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971B1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Google Patents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4971B1 KR102624971B1 KR1020220107158A KR20220107158A KR102624971B1 KR 102624971 B1 KR102624971 B1 KR 102624971B1 KR 1020220107158 A KR1020220107158 A KR 1020220107158A KR 20220107158 A KR20220107158 A KR 20220107158A KR 102624971 B1 KR102624971 B1 KR 102624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frame
- loading
- electronic component
- loading member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91—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related to sensing or controlling of force, position, temperatu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핸들러용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핸들러용 개방장치는 상호 간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려질 수 있는 제1 개방바와 제2 개방바를 가짐으로써 캐리어프레임의 적재모듈을 개방시킬 수 있는 개방기를 가지거나 높이가 낮은 전자부품의 하단을 받쳐서 픽킹장치의 언로딩작업을 돕는 받침판 및 조정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장치의 범용성이 확장되어서 자원의 재활용, 자원 낭비의 방지, 교체 비용의 절감 및 가동률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devic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The opening devic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opening bar and a second opening bar that can narrow or widen the gap between them, and has an opener that can open the loading module of the carrier frame or an electronic component with a low height. It has a support plate and an adjustment circle that support the bottom of the and assist in the unloading of the pi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satility of the opening device is expanded, which has the effect of recycling resources, preventing resource waste, reducing replacement costs, and improving operation rate.
Description
전자부품을 다루는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부품을 실을 수 있는 캐리어프레임을 개방하기 위한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handler that handles electronic components, and especially to an opening device for opening a carrier frame that can load electronic components.
모듈아이씨(Module IC, 또는 '모듈램'이라고도 함)는 기판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복수개의 아이씨 및 기타 소자를 고정하여 독립적인 회로를 구성한 것으로, 컴퓨터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중요한 전자부품이며 가격이 고가이다.Module IC (also known as 'modulam') is an independent circuit formed by fixing a plurality of ICs and other elements on one or both sides of a board. It is an important electronic component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computer devices, and its price is as follows. This is expensive.
따라서 제품을 완성한 후 출하하기 전에 반드시 엄격한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여야만 한다.Therefore, after completing a product, strict performance tests must be performed before shipping.
그러한 모듈아이씨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테스터 외에 모듈아이씨를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핸들러가 필요하다.In order to test such a module IC, a handler that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module IC to the tester is required in addition to a tester.
핸들러는 로딩부에서 픽업장치에 의해 모듈아이씨를 캐리어프레임에 로딩(Loading)하여 실은 후, 이송장치에 의해 모듈아이씨가 적재된 캐리어프레임을 테스트챔버로 이송시켜 캐리어프레임에 적재된 모듈아이씨들의 테스트를 지원하고, 적재된 모듈아이씨들의 테스트가 완료된 캐리어프레임을 또 다른 이송장치에 의해 소팅부로 이송한 다음, 모듈아이씨들을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분류하면서 언로딩(Unloading)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The handler loads the module IC into the carrier frame using a pickup device in the loading section, and then transfers the carrier frame loaded with the module IC to the test chamber using the transfer device to test the module IC loaded on the carrier frame. The carrier frame on which the test of the loaded module ICs has been completed is transferred to the sorting unit by another transfer device, and then a series of tasks are performed to unload the module ICs while sorting them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모듈아이씨를 캐리어프레임으로부터 언로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개방장치에 의해 캐리어프레임을 개방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핸들러에는 캐리어프레임을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장치가 구성되어야만 한다.In order to unload the module IC from the carrier frame in the above series of processes, the carrier frame must be opened using a separate opening device. Therefore, the handler must be equipped with an opening device to open the carrier fram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36312호 및 10-2014-0072847호에는 앞서 언급한 개방장치에 관한 기술(이하 '종래기술들'이라 함)이 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s. 10-2011-0136312 and 10-2014-0072847 present technologies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open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종래기술은 조정판의 상승 시에 조정판의 안내봉이 캐리어프레임(종래기술들에는 '캐리어보드'로 명명됨)에 있는 가압부재의 안내홈에 삽입되면서 가압부재를 일 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캐리어프레임을 개방시키는 구조를 가진다.In the prior art, when the control plate is raised, the guide rod of the control plat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pressure member in the carrier frame (named 'carrier board' in the prior art) and opens the carrier frame by pushing the pressure member to one side. has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의 규격이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적절히 적용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이 범용성이 떨어져서 궁극적으로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 prior art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when the specifications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are all the sam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ultimately increases due to poor versatility as follows.
