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6015B1 - Manufacturing method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015B1
KR102626015B1 KR1020180146515A KR20180146515A KR102626015B1 KR 102626015 B1 KR102626015 B1 KR 102626015B1 KR 1020180146515 A KR1020180146515 A KR 1020180146515A KR 20180146515 A KR20180146515 A KR 20180146515A KR 102626015 B1 KR102626015 B1 KR 10262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olid oxide
cell stack
oxide fuel
sel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1122A (en
Inventor
김대환
최광욱
임상혁
허연혁
박광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4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01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1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01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6Processes for forming se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nd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Description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MANUFACTURING METHOD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Manufacturing method of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nd solid oxide fuel cell stack {MANUFACTURING METHOD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본 명세서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nd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연료전지는 목표 출력을 위하여 수십에서 수백장 수준의 단위셀을 직렬 연결이 필요하며, 특히 평판형 연료전지의 경우 셀들을 수직으로 적층(stacking)하여 원하는 목표 출력에 도달한다. 이때 층 간의 고른 면압 분포는 스택 성능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Fuel cells require tens to hundreds of unit cells to be connected in series to achieve the target outpu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lanar fuel cells, the cells are stacked vertically to reach the desired target output. At this time, even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between laye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stack performance and durability.

따라서,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의 구조적 장치 및 가압 방법의 개선 방안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 발명은 층간 접착과 밀봉형성을 위하여 사용하는 밀봉재의 사용 및 컨디셔닝(conditioning) 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various methods of improving structural devices and pressurizing methods are being attempted for this purpose. This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nd conditioning sealants used to form interlayer adhesion and sealing.

통상적으로 밀봉 형성을 위하여 유리 밀봉재를 사용하는데, 상온에서 각 구성의 접착면에 유리 밀봉재를 도포하거나 개스켓(gasket) 형태의 층(layer)을 삽입하여 적층 후 적절한 컨디셔닝(가열, 가압)을 거쳐 사용한다. 컨디셔닝을 거치는 중 유리전이온도(Tg)에서부터 유리가 녹기(softening) 시작되며, 이때 적절한 압력을 스택에 가해주어 층간의 캡(gap)을 메우며 동시에 적절한 두께를 형성하여 내부의 밀봉을 형성한다.Typically, a glass sealant is used to form a seal. The glass sealant is applied to the adhesive surface of each component at room temperature or a layer in the form of a gasket is inserted and laminated, followed by appropriate conditioning (heating, pressurization). use. During conditioning, the glass begins to melt (softening) from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t this time, appropriat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tack to fill the gap between layers and at the same time form an appropriate thickness to form an internal seal.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낮은 적층 수(예를 들어, 10개 이하의 셀을 포함하는 스택)의 스택 제작 시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고적층 스택의 제작 시에는 컨디셔닝 시에 가해지는 층간 온도 불균형에 의하여 밀봉재가 동시에 무너져 내리기가 쉽지 않아, 수직으로 곧은 스택 제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method does not pose a problem when manufacturing a stack with a low number of layers (e.g., a stack containing 10 or less cells), but when manufacturing a high-layer stack, the temperature imbalance between layers applied during conditioning causes a problem. It is difficult for the sealant to collapse at the same time, making it difficult to produce a vertically straight stack.

도 1은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는 전해질(Electrolyte)과 이 전해질의 양면에 형성되는 연료극(Anode) 및 공기극(Cathode)로 구성된다.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공기극에서 공기가 전기화학적으로 환원되면서 산소이온이 생성되고 생성된 산소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연료극으로 전달된다. 연료극에서는 수소, 메탄올, 부탄 등과 같은 연료가 주입되고 연료가 산소이온과 결합하여 전기화학적으로 산화되면서 전자를 내어놓고 물을 생성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외부회로에 전자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principle of electricity generation in a solid oxide fuel cell. The solid oxide fuel cell consists of an electrolyte, an anode, and a catho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Referring to Figure 1, which shows the principle of electricity generation in a solid oxide fuel cell, oxygen ions are generated as air is electrochemically reduced at the air electrode, and the generated oxygen ions are transferred to the fuel electrode through the electrolyte. In the anode, fuel such as hydrogen, methanol, butane, etc. is injected, and the fuel combines with oxygen ions and is electrochemically oxidized, giving up electrons and generating water. This reaction causes the movement of electrons to the external circuit.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71887호 (2005.07.08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71887 (published on July 8, 2005)

본 명세서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nd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본 명세서는 셀프레임 상에 각각 연료극, 전해질 및 공기극을 포함하는 단위셀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분리판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셀프레임과 상기 분리판 사이 및 상기 셀프레임과 단위셀 사이에 밀봉재를 구비하여 셀프레임에 밀봉재를 구비하는 단계; 및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프레임에 밀봉재를 구비하는 단계는 m개의 셀프레임에 유리전이온도가 동일한 밀봉재를 반복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단위 사이클을 n회 반복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사이클과 인접한 단위 사이클에서 사용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m은 각 단위 사이클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1 내지 30의 정수이고, 상기 n은 2 내지 20의 정수인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is specification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unit cells each including a fuel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n air electrode on a self-frame; providing a separator plate between the unit cells; providing a sealing material in the self-frame by providing a sealing material between the self-frame and the separation plate and between the self-frame and the unit cell; and the step of heating and pressurizing, 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a sealing material to the self-frame is to repeat n times a unit cycle consisting of repeatedly using a sealing material having the sam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m self-frames, and any one of the ab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ealing material used in the unit cycle and the adjacent unit cycl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m is an integer from 1 to 30 that is the same or different for each unit cycle, and n is an integer from 2 to 20.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is provided.

