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393B1 -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5393B1 KR102625393B1 KR1020230049889A KR20230049889A KR102625393B1 KR 102625393 B1 KR102625393 B1 KR 102625393B1 KR 1020230049889 A KR1020230049889 A KR 1020230049889A KR 20230049889 A KR20230049889 A KR 20230049889A KR 102625393 B1 KR102625393 B1 KR 1026253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an
- polarized
- splitter
- polarized beam
- polariz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093 holograph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32 Calc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1302806 Helogen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9372 YV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15 p wav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31—Polarised ligh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18—Pris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4—Reflector;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스캔 거울의 스캐닝 속도보다 빠르게 대상체의 홀로그램을 초고속으로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 및 도 2c는 도 2a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h는 도 1에 도시된 스캔빔 분할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공간 변조 스캐너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수평 및 수직 공간 변조 스캐너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캔빔 전달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110: 스캔빔 생성부 111: 제1 광분할기
112: 위상 변조 수단 113: 제1 렌즈
114: 제3 렌즈 115: 제2 렌즈
116: 제4 렌즈 117: 간섭수단
120: 스캔빔 분할부 130: 스캔부
131: x-스캔 거울 132: y-스캔 거울
140: 광 검출부 141a: 제1 집광기
141b: 제2 집광기 142a: 제1 편광기
142b: 제2 편광기 143a: 제1 광검출기
143b: 제2 광검출기 150: 신호 처리부
151: 제1 신호처리부 152: 제2 신호처리부
153: 교차배열 합성부 240: 광 검출부
241: 제1 광분할기 242: 제2 광분할기
243a: 제1 집광기 243b: 제2 집광기
244a: 제1 광검출기 244b: 제2 광검출기
330: 스캔부 331: 스캔거울
332: 트랜슬레이션 스테이지 135,335: 스캔빔 전달부
Claims (21)
- 광원에서 분할된 제1 빔의 위상을 변조하여 제1 빔 곡률생성부를 통해 제1 곡률빔으로 변환하고 제2 빔을 제2 빔 곡률생성부를 통해 제2 곡률빔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및 제2 곡률빔을 간섭시켜 스캔빔을 형성하는 스캔빔 생성부;
상기 스캔빔을 s-편광 빔과 p-편광 빔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2개의 편광 빔을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시키는 스캔빔 분할부;
상기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되는 2개의 편광 빔으로 이루어진 스캔빔을 상기 스캔빔 분할부로부터 전달받아 물체로 투사시키되, 상기 물체에 대한 스캔빔의 스캐닝 위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여 물체로 전달하기 위한 스캔부;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캔부와 상기 물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로 다른 각도로 진행되는 2개의 편광 빔으로 이루어진 스캔빔을 상기 물체로 전달하는 스캔빔 전달부;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 또는 형광된 빔으로부터 상기 s-편광 빔을 분리 검출하는 제1 광검출기와 상기 p-편광 빔을 분리 검출하는 제2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광 검출부; 및
상기 분리 검출된 s-편광 빔 및 p-편광 빔의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물체에 대한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s-편광 빔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상기 제2 광검출기에서 검출된 p-편광 빔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1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홀로그램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홀로그램 신호를 한 줄씩 교차 배열하는 방식으로 합성하여 상기 물체에 대한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교차배열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는,
물체로 투사되는 빔의 광축에 편축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물체로 투사된 후 반사 또는 형광된 빔을 집광하는 제1 집광기;
상기 제1 집광기를 통해 공간적으로 집적된 빔에서 s-편광 빔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제1 편광기;
상기 제1 편광기를 통과한 s-편광 빔을 검출하는 상기 제1 광검출기;
물체로 투사되는 빔의 광축에 편축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 집광기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물체로 투사된 후 반사 또는 형광된 빔을 집광하는 제2 집광기;
상기 제2 집광기를 통해 공간적으로 집적된 빔에서 p-편광 빔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제2 편광기; 및