첫째, 기존에 테스트되던 전자부품과 폭이 다른 전자부품이 테스트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안내봉의 위치가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안내봉이 구비된 조정판을 교체해 주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자원의 재활용성이 없고 궁극적으로 제작단가가 상승하며, 교체 시간 투입에 따른 인력의 낭비와 가동률의 하락이 수반된다.First, when an electronic component with a different width from the previously tested electronic component must be tested, the position of the guide rod must be changed, so the control plate equipped with the guide rod must be replaced. Because of this, resources are not recyclable, ultimately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and manpower is wasted due to replacement time and the operation rate decreases.
둘째, 기존에 테스트되던 전자부품과 높이가 다른 전자부품이 테스트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다른 해결 방안이 없다. 특히, 캐리어프레임에 실려야 하는 전자부품의 높이가 소켓의 높이보다 낮으면 캐리어프레임이나 적어도 소켓까지 교체해야 되는 곤란함이 있다.Second, in cases where electronic components that have a different height from those that were previously tested must be tested, there is virtually no other solution. In particular, if the heigh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mounted on the carrier frame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ocket, there is a difficulty in having to replace the carrier frame or at least the socket.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첫째, 다양한 폭의 전자부품들에 적용할 수 있는 개방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First, it provides technology for opening devices that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electronic components.
둘째, 다양한 높이의 전자부품들에 적용할 수 있는 개방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Second, it provides technology for an open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components of various heights.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핸들러용 캐리어프레임은 전자부품을 적재시키기 위한 적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전자부품의 일측을 파지하는 제1 적재부재; 상기 전자부품의 타측을 파지하는 제2 적재부재; 및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를 상호 간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A carrier fram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module for loading electronic components, wherein the loading module includes a first loading member holding one 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 second loading member holding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a spring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respectively,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m is narrowed.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안내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guide groov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의 하단은 상기 전자부품의 하부 모서리 중 외각 쪽 하단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oading members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outer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핸들러용 캐리어프레임은 개방장치와 쌍을 이루어, 상기 전자부품을 언로딩시키기 위해 상기 개방장치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반대로 하강할 수 있는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개방하는 개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승하면 상기 개방기에 의해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 간의 간격이 벌어져 개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개방기는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호 간의 간격이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되어 있는 제1 개방바 및 제2 개방바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향해 상승하고 상기 제1 개방바 및 상기 제2 개방바에 의해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 간의 간격이 벌려지면 상기 적재모듈이 개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캐리어프레임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향하여 상승하였을 때 상기 전자부품을 받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이 서로 높이가 다른 여러 규격의 전자부품들의 하단을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 및 상기 조정원은 상기 승강 프레임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전자부품의 하단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원은 상기 받침판을 상승시켜서 상기 받침판이 상기 전자부품의 하단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픽킹장치에 의한 상기 전자부품의 파지 또는 파지 해제를 도울 수 있다.A carrier fram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ired with an opening device and is provided to be opened by the opening device to unload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opening device opens the carrier frame. It has a lifting frame that can rise toward or lower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n opener installed on the lifting frame to open the carrier frame, and the load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by the opener when the lifting frame rises. 2 The gap between the loading members is widened and opened, ultimately allowing the carrier frame to be opened.
The opener has a first opening bar and a second opening bar that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gap between them is widened or narrowed, and the lifting frame rises toward the carrier frame and the first opening bar and the second opening bar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is widened by the opening bar, the loading module is opened, thereby ultimately opening the carrier frame.
The opening device adjusts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so that when the lifting frame rises toward the carrier frame, the support plate supports the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lower ends of electronic components of various standards with different heights. Additional coordinators may be provided.
The support plate and the adjusting member can be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ing frame.
