, constipation, pregnancy, etc.) You may.

이후, 이용자는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정보를 전송할 위치 즉,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할 위치를 선택한다. 예컨대, 현장의 구강 검진 부스(100)에서 인쇄물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직접 수령하거나 이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과 같은 이용자 단말을 구강검진 진단결과 수신 위치로 선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selects a location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hat is, a location to receive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For example,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may be directly received in printed form at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on site, or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carried by the user may be selected a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receiving location.

이러한 개인정보 입력 및 구강검진 진단결과 전송 위치의 선택이 종료되면, 제어부(113)는 조작부(111)의 화면을 통해 카메라(102)에 구강을 촬영하도록 안내한다. 즉, 카메라(102)의 중심에 입을 벌려 구강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When the selec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an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ransmission location is finished, the control unit 113 guides the camera 102 to photograph the oral cavity through the screen of the operation unit 111 . That is, the mouth is opened at the center of the camera 102 to guide oral photography.

여기서 구강 검진 부스(100)는 다수의 대중이 사용하는 시설이므로, 오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구강진단 장비이므로 입속 세균에 의해 더욱 오염이 심화 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02)의 오염 문제로 인해 이용자의 이용이 망설여질 수 있다.Here, since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is a facility used by a large number of public, contamination can be easily made, and in particular, since it is an oral diagnosis device, contamination can be further aggravated by bacteria in the mouth. Due to the contamination problem of the camera 102, users may be hesitant to use it.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102)의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구강 검진 부스(100)의 몸체(101)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카메라(102)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 카메라 살균장치(103)를 구비시킨다. 여기서 카메라 살균 장치(103)는 카메라(102)에 살균액을 분사하고 건조 기능을 통해 살균하는 화학적인 살균 방법, 자외선과 같은 파장을 이용하여 살균을 하는 물리적인 살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contamination problem of the camera 102, a camera sterilization device 103 capable of removing the contamination of the camera 102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101 of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Here, the camera sterilization apparatus 103 may use a chemical sterilization method of spraying a sterilizing solution to the camera 102 and sterilizing through a drying function, or a physical sterilization method of sterilizing using a wavelength such as ultraviolet rays.

이러한 살균 방법을 이용하여 카메라(102)를 살균함으로써, 카메라(102)가 오염이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용자가 항상 청결한 상태의 카메라(102)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By sterilizing the camera 102 using this sterilization method, the camera 102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always use the camera 102 in a clean state.

이용자는 조작부(111)를 통해 안내되는 안내 정보에 따라 카메라(102)에 구강을 촬영한다. The user photographs the oral cavity on the camera 102 according to the guide information guid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1 .

구강 촬영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13)는 카메라(102)를 통해 획득한 구강 이미지를 구강이미지 보정부(115)에 전달한다.When oral imaging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113 transmits the oral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02 to the oral image correcting unit 115 .

상기 구강이미지 보정부(115)는 입력된 구강 이미지를 보정하여 선명도를 높인다. 즉, 입력된 구강 이미지는 비정형화된 이미지로서, 카메라나 촬영자에 의해 화질이나 촬영 위치 등이 달라져 검진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The oral image correction unit 115 improves the sharpness by correcting the input oral image. That is, the input oral image is an atypical image, and the image quality or the photographing position may be changed by a camera or a photographer, so that the examination result may be different.

따라서 비정형화된 사진에 대하여 보정이 필요하다.Therefore, correction is required for atypical photos.