상기 제2 편광기를 통과한 p-편광 빔을 검출하는 상기 제2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는,
물체로 투사되는 광의 광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 또는 형광된 빔을 입사받아 외부로 반사시키는 제1 광 분할기;
상기 제1 광 분할기에서 반사된 광을 입사받고 입사된 빔에서 p-편광 빔 성분은 투과시키고 s-편광 빔 성분을 반사시키는 제2 광 분할기;
상기 제2 광 분할기에서 반사시킨 s-편광 빔 성분을 집광하는 제1 집광기;
상기 제2 광 분할기에서 투과시킨 p-편광 빔 성분을 집광하는 제2 집광기;
상기 제1 집광기를 통해 공간적으로 집적된 빔을 검출하는 상기 제1 광검출기; 및
상기 제2 집광기를 통해 공간적으로 집적된 빔을 검출하는 상기 제2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부는,
물체로 투사되는 광의 광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 또는 형광된 빔을 입사받아 외부로 반사시키는 제1 광 분할기;
상기 제1 광 분할기에서 반사된 광을 입사받고 입사된 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키는 제2 광 분할기;
상기 제2 광 분할기에서 반사된 빔을 입사받아 s-편광 빔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제1 편광기;
상기 제2 광분할기에서 투과된 빔을 입사받아 p-편광된 빔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제2 편광기;
상기 제1 편광기를 통과한 s-편광 빔 성분을 집광하는 제1 집광기;
상기 제2 편광기를 통과한 p-편광 빔 성분을 집광하는 제2 집광기;
상기 제1 집광기를 통해 공간적으로 집적된 빔을 검출하는 상기 제1 광검출기; 및
상기 제2 집광기를 통해 공간적으로 집적된 빔을 검출하는 상기 제2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비등방성 광학재료로 이루어지며, 제1 면을 통해 입사된 스캔빔을 서로 직교하는 편광의 s-편광 빔과 p-편광 빔으로 분리하여 제2 면을 통해 나란히 출사시키는 빔 디스플레이서(Beam displacer); 및
2개의 빔이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되도록, 상기 제2 면을 통해 출사된 s-편광 빔과 p-편광 빔 중 어느 하나의 빔 경로 상에 설치되어 해당 빔의 진행 각도를 변경하는 웨지 프리즘을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상기 제2 면을 통해 출사되는 s-편광 빔 및 p-편광 빔의 경로 중 더욱 짧은 p-편광 빔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빔 디스플레이서와 동일한 소재로 구현되어, 출사되는 s-편광 빔과 p-편광 빔 간의 광 경로 길이의 차를 보상하는 광경로차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결정축이 서로 수직이고 서로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진 두 삼각프리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1 면을 통해 입사된 스캔빔을 두 삼각프리즘의 경계면에서 상기 스캔빔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1 편광 빔 및 상기 제1 편광 빔과 설정 각도를 가지고 진행하는 제2 편광 빔으로 분리하여 제2 면을 통해 출사시키는 로촌(Rochon) 프리즘 또는 세나르몽(Senarmont) 프리즘 구조의 편광 프리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광 빔이 s-편광 빔이면 상기 제2 편광 빔은 p-편광 빔이고, 상기 제1 편광 빔이 p-편광 빔이면 상기 제2 편광 빔은 s-편광 빔인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편광 프리즘은 상기 경계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설정 각도는,
상기 경계면의 중심에서 분리 출사된 제1 편광 빔과 제2 편광 빔의 진행 방향 간 각도차(θ)의 절반에 해당한 θ/2인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상기 제2 면을 통해 출사되는 제2 편광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변경하는 제1 및 제2 거울과, 상기 제2 면을 통해 출사되는 제1 편광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변경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거울과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3 및 제4 거울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부에 의한 각 거울의 각도 조절을 통해 상기 제2 거울을 거친 제2 편광 빔과 상기 제4 거울을 거친 제1 편광 빔의 진행 방향이 서로 다른 각도로 조정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결정축이 서로 수직이고 서로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진 두 삼각프리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1 면을 통해 입사된 스캔빔을 두 삼각프리즘의 경계면에서 상기 스캔빔의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를 가지고 서로 대칭되게 진행하는 s-편광 빔과 p-편광 빔으로 분리하여 제2 면을 통해 출사시키는 월라스턴(Wollaston) 프리즘 구조의 편광 프리즘을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상기 제2 면을 통해 출사되는 p-편광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변경하는 제1 및 제2 거울과, 상기 제2 면을 통해 출사되는 s-편광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변경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거울과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3 및 제4 거울을 포함한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부에 의한 각 거울의 각도 조절을 통해 상기 제2 거울을 거친 p-편광 빔과 상기 제4 거울을 거친 s-편광 빔의 진행 방향이 서로 다른 각도로 조정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입사된 스캔빔에서 s-편광 빔 성분을 반사시키고 p-편광 빔 성분을 투과시키는 제1 편광 빔스플리터;
상기 제1 편광 빔스플리터에서 반사시킨 s-편광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90도씩 변경하는 제1 및 제2 거울;