The support plate has a grip groove for gripping the lowe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adjusting member raises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support plate can grip the lowe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picking device adjusts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It can help in gripping or releas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의 교체 없이 다양한 폭과 높이의 전자부품들을 다룰 수 있어서 범용성이 증대되기 때문에 그 만큼 자원의 재활용, 자원 낭비의 방지, 교체 비용의 절감 및 가동률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handle electronic components of various widths and heights without replacing the components, thereby increasing versatility, which has the effect of recycling resources, preventing resource waste, reducing replacement costs, and improving operation r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와 쌍을 이루는 캐리어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캐리어프레임에 적용된 적재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핸들러용 개방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방장치에 적용된 개방기에 대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개방장치에 적용된 받침판과 조정원에 대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전자부품을 적재모듈에 장입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8은 높이가 높은 전자부품을 다룰 때 적재모듈의 개방 직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9는 높이가 낮은 전자부품을 다룰 때 적재모듈의 개방 직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더 나아가 적재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1은 받침판과 조정원을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frame paired with an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ading module applied to the carrier frame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devic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of an opener applied to the opening device of Figure 3.
Figure 5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late and adjustment source applied to the opening device of Figure 3.
Figures 6 and 7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loading electronic components into a loading module.
Figure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te just before opening the loading module when handling tall electronic components.
Figure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te just before opening the loading module when handling low-height electronic components.
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further from FIG. 9 to explain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module is opened.
Figure 1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adjustment circle.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for brevity of explanation, descriptions of overlapping or substantially identical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캐리어프레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carrier frame>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핸들러용 개방장치(이하 '개방장치'라 약칭함)에 대한 설명에 앞서 전자부품이 실리는 캐리어프레임에 대해서 설명한다.Before explaining the opening devic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frame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loaded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와 쌍을 이루는 캐리어프레임(CF)에 대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frame (CF) paired with an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캐리어프레임(CF)은 전자부품(ED)을 언로딩(Unloading)시킬 수 있도록 개방장치에 의해 개방되거나, 로딩된 전자부품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폐쇄될 수 있다.The carrier frame CF may be opened by an opening device to allow unloading of electronic components ED, or may be closed to maintain loaded electronic components.
캐리어프레임(CF)에는 도 2에서 상세히 보여 지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ED)을 적재시키기 위한 다수의 적재모듈(LM)이 구비된다. 이러한 적재모듈(LM)의 개방 및 폐쇄가 궁극적으로 캐리어프레임(CF)의 개방 및 폐쇄를 의미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2, the carrier frame (CF)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ading modules (LM) for loading electronic components (E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ading module (LM) ultimately mean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rier frame (CF).
각각의 적재모듈(LM)은 제1 적재부재(L1)와 제2 적재부재(L2)를 가지며, 제1 적재부재는(L1) 전자부품(ED)의 일 측(도면상에서는 좌측)을 파지하고 제2 적재부재(L2)는 전자부품(ED)의 타 측(도면상에서는 우측)을 파지한다. 즉, 개방장치에 의해 제1 적재부재(L1)와 제2 적재부재(L2) 간의 간격이 벌려지면 적재모듈(LM)이 개방되고, 제1 적재부재(L1)와 제2 적재부재(L2)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적재모듈(LM)이 폐쇄되면서 전자부품(ED)의 양 측이 파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개방장치에 의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제1 적재부재(L1)와 제2 적재부재(L2)에는 후술할 개방바들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J)이 형성되어 있고, 적재모듈(LM)의 폐쇄를 위해서 제1 적재부재(L1)와 제2 적재부재(L2)는 스프링(S)에 의해 상호 간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 된다.Each loading module (LM) has a first loading member (L1) and a second loading member (L2), and the first loading member (L1) holds one side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he second loading member L2 holds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hat is,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loading member (L1)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L2) is widened by the opening device, the loading module (LM) is opened, and the first loading member (L1)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L2) are opened. When the gap between them narrows, the loading module (LM) closes and both side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re gripped. Here, to enable opening by the opening device, the first loading member (L1)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L2) are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J) that can be caught by opening bars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oading module (LM) is closed. For this purpose, the first loading member (L1)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L2)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S)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gap between them.