비정형화된 사진의 보정을 위해, 입력된 구강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고, 방향 조절을 하여 정면 이미지가 되도록 한다. 방향 조절은 구강 구조를 통해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인식하여 정면으로 조절을 할 수 있다. 이어, 방향이 조절된 분할 이미지를 이미지 샤핀 필터(Image Sharpen Filter)로 필터링 처리하여 선명도를 높인다. 여기서 이미지 샤핀 필터로 사진의 선명도를 높이는 기법은 이미 영상 처리분야에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or the correction of the atypical picture, the input oral image is divided into preset sizes, and the direction is adjusted to become a frontal image. Directional control is recognized as a method of recognizing the position through the oral structure and can be adjusted in the front. Then, the image sharpen filter (Image Sharpen Filter) to filter the direction-adjusted segmented image to increase the sharpness. Here, since the technique of increasing the sharpness of a picture with the image chaffine filter is a known technique in the image processing fiel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이용자는 구강 촬영이 종료된 상태에서, 검진 모드를 선택한다.Here, the user selects the examination mode in a state in which oral photographing is finished.

즉, 구강 촬영이 종료되면 화면에 검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이러한 화면에서 이용자는 검진 모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검진 목록은 간편 검진과 일반 검진 모드가 있다.That is, when oral imaging is finished, a checkup lis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user selects a checkup mode on this screen. Here, the checkup list includes a simple checkup and a general checkup mode.

간편 검진은 이용자의 개인 정보와 구강 이미지만을 이용하여 자가 검진을 요청하는 모드이며, 일반 검진은 이용자의 개인 정보와 구강 이미지 및 문진 정보를 제공하고 자가 검진을 요청하는 모드이다.The simple check-up is a mode that requests a self-examination using only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oral image, and the general check-up is a mode that requests the self-examination by provid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oral image and questionnaire information.

일반 검진 모드 시 문진 응답부(116)는 조작부(111)에 문진을 표시하고, 이용자가 응답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용자는 조작부(111)에 표시되는 문진 응답 요청에 대하여 응답을 한다. 응답은 답변을 선택하는 터치만으로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다. 문진 응답 요청에 따라 응답을 완료하고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한다.In the general examination mode, the questionnaire response unit 116 displays the questionnaire on the operation unit 111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a response. The user responds to the questionnaire response request displayed on the operation unit 111 . The response can be performed simply with a touch to select an answer. Complete the response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response request and request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간편 검진이 선택되거나 일반 검진의 문진 응답이 종료되면 제어부(113)는 이용자의 행위는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다.When the simple checkup is selected or the questionnaire response of the general checkup ends, the control unit 113 determines that the user's action has been completed.

이후, 제어부(113)는 간편 진단 모드 시 이용자 개인정보와 구강검진 진단결과 전송 위치 정보, 보정된 구강 이미지 정보 및 병력사항이나 복용약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한다. 아울러 일반 검진 모드 시에는 이용자 개인정보와 구강검진 진단결과 전송 위치정보, 보정된 구강 이미지 정보, 문진 응답 정보 및 병력사항이니 복용약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13 generates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ransmission location information, corrected oral image information, and medical history or medication information in the simple diagnosis mode. In addition, in the general examination mod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includ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ransmission location information, corrected oral image information,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such as medication information.

이후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통신부(112)를 통해 구강관리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Thereafter,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2 .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구강 검진 부스(100)로부터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구강건강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when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구강건강 관리서버(300)의 구강건강 연산부(310)의 이미지 등록부(311)는 전송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에 포함된 구강 이미지만을 추출하여 구강건강 검진대상 이미지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여기서 구강 이미지는, 개인이 직접 촬영하기에 촬영 환경이 각각 달라 실제 촬영 이미지 색상의 기준이 없다. 따라서 기준점을 잡아서 모든 사진들이 기준점과 동일하도록 색상 보정을 자동으로 진행한 후 저장한다.The image registration unit 311 of the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310 of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extracts only the oral image included in the transmit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and registers it in the internal database as an oral health examination target image. Here, since the oral image is taken by an individual, the shooting environment is different, so there is no standard for the color of the actual shot image. Therefore, after setting the reference point, color correc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so that all photos are identical to the reference point, and then saved.