상기 제1 편광 빔스플리터에서 투과시킨 p-편광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90도씩 변경하는 제3 내지 제5 거울;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5 거울을 거친 p-편광 빔의 각도를 90도 보다 큰 각도로 반사시키는 제6 거울; 및
상기 제2 거울을 거친 s-편광 빔과 상기 제6 거울을 거친 p-편광 빔을 각각 제1 면과 제2 면을 통해 입사받아 제3 면을 통해 서로 다른 각도로 출력하는 제2 편광 빔스플리터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입사된 스캔빔에서 s-편광 빔 성분을 반사시키고 p-편광 빔 성분을 투과시키는 제1 편광 빔스플리터;
상기 제1 편광 빔스플리터에서 반사시킨 s-편광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90도씩 변경하는 제1 및 제2 거울;
상기 제1 편광 빔스플리터에서 투과시킨 p-편광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90도씩 변경하는 제3 내지 제6 거울;
상기 제6 거울에서 반사된 빔을 입사받아 진행 각도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웨지 프리즘; 및
상기 제2 거울을 거친 s-편광 빔과 상기 웨지 프리즘을 거친 p-편광 빔을 각각 제1 면과 제2 면을 통해 입사받아 제3 면을 통해 서로 다른 각도로 출력하는 제2 편광 빔스플리터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입사된 스캔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키는 빔스플리터;
상기 빔스플리터에서 반사시킨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90도씩 변경하는 제1 및 제2 거울;
상기 빔스플리터에서 투과시킨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90도씩 변경하는 제3 내지 제5 거울;
상기 빔스플리터의 반사된 빔 또는 투과된 빔의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s-편광 및 p-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 성분만 통과시키거나 특정 각도의 선편광 빔으로 만들기 위한 편광기;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5 거울을 거친 빔의 각도를 90도 보다 큰 각도로 반사시키는 제6 거울; 및
상기 제2 거울을 거친 빔과 상기 제6 거울을 거친 빔을 각각 제1 면과 제2 면을 통해 입사받아 제3 면을 통해 서로 다른 각도로 출력하는 편광 빔스플리터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빔 분할부는,
입사된 스캔빔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키는 빔스플리터;
상기 빔스플리터에서 반사시킨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90도씩 변경하는 제1 및 제2 거울;
상기 빔스플리터에서 투과시킨 빔의 경로 상에 순차로 설치되어 빔 경로를 90도씩 변경하는 제3 내지 제6 거울;
상기 빔스플리터의 반사된 빔 또는 투과된 빔의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s-편광 및 p-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 성분만 통과시키거나 특정 각도의 선편광 빔으로 만들기 위한 편광기;
상기 제6 거울에서 반사된 빔을 입사받아 진행 각도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웨지 프리즘; 및
상기 제2 거울을 거친 빔과 상기 웨지 프리즘을 거친 빔을 각각 제1 면과 제2 면을 통해 입사받아 제3 면을 통해 서로 다른 각도로 출력하는 편광 빔스플리터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와 상기 물체 사이에 설치되어 스캔빔을 원편광으로 변환하여 물체로 투사하는 제1 λ/4 파장판; 및
상기 물체와 상기 광 검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원편광의 빔을 다시 선편광으로 변환시켜 상기 광 검출부로 제공하는 제2 λ/4 파장판을 더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물체에 대한 상기 스캔빔의 스캐닝 위치를 제어하도록 수평 스캔 거울과 수직 스캔 거울을 포함하며, 입사된 상기 스캔빔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여 물체로 전달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물체에 대한 상기 스캔빔의 스캐닝 위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스캔빔 분할부로부터 입사된 상기 스캔빔을 수평 방향으로 제어하여 물체로 전달하는 스캔 거울과, 상기 물체의 후단에서 상기 물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랜슬레이션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물체에 대한 상기 스캔빔의 스캐닝 위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스캔빔 분할부로부터 입사된 상기 스캔빔을 수평 방향으로 제어하여 물체로 전달하는 공간 변조(spatial modulation) 스캐너와, 상기 물체의 후단에서 상기 물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랜슬레이션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물체에 대한 상기 스캔빔의 스캐닝 위치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직 스캐너와 수평 스캐너를 포함하되, 상기 스캔빔 분할부로부터 입사된 상기 스캔빔을 수평 방향으로 제어하여 물체로 전달하는 수평 공간 변조(spatial modulation) 스캐너와, 상기 스캔빔을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여 물체로 전달하는 수직 공간 변조 스캐너를 포함하는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9889A KR102625393B1 (ko) | 2023-04-17 | 2023-04-17 |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PCT/KR2024/095464 WO2024219920A1 (ko) | 2023-04-17 | 2024-02-29 |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9889A KR102625393B1 (ko) | 2023-04-17 | 2023-04-17 |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5393B1 true KR102625393B1 (ko) | 2024-01-17 |