<개방장치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opening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핸들러용 개방장치(100, 이하 '개방장치'라 약칭함)에 대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device 100 (hereinafter abbreviated as 'opening devic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방장치(100)는 승강 프레임(110), 승강원(120), 개방기(130), 받침판(140) 및 조정원(150)을 포함한다.The
승강 프레임(110)은 캐리어프레임(CF)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반대로 하강할 수 있게 구비된다.The
승강원(120)은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승강 프레임(110)을 승강시킨다.The
개방기(130)는 승강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캐리어프레임(CF)으로부터 전자부품(ED)을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프레임(CF)을 개방한다. 이를 위해 도 4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개방기(130)는 제1 개방바(131), 제2 개방바(132), 간격조정벨트(133) 및 동력원(134)을 포함한다.The
제1 개방바(131)와 제2 개방바(132)는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벨트(133)에 결합되어 있어서 동력원(134)이 작동하면 안내레일(GL)의 안내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개방바(131)는 제1 적재부재(L1)들의 걸림턱(J)을 한꺼번에 걸기 위한 제1 걸음단(131a)을 구비하고, 제2 개방바(132)는 제2 적재부재(L2)들의 걸림턱(J)을 한꺼번에 걸기 위한 제2 걸음단(132a)을 구비한다.The first
간격조정벨트(133)는 구동풀리(DP)와 피동풀리(PP)를 회전 반환점으로 하여 정역 회전함으로써 동력원(134)의 구동력을 제1 개방바(131) 및 제2 개방바(132)로 전달한다.The
동력원(134)은 제1 개방바(131)와 제2 개방바(132) 간의 간격을 벌리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서로 폭이 다른 여러 규격의 다양한 전자부품(ED)들의 폭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1 개방바(131)와 제2 개방바(132) 간의 벌려진 간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터로 구비된다. 따라서 동력원(134)인 모터의 회전량에 따라 제1 개방바(131)와 제2 개방바(132) 간의 간격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게 된다.The
이어도 도 5의 발췌도를 참조하여 받침판(140)과 조정원(150)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받침판(140)은 캐리어프레임(CF)에 실려 있는 전자부품(ED)을 받친다. 이러한 받침판(140)에는 받칠 전자부품(ED)의 개수만큼 전자부품(ED)의 하단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141)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조정원(150)은 받침판(140)이 서로 높이가 다른 여러 규격의 전자부품(ED)들의 하단을 받칠 수 있도록 받침판(140)의 승강 높이를 조정한다. 이러한 조정원(150)은 실린더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후술할 픽킹장치에 의한 전자부품(ED)의 파지나 파지 해제를 돕기 위해 받침판(140)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모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계속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개방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참고로, 전자부품(ED)을 캐리어프레임(CF)에 실을 때는 픽킹장치가 전자부품(ED)을 적재모듈(LM)에 적재한다. 이 때, 도 6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전자부품의 적재가 이루어지면서, 픽킹장치(PA)의 하강력에 의해 적재모듈(LM)을 이루는 제1 적재부재(L1)와 제2 적재부재(L2)는 스프링(S)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강제 적재되는 전자부품(ED)에 의해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벌려지고, 전자부품(ED)의 적재가 완료되면 압축된 스프링(S)에 의해 제1 적재부재(L1)와 제2 적재부재(L2) 간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면서 적재모듈(LM)이 폐쇄된다. 따라서 픽킹장치(PA)가 전자부품(ED)을 캐리어프레임(CF)에 싣는 동작(로딩 동작)은 개방장치(100)와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loading electronic components (ED) onto the carrier frame (CF), the picking device loads the electronic components (ED) into the loading module (LM). At this time, as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loaded from the state of FIG. 6 to the state of FIG. 7, the first loading member L1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forming the loading module LM are moved by the downward force of the picking device PA. (L2) is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7 by the electronic component (ED), which is forcibly loaded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 and is opened by the compressed spring (S) when the load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completed. The loading module LM is closed as an elastic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gap between the first loading member L1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L2. Therefore, the operation (loading operation) of the picking device (PA) loa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D) onto the carrier frame (CF)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opening device (100).