또한, 본 명세서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that is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nd satisfies Equation 1 below.

[식 1][Equation 1]

상기 식 1에 있어서,In equation 1 above,

Hmax는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가장 높은 높이이고, Hmin는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가장 낮은 높이이고, L은 셀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 중 가장 큰 길이이다.Hmax is the highest height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Hmin is the lowest height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nd L is the largest length of the self-frame either horizontally or vertically.

본 명세서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셀의 적층 수에 따라 셀 간에 도포된 밀봉재가 순차적으로 녹음으로써, 스택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올곧은 구조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aling material applied between cells sequentially mel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ells stacked, thereby preventing the stack from tilting, thereby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with an upright structure. You can.

도 1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비교예 1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셀프레임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lectricity generation principle of a solid oxide fuel cell (SOFC).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of Example 1.
Figure 3 shows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ccording to Example 1.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of Comparative Example 1.
Figures 5 to 8 show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of Comparative Example 1.
Figure 9 briefly shows the structure of Selfframe.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는 셀프레임 상에 각각 연료극, 전해질 및 공기극을 포함하는 단위셀을 구비하는 단계;This specification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unit cells each including a fuel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n air electrode on a self-frame;

상기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분리판을 구비하는 단계;providing a separator plate between the unit cells;

상기 셀프레임과 상기 분리판 사이 및 상기 셀프레임과 단위셀 사이에 밀봉재를 구비하여 셀프레임에 밀봉재를 구비하는 단계; 및providing a sealing material in the self-frame by providing a sealing material between the self-frame and the separation plate and between the self-frame and the unit cell; and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Including heating and pressurizing,

상기 셀프레임에 밀봉재를 구비하는 단계는 m개의 셀프레임에 유리전이온도가 동일한 밀봉재를 반복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단위 사이클을 n회 반복 수행하는 것이고,The step of providing a sealing material to the self-frame is to repeat n times a unit cycle consisting of repeatedly using a sealing material with the sam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m self-frames,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사이클과 인접한 단위 사이클에서 사용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가 서로 상이하고,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ealing material used in one of the unit cycles and the adjacent unit cycl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m은 각 단위 사이클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1 내지 30의 정수이고,The m is an integer from 1 to 30 that is the same or different for each unit cycle,

상기 n은 2 내지 20의 정수인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wherein n is an integer of 2 to 20.