Family
ID=8971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9889A Active KR102625393B1 (ko) | 2023-04-17 | 2023-04-17 |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5393B1 (ko) |
WO (1) | WO202421992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19920A1 (ko) * | 2023-04-17 | 2024-10-24 | 주식회사 큐빅셀 |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56000A (ko) * | 2008-11-19 | 2010-05-27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결맞은 광섬유 테이퍼를 이용한 간섭무늬 안정화된 간섭계 |
KR20130081127A (ko) * | 2012-01-06 | 2013-07-16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홀로그램 레코딩 장치 |
KR20190096352A (ko) * | 2016-12-16 | 2019-08-19 | Horiba France Sas | 차동 편광 간섭계를 이용하여 에칭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 및 기기, 그리고 이러한 측정 기기를 포함하는 글로우 방전 분광 측정 장치 |
KR20210048427A (ko) * | 2019-10-23 | 2021-05-03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스캔 거울과 트랜슬레이션 스테이지를 사용한 인라인 플라잉 오버 빔 패턴 스캐닝 홀로그램 현미경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43601A1 (ja) * | 2009-06-11 | 2010-12-16 | 国立大学法人筑波大学 | 2ビーム型光コヒーレンストモグラフィー装置 |
KR102625393B1 (ko) * | 2023-04-17 | 2024-01-17 |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
2023
- 2023-04-17 KR KR1020230049889A patent/KR102625393B1/ko active Active
-
2024
- 2024-02-29 WO PCT/KR2024/095464 patent/WO2024219920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56000A (ko) * | 2008-11-19 | 2010-05-27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결맞은 광섬유 테이퍼를 이용한 간섭무늬 안정화된 간섭계 |
KR20130081127A (ko) * | 2012-01-06 | 2013-07-16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홀로그램 레코딩 장치 |
KR20190096352A (ko) * | 2016-12-16 | 2019-08-19 | Horiba France Sas | 차동 편광 간섭계를 이용하여 에칭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 및 기기, 그리고 이러한 측정 기기를 포함하는 글로우 방전 분광 측정 장치 |
KR20210048427A (ko) * | 2019-10-23 | 2021-05-03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스캔 거울과 트랜슬레이션 스테이지를 사용한 인라인 플라잉 오버 빔 패턴 스캐닝 홀로그램 현미경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19920A1 (ko) * | 2023-04-17 | 2024-10-24 | 주식회사 큐빅셀 |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219920A1 (ko) | 2024-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1612B1 (ko) | 투과체에 대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
US5097351A (en) | Simultaneous multibeam scanning system | |
KR102551611B1 (ko) | 반사체에 대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
JP7372331B2 (ja) | 偏光エンコードされたビーム送出及び収集 | |
US4760407A (en) | Laser printing apparatus with device for combining a plurality of optical beams provided with an integral-order wave plate | |
US12050435B2 (en) | Optical scanning holography system | |
US4634232A (en) | Light source device for close spacing of two light beams | |
WO2021083046A1 (zh) | 激光干涉光刻系统 | |
KR102625393B1 (ko) | 반사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
KR102625392B1 (ko) | 투과체에 대한 각도 기울임을 사용한 편광분할 더블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
KR102185432B1 (ko) | 기하 위상 인라인 스캐닝 홀로그래피 시스템 | |
US4516023A (en) | Scanner/plotter optical system | |
US5426529A (en) | Light beam deflection means | |
US5420714A (en) | Device for beam division | |
US12147193B2 (en) | Inline scanning holography system for phosphor and transmitter | |
US6222663B1 (en) | High duty cycle scanner for laser printer | |
KR100209874B1 (ko) | 액정프로젝트용 조명장치 | |
JP3552756B2 (ja) | マルチビーム光ヘッド | |
KR102763413B1 (ko) | 결합형 집광부를 이용한 대면적 스캐닝 홀로그램 카메라 시스템 | |
KR102767184B1 (ko) | 분리형 집광부를 이용한 대면적 스캐닝 홀로그램 카메라 시스템 | |
JPH1026747A (ja) | 光変調装置 | |
JPS62119513A (ja) | 2ビ−ム走査方式における光源装置 | |
KR100262826B1 (ko) | 액정프로젝터의편광변환장치 | |
KR100269690B1 (ko) | 액정 프로젝터용 조명장치 | |
JP2591421B2 (ja) | 投射型液晶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6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