1. 언로딩에 관한 제1 작동예-전자부품의 높이가 높은 경우1. First operation example regarding unloading - when the height of electronic components is high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전자부품(ED)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전자부품(ED)이 적재모듈(LM)에 적재된 상태에서도 픽킹장치(PA)가 전자부품(ED)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판(140)과 조정원(150)의 작동이 요구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6 and 7, when the heigh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high, the picking device (PA) can grasp the electronic component (ED) even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loaded on the loading module (LM). Therefore, operation of the
본 작동예에서는 승강판(110)이 캐리어프레임(CF)을 향해 상승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제1 개방바(131)의 걸음단(131a)과 제2 개방바(132)의 걸음단(132a)은 각각 제1 적재부재(L1) 및 제2 적재부재(L2)의 걸림턱(J)에 걸릴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8의 상태에서 개방기(130)가 동작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제1 개방바(131)와 제2 개방바(132) 간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적재모듈(LM)들이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픽킹장치(PA)가 전자부품(ED)들을 언로딩시킨다.In this operation example, when the
2. 언로딩에 관한 제2 작동예-전자부품의 높이가 낮은 경우2. Second operation example regarding unloading - when the height of electronic components is low
전자부품(ED)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픽킹장치(PA)가 파지할 영역이 부족하다. 따라서 받침판(140)과 조정원(150)의 작동이 요구된다.When the heigh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is low, there is not enough area for the picking device (PA) to grip. Therefore, operation of the
본 작동예에서도 승강판(110)이 캐리어프레임(CF)을 향해 상승하면 도 9에서와 같이 제1 개방바(131)의 걸음단(131a)과 제2 개방바(132)의 걸음단(132a)은 각각 제1 적재부재(L1) 및 제2 적재부재(L2)의 걸림턱(J)에 걸릴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개방기(130)가 동작하여 제1 개방바(131)와 제2 개방바(132) 간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도 10에서와 같이 적재모듈(LM)들이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도 11에서와 같이 조정원(150)이 작동하여 받침판(140)을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픽킹장치(PA)가 전자부품(ED)의 상측 양단을 파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픽킹장치(PA)에 의한 언로딩 작업이 이루어진다.In this operating example, when the
참고로, 본 예에서는 픽킹장치(PA)가 전자부품(ED)을 캐리어프레임(CF)으로부터 언로딩시킬 때만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전자부품(ED)을 캐리어프레임(CF)으로 로딩시키는 로딩 동작을 위해서 로딩 영역에도 개방장치(100)가 적용되는 것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딩 영역에 개방장치(100)를 구비시키고, 개방장치(100)에 의해 제1 적재부재(L1)와 제2 적재부재(L2) 간의 간격을 넓힌 이후 전자부품(ED)을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전자부품(ED)은 제1 적재부재(L1)와 제2 적재부재(L2)에 있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홍 부분을 안내레일 삼아서 위치가 정렬되면서 하강하는 흐름을 갖게 된다. 여기서 각 적재부재(L1, L2)의 하단은 전자부품(ED)의 하부 모서리 중 외각 쪽 하단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전자부품(ED)의 로딩이 이루어질 때 픽킹장치(PA)로부터 전자부품(ED)의 파지가 해제됨으로써 전자부품(ED)이 낙하할 시에 미리 받침판(140)이 상승하여 어느 정도 위치에서 전자부품(ED)을 미리 받아준 후 받침판(140)이 하강하도록 하여 전자부품(ED)이 안정적으로 적재모듈(LM)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is example, only the case when the picking device (PA) unloads the electronic component (ED) from the carrier frame (CF) is considered. However, depending on implementation, it may be fully considered that the
참고로, 로딩 시에도 도 11과 같은 상태가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픽킹장치(PA)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하면 전자부품(ED)이 자유 낙하를 하는데, 적재부재(L1, L2)간의 간격을 살짝 넓혀줌으로써 적재부재(L1, L2)가 전자부품(ED)의 하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한다. 왜냐하면 적재부재(L1, L2)의 간격이 너무 넓게 벌어지면 적재부재(L1, L2)들이 전자부품(ED)의 하강을 안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자부품(ED)이 다른 곳으로 이탈되거나 넘어질 수도 있고, 낙하에 대한 충격이 너무 강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적재부재(L1, L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안내홈이 전자부품(ED)의 하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부품(ED)의 안정적인 적재와 낙하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적재부재(L1, L2) 간의 간격을 넓히는 정도는 언로딩시에도 마찬가지임을 도 9 내지 11을 통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For reference, there may be a state as shown in FIG. 11 even during loading. In this case, when the picking device (PA) releases the gri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he electronic component (ED) falls freely, and the loading members (L1, L2) ) is slightly widened so that the loading members (L1, L2) have a gap sufficient to guide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This is because if the gap between the loading members (L1, L2) is too wide, the loading members (L1, L2) cannot guide the descen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so the electronic component (ED) may deviate to another place or fall. Also, the impact of falling may be too strong.