이로써, 단위셀 사이에 도포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가 모두 동일한 경우, 또는 단위셀 사이에 도포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 경향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적층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 도포 사이클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단위 도포 사이클에서 도포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므로, 고온 및 고압에서 가열 및 가압할 때 상층부에 위치한 밀봉재부터 하층부에 위치한 밀봉재까지 순차적으로 녹음(softening)으로써, 셀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sealing materials applied between unit cells are all the same o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sealing materials applied between unit cells do not sequentially decrease but increase or decrease, etc., there is no tendency. It has excellent lamination stability. Specificall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ealant applied in each unit application cycle sequentially de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unit application cycles, so when heated and pressed at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sealant located in the upper layer to the sealant located in the lower layer By sequentially softening the ce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ll from tilting.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셀프레임”은 단위셀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윈도우 프레임으로 호칭될 수 있으며, 세라믹 및 금속제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도 9에 나타내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cell frame”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unit cells, may be referred to as a window frame, and may be made of either ceramic or metal. This is shown in Figure 9.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이란, 연료극, 전해질 및 공기극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가장 기본 단위(unit)를 의미한다. m개의 단위셀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때는, 어느 하나의 단위셀에 포함된 연료극과 다른 단위셀에 포함된 공기극이 맞닿도록 적층하게 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unit cell” refers to the most basic unit of a fuel cell including a fuel electrode, electrolyte, and air electrode. When m unit cells are sequentially stacked, they are stacked so that the fuel electrode included in one unit cell and the air electrode included in another unit cell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연료전지의 각 구성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연료극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공기극에 공급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의 가스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밀봉재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열기계적 안정성 및 장기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핵심 부품이다. 한편, 상기 밀봉재는 “실링재 조성물”로 표현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ealing material” may be used as a connecting material that connects each component of the fuel cell to each other, prevents the fuel gas supplied to the anode and the air supplied to the cathode from mixing with each other, and prevents gas leakage to the outside. It plays a role in preventing. These sealing materials are very important core components to ensure the thermomechanical stability and long life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Meanwhile, the sealant may be expressed as a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단위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연료 가스와 공기의 혼합을 막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분리판은 기본적으로 Fe-Cr을 기본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용하며, 공기극과 연료극에는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유로)를 제공하며, 셀과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이 필요하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eparator plate” is configured to prevent mixing of fuel gas and air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cells. The separator basically uses a ferritic stainless steel plate based on Fe-Cr, provides a passage for gas to move through the air electrode and fuel electrode, and requires a function to electrically connect cells. .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단위 사이클”이란, 단위셀 사이에 밀봉재를 도포하여 m개의 단위셀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하나의 사이클을 의미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단위 도포 사이클 내에서 도포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는 동일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unit cycle” means one cycle consisting of sequentially stacking m unit cells by applying a sealant between unit cells. Additionall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ealant applied within one unit application cycle may be the sam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사이클과 인접한 단위 사이클”이란, 순서가 인접한 단위 사이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위 사이클과 제2 단위 사이클은 인접한 것이고, 제1 단위 사이클과 제3 단위 사이클은 순서가 인접하지 않은 단위 사이클이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cycle adjacent to any one unit cycle” may mean a unit cycle adjacent in order. For example, the first unit cycle and the second unit cycle are adjacent, and the first unit cycle and the third unit cycle are unit cycles that are not adjacent in ord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는 Transition temperature로, 밀봉재의 열적 성질, 화학적 성질, 기계적 성질 또는 전기적 성질과 관련된 물성이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일본 시마즈사 DSC-60A)를 사용하여 분당 10℃의 조건으로 상온에서 800℃까지 승온하며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밀봉재를 펠릿(pellet) 형태로 제작한 후, Dilatometer를 이용하여 온도의 변화에 따른 열팽창 정도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ealant” refers to the transition temperature and is a physical property related to the thermal, chemical, mechanical, or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sealan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measur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from room temperature to 800°C at 10°C per minute using a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60A, Shimadzu, Japan). Alternatively, after manufacturing the sealing material in the form of a pellet, the degree of thermal expansion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s can be measured and calculated using a dilatomet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의 조성은 상기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osition of the sealing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atisfie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condition of the sealing materia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유리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리 분말은 유리 상태에 있는 물질의 분말을 의미한다. 이때, 유리 상태는 용융된 액체가 냉각하여 결정화되지 않고 그대로 응고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유리 상태에 있는 무기 물질을 유리라고 한다. 상기 유리 분말은 당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유리 분말은 산화물 유리의 분말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aling material may include glass powder. Here, the glass powder refers to a powder of a material in a glass state. At this time, the glassy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olten liquid cools and solidifies without crystallizing, and the inorganic material in the glassy state is called glass. The glass powder may be a powder of glass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glass powder may be a powder of oxide glas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분말은 B2O3, Bi2O3, Li2O, Na2O, K2O, Rb2O, Cs2O, Sb2O3, SnO, La2O3, 및 Pb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화합물을 포함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lass powder is B 2 O 3 , Bi 2 O 3 , Li 2 O, Na 2 O, K 2 O, Rb 2 O, Cs 2 O, Sb 2 O 3 , SnO, It includes at least one first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 2 O 3 and PbO.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분말은 Al2O3, BaO, CaO, MgO, ZnO, SrO, TiO2, 및 Y2O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화합물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lass powde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 2 O 3 , BaO, CaO, MgO, ZnO, SrO, TiO 2 , and Y 2 O 3 do.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분말은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lass powder includes silicon dioxide (SiO 2 ).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화합물, 제2 화합물 및 SiO2의 함량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유리 분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1 wt% 내지 60wt%, 또는 16 wt% 내지 20wt%, 45 wt% 내지 55wt%, 10wt% 내지 15wt%, 또는 0.1 wt% 내지 3wt%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s of the first compound, the second compound, and SiO 2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are 0.1 wt% to 60 wt%, or 16 wt% to 20 wt%,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lass powder. , 45 wt% to 55 wt%, 10 wt% to 15 wt%, or 0.1 wt% to 3 wt%.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조성물은 바인더, 가소제, 분산제 및 용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가소제, 분산제 및 용매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alant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binder, a plasticizer, a dispersant, and a solvent. The binder, plasticizer, dispersant, and solven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mmon material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Poly(butyl methacrylate), PBMA)와 폴리(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poly(2-ethylhexyl methacrylate), PEHMA)의 공중합체(PBMA-PEHMA), 에틸셀룰로오즈(Ethyl cellulose, EC), 폴리비닐이소부티랄(PViB, Poly vinylisobutyral) 및 폴리(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PEHA, Poly(2-ethylhexyl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OKEN LRRS001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inder is poly(butyl methacrylate) (PBMA) and poly(2-ethylhexyl methacrylate) (PEHMA) copolymer (PBMA-PEHMA), ethyl cellulose (EC), polyvinyl isobutyral (PViB, Poly vinylisobutyral) and poly (2-ethylhexyl acrylate) (PEHA, Poly(2-ethylhexylacrylat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referably SOKEN LRRS001.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1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alant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binder may be 1% by weight or more and 20% by weight or les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상용 제품인 디부틸프탈레이트(DBP, Di-butyl-phthalate), 디-2-에틸헥실 프탈레이트(DOP, Di-2-ethylhexyl phthalate),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NP, Di-isononyl phthalate),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DP, Di-isodecylphthalate) 및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BBP, Butyl benzyl 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lasticizer is commercial products such as dibutyl phthalate (DBP, Di-butyl-phthalate), di-2-ethylhexyl phthalate (DOP, Di-2-ethylhexyl phthalate), and di-isononyl phthalate. It may be at least one of (DINP, Di-isononyl phthalate), di-isodecyl phthalate (DIDP, Di-isodecylphthalate), and butyl benzyl phthalate (BBP, Butyl benzyl phthalat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alant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may be 0.1% by weight or more and 5% by weight or les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BYK-110, BYK-111 및 BYK-112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spersant may be at least one of BYK-110, BYK-111, and BYK-112.