이어, 구강 진단부(312)는 구강 이미지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진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치주염 상태 정보,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한다.Next, the oral diagnosis unit 312 learns the oral image with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to determine whether the picture can be analyzed, whether or not to correct, and whether to extract. Next, the determined result information is analyzed by object detection to obtain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periodontiti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and the obtained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are analyzed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lgorithm. learning to determine the state of oral health.

예컨대, 구강 이미지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 이미지 유무를 판단한다. 구강 이미지를 CNN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 이미지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촬영되어 등록 요청된 이미지가 구강 이미지인지 판정하는 CNN 모델이 구축된 것으로 가정한다. 사전 훈련된 CNN 모델은 VGG16(https://neurohive.io/en/popular-networks/vgg16/), ResNet50 등과 같이 이미 알려진 CNN 모델에 구강 이미지 범주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 데이터로는 구강 이미지 데이터, 추가할 범주의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ce of an oral image is determined by learning an oral image with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lgorithm.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ral image by learning an oral image with a CNN algorithm is shown in FIG. For this purpose, it is assumed that a CNN model that determines whether an image photographed and requested to be registered is an oral image is buil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re-trained CNN model by adding the oral image category to the already known CNN models such as VGG16 (https://neurohive.io/en/popular-networks/vgg16/) and ResNet50. The training data may be oral image data or image data of a category to be added.

이러한 구강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CNN 모델로 학습을 하여 구강 이미지 유무를 판단한다. 여기서 추가되는 학습 데이터의 양에 따라 학습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Using these oral image data, the CNN model is train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ral image. Here, the learning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learning data to be added.

구강 이미지 유무를 확인한 결과 구강 이미지로 판정이 되면, 구강 이미지를 도 5에 도시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교정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 5는 입력된 구강 이미지로부터 교정 여부를 판정하는 CNN 모델의 예시이다. 이러한 CNN 모델은 AutoKeras를 이용하여 CNN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사전 훈련된 VGG16, ResNet50 등을 이용한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 가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필요 데이터는 교정기 착용/미착용 구강 사진 데이터이며, CNN 모델에 구강 사진 범주 2가지(교정기 착용/미착용)를 추가함으로써, 간단하게 교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ral image, if it is determined as an oral image, the oral image is learned by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shown in FIG. 5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made. Here, Figure 5 is an example of a CNN model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correction from the input oral image. These CNN models can be built using AutoKeras. Transfer learning using pre-trained VGG16, ResNet50, etc. can also be used. Required data is oral photo data with/without braces, and by adding two categories of oral photos (with/without braces) to the CNN model, it is possible to simpl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orrect.

이러한 CNN 모델을 이용하여 교정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충분한 학습 시간 및 데이터가 필요하고, 학습 데이터의 증가는 결과적으로 계산량 증가를 유발한다. 따라서 이용자의 문진표 작성을 통해 교정 여부를 선택하도록 유도하여, 교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의 학습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Correction can be determined using this CNN model, but this also requires sufficient learning time and data, and an increase in the training data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omput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mit the learning process of the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alibrate by inducing the user to select whether to calibrate by creating a questionnaire.

문진표 작성을 통해 문진 정보가 제공된 경우, 문진 정보를 FFNN(Feed Forward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FFNN 알고리즘은 설문 응답(사용자 정보)이 입력이고, 진단 결과가 출력이 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이다. Tensorflow, Keras 등의 Python 기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입출력 구조에 적합한 FFNN를 설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화 함수, 손실 함수, 최적화 방법, 병렬 컴퓨팅 구조, 과적합 문제 등에 대해서는 최근 연구 및 분석된 FFNN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설문 응답)를 전처리하고, 전처리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와 검증 데이터로 분할한다. 이어, 학습 데이터는 신경 회로망 학습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고, 검증 데이터와 학습 결과 데이터를 검증 및 보완 절차를 통해 새롭게 설계된 신경 회로망으로 학습 된다. 그리고 검증 및 보완이 완료되면 최종 모델이 설문 진단 결과로 출력된다.When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questionnaire preparation, the questionnaire information is classified by the FFNN (Feed Forward Neural Network) algorithm. Here, the FFNN algorithm i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n which a questionnaire response (user information) is an input and a diagnosis result is an output. It is desirable to design and use an FFNN suitable for the input/output structure using a Python-based library such as Tensorflow or Keras. For activation functions, loss functions, optimization methods, parallel computing structures, and overfitting problems, FFNN algorithms that have been recently studied and analyzed can be used. The input data (survey response) is preprocessed, and the preprocessed data is divided into training data and verification data. Then, learning data is learned through neural network learning, and the validation data and learning result data are ver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a newly designed neural network. And when ver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re completed, the final model is output as a questionnaire diagnosis result.