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nsure stable load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and minimize the impact of dropp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D) by allowing the guide grooves formed on the opposing sides of the loading members (L1, L2) to guide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D). do. Of course, it can be clearly seen from FIGS. 9 to 11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gap between the loading members L1 and L2 is widened is the same even during unloading.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전자부품(ED)들이 캐리어프레임(CF)에 2열로 실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지만, 전자부품(ED)들이 캐리어프레임(CF)에 1열로 실리는 예나 3열 이상의 열로 실리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절히 적용될 수 있음을 충분히 알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electronic components (ED) are loaded in two rows on the carrier frame (CF), but even in cases where the electronic components (ED) are loaded in one row or three or more rows on the carrier frame (CF), It is fully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ppropriately.
또한, 배경기술에서는 모듈아이씨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모듈아이씨 외에도 기판형태의 전자부품(ED)을 다루기 위한 핸들러라면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background technology explains the module IC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applied to any handler for handling electronic components (ED) in the form of a board in addition to the module IC.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way of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explained by referring to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later and their equivalents.
100 : 전자부품 핸들러용 개방장치
110 : 승강 프레임
120 : 승강원
130 : 개방기
131 : 제1 개방바 132 : 제2 개방바
131a : 제1 걸음단 132a : 제2 걸음단
134 : 동력원
140 : 받침판
150 : 조정원100: Open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110: lifting frame
120: Hoistway
130: opener
131: first open bar 132: second open bar
131a:
134: power source
140: support plate
150: Jo Jeong-won
Claims (8)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전자부품의 일측을 파지하는 제1 적재부재;
상기 전자부품의 타측을 파지하는 제2 적재부재; 및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를 상호 간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캐리어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프레임은 개방장치와 쌍을 이루어, 상기 전자부품을 언로딩시키기 위해 상기 개방장치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반대로 하강할 수 있는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개방하는 개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모듈은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승하면 상기 개방기에 의해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 간의 간격이 벌어져 개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향하여 상승하였을 때 상기 전자부품을 받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이 서로 높이가 다른 여러 규격의 전자부품들의 하단을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원을 더 구비하는
캐리어프레임.Includes a loading module for loading electronic components;
The loading module is
a first loading member holding one 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 second loading member holding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In the carrier frame including; a spring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respectively,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m is narrowed,
The carrier frame is paired with an opening device and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opened by the opening device to unload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opening device includes a lifting frame that can rise or fall toward the carrier frame, and an opener installed on the lifting frame to open the carrier frame,
When the lifting frame rises, the loading module is opened by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by the opener, thereby ultimately opening the carrier frame,
The opening device adjusts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so that when the lifting frame rises toward the carrier frame, the support plate supports the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lower ends of electronic components of various standards with different heights. Equipped with more coordinators
Carrier frame.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안내홈을 더 구비하는
캐리어프레임.In paragraph 1
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further include guide groov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Carrier frame.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의 하단은 상기 전자부품의 하부 모서리 중 외각 쪽 하단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된
캐리어프레임.In paragraph 1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oading members are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outer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rrier frame.