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5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alant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dispersant may be 5% by weight or more and 15% by weight or les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유리 분말을 분산시키고 막 또는 그린시트로부터 제거하기 용이한 물질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매는 물, 이소프로판올(iso propanol), 톨루엔,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카비톨(BC) 및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BCA)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disperses the glass powder and is easy to remove from the film or green sheet, and common material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For example, the solv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water, isopropanol, toluene, ethanol, n-propanol, n-butyl acetate, ethylene glycol, butyl carbitol (BC), and butyl carbitol acetate (BCA). It can be includ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용매의 함량은 10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alant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solvent may be 10% by weight or more and 40% by weight or less.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단위 도포 사이클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단위 도포 사이클에서 도포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가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이란, 어느 하나의 도포 사이클에서 도포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보다 그 다음 번째의 도포 사이클에서 도포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가 작은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ealant applied in each unit application cycle sequentially de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unit application cycles. Sequential decrease means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ealant applied in the next application cycle is small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ealant applied in one application cycl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m은 하나의 단위 도포 사이클에서 적층되는 단위셀의 개수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m refers to the number of unit cells stacked in one unit application cycl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m은 2 내지 30의 정수, 2 내지 20의 정수, 또는 5 내지 15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하나의 단위 도포 사이클에서 적층되는 단위셀의 개수가 일정 범위로 유지되므로, 스택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스택이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 may be an integer of 2 to 30, an integer of 2 to 20, or an integer of 5 to 15.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number of unit cells stacked in one unit application cycle i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so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tack from tilting even if the height of the stack increases.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n은 스택 전체에 포함되는 단위 도포 사이클의 개수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n refers to the number of unit application cycles included in the entire stack.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n은 2 내지 20의 정수, 2 내지 15의 정수, 또는 3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포 사이클의 개수를 일정 범위로 조절하여, 스택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스택이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 may be an integer of 2 to 20, an integer of 2 to 15, or an integer of 3 to 10.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number of application cycles can be adjusted to a certain rang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tack from tilting even if the stack height increases.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m과 상기 n을 곱한 값은 스택에 포함되는 단위셀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oduct of m and n means the total number of unit cells included in the stack.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m과 상기 n을 곱한 값이 10 내지 300, 10 내지 100, 20 내지 80, 또는 2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스택에 포함되는 단위셀을 개수를 일정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oduct of m and n may be 10 to 300, 10 to 100, 20 to 80, or 20 to 50. If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number of unit cells included in the stack can be adjusted to a certain rang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사이클과 인접한 단위 사이클에서 사용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의 차이가 100℃ 이상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2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사이클마다 도포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 분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ealing material used in any one of the unit cycles and the adjacent unit cycle is 100 ℃ or more and 300 ℃ or less, preferably 120 ℃ or more and 250 ℃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30℃ or higher and 200℃ or lower, and n is an integer of 2 or higher.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sealant applied for each cycle can be effectively achiev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도포된 밀봉재를 녹이고(softening), 스택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단위셀 간의 gap을 메우고, 스택 내부의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s are steps for melting (softening) the applied sealant, applying appropriate pressure to the stack to fill gaps between unit cells, and forming a seal inside the stack.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400℃ 내지 750℃의 최종 온도 및 100 kgf/(15*15cm2) 내지 350 kgf/(15*15cm2)의 최종 압력 조건에서, 1 시간 내지 10 시간 동안 상기 최종 온도 및 최종 압력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연료전지 스택이 무너지지 않고 올곧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is performed at a final temperature of 400°C to 750°C and a final pressure of 100 kgf/(15*15cm 2 ) to 350 kgf/(15*15cm 2 ), The final temperature and final pressure may be maintained for 1 to 10 hours.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fuel cell stack can be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without collapsing.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건은 해당 면적에 해당 힘을 가하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kgf/(15*15cm2)은 15*15cm2의 면적에 100kgf의 힘을 가하는 것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sure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for applying a corresponding force to the corresponding area. For example, 100 kgf/(15*15cm 2 ) may mean applying a force of 100 kgf to an area of 15*15cm 2 .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초기 온도에서부터 0.25 ℃/min 내지 1℃/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기 온도는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의 초기 온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5℃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may be heating from the initial temperature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0.25 ℃/min to 1 ℃/min. The initial temperature may be an initial temperature before performing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s, and may be, for example, 25°C.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초기 압력에서부터 0.5 kgf/[(15*15cm2)*min] 내지 3 kgf/[(15*15cm2)*min]의 가압 속도로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is performed at a pressing rate of 0.5 kgf/[(15*15cm 2 )*min] to 3 kgf/[(15*15cm 2 )*min] from the initial pressure. It may be pressurizin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2회 이상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회 내지 10회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n회번째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를 제n 가열 및 가압단계로 표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s may be performed two or more times, and specifically, may be performed 2 to 10 times. The nth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can be expressed as the nth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또한, 각 단계의 온도 및 압력 조건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of each stage can be adjusted differentl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수행 횟수에 따라 최종 온도 및 최종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may increase or decrease one or more of the final temperature and final pressure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it is performed. For example,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수행 횟수에 따라 최종 온도 및 최종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may increase one or more of the final temperature and final pressure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it is perform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수행 횟수에 따라 최종 온도 및 최종 압력이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제1 가열 및 가압단계 및 제2 가열 및 가압단계의 2회로 수행되고, 제2 가열 및 가압단계의 최종 온도 및 최종 압력은 제1 가열 및 가압단계의 최종 온도 및 최종 압력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nal temperature and final pressure may increase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is performed twice, a first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and a second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and the final temperature and final pressure of the second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are the final temperature and final pressure of the first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It may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and final pressur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가열 및 가압하는 하나의 사이클을 2회 이상 수행하는 것이고, 사이클을 증가함에 따라 수행 온도가 25℃ 내지 100℃, 30℃ 내지 90℃ 또는 35℃ 내지 80℃씩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involves performing one cycle of heating and pressurizing two or more times, and as the number of cycles increases, the performance temperature ranges from 25°C to 100°C and 30°C to 90°C. Alternatively, it may increase by 35°C to 80°C.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2회 이상 수행되고, 수행 횟수에 따라 최종 압력이 10 내지 150kgf/(15*15cm2),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kgf/(15*15cm2),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kgf/(15*15cm2) 증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s are performed two or more times, an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performed, the final pressure is 10 to 150 kgf/(15*15cm 2 ), preferably 20 to 120 kgf/(15* 15cm 2 ), more preferably 30 to 100kgf/(15*15cm 2 ).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각 층마다 도포된 밀봉재가 동시에 녹는 것(softening)이 아니라, 상층부에 위치한 밀봉재부터 하층부에 위치한 밀봉재까지 순차적으로 녹게 함으로써, 스택이 한번에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 온도 및 수행 압력을 상기 수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은 도포된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를 고려한 것이다.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the stack is prevented from collapsing at once by melting the sealant applied to each layer sequentially from the sealant located in the upper layer to the sealant located in the lower layer, rather than melting simultaneously. In addition, adjusting the operating temperature and operating pressure within the above numerical range takes into accoun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pplied sealan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를 구비하는 방법은 밀봉재 조성물을 스크린 프린팅하는 방법; 밀봉재 조성물을 주사기를 통해 직접 도포하는 방법; 및 가스켓으로 제작된 밀봉재를 구비하는 방법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ethod of providing the sealant includes a method of screen printing a sealant composition; A method of directly applying the sealant composition through a syringe;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ealant made of a gasket.