여기서 구축된 CNN 모델을 이용하여 교정 여부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나, 부가적으로 동일한 CNN 모델을 이용하여 발치 여부도 판정할 수 있다. CNN 모델에 발치 구강 이미지 범주를 추가하면, 간단하게 발치 여부도 판정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made using the CNN model constructed here, but it is also possible to additionally determine whether tooth extraction is performed using the same CNN model. By adding the tooth extraction mouth image category to the CNN model, it is possible to simply determine whether or not tooth extraction has occurred.

다음으로, 판단한 교정 여부 정보와 발치 여부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위해 도 6과 같은 입력된 구강 이미지로부터 구강질환(치아우식) 및 보철물 탐지를 판정하는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 알고리즘을 구축한다. 구강질환 및 보철물 탐지를 판정하는 개체 탐지 알고리즘은 기개발된 Faster R-CNN, SSD, YOLO(W.Liu et al., 2015, arXiv(http://arxiv.org/abs/1512.02325))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개체 탐지 알고리즘으로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필요 데이터로는 구강질환 및 보철물이 표시된 구강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교정기 착용 여부를 구분하여 학습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치아우식과 보철물을 모두 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치아우식 상태정보는 치아우식의 존재 유무 정보와 치아우식이 존재할 경우 치아우식 개수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철물 상태정보는 보철물 존재 유무 정보와 보철물이 존재할 경우 보철물 개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우식 이미지 학습은 이용자가 제공한 구강 이미지가 전체 구강 부위의 어느 부위인지를 확인하고, 구강 부위 이미지의 위치를 확인한 후 이미지 학습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치아우식 존재 유무와 치아우식 개수를 추출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보철물 존재 유무와 보철물 개수도 추출한다.Next, the determined orthodontic information and tooth extraction information are analyzed by object detection to obtain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To this end,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determining detection of oral diseases (dental caries) and prostheses from the input oral image as shown in FIG. 6 is constructed. The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determining oral disease and prosthesis detection uses the previously developed Faster R-CNN, SSD, YOLO (W.Liu et al., 2015, arXiv (http://arxiv.org/abs/1512.02325)), etc. Available. As data required for obtaining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with the object detection algorithm, oral image data in which oral diseases and prostheses are displayed may be used. Accuracy can be improved by classifying whether or not to wear braces and learning.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ct both dental caries and prostheses with one algorithm. Here, the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ntal caries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dental caries when dental caries exists, and the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rosthesis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rostheses when there is a prosthesis. . Dental caries image learning checks which part of the entire oral region the oral image provided by the user is, and performs image learning after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oral region image, and through th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ntal caries and the number of dental caries are extracted. . In the same wa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sthesis and the number of prostheses are also extracted.