상기 개방기는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호 간의 간격이 벌려지거나 좁혀지도록 되어 있는 제1 개방바 및 제2 개방바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이 상기 캐리어프레임을 향해 상승하고 상기 제1 개방바 및 상기 제2 개방바에 의해 상기 제1 적재부재 및 상기 제2 적재부재 간의 간격이 벌려지면 상기 적재모듈이 개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캐리어프레임이 개방되는
캐리어프레임.According to clause 1,
The opener has a first opening bar and a second opening bar that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gap between them is widened or narrowed,
When the lifting frame rises toward the carrier frame and the gap between the first loading member and the second loading member is widened by the first opening bar and the second opening bar, the loading module is opened and ultimately the carrier frame This is open
Carrier frame.
상기 받침판 및 상기 조정원은 상기 승강 프레임과 함께 승강되는
캐리어프레임.In paragraph 1
The support plate and the adjusting member are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ing frame.
Carrier frame.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전자부품의 하단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원은 상기 받침판을 상승시켜서 상기 받침판이 상기 전자부품의 하단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픽킹장치에 의한 상기 전자부품의 파지 또는 파지 해제를 돕는
캐리어프레임.In paragraph 1
The support plate has a grip groove for gripping the lowe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adjuster raises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support plate can grip the lower en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assists in gripping or releasing the electronic component by the picking devic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Carrier fram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7158A KR102624971B1 (en) | 2017-11-21 | 2022-08-25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1020240003797A KR102670140B1 (en) | 2017-11-21 | 2024-01-09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5892A KR102289103B1 (en) | 2017-11-21 | 2017-11-21 | Open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1020210090088A KR102438462B1 (en) | 2017-11-21 | 2021-07-09 | Open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handlers |
KR1020220107158A KR102624971B1 (en) | 2017-11-21 | 2022-08-25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0088A Division KR102438462B1 (en) | 2017-11-21 | 2021-07-09 | Open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handler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03797A Division KR102670140B1 (en) | 2017-11-21 | 2024-01-09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1374A KR20220131374A (en) | 2022-09-27 |
KR102624971B1 true KR102624971B1 (en) | 2024-01-16 |
Family
ID=66601485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5892A Active KR102289103B1 (en) | 2017-11-21 | 2017-11-21 | Open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1020210090088A Active KR102438462B1 (en) | 2017-11-21 | 2021-07-09 | Open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handlers |
KR1020220107158A Active KR102624971B1 (en) | 2017-11-21 | 2022-08-25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1020240003797A Active KR102670140B1 (en) | 2017-11-21 | 2024-01-09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1020240067297A Active KR102706410B1 (en) | 2017-11-21 | 2024-05-23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1020240122312A Pending KR20240143996A (en) | 2017-11-21 | 2024-09-09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5892A Active KR102289103B1 (en) | 2017-11-21 | 2017-11-21 | Open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1020210090088A Active KR102438462B1 (en) | 2017-11-21 | 2021-07-09 | Open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handlers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03797A Active KR102670140B1 (en) | 2017-11-21 | 2024-01-09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1020240067297A Active KR102706410B1 (en) | 2017-11-21 | 2024-05-23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KR1020240122312A Pending KR20240143996A (en) | 2017-11-21 | 2024-09-09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6) | KR102289103B1 (en) |
CN (1) | CN109807084B (en) |
TW (1) | TWI699319B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2260B1 (en) * | 1997-11-13 | 1999-12-01 | 윤종용 | Test socket and apparatus for testing module using the same |
KR100689972B1 (en) * | 2006-01-26 | 2007-03-12 | 미래산업 주식회사 | Module IC test handler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1140A (en) * | 1997-04-17 | 1998-11-04 | Sanyu Kikai Seisakusho:Kk | Part supply device using endless belt |
KR101304274B1 (en) * | 2008-12-31 | 2013-09-26 | (주)테크윙 | Pick-and-place apparatus of test handler |