본 명세서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한다.This specification provides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nd satisfying Equation 1 below.

[식 1][Equation 1]

상기 식 1에 있어서,In equation 1 above,

Hmax는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가장 높은 높이이고,Hmax is the highest height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Hmin는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가장 낮은 높이이고,Hmin is the lowest height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L은 셀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 중 가장 큰 길이이다.L is the largest horizontal or vertical length of the self-fram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Hmax는 제조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평평한 지면에 놓았을 때, 스택의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셀의 가장 높은 지점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Hmax refers to the distance from the highest point of the unit cell located on the top layer of the manufactured solid oxide fuel cell stack to the ground when placed on a flat ground.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Hmin는 제조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평평한 지면에 놓았을 때, 스택의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셀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Hmin refers to the distance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unit cell located on the top layer of the manufactured solid oxide fuel cell stack to the ground when placed on a flat ground.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는 연료전지 스택의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분자의 Hmax-Hmin은 기울어진 연료전지 스택 의높이 차이를 의미하며, L은 셀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 중 가장 큰 길이를 의미하므로, 상기 는 연료전지 스택의 기울어진 각도(θ)의 탄젠트(tangent)값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may mean the tilt angle of the fuel cell stack. Hmax-Hmin in the molecule refers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tilted fuel cell stack, and L refers to the largest length of the self-frame horizontally or vertically. means the tangent value of the tilt angle (θ) of the fuel cell stack.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식 1]은 하기 [식 2] 또는 [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ormula 1] may be expressed as the following [Formula 2] or [Formula 3].

[식 2][Equation 2]

[식 3][Equation 3]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이온 전도성을 가지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산화 지르코늄계, 산화 세륨계, 산화 란탄계, 산화 티타늄계, 산화 비스무스계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질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ScSZ), 사마리아 도핑된 세리아(SDC), 가돌리니아 도핑된 세리아(GDC)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olyte may include a solid oxide having ion conductivity. 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olyte is a composite metal oxide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irconium oxide-based, cerium oxide-based, lanthanum oxide-based, titanium oxide-based, and bismuth oxide-based materials. may include.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lyte may include yttria-stabilized zirconia (YSZ), scandia-stabilized zirconia (ScSZ), samaria-doped ceria (SDC), and gadolinia-doped ceria (GDC).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YSZ는 이트리아(yttria) 안정화 산화 지르코늄으로서, (Y2O3)x(ZrO2)1-x로 표현될 수 있고, x는 0.05 내지 0.15일 수 있고, 상기 ScSZ는 스칸디나비아 안정화 산화 지르코늄으로서, (Sc2O3)x(ZrO2)1-x로 표현될 수 있고, x는 0.05 내지 0.15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SDC는 사마륨 도프 세리아로서, (Sm2O3)x(CeO2)1-x로 표현될 수 있고, x는 0.02 내지 0.4일 수 있으며, 상기 GDC는 가도리움 도프 세리아로서, (Gd2O3)x(CeO2)1-x로 표현될 수 있고, x는 0.02 내지 0.4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YSZ is yttria-stabilized zirconium oxide, and may be expressed as (Y 2 O 3 ) x (ZrO 2 ) 1-x , and x may be 0.05 to 0.15. , the ScSZ is Scandinavian stabilized zirconium oxide, and can be expressed as (Sc 2 O 3 ) x (ZrO 2 ) 1-x , and x can be 0.05 to 0.15.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DC is samarium dope ceria, and may be expressed as (Sm 2 O 3 ) x (CeO 2 ) 1-x , x may be 0.02 to 0.4, and the GDC is Gadorium dopseria, and can be expressed as (Gd 2 O 3 ) x (CeO 2 ) 1-x , and x can be 0.02 to 0.4.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공기극은 산소이온 전도성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산소이온 전도성을 가진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ir electrode may include an oxygen ion 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inorganic partic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oxygen ion conductivity, but those commonly used in the art can be adopted.