이어, 상기 교정 여부 정보 및 발치 여부 정보와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도 7과 같은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2019년 NIMS 산업수학 문제해결 워크숍 제안 모델)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ANN 알고리즘은 상기 교정 여부 정보와 발치 여부 정보와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입력(input)으로 하여, 구강 건강상태(구강건강도)를 판정한다. 이를 위해 전문의 또는 전공의로부터 획득한 신뢰할 수 있는 구강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환자의 구강건강도 판정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강 진단의 정확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획득한 구강 이미지 데이터에 교수급의 전문의가 환부 부위에 마킹을 한 구강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마킹도 단순 질병의 유무가 아닌 질병의 정도(우식의 경우 치아우식을 판별하는 체계인 ICDAS 등급을 활용) 및 보철, 레진, 저광화 등 치아 및 잇몸과 관련된 대부분의 경우의 수를 마킹한 것이다.Then, the oral health status by learning the orthodontic information, tooth extraction information,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with the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2019 NIMS industrial math problem solving workshop proposal model) as shown in FIG. judge Here, the ANN algorithm, which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determines an oral health state (oral health) by inputting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orthodontic,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extract teeth, dental caries state information, and prosthetic state information as inputs. For this purpose, the oral health level judgment data of the patient corresponding to the reliable oral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specialist or the specialist may be used. In order to promote the accuracy of oral diagnosis, the acquired oral image data may be used as oral image data in which a professor-level specialist marks the affected area. The marking also marks the number of most cases related to teeth and gums, such as prostheses, resins, and low mineralization, as well as the degree of disease (in the case of caries, ICDAS grade, a system for discriminating dental caries), no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mple disease.

상기 구강 건강 상태 판정이 완료되면 구강건강 예측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When the oral health state determination is completed, oral health predi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stored in an internal database.

다음으로, 구강건강정보 제공부(320)는 상기 판정을 통해 획득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구강관리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Next, the oral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0 transmit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obtained through the determination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

이때,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무단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암호화 모듈을 이용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는 전달받거나 미리 등록된 이용자 단말의 기기 ID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256비트의 웹 접근 토큰을 발생하는 방식을 이용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unauthorized leakage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s encrypted using an encryption module. Encryption uses a method of generating a 256-bit web access token using the device ID and user information of the received or pre-registered user terminal.

이렇게 암호화된 구강검진 진단결과는 구강관리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된다.The encryp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

구강관리 서비스 서버(200)는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에 포함된 구강검진 진단결과 전송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현장에 직접 인쇄물로 수령이면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구강 검진 부스(100)로 전송한다. 이와는 달리 구강검진 진단결과 전송 위치가 이용자의 단말일 경우,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MMS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자가 등록한 이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구강검진 진단결과는 구강 검진 보고서 형태일 수 있다.The oral care service server 200 check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ransmissi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if it is received as a printed matter directly at the site. Contrary to this, when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ransmission location is the user's terminal,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s converted into MMS data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registered by the user. Here,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may be in the form of an oral examination report.

구강건강 관리서버(300)에서 구강검진 진단결과가 이용자 단말이나 구강 검진 부스(100)까지 전송되기 이전에 해킹 등과 같은 방식에 의해 무단으로 허가되지 않은 자에게 유출되어도, 이용자 기기 ID(구강 검진 부스 ID)와 이용자 정보로 웹 토큰이 암호화되어 있어서, 이용자 기기 ID와 이용자 정보를 모르는 타인은 구강검진 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보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Even if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00 is leaked to unauthorized persons by means such as hacking before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r oral examination booth 100, the user device ID (oral examination booth 100) ID) and user information are encrypted web tokens, so others who do not know the user device ID and user information cannot check the oral examination result information, so security can be improved.

구강 검진 부스(100)의 통신부(112)는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제어부(113)에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2 of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transmits the receiv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the control unit 113 .

제어부(113)는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복호화 모듈을 이용하여 등록된 이용자 기기 ID(구강 검진 부스 ID)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웹 접근 토큰을 복호화한다. 복호화하는 암호화의 역순이 된다. 이용자 기기 ID와 이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암호화된 구강검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웹 토큰 발행 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가 구강검진 진단결과에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3 decrypts the web access token using the registered user device ID (oral examination booth ID) and user information using the decoding module for the receiv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Decryption is the reverse of encryption. If the user device ID and user information match, the encrypted oral examination result can be checked. By using encrypted information when issuing web token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unauthorized users from accessing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제어부(113)는 복호화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인쇄 출력부(117)로 전달하여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인쇄 출력부(117)는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프린터(120)의 형식에 맞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프린터(120)로 전달한다. 프린터(120)는 전달되는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한 후 출력해준다.The control unit 113 transmits the decod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the print output unit 117 to be printed. The print output unit 117 converts the receiv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nto a data format suitable for the format of the printer 120 and transmits it to the printer 120 . The printer 120 prints the deliver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on paper and then outputs it.