KR101505955B1 (en) * | 2009-11-17 | 2015-03-27 | (주)테크윙 | Opening apparatus for test handler |
KR101439129B1 (en) * | 2010-06-14 | 2014-09-18 | (주)테크윙 | Module ic handler |
KR101499574B1 (en) * | 2010-06-15 | 2015-03-10 | (주)테크윙 | Module ic handler and loading method in module ic handler |
TWM469293U (en) * | 2013-08-07 | 2014-01-01 | Chroma Ate Inc | Transfer device to adjust the width |
KR101439128B1 (en) * | 2014-05-14 | 2014-09-18 | (주)테크윙 | Pressurizing apparatus for handler and handler |
CN205325058U (en) * | 2015-12-28 | 2016-06-22 | 常州市第一橡塑设备有限公司 | H steel positioning group clamping utensil |
KR102550248B1 (en) * | 2016-02-02 | 2023-07-03 | (주)테크윙 | Transport installation |
KR102650702B1 (en) * | 2016-03-04 | 2024-03-25 | (주)테크윙 | Cart of supplying tray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handler of processing electronic components |
CN205946509U (en) * | 2016-08-28 | 2017-02-08 | 中山市鸿菊自动化设备制造有限公司 | Novel PCB of chip mounter business turn over trigger constructs |
CN106935897B (en) * | 2017-03-14 | 2023-09-19 | 深圳市联赢激光股份有限公司 | Compatible fixture |
-
2017
- 2017-11-21 KR KR1020170155892A patent/KR102289103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9-26 CN CN201811122542.0A patent/CN109807084B/en active Active
- 2018-10-19 TW TW107136924A patent/TWI699319B/en active
-
2021
- 2021-07-09 KR KR1020210090088A patent/KR102438462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8-25 KR KR1020220107158A patent/KR102624971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1-09 KR KR1020240003797A patent/KR102670140B1/en active Active
- 2024-05-23 KR KR1020240067297A patent/KR102706410B1/en active Active
- 2024-09-09 KR KR1020240122312A patent/KR2024014399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2260B1 (en) * | 1997-11-13 | 1999-12-01 | 윤종용 | Test socket and apparatus for testing module using the same |
KR100689972B1 (en) * | 2006-01-26 | 2007-03-12 | 미래산업 주식회사 | Module IC test hand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925065A (en) | 2019-07-01 |
KR20240011210A (en) | 2024-01-25 |
KR20210090136A (en) | 2021-07-19 |
KR102289103B1 (en) | 2021-08-13 |
KR20220131374A (en) | 2022-09-27 |
KR20240143996A (en) | 2024-10-02 |
KR20190058164A (en) | 2019-05-29 |
KR102706410B1 (en) | 2024-09-13 |
KR102438462B1 (en) | 2022-09-01 |
KR102670140B1 (en) | 2024-05-29 |
CN109807084A (en) | 2019-05-28 |
CN109807084B (en) | 2022-01-04 |
TWI699319B (en) | 2020-07-21 |
KR20240082291A (en) | 2024-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150033B (en) | Supply cart for electronic component supply trays and sorting machine for processing electronic components | |
US725870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devices on carriers | |
KR20110093456A (en) | Insert enclosure in semiconductor package | |
KR102624971B1 (en) | Carrier frame for electronic device handler | |
KR100553989B1 (en) | Loader hand in test handler | |
KR100724044B1 (en) | Transfer device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 |
KR101007934B1 (en) | Test Tray Transfer Method and Device | |
US20080048158A1 (en) | Press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Handling Apparatus | |
KR20160011271A (en) | Equipment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 | |
KR100302517B1 (en) | Carrier for module I.C handler | |
KR101880227B1 (en) | Transfer module for test handler | |
KR101029064B1 (en) | Semiconductor device transfer device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 |
KR20190123015A (en) | Picker tip change apparatus and test handler including same | |
KR940009574B1 (en) | Handler for Device Tester | |
KR200389391Y1 (en) | Semiconductor Chip Carrier | |
KR100767790B1 (en) | Module Icy Heating Device of Module Icy High Temperature Test Handler | |
CN106994445A (en) | Testing, sorting machine | |
KR102341232B1 (en) | Test tray and test handler | |
KR20120138602A (en) | Pick and place apparatus for test handler | |
KR20230001222A (en) | Cradle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 |
KR20200121191A (en) | User tray align device for test handler, user tray align method for test handler, and test handler | |
KR20180126788A (en) | Handler for performing process and handler system | |
TW201634934A (en) | Electronic element testing sorter | |
KR20010001885A (en) | Element Sensing Structure of Horizontal Handler Alig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8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070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09008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