예를 들면, 상기 공기극의 무기물은 이트리아(yttria) 안정화 산화 지르코늄(zirconia)(YSZ: (Y2O3)x(ZrO2)1-x, x = 0.05 ~ 0.15), 스칸디아 안정화 산화 지르코늄(ScSZ: (Sc2O3)x(ZrO2)1-x, x = 0.05 ~ 0.15), 사마륨 도프 세리아(ceria)(SDC:(Sm2O3)x(CeO2)1-x, x = 0.02 ~ 0.4), 가돌리늄 도프 세리아(ceria)(GDC:(Gd2O3)x(CeO2)1-x, x = 0.02 ~ 0.4), 란탄 스트론튬 망간 산화물(Lanthanum strontium manganese oxide: LSM), 란탄 스트론튬 코발트 페라이트 (Lanthanum strontium cobalt ferrite: LSCF), 란탄 스트론튬 니켈 페라이트(Lanthanum strontium nickel ferrite: LSNF), 란탄 칼슘 니켈 페라이트(Lanthanum calcium nickel ferrite: LCNF), 란탄 스트론튬 코발트 산화물(Lanthanum strontium cobalt oxide: LSC), 가돌리늄 스트론튬 코발트 산화물(Gadolinium strontium cobalt oxide: GSC), 란탄 스트론튬 페라이트 (Lanthanum strontium ferrite: LSF), 사마리움 스트론튬 코발트 산화물 (Samarium strontium cobalt oxide: SSC), 바리움 스트론튬 코발트 페라이트(Barium Strontium cobalt ferrite : BSCF) 및 란탄 스트론튬 갈륨 마그네슘 산화물(Lanthanum strontium gallium magnesium oxide: LSG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organic material of the air electrode includes yttria stabilized zirconia ( YSZ : (Y 2 O 3 ) ScSZ : (Sc 2 O 3 ) x ( ZrO 2 ) 1-x , x = 0.05 to 0.15), samarium doped ceria (SDC: (Sm 2 O 3 ) 0.02 ~ 0.4), gadolinium dope ceria (GDC: (Gd 2 O 3 ) x (CeO 2 ) 1-x , x = 0.02 ~ 0.4), lanthanum strontium manganese oxide (LSM), lanthanum Lanthanum strontium cobalt ferrite (LSCF), Lanthanum strontium nickel ferrite (LSNF), Lanthanum calcium nickel ferrite (LCNF), Lanthanum strontium cobalt oxide (LSC) , Gadolinium strontium cobalt oxide (GSC), Lanthanum strontium ferrite (LSF), Samarium strontium cobalt oxide (SSC), Barium Strontium cobalt ferrite (BSCF) ) and lanthanum strontium gallium magnesium oxide (LSGM).

상기 연료극은 산소이온 전도성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극의 무기물은 산소이온 전도성을 가진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The fuel electrode may include an oxygen ion 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inorganic material of the fuel electro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oxygen ion conductivity, but any material commonly used in the art can be adopted.

예를 들면, 상기 연료극의 무기물은 전술한 전해질에 포함되는 산소이온 전도성 무기물과 동일한 무기물과 함께 니켈 옥사이드가 혼합된 세메트(cermet)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organic material of the fuel electrode may be cermet, which is a mixture of nickel oxide and the same inorganic material as the oxygen ion 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contained in the above-mentioned electrolyt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공기극, 전해질 및 연료극을 포함하는 단위셀을 30장 준비하였다. 또한, 30장 셀을 지지해 줄 셀프레임 30장과, 분리판 29장, 엔드플레이트 2장을 준비하였다.Thirty unit cells containing an air electrode, electrolyte, and fuel electrode were prepared. In addition, 30 self-frames, 29 separator plates, and 2 end plates were prepared to support the 30 cells.

제1 밀봉재 재료로 SiO2 16 내지 20wt%, B2O3 16 내지 20 wt%, BaO 45 내지 55wt%, CaO 10 내지 15 wt%, MgO 0.1 내지 3wt%, Al2O3 0.1 내지 3wt% 및 SrO 0.1 내지 3 wt%를 포함하는 제1 유리를 준비하였다. 이때, 제1 유리의 유리전이온도는 570℃이다.The first sealant material is SiO 2 16 to 20 wt%, B 2 O 3 16 to 20 wt%, BaO 45 to 55 wt%, CaO 10 to 15 wt%, MgO 0.1 to 3 wt%, Al 2 O 3 0.1 to 3 wt%, and A first glass containing 0.1 to 3 wt% SrO was prepared. At this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glass is 570°C.

제2 밀봉재 재료로 SiO2 20 내지 30wt%, B2O3 5 내지 15 wt%, CaO 5 내지 15 wt%, 및 BaO 45 내지 55 wt%를 포함하는 제2 유리를 준비하였다. 이때, 제2 유리의 유리전이온도는 720℃이다.A second glass containing 20 to 30 wt% of SiO 2 , 5 to 15 wt% of B 2 O 3 , 5 to 15 wt% of CaO, and 45 to 55 wt% of BaO was prepared as a second sealant material. At this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econd glass is 720°C.

바인더(SOKEN LRRS001) 10 중량부가 포함된 톨루엔 용매에 상기 유리 각각을 79wt%로 혼합하여 제1 밀봉재 페이스트 및 제2 밀봉재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A first sealant paste and a second sealant paste were prepared by mixing each of the above glasses at 79 wt% in a toluene solvent containing 10 parts by weight of binder (SOKEN LRRS001).

상기 셀프레임 상에 단위셀을 구비하였으며, 각 단위셀 사이에 상기 분리판을 구비하였다.Unit cells were provided on the self-frame, and the separation plate was provided between each unit cell.

셀프레임과 분리판 사이 및 셀프레임과 단위셀 사이에는 각각 밀봉재를 구비하였다.A sealing material was provided between the self-frame and the separator plate and between the self-frame and the unit cell.