이로써 이용자는 현장의 구강 검진 부스(100)를 통해 구강 진단 결과를 실시간으로 인쇄물로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ser can check the oral examination result in real time as a printed product through the oral examination booth 100 at the site.

만약,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로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전송 위치를 선택하였으면, 이용자는 자신이 휴대한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수신한다. 이후, 미리 등록된 복호화 모듈을 이용하여 등록된 이용자 기기 ID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웹 접근 토큰을 복호화한다. 복호화하는 암호화의 역순이 된다.If the user selects the transmission location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with the user terminal, the user receive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using the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Thereafter, the web access token is decrypted using the registered user device ID and user information using the previously registered decryption module. Decryption is the reverse of encryption.

사용자 기기 ID와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암호화된 구강검진 결과를 열어볼 수 있다.If the user device ID and user information match, the encrypted oral examination result can be opened.

이렇게 웹 토큰 발행 시 암호화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가 구강검진 진단결과에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By using encryption information when issuing web token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unauthorized users from accessing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이용자는 구강진단 결과를 토대로 구강상태를 판단한다.The user judges the oral condition based on the oral diagnosis result.

여기서 구강진단 결과는 보고서 형태이며, 구강의 어느 질병이 있다는 전문의가 진단하는 정보가 아니며,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추후 다음 문제가 발생한다는 등의 상태 정보이다.Here, the oral diagnosis result is in the form of a report, and it is not information that a specialist diagnoses that there is a certain oral disease, but there may be a problem in a certain part, and if this state continues, the next problem will occur in the future.

예컨대, 구강진단 결과는 10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ral diagnosis result can be divided into 10 steps.

1 ~ 3단계는 좋음, 4 ~ 7단계는 보통, 8 ~ 10단계는 위험 등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구강진단 결과를 보고 단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구강 관리를 한다.Levels 1 to 3 are indicated as good, levels 4 to 7 are moderate, and levels 8 to 10 are marked as dangerous. Therefore, the user sees the oral diagnosis result, checks the stage, and manages the oral cavity through this.

특히, 사용자는 이러한 구강진단 결과 보고서를 통해 구강 상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이 되면( 구강진단 결과 8 ~ 10단계 범위), 즉시 치과를 방문하여 자신의 구강건강을 관리하고, 구강건강 악화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f the user determines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oral condition through the oral diagnosis result report (in the range of 8 to 10 stages of the oral diagnosis result), the user immediately visits the dentist to manage his or her oral health and prevent deterioration of oral health in advance. it will be preventabl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100: 구강 검진 부스
101: 몸체
102: 카메라
110: 제어기
111: 조작부
112: 통신부
113: 제어부
114: 메모리
115: 구강이미지 보정부
116: 문진 응답부
117: 인쇄 출력부
120: 프린터
200: 구강건강 서비스 서버
300: 구강건강 관리서버
310: 구강건강 연산부
311: 이미지 등록부
312: 구강 진단부
320: 구강건강정보 제공부
330: 데이터베이스
100: oral examination booth
101: body
102: camera
110: controller
111: control panel
112: communication department
113: control unit
114: memory
115: oral image correction unit
116: Questionnaire response unit
117: print output unit
120: printer
200: oral health service server
300: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310: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311: image register
312: oral diagnostic unit
320: oral health information provider
330: database

Claims (10)