1 내지 10번째의 셀프레임에는 밀봉재 재료로 상기 제1 밀봉재 페이스트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도포하였으며, 11번째 내지 20번째 셀프레임에는 밀봉재 재료로 상기 제2 밀봉재 페이스트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21번째 내지 30번째 셀프레임에는 밀봉재 재료로 상기 제1 밀봉재 페이스트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The first sealant paste was applied as a sealant material to the 1st to 10th self-frames using a syringe, the second sealant paste was applied to the 11th to 20th self-frames using a syringe as a sealant material, and the 21st self-frame was applied as a sealant material using a syringe. The first sealant paste was applied as a sealant material to the 30th to 30th self-frames using a syringe.

제조된 스택을 가열 가압이 가능한 퍼니스(conditioning furnace) 내부의 정가운데 위치시키고, 장비를 이용하여 25℃의 초기 온도로부터 0.25℃/min 내지 1℃/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여 퍼니스 내부의 온도가 540℃ 내지 550℃가 유지되고, 40 내지 100kgf/(15*15cm2)의 초기 압력으로부터 150kgf/(15*15cm2)의 최종 압력까지 가압하여 1 내지 2 시간 유지하였다. 이때, 제1 밀봉재 페이스트가 도포된 21층 내지 30층의 밀봉재가 무너져 내리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manufactured stack is placed in the center of a heating and pressurizing furnace (conditioning furnace) and heated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0.25°C/min to 1°C/min from an initial temperature of 25°C using equipment to rai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furnace. 540°C to 550°C was maintained, and pressure was maintained from an initial pressure of 40 to 100kgf/(15*15cm 2 ) to a final pressure of 150kgf/(15*15cm 2 ) for 1 to 2 hours.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21st to 30th layers of sealant to which the first sealant paste was applied were collapsing.

이후, 0.25℃/min 내지 1℃/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여 퍼니스 내부의 최종 온도가 600℃가 유지되고, 200kgf/(15*15cm2)의 최종 압력까지 가압하여 1 시간 내지 2 시간 유지하였다. 이때, 제2 밀봉재가 도포된 11층 내지 20층의 밀봉재가 무너져 내리는 것을 확인하였다.Thereafter, the final temperature inside the furnace was maintained at 600°C by heating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0.25°C/min to 1°C/min, and the furnace was pressurized to a final pressure of 200kgf/(15*15cm 2 ) and maintained for 1 to 2 hours. .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11th to 20th layers of sealant to which the second sealant had been applied were collapsing.

상기 제조과정을 도 2에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nceptually shown in Figure 2.

최종 완성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층의 밀봉재가 순차적으로 녹음(softening)으로써, 스택이 기울어지지 않고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final completed solid oxide fuel cell stack is shown in Figure 3.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ack was manufactured without tilting by sequentially softening the sealing material of each layer.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기극, 전해질 및 연료극을 포함하는 단위셀을 30장 준비하였다. 또한, 30장 셀을 지지해 줄 셀 프레임 30장과, 인터커넥트 29장, 엔드플레이트 2장을 준비하였다.Thirty unit cells containing the same air electrode, electrolyte, and fuel electrode as in Example 1 were prepared. In addition, 30 cell frames, 29 interconnects, and 2 end plates were prepared to support the 30 cells.

1 내지 30번째 셀프레임까지 동일한 제1 밀봉재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스택을 제조하였다.A stack was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same first sealant paste to the 1st to 30th self-frames.

제조된 스택을 가열 가압이 가능한 퍼니스(conditioning furnace) 내부의 정가운데 위치시키고, 장비를 이용하여 25℃의 초기 온도로부터 0.25℃/min 내지 1℃/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여 퍼니스 내부의 온도가 570℃가 유지되고, 40 내지 100kgf/(15*15cm2)의 초기 압력으로부터 250kgf/(15*15cm2)의 최종 압력까지 가압하여 1 내지 2 시간 유지하였다. 이때, 제1 밀봉재 페이스트가 도포된 1층 내지 30층의 밀봉재가 동시에 무너져 내리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manufactured stack is placed in the center of a heating and pressurizing furnace (conditioning furnace) and heated at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0.25°C/min to 1°C/min from an initial temperature of 25°C using equipment to rai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furnace. 570°C was maintained, and the pressure was increased from an initial pressure of 40 to 100 kgf/(15*15cm 2 ) to a final pressure of 250 kgf/(15*15cm 2 ) and maintained for 1 to 2 hours.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1st to 30th layers of sealant to which the first sealant paste was applied collapsed simultaneously.

상기 제조과정을 도 4에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nceptually shown in Figure 4.

최종 완성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층의 밀봉재가 동시에 녹음(softening)으로써, 스택이 기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final completed solid oxide fuel cell stack is shown in Figures 5 to 8.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stack is tilted due to simultaneous softening of the sealant of each layer.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1의 결과로부터, 상술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연료전지 스택이 기울어지지 않고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From the result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fuel cell stack could be manufactured without tilting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described above.

Claims (10)

셀프레임 상에 각각 연료극, 전해질 및 공기극을 포함하는 단위셀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분리판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셀프레임과 상기 분리판 사이 및 상기 셀프레임과 단위셀 사이에 밀봉재를 구비하여 셀프레임에 밀봉재를 구비하는 단계; 및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프레임에 밀봉재를 구비하는 단계는 m개의 셀프레임에 유리전이온도가 동일한 밀봉재를 반복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단위 사이클을 n회 반복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사이클과 인접한 단위 사이클에서 사용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m은 각 단위 사이클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1 내지 30의 정수이고,
상기 n은 2 내지 20의 정수인 것이고,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가열 및 가압하는 하나의 사이클을 2회 이상 수행하는 것이고, 사이클을 증가함에 따라 수행 온도가 25℃ 내지 100℃씩 증가하는 것이고,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 사이클과 인접한 단위 사이클에서 사용하는 밀봉재의 유리전이온도(Tg)의 차이가 100℃ 이상 300℃ 이하인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
Providing unit cells each including a fuel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n air electrode on a self-frame;
providing a separator plate between the unit cells;
providing a sealing material in the self-frame by providing a sealing material between the self-frame and the separation plate and between the self-frame and the unit cell; and
Including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step of providing a sealing material to the self-frame is to repeat n times a unit cycle consisting of repeatedly using a sealing material with the sam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m self-frame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ealing material used in one of the unit cycles and the adjacent unit cycl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 is an integer from 1 to 30 that is the same or different for each unit cycle,
where n is an integer from 2 to 20,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involves performing one cycle of heating and pressurizing two or more times, and as the number of cycles increases, the operating temperature increases by 25°C to 100°C,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sealing material used in any one of the unit cycles and the adjacent unit cycle is 100 ℃ or more and 300 ℃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은 2 내지 30의 정수인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m is an integer of 2 to 3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과 상기 n을 곱한 값이 10 내지 300인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duct of m and n is 10 to 30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는 400℃ 내지 750℃의 최종 온도 및 100 kgf/(15*15cm2) 내지 350 kgf/(15*15cm2)의 최종 압력 조건에서, 1 시간 내지 10 시간 동안 상기 최종 온도 및 최종 압력을 유지하는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ing and pressurizing step is performed at a final temperature of 400°C to 750°C and a final pressure of 100 kgf/(15*15cm 2 ) to 350 kgf/(15*15cm 2 ) for 1 hour to 10 minut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wherein the final temperature and final pressure are maintained for a period of ti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를 구비하는 방법은 밀봉재 조성물을 스크린 프린팅하는 방법; 밀봉재 조성물을 주사기를 통해 직접 도포하는 방법; 및 가스켓으로 제작된 밀봉재를 구비하는 방법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of providing the sealant includes a method of screen printing a sealant composition; A method of directly applying the sealant composition through a syring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which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ethod of providing a sealant made of a gasket. 청구항 1, 2, 4, 6 및 9 중 어느 항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
[식 1]

상기 식 1에 있어서,
Hmax는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가장 높은 높이이고,
Hmin는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가장 낮은 높이이고,
L은 셀프레임의 가로 또는 세로 중 가장 큰 길이이다.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6, and 9,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In equation 1 above,
Hmax is the highest height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Hmin is the lowest height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L is the largest horizontal or vertical length of the self-frame.
KR1020180146515A 2018-11-23 2018-11-23 Manufacturing method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ctive KR1026260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515A KR102626015B1 (en) 2018-11-23 2018-11-23 Manufacturing method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515A KR102626015B1 (en) 2018-11-23 2018-11-23 Manufacturing method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122A KR20200061122A (en) 2020-06-02
KR102626015B1 true KR102626015B1 (en) 2024-01-16

Family

ID=7109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515A Active KR102626015B1 (en) 2018-11-23 2018-11-23 Manufacturing method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0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8936B1 (en) 2020-10-13 2021-10-18 Inst Energetyki Inst Badawczy Method of preparing a semi-finished product, the semi-finishe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a gask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3498A (en) * 2012-12-21 2014-07-03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st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968B1 (en) 2004-01-05 200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lass / Ceramic Fiber Sealant for Solid Oxide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23354B1 (en) * 2009-12-16 2012-04-12 한국세라믹기술원 Unit Stack of Solid Oxide Fuel Cell
KR20130006119A (en) * 2011-07-08 2013-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chemical battery and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3498A (en) * 2012-12-21 2014-07-03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st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122A (en)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239B1 (en) Method for suppressing reaction by-product generation, solid oxide fuel cell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58684B2 (en) Sanbornite-based glass-ceramic seal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KR101672588B1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200212468A1 (en) Solid electrolyte member, solid oxide fuel cell, water electrolysis device, hydrogen pu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electrolyte member
EP3451429B1 (en) Electrolyte for solid oxide fuel cell, solid oxide fuel cell comprising same, composition for said electroly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electrolyte
KR102427387B1 (en) Sealant composition for solid oxide fuel cell, solid oxide fuel cell comprising sealant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method for sealing thereof
JP2020129433A (en) Solid electrolyte member, solid oxide fuel cell, water electrolysis device, hydrogen pu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electrolyte member
KR102626015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US7781120B2 (en) Thermo-mechanical robust solid oxide fuel cell device assembly
KR101842319B1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594748B2 (en) Setter plat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ceramic-anode solid oxide fuel cells
CN107646151B (en) Oxide particles, cathode comprising the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JP437785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fuel cell
KR102427389B1 (en) Sealant composition for solid oxide fuel cell, solid oxide fuel cell comprising sealant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method for sealing thereof
JP689793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olid electrolyte member
KR20160089884A (en) Oxide particle, air electrode comprising the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KR102365217B1 (en) Sealant composition for solid oxide fuel cell, solid oxide fuel cell comprising sealant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method for sealing thereof
KR101977856B1 (en) Sealant for solid oxide fuel cell, solid oxide fuel cell comprising the sealant,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alant for solid oxide fuel cell
KR101940712B1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801827B (en) Electrolyte layer-anode composite member and battery structure
KR20150043153A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WO2025146792A1 (en)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and use of same
WO2025105416A1 (en) Solid oxide electrolyzer cell and use of same
WO2025089330A1 (en)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and use of same
KR20160068205A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