이용자의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보정 한 후 보정한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매핑하여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구강 검진 부스;
상기 구강 검진 부스로부터 제공되는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구강건강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이용자에게 전송하는 구강관리 서비스서버; 및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로부터 전송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에 포함된 구강이미지를 진단하여 구강건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건강정보를 암호화하여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구강건강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강 검진 부스는 몸체에 내장되며, 이용자의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의 보정 및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보정하여 선명도를 높이는 구강이미지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이미지 보정부는 입력된 구강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고, 구강 구조를 통해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구강 이미지를 인식하여 구강 이미지가 정면 이미지가 되도록 방향 조절을 하며,
상기 구강 검진 부스는 상기 카메라의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소정 위치에는 카메라 살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After taking a picture of the user's oral cavity, correcting the captured user's oral image, mapping the corrected oral image and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and sending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Transmitting oral examination booth;
an oral care service server that transmits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ral examination booth to an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to request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ransmits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a user; and
The oral health information is generated by diagnosing the oral image included in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and the generated oral health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as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including a health management server;
The oral examination booth is built into the body,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user's oral cavity;
It is built into the body, and includes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corr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user's or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he controller includes an oral image correction unit that enhances sharpness by correcting the user's oral image taken through the camera,
The oral image correction unit divides the input oral image into preset sizes, recognizes the oral image by a method of recognizing the position through the oral structure, and adjusts the direction so that the oral image becomes a frontal image,
The oral examination booth is equipped with a camera sterilization devi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in order to solve the contamination problem of the camera, and booth-based self-oral exam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sterilizer is used to remove the contamination of the camera Device.
청구항 1에서, 상기 구강 검진 부스와 구강관리 서비스서버 및 구강건강 관리서버는 암호화된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송수신을 통해 해킹에 의한 자료 누출시에도 보안성을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al examination booth, oral care service server, and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encryp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to improve security even in case of data leakage due to hacking, booth-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서, 상기 구강 검진 부스는,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al examination booth,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body, comprising a printer for printing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s on pap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청구항 4에서, 상기 제어기는,
이용자가 구강 검진을 위해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서 출력된 기능 입력 신호에 따라 입력 기능을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용자의 구강 이미지의 보정 및 전송을 제어하며, 구강검진 진단결과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ler,
a manipula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for a user to manipulate for oral examination, and outputting a functio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function buttons;
Recognizing the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unit, controlling corr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user's or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청구항 5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강이미지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구강 이미지와 진단 요청 정보를 포함한 구강검진 진단요청정보를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구강검진 진단을 요청하고, 수신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l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oral image corrected by the oral image correction unit and diagnosis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to request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and the receiv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Booth-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to the control unit.
청구항 5에서, 상기 제어기는 구강검진 문진에 대한 이용자의 답변 정보를 조작부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이용자의 답변 정보를 이용하여 문진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문진 응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ler includes a questionnaire response unit that obtains the user's answer information to the oral examination questionnaire through the operation unit, generates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using the obtained user's respons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청구항 1에서, 상기 구강건강 관리서버는 구강검진 진단결과 전송 시 구강 검진 부스 ID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이용하여 접근 대상의 권한을 제한하여 보안성을 향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improves security by limiting the authority of the access target by using an access token using the oral examination booth ID and user information when transmitting the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청구항 1에서, 상기 구강건강 관리서버는 수신한 구강 이미지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사진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하는 구강건강 연산부; 상기 구강건강 연산부에서 판정한 구강건강정보를 구강검진 진단결과로 생성하고, 생성한 구강검진 진단결과를 암호화하여 상기 구강관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구강건강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ral health management server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by learning the received oral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picture can be analyzed, whether or not correction and tooth extraction, and detects the determined result information as an object An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that obtains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by analyzing (Object Detection), and determines oral health status by learning the acquired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lgorithm; Booth-based self comprising an oral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the oral health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as an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and encrypts the generated oral examination diagnosis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oral care service server oral examination device.
청구항 9에서, 상기 구강건강 연산부는 상기 구강 검진 부스로부터 전송된 구강 이미지를 구강건강 예측대상으로 등록하는 이미지 등록부; 상기 이미지 등록부에 등록된 이미지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이미지의 분석 가능 여부와 교정 여부 및 발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정보를 개체 탐지(Object Detection)로 분석하여 치아우식 상태 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교정 여부 정보 및 발치 여부 정보와 치아우식 상태정보 및 보철물 상태정보를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구강건강 상태를 판정하는 구강 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oral health calculation unit image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oral image transmitted from the oral examination booth as an oral health prediction target; By learning the image registered in the image registration unit with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mage can be analyzed, whether it is corrected, and whether or not tooth extraction is performed, and the determined result information is analyzed by object detection to obtain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an oral diagnostic unit that acquires the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oral health status by learning the acquired orthodontic status information, tooth extraction status information, dental caries status information, and prosthesis status information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lgorithm. booth-based self-examination device.


KR1020200115659A 2020-09-09 2020-09-09 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Active KR102392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59A KR102392912B1 (en) 2020-09-09 2020-09-09 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659A KR102392912B1 (en) 2020-09-09 2020-09-09 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59A KR20220033359A (en) 2022-03-16
KR102392912B1 true KR102392912B1 (en) 2022-05-03

Family

ID=8093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659A Active KR102392912B1 (en) 2020-09-09 2020-09-09 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91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6996A (en) * 2004-10-27 2006-05-18 Yoshida Dental Mfg Co Ltd Dental communication booth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37B1 (en) * 2007-06-01 2014-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through a web-based service
KR101836187B1 (en) 2015-10-30 2018-03-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user-costomized oral care service and
KR101868979B1 (en) 2016-05-31 2018-07-23 (주)이너웨이브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oral care using deep learning
KR101788030B1 (en) 2016-06-15 2017-11-15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System and method for risk diagnosis on oral disease and oral care
KR102028664B1 (en) * 2017-12-26 2019-10-07 (주)인더스웰 Healthcare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of based things of internet
KR20190129247A (en) * 2018-05-10 2019-11-20 (주)비포덴트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ental diagnosis
KR102135874B1 (en) * 2018-11-01 2020-07-20 프리즈머블 주식회사 Apparatus,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analysing state information
KR20200054366A (en) * 2018-11-05 2020-05-20 주식회사 큐티티 Children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6996A (en) * 2004-10-27 2006-05-18 Yoshida Dental Mfg Co Ltd Dental communication booth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59A (en)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398B1 (en) Mobile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US121068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ity analysis of clinical data
US119638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ity analysis of clinical data
US10937160B1 (en) Dental images process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311385B1 (en) Oral Health Predi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Dental Caries Detection
US20210398275A1 (en) Oral health predi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KR102388337B1 (en) Service provision method of the application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improvement service
WO2016057633A1 (en)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kin assessment and early detection of a latent pathogenic bio-signal anomaly
KR102041888B1 (en) Dental care system
KR20210044097A (en) Oral Health Predi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Periodontitis Detection
KR101202735B1 (en) Method for Remote Prescription Using Barcode System
KR102392912B1 (en) Booth based self-oral examination device
KR102392916B1 (en) Oral examination apparatus using examination booth
WO20080330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images relative to an object
KR102627428B1 (en) Oral examination method using oral examination booth
JP7490264B2 (en) TOOTH ANALYSIS SERVER, TOOTH ANALYSIS TERMINAL, AND TOOTH ANALYSIS PROGRAM
US20240203542A1 (en) Self-sampling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self-sampling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JP2023065876A (en) Mobile-based self oral cavity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US20220130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uthenticated testing applications
KR102627425B1 (en) Examination booth for oral examination
US202003811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health advice based on multimodal oral sensing data
US20160339299A1 (en) Integrated impairment value calculation system
WO2024116278A1 (en) System, server device, server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030003799A (en) Local iridology system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190123141A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